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006B1 - Land research system using drone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Land research system using drone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006B1
KR101797006B1 KR1020170054621A KR20170054621A KR101797006B1 KR 101797006 B1 KR101797006 B1 KR 101797006B1 KR 1020170054621 A KR1020170054621 A KR 1020170054621A KR 20170054621 A KR20170054621 A KR 20170054621A KR 101797006 B1 KR101797006 B1 KR 101797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
images
map
status
arbitrary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6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호
강욱
정대섭
정치원
김소연
김남혁
Original Assignee
한국자산관리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산관리공사 filed Critical 한국자산관리공사
Priority to KR1020170054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0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0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38Image mosaicing, e.g. composing plane images from plane sub-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d investigation system using a drone, which can solve a problem in managing administrative property and can monitor the administrative property such as a land state, and a method thereof. The land investigation system comprises: a photographing part collecting an image of a land by using at least one drone; and a management part analyzing the image collected through the photographing part to determine a land status of the land to be investigated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land status to a user.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토지 조사 시스템 및 방법{Land research system using drones and method thereof} [0001] Land survey system using drones and method [0002]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토지 조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된 원본 영상들로부터 정사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정사 영상을 타일링하여 행정 재산 토지의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토지 조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d survey system and method using a drone. More specifically, an orthophotographic image is generated from original images photographed using a drone, and the generated orthophoto images are tiled to monitor the state of the administrative property l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d survey system and method using a drone.

현재 행정 재산으로 분류되는 토지는 지자체 등에 위임 관리되고 있으나, 정부에 의해 시행된 2014~2015년 행정 재산 현장 실태 조사 결과 관리 부실로 인하여 약 24%가 무단 점유 또는 유휴 재산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Currently, the land classified as administrative property is delegated to local governments. However, as a result of the actual state survey of the administrative property in 2014 ~ 2015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about 24% was found to be unauthorized occupied or idle property.

행정 재산인 토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무단 점유 또는 유휴 등의 상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토지에 대한 정확한 실태 파악이 요구된다. 그에 따라 최근까지 정부는 별도 인력조사 용역에 의한 행정 재산의 전수 실태 조사를 검토하였지만, 막대한 예산이 소요된다는 이유로 추진이 불가하게 되었다.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the administrative property land and prevent the situation such as unauthorized occupation or idle, it is required to grasp the precise actual condition of the land. Accordingly, until recently, the government has examined the survey on the transfer of administrative property by separate personnel survey service, but it has become impossible to carry out due to the enormous budget.

따라서, 이러한 행정 재산의 관리 부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국유 재산의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상황이다.Therefore, it is urgently required to monitor the status of state-owned property efficiently in order to solve the management problem of administrative property.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행정 재산의 관리 부실 문제를 해결하고 효율적으로 행정 재산, 특히 토지의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토지 조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d survey system and method using a drone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 of administrative property mismanagement and efficiently monitoring the state of administrative property, particularly lan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론을 이용하여 토지를 촬영함으로써 획득된 원본 영상들로부터 정사 영상을 생성하고, 정사 영상을 타일링하여 생성된 타일링 영상을 기반으로 토지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토지 조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generating an ortho image from original images obtained by photographing land using a drone, and grasping the land status based on the tiling image generated by tilting the ortho image And to a land survey system and method using a dron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지 조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 대상 토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생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토지 현황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이 상기 촬영 대상 토지 상을 비행하는 동안 상기 촬영 대상 토지에 대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 각각을 타일링하여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분석하여, 상기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상기 토지 현황을 도엽 단위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토지 현황을 출력하거나 외부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 내에서 식별되는 임의의 객체에 대하여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을 판단하고, 상기 임의의 객체를 분석하여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의 상기 토지 현황을 판단하되, 상기 임의의 객체가 복수 개의 도엽 상에 존재하면 상기 임의의 객체의 속성을 기초로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을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nd survey system comprising: a photographing unit that generates image data of a land to be photographed using at least one dron; And a management unit for determining the land status of the land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user, wherein the photograph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the plurality of images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collect a plurality of meta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generates at least one orthoimage using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the plurality of meta data, A plurality of tiling images are generated by tiling each of the ortho images, Wherein the management unit analyzes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to determine the land status of the land to be searched in units of the map, outputs the determined land status or transmits the land status to the user, Determining a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in an arbitrary object identified in the tiling images, analyzing the arbitrary object to determine the land status of the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If the object exists on a plurality of leaf images, it can determine the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arbitrary object.

또한, 상기 촬영부는, 상기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에 대하여, 중복하여 촬영된 토지 영역 부분을 중첩하고, 중첩된 영상에 대한 왜곡을 보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may generate the at least one orthoimage image by superimposing the overlapping photographed land area parts on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correcting the distortion of the overlapped image.

또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기설정된 개수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각의 영상을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로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nagement unit may divide the at least one orthoimage into a predetermined number, and generate each of the divided images as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또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지적도와 중첩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로부터 기설정된 상기 조사 대상 토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상기 토지 현황을 판단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unit may identify the predetermined land to be searched from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by overlapping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with the cadastral map and determine the land status with respect to the identified land to be searched .

또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로부터 기설정된 상기 조사 대상 토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지적도와 중첩하여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상기 토지 현황을 입력받을 수 있다. The management unit may display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superimposed on the cadastral map so as to identify the predetermined land to be searched from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Land status can be input.

또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임의의 객체가 복수 개의 도엽 상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객체의 무게 중심에 대응하는 도엽을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rbitrary object exists on a plurality of map areas, the management unit may determine a map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arbitrary object as a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또한, 행정 재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서비스 제공부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하여 판단된 상기 토지 현황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unit may further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land to be searched by the service providing unit.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지 조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된 토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토지 현황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토지 현황을 출력하거나 외부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이 상기 촬영 대상 토지 상을 비행하는 동안 수집되는 상기 촬영 대상 토지에 대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메타데이터, 상기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토지 현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 각각을 타일링하여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분석하여, 도엽 단위로 상기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상기 토지 현황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토지 현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 내에서 식별되는 임의의 객체에 대하여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객체를 분석하여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의 상기 토지 현황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임의의 객체가 복수 개의 도엽 상에 존재하면, 상기 임의의 객체의 속성을 기초로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nd survey method comprising: collecting image data of a land photographed using at least one dron; analyzing the collected image; Determining whether the at least one dron is in the image of the land to be photographed; determining whether the at least one dron is in the image of the land to be photographed;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for the photographing target land and a plurality of meta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t least one ortho image generated using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the plurality of meta data,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and status comprises the steps of: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tiling images by tiling a plurality of tiled images, and analyzing the plurality of tiled images to determine the land status of the land to be searched in units of leaflets, Determining a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to an arbitrary object identified in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and analyzing the arbitrary object to determine the land status of the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Wherein the step of judging the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comprises the step of judging the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arbitrary object if the arbitrary object exists on the plurality of map leaves .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은, 상기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에 대하여, 중복하여 촬영된 토지 영역 부분을 중첩하고, 중첩된 영상에 대한 왜곡을 보정하여 생성될 수 있다.Also, the at least one orthoimage may be generated by superimposing overlapping photographed land area portions on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correcting distortion of the overlapped image.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기설정된 개수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각각의 영상을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may include dividing the at least one orthoimage into a predetermined number, and generating each of the divided images as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

또한, 상기 토지 현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지적도와 중첩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로부터 기설정된 상기 조사 대상 토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상기 토지 현황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land status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identifying the predetermined land to be surveyed from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by superimposing the plurality of tiled images on the landmark map; And determining the current status.

또한, 상기 토지 현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로부터 기설정된 상기 조사 대상 토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지적도와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상기 토지 현황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land status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the plurality of tiled images superimposed on the cadastral map so as to identify the predetermined land to be surveyed from the plurality of tiled images, And receiving the land status of the land to be researched.

또한,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을 판단하는 단계는 , 상기 임의의 객체가 복수 개의 도엽 상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객체의 무게 중심에 대응하는 도엽을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judging the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may include the step of judging a map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arbitrary object as a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when the arbitrary object exists on a plurality of map sheets .

또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행정 재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하여 판단된 상기 토지 현황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 of providing the user may include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land to be surveyed to a servic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he administrative property management service.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토지 조사 시스템 및 방법은, 행정 재산에 속하는 토지의 현황을 짧은 주기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조사함으로써, 행정 재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활용도 증대를 통한 재정 수입 증대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The land survey system and method using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and promptly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land belonging to the administrative property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efficiently manage the administrative property to raise the financial income bas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토지 조사 시스템 및 방법은, 대규모 인력 투입이 필요없는 고효율 저예산의 드론을 이용한 토지 조사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드론을 통해 획득한 정사 영상을 시스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토지 이용 현황 확인이나 민원 상담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land survey system and method using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land survey using a high-efficiency low-budget drone that does not require the input of a large-scale manpower. By providing orthophoto images acquired through the drone to the system user, It can be used for confirmation of usage status or consultation on civil affair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토지 조사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지 조사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한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링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지 조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지 조사 시스템에서 촬영부의 토지 조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지 조사 시스템에서 관리부의 토지 조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지 조사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부의 토지 조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and surve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each component of the land surve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 tile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and surve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 land survey method of the photographing unit in the land surve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and survey method of the management unit in the land surve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and survey method of a service providing unit in the land surve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Quot ;, " include, "" include," as used herein.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disclosed features, operations, components, etc.,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any way. Also,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 Or "have." , Etc.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may be combined with one or more other feature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 예들에서, 조사 대상 토지란, 토지 현황의 판단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된 토지로, 행정 재산 여부, 용도, 조사 필요도, 촬영 불가 지역에 속하는지 여부 등을 기초로 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사 대상 토지는, 행정 재산으로 분류된 토지일 수 있으며, 행정 재산으로 분류된 토지 중 특정 용도의 토지, 예를 들어, 공공용 토지일 수 있다. 공공용 토지는, 예를 들어, 도로, 하천, 댐, 상/하수도, 공항, 항만 용도의 토지일 수 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land to be researched is a land determined to require judgment of the land status, and may be selected on the basis of whether or not it is an administrative property, a use purpose, an investigation necessary degree, In one embodiment, the land to be searched may be a land classified as administrative property and may be a land of a particular use among the land classified as administrative property, for example, a public land. Public lands may be, for example, roads, rivers, dams, water / sewerage, airports, and land for harbor use.

일 실시 예에서, 조사 대상 토지는 행정 재산으로 분류된 토지 중 조사 필요도가 낮은 토지를 제외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토지에 대한 조사 필요도를 결정하는 방법, 조사 필요도를 구성하는 방법 등에 관하여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In one embodiment, the land to be researched can be determined to exclude land with low survey need among the lands classified as administrative property. In this case,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as to how to determine the survey need for the land, how to construct the survey need.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조사 대상 토지는 촬영 불가 지역에 속하지 않는 토지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드론이 비행하는 동안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토지 현황을 조사하기 때문에, 촬영 불가 지역에 속한 토지는 조사 대상 토지에서 제외될 수 있다. 촬영 불가 지역은 군사시설 보호법에 따른 보호구역, 드론 비행 금지 구역, 비행 승인 허가가 필요한 관제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land to be searched may be determined as a land not belonging to the non-shooting area.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one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the land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during the flight, the land belonging to the unrecordable area can be excluded from the surveyed land. Areas that can not be photographed may include protected areas under the Military Facilities Protection Act, drones prohibited areas, and control authorities requiring permission to fly.

다양한 실시 예에서, 조사 대상 토지는 도엽 단위로 결정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도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조사 대상 토지는 조사 대상 도엽으로 명명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land to be searched may be determined in units of leaflets,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leaflet. Therefore, in various embodiments, the land to be searched can be named as the searched leaf.

이하의 실시 예들에서, 촬영 대상 토지란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원본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드론이 비행하면서 촬영해야 할 것으로 결정된 토지일 수 있다. 따라서, 촬영 대상 토지는 조사 대상 토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land to be photographed may be a land determined to be photographed while flying the drones in order to acquire the original image of the land to be searched. Therefore, the land to be photographe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land to be searched.

이하의 실시 예들에서 촬영 대상 토지와 조사 대상 토지를 구분하여 사용하지만, 다른 실시 예들에서 이 둘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land to be photographed and the land to be searched are used separately, but in other embodiments, the two may be used in the same sen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토지 조사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and surve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토지 조사 시스템(1)은 촬영부(100), 관리부(200) 및 서비스 제공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land survey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100, a management unit 200,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300.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촬영부(100), 관리부(200) 및 서비스 제공부(300)는 스마트폰, 휴대폰, 전자 패드, PDA, 컴퓨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 기기 또는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서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unit 100, the management unit 200 and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may be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n electronic pad, a PDA, a computer, a tablet PC,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각각의 장치가 이격된 공간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촬영부(100), 관리부(200) 및 서비스 제공부(300) 중 적어도 하나는 모듈화되어 물리적인 하나의 장치 내에 구비될 수 있다. The management unit 200, and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in the various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t least one of which may be modularized and provided in one physical device.

촬영부(100)는 촬영 대상 토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리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촬영부(100)는 촬영 대상 토지로 설정된 토지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및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각각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100)는 수집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및 이들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unit 100 may collect image data of the land to be photographed and transmit the collected image data to the managing unit 200. [ The photographing unit 100 may collect metadata of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photographed using at least one dron for the land set as the land to be photographed.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100 may generate at least one orthoimage based on the collected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their metadata.

촬영부(100)는 수집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이들의 메타데이터 및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관리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unit 100 may transmit the collected image data including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their metadata, and at least one generated ortho image to the management unit 200.

이하의 실시 예들에서는 촬영부(100)가 드론을 이용하여 토지에 대한 원본 영상을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인 항공기, 무인 정찰기, 무인 비행기 등 카메라, 영상 센서(CCD, CMOS, IR 등), 촬영 센서 등을 포함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비행 장치를 통하여 토지에 대한 원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photographing unit 100 acquires the original image of the land using the drone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a camera such as an unmanned airplane, an unmanned reconnaissance aircraft,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original image of the land through various flight devices capable of acquiring images including sensors (CCD, CMOS, IR, etc.) and photographing sensors.

관리부(200)는 촬영부(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토지 현황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부(200)는 촬영부(1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타일링하여 타일링 영상들을 생성할 수 있다. 관리부(200)는 생성된 타일링 영상들을 기초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토지 현황을 판단할 수 있다. 특히, 관리부(200)는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토지 현황으로써, 행정 재산으로 분류된 토지에 대한 무단 점유 여부, 유휴 여부에 대하여 판단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unit 200 can determine the land status of the land to be searched based on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00. [ Specifically, the management unit 200 may generate tiling images by tiling at least one ortho image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00. [ The management unit 200 can determine the land status of the land to be searched based on the generated tiling images. In particular, the management unit 200 can determine whether the land classified as the administrative property is unoccupied or not, as the land status of the land to be researched.

또한, 관리부(20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그로부터 판단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토지 현황 정보를 서비스 제공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nagement unit 200 can transmit the received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land to be researched to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서비스 제공부(300)는 지방자치단체, 조달청 등 행정 재산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를 위하여 제공되는 장치로, 사용자에게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하여 토지 현황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서비스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 제공부(300)는 e-나라 재산 관리 시스템을 운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is an apparatus provided for a user who performs administrative property management tasks such as a local government office, a public procurement office, etc., and is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a program, a service, and the like for allowing a user to inquire about the land status Can be implemented. In one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er 300 may be a device operating an e-nation property management system.

서비스 제공부(3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관리부(2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토지 현황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서비스 제공부(300)는 사용자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 및 토지 현황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받고, 입력된 피드백을 관리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may output the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unit 200 at the request of the user. In various embodiments,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may receive feedback on the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output from the user, and may transmit the input feedback to the management unit 200.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지 조사 시스템(1)의 각 구성 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land survey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지 조사 시스템의 촬영부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land surve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2를 참조하면, 촬영부(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2, the photographing unit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a controller 120, and a storage unit 130.

통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rough a network.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 기술은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기술은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고속 하향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transmit data to the outside or receive data from the outside using a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Here, the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USB (Universal Serial Bus) communi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be implemented in a wireless LAN (W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and the lik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통신부(11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드론으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드론으로부터 촬영 대상 토지를 촬영한 복수 개의 원본 영상 및 각각의 원본 영상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control commands to at least one dr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and transmits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The metadata of the original image can be received.

제어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지 조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촬영부(100)의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photographing unit 100 to perform the land survey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 대상 토지에 대하여 촬영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을 획득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20 can acquire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photographed with respect to the land to be photographed using at least one drones.

드론은 무선 전파로 조종할 수 있는 무인 항공기로, 카메라, 센서, 통신 시스템 등을 탑재하여, 상공에서 육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드론은 촬영된 영상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써 촬영자, 촬영 일시, 촬영 고도, 촬영 영역 크기, 촬영 위치 등을 포함하는 촬영 로그 정보(비행 로그 또는 비행 일지로 명명될 수 있다.) 및 영상 포맷, 해상도, 압축 정보 등 영상 데이터 관련 정보를 함께 저장하거나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위치는 위도/경도에 관한 정보, 주소에 관한 정보, 좌표계를 이용한 좌표 정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rone is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can be controlled by a radio wave. It can be equipped with a camera, a sensor, a communication system, etc., and can shoot the land in the sky, store the captured image or transmit it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drones are used as metadata of the photographed image, and photographing log information (which can be named as a flight log or a flight log) including the photographer, photographing date and time, photographing altitude, photographing area size, photographing position, Information related to image data such as resolution and compression information can be stored together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Here, the photographing position may be composed of information on the latitude / longitude, information on the address, coordinate information using the coordinate system, and the like.

메타데이터로써 촬영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드론은 RTK(Real Time Kinematic) 방식 또는 PPK(Post Processed Kinematic)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In order to acquire the photographing position as the metadata, the drones may be operated by RTK (Real Time Kinematic) method or PPK (Post Processed Kinematic) method.

RTK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드론은 기준국과 통신을 수행하며 모호 정수를 고정시키고 정밀 측위를 수행하거나, 또는 별도로 세워진 기준국 없이 국토지리정보원의 가상 기준국 서비스에 접속하여 모호 정수를 고정시키고 정밀 측위를 수행할 수 있다. When operating in the RTK mode, the drone communicates with the reference station, fixing the ambiguity constant and performing fine positioning, or connecting to the virtual reference station service of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ervice without separately established reference station, Positioning can be performed.

PPK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드론은 기준국과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받고 두 데이터를 기준으로 모호 정수를 고정시켜 정밀 측위를 수행하거나, 인근의 국토지리정보원 상시 관측소의 동시간 관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모호 정수를 고정시키고 정밀도를 높혀 정밀 측위를 수행할 수 있다. When operating in PPK mode, the drone receives data at the same time as the reference station and performs precise positioning by fixing the ambiguity constant based on the two data, or by using the simultaneous observation data of the nearby geographical information source station, The accuracy can be increased and precision positioning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드론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비행 및 촬영 설정에 따른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드론이 특정 촬영 고도로 촬영 대상 토지 상을 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20 may send a control signal to the drones to control shooting according to flight and shooting settings.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20 can control the drones to fly over the land to be photographed at a specific photographing altitude.

또한, 제어부(120)는 드론이 비행하는 동안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특정 크기의 촬영 영역을 연속적으로 촬영함으로써,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o generate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for the land to be searched by successively photographing the photographing region of a specific siz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during the flight of the drones.

드론의 촬영 고도에 따라 1장의 원본 영상에 포함되는 토지의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동일한 크기의 토지에 대하여 생성되는 원본 영상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드론이 1㎢의 토지 상을 150m의 촬영 고도로 비행하며 촬영하는 경우, 드론은 1㎢의 토지에 대하여 300장의 원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drone, the size of the land included in one original image may be different, and thus the number of original images generated for the same size land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if the drones fly over a land area of 1 km2 at a shooting altitude of 150 m, the drone can produce 300 original images for 1 km2 of land.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드론이 비행하는 동안 1㎢ 크기의 1개 도엽에 대하여 300장의 원본 영상을 획득하도록, 드론의 비행 및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조사 대상 토지가 복수 개의 도엽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복수 개의 도엽에 대한 드론의 비행 및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1개 도엽당 300장의 원본 영상씩 총 N개의 도엽에 대하여 촬영하도록 드론을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the flight and shooting of the drones so as to obtain 300 original images for a map of size 1 km2 during flight of the drones. If the land to be searched includes a plurality of map areas,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flight and shooting of the drones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map areas. That is, the control unit 120 can control the drones to capture a total of N mapleaves, each of which is composed of 300 original images per one map.

상기한 토지의 크기에 대해 획득되는 원본 영상의 수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크기의 토지에 대응하여 획득되는 원본 영상의 수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The number of original images obtained for the size of the land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number of original images obtained corresponding to land of a certain size may vary Can be determined.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드론이 1회 비행하는 동안 1개 도엽에 대하여 촬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도엽에 대하여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드론의 1회 비행 동안 촬영할 수 있는 토지의 크기는 드론의 비행 성능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드론의 비행 성능을 고려하여 1회 비행 시에 몇 개의 도엽에 대하여 촬영을 수행할지 결정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dron to perform shooting with respect to one map during one flight, or to photograph a plurality of map images. The size of the land which can be photographed during one flight of the drone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light performance of the drone and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e number of the leaves to be photographed .

제어부(120)는 드론으로부터 촬영 대상 토지에 대해 생성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및 그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may acquire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generated for the land to be photographed and the metadata thereof from the drones.

제어부(120)는 획득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생성(제작)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을 중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정사 영상은 영상으로부터 높이차나 기울어짐 등 지형으로 생긴 기하학적 왜곡 및 경사 왜곡을 보정하여 정사 좌표계로 변환한 연직 영상을 의미한다. The control unit 120 can generate (produce) at least one orthoimage image from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That is, the control unit 120 may generate at least one orthoimage by superposing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Here, the orthoimage refers to a vertical image obtained by correcting the geometric distortion and the warp distortion caused by the terrain such as height difference and inclination from the image and converting it into the ortho coordinate system.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중 인접한 토지상에서 촬영된 원본 영상들은 동일한 토지 영역에 대한 중복되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에 대하여 중복되는 토지 영역 부분을 중첩하고, 중첩된 영상에 대한 기하학적 왜곡 및 경사 왜곡을 보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정사 영상 둘레부분의 불필요한 영역을 삭제 보정함으로써, 사각형 형태의 정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Among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the original images photographed on the adjacent land may include overlapping images for the same land area. The controller 120 may generate at least one orthoimage image by superimposing overlapping land area portions on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correcting the geometric distortion and the warp distortion of the overlapped image.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20 may correct an unnecessary area of the periphery of the orthoimage image to generate a quadrature-shaped orthoimage image.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300장의 원본 영상들로부터 1장의 정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실시 예에서, 1장의 정사 영상은 1개의 도엽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장의 정사 영상에 매핑되는 원본 영상의 수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20 may generate one orthoimage from 300 original images. In this case, in one embodiment, one orthoimage can correspond to one map.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number of original images mapped to one orthoimage can be variously determined.

제어부(120)는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각각에 대한 메타데이터 및 복수 개의 원본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관리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may transmit the image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the metadata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at least one ortho image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to the management unit 200 have.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크기(예를 들어 1~2GB)로 영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관리부(200)에 전달하거나,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평균적인 업무 시간 이후) 또는 네트워크 부하가 임계값 이하일 때 영상 데이터를 관리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전송 오류로 인하여 전송이 지연, 중단되는 경우, 해당 영상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고, 전송 가능 시간 도과 시 자동으로 해당 영상 데이터 전송을 예약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20 may divide the image data into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1 to 2 GB) and transmit the divided image data to the management unit 200 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after an average business time) When the network loa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image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unit 200. In addition, when the transmission is delayed or stopped due to a transmission error, the control unit 120 can retransmit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and can automatically schedule the transmission of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at the possible transmission time.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전송 결과를 수치, 이미지, 음성 등으로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120 may output the transmission result for the image data to the user in numerical values, images, voice, or the like.

저장부(130)는 촬영부(100)의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모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부(100)에서 입출력되거나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0 stores an operating system, a module, an application, a program, and the lik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100, or temporarily stores data input / output or generated in the photographing unit 100, Or permanently stored.

이를 위하여,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an SD or xD memory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disk, magnetic disk, magnetic disk, or optical disk.

저장부(130)는 드론으로부터 수신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복수 개의 원본 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received from the drones, meta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image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rtho image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도 2를 참조하면, 관리부(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출력부(230), 제어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the management unit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0, an input unit 220, an output unit 230, a control unit 240, and a storage unit 250.

통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10 can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network.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 기술은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기술은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고속 하향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transmit data to the outside or receive data from the outside using a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Here, the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USB (Universal Serial Bus) communi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be implemented in a wireless LAN (W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and the lik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통신부(210)는 영상 데이터 및 토지 현황 정보를 서비스 제공부(300)로 전송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부(30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 및 토지 현황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transmit the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to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and may provide feedback on the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

입력부(220)는 관리부(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2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입력부(2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22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anagement unit 200 and may transmit the user input to the control unit 240. To this end, the input unit 22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입력부(220)는 조사 대상 토지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타일링 영상들을 분석하여 수동으로 판단된 토지 현황에 대한 사용자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22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determining the land to be searched, a tiling image for the land to be searched, and a user input for the manually determined land status.

출력부(230)는 관리부(2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30 may output variou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anagement unit 200.

이를 위하여, 출력부(230)는 표시 수단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30)는 음향 출력 수단으로써 스피커, 부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30)는 광 출력 수단으로써 LED 조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3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nd the like. The output unit 230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as sound output means. In addition, the output unit 230 may include LED lighting or the like as light output mean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출력부(230)는 촬영부(100)로부터 수신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과 복수 개의 원본 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unit 230 may include metadata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00, at least one Orthographic images can be displayed.

출력부(230)는 제어부(240)에 의하여 생성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타일링하여 생성된 타일링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230)는 타일링 영상들에 조사 대상 토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적도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30 is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240 and may display tiled images generated by tiling at least one ortho image. The output unit 230 may superimpose and display the cadastral map includ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land to be surveyed on the tiled images.

출력부(230)는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하여 판단된 토지 현황을 출력하되, 판단된 토지 현황의 추가/수정/삭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30 may display the land status determined for the land to be surveyed together with a user interface for adding / modifying / deleting the determined land status together.

제어부(2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지 조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관리부(200)의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40 ma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management unit 200 to perform the land surve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토지에 대한 현황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조사 대상 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조사 대상 토지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40 can determine the land to be researched, which is determined to be necessary for the current status of the land. The land to be researched can be determin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utside via the network or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제어부(240)는 촬영부(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40 may generate a plurality of tiling images for the land to be searched based on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00. [

제어부(240)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에 대한 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 각각을 M--0, M1, M2, …개의 영상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영상들을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M-0=1, M1=4, M2=16, …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40 may perform tiling of at least one ortho image included in the image data.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unit 240 divides at least one orthoimage into M - 0 , M 1 , M 2 ,. , And each of the images can be stored as a plurality of tiling images. In one embodiment, M- 0 = 1, M 1 = 4, M 2 = 16, ... Lt; / RTI >

제어부(240)는 원래의 정사 영상으로부터 분할된 정도에 따라 각각의 타일링 영상에 레벨을 부여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240)는 원래의 정사 영상으로부터 분할되지 않은 정사 영상, 즉 M0=1개로 분할된 타일링 영상에 대하여 레벨 0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원래의 정사 영상으로부터 M1=4개로 분할된 4개의 타일링 영상들에 대하여 레벨 1을, M2=16개로 분할된 16개의 타일링 영상들에 대하여 레벨 2를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레벨 2의 타일링 영상들은 레벨 1의 타일링 영상들과 대비하여 확대된 영상으로 인지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40 may assign a level to each tiled imag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vision from the original orthoimage.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control unit 240 may assign a level 0 to an ortho image not divided from the original orthoimage, that is, a tile image divided into M 0 = 1.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40 can assign level 1 to four tiling images divided into M 1 = 4 from the original orthoimage, and level 2 to 16 tiling images divided into M 2 = 16 hav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level 2 tiling images can be perceived as an enlarged image in comparison with the level 1 tiling images.

제어부(240)는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분석하여,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토지 현황을 판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240)는 조사 대상 토지로써 행정 재산 및/또는 행정 재산 중 특정 용도로 지정된 토지에 대하여 무단 점유 여부 및 유휴 여부 등에 대하여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40 can analyze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to determine the land status of the land to be searched. In particular,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40 can determine whether the land to be researched is unoccupied or not, with respect to land designated for a specific use among administrative property and / or administrative property.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기저장된 조사 대상 토지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타일링 영상 내에서 조사 대상 토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토지 현황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240)는 조사 대상 토지에 관한 목록을 미리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40 can identify the land to be searched in the tiling image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land to be searched and determine the land status of the land to be searched.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240 may store the list of the land to be search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250.

제어부(240)는 타일링 영상 내에서 조사 대상 토지를 식별하기 위해, 지적도를 타일링 영상에 중첩할 수 있다. 지적도는 토지에 대한 주소, 지번, 소유자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지적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40 may superimpose the cadastral map on the tiled image to identify the land to be searched in the tiled image. The cadastral map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address, number, owner, etc. of the land. The cadastral map can be received from the outside via a network, input by a user, and upd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제어부(240)는 추출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타일링 영상에 지적도를 중첩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거나 외부로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토지 현황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240)는 지적도가 중첩된 타일링 영상 내에서 조사 대상 토지를 색깔, 글씨체, 음영 등으로 강조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지적도가 중첩된 타일링 영상 내에서 조사 대상 토지를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40 can superimpose the cadastral map on the extracted tiled image of the land to be surveyed and output it to the user or transmit it to the outside, and receive the land status from the user from the outside or from the outside via the network. In various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240 emphasizes the land to be searched in color, font, shade, etc. in the tiled image in which the cadastral map is superimposed,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search the land to be searched in the tiled image .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240)는 추출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타일링 영상과 함께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메타데이터,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240 may output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metadata, and at least one ortho image together with the tiled image of the extracted land to be surveyed.

또는, 제어부(240)는 생성된 타일링 영상으로부터 특징점, 패턴, 색상 등을 추출하고, 이를 기저장된 현황 정보 데이터와 매핑하여 조사 대상 토지의 토지 현황을 판단할 수 있다. 현황 정보 데이터는, 타일링 영상으로부터 추출되는 엣지, 특징점, 색상 등에 대응하는 토지 현황에 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일링 영상으로부터 추출되는 엣지의 형상이 복수 개의 직선에 대응하는 경우, 관리부(200)는 해당 조사 대상 토지가 도로용지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타일링 영상으로부터 추출되는 색상의 다수가 녹색에 대응하는 경우, 관리부(200)는 해당 조사 대상 토지가 임야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240 may extract a feature point, a pattern, a color, and the like from the generated tiled image, and map the extracted feature point, pattern, and color to pre-stored current information data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land to be searched. The status information data may be stored in advance by setting information on the land status corresponding to an edge, a minutiae, and a color extracted from the tiled image. 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edge extracted from the tiled image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straight lines, the management unit 200 can determine that the land to be searched is the road paper. Alternatively, for example, when a large number of colors extracted from a tiled image correspond to green, the management unit 200 can determine that the land to be searched is a forest

토지 현황은, 예를 들어, 유휴 유형에 관한 정보(전면적 미활용, 일부 면적 미활용), 현황 지목에 관한 정보(전, 답, 과수원, 대, 도로, 제방 하천 등), 활용 유형에 관한 정보(청/관사, 교육시설, 도로용지, 하천용지, 철도용지, 댐 지역, 공항지역, 임야 등), 무단 점유에 관한 정보(경작, 주택, 주차장, 가건물, 사무실, 상가, 공장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240)는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하여 도엽 단위로 토지 현황을 판단할 수 있다. 임의의 실시 예에서, 토지상의 지목, 건물, 자연물 등의 객체가 여러 개의 도엽 상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40)는 해당 객체의 무게 중심이 위치한 도엽을 해당 객체의 도엽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240)는 해당 객체에 기초하여 판단된 토지 현황을 판단된 도엽의 토지 현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land status includes,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idle (unused whole area, partial unused area),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tatus (previous, answer, orchard, At least one of information (farming, housing, parking lot, carpentry, office, shopping mall, factory, etc.) about unauthorized occupation . In various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240 may determine the land status on a per-leaf basis for the land to be searched. In an exemplary embodiment, when an object such as a landmark, a building, or a natural object on the land is present on a plurality of leaf images, the control unit 240 can determine the leaf of the object as the leaf of the object.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40 can determine the land status determined based on the object as the land status of the determined map.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240)는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판단된 토지 현황 정보를 저장부(250)에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누적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하여 촬영부(100)로부터 수신된 원본 영상들, 정사 영상들, 메타데이터들 및 판단된 토지 현황들 중 적어도 하나를 연계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controller 240 may cumulatively store and manage the image data of the land to be researched and the determined land status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25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The control unit 240 may store and manage at least one of the original images, orthoimages, meta data, and the determined land conditions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00 with respect to the land to be searched.

이때, 제어부(240)는 전체 데이터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 및/또는 타일링 영상에 파일명, 폴더명, 파일 번호, 폴더 번호, 파일 속성 등의 식별 번호를 부여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40)는 타일링 영상들을 레벨별로 분류하여 서로 다른 폴더에 저장할 수 있고, 타일링 영상의 메타데이터에 대응하여 특별한 규칙에 따라 파일명을 부여하여 저장할 수 있다. 타일링 영상들이 저장된 폴더의 폴더명 및 타일링 영상들에 부여된 파일명은, 이후 타일링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에,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로드 및 출력하여야 할 타일링 영상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rder to easily manage the entire data, the control unit 240 displays an identification number such as a file name, a folder number, a file number, a folder number, and a file attribute in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t least one ortho image and / To be managed.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240 may classify the tiled images into levels and store them in different folders, and may assign and store file names according to special rules corresponding to the metadata of the tiled images. The folder name of the folder in which the tiling images are stored and the file name given to the tiling images can be used to select a tiled image to be loaded and outpu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in the case of outputting the tiled image thereafter.

이 경우, 제어부(240)는 현재의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영상 데이터와 이전에 누적된 해당 조사 대상 토지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토지 현황의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현재의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영상 데이터와 이전에 누적된 해당 조사 대상 토지의 영상 데이터를 함께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타일링 영상을 비교 분석하고, 현황 변경 여부를 시계열적으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40 can compare the image data of the current survey target land with the image data of the previously-accumulated target survey target land to determine whether the land status has changed. The control unit 240 also outputs the image data of the current land to be surveyed and the image data of the previously accumulated land to be surveyed to the user so 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tiled image of the land to be survey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change in a time-wise manner.

제어부(240)는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이를 기초로 판단된 토지 현황 정보를 서비스 제공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영상 데이터는, 촬영부(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원본 영상, 정사 영상, 메타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40 may transmit the image data of the land to be researched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determined based on the image data to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Here, the image data of the land to be searche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original image, an orthoimage image, and metadata for the land to be searched extracted from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00.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240)는 서비스 제공부(300)로부터 조사 대상 토지의 판단된 토지 현황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피드백은 조사 대상 토지의 추가/변경/삭제에 관한 정보, 영상 데이터에 대한 평가 정보 및 판단된 토지 현황에 대한 오류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피드백은 무단 점유 또는 유휴 토지에 대한 행정적 처리를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240 may receive feedback on the determined land status of the land to be surveyed from the service provider 300. The feedback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addition / change / deletion of the land to be searched,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image data,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rror on the determined land status. Or feedback may include information for administrative treatment of unauthorized occupation or idle land.

제어부(240)는 수신된 피드백을 기초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정보, 드론 제어를 위한 정보 및 토지 현황 정보 등을 수정/갱신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40)는 수신된 피드백을 기초로 특정 현황의 토지, 예를 들어 무단 점유 또는 유휴 토지에 대한 행정적 처리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정보, 드론 제어를 위한 정보 등을 촬영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 Based on the received feedback, the control unit 240 can update / update information on the land to be searched, information for drones control, and land status information.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240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an administrative process on a specific current land, for example, an unauthorized occupied or idle land based on the received feedback. The control unit 240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land to be searched,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drones, and the like to the photographing unit 100.

저장부(250)는 관리부(200)의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모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부(200)에서 입출력되거나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50 may store an operating system, a module, an application, a program, and the lik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anagement unit 200 or may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e data input / output or generated in the management unit 200 . ≪ / RTI >

이를 위하여, 저장부(2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5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disk, magnetic disk, magnetic disk, or optical disk.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저장부(250)는 촬영부(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이를 이용하여 판단된 토지 현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저장부(250)는 촬영부(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이를 이용하여 판단된 토지 현황 정보를 누적적으로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250 may store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00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determined using the image data. 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unit 250 may cumulatively stor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00 and land status information determined using the image data.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부(300)는 통신부(310), 입력부(320), 표시부(330), 제어부(340) 및 저장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2,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10, an input unit 320, a display unit 330, a control unit 340, and a storage unit 350.

통신부(3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10 can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rough a network.

통신부(3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 기술은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기술은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고속 하향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transmit data to the outside or receive data from the outside using a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the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Here, the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USB (Universal Serial Bus) communi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be implemented in a wireless LAN (W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and the lik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통신부(310)는 관리부(200)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 토지 현황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34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영상 데이터 및 토지 현황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관리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receive the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unit 200 and may transmit the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34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transmit the feedback on the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unit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40.

입력부(320)는 서비스 제공부(3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3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입력부(3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32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and may transmit the user input to the control unit 340. For this, the input unit 32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입력부(320)는 조사 대상 토지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토지 현황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320)는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토지 현황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32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tting the land to be searched, image data for the land to be searched, and a user input for displaying the land status information. In addition, the input unit 320 may receive user feedback on the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land to be searched.

표시부(330)는 서비스 제공부(3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GUI 등)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30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or may display various user interfaces (UI, GUI, etc.) for receiving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user.

이를 위하여, 표시부(3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3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nd the lik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표시부(330)는 관리부(2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토지 현황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330)는 표시된 영상 데이터 및 토지 현황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330 may display the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unit 200 and may provide the displayed image data to the user. The display unit 330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inputting feedback on displayed image data and land status information.

제어부(3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지 조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부(300)의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40 ma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to perform the land survey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제어부(340)는 관리부(2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토지 현황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표시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영상 데이터 및 토지 현황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이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피드백을 관리부(200)로 전달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피드백은 영상 데이터에 대한 평가 정보 및 판단된 토지 현황에 대한 오류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40 may display the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unit 200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330 to provide the display data to the user. The control unit 34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310 to transmit the input feedback to the management unit 200 when the user's feedback on the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is input. The feedback input by the us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image data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rror of the determined land status.

저장부(350)는 서비스 제공부(300)의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모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부(300)에서 입출력되거나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50 stores an operating system, a module, an application, a program, and the lik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or stores data input / output or generated in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Lt; RTI ID = 0.0 > permanently < / RTI >

이를 위하여, 저장부(3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the storage unit 35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disk, magnetic disk, magnetic disk, or optical disk.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저장부(350)는 관리부(2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토지 현황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350 may store and manage the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unit 20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지 조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and surve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토지 조사 방법에 있어서, 먼저 촬영부(100)는 촬영 대상 토지에 대하여 촬영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및 복수 개의 원본들 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301).Referring to FIG. 3, in the land surve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graphing unit 100 collects meta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301).

촬영부(100)는 조사하기 위하여 영상 촬영이 필요한 촬영 대상 토지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제어하여 촬영 대상 토지에 대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및 그에 각각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100 may determine a photographing target land to be photographed for photographing and control at least one drone to collect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for the photographing target land and metadata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다음으로, 촬영부(100)는 수집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302).Next, the photographing unit 100 may generate at least one orthoimage from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302).

촬영부(100)는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에 대하여 기하학적 왜곡 및 경사 왜곡을 보정하고,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을 중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unit 100 corrects geometric distortion and warp distortion of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generates at least one ortho image by superimposing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on the basis of meta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can do.

다음으로, 촬영부(100)는 촬영 대상 토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관리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303). Next, the photographing unit 100 may transmit the image data of the land to be photographed to the managing unit 200 (303).

영상 데이터는 수집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mage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collected, meta 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at least one ortho image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관리부(200)는 촬영부(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토지 현황을 판단할 수 있다(304).The management unit 200 can determine the land status of the land to be searched based on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00 (304).

구체적으로, 관리부(200)는 촬영부(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타일링하여 타일링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관리부(200)는 타일링 영상 내에서 조사 대상 토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타일링 영상을 분석하거나, 또는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타일링 영상을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정보를 기초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토지 현황을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nagement unit 200 may generate a tiling image by tiling at least one ortho image included in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00. [ The management unit 200 identifies the land to be searched in the tiling image, analyzes the tiled image of the identified land to be searched, or outputs the tiled image of the land to be searched to the user and receives the input from the user , The land status of the land subject to the survey can be judged.

관리부(200)는 영상 데이터 및 이를 기초로 판단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토지 현황에 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305).The management unit 200 may transmit the image data and the information on the land status of the land subject to the survey determined based thereon to the service provider 300 (305).

서비스 제공부(300)는 관리부(2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토지 현황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306).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may display the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unit 200 and provide the displayed image data to the user (306).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 제공부(300)는 제공된 영상 데이터 및 토지 현황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이 입력되는 경우(307), 서비스 제공부(300)는 입력된 피드백을 관리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308).In one embodiment, when the user's feedback on the provided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is inputted (307),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can transmit the input feedback to the management unit 200 (308).

피드백은 영상 데이터에 대한 평가 정보 및 판단된 토지 현황에 대한 오류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eedback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valuation information on image data and information related to an error of the determined land statu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지 조사 시스템에서 촬영부의 토지 조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showing a land survey method of the photographing unit in the land surve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촬영부(100)는 먼저, 촬영 대상 토지를 결정할 수 있다(401).Referring to FIG. 4, the photographing unit 100 may determine the land to be photographed (Step 401).

다음으로, 촬영부(100)는 촬영 대상 토지에 대하여 촬영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및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402).Next, the photographing unit 100 may collect meta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photographed with respect to the land to be photographed (402).

촬영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제어하여 촬영 대상 토지에 대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및 그에 각각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unit 100 may control at least one drones to collect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for the photographing target land and metadata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다음으로, 촬영부(100)는 수집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403). Next, the photographing unit 100 may generate at least one orthoimage from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403).

촬영부(100)는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을 중첩하고, 중첩된 영상에 대하여 기하학적 왜곡 및 경사 왜곡을 보정하여,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unit 100 superimposes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on the basis of the meta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corrects the geometric distortion and the warp distortion of the overlapped image, Can be generated.

다음으로, 촬영부(100)는 영상 데이터를 관리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404).Next, the photographing unit 100 may transmit the image data to the managing unit 200 (404).

촬영부(100)는 수집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 및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로부터 생성된 정사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촬영부(100)는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관리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unit 100 may generate image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collected, meta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ortho images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The photographing unit 100 may transmit the generated image data to the management unit 200. [

다양한 실시 예에서, 촬영부(100)는 기설정된 시간 또는 네트워크 부하가 임계값 이하일 때 영상 데이터를 관리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100)는 전송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영상 데이터를 재전송하거나,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전송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고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photographing unit 100 may transmit image data to the management unit 200 when the predetermined time or the network load is equal to or less than a threshold value.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100 may retransmit image data when a transmission error occurs, or may report a transmission result of the image data to a us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지 조사 시스템에서 관리부의 토지 조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and survey method of the management unit in the land surve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관리부(200)는 먼저 촬영부(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501).Referring to FIG. 5, the management unit 200 may first receive image data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00 (501).

영상 데이터는, 촬영 대상 토지를 촬영함으로써 획득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및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각각의 메타데이터,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data may include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land to be photographed, meta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at least one ortho image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다음으로, 관리부(20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타일링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502).Next, the management unit 200 may generate a tiling image for the land to be surveyed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502).

구체적으로, 관리부(20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타일링할 수 있다. 관리부(200)는 각각의 정사 영상을 기설정된 개수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영상을 타일링 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관리부(200)는 각각의 정사 영상을 복수 개의 기설정된 개수만큼 복수 회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된 영상을 타일링 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nagement unit 200 may tile at least one ortho image included in the received image data. The management unit 200 may divide each orthoimage into a predetermined number and store each divided image as a tiled image. In various embodiments, the management unit 200 may divide each orthoimage in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generate each divided image as a tiled image.

다음으로, 관리부(200)는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타일링 영상을 분석하여 토지 현황을 판단할 수 있다(503).Next, the management unit 200 can determine the land status by analyzing the tiling image of the land to be searched (503).

관리부(200)는 지적도가 중첩된 타일링 영상을 기설정된 조사 대상 토지 목록과 비교하여, 타일링 영상에 중첩된 지적도와 조사 대상 토지 목록을 비교하여 타일링 영상 내에서 조사 대상 토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토지 현황을 판단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unit 200 compares a landing image in which a cadastral map is overlapped with a predetermined land survey target land, compares the cadastral map superimposed on the tiling image with the target land survey list, identifies the land to be surveyed in the tiling image, The land status of the target land can be judged.

토지 현황은, 예를 들어, 유휴 유형에 관한 정보(전면적 미활용, 일부 면적 미활용), 현황 지목에 관한 정보, (전, 답, 과수원, 대, 도로, 제방 하천 등), 활용 유형에 관한 정보(청/관사, 교육시설, 도로용지, 하천용지, 철도용지, 댐 지역, 공항지역, 임야 등), 무단 점유에 관한 정보(경작, 주택, 주차장, 가건물, 사무실, 상가, 공장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atus of land includes,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idle (unused whole area, partial unused area),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utilization (previous, answer, orchard,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tillage, house, parking lot, carpentry, office, shopping mall, factory, etc.) about unauthorized occupation . ≪ / RTI >

관리부(200)는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타일링 영상을 사용자에게 출력하거나 외부로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토지 현황을 입력받을 수 있다. The management unit 200 can output a tiled image of the land to be surveyed to the user or transmit the tiled image to the outside, and can receive the land status from the outside from the user or via the network.

또는, 관리부(200)는 타일링 영상으로부터 엣지, 특징점, 패턴, 색상 등을 추출하고, 이를 기저장된 현황 정보 데이터와 매핑하여 조사 대상 토지의 토지 현황을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관리부(200)는 현재의 타일링 영상과 이전에 누적된 타일링 영상을 비교하여 토지 현황을 판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management unit 200 may determine the land status of the land to be searched by extracting edges, minutiae, patterns, colors, and the like from the tiled image and mapping it with the pre-stored current information data. In various embodiments, the management unit 200 may compare the current tiling image with the previously accumulated tiling image to determine the land status.

다음으로, 관리부(200)는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판단된 토지 현황 정보를 서비스 제공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504).Next, the management unit 200 may transmit the image data of the land to be researched and the determined land status information to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504).

다양한 실시 예에서, 관리부(200)는 서비스 제공부(300)로부터 조사 대상 토지의 영상 데이터 및 판단된 토지 현황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피드백은 영상 데이터에 대한 평가 정보 및 판단된 토지 현황에 대한 오류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management unit 200 may receive feedback on the image data of the land to be searched and the determined land status from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The feedback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valuation information on image data and information related to an error of the determined land status.

관리부(200)는 수신된 피드백을 기초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정보, 드론 제어를 위한 정보 및 토지 현황 정보 등을 수정/갱신할 수 있다. 관리부(200)는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정보, 드론 제어를 위한 정보 등을 촬영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unit 200 can modify / update the information about the land to be searched,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drones,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feedback. The management unit 200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land to be searched,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drone, and the like to the photographing unit 10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지 조사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부의 토지 조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and survey method of a service providing unit in the land surve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부(300)는 먼저 관리부(200)로부터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토지 현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601).Referring to FIG. 6,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may receive the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survey target land from the management unit 200 (601).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부(300)는 수신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영상 데이터 및 토지 현황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602). Next,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displays the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received land to be surveyed, and provides the displayed information to the user (602).

서비스 제공부(300)는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영상 데이터 및 토지 현황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받은 피드백을 관리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service providing unit 300 can receive the feedback on the displayed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can transmit the received feedback to the management unit 20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 토지 조사 시스템
100: 촬영부
200: 관리부
300: 서비스 제공부
1: Land survey system
100:
200:
300: Service Offering

Claims (14)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 대상 토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생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토지 현황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이 상기 촬영 대상 토지 상을 비행하는 동안 상기 촬영 대상 토지에 대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 각각을 타일링하여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분석하여, 상기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상기 토지 현황을 도엽 단위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토지 현황을 출력하거나 외부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 내에서 식별되는 임의의 객체에 대하여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을 판단하고, 상기 임의의 객체를 분석하여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의 상기 토지 현황을 판단하되, 상기 임의의 객체가 복수 개의 도엽 상에 존재하면 상기 임의의 객체의 속성을 기초로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 조사 시스템.
A photographing unit for generating image data of a land to be photographed using at least one drones; And
And a management unit for determining the land status of the land to be searched based on the image data generat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and providing the land status to the user,
Wherein,
Control to collect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for the photographing target land and a plurality of meta 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while the at least one drones fly over the photographing target land image, Generating at least one orthoimage using the original images and the plurality of meta data,
Wherein,
A plurality of tiling images are generated by tiling each of the at least one orthoimage to analyze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to determine the land status for the land to be searched in units of the map, Or transmit it to the outside and provide it to the user,
Wherein,
Determining a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in an arbitrary object identified in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analyzing the arbitrary object to determine the land status of the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If the object of the arbitrary object exists on the plurality of map images, judges the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arbitrary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에 대하여, 중복하여 촬영된 토지 영역 부분을 중첩하고, 중첩된 영상에 대한 왜곡을 보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 조사 시스템.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orthographic image is generated by superimposing overlappingly captured land area portions on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nd correcting distortion of the overlapped ima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기설정된 개수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각의 영상을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 조사 시스템.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orthographic image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number and each divided image is generated as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지적도와 중첩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로부터 기설정된 상기 조사 대상 토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상기 토지 현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 조사 시스템.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nd survey system identifies the predetermined land to be surveyed from the plurality of tiled images by superimposing the plurality of tiled images on the cadastral map and determines the land status for the identified land to be survey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로부터 기설정된 상기 조사 대상 토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지적도와 중첩하여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상기 토지 현황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 조사 시스템.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Displaying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superimposed on the cadastral map so as to identify the predetermined land to be searched from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and inputting the land status of the identified land to be searched from the user Land survey system that featu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임의의 객체가 복수 개의 도엽 상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객체의 무게 중심에 대응하는 도엽을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 조사 시스템.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If the arbitrary object exists on a plurality of map images, determines a map corresponding to a center of gravity of the arbitrary object as a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제1항에 있어서,
행정 재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서비스 제공부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하여 판단된 상기 토지 현황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 조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rvi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administrative property management service,
Wherein,
Wherein the service providing unit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land to be searched by the service providing unit.
적어도 하나의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된 토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토지 현황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토지 현황을 출력하거나 외부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이 상기 촬영 대상 토지 상을 비행하는 동안 수집되는 상기 촬영 대상 토지에 대한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메타데이터, 상기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토지 현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 각각을 타일링하여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분석하여, 도엽 단위로 상기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상기 토지 현황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토지 현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 내에서 식별되는 임의의 객체에 대하여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객체를 분석하여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의 상기 토지 현황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임의의 객체가 복수 개의 도엽 상에 존재하면, 상기 임의의 객체의 속성을 기초로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 조사 방법.
Collecting image data for the photographed land using at least one drones;
Analyzing the collected image to determine the land status of the land to be surveyed; And
And outputting or transmitting the determined land status to a user,
The image data may include: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for the photographing target land and a plurality of meta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collected while the at least one drones fly over the photographing target land image, And at least one orthoimage generated using the plurality of metadata,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and status comprises:
Generating a plurality of tiling images by tiling each of the at least one ortho images; And
Analyzing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to determine the land status of the land to be searched in units of leaflets,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and status comprises:
Determining a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to an arbitrary object identified in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And
And analyzing the arbitrary object to determine the land status of the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comprises:
And judging a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arbitrary object when the arbitrary object exists on the plurality of map imag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은,
상기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에 대하여, 중복하여 촬영된 토지 영역 부분을 중첩하고, 중첩된 영상에 대한 왜곡을 보정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 조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t least one orthoimage comprises:
Wherein the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are generated by overlapping overlapping photographed land area portions and correcting distortion of the overlapped imag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사 영상을 기설정된 개수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각각의 영상을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 조사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generating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comprises:
Dividing the at least one orthoimage into a predetermined number; And
And generating the divided images as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지 현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지적도와 중첩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로부터 기설정된 상기 조사 대상 토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상기 토지 현황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 조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etermining the land status comprises:
Identifying the predetermined land to be surveyed from the plurality of tiled images by superimposing the plurality of tiled images on the cadastral map; And
And determining the land status for the identified land to be survey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지 현황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로부터 기설정된 상기 조사 대상 토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타일링 영상들을 지적도와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된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한 상기 토지 현황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 조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etermining the land status comprises:
Displaying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superimposed on the cadastral map so that the predetermined land to be searched can be identified from the plurality of tiling images; And
And receiving the land status for the identified land to be surveyed from the us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임의의 객체가 복수 개의 도엽 상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객체의 무게 중심에 대응하는 도엽을 상기 임의의 객체가 속한 도엽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 조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a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comprises:
If the arbitrary object exists on a plurality of map areas, determining a map corresponding to a center of gravity of the arbitrary object as a map to which the arbitrary object belong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행정 재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로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조사 대상 토지에 대하여 판단된 상기 토지 현황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지 조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image data and the land status determined for the land to be surveyed to the servi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administrative property management service.
KR1020170054621A 2017-04-27 2017-04-27 Land research system using drones and method thereof KR1017970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621A KR101797006B1 (en) 2017-04-27 2017-04-27 Land research system using drone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621A KR101797006B1 (en) 2017-04-27 2017-04-27 Land research system using drones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006B1 true KR101797006B1 (en) 2017-11-13

Family

ID=6038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621A KR101797006B1 (en) 2017-04-27 2017-04-27 Land research system using drones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006B1 (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316B1 (en) 2018-11-15 2019-06-07 (주)엔젤스윙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construction work
KR20190063063A (en) 2017-11-29 2019-06-07 (주)엔젤스윙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rone data by connecting customer and provider
KR20190063062A (en) 2017-11-29 2019-06-07 (주)엔젤스윙 Method and Device for visualizing the change in topography
KR20190063057A (en) 2017-11-29 2019-06-07 (주)엔젤스윙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rone data by connecting customer and provider
KR101959203B1 (en) * 2018-05-16 2019-06-28 박관헌 A system for judging the land elevation for land survey and Method thereof
KR102014288B1 (en) * 2019-02-20 2019-08-26 주식회사 더원테크 Development pressure prediction metho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drone
KR102061830B1 (en) * 2018-02-14 2020-01-02 윙스투미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nmanned aerial vehicles mediated bussiness platform
KR102065271B1 (en) * 2018-09-07 2020-02-11 한국공항공사 Method and device of analysing radio and image in aviation sector using dron
KR20200056901A (en) 2019-05-30 2020-05-25 (주)엔젤스윙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construction work
KR102376912B1 (en) * 2020-10-07 2022-03-23 한국국토정보공사 Land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11657437B2 (en) 2017-11-29 2023-05-23 Angelsw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rone data by matching user with provider
WO2023101146A1 (en) * 2021-12-03 2023-06-0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bakanae disease identification based on image information
CN116957883A (en) * 2023-07-25 2023-10-27 南京智绘星图信息科技有限公司 Construction land use control method based on data analysi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396B1 (en) 2007-06-15 2008-01-17 (주)한양 Method for monitoring altered city using airborne laser surveying data and digital orthophoto
KR100930643B1 (en) * 2009-06-29 2009-12-09 중앙항업(주) Method of resampling high resolution digital multi band imagery from line sensor into frame type imagery to construct gis(uis), digital map and 3d spatial information using gournd control point and gps/ins data
KR101566167B1 (en) 2015-04-22 2015-11-05 (주)이지스 Method for Rendering of Object using Geomorphic data in 3D space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396B1 (en) 2007-06-15 2008-01-17 (주)한양 Method for monitoring altered city using airborne laser surveying data and digital orthophoto
KR100930643B1 (en) * 2009-06-29 2009-12-09 중앙항업(주) Method of resampling high resolution digital multi band imagery from line sensor into frame type imagery to construct gis(uis), digital map and 3d spatial information using gournd control point and gps/ins data
KR101566167B1 (en) 2015-04-22 2015-11-05 (주)이지스 Method for Rendering of Object using Geomorphic data in 3D space information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626B1 (en) * 2017-11-29 2019-12-23 (주)엔젤스윙 Method and Device for visualizing the change in topography
KR20190063062A (en) 2017-11-29 2019-06-07 (주)엔젤스윙 Method and Device for visualizing the change in topography
KR20190063057A (en) 2017-11-29 2019-06-07 (주)엔젤스윙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rone data by connecting customer and provider
US11657437B2 (en) 2017-11-29 2023-05-23 Angelsw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rone data by matching user with provider
KR20190063063A (en) 2017-11-29 2019-06-07 (주)엔젤스윙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rone data by connecting customer and provider
KR102061830B1 (en) * 2018-02-14 2020-01-02 윙스투미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nmanned aerial vehicles mediated bussiness platform
KR101959203B1 (en) * 2018-05-16 2019-06-28 박관헌 A system for judging the land elevation for land survey and Method thereof
KR102065271B1 (en) * 2018-09-07 2020-02-11 한국공항공사 Method and device of analysing radio and image in aviation sector using dron
KR101986316B1 (en) 2018-11-15 2019-06-07 (주)엔젤스윙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construction work
KR102014288B1 (en) * 2019-02-20 2019-08-26 주식회사 더원테크 Development pressure prediction metho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drone
KR20200056901A (en) 2019-05-30 2020-05-25 (주)엔젤스윙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construction work
KR102376912B1 (en) * 2020-10-07 2022-03-23 한국국토정보공사 Land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O2023101146A1 (en) * 2021-12-03 2023-06-0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bakanae disease identification based on image information
CN116957883A (en) * 2023-07-25 2023-10-27 南京智绘星图信息科技有限公司 Construction land use control method based on data analysis
CN116957883B (en) * 2023-07-25 2024-04-05 南京智绘星图信息科技有限公司 Construction land use control method based on data analys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006B1 (en) Land research system using drones and method thereof
Laliberte et al. UAS remote sensing missions for rangeland applications
Koeva et al. Using UAVs for map creation and updating. A case study in Rwanda
US10339663B2 (en) Generating georeference information for aerial images
US201501308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events
JP2018146546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dams et al. Unmanned aerial vehicle data acquisition for damage assessment in hurricane events
van Aardt et al. Geospatial disaster response during the Haiti earthquake: A case study spanning airborne deployment, data collection, transfer, processing, and dissemination
KR101874498B1 (en) System and Method for Aerial Photogrammetry of Ground Control Point for Space Information Acquisition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CN111275396B (en) Novel method for collecting and changing pattern spot photo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50070392A1 (en) Aerial video annotation
US20230064675A1 (en) Pt/pt-z camera command, control & visualization system and method
JP7079125B2 (en) Aerial photography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Starek et al. Application of unmanned aircraft systems for coastal mapping and resiliency
CN112633114A (en) Unmanned aerial vehicle inspection intelligent early warning method and device for building change event
Zein Fit-For-Purpose Land Administration: An implementation model for cadastre and land administration systems
Zaréa et al. First steps in developing an automated aerial surveillance approach
KR101674033B1 (en) Image mapping system of a closed circuit television based on the three dimensional map
Suo et al. UAV data for coastal dune mapping
Puripanda et al. Best practice of utilizing drones for surveying and mapping in the Bahrain oil field
Maguir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Structure from Motion" Software to Monitor Coastal Erosion in Southeast Florida
Um et al. Imaging Sensors
Adami et al. Lessons Learnt from the High Resolution Uas Photogrammetric Survey of a Historic Urban Area: Unesco Site of Sabbioneta
CN110276254B (en) Unmanned aerial vehicle-based automatic recognition and early warning method for bootlegged area bootlegged
Brooks et al. Evaluating the use of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transportation purpo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