KR101798832B1 - Duplex construction structure, skip zigzag attic - Google Patents

Duplex construction structure, skip zigzag att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832B1
KR101798832B1 KR1020170050717A KR20170050717A KR101798832B1 KR 101798832 B1 KR101798832 B1 KR 101798832B1 KR 1020170050717 A KR1020170050717 A KR 1020170050717A KR 20170050717 A KR20170050717 A KR 20170050717A KR 101798832 B1 KR101798832 B1 KR 101798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esent
building
space
lof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7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종배
홍동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앤에이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앤에이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앤에이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050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8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8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layer space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uble-layer space structure of a building comprises: a plurality of floors having a height of 3.1 m and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double-layer attics formed on each of the fl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able a multi-layered structure and to enhance space utilization and external appearance.

Description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DUPLEX CONSTRUCTION STRUCTURE, SKIP ZIGZAG ATTIC}{DUPLEX CONSTRUCTION STRUCTURE, SKIP ZIGZAG ATTIC}

본 발명은,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에 없던 새로운 공간구조로 층고를 3.1m 기준으로 하면서도 복층구조가 가능해지며, 내부공간으로 취부되는 종전의 다락방과 달리 독립된 구조는 채광과 환기가 가능해져 주거환경이 양호해질 수 있으며, 이면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외관의 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등 전반적으로 건축물의 가치 향상을 추구할 수 있는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torey building structure, more specifically, a new multi-storey structure with a new height of 3.1m with a new space structure that is not existing, and an independent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as well as the space utilization can be improved because the mining and ventilation becomes possible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an be improved and the back space can be utilized. Space structure.

건축물(structure)은 실정법상 토지에 정착하는 공작물 중 지붕과 기둥 또는 벽이 있는 것과 이에 부수되는 시설물, 지하 또는 고가(高架)의 공작물에 설치하는 사무소, 공연장, 점포, 차고, 창고 등을 말한다.A structure is an office, a venue, a store, a garage, a warehouse, etc. installed in a building with a roof, a pillar or a wall, a facility attached thereto, an underground or elevated work,

건축법에서 정하는 건축물은 용도에 따라 분류하는데 종류는 ① 주택(단독주택 : 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공관, 공동주택 :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숙사), ② 제1종 근린생활시설(슈퍼마켓과 일용품의 소매점, 휴게음식점, 제과점, 이용원, 미용원, 일반목욕장 및 세탁소), ③ 제2종 근린생활시설(일반음식점ㅇ기원, 휴게음식점ㅇ제과점으로서 제1종 근린생활시설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 서점, 테니스장, 체력단련장, 에어로빅장, 볼링장, 당구장, 실내낚시터, 골프연습장), ④ 문화 및 집회시설, 의료시설, 교육연구 및 복지시설, 운동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공장 등이 있다.The buildings defined by the Building Law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use. The types are ① Housing (single house: single house, multi-house, multi-house, mansion, apartment: apartment house, multi-family house, dormitory) ③ The second kind of neighborhood living facility (general restaurant ㅇ origin, resting restaurant ㅇ As a bakery, it is the first type of neighborhood living facility. ④ Cultural and assembly facilities, medical facilities, educational research and welfare facilities, sports facilities, accommodation facilities, amusement facilities, etc. , And factories.

한편, 통상의 건축물이라 함은 단층을 의미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실제 단층으로 건축물이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a typical building generally means a single layer, and it is general that a building is actually constructed as a single layer.

간혹, 다락이 있는 건축물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통상적인 다락방은 건축물 내부공간의 일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건축물 내부공간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채광과 환기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복층형 공간구조라 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신개념의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Although there are occasional buildings with lofts, the typical attic room is a part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and since it is treated as an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In this case, the need for a new-concept architecture of a two-layered space structure arises.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107038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05-0107038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119639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11-0119639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00297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15-0100297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5-0023337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20-1995-0023337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없던 새로운 공간구조라서 층고를 3.1m 기준으로 하면서도 복층구조가 가능해지며, 내부공간으로 취부되는 종전의 다락방과 달리 독립된 구조라서 채광과 환기가 가능해져 주거환경이 양호해질 수 있으며, 이면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외관의 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등 전반적으로 건축물의 가치 향상을 추구할 수 있는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storey structure with a floor height of 3.1m, which is a new space structure which has not been existing yet, and it can be mined and ventilated because it is an independent structure unlike the previous attic, And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back side space to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as well as to enhance the beauty of the appearance.

상기 목적은, 3.1m의 층고를 가지며,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층(floor); 및 상기 다수의 층마다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복층형 다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hieved by a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 plurality of floors having a height of 3.1 m and formed along a heigh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multi-layer lofts form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상기 다수의 복층형 다락은 이웃된 한 쌍의 위, 아래층에 맞물려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multi-layer lofts may be formed into a multi-layered structure by engaging a pair of adjacent upper and lower layers.

상기 다수의 복층형 다락은 건물의 바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복층형 다락은 지그재그(zigzag)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multi-layer lofts are formed to protrude out of the building, and the plurality of multi-layer lofts can be arranged in a zigzag manner.

하나의 가구를 기준으로 할 때, 거실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복층형 다락으로 오르내리는 계단이 형성되며, 상기 계단의 일측과 상기 복층형 다락의 하부 영역에는 별도의 테라스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복층형 다락의 상면은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A step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iving room and goes up and down to the multi-layer loft, and a separate terrace spac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tep and the lower area of the multi-layer loft, Can form an inclined surface.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없던 새로운 공간구조라서 층고를 3.1m 기준으로 하면서도 복층구조가 가능해지며, 내부공간으로 취부되는 종전의 다락방과 달리 독립된 구조라서 채광과 환기가 가능해져 주거환경이 양호해질 수 있으며, 이면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외관의 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등 전반적으로 건축물의 가치 향상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a new spatial structure which is not existing, it is possible to have a multi-layer structure while having a height of 3.1m as a floor height,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mining and ventilation because it is an independent structure unlike the previous attic,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back side space, thereby improving the space utilization as well as enhancing the beauty of the appearance. Thus, the overall value of the building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에서 짝수(또는 홀수)층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에서 짝수(또는 홀수)층의 다락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응되는 목업 정면 이미지이다.
도 5는 도 4의 사시 이미지이다.
도 6은 도 4의 측면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의 모델링 이미지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의 실제 촬영 이미지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가 적용된 주상복합아파트의 이미지이다.
FIG. 1 is a plan view of an even (or odd) layer in a building duplex spac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op plan view of an even (or odd) layer in a building duplex spac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a space structure of a building duplex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al view of the mockup corresponding to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Figure 6 is a side view of Figure 4;
FIG. 7 is a modeling image of a multi-story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to 10 are actual photographic images of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image of a residential apartment complex to which a multi-story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or example, since the embodiments are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since the object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dictionary meaning, but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explana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in some cas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에서 짝수(또는 홀수)층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에서 짝수(또는 홀수)층의 다락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의 요부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대응되는 목업 정면 이미지, 도 5는 도 4의 사시 이미지, 도 6은 도 4의 측면 이미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의 모델링 이미지,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의 실제 촬영 이미지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가 적용된 주상복합아파트의 이미지이다.FIG. 1 is a plan view of an even (or odd) layer in a building multi-storey spati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top plan view of a multi-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al view of the mockup corresponding to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And FIG. 7 is a modeling image of a building multi-layered spati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to 10 are actual photographic images of a multi-layered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n image of a residential apartment complex to which a multi-storey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는 기존에 없던 새로운 공간구조라서 층고를 3.1m 기준으로 하면서도 복층구조가 가능해지며, 내부공간으로 취부되는 종전의 다락방과 달리 독립된 구조라서 채광과 환기가 가능해져 주거환경이 양호해질 수 있으며, 이면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외관의 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등 전반적으로 건축물의 가치 향상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Referring to these figures, the double-layered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new spatial structure that is not existing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multi-layer structure can be achieved while the height of the floor is 3.1 m. In contrast to the existing attic, And the ventilation can be performe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an be improved, the back space can be utilized, and the space utilization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beauty of the exterior can be improved and the overall value of the building can be improved.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는 3.1m의 층고를 가지며,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층(110, floor)과, 다수의 층(110)마다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복층형 다락(1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layer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can provide such an effect, has a plurality of layers 110, each having a height of 3.1 m,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multi-layer lofts 120.

도 3에는 3개의 층(110)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각 층(110)의 경계 영역에 복층형 다락(120)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이를 실질적인 주상복합아파트로 확대해보면 도 11처럼 수십 층(110)을 이룰 수 있는데, 각 층(110)에 복층형 다락(120)이 갖춰진다. 이러한 경우, 기존에 없던 신개념의 복층형 공간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3, three layers 110 are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and have a structure in which a multi-layered loft 120 is disposed in a boundary region of each layer 110. [ However, if it is enlarged to a practical pile-up apartment complex, it may be several tens layers 110 as shown in FIG. 11, and each layer 110 is provided with a multi-layered loft 120.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ew concept of a two-layered spatial structure that has not been existing.

물론,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기존 아파트나 빌라에 적용되는 통상적인 다락방은 최상층에만 존재하는 것이며, 또한 건축물 내부공간의 일부로 이루어지면서 건축물 내부공간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채광과 환기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복층형 공간구조라 할 수 없다.Of course, as described above, a typical attic room, which is applied to existing apartments or villas, exists only in the uppermost floor, and since it is a part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and is treated as an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Can not.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다락(120)은 종전처럼 최상층에만 존재하지 않고 각 층(110)에 마련되며, 또한 내부 공간으로 취부되지 않는 단독 공간이라서 채광과 환기가 가능해져 주거환경이 양호해질 수 있다.However, since the multi-layered lof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exist only in the uppermost layer as in the past, but is a single space provided in each layer 110 and not attached to the inner space, mining and ventilation are possible, .

이러한 복층형 다락(120)들은 이웃된 한 쌍의 위, 아래층(110)에 맞물려 복층으로 형성된다. 즉 이웃된 한 쌍의 위, 아래층(110) 사이의 경계에 복층형 다락(120)들이 배치된다.These two-layered lofts 120 are formed into a multi-layered structure by engaging a pair of upper and lower layers 110 adjacent to each other. That is, the two-layered lofts 120 are dispos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pair of upper and lower layers 110 adjacent to each other.

이때, 복층형 다락(120)들은 도 11처럼 건물의 바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서비스면적으로서 추가의 공간 확보가 가능해진다.At this time, the multi-layer lofts 120 are formed to protrude out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additional space as the service area.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복층형 다락(120)은 지그재그(zigzag)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층고가 높아지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복층형 다락(120)의 배치가 가능해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multi-layer lofts 120 may be arranged in a zigzag manner.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rrange the two-layered attic 120 without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floor.

복층형 다락(120)에는 책상, 책장, 침대 등을 배치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A desk, a bookcase, a bed, and the like are disposed in the multi-layered loft 120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복층형 다락(120)의 상면은 경사면(121)을 형성한다. 따라서 층고를 늘리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즉 일반적으로 복층은 층고를 기본 4.5m 이상으로 계획해서 중간에 바닥을 만드는 구조인데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는 일반적인 층고 3.1m 정도에서 복층이 가능한 구조인 것이다.The upper surface of the multi-layered loft 120 forms an inclined surface 121.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loor height is not increased. That is, in general, the multi-layered structure is designed to have a floor height of 4.5 m or more and a floor is formed in the middle, whereas the multi-story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tructure capable of forming a multi-layered structure at a normal floor height of about 3.1 m.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가구를 기준으로 할 때, 거실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복층형 다락(120)으로 오르내리는 계단(131)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when one furniture is used as a reference, a step 13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iving room to move up and down to the multi-layer loft 120.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계단(131)을 통해 복층형 다락(120)으로 올라갈 수 있는데, 이처럼 복층형 다락(120)으로 인해 2층 공간의 층고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생활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oor can be climbed up to the multi-storey loft 120 through the stairs 131. Since the multi storey loft 120 can increase the floor height of the two-storey space, the convenience of living can be increased.

뿐만 아니라 복층형 다락(120)은 층고가 높은 별도의 공간을 이루기 때문에 내부 공간으로 취부되지 않는 단독 공간이라서 채광과 환기가 가능해져 주거환경이 양호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uplex loft 120 is a separate space that is not attached to the inner space because it forms a separate space having a high floor height, it is possible to provide mining and ventilation, and the living environment can be improved.

계단(131)을 거실의 일측 단부 코너(corner) 영역으로 치우치게 배치함으로써, 거실의 공간이 줄어드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간섭 현상도 없어진다.By arranging the step 131 at one corner corner area of the living room, the space in the living room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duced, and the interference phenomenon is eliminated.

이처럼 계단(131)을 거실의 일측 단부 코너(corner) 영역으로 치우치게 배치할 경우, 계단(131)의 일측과 복층형 다락(120)의 하부 영역에는 별도의 테라스 공간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stairs 131 are disposed to be offset to one corner corner area of the living room, a separate terrace space 13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tep 131 and in the lower area of the multi-layer loft 120 .

이러한 테라스 공간부(132)는 본 실시예처럼 거실의 일부가 되게 함으로써 넓은 거실을 구현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거실문을 달아 거실과는 구획된 별도의 공간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별도의 공간에 물건들을 놓아 배치할 수도 있고, 아니면 정원 등으로 꾸밀 수 있다.The terrace space section 132 may be a part of the living room, thereby realizing a spacious living room. In some cases, the living room door can be installed as a separate space defined by the living room. In this case, you can place objects in a separate space, or decorate them with a garde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에 없던 새로운 공간구조라서 층고를 3.1m 기준으로 하면서도 복층구조가 가능해지며, 내부공간으로 취부되는 다락방과 달리 독립된 구조라서 채광과 환기가 가능해져 주거환경이 양호해질 수 있으며, 이면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외관의 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등 전반적으로 건축물의 가치 향상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structure and ac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it is a new space structure which is not existing,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multi-layer structure with a bed height of 3.1 m,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back side spac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as well as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ppended hereto.

110 : 층
120 : 복층형 다락
121 : 경사면
131 : 계단
132 : 테라스 공간부
110: layer
120: Duplex Loft
121:
131: Stairs
132: Terrace space section

Claims (4)

3.1m의 층고를 가지며,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층(floor); 및 상기 다수의 층마다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복층형 다락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복층형 다락은 이웃된 한 쌍의 위, 아래층에 맞물려 복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복층형 다락은 건물의 바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복층형 다락은 지그재그(zigzag) 방식으로 배열되는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에 있어서,
하나의 가구를 기준으로 할 때, 거실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복층형 다락으로 오르내리는 계단이 형성되며,
상기 계단의 일측과 상기 복층형 다락의 하부 영역에는 별도의 테라스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복층형 다락의 상면은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복층형 공간구조.
A plurality of floors having a height of 3.1 m and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multi-layer lofts form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Wherein the plurality of multi-layer lofts are formed into a multi-layered structure by engaging a pair of upper and lower layers adjacent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multi-layer lofts are formed to protrude out of the building,
Wherein the plurality of multi-layer lofts are arranged in a zigzag manner,
When one furniture is used as a standard, steps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living room,
A separate terrace space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staircase and in the lower area of the multi-layer loft,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multi-layer lofts forms an inclined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50717A 2017-04-19 2017-04-19 Duplex construction structure, skip zigzag attic KR1017988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717A KR101798832B1 (en) 2017-04-19 2017-04-19 Duplex construction structure, skip zigzag att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717A KR101798832B1 (en) 2017-04-19 2017-04-19 Duplex construction structure, skip zigzag atti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832B1 true KR101798832B1 (en) 2017-11-16

Family

ID=6080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717A KR101798832B1 (en) 2017-04-19 2017-04-19 Duplex construction structure, skip zigzag att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83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034B1 (en) * 2011-09-06 2012-03-14 이종진 Structure of veranda type balcony of apart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034B1 (en) * 2011-09-06 2012-03-14 이종진 Structure of veranda type balcony of apart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7392B2 (en) building
KR101798832B1 (en) Duplex construction structure, skip zigzag attic
KR20150027374A (en) Double layer type apartment structure having shared zone
CN214498510U (en) Novel building structure
KR20190090169A (en) House for multiple-household
JP5378783B2 (en) Wall ramen structure building
JP4445525B2 (en) Apartment house with loft
JP5325570B2 (en) housing complex
JP3151454U (en) Apartment house with approach terrace and dwelling entrance facing south (east and west)
JP4095523B2 (en) Building with warehouse storage
JP4036858B2 (en) building
JP4236211B2 (en) Building with storage room
CN201090034Y (en) Stairway structure of multi-layer building architecture
JP4097645B2 (en) building
US20160348385A1 (en) Multi-Story Residential Building
KR101711946B1 (en) Balcony house which has increased efficiency of using balcony
JP2016183531A (en) Apartment house
JP4279742B2 (en) building
JP7298396B2 (en) Building
JP7500186B2 (en) Apartment complex
KR200267694Y1 (en) Low floor house for double floor structure
JP2010121334A (en) Building
KR101414432B1 (en) Structure of apartment house for having bigger service area
JP7511340B2 (en) Private room
JP4216677B2 (en) housing comple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