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050B1 -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을 갖는 콘텐츠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을 갖는 콘텐츠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050B1
KR101798050B1 KR1020120001589A KR20120001589A KR101798050B1 KR 101798050 B1 KR101798050 B1 KR 101798050B1 KR 1020120001589 A KR1020120001589 A KR 1020120001589A KR 20120001589 A KR20120001589 A KR 20120001589A KR 101798050 B1 KR101798050 B1 KR 101798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name
partial
content file
cont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0659A (ko
Inventor
이재익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050B1/ko
Publication of KR20130080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313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or index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을 갖는 콘텐츠 재생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이 장치 및 방법은 콘텐츠 파일명을 다수의 부분 파일명들로 분할하고, 부분 파일명들 각각에 그 파일명이 갖는 중요도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며, 부여된 가중치만큼 화면 표시 시간을 달리한다. 이에 따라 중요 정보가 포함된 부분 파일명은 가능한 한 빨리 그리고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표시되게 된다.

Description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을 갖는 콘텐츠 재생 장치 및 그 방법{Content play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of division the content file na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콘텐츠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텐츠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와 같은 콘텐츠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가 잘 알려져 있다. 그 중 MP3 플레이어와 같은 소형의 휴대용 콘텐츠 재생 장치는 소형의 액정 화면을 가진다. 따라서 화면에 한번에 표시될 수 있는 텍스트의 수는 제한적이다. 이렇듯 액정 화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텍스트가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없는 경우, 텍스트를 분할하여 표시해야 한다. 예를 들어, 화면에 TEXT_A와 TEXT_B 및 TEXT_C 각각을 표시하고자 한다. 이때 TEXT_A와 TEXT_B 및 TEXT_C는 다음과 같다.
TEXT_A = String[0] + ... + String[n-1]
TEXT_B = String[0] + ... + String[m-1]
TEXT_C = String[0] + ... + String[l-1]
한 화면에 표시 가능한 문자의 개수가 k라고 하면, n < l < k < m < 3k이며, 이를 시간과 함께 표현하면 도 1과 같다. 즉, TEXT_A와 TEXT_C는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나, TEXT_B는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없어 분할하여 표시된다. 따라서 A 콘텐츠 재생중에는 그 콘텐츠 파일명인 TEXT_A가 계속하여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고, C 콘텐츠 재생중에는 그 콘텐츠 파일명인 TEXT_C가 계속하여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나, B 콘텐츠 재생중에는 그 콘텐츠 파일명인 TEXT_B가 다수로 분할되어 각각이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시간 동안 화면에 표시될 수밖에 없다. 결국 TEXT_B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콘텐츠 파일명에서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해당되는 분할된 부분의 파일명이 포함된 정보가 표시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본 발명은 콘텐츠 파일명을 분할하여 분할된 부분 파일명들을 서로 다른 시간 동안에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에, 중요 정보가 포함된 부분 파일명이 가능한 한 빨리 그리고 오랫동안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을 갖는 콘텐츠 재생 장치는 다수의 콘텐츠 파일명들이 저장되되, 상기 콘텐츠 파일명의 문자 수가 소정 수 이상일 경우 상기 소정 수 이내로 분할되어 저장되며, 그 분할된 부분 파일명의 화면 표시 시간에 대한 가중치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 파일명을 화면 출력하되, 상기 콘텐츠 파일명이 부분 파일명들로 이루어진 경우 각각의 부분 파일명을 해당 가중치가 부여된 화면 표시 시간만큼 순차적으로 화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 파일명의 문자 수가 상기 소정 수 이상일 경우 상기 소정 수 이내로 분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되, 상기 분할된 부분 파일명 각각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부분 파일명에 확장자가 포함된 경우 가장 낮은 가중치를 부여고, 상기 분할된 부분 파일명이 동일 폴더에 저장된 소정 수 이상의 콘텐츠 파일명들에 존재하는 경우 중간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가장 낮은 가중치 또는 상기 중간 가중치가 미부여된 부분 파일명에는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한다.
한편,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방법은 콘텐츠 파일명의 문자 수가 소정 수 이상일 경우, 상기 콘텐츠 파일명을 상기 소정 수 이내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부분 파일명들을 메모리에 저장하되, 상기 부분 파일명들 각각의 화면 표시 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 파일명을 화면 출력하되, 상기 콘텐츠 파일명이 부분 파일명들로 이루어진 경우 각각의 부분 파일명을 해당 가중치가 부여된 화면 표시 시간만큼 순차적으로 화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된 부분 파일명에 확장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가장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낮은 가중치가 미부여된 부분 파일명 중 동일 폴더에 저장된 소정 수 이상의 콘텐츠 파일명이 상기 부분 파일명에 존재하면 중간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장 낮은 가중치 또는 상기 중간 가중치가 미부여된 부분 파일명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텐츠 파일명이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없는 경우에 다수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부분 파일명들에 대해 중요도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며, 부여된 가중치만큼 화면 표시 시간을 달리함으로써, 중요 정보가 포함된 부분 파일명이 가능한 한 빨리 그리고 오랫동안 표시되는 효과가 창출된다.
도 1은 종래의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방식 설명을 위한 참조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을 갖는 콘텐츠 재생 장치 블록도.
도 3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파일명 분할 및 저장 방법 흐름도.
도 4는 동일 폴더 내 콘텐츠 파일명의 분할 및 가중치 적용 전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 파일명별 가중치 적용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 파일명별 가중치에 따른 화면 표시 시간 예시도.
도 7은 도 3의 S400에 대한 구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일 폴더 내 콘텐츠 파일명의 분할 및 가중치 적용 후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콘텐츠 파일명의 화면 출력 방법 흐름도.
도 10은 종래의 콘텐츠 파일명 표시 방식과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파일명 표시 방식의 텍스트 표시 대기 시간을 비교한 도면.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을 갖는 콘텐츠 재생 장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을 갖는 콘텐츠 재생 장치는 저장부(100), 표시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저장부(100)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이며,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이 저장부(100)에는 다수의 콘텐츠 파일명들이 저장되되, 콘텐츠 파일명이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없는 경우 후술하는 제어부(300)에 의해 다수로 분할되어 저장된다. 또한 분할된 각 부분 파일명의 화면 표시 시간에 대한 가중치 정보가 함께 저장된다. 표시부(200)는 텍스트 및 이미지 등을 화면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제어부(300)는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을 갖는 콘텐츠 재생 장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이다. 이하, 제어부(300)에 의해 수행되는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파일명 분할 및 저장 방법 흐름도이다.
제어부(300)는 저장부(100)에 저장된 콘텐츠 파일명을 읽어 들이며(S100), 그 읽어들인 콘텐츠 파일명의 문자 수가 소정 수 이상인지를 확인한다(S200). 여기서 소정 수 이상이라 함은 표시부(200)에서 한번에 화면 표시가 불가능한 문자 수를 말한다. 콘텐츠 파일명의 문자 수가 소정 수 이상이면, 제어부(300)는 콘텐츠 파일명을 다수의 부분 파일명들로 분할한다(S300). 여기서 각 부분 파일명의 문자 수는 소정 수 이내가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4의 콘텐츠 파일명들 중 ‘059. 태양 - 니가 잠든 후에 (Feat. Swings).mp3’에 대해, 제어부(300)는 ‘059. 태양 -’, ‘ 니가 잠든 후’, ‘에 (Feat. Sw’, ‘ings).mp3’의 부분 파일명들로 분할하는 것이다. 제어부(300)는 분할된 부분 파일명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저장부(100)에 저장한다(S400)(S500). 이때 파일명에 대한 텍스트 구조는 도 5와 같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파일명인‘abcdefghijkl’이 ‘abcd’, ‘efgh’, ‘ijkl’로 분할되며, 부분 파일명‘abcd’에는 가중치 2가 부여되고 부분 파일명‘efgh’에는 가중치 3이 부여되며, 부분 파일명‘ijkl’에는 가중치 1이 부여되는 것이다. 여기서 부여된 가중치는 화면 표시 시간에 관한 것으로서, 가중치에 따라 표시부(200)를 통해 화면 표시되는 시간의 길이가 달라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중치가 낮을수록 해당 부분 파일명의 화면 표시 시간은 짧아지며, 가중치가 높을수록 해당 부분 파일명의 화면 표시 시간은 길어진다. 따라서 도 5의 경우, 화면 표시 시간은 도 6과 같다.
도 7은 도 3의 S400에 대한 구체 흐름도이다.
제어부(300)는 분할된 부분 파일명에 확장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410). 여기에서 확장자라 함은 파일이 어떤 종류의 파일인지를 알려주는 파일 형식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파일 형식에 따라 mp3, ogg, aac등으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제어부(300)는 이러한 확장자를 포함하고 있는 부분 파일명에는 가중치‘1’을 부여한다(S420). 그에 따라, ‘ings).mp3’에는 가중치‘1’이 부여되어 저장부(100)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가중치가 부여되지 않은 부분 파일명의 문자가 동일 폴더에 저장된 콘텐츠 파일명에 여러번 반복하여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그 부분 파일명에는 가중치‘2’를 부여한다(S430)(S440). 이 같이 동일 문자가 여러 콘텐츠 파일명에 존재하는 경우, 그 문자는 가수명이거나 앨범명일 확률이 높다. 예를 들어, 도 4의 저장부(100)에 저장된 폴더 리스트를 확인하면, ‘059. 태양 -’의 부분 파일명에서‘태양’이라는 문자가 다른 콘텐츠 파일명에도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같은 파일명은 확장자보다 높은 중요도를 갖는 정보로 볼 수 있으므로, 확장자의 경우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그 다음, 제어부(300)는 가중치가 부여되지 않은 부분 파일명에는 가중치‘3’를 부여한다(S450). 이는 가중치‘1’과 ‘2’가 부여되지 않은 부분 파일명에는 노래 제목 또는 제목 일부가 포함되어 있을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 니가 잠든 후’와 ‘에 (Feat. Sw’에는 가중치‘3’이 부여되어 저장부(100)에 저장된다. 이 같은 가중치 부여 방식에 의해 도 4의 콘텐츠 파일명들은 도 8과 같이 변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콘텐츠 파일명의 화면 출력 방법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300)는 콘텐츠 재생시 그 재생 콘텐츠의 파일명을 화면 표시한다. 콘텐츠 파일명을 화면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그 콘텐츠 파일명이 분할되어 있는지 아닌지 판단한다(S600). 콘텐츠 파일명이 도 5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을 경우 분할된 것으로 판단될 것이다. 콘텐츠 파일명이 분할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300)는 콘텐츠 파일명을 그대로 화면 표시한다(S700). 콘텐츠 파일명이 다수의 부분 파일명들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300)는 그 부분 파일명들을 순차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화면 표시하되, 각 부분 파일명에 부여된 가중치만큼 화면 표시 시간을 달리하여 화면 출력한다(S800). 예를 들어, 가중치‘1’은 1초, 가중치‘2’는 2초, 가중치‘3’은 3초의 화면 표시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의 (A)에 예시된 콘텐츠 파일명을 화면 표시할 경우, 부분 파일명들의 화면 표시 시간은 종래의 경우 도 10의 (B)와 같고,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0의 (C)와 같다. 이에 콘텐츠 파일명에서 가장 필요한 정보인 제목‘니가 잠든 후’가 화면 표시되기 위한 대기 시간은 도 10의 (D)와 같이 종래 방식에 따르면 평균 3.75초이고, 본 발명에 따르면 평균 2.33초가 걸린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저장부 200 : 표시부
300 : 제어부

Claims (7)

  1. 콘텐츠 파일명을 표시하는 표시부;
    다수의 콘텐츠 파일명들이 저장되되, 상기 콘텐츠 파일명의 문자 수가 소정 수 이상일 경우 상기 소정 수 이내로 분할되어 저장되며, 그 분할된 부분 파일명의 화면 표시 시간에 대한 가중치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 파일명을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되, 상기 콘텐츠 파일명이 부분 파일명들로 이루어진 경우 각각의 부분 파일명을 해당 가중치가 부여된 화면 표시 시간만큼 순차적으로 화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부분 파일명의 화면 표시 시간은 가중치가 낮을수록 짧아지며, 상기 가중치가 높을수록 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을 갖는 콘텐츠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 파일명의 문자 수가 상기 소정 수 이상일 경우 상기 소정 수 이내로 분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되, 상기 분할된 부분 파일명 각각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을 갖는 콘텐츠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부분 파일명에 확장자가 포함된 경우 가장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을 갖는 콘텐츠 재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부분 파일명이 동일 폴더에 저장된 소정 수 이상의 콘텐츠 파일명들에 존재하는 경우 중간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을 갖는 콘텐츠 재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장 낮은 가중치 또는 상기 중간 가중치가 미부여된 부분 파일명에는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을 갖는 콘텐츠 재생 장치.
  6. 콘텐츠 파일명의 문자 수가 소정 수 이상일 경우, 상기 콘텐츠 파일명을 상기 소정 수 이내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부분 파일명들을 메모리에 저장하되, 상기 부분 파일명들 각각의 화면 표시 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 파일명을 화면 출력하되, 상기 콘텐츠 파일명이 부분 파일명들로 이루어진 경우 각각의 부분 파일명을 해당 가중치가 부여된 화면 표시 시간만큼 순차적으로 화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부분 파일명의 화면 표시 시간은 상기 가중치가 낮을수록 짧아지며, 상기 가중치가 높을수록 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
    상기 분할된 부분 파일명에 확장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가장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낮은 가중치가 미부여된 부분 파일명 중 동일 폴더에 저장된 소정 수 이상의 콘텐츠 파일명이 상기 부분 파일명에 존재하면 중간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장 낮은 가중치 또는 상기 중간 가중치가 미부여된 부분 파일명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방법.
KR1020120001589A 2012-01-05 2012-01-05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을 갖는 콘텐츠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1798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589A KR101798050B1 (ko) 2012-01-05 2012-01-05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을 갖는 콘텐츠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589A KR101798050B1 (ko) 2012-01-05 2012-01-05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을 갖는 콘텐츠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659A KR20130080659A (ko) 2013-07-15
KR101798050B1 true KR101798050B1 (ko) 2017-11-15

Family

ID=48992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589A KR101798050B1 (ko) 2012-01-05 2012-01-05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을 갖는 콘텐츠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0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7914A (ja) * 2001-11-30 2003-06-13 Fujitsu Ltd マルチメディア情報検索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7914A (ja) * 2001-11-30 2003-06-13 Fujitsu Ltd マルチメディア情報検索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659A (ko) 2013-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1476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30346838A1 (en) Dynamic audio playback of soundtracks for electronic visual works
EP2180480B1 (en) Playlist search device, playlist search method and program
US20100229088A1 (en) Graphical representations of music using varying levels of detail
US20070101355A1 (en) Device, method, and medium for expressing content dynamically
US20080022207A1 (en) Audio Player with Lyrics Display
US20160224310A1 (en) Structur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playback of music track files
CN104081396A (zh) 再现设备及其方法和程序
US8289328B2 (en) Content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JP2007082166A (ja) 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1798050B1 (ko) 콘텐츠 파일명 분할 표시 기능을 갖는 콘텐츠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US20070005617A1 (en) Display control method, content data reproduction apparatus, and program
KR101589991B1 (ko) 컨텐츠 생성 기능을 갖는 컨텐츠 재생 장치 및 그의 컨텐츠생성 방법
US9627006B2 (en) Content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KR101705561B1 (ko) 컨텐츠 생성 기능을 갖는 컨텐츠 재생 장치 및 그의 컨텐츠 생성 방법
JP2006164005A5 (ko)
US2009021676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Management
JP2007066370A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2015194832A (ja) コンテンツ出力装置、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出力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出力プログラム
KR100732665B1 (ko) 음악파일 관리 기능을 갖는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의 관리방법
KR100821775B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분할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JP6752111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JP6659958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6154626A (ja) 画像提示装置、画像提示方法およびスライドショー提示装置
KR100973867B1 (ko) 가라오케장치 및 그의 데이터 출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