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691B1 -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 Google Patents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691B1
KR101796691B1 KR1020160077992A KR20160077992A KR101796691B1 KR 101796691 B1 KR101796691 B1 KR 101796691B1 KR 1020160077992 A KR1020160077992 A KR 1020160077992A KR 20160077992 A KR20160077992 A KR 20160077992A KR 101796691 B1 KR101796691 B1 KR 101796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put
function
mod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흥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7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691B1/ko
Priority to EP16180390.3A priority patent/EP326106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ogether with a coded signal, e.g. in the for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k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r biometric data
    • G07F7/1025Identification of user by a PIN code
    • G07F7/1083Counting of PIN attemp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3/00Time locks
    • E05B43/005Timer devices controlling electrically operate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6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by sensing the presence of a person, e.g. body heat sens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by means of a passwor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한다. 입력부는, 복수의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용 정보 및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개인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다. 잠금기능부는,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정 상태로 전환한다. 제어부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인증 정보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정보를 재입력받아 재비교하고, 불일치 횟수가 판단횟수에 도달하면 입력부의 입력 동작을 중지시켜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한다. 특히, 본 디지털 도어록은,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와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는 기능 및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할 때 유사도가 소정 기준값 이상이면 강제 차단 모드를 유지하는 차단시간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구현하는 기능확장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DIGITAL DOOR LOCK HAVING DETACHABLE FUNCTION EXTENSION MODULE}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확장모듈이 착탈가능한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종래의 기계식 도어락이 지닌 취약성을 고려하여, 마그네틱 카드 방식 또는 IC 카드 방식을 포함하는 전자 키(key)로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락, 비밀번호를 수동 입력하여 개폐하는 도어락 등의 다양한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심지어는 음성, 지문, 얼굴, 홍채, 혈관 패턴 등 인체의 특정한 부위의 고유성을 이용하는 생체 인식 도어락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락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키가 접촉되거나 비접촉 방식으로 접근될 때 전자 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수단, 사용자가 직접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키패드,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 지문을 스캔하기 위한 스캐너, 얼굴 또는 홍채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부당한 침입자가 부정하게 도어락을 조작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부정확한 정보가 여러 번 반복하여 입력되는 것이 감지되면, 미리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도어락의 전체 동작을 차단하거나 도어락의 입력부의 동작을 차단하는 강제 차단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보통의 도어락은, 비밀번호를 5번 잘못 입력했거나 부정확한 전자 키를 5회 접촉시킨 경우에 강제 차단 모드로 3분 동안 동작되도록 구현되어 있다.
하지만, 정당한 사용자일지라도 비밀번호를 실수로 잘못 입력할 수도 있고, 전자 키를 잘못 접촉시킬 수 있다. 심지어는 지문 또는 얼굴이 불완전하게 촬영되어 인증이 실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3분간 대기해야 한다면, 정당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불편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당한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도어락이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될 때, 강제 차단 모드로 유지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제 차단 모드와 관련한 추가 기능을, 기존의 도어락에 간단하게 부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은, 복수의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용 정보 및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개인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잠금기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미리등록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잠금기능부를 제어하여 도어를 해정 상태로 전환하고, 입력된 상기 사용자 정보가 상기 인증 정보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재입력받아 재비교하고, 불일치 횟수가 판단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입력부의 입력 동작을 중지시키는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특히,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기능확장모듈이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된 상기 기능확장모듈과 상기 제어부와의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기능확장모듈은: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는 기능 및 상기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할 때 상기 재입력시 입력된 상기 사용자 정보들의 상기 유사도가 소정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강제 차단 모드를 유지하는 차단시간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고, 이로써,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듈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기능확장모듈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제공받아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용 정보는,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수동으로 입력가능한 복수의 숫자 또는 문자를 포함하는 비밀번호이고, 상기 개인화 정보는, 사용자의 지문, 얼굴, 홍채, 혈관 분포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된 정보 또는, 각 사용자에게 고유하게 할당된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데이터 전송 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유사도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 상기 사용자 정보가 소정 갯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차단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개인화 정보가 허용된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와 불일치하고 상기 불일치 횟수가 상기 판단횟수에 도달하여 상기 입력부의 동작이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상기 강제 차단 모드를 유지하는 상기 차단시간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입력되는 상기 개인화 정보와 상기 허용된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유사도가 소정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부를 강제 차단 모드로 유지하는 차단시간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공용 정보에 의한 상기 불일치 횟수가 상기 판단횟수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공용 정보의 입력을 강제 차단하고, 상기 개인화 정보의 입력은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확장모듈이 상기 모듈장착부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프로그램을 제거하여 상기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은, 복수의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용 정보 및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개인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잠금기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미리등록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잠금기능부를 제어하여 도어를 해정 상태로 전환하고, 입력된 상기 사용자 정보가 상기 인증 정보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재입력받아 재비교하고, 불일치 횟수가 판단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입력부의 입력 동작을 중지시키는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기능확장모듈이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된 상기 기능확장모듈과 상기 제어부와의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기능확장모듈은: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상기 공용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공용 정보의 불일치 횟수가 상기 판단횟수에 도달하여 상기 입력부를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할 때, 상기 공용 정보의 입력은 강제 차단하고 상기 개인화 정보의 입력은 허용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고, 이로써,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듈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기능확장모듈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제공받아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은, 복수의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용 정보 및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개인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잠금기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미리등록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잠금기능부를 제어하여 도어를 해정 상태로 전환하고, 입력된 상기 사용자 정보가 상기 인증 정보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재입력받아 재비교하고, 불일치 횟수가 판단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입력부의 입력 동작을 중지시키는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기능확장모듈이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된 상기 기능확장모듈과 상기 제어부와의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기능확장모듈은: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상기 공용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와의 상기 불일치 횟수가 상기 판단횟수에 도달하여 상기 입력부를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하여 유지하는 차단시간과 상기 개인화 정보의 상기 불일치 횟수에 의하여 상기 입력부를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하여 유지하는 차단시간을 차등화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고, 이로써,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듈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기능확장모듈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제공받아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에 의하면, 정당한 사용자임에도 불구하고 조작 실수나 환경조건에 의하여 정확하게 인증되지 않아서 도어록이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를 식별하고, 이런 경우에는 강제 차단 모드를 유지하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정당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단지 기능확장모듈을 장착하는 것만으로, 상기 기능을 추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기능확장모듈이 착탈가능한 도어락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도어락에 있어서 강제차단 기능이 수행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능확장모듈이 장착되는 경우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강제 차단 모드를 차등 적용하는 동작 방식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먼저, 도 1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확장모듈이 착탈가능한 도어락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어록(100)은, 임의의 사용자가 자신에게 할당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입력부(120)와,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잠금기능부(110)와,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미리등록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양자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는 잠금기능부(110)를 제어하여 도어를 해정 상태로 전환하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상기 인증 정보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도어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미리등록된 인증 정보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재입력받을 수 있으며, 재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인증 정보와 재비교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상기 불일치로 판정된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카운트된 횟수가 미리지정된 횟수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에는, 현재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있는 사용자가 부당한 사용자인 것으로 간주하고, 도어록(100)을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한다.
더욱, 제어부(130)는, 기능확장모듈(15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실행시킬 수 있으며,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도어록(100)의 각 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강제 차단 모드는, 도어록의 모든 기능 또는 적어도 입력부의 동작을 미리설정된 차단시간 동안 차단하는 동작 모드이다. 예를 들면, 5회의 부정한 조작이 감지되면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되고, 3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인 공용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공용 정보 입력부(122)와, 각자의 사용자에 대하여 고유하게 설정된 사용자 정보인 개인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개인화 정보 입력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공용 정보는, 예를 들면,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비밀번호일 수 있으며, 공용 정보 입력부(122)는 상기 문자와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화 정보는, 예를 들면, 음성, 지문, 홍채, 얼굴, 혈관 패턴 등일 수 있으며, 개인화 정보 입력부(124)는, 마이크, 스캐너,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인화 정보는, 각 개인마다 배정된 아이 버튼(i button), 마그네틱 카드, IC 카드, 블루투스 칩, NFC 칩 등과 같은 디지털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디지털 고유 정보일 수 있으며, 개인화 정보 입력부(124)는 상기 디지털 정보 저장 수단과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장착부(105)는, 기능확장모듈(150)을 장착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기능확장모듈의 결합부(155)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확장모듈(150)은, 도어록의 모듈 장착부(105)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기능확장모듈(150)은, 모듈 장착부(105)의 통신 인터페이스와 결합되어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결합부(155)와, 도어록의 제어부(130)에 제공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제공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장착부(105)와 결합부(155)는 전기접점을 이용하는 접촉식 유선 통신뿐 아니라,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 제공부(156)는, 제어부(130)가 기존에 탑재하고 있는 기본(default) 기능에 추가할 수 있도록 설계된 확장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도어록의 모듈 장착부(105)에 기능확장모듈의 결합부(155)가 결합되면, 프로그램 제공부(156)가 상기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어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능확장모듈(150)은 단순한 데이터 저장 수단일 수 있으며, 도어록의 제어부(130)는 기능확장모듈(150)이 장착되면, 기능확장모듈(150)에 저장된 데이터(즉, 확장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를 읽어들여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기능확장모듈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강제 차단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추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도어록에서 제공하는 강제 차단 모드의 동작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도어록(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키패드를 조작하거나 전자 키를 접근시키거나 지문을 인식시키는 등에 의해, 비밀번호, 디지털 고유 정보 또는 지문 정보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10). 도어록(100)은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미리저장하고 있는 등록된 사용자로부터의 인증 정보와 비교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20). 비교의 결과, 사용자 정보와 인증 정보가 서로 일치하였다면, 도어록(100)은 잠금 상태를 해정 상태로 전환하게 될 것이다(S35).
만일, 사용자 정보와 인증 정보가 서로 불일치하였다면(S30), 불일치로 판정된 횟수를 카운트업하고, 그 횟수가 미리설정된 판단횟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S40). 만일 불일치 횟수가 판단횟수에 미달하였다면, 입력부(120)의 동작을 여전히 허용하여 사용자 정보가 재입력될 수 있도록 허용하고(S45), 재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인증 정보를 재비교하는 인증 절차를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재입력을 허용하여 재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재비교하는 인증 절차를 반복하는 도중에, 카운트된 불일치 횟수가 판단횟수에 도달하였다면, 현재 인증을 시도하고 있는 사용자가 부당한 사용자인 것으로 판정하고, 도어록(100)을 구성하는 구성부의 전부 또는 일부(적어도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음)를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한다(S50).
강제 차단 모드는 미리 설정된 차단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으며, 차단시간 동안 강제 차단 모드로 유지된 후에는, 강제 차단된 구성부들을 재활성화시켜 사용자 정보의 입력을 다시 허용하게 된다(S60).
추가 실시예에서, 강제 차단 모드를 경험한 후 입력부(120)가 재활성화된 경우에는,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판단횟수를 줄여서 상기 인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확장모듈이 장착되는 경우의 동작 방식을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동작하는 일반적인 도어록(100)은, 기능확장모듈(150)이 결합되면, 도 3과 같은 확장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먼저, 도어록(100)의 모듈 장착부(105)에 기능확장모듈(150)이 결합되면(S110), 제어부(130)는 기능확장모듈의 프로그램 제공부(156)와 통신하고, 프로그램 제공부(156)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다(S120). 다운로드된 프로그램은 제어부(130)에 의해 실행되어 확장 기능이 활성화된다.
이 프로그램은 사용자 정보가 입력될 때,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와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유사도를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 그리고, 강제 차단 모드를 유지하는 차단시간을 조건에 따라서 감소시키는 기능을 구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에,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조작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면(S140), 제어부(130)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미리저장된 인증 정보를 서로 비교한다(S140). 비교는 유사도 계산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S150).
일반적인 도어록은 단지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인증 정보가 "동일"한지를 비교하는 기능만을 구비할 수 있으나, 기능확장모듈(150)로부터 다운로드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는 확장 기능에 의하면 사용자 정보와 인증 정보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유사도는 사용자 정보를 구성하는 이진(binary) 정보와 인증 정보를 구성하는 이진 정보의 동일성을 평가하고,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편차(deviation)를 평가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간단한 예를 들면, 각 정보가 10개의 문자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 모든 문자가 서로 동일하면 유사도는 100%일 수 있다. 만일 9개의 문자가 서로 동일하면 유사도는 90%일 수 있으며, 5개의 문자가 동일하면 유사도는 50%일 수 있다.
다른 계산 방식에서는, 더욱 복잡한 계산식에 의하여, 유사도를 계산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정보에 대하여 계산된 유사도는 별도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만일, 계산된 유사도가 100%이거나 또는 서로 불일치하지만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정도이면, 도어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65) (사용자 정보가 예를 들어 지문 정보인 경우에는, 인증 정보와 100% 일치하는 유사도가 계산될 수는 없을 것이므로, 유사도의 허용 범위를 지정하고 계산된 유사도가 허용 범위에 부합할 경우에,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또는 인증 성공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한편, 계산된 유사도가 서로 불일치하는 경우, 또는, 유사도가 허용 범위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는(S160), 불일치 횟수를 카운트업하고, 카운트업된 불일치 횟수가 판단횟수에 도달하였는지 검사한다(S170).
만일, 불일치 횟수가 판단횟수에 미달하였다면, 입력부(120)를 동작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여 사용자 정보를 재입력받고(S175), 재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비교인증 절차를 반복할 수 있다(S140).
한편, 불일치 횟수가 판단횟수에 도달한 경우에는, 적어도 입력부(120)를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180).
강제 차단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기능확장모듈(150)에 의해 추가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이때까지 계산된 유사도(사용자 정보가 입력되기 시작하여 복수 회 불일치 판정됨으로써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될 때까지의 유사도로서, 5개의 유사도일 수 있음)를 분석하게 된다(S190).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가 10자리의 문자로 구성되며 판단횟수가 5회이고, 이전의 5번 동안 입력된 사용자 정보들의 유사도가 각각 10%, 70%, 90%, 80%, 80%로 계산되었다고 상정한다. 이때, 유사도가 80% 이상인 경우가 3회 이상이라면, 정당한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실수로 잘못 조작한 것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이렇게, 정당한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실수로 잘못 조작한 것이라고 판단되면(S200), 제어부(130)는 강제 차단 모드를 유지하도록 설정된 차단시간을 기본(default) 시간으로부터 소정 비율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설정되어 있던 3분을 1분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5번 동안 계산된 유사도 중 80% 이상인 경우가 2회 이하로 나타났다면, 부당한 사용자가 무작위로 입력부(120)를 조작하고 있다고 간주하고, 미리설정된 차단시간인 3분 동안 강제 차단 모드를 유지하도록 한다(S220).
이후, 차단시간이 종료하면, 제어부는 입력부(120)의 동작을 재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를 재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 방식에 의하면, 인증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었지만, 인증 정보와의 유사도가 소정 기준 범위에 부합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현재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있는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 것으로 간주하고, 강제 차단 모드에 의해 정당한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대기하여야 하는 시간을 줄여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이렇게 추가된 확장 기능은, 기능확장모듈(150)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만 활성화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기능확장모듈(150)이 모듈 장착부(105)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실행중인 상기 확장 기능을 삭제하거나 중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강제 차단 모드를 차등 적용하는 동작 방식을 설명한다. 본 방식은, 사용자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차단시간을 차등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먼저. 기능확장모듈(150)이 장착된 후 반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가 복수 회 이상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정되면(도 3의 단계(S110) 내지 단계(S170)를 참고한다), 제어부(130)는 도어록(100)을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180).
이때, 제어부(130)는,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의 종류를 식별한다(S182). 사용자 정보는, 키패드를 조작하여 입력되는 비밀번호, 전자 키 또는 IC 카드 등에 의해 입력되는 디지털 정보,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한 지문 정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얼굴 영상 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중에서, 비밀번호는, 하나의 비밀번호를 도어록(100)에 등록하여 두고(인증 정보), 도어록(100)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이 하나의 등록된 비밀번호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나의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공용 정보라고 지칭한다.
한편, 사용자의 지문 정보 또는 얼굴 영상 정보는 사용자 각자에 대하여 고유하며 다른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렇게 각 사용자별로 고유하게 할당될 수 있는 정보를 개인화 정보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공용 정보인지 개인화 정보인지를 식별한다(S184). 만일, 개인화 정보에 의하여 인증을 시도하는 도중에 불일치 횟수가 판단횟수에 도달하여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되었다면, 감소된 차단시간 동안만 강제 차단 모드를 유지하도록 한다(S186). 만일, 공용 정보에 의하여 인증을 시도하는 도중에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되었다면 정상적인 기본(default) 차단시간 동안 강제 차단 모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S188).
추가 실시예에서는, 도 4의 단계(S186)에서, 개인화 정보에 의한 인증을 시도하고 있는 도중이면서 그동안 입력된 5개의 개인화 정보 중에서 유사도가 80% 이상인 것이 3개 이상 나타날 때, 비로소 차단시간을 감소시키는 구성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 실시예에서는, 공용 정보에 의하여 인증을 시도하다가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있어서(S188), 다른 종류의 사용자 정보는 입력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189).
예를 들면, 비밀번호와 같은 공용 정보에 의하여 인증을 시도하다가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되면 키패드의 동작이 차단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아이 버튼, 지문, 홍채 등과 같은 개인화 정보에 의한 인증 시도는 여전히 사용할 수 있게 허용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잠시 잊어버렸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잘못입력하여 키패드가 차단되었더라도, 자신의 개인화 정보를 이용하여 추가로 인증을 시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 추가로, 어느 하나의 사용자 정보에 의한 인증 시도가 판단횟수만큼 실패하여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다른 종류의 사용자 정보에 의한 인증 시도가 허용되는 경우에는, 불일치 횟수와 비교되는 판단횟수가 이전보다 적게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복수의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키패드를 통해 수동으로 입력가능한 복수의 숫자 또는 문자를 포함하는 비밀번호 및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지문, 얼굴, 홍채, 혈관분포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된 개인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잠금기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미리등록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잠금기능부를 제어하여 도어를 해정 상태로 전환하고, 입력된 상기 사용자 정보가 상기 인증 정보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재입력받아 재비교하고, 불일치 횟수가 소정의 판단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입력부의 입력 동작을 중지시키는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으로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기능확장모듈이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된 상기 기능확장모듈과 상기 제어부와의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확장모듈은: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의 불일치 횟수가 상기 판단횟수에 도달하여 상기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불일치한 상기 사용자 정보들과 상기 인증 정보의 유사도들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유사도들 중 소정 기준값 이상인 것이 특정 개수 이상이면 상기 강제 차단 모드를 유지하는 차단시간을 감소시키는 기능과,
    입력되는 상기 비밀번호와 상기 인증 정보의 불일치 횟수가 상기 판단횟수에 도달하여 상기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을 상기 차단시간동안 강제 차단하되, 상기 차단시간동안 상기 개인화 정보의 입력은 허용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듈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기능확장모듈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제공받아 상기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개인화 정보가 허용된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와 불일치하고 상기 불일치 횟수가 상기 판단횟수에 도달하여 상기 입력부의 동작이 강제 차단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상기 개인화 정보의 불일치에 의하여 상기 강제 차단 모드를 유지하는 차단시간을 상기 비밀번호의 불일치에 의하여 상기 강제 차단 모드를 유지하는 차단시간에 비하여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입력되는 상기 개인화 정보와 상기 허용된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유사도가 소정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부를 상기 강제 차단 모드로 유지하는 차단시간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확장모듈이 상기 모듈장착부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프로그램을 제거하여 상기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8. 삭제
  9. 삭제
KR1020160077992A 2016-06-22 2016-06-22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KR101796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992A KR101796691B1 (ko) 2016-06-22 2016-06-22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EP16180390.3A EP3261063A1 (en) 2016-06-22 2016-07-20 Digital door lock having detachable function extension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992A KR101796691B1 (ko) 2016-06-22 2016-06-22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691B1 true KR101796691B1 (ko) 2017-11-10

Family

ID=5669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992A KR101796691B1 (ko) 2016-06-22 2016-06-22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261063A1 (ko)
KR (1) KR1017966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642B1 (ko) * 2019-06-14 2020-09-01 (주)위키박스 무선충전을 이용한 스마트 도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6323A (ja) * 2009-04-30 2009-08-06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情報処理装置
JP2010208554A (ja) * 2009-03-11 2010-09-24 Omron Corp 車両盗難防止装置、車両盗難防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05453A1 (de) * 1988-02-22 1989-08-31 Bks Gmbh Elektronisch-mechanisch arbeitende tuerverschlussanlage
JP2001202334A (ja) * 2000-01-21 2001-07-27 Fujitsu Ten Ltd ユーザ識別情報の検証システム
JP3620391B2 (ja) * 2000-02-23 2005-02-16 日本電気株式会社 指紋入力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画像判定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6189999A (ja) * 2005-01-04 2006-07-20 Fujitsu Ltd 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機器
JP4845057B2 (ja) * 2008-04-14 2011-12-2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8554A (ja) * 2009-03-11 2010-09-24 Omron Corp 車両盗難防止装置、車両盗難防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176323A (ja) * 2009-04-30 2009-08-06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情報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642B1 (ko) * 2019-06-14 2020-09-01 (주)위키박스 무선충전을 이용한 스마트 도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1063A1 (en)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88849B (zh) 用于在车辆上对用户进行认证的方法和装置
US10403073B2 (en) Intelligent lock,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nd intelligent safe deposit box
US2019026833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device of a motor vehicle
CN104851164B (zh) 一种具有生物特征识别功能的智能锁及其控制方法
WO2006043765A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by iris key system for door lock
CN110048998B (zh) 基于Token的身份验证方法及其***、智能门锁
KR20120122587A (ko) 지문 및 얼굴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기 보안장치 및 방법
CN106650361A (zh) 一种解锁方法及装置
EP3451216B1 (en) Multi-functional identification recognition system capable of recognizing the identity of users
JP2019137972A (ja) 情報処理装置
CN110298947B (zh) 一种开锁方法及电子锁
CN114120487A (zh) 一种汽车数字钥匙管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101796691B1 (ko)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CA3006190C (en) Electric lo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20024B1 (ko) 생체 인증 정보에 기반한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180009278A (ko) 디지털 도어락의 개방 인증 방법
CN105653918A (zh) 安全操作方法、安全操作装置和终端
CN111080844A (zh) 具有双解锁识别型式的门禁管制方法
CN110111463A (zh) 触屏智能门锁用户密码显示输入方法
KR101255733B1 (ko) 사이버 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KR20080095336A (ko) 사용자 인증장치 및 이 사용자 인증장치가 포함된 도어록장치
KR1006833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안 방법
CN108632247A (zh) 用于访问控制、家庭控制和警报***的安全认证的***和方法
KR102356836B1 (ko) 보안성이 향상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041925B1 (ko) 인체 통신 기반의 출입자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자 인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