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024B1 -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024B1
KR101798024B1 KR1020170082677A KR20170082677A KR101798024B1 KR 101798024 B1 KR101798024 B1 KR 101798024B1 KR 1020170082677 A KR1020170082677 A KR 1020170082677A KR 20170082677 A KR20170082677 A KR 20170082677A KR 101798024 B1 KR101798024 B1 KR 101798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comparative example
organ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홍원기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2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024B1/ko
Priority to US16/626,784 priority patent/US20200113798A1/en
Priority to PCT/KR2018/005706 priority patent/WO20190045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6Triazin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5Amino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엘라스토머, 오일 및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함에 따라, 제형이 투명하며, 백탁현상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TRANSPARENT COSMETIC COMPOSITION HAVING ULTRAVIOLET PROTECTION FUNCTIONS}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은 280 ~ 400 나노미터 파장 범위의 태양광선으로서, 적정량의 자외선은 피부의 살균작용, 염증완화, 비타민 D 합성 등의 작용을 하나, 과량의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에는 홍반 형성, 멜라닌 생성촉진을 통한 기미, 주근깨, 잡티 등의 발생, 주름 증가, 피부 처짐 및 이완 등의 피부 노화가 촉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피부를 보호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는 티타늄 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등과 같은 무기물질을 이용하여 자외선을 산란 및 반사시킴으로써 자외선의 피부 침투를 방지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옥토크릴렌 등과 같은 유기물질을 이용하여 화학적인 흡수작용에 의해 자외선의 피부 침투를 방지하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한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4086호에서는 계면활성제 및 염류가 혼합된 수상층 및 자외선 차단제로서 티타늄 디옥사이드, 옥토크릴렌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층으로 구성된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가지는 다층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12188호에서는 2-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면서 자외선 차단제로 옥토크릴렌,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티타늄 디옥사이드와 징크 옥사이드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은 하얀색의 알갱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에 포함될 경우 화장료의 투명도를 저하시킬 뿐 아니라 백탁현상을 발생시켜 사용감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옥토크릴렌은 피부에 자극을 주어 알레르기를 유발할 뿐 아니라 여드름, 염증, 홍조 등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투명한 제형을 가지면서도 백탁현상이 거의 없을 뿐 아니라 저자극성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등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만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 용도의 크림, 로션, 스프레이 및 젤 타입 화장료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과량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사용됨에 따라, 번들거림이 심하거나 진득한 느낌을 주는 등 사용감이 저하될 뿐 아니라 피부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백탁현상이 개선되지 않았으며, 여전히 제형이 불투명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여전히 제형이 투명하면서도 백탁현상을 일으키지 않고, 동시에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여러 개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멀티화장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어, 자외선 차단 기능 뿐 아니라 피부의 모공과 요철을 메우는 커버력 및 피부에 대한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로서의 기능을 함께 할 수 있는 화장료에 대한 개발 또한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408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12188호
2014 John Wiley & Sons A/S. Published by John Wiley & Sons Ltd Contact Dermatitis, 70, 193-204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한 제형을 가지며, 백탁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투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엘라스토머, 오일,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투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엘라스토머 35 ~ 70 중량%, 상기 오일 1 ~ 30 중량% 및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5 ~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는 (A)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 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Bis-isobutyl PPG-20 crosspolymer) 및 (B)피이지-12 디메치콘/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PEG-12 Dimethicone/PPG-20 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soamyl p-Methoxycinnamate),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및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상기 투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 ~ 20 중량%,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3 ~ 20 중량%, 호모살레이트 0.1 ~ 20 중량%, 폴리실리콘-15 0.1 ~ 20 중량%,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0.1 ~ 20 중량%, 에칠헥실트리아존 0.1 ~ 10 중량%,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0.1 ~ 10 중량%,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0.1 ~ 10 중량%,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0.1 ~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Butyloctyl Salicylate), 디부틸아디페이트(Dibutyl Adipate),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카프릴릴메치콘(Caprylyl Methicone), 이소도데칸(Isododecane), 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C15-19 알케인(C15-19 alkane) 및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방부제, 미백제, 항산화제, 피부컨티셔닝제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한 제형을 가지며, 백탁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soamyl p-Methoxycinnamate),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및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만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투명한 제형을 가지며, 백탁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을 뿐 아니라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요철과 모공을 가려주는 커버력 및 피부 부착력이 우수함에 따라, 자외선 차단제로서의 기능과 동시에 프라이머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3(왼쪽) 및 4(오른쪽)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 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비교예 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비교예 3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비교예 4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비교예 5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비교예 6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비교예 7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비교예 9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비교예 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비교예 1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비교예 1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비교예 13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비교예 14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비교예 15(왼쪽), 16, 17, 18(오른쪽)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 화장료 조성물”로 간략하게 호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가지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엘라스토머, 오일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포함함에 따라, 투명한 제형을 가지며, 백탁현상이 없으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엘라스토머 35 ~ 70 중량%, 오일 1 ~ 30 중량%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5 ~ 40 중량%를 포함함에 따라 투명한 제형을 가지면서도 백탁현상이 없고,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프라이머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매끄럽고 산뜻한 사용감을 가지면서도 뭉침 현상이 적어 메이크업 및 덧바름이 용이할 수 있고, 화장 지속력이 우수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Elastomer)는 고분자의 한 종류로서, 본 실시예의 엘라스토머에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이 안정하게 분산되어 용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엘라스토머로 유기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A)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 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Bis-isobutyl PPG-20 crosspolymer) 및 (B)피이지-12 디메치콘/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PEG-12 Dimethicone/PPG-20 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된 바와 같이 (A) 및 (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엘라스토머는 상용성과 안정성이 우수하여 상기 엘라스토머 내에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이 충분히 분산 내지 용해되어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이 알갱이로 석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투명하면서도 백탁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차단 기능 및 프라이머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투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엘라스토머를 35 ~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38 ~ 6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6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투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엘라스토머를 3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화장료의 투명도가 저하될 뿐 아니라, 제형이 안정하지 못하여 층분리가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자외선 차단 기능 및 프라이머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투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엘라스토머를 7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이 석출되고, 사용감, 투명도 및 자외선 차단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soamyl p-Methoxycinnamate),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및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상기 투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 ~ 20 중량%,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3 ~ 20 중량%, 호모살레이트 0.1 ~ 20 중량%, 폴리실리콘-15 0.1 ~ 20 중량%,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0.1 ~ 20 중량%, 에칠헥실트리아존 0.1 ~ 10 중량%,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0.1 ~ 10 중량%,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0.1 ~ 10 중량%,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0.1 ~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된 바와 같은 비율로 혼합된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포함함에 따라, 고체 상태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성분들도 용해되어 투명하며, 백탁현상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폴리실리콘-15,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에칠헥실트리아존은 UVB를 차단하는 것이며,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및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는 UVA를 차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서 에칠헥실트리아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및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는 고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투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5 ~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7 ~ 3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투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하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4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이 알갱이 형태로 석출되거나 투명도가 저하될 뿐 아니라 번들거리거나 끈적이는 등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중 액체 성분에 해당하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폴리실리콘-15,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의 총 합(중량%)과 고체 성분에 해당하는 에칠헥실트리아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및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의 총 합(중량%)의 혼합 중량비가 3.5 ~ 5 : 1 일때, 상기 고체 상태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들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들이 석출되지 않으면서도 투명도가 더욱 향상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내에서 상기 액체 성분 및 고체 성분의 혼합 중량비가 4 : 1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고, 상기 고체 상태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에 비해 상기 액체 상태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이 낮아질 경우에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이 석출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고체 상태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에 비해 상기 액체 상태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이 높아질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불투명해지거나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오일은 본 실시예의 엘라스토머와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의 혼용을 도와 본 실시예의 투명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를 향상시키고,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일로,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Butyloctyl Salicylate), 디부틸아디페이트(Dibutyl Adipate),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카프릴릴메치콘(Caprylyl Methicone), 이소도데칸(Isododecane), 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C15-19 알케인(C15-19 alkane) 및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투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1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17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투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엘라스토머와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이 충분히 혼용되지 못해 투명도가 저하되거나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이 석출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3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유분이 과다하여 사용감, 커버력 및 부착력이 저하될 뿐 아니라 제형이 안정하지 못하고 층분리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에의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된 엘라스토머,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오일 이외에, 미백, 항산화, 주름개선, 보습 등의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첨가제, 피부컨디셔닝제, 방부제, 계면활성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파우더(분말) 타입, 액상 타입, 캡슐 타입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방부제로는 페녹시에탄올, 에칠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는 공지된 모든 방부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미백 성분으로는 감초 추출물, 비사보롤(Bisabolol)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는 공지된 모든 미백 성분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항산화 성분 및 피부컨디셔닝제로는 비타민 B5,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는 공지된 모든 항산화 성분 및 피부컨디셔닝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Cetyl PEG/PPG-10/1 Dimethicone),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는 공지된 모든 계면활성제 성분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가지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6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비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하기 표 1에서 엘라스토머(A)는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 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이며, 엘라스토머(B)는 피이지-12 디메치콘/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이다.
실시예(중량%) 1 2 3 4 5 6
엘라스토머(A) - 55.0 25.0 30.0 - -
엘라스토머(B) 55.0 - 30.0 25.0 55.0 55.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0 5.0 5.0 5.0 5.0 7.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5.0 5.0 5.0 5.0 5.0 5.0
호모살레이트 7.0 7.0 7.0 7.0 6.5 7.0
폴리실리콘-15 4.0 4.0 4.0 4.0 4.0 4.0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3.0 3.0 3.0 3.0 3.0 2.0
에칠헥실트리아존 1.5 1.5 1.5 1.5 1.0 1.5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1.0 1.0 1.0 1.0 3.0 -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2.5 2.5 2.5 2.5 1.5 2.0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1.0 1.0 1.0 1.0 1.0 1.5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12.0 12.0 12.0 12.0 12.0 12.0
비사보롤 1.0 1.0 1.0 1.0 1.0 1.0
에칠헥실글리세린 1.0 1.0 1.0 1.0 1.0 1.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1.0 1.0 1.0 1.0 1.0 1.0
총합 100
비교예
비교예 1 내지 4
실시예 1과 동일하되, 하기 표 2의 조성비에 따라 제조하였다.
비교예 ( 중량% ) 1 2 3 4
엘라스토머(B) 55.0 55.0 55.0 55.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0 5.0 5.0 5.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5.0 5.0 5.0 5.0
호모살레이트 7.0 7.0 7.0 7.0
폴리실리콘-15 4.0 4.0 4.0 4.0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3.0 3.0 3.0 3.0
에칠헥실트리아존 1.5 1.5 1.5 1.5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1.0 1.0 1.0 1.0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2.5 2.5 2.5 2.5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1.0 1.0 1.0 1.0
옥토크릴렌 4.0 1.0 - 1.0
티타늄 디옥사이드 - - 2.0 1.0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10.0 12.0 11.0 11.0
비사보롤 0.5 0.5 0.5 0.5
에칠헥실글리세린 - 1.0 1.0 1.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5 0.5 0.5 0.5
총합 100
비교예 5 내지 8
실시예 1과 동일하되, 하기 표 3의 조성비에 따라 제조하였다.
비교예 ( 중량% ) 5 6 7 8
엘라스토머(B) 55.0 55.0 55.0 55.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6.0 6.5 7.0 7.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5.0 5.0 5.0 5.0
호모살레이트 6.0 7.0 7.0 7.0
폴리실리콘-15 - 2.0 2.0 2.5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2.0 2.0 5.0 5.0
에칠헥실트리아존 2.0 2.0 - 1.0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3.0 2.5 1.5 -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3.0 - 1.5 1.5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3.0 3.0 1.0 1.0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12.0 12.0 12.0 12.0
비사보롤 1.0 1.0 1.0 1.0
에칠헥실글리세린 1.0 1.0 1.0 1.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1.0 1.0 1.0 1.0
총합 100
비교예 9 내지 14
실시예 1과 동일하되, 하기 표 4의 조성비에 따라 제조하였다.
비교예 ( 중량% ) 9 10 11 12 13 14
엘라스토머(B) 30.0 75.0 60.0 40.0 55.0 40.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0 3.0 0.5 4.0 5.0 3.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5.0 3.0 - 5.5 5.0 5.0
호모살레이트 7.0 1.0 0.1 7.0 7.0 5.0
폴리실리콘-15 4.0 1.0 0.5 4.0 4.0 4.0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3.0 1.5 0.3 1.5 3.0 2.0
에칠헥실트리아존 1.5 0.5 2.0 11.0 1.5 1.5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1.0 1.0 - 5.0 1.0 1.0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2.5 0.5 0.1 11.0 2.5 2.5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1.0 1.0 - 1.0 1.0 1.0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25.0 12.5 25.0 10.0 - 35.0
비사보롤 5.0 - 4.0 - 5.0 -
에칠헥실글리세린 5.0 - 5.0 - 5.0 -
토코페릴아세테이트 5.0 - 2.5 - 5.0 -
총합 100
비교예 15 내지 18
하기 표 5에 개시된 엘라스토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엘라스토머 종류
비교예15 세테아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Cetearyl Dimethicone Crosspolymer)
비교예16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비교예17 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
(Dimethicone/PEG-10/15 Crosspolymer)
비교예18 피이지/피피지-20/15디메치콘
(PEG/PPG-20/15 Dimethicone)
실험예
실험예 1 : 투명도 평가
(1) 투명도 육안 평가 A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이의 투명도를 육안으로 평가(시력 1.0 ~ 1.2인 성인 50 명 대상)하고, 이의 평균값을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6에서 투명도 점수가 10 점에 가까울수록 투명도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투명도 투명도
실시예1 9.8 비교예7 2.5
실시예2 9.0 비교예8 2.2
실시예3 9.3 비교예9 3.5
실시예4 9.2 비교예10 -
실시예5 9.4 비교예11 6.5
실시예6 9.4 비교예12 -
비교예1 0 비교예13 -
비교예2 0 비교예14 3.0
비교예3 0 비교예15 0.1
비교예4 0 비교예16 0.1
비교예5 - 비교예17 0.3
비교예6 - 비교예18 0.5
상기 표 6을 보면, 실시예 1 내지 6의 투명도가 비교예에 비해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비교를 통해, 옥토크릴렌과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투명도가 현저히 저하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실험(1)에서 비교예 5, 6, 10, 12 및 13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성분이 알갱이로 석출됨에 따라, 투명도 시험이 불가하였다.
(2) 투명도 육안 평가 B(사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뒤, 이의 모습을 도 1 내지 17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실시예 1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실시예 2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실시예 3 및 4를 나타낸 것으로,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매우 투명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은 붉은 레이저를 조사할 경우 레이저가 화장료 조성물을 통과하여 벽면에 비출 만큼 매우 투명하며, 실시예 3 및 4는 화장료 조성물 뒷편의 글씨가 육안으로 정확하게 확인 될 만큼 투명한 바, 본 발명에 따르면 매우 투명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의 형성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도 4는 비교예 1을 나타낸 것으로 진한 노란빛을 띄며 매우 불투명함을 확인할 수 있고, 도 5는 비교예 2를 나타낸 것으로 옥토크릴렌이 소량 첨가되어도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를 저하시킬 뿐 아니라 노란빛을 띄게함을 알 수 있다.
도 6은 비교예 3을 나타낸 것으로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포함할 경우 제형이 불투명해질 뿐 아니라 뻑뻑해지며 부스러지는 제형을 가짐을 알 수 있고, 도 7은 비교예 4를 나타낸 것으로 비교예 1 및 비교예 3에 비해 적은 양의 옥토크릴렌과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제형이 불투명하며 뻑뻑함을 알 수 있다.
도 8은 비교예 5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비교예 6을 나타낸 것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내에서 액체 상태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성분 및 고체 상태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성분의 혼합 중량비가 1.7 : 1인 비교예 5 및 3 : 1인 비교예 6에서 모두 알갱이가 석출됨을 확인하였다.
도 10은 비교예 7을 나타낸 것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내에서 액체 상태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성분 및 고체 상태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성분의 혼합 중량비가 6.5 : 1인 비교예 7의 경우 전체적으로 점도 형성이 충분하지 않을 뿐 아니라 화장료가 전체적으로 불투명해짐을 확인하였다.
상기 도 8 내지 10을 통해,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내에서 액체 상태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성분 및 고체 상태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성분의 혼합 중량비가 3.5 ~ 5 : 1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화장료의 투명도가 저하되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성분들이 알갱이로 석출될 뿐 아니라 제형이 안정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비교예 9를 나타낸 것으로, 엘라스토머가 소량인 경우에는 각 성분들이 충분히 상용(혼합)되지 못하여 점도가 충분하지 않고, 층분리되어 바닥면에 엘라스토머가 가라앉음을 확인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비교예 10을 나타낸 것으로, 엘라스토머가 과량이면서 상대적으로 오일이 소량인 경우에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이 미세한 알갱이로 석출되어 투명도를 저하시키며, 엘라스토머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일의 함량이 적어 제형의 유연성이 저하됨에 따라 화장료가 부스러지는 제형으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 및 14는 비교예 12를 나타낸 것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이 과량 첨가될 경우에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알갱이로 석출됨과 동시에 화장료가 전체적으로 뿌옇게 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는 비교예 13을 나타낸 것으로, 오일이 첨가되지 않을 경우 미세 알갱이들이 형성되며, 화장료 조성물이 전체적으로 불투명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은 비교에 14를 나타낸 것으로, 오일이 과량 첨가된 경우 각 성분들이 충분히 상용(혼합)되지 못하여 층 분리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7은 비교예 15 내지 18로서, 엘라스토머로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 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 및/또는 피이지-12 디메치콘/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엘라스토머, 오일,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도 화장료 조성물이 매우 불투명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 17은 비교예 15(왼쪽), 비교예 16, 비교예 17, 비교예 18(오른쪽)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실험예 2 : 자외선 차단 효과
상기 실시예 및 상기 비교예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뒤, 이의 UV 차단 효과를 UV2000S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7에 표기하였다. 하기의 표 7에서 UV 차단 지수 및 Critical wavelength의 파장대가 높을수록 UV 차단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UV
차단 지수
Critical wavelength UV
차단 지수
Critical wavelength
실시예1 72 377 비교예7 21 346
실시예2 66 376 비교예8 16 345
실시예3 68 377 비교예9 10 333
실시예4 68 376 비교예10 25 343
실시예5 70 376 비교예11 12 310
실시예6 70 376 비교예12 30 342
비교예1 75 377 비교예13 37 345
비교예2 68 376 비교예14 26 340
비교예3 - - 비교예15 43 361
비교예4 - - 비교예16 46 360
비교예5 30 350 비교예17 50 365
비교예6 35 353 비교예18 43 360
상기 표 7을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와 같이 옥토크릴렌을 사용하는 비교예 1 내지 2와 거의 유사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면서도 투명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 4는 티타늄 디옥사이드의 함유로 인해 제형이 뻑뻑해지고 부스러져 평가의 수행이 어려웠다.
실험예 3 : 사용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상기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의 그룹(20 ~ 30 대 여성 10명으로 구성됨)에 각각 나눠준 뒤, 총 7일 동안 스킨케어 마지막 단계에서 이를 사용하게 함으로써 피부의 모공 및 요철에 대한 커버력, 부착력 및 백탁현상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커버력 및 부착력의 경우 매우 우수 5점, 우수 4점, 보통 3점, 나쁨 2점, 매우 나쁨 1점으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또한, 백탁 현상은 백탁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О, 백탁현상이 미미하거나 일부분에만 발생된 경우에는 △, 백탁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Х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총 7 일 동안의 매일 점수를 기록하도록 하였으며, 총 7일 간의 평균 점수를 하기의 표 8에 개시하다.
커버력 부착력 백탁현상
실시예1 4.50 4.18 Х
실시예2 4.18 4.01 Х
실시예3 4.33 4.03 Х
실시예4 4.31 4.02 Х
실시예5 4.47 4.15 Х
실시예6 4.45 4.14 Х
비교예1 1.85 1.14 О
비교예2 2.44 2.56 О
비교예3 - - -
비교예4 - - -
비교예5 - - -
비교예6 - - -
비교예7 1.20 1.11 Х
비교예8 0.55 0.22 Х
비교예9 - - -
비교예10 - - -
비교예11 3.41 3.20 О
비교예12 - - -
비교예13 - - -
비교예14 - - -
비교예15 2.15 3.01 О
비교예16 2.46 2.99 О
비교예17 2.19 3.42 О
비교예18 2.11 3.05 О
상기 표 8을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력 및 부착력이 우수하면서도 백탁현상이 거의 없으나, 비교예의 경우 커버력 및 부착력이 현저히 낮으면서도 백탁현상이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표 8에서 비교예 3, 4, 5, 6, 9, 10, 12, 13, 14는 알갱이가 석출되거나 제형이 안정하지 못하여 사용감, 부착력 및 백탁 현상의 평가가 어려웠다.
또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5 내지 18을 비교하면, 엘라스토머로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 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 및/또는 피이지-12 디메치콘/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엘라스토머, 오일,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도 화장료 조성물의 부착력 및 사용감이 저하될 뿐 아니라 백탁현상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실험예 1 내지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제형이 투명하며, 백탁 현상이 없을 뿐 아니라 피부의 모공과 요철을 가려주어 피부결을 매끄럽게 하는 프라이머로서의 기능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엘라스토머, 오일,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및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soamyl p-Methoxycinnam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액체 상태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및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체 상태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3.5 ~ 5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투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엘라스토머 35 ~ 70 중량%, 상기 오일 1 ~ 30 중량% 및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5 ~ 40 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는
    (A)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 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Bis-isobutyl PPG-20 crosspolymer) 및 (B)피이지-12 디메치콘/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PEG-12 Dimethicone/PPG-20 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상기 투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 ~ 20 중량%,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3 ~ 20 중량%, 호모살레이트 0.1 ~ 20 중량%, 폴리실리콘-15 0.1 ~ 20 중량%,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0.1 ~ 20 중량%, 에칠헥실트리아존 0.1 ~ 10 중량%,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0.1 ~ 10 중량%,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0.1 ~ 10 중량%,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0.1 ~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Butyloctyl Salicylate), 디부틸아디페이트(Dibutyl Adipate),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카프릴릴메치콘(Caprylyl Methicone), 이소도데칸(Isododecane), 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C15-19 알케인(C15-19 alkane) 및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방부제, 미백제, 항산화제, 피부컨티셔닝제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82677A 2017-06-29 2017-06-29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KR101798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677A KR101798024B1 (ko) 2017-06-29 2017-06-29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US16/626,784 US20200113798A1 (en) 2017-06-29 2018-05-18 Transparent cosmetic composition having ultraviolet screening function
PCT/KR2018/005706 WO2019004596A1 (ko) 2017-06-29 2018-05-18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677A KR101798024B1 (ko) 2017-06-29 2017-06-29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024B1 true KR101798024B1 (ko) 2017-11-16

Family

ID=6080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677A KR101798024B1 (ko) 2017-06-29 2017-06-29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113798A1 (ko)
KR (1) KR101798024B1 (ko)
WO (1) WO201900459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596A1 (ko) * 2017-06-29 2019-01-03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KR102012161B1 (ko) * 2019-04-03 2019-08-20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088778A1 (en) * 2018-11-02 2020-05-07 Symrise Ag A liquid and transparent blend of uv filters
KR20200126054A (ko) 2019-04-29 2020-11-06 우용규 피부의 산화, 염증 및 세포사멸의 억제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KR102419912B1 (ko) * 2022-01-19 2022-07-13 박혜랑 미스트 타입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254A (ko) * 2019-08-20 2021-03-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151A (ko) * 2004-11-04 2006-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US20070128137A1 (en) * 2005-12-02 2007-06-07 Naohisa Yoshimi Water in oil emulsion compositions containing siloxane elastomers
WO2009023662A2 (en) * 2007-08-13 2009-02-19 Isp Investments Inc. Water-resistant, rub-resistant, sprayable, homogeneous sunscreen composition
KR20120042397A (ko) * 2010-10-25 2012-05-03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다량 함유한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9023B1 (ko) * 2014-01-28 2021-05-07 코스맥스 주식회사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59844B1 (ko) * 2014-10-16 2016-09-3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무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798024B1 (ko) * 2017-06-29 2017-11-16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V.Reeth외 1명, A Hydrophilic Silicone Elastomer for Broader Formulating Flexibility, Cosmetics and Toileties (2013.06.25)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596A1 (ko) * 2017-06-29 2019-01-03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WO2020088778A1 (en) * 2018-11-02 2020-05-07 Symrise Ag A liquid and transparent blend of uv filters
US11723850B2 (en) 2018-11-02 2023-08-15 Symrise, AG Liquid and transparent blend of UV filters
KR102012161B1 (ko) * 2019-04-03 2019-08-20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6054A (ko) 2019-04-29 2020-11-06 우용규 피부의 산화, 염증 및 세포사멸의 억제효능을 가지는 조성물
KR102419912B1 (ko) * 2022-01-19 2022-07-13 박혜랑 미스트 타입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4596A1 (ko) 2019-01-03
US20200113798A1 (en)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024B1 (ko)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KR101551370B1 (ko) 스폰지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JP6798664B2 (ja) 局所日焼け止めエマルジョン
US20140348888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powder
KR20150065950A (ko)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EP3081206A1 (en) Sunscreen composition
KR20200104779A (ko)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47985A (ko) 폴리글리세릴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US20180311141A1 (en) Anhydrous screening composition comprising a silicone fatty phase
US20140161848A1 (en) Uv protective cosmetic composition
WO2020032243A1 (ja) 乳化化粧料
KR20130056700A (ko) 유중수 형태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 조성물
JP2024041892A (ja) 日やけ止め効果増強剤
KR20160094341A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EP2938330B1 (en) Sunscreen compositions having synergistic combination of titanium dioxide uv filters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N107787214A (zh) 水包油乳液组合物
JP7347993B2 (ja) 日焼け止め用組成物
US10813870B2 (en) Mineral sunscreen compositions with improved efficacy
JP2019043920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20210022254A (ko)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S2954123T3 (es) Composición fotoprotectora a base de éster de ácido carboxílico; uso de dicho compuesto para aumentar el factor de protección solar
KR102439913B1 (ko) 고함량의 산화티탄을 포함하는 산화티탄 분산물
KR20180079449A (ko) 열전도도가 낮은 적어도 하나의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WO2020032245A1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