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047B1 - 복합 필터 - Google Patents

복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047B1
KR101798047B1 KR1020150127832A KR20150127832A KR101798047B1 KR 101798047 B1 KR101798047 B1 KR 101798047B1 KR 1020150127832 A KR1020150127832 A KR 1020150127832A KR 20150127832 A KR20150127832 A KR 20150127832A KR 101798047 B1 KR101798047 B1 KR 101798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rystal
crystal generation
filter portion
generation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0350A (ko
Inventor
최유승
오병수
정기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7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047B1/ko
Priority to PCT/KR2016/009726 priority patent/WO2017043803A1/ko
Publication of KR20170030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10Magnes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23/00Constitutive chemical elements of heterogeneous catalysts
    • B01J2523/20Constitutive chemical elements of heterogeneous catalysts of Group II (IIA or IIB) of the Periodic Table
    • B01J2523/23Calc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laundry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에 존재하는 입자성 물질, 유기물질 및 잔류염소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프리 필터부; 및 상기 프리 필터부의 상류측과 하류측 중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고, 아래에서부터 위로 원수가 차오르는 형태의 유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유로 구조에 차오르는 원수로부터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결정생성촉매 필터부를 포함하는 복합 필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 필터{COMPLEX FILTER}
본 발명은 원수로부터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복합 필터에 관한 것이다.
물의 경도(water hardness)란 물에 들어있는 칼슘 이온과 마그네슘 이온의 양을 이들에 대응하는 탄산칼슘(칼슘 카보네이트, CaCO3)의 양(단위 mg/l)으로 환산하여 수치화한 것을 의미한다. 물의 경도는 물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정한 수치를 기준으로 물의 경도가 기준보다 높으면 경수, 기준보다 낮으면 연수로 분류된다. 세계보건기구(WHO)의 가이드라인에서는 경수와 연수의 기준을 더욱 세분화하여 분류한다.
경도성 물질은 상온보다 높거나 낮은 온도에서 반응하여 스케일을 형성하게 된다. 스케일(예를 들어 CaCO3)이란 물에 잔류하는 미네랄 성분이 수분의 증발 후 뭉치면서 생기는 물질을 가리킨다. 냉장고나 정수기와 같은 워터 시스템의 출구에 생성된 스케일은 소비자에게 워터 시스템의 고장 또는 성능 저하로 인식되기 때문에 스케일의 생성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세탁기나 식기세척기와 같은 워터 클리닝 시스템에서 경도성 물질은 세제의 음이온과 결합하여 세척력의 저하를 유발하고 비용해성 세제 때를 생성하기 때문에 고경도의 물에서 경도성 물질을 제거하여 물의 경도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의 기술 중에 물의 경도를 낮추는 기술로 이온교환수지가 존재한다. 이온교환수지는 이온교환수지에 존재하는 Na+ 또는 H+ 이온과 물에 존재하는 Ca2 + 또는 Mg2 + 이온의 교환을 통해 물의 경도를 낮추는 매커니즘을 갖는다. 그러나 이온교환수지는 처리용량의 한계로 인하여 짧은 수명을 갖는다. 따라서 이온교환수지를 계속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재생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재생 과정에서 물 낭비가 심할 뿐만 아니라 환경 오염의 문제도 존재하고, 특히 재생이 반복될수록 점차 재생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물에 존재하는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물에 존재하는 입자성 물질, 유기물질 및 잔류 염소를 제거할 수 있는단위 복합 필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빈번한 재생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물에 존재하는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복합 필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결정생성촉매의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로 구조를 갖는 복합 필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유량과 여과 성능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결정생성촉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필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복합 필터는, 원수에 존재하는 입자성 물질, 유기물질 및 잔류염소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프리 필터부; 및 상기 프리 필터부의 상류측과 하류측 중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고, 아래에서부터 위로 원수가 차오르는 형태의 유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유로 구조에 차오르는 원수로부터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결정생성촉매 필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는 다수의 결정생성촉매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생성촉매는, 상기 원수에 존재하는 칼슘 양이온과 중탄산 음이온의 반응을 촉진하거나 상기 원수에 존재하는 마그네슘 양이온과 중탄산 음이온의 반응을 촉진하여, 상기 경도성 물질 또는 상기 스케일 유발 물질을 결정화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는 다수의 결정생성촉매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생성촉매는, 음전하를 띄는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담체; 및 상기 담체의 결정화 사이트에 존재하며, 칼슘과 마그네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정 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필터는 상기 프리 필터부와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 필터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남은 공간에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의 결정생성촉매가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필터는 상기 프리 필터부의 외주면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입수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 필터부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을 향해 유동하는 원수를 여과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는 상기 프리 필터부에 의해 감싸이도록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프리 필터부를 마주보는 외벽면을 구비하여 상기 프리 필터부를 통과한 원수가 상기 외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의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외벽면을 타고 흘러내린 원수가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의 유로 구조로 차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는 다수의 결정생성촉매를 감싸는 내벽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벽면에는 나선형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필터는, 입수부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입수부를 통해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흐르는 원수를 공급받는 원통형의 입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는 상기 입수 유로와 상기 프리 필터부를 수용하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의해 감싸이도록 배치되며, 상기 프리 필터부는 상기 입수 유로를 수용하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에 의해 감싸이도록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의 중공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의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입수 유로를 통해 흘러내린 원수가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의 유로 구조로 차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에 원수가 차오르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결정생성촉매가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의 결정화를 촉진하므로, 원수로부터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의 경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정생성촉매는 이온교환수지에 비해 반응 속도는 느리지만 월등히 긴 수명을 가지므로, 빈번한 재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결정생성촉매는 재생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온결합수지에서 문제되는 물 낭비, 환경오염 및 재생 효율 감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이 결정생성촉매에 의해 결정화 되고 난 후, 상기 결정생성촉매로부터 자연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결정이 자연적으로 분리되는 구조에 의해 결정생성촉매는 다른 반응에 다시 참여할 수 있게 되므로, 복합 필터 전체의 성능이 향상됨을 물론 결정생성촉매는 재생 없이 계속해서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출부를 이용하여 난류를 형성함으로써 프리 필터부의 적정 유량 범위에서 결정생성촉매도 충분한 여과 성능을 가지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프리 필터부와 결정생성촉매가 최적 성능을 발휘하는 적정 유량은 서로 다르지만, 프리 필터부의 적정 유량 범위에서 결정생성촉매가 충분한 여과 성능을 가지도록 보완 구조를 제안함에 따라 프리 필터부와 결정생성촉매를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 전체의 여과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완 구조는 여과 시스템의 소형화 및 단순화 경향을 벗어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복합 필터의 단면도다.
도 2는 결정생성촉매의 개념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복합 필터의 단면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결정생성촉매와 종래의 이온교환수지를 실험적으로 비교한 그래프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 필터와 기타 필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2단의 여과 시스템을 구성한 개념도다.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 필터와 기타 필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2단의 여과 시스템을 구성한 다른 개념도다.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 필터와 기타 필터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3단의 여과 시스템을 구성한 개념도다.
도 8은 본 발명의 복합 필터와 기타 필터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3단의 여과 시스템을 구성한 다른 개념도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 필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복합 필터(100)의 단면도다.
프리 필터부(110)는 원수에 존재하는 입자성 물질, 유기물질 및 잔류염소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프리 필터부(110)는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의 상류측과 하류측 중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된다. 상류측과 하류측이라는 것은 물의 흐름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인 위치의 개념이다. 물이 프리 필터부(110)를 먼저 통과하고 이어서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프리 필터부(110)가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의 상류측에 형성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프리 필터부(110)가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의 상류측에 형성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프리 필터부(110)는 침전필터, 정전흡착필터 및 카본 블럭 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 필터부(110)가 어떤 필터를 포함하느냐에 따라 프리 필터부(110)에서 여과되는 이물질이 달라질 수 있다.
프리 필터부(110)는 속이 빈 원통 또는 속이 빈 다각 기둥으로 형성된다. 프리 필터부(110)의 속이 비어있는 부분을 중공부로 명명할 수 있다. 중공부는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를 수용하는 영역이다.
프리 필터부(110)는 외주면과 내주면을 갖는다. 외주면은 하우징(130)을 내주면을 마주보는 면을 가리킨다. 내주면은 중공부에 배치되는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를 마주보는 면을 가리킨다. 프리 필터부(110)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을 향해 유동하는 원수를 여과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의 화살표는 원수의 흐름을 표시한 것이다. 원수는 프리 필터부(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을 향해 유동하는 과정에서 여과된다. 다만 원수는 반드시 수평 방향으로 흐르는 것은 아니고, 프리 필터부(11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 방향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에 의해 점차 아래로 흐를 수 있다.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는 프리 필터부(110)의 상류측과 하류측 중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된다. 도 1은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가 프리 필터부(110)의 하류측에 형성되는 구성을 보이고 있다.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는 외벽면(122), 내벽면(123), 다수의 결정생성촉매(121) 및 돌출부(124)를 포함한다.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는, 실질적으로 속이 빈 원통 또는 속이 빈 다각 기둥의 내부에 다수의 결정생성촉매(121)가 충전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외벽면(122)과 상기 내벽면(123)은 상기 속이 빈 원통 또는 상기 속이 빈 다각 기둥의 내벽면(123)과 외벽면(122)을 가리킨다.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는 프리 필터부(110)에 의해 감싸이도록 상기 프리 필터부(110)의 중공부에 삽입된다.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와 프리 필터부(110)는 손쉽게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각각 하나의 단위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단위 모듈의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는 또 다른 단위 모듈인 프리 필터부(110)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와 프리 필터부(11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의 외벽면(122)은 프리 필터부(110)의 내주면을 마주본다. 프리 필터부(110)에서 여과된 원수는 프리 필터부(110)의 내주면으로 모이게 된다. 외벽면(122)은 프리 필터부(110)를 통과한 원수가 상기 외벽면(122)을 타고 흘러내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프리 필터부(110)와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의 외벽면(122)은 서로 조합되어 전체적으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흐르는 원수의 흐름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는 아래에서부터 위로 원수가 차오르는 형태의 유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의 하단은 하우징(13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외벽면(122)을 타고 흘러내린 원수가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의 유로 구조로 차오르도록 형성된다.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는 상기 유로 구조에 차오르는 원수로부터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결정생성촉매(121)의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 제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결정생성촉매(121)가 존재하는 공간에 물이 차오르면서 여과가 이루어져야 한다. 결정생성촉매(121)가 존재하는 공간이란 원수가 통과하는 유로 구조를 가리키며, 도 1에서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의 내벽면(123)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물이 차오르는 유동을 상향유동(up-flow)라고 한다.
촉매란 화학반응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을 가리키며, 촉매는 반응 후에 생성물에 혼합되지 않고 원래대로 남게 된다. 본 발명의 결정생성촉매(121)도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의 결정 생성을 촉진하나, 반응 후에 생성물에 혼합되지 않고 원래대로 남게 된다. 결정 생성 촉진에 의해 생성된 결정이 결정생성촉매(121)로부터 분리되어야, 결정생성촉매(121)가 다른 반응에 관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결정생성촉매(121)의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 제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결정생성촉매(121)로부터 신속히 결정을 분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가 아래에서부터 위로 원수가 차오르는 형태의 유로 구조를 가지면, 상기 유로 구조에 차오르는 원수가 결정생성촉매(121)에 부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 부력에 의해 결정생성촉매(121)의 유동은 활발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결정생성촉매(121)로부터 결정이 분리될 수 있다.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가 아래에서부터 위로 원수가 차오르는 형태의 유로 구조를 가지면,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고도 원수에 의해 제공되는 부력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결정생성촉매(121)로부터 결정이 분리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만약 본 발명과 달리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가 위에서 아래로 원수가 떨어지는 형태의 유로 구조를 갖는다면, 별도의 외력을 가해야만 결정생성촉매(121)로부터 결정을 분리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유동을 상기 상향유동과 구분하여 하향유동(down-flow)이라 한다.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의 내벽면(123)은 다수의 결정생성촉매(121)를 감싼다. 다수의 결정생성촉매(121)는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의 내벽면(123)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충전된다. 내벽면(123)에는 나선형의 돌출부(124)가 형성된다.
복합 필터(100)는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뿐만 아니라 프리 필터부(110)를 포함하며, 도 5 내지 도 8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여러 추가적인 필터와 직렬로 연결되어 여과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여과 시스템의 성능은 상기 여과 시스템을 형성하는 개개의 필터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개개의 필터의 성능은 원수의 유량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여과 시스템의 성능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개의 필터를 통과하는 원수의 유량을 적정 범위로 유지해야 한다.
일반적인 필터는 유량이 증가할수록 여과 성능도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프리 필터부(110)에 사용될 수 있는 각종 필터들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결정생성촉매(121)는 일반적인 필터와 달리 유량이 증가할수록 여과 성능이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것은 결정생성촉매(121)가 원수의 활발한 유동에 영향을 받아 결정과 분리되어야만 다시 결정 생성을 촉진하는 반응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과 시스템의 성능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1) 첫 번째는 각 필터별로 유량이 달리 설정되도록 여과 시스템을 구성하여 개개의 필터마다 적정 유량을 공급하는 방안이다. 이 방안은 개개의 필터마다 최상의 여과 성능을 발휘하게 할 수 있으므로, 여과 시스템의 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각 필터별로 유량을 달리 설정하기 위해서는 필터와 필터 사이에 유량을 조절하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 이것은 공간 활용 및 위생 등을 이유로 여과 시스템이 소형화 및 단순화되는 경향에 맞지 않는다.
(2) 두 번째는 여과 시스템의 유량을 어느 일부에 필터에 적합한 유량의 범위로 설정하되, 다른 필터도 상기 설정된 유량의 범위 내에서 충분한 여과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보완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안은 첫 번째 방법에 비해 여과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떨어질 수 있으나, 필터와 필터 사이에 유량을 조절하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여과 시스템의 소형화 및 단순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여과 시스템의 소형화 및 단순화 경향에 따라 두 번째 방안을 채택하였다. 복합 필터(100)는 결정생성촉매(121)뿐만 아니라 프리 필터부(110)도 포함하고 나아가 복합 필터(100)는 다른 필터들과 결합되어 여과 시스템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만약 상기 프리 필터부(110)와 상기 다른 필터들의 성능을 상기 결정생성촉매(121)의 적정 유량에 맞춰 보완해야 한다면, 결정생성촉매(121)를 제외한 프리 필터부(110)와 다른 필터들 각각에 대하여 보완 구조를 고려해야 하므로 과제의 해결이 복잡해진다.
반대로 결정생성촉매(121)를 프리 필터부(110)와 다른 필터들의 적정 유량에 맞춰 보완한다면, 결정생성촉매(121)의 보완만으로 여과 시스템 전체의 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과제의 해결이 더욱 단순해진다. 단순한 방법으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프리 필터부(110)의 적정 유량 범위에서 결정생성촉매(121)의 여과 성능을 보완하는 방안으로, 내벽면(123)에 형성되는 돌출부(124)를 채택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정생성촉매(121)는 유량이 증가할수록 여과 성능이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갖는다. 따라서, 결정생성촉매(121)만을 고려한다면 여과 성능의 향상이 포화될 때까지 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반적이 필터는 유량이 증가할수록 여과 성능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가지며, 결정생성촉매(121)의 최적 유량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유량 범위에서 높은 여과 성능을 갖는다.
내벽면(123)에 형성되는 돌출부(124)는 상대적으로 작은 범위의 유량에서 결정생성촉매(121)의 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돌출부(124)는 원수의 입자와 충돌하여 원수의 흐름에 난류를 일으킨다. 복합 필터(100)를 통과하는 유량은 비록 결정생성촉매(121)의 최적 유량보다 작을지라도, 난류에 의해 결정생성촉매(121)로부터 결정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결정과 분리된 결정생성촉매(121)는 다른 반응에 다시 참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내벽면(123)에 형성되는 돌출부(124)는 난류의 형성을 통해 상대적으로 작은 유량 범위에서도 결정생성촉매(121)의 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합 필터(100)는 프리 필터부(110)와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하우징(130)을 포함한다. 하우징(130)에는 입수부(131)와 출수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입수부(131)는 프리 필터부(110)의 외주면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출수부(132)는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를 통과한 물을 복합 필터(10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프리 필터부(110)가 하우징(13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남은 공간에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의 결정생성촉매(121)가 투입될 수 있다.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는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결정생성촉매(121)가 집합되어 형성되는 것이므로, 하우징(130)의 남은 공간에 투입되면 프리 필터부(110)와 단일 필터를 형성할 수 있고, 복합 필터(10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복합 필터(100)는 입수 부직포 필터(141)와 출수 부직포 필터(142)를 포함한다. 입수 부직포 필터(141)는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의 하단 입구에 배치된다. 출수 부직포 필터(142)는 결정생성촉매 필터부(120)의 상단 출구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결정생성촉매(121)가 원수로부터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을 제거하는 매커니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결정생성촉매(121)의 개념도다.
결정생성촉매(121)는 담체(121a)(catalyst support, carrier, 또는 supporting material)와 결정 시드(121c)를 포함한다.
담체(121a)는 음전하를 띄는 고분자로 이루어진다. 칼슘 양이온, 마그네슘 양이온과 같은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은 양전하를 띈다. 따라서 담체(121a)가 음전하를 띄는 고분자로 이루어진다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담체(121a)가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을 끌어당길 수 있다. 음전하는 띄는 고분자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를 포함한다.
담체(121a)의 표면에는 여러 결정화 사이트(121b)가 형성된다. 결정화 사이트(121b)는 경동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의 결정화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가리킨다. 결정화 사이트(121b)에는 결정 시드(121c)가 존재한다.
결정 시드(121c)는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을 결정으로 만드는 무기 소재다. 결정 시드(121c)는 칼슘과 마그네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결정 시드(121c)는 탄산칼슘(칼슘 카보네이트, CaCO3) 결정과 탄산마그네슘(마그네슘 카보네이트, MgCO3) 결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칼슘 양이온이나 마그네슘 양이온과 같이 원수에 존재하는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은 결정생성촉매(121)에 접근하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담체(121a)의 결정화 사이트(121b)에 모인다. 결정화 사이트(121b)에는 결정 시드(121c)가 존재하며, 결정 시드(121c)에 의해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은 결정화된다.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의 결정화 반응식은 화학식 1과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MEDIA는 결정생성촉매(121)를 가리킨다.
[화학식 1]
Ca2 + + HCO3 - + MEDIA -> CaCO3(결정) + CO2 + H2O + MEDIA
[화학식 2]
Mg2+ + HCO3 - + MEDIA -> MgCO3(결정)+ CO2 + H2O + MEDIA
결정생성촉매(121)는 화학식 1과 같이 원수에 존재하는 칼슘 양이온(Ca2 +)과 중탄산 음이온(HCO3 -)의 반응을 촉진한다. 또한 결정생성촉매(121)는 화학식 2와 같이 원수에 존재하는 마그네슘 양이온(Mg2 +)과 중탄산 음이온(HCO3 -)의 반응을 촉진한다. 결정생성촉매(121)는 화학식 1 반응과 화학식 2 반응의 촉진을 통해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을 결정화에 기여한다.
원수의 활발한 유동에 의해 결정은 결정화 사이트(121b)에서 분리될 수 있다. 결정생성촉매(121)로부터 분리된 결정은 도 1에서 설명하였던 출수 부직포 필터(142)에 의해 기계적으로 여과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복합 필터(200)의 단면도다.
하우징(230)은 입수부(231)와 출수부(232)를 갖는다. 입수부(231)는 복합 필터(200)로 물이 들어오는 유로에 해당하고, 출수부(232)는 복합 필터(200)에서 물이 나가는 유로에 해당한다.
원통형의 입수 유로(250)는 하우징(230)의 중앙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입수 유로(250)는 입수부(231)를 통해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흐르는 원수를 공급받는다. 입수부(231)에서 입수 유로(250)로 공급된 원수는 입수 유로(250)를 따라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흐른다.
입수 유로(250)의 하단은 하우징(23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의 하단도 하우징(23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것은 입수 유로(250)를 통과한 원수가 입수 부직포 필터(241)를 거쳐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입수 유로(250)를 통해 흘러내린 원수는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의 유로 구조로 차오르도록 이루어진다.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는 입수 유로(250)와 프리 필터부(210)를 수용하는 중공부를 구비한다. 입수 유로(250)와 프리 필터부(210)는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의 중공부에 삽입된다.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는 프리 필터부(210)와 하우징(230)의 사이에 배치된다.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는 하우징(230)의 내주면에 의해 감싸시도록 배치된다.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는 아래에서부터 위로 원수가 차오르는 형태의 유로 구조를 갖는다. 입수 부직포 필터(241)는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의 입구에 설치되며, 입수 부직포 필터(241)를 통과하여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로 유입된 원수는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의 유로 구조를 따라 아래에서 위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여과된다. 원수는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 방향으로 유동하는 과정 동안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에 의해 여과된다.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는 하우징(230)의 내주면을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224)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224)는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에 원수가 차오르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돌출부(224)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였던 돌출부(22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한다. 다만, 프리 필터부(210)와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의 구조가 달라짐에 따라 돌출부(224)의 구조에 그에 맞게 변형된 것이다.
프리 필터부(210)는 입수 유로(250)를 수용하는 중공부를 구비한다. 입수 유로(250)는 프리 필터부(210)의 중공부에 삽입된다. 프리 필터부(210)는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에 의해 감싸이도록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의 중공부에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230)의 중앙에 입수 유로(250)가 배치되고, 프리 필터부(210)는 입수 유로(250)를 감싸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는 프리 필터부(210)를 감싸고, 하우징(230)은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를 감싼다.
프리 필터부(210)에서 원수에 존재하는 입자성 물질, 유기물질 및 잔류염소 중 적어도 일부의 여과가 이루어지는 것,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에서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의 결정화가 이루어지는 것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으로 갈음한다.
입수 유로(250)의 둘레에는 출수 부직포 필터(242)가 설치된다. 복합 필터(200)는 원수가 출수 부직포 필터(242)를 통해서만 출수부(232)로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결정생성촉매와 이온교환수지의 여과성능 및 수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결정생성촉매와 종래의 이온교환수지를 실험적으로 비교한 그래프다.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간(분)이고, 세로축은 경도 저하율(water hardness reduction, %)을 가리킨다. 경도 저하율은 곧 원수로부터 경도성 물질과 스케일 유발 물질을 제거하는 여과 성능을 의미한다.
먼저 이온교환수지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이온교환수지는 초기부터 급격한 높은 여과 성능을 보인다. 이온교환수지에 노출된 원수의 경도는 짧은 시간 내에 낮아지기 때문에, 이온교환수지는 매우 빠른 반응 속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온교환수지의 경도 저하율은 거의 100%에 육박하기 때문에, 이온교환수지가 매우 우수한 여과 성능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이온교환수지의 수명은 작동시간이 약 200분에 이르기 전에 끝난다. 따라서 이온교환수지를 계속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재생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에 반해 결정생성촉매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결정생성촉매는 여과 성능은 이온교환수지에 비해 느리게 증가한다. 이것은 결정생성촉매가 이온교환수지에 비해 느린 반응 속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결정생성촉매의 여과 성능은 이온교환수지와 달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계속에서 완만하게 증가한다. 이것은 결정생성촉매의 수명이 이온교환수지에 비해 매우 길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온교환수지와 달리 빈번한 재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정생성촉매가 이온교환수지에 비해 월등히 긴 수명을 갖는 것은 매커니즘의 차이로부터 비롯된다. 이온교환수지가 이온 간의 교환을 통해 원수로부터 경도성 물질이나 스케일 유발 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교환 가능한 이온의 수는 감소한다. 이에 반해 결정생성촉매는 생성된 결정이 결정생성촉매로부터 분리되고 나면, 다시 결정을 생성하는 다른 반응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원수를 여과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필터는 이온교환수지에 비하여 느린 반응 속도를 가지기는 하나, 빈번한 재생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매우 긴 수명을 갖고, 재생으로 인한 물 낭비나 환경 오염, 재생 효율의 감소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복합 필터(100 또는 200)를 다른 필터와 직렬로 연결하여 여과 시스템을 구성한 여러 변형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합 필터(100 또는 200)가 단일의 필터로 이루어진다면, 여과 시스템은 여러 개의 필터들의 집합으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 필터(100 또는 200)와 기타 필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2단의 여과 시스템을 구성한 개념도다.
여과 시스템은 두 필터를 2단으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상류측에는 본 발명의 복합 필터(100 또는 200)가 배치되고, 하류측에는 UF필터(300)(Ultrafiltration)가 배치된다. UF필터(300)는 압력차를 추진력으로 물을 여과하며, 기공과 용질의 크기 차이에 의해 물로부터 특정 물질을 분리한다. 복합 필터(100 또는 200)와 UF필터(300)는 직렬로 연결된다.
복합 필터(100 또는 200)의 프리 필터부(210)에서는 입자성 물질, 유기물질 및 잔류염소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된다. 복합 필터(100 또는 200)의 결정생성촉매 필터부(220)에서는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이 제거된다. UF필터(300)는 복합 필터(100 또는 200)에서 여과된 물로부터 탁질, 콜로이드, 단백질, 미생물학적 오염균과 거대 유기분자를 제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 필터(100 또는 200)와 기타 필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2단의 여과 시스템을 구성한 다른 개념도다.
여과 시스템은 두 개의 필터를 2단으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상류측에는 본 발명의 복합 필터(100 또는 200)가 배치되고, 하류측에서는 UF필터부(300)와 포스트 카본 블럭 필터부(400)를 갖는 복합 필터(300, 400)가 배치된다. 상류측의 복합 필터(100 또는 200)와 하류측의 복합 필터(300, 400)를 서로 구분하기 위해, 상류측의 복합 필터(100 또는 200)를 제1 복합 필터(100 또는 200)로 명명하고 하류측의 복합 필터(300, 400)를 제2 복합 필터(300, 400)로 명명할 수 있다.
제2 복합 필터(300, 400)는 UF필터부(300)와 포스트 카본 블럭 필터부(400)를 하나의 하우징(미도시) 내에 구비한다. 제2 복합 필터(300, 400)의 포스트 카본 블럭 필터부(400)는 여과 시스템에서 번식할 수 있는 박테리아 등을 마지막으로 한번 더 걸러준다. 나머지 필터 또는 필터부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것으로 갈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 필터(100 또는 200)와 기타 필터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3단의 여과 시스템을 구성한 개념도다.
여과 시스템은 세 개의 필터를 3단으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상류측에는 본 발명의 복합 필터(100 또는 200)가 배치되고, 중류측에는 UF필터(300)가 배치되며, 하류측에는 카본 블럭 필터(400)가 배치된다. 복합 필터(100 또는 200), UF필터(300) 및 카본 블럭 필터(400)는 직렬로 연결된다.
도 6에서 설명하였던 제2 복합 필터(100 또는 200)가 하나의 하우징(미도시) 내에 UF필터부(300)와 포스트 카본 블럭 필터부(400)를 갖는 것과 달리, 도 7의 여과 시스템은 UF필터(300)와 카본 블럭 필터(400)를 각각 다른 하우징(미도시) 내에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복합 필터(100 또는 200)와 기타 필터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3단의 여과 시스템을 구성한 다른 개념도다.
상류측에는 카본 블럭 필터, 중류측에는 UF 필터가 배치되며, 하류측에는 복합 필터(100 또는 200)가 배치된다. 도 8의 여과 시스템은 도 7의 여과 시스템과 필터의 배치 순서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여과 시스템을 형성하는 필터들의 순서는 필요에 따라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복합 필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원수에 존재하는 입자성 물질, 유기물질 및 잔류염소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며, 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경향의 여과 성능을 갖고, 제1 유량 범위에서 여과 성능의 최대값을 갖는 프리 필터부; 및
    상기 프리 필터부의 상류측과 하류측 중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고, 아래에서부터 위로 원수가 차오르는 형태의 유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유로 구조에 차오르는 원수로부터 경도성 물질 또는 스케일 유발 물질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며, 유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의 여과 성능을 갖고, 상기 제1 유량 범위보다 큰 수치의 제2 유량 범위에서 여과 성능의 최대값을 갖는 결정생성촉매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는 다수의 결정생성촉매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생성촉매는,
    음전하를 띄는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담체; 및
    상기 담체의 결정화 사이트에 존재하며, 칼슘과 마그네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원수에 존재하는 칼슘 양이온과 중탄산 음이온의 반응을 촉진하거나 상기 원수에 존재하는 마그네슘 양이온과 중탄산 음이온의 반응을 촉진하여 상기 경도성 물질 또는 상기 스케일 유발 물질을 결정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결정 시드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는 상기 결정생성촉매를 감싸는 내벽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벽면에는 상기 결정생성촉매와의 충돌을 통해 상기 결정생성촉매에 의해 생성된 결정을 상기 결정생성촉매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나선형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프리 필터부와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의 유량은 상기 제1 유량 범위 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필터는 상기 프리 필터부와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 필터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남은 공간에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의 결정생성촉매가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필터는 상기 프리 필터부의 외주면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입수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 필터부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을 향해 유동하는 원수를 여과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는 상기 프리 필터부에 의해 감싸이도록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프리 필터부를 마주보는 외벽면을 구비하여 상기 프리 필터부를 통과한 원수가 상기 외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의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외벽면을 타고 흘러내린 원수가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의 유로 구조로 차오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필터는,
    입수부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입수부를 통해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흐르는 원수를 공급받는 원통형의 입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는 상기 입수 유로와 상기 프리 필터부를 수용하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의해 감싸이도록 배치되며,
    상기 프리 필터부는 상기 입수 유로를 수용하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에 의해 감싸이도록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의 중공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의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입수 유로를 통해 흘러내린 원수가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의 유로 구조로 차오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결정생성촉매 필터부에 원수가 차오르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터.
KR1020150127832A 2015-09-09 2015-09-09 복합 필터 KR101798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832A KR101798047B1 (ko) 2015-09-09 2015-09-09 복합 필터
PCT/KR2016/009726 WO2017043803A1 (ko) 2015-09-09 2016-08-31 복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832A KR101798047B1 (ko) 2015-09-09 2015-09-09 복합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350A KR20170030350A (ko) 2017-03-17
KR101798047B1 true KR101798047B1 (ko) 2017-11-15

Family

ID=5824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832A KR101798047B1 (ko) 2015-09-09 2015-09-09 복합 필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8047B1 (ko)
WO (1) WO20170438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911B1 (ko) * 2017-06-19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도저감필터
CN115557616A (zh) * 2022-09-22 2023-01-03 西安石油大佳润实业有限公司 循环水脱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4653A (ja) * 2009-04-21 2012-10-18 イーコラブ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触媒系水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477600B1 (ko) * 2013-10-24 2014-12-30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격벽이 구비된 필터체를 포함하는 필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769Y1 (ko) * 2000-11-10 2001-04-02 권진철 정수필터
KR101206645B1 (ko) * 2010-12-10 2012-11-2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외부밸브 승강식 오토 셧오프밸브가 구비된 필터 조립체
KR101433450B1 (ko) * 2012-05-29 2014-08-28 박병권 와류 유도형 정수부재를 채용한 정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4653A (ja) * 2009-04-21 2012-10-18 イーコラブ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触媒系水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477600B1 (ko) * 2013-10-24 2014-12-30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격벽이 구비된 필터체를 포함하는 필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350A (ko) 2017-03-17
WO2017043803A1 (ko)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615B1 (ko) 복합 필터
CN101830536B (zh) 排水的吸附装置
US9422170B2 (en) Method for producing potable water and/or purifying water including the elimination of a target compound and filtration within a filter drum
KR101798047B1 (ko) 복합 필터
JP2001038107A (ja) ろ過装置
US10836664B2 (en) Hardness reduction filter
CN203635081U (zh) 一种间歇螺旋错流膜过滤装置
JP6190473B2 (ja) クーラント再生装置及びクーラント再生方法
CN103052597B (zh) 包括重力给料过滤器的水净化装置
US201300374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Impurities from Liquid by Upflow Granular Media Filters
US20160158672A1 (en) Biofilm filtration device and backwash method for biofilm filtration device
US20130146548A1 (en) Immersed screen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298691B1 (ko) 수족관 정수장치
CN103638818B (zh) 一种间歇螺旋错流膜过滤装置及方法
KR101075955B1 (ko) 흡착분리를 이용하여 방류수 중의 총인을 제거하는 장치
JP4676267B2 (ja) 水槽設備
KR102423918B1 (ko) 액상 버티컬 스크린 필터 및 액상 스크린 필터장치
WO2020116644A1 (ja) 濾過装置および濾材流出抑制ユニット
CN1883743A (zh) 潜流-平流交替式净水装置
KR200159128Y1 (ko) 고도처리용 상향류 복합층 여과장치
JP2005000736A (ja) 濾過装置及び活性炭吸着装置
KR20190123462A (ko) 무 필터방식의 정수장치
RU86489U1 (ru) Моду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KR20090042004A (ko) 수처리용 고액분리장치
JPH0824507A (ja) 油水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