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516B1 - 사물인터넷 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방법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방법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516B1
KR101792516B1 KR1020160069783A KR20160069783A KR101792516B1 KR 101792516 B1 KR101792516 B1 KR 101792516B1 KR 1020160069783 A KR1020160069783 A KR 1020160069783A KR 20160069783 A KR20160069783 A KR 20160069783A KR 101792516 B1 KR101792516 B1 KR 101792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bile terminal
application
vibration pattern
pa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3671A (ko
Inventor
장윤경
최철
제차모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7154589.0A priority Critical patent/EP3208700B1/en
Priority to US15/424,483 priority patent/US10172168B2/en
Publication of KR20170093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04W76/0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 방법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적어도 일면과 접촉되는 사물인터넷 기기가 인식되면, 지정된 진동패턴으로 진동을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진동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진동패턴 정보가 발생한 진동패턴과 동일하면,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와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간의 페어링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의 페어링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방법 및 제어방법{IOT DEVIC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WITH VIBRATION PAIRING}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 방법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기기(device)로 불리우는 무선통신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사물인터넷은 사물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을 의미한다. 사물인터넷 기기는 이러한 사물인터넷 구현이 가능하게 개발된 기기를 의미하는 바. 현재 다양한 종류의 사물인터넷 기기가 개발중에 있다.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 기기는 다른 기기와의 무선통신 기능이 필요한 바,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최근 개발중인 소형 사물인터넷 기기 (small IoT)는 심플(simple)한 외관에 휴대가능하고 프로그램된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개발되고 있다. 관련하여 도 1a~1d는 소형 사물인터넷 기기 (small IoT)의 다양한 외관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a는 원형 형상을 가지고 디스플레이 화면(예, LCD 화면창)이나 입력 버튼을 포함하지 않되, 상부에 LED 지시등만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1b는 원형 형상, 도 1c는 사각형 형상, 도 1d는 별 형상을 가지는 소형 사물인터넷 기기 (small IoT)의 일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단, 상기 도 1a~1d 이외에도 상이한 형태의 소형 사물인터넷 기기(small IoT)가 존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반면, 본 발명은 소형 사물인터넷 기기(small IoT)의 특정 형상보다는 내부 구성 및 기능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상기 소형 사물인터넷 기기(small IoT)의 내부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할 예정이다.
상기 소형 사물인터넷 기기 (small IoT)는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과 페어링(pairing)되어 활용되어 진다. 관련하여, 상기 소형 사물인터넷 기기 (small IoT)는 모양이 동일하고, 복수개가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와의 페어링에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종래 소형 사물인터넷 기기 (small IoT)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와의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201,202,203,204,205)가 존재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201,202,203,204,205)중 상단의 사물인터넷 기기(201)를 이동 단말기(100)와 페어링하기를 원한다고 가정하자. 하지만, 전문적인 지식이나 경험이 없는, 일반적 사용자는 상기 페어링 대상이 되는 사물인터넷 기기(201)의 기기명(예, "Monkey::ba56")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므로 페어링에 많은 불편을 느끼게 된다. 또한, 블루투스 표준(또는 블루투스 저전력 모드(BLE) 표준)에 의하면, 사물인터넷 기기간의 식별을 위해 128비트(bits)로 구성된 고유의 식별번호(UUID :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가 사물인터넷 기기별로 부여된다. 그러나, 기기명(예, "Monkey::ba56", "Monkey::dabd" 등)과 더불어 상기 기기 식별번호(UUID)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도 2b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근거리통신 기기 검색 기능(예, "BLE Device Scan 기능")을 실행한 결과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행 결과로, 도 2b의 검색 결과 화면내에는 이동 단말기 주변에 존재하는 복수의 블루투스 기기들(201~208)이 해당 기기명 및 식별번호(UUID)로 제공되어 진다. 예를 들어, 검색 화면내 201~205로 표시되는 기기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동 단말기 주변에 존재하는 소형 사물인터넷 기기들을 표시한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검색 화면내 206~208로 표시되는 기기는 이동 단말기(100)의 근거리통신 범위내에 존재하는 또 다른 무선통신 기기들(예, 스마트폰, 노트북 등)을 표시한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해당 검색 화면내에서 페어링을 원하는 기기를 선택하여야 하나, 원하는 사물인터넷 기기(예, 201 "Monkey::ba56")의 정확한 기기명이나 식별번호(UUID)를 모르는 경우, 잘못된 기기를 선택하여 페어링하거나 또는 페어링을 포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만약 사용자가 페어링을 원하는 사물인터넷 기기(201)의 정확한 기기명(예, "Monkey::ba56") 이나 식별번호(UUID)를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기기와 페어링을 위해서는 다수의 단계, 예를 들어, 스캐닝(scanning)단계, 선택(selection)단계 및 연결(connection)단계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간의 페어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관련하여, 본 발명은 일예로 사물인터넷 기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이 필요한 소형 블루투스 기기 모두에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소형 사물인터넷 기기간의 직관적이고 편리한 페어링(pairing)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페어링 방법을 활용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관적이고 편리한 페어링(pairing)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구조 및 사물인터넷 기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적어도 일면과 접촉되는 사물인터넷 기기가 인식되면, 지정된 진동패턴으로 진동을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진동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진동패턴 정보가 발생한 진동패턴과 동일하면,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와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가 이동 단말기 화면 상단에 접촉시, 기 정의된 복수의 진동패턴중 어느 하나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진동패턴은 이동 단말기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각각 대응되도록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 화면상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화면 상단에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를 접촉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진동패턴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페어링(pairing) 수행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타입에 적합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물인터넷 기기과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무선통신부,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의 접촉을 인식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의 접촉이 인식되면 지정된 진동패턴으로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상기 진동패턴과 동일한 진동패턴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사물인터넷 기기와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진동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복수의 진동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화면 상단에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를 접촉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진동패턴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어링(pairing) 수행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타입에 적합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진동영역을 별도로 구비하고, 해당 진동영역내에 사물인터넷 기기가 접촉시에만 상기 지정된 진동패턴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기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수단, 외부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인식하는 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센서를 통해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된 진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된 진동패턴 정보중 발생된 진동과 일치하는 진동패턴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고,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별 페어링을 수행한 후, 복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동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1회 페어링을 수행한 후, 복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로부터 다운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별 페어링을 수행한 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기능만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적어도 일면과 접촉되는 사물인터넷 기기가 인식되면, 지정된 진동패턴으로 진동을 발생하고, 사물인터넷 기기가 해당 진동패턴을 인식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간에 정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현하기 위한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페어링이후, 상기 정의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이동 단말기 및 사물인터넷 기기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페어링된 사물인터넷 기기는 상기 정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적어도 일면과 접촉되는 사물인터넷 기기가 인식되면, 지정된 진동패턴으로 진동을 발생하고, 사물인터넷 기기가 해당 진동패턴을 인식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간에 정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현하기 위한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페어링이후, 상기 정의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이동 단말기 및 사물인터넷 기기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페어링된 사물인터넷 기기에 대해 상기 정의된 어플리케이션외에 다른 기능의 어플리케이션 추가를 원하는 경우, 추가를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상기 제1 단계 및 제2 단계를 다시 수행하고, 이후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하나의 기기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간의 페어링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의 페어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을 위해, 일반적으로 수행되었던 스캐닝(scanning) 단계, 선택(selection) 단계 및 연결(connection) 단계를 없애고, 사물인터넷 기기를 이동 단말기와 접촉시킴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 단말기 및 사물인터넷 기기가 상호 연동하여 페어링되므로, 불필요한 연결 대기시간을 줄여주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간의 페어링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이 구비된 사물인터넷 기기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 ~ 1d은 본 발명과 관련된 사물인터넷 기기의 외관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2b는 종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와의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b 및 3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간의 진동패턴을 이용한 페어링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된 각 어플리케이션별 진동영역이 설정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상에 하나의 진동영역이 설정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진동패턴 타입 및 진동 파라미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각 어플리케이션별 정의된 진동패턴 타입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동패턴 싱크(sync) 판단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복수 어플리케이션 기능 구현이 가능한 사물인터넷 기기의 페어링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부" 및 "수단"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b 및 3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활용하여 주변의 사물인터넷 기기와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메모리(170)는 진동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3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b 및 3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body)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3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3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3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기(100) 및 사물인터넷 기기간의 페어링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 사물인터넷 기기의 기능 및 사용 태양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물인터넷 기기(400)는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된 후 설계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사물인터넷 기기가 수행 가능한 기능을 도안으로 표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미아방지 기능(401), 도어 알림 기능(402), 전등 제어 기능(403), 주차 자동차 찾기 기능(404), 알람 기능(405), 위급상황 알림 기능(406), 헬스 트레이닝 푸쉬업 기능 (407), 수면 측정 기능(408), 골프 자세 교정 기능(409), 사진 찍기 기능(410), 전화 걸기 기능(411), 헬스 트레이닝 자세교정 기능 (412), 음악 컨트롤 기능(413), 타이머 기능(414)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제시된 기능이외에 다른 다양한 기능들이 사물인터넷 기기에 적용될수 있으면 자명하다. 상기 기능들 중 일부 기능 몇가지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사물인터넷 기기는 미아방지 기능(401)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와 어린 자녀가 함께 놀이공원이나 백화점등 사람들이 많이 몰리고 복잡한 장소에 같이 가는 경우, 자녀에게 미아방지 기능(401)이 장착된 사물인터넷 기기(400)를 목걸이 형태 또는 자녀 신체 일부에 부착하여 둔다. 상기 미아방지 기능(401)이 장착된 사물인터넷 기기를 휴대한 자녀가 부모로부터 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는 경우, 부모의 이동 단말기로 해당 사물인터넷 기기의 위치(즉, 자녀의 위치)를 표시해주는 자동 알람메세지(alarm message) 또는 음성경고가 발생된다. 따라서, 부모는 자녀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미아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된다. 또한, 자녀가 위급상황에서 사물인터넷 기기(400) 본체를 더블탭(double tap) 하면 부모에게 바로 알람메세지 및 전화 연결이 되도돌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미아방지 기능중 알람메세지 전달 기능은, 중요 물품(예, 핸드백) 도난 방지에도 응용할 수 있으며, 해당 물품속에 휴대하도록 하여 도난 방지를 에방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기기는 음악 컨트롤 기능(413)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로부터 음악을 재생하여 듣는 경우, 음악 컨트롤 기능(413)이 설계된 사물인터넷 기기(400)를 사용자 주변에 두고, 이동 단말기가 아닌 사물인터넷 기기(400)를 이용하여 음악 컨트롤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기기(400)를 더블탭(double tap)하여 음악을 재생시키거나, 사물인터넷 기기(400) 본체를 좌,우 회전시켜 볼륨조절이 가능하게 하거나, 더블탭으로 다음 음악을 재생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은 미리 설정되어 메뉴얼로 프로그램되어 있다.
사물인터넷 기기는 전등 제어 기능(403)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장소(예, 가정, 사무실, 공원 등)내에 포함된 전등을 컨트롤하는 전등컨트롤 게이트웨이(gateway)가 구비된 상태에서, 전등 제어 기능(403)이 장착된 사물인터넷 기기(400)를 활용하여 해당 장소내의 모든 전등을 일괄 또는 순차적으로 소등 또는 점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기기(400)를 더블탭하여 일괄 또는 순차적으로 소등할 수 있고, 사물인터넷 기기(400) 본체를 좌,우 회전시켜 전등 밝기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은 미리 설정되어 메뉴얼로 프로그램되어 있다.
상기 예로 제시한 미아방지 기능(401), 음악 컨트롤 기능(413), 전등 제어 가능(403)과 유사한 방식으로 나머지 기능들 및 새로운 다양한 기능들을 사물인터넷 기기(400)를 활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 사물인터넷 기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사물인터넷 기기(400)는 이동 단말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수단(501), 진동패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1 메모리(50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제2 메모리(504),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5),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506) 및 상기 구성요소들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5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미도시하였으나, 사물인터넷 기기(400)의 응용 기능에 따라, 마이크(microphone), 스피커(speaker), 점멸LED,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관련하여, 상기 무선 통신수단(501)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이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저전력 환경에 더욱 적합한 블루투스 저전력 모듈(BLE module)을 채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단, 이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일예에 불과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블루투스 방식으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사물인터넷 기기에 적합한 새로운 무선통신 기술이 개발된다면 이를 적용하여 사물인터넷 기기를 개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제1 메모리(503) 및 제2 메모리(50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할된 별도의 메모리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메모리내에 함께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관련하여, 상기 제1 메모리(503)에 저장된 진동패턴 정보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발생한 진동의 진동패턴을 인식하게 되면, 해당 진동이 상기 저장된 진동패턴 정보중 어디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데 활용되어진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할 예정이다. 또한, 상기 제2 메모리(504)에 저장된 실행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도 4에서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메모리(504)에 저장된 실행 프로그램은 사물인터넷 기기(400) 최초 제작시 미리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후술할 이동 단말기와의 페어링 이후 이동 단말기로부터 다운받은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505)는 상기 제2 메모리(504)에 저장된 실행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된 메뉴얼(manual)에 따라, 기 정의된 방식의 사용자 입력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메모리(504)에 저장된 실행 프로그램이 음악 컨트롤 기능(401)인 경우, 사물인터넷 기기(400)의 본체를 더블탭 하거나 좌,우 회전하는 동작을 사용자 명령으로 인식하도록 메뉴얼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506)는 예를 들어 가속센서(acceleration sensor)로 구성하여 사물인터넷 기기(400) 본체의 물리적 진동을 인식하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서는 상기 센서(506)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를 후술할 제어부(502)내의 페어링 프로세스(5021)로 전달하여, 페어링 실행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할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506)는 사물인터넷 기기(400) 자체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이를 제어부(502)내의 실행 프로세스(process)(5022)로 전달하여, 특정 기능을 구현하는 데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의 기능중 헬스 트레이닝 푸쉬업 기능 (407), 수면 측정 기능(408), 골프 자세 교정 기능(409), 헬스 트레이닝 자세교정 기능(412) 등에서 사용자 신체 일부에 부착된 사물인터넷 기기(400) 자체의 움직임(이는 결국 사용자 움직임으로 해석되어 짐)을 인식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2)는 사물인터넷 기기(400)의 상기 구성요소들의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적어도 2가지 중요한 제어 프로세스(process)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제1 메모리(503)에 저장된 진동패턴 정보를 활용하여 주변 이동 단말기와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페어링 프로세스(pairing process, 5021)를 포함한다. 둘째, 상기 제2 메모리(504)에 저장된 실행 프로그램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505)에 따라, 사용자명령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구현하는 실행 프로세스(exexution process,5022)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의 구체적인 페어링 방법 및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간의 진동패턴을 이용한 페어링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의 페어링 전체 과정을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물인터넷 기기(400)의 전원이 켜지면, 센서(506) 동작이 시작된다(601). 이후, 사물인터넷 기기의 무선통신부(501)를 통해 이동 단말기 무선통신부(110)로 사물인터넷 기기의 정보가 전송된다(602). 상기 전송되는 정보에는 종래 일반적인 정보로서 사물인터넷 기기 어드레스(BT addr.), 기기명(Name) 및 신호강도(RSSI)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앱(App)을 실행하게 되는 바(611), 예를 들어, "Smart IoT"이름의 IoT 활용 통합 앱(App)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앱(App)내에는 전술한 도 4의 개별 기능을 위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App) 화면상에 진동영역을 구비하여, 해당 진동영역에 사물인터넷 기기(400)가 이동 단말기와 접촉하는 지를 센싱하게 된다(612). 관련하여, 도 7a는 개별 어플리케이션별 진동영역(701, 702)을 구비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통합 앱(App)내 하나의 진동영역(801)을 구비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진동영역 설정에 대해서는 도 7a, 도 7b 및 도 8에서 상세히 후술할 예정이다.
상기 진동영역내에 사물인터넷 기기가 접촉됨을 인식하게 되면,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는 기 정의된 진동패턴을 발생하게 된다(613). 예를 들어, 도 9에는 복수의 진동패턴 (pattern #1, #n, #k)을 도시하였으며, 이중 특정의 진동패턴 (pattern #n)을 정의된 진동 파라미터를 활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613). 예를 들어, 도 10에서는 상기 복수의 진동패턴이 어플리케이션 타입별로 지정되어 있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특정의 진동패턴을 발생시키는 것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물인터넷 기기(400)가 고정된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정의된 하나의 진동패턴만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진동패턴에 대해서는 도 9, 도 10 및 도 11에서 상세히 후술할 예정이다.
상기 진동패턴 #n에 대응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사물인터넷 기기(400)의 센서(506)는 발생된 진동을 감지하고, 이로부터 제어부(502)는 진동패턴 싱크(sync) 과정(603)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진동패턴 싱크(sync) 과정(603)은 전술한 제어부(502)의 페어링 프로세스(pairing process, 5021) 과정의 일부에 해당된다. 관련하여, 도 11은 상기 진동패턴 싱크(sync) 과정(603)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진동패턴 싱크를 통해 진동패턴이 인식되면, 사물인터넷 기기 제어부(502)는 제1 메모리(503)내의 진동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된 진동과 일치하는 진동패턴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에 의해 발생된 진동패턴이 #n이라면, 사물인터넷 기기 센서(506)에 의해 검출되고 도 11의 진동패턴 싱크 판단 과정(603)을 통해 확인된 진동패턴도 #n이 될 것이다. 사물인터넷 기기 제어부(502)는 무선통신수단(501)를 통해 상기 확인된 진동패턴 정보(예, 진동패턴 #n)를 포함하는 정보를 다시 전송하게 된다(604). 따라서, 상기 전송되는 정보는, 어드레스(BT addr.), 기기명(Name), 인식된 진동패턴 정보(예, "pattern #n") 및 신호강도(RSSI)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전송된 정보중, 진동패턴 정보("pattern #n")가 포함됨을 확인하고, 해당 정보가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시킨 진동패턴과 동일한 지를 판단한다(614). 따라서, 상기 614 단계 판단 결과, 동일한 진동패턴 정보(예, pattern #n)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한 사물인터넷 기기가 존재하면, 해당 사물인터넷 기기를 페어링 대상 기기로 판단하여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게 된다(615). 만약 614 단계 판단 결과, 사물인터넷 기기가 전송한 진동패턴 정보가 이동 단말기이 발생한 진동패턴과 상이한 경우, 상기 613 단계(즉, 새로운 진동패턴 발생)부터 다시 수행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의 의도치 않는 오인동작으로 인해 이동 단말기가 특정 진동(예, pattern #n)을 발생하더라도, 대응하는 동일한 진동패턴 정보(pattern #n)를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재전송받지 않으면 후속 페어링(pairing) 과정이 실행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진동패턴 정보가 일치하는 사물인터넷 기기와의 페어링 단계는, 우선 이동 단말기(100)에서 페어링 요청 신호(Coonect_Req)를 전송하고(616), 사물인터넷 기기(400)에서 연결을 수락하는 답변 신호(Coonect_Res)가 발생됨에 의해 상호간에 페어링 연결이 완료되어 진다(605). 페어링 연결(605) 이후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간에는 기 정의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 지게 된다(621). 단, 사물인터넷 기기(400)의 어플리케이션 종류에 따라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는 상이하게 결정되어 지고,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별 어플리케이션에 프로그램된 메뉴얼대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관련하여, 도 7a 및 도 7b는 이동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된 각 어플리케이션별 진동영역이 설정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은 이동 단말기 상에 하나의 진동영역이 설정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통합 앱(710)내에 복수의 개별 어플리케이션으로, 예를 들어 음악 컨트롤 어플리케이션(711) 및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712)이 포함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400)와의 페어링을 위해 우선 지정된 진동패턴으로 진동을 발생하기 위한 진동영역(701, 70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음악 컨트롤 어플리케이션(711)을 위한 제1 진동영역(701) 및 미아방지 아플리케이션(712)을 위한 제2 진동영역(702)이 구비되어 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 진동영역(701) 및 제2 진동영역(702)중 어느 하나에 사물인터넷 기기를 올려만 둠으로서 이동 단말기와의 페어링을 완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7b와 같이, 만약 사용자가 사물인터넷 기기(400)를 미아방지 기능으로 활용코자 한다면, 해당 사물인터넷 기기(400)를 상기 미아방지 아플리케이션(712)을 위한 제2 진동영역(702) 상에 접촉되도록 올려둔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진동영역(702)상에 사물인터넷 기기가 접촉되었음을 인식하면, 해당 제2 진동영역(702)에 지정된 진동패턴으로 진동을 발생하게 되고, 이를 인식한 사물인터넷 기기(400)와 페어링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지 원하는 사물인터넷 기기(400)를 이동 단말기(100) 상의 진동영역에 올려두는 직관적인 동작을 통해서 페어링을 완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관련하여 상기 제1 진동영역(701) 및 제2 진동영역(702)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 전체를 예로 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예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화면내 일부를 진동영역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 도 8은 통합 앱(710)내에 복수의 개별 어플리케이션으로 음악 컨트롤 어플리케이션(711) 및 미아방지 아플리케이션(712)가 포함된 경우이나, 상기 개별 어플리케이션(711, 712)에 상관없이 터치스크린 상단의 특정 영역(예, 가운데 영역)을 진동영역(801)으로 설정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실시예는 개별 어플리케이션(711, 712)에 상관없이 페어링을 원하는 사물인터넷 기기(400)의 어플리케이션 기능이 결정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더욱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는, 도 8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은 개별 어플리케이션(711, 712)에 상관없이 진행하되, 페어링 이후 개별 어플리케이션(711, 712)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별도로 더 구비한 경우에도 활용 가능하다. 또한, 진동영역(801) 상에 사물인터넷 기기를 올려두는 것을 가이드하는 문자(810)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서, 사용자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진동패턴 타입 및 진동 파라미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이동 단말기(100)내 메모리(170) 및 사물인터넷 기기(400)내 제1 메모리(503)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패턴 타입 및 특정 진동패턴 타입(예, 진동패턴 #n)의 진동 파라미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진동패턴 타입의 갯수는 하나이거나 또는 2개 이상인 경우를 모두 고려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진동패턴만을 사용하는 경우는, 전술한, 도 7a의 개별 어플리케이션별 진동영역(701, 702)을 구비한 경우에도, 복수의 진동영역에 대응하는 진동패턴은 하나로 동일하다. 이 경우, 사물인터넷 기기는 해당 단독의 진동패턴이 인식되는지 만을 확인함에 의해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대신, 이동 단말기(100)는 어떤 진동영역(즉, 701 또는 702)에서 페어링이 수행되었는 지에 따라, 이후 전송되는 데이터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예, 711 또는 712)에 적합한 데이터로 송신함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기능별 구분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의 통합 앱(710)상에 존재하는 진동영역(801)의 경우에는, 고정된 하나의 진동패턴만을 활용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반면, 진동패턴 타입의 갯수를 복수개로 활용하는 경우는, 진동패턴 타입과 개별 어플리케이션 타입을 일대일 대응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음악 컨트롤 어플리케이션(1001)은 진동패턴 #1을 활용하고,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1002)는 진동패턴 #n을 활용하고, 전등제어 어플리케이션(1003)은 진동패턴 #k를 활용하는 식이다. 따라서, 사물인터넷 기기(400)는 발생된 진동패턴 타입으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 타입의 종류까지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사물인터넷 기기의 안정적 제어에 유용하며, 때로는 원하지 않거나 실행할 수 없는 어플리케이션 타입에 대해서는 페어링을 거부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예를 들어, k개의 진동패턴 타입이 존재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즉, 진동패턴 #1은 P1 진동 파리미터로 구성되고(P1 set), 진동패턴 #n은 Pn 진동 파리미터로 구성되고(Pn set), 진동패턴 #k는 Pk 진동 파리미터로 구성될 수 있다(Pk set). 관련하여, 진동 파라미터("P1 set", "Pn set", "Pk set")는 진동패턴 타입을 결정짓는 진동구간(vibration period) 및 침묵구간(silent period)의 발생 시간 및 횟수를 정의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도 9의 우측 부분은 진동패턴 #n의 진동 파라미터(Pn set)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즉, 진동패턴 #n의 진동 파라미터(Pn set)는, 3개의 침묵구간(silent) 및 3개의 진동구간(vibration)을 "침묵구간(silent) -> 진동구간(vibration) -> 침묵구간(silent) -> 진동구간(vibration) -> 침묵구간(silent) -> 진동구간(vibration)" 순으로 구성하고, 각 구간의 시간은 300ms로 동일하게 정의한 경우이다. 따라서, 도 9에는 미도시하였으나, 진동패턴 #1을 구성하는 P1 진동파리미터(P1 set) 및 진동패턴 #k를 구성하는 Pk 진동파리미터(Pk set)는 상기 "Pn set"와는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진동패턴 #n에 관련된 진동 파라미터 "Pn set"을 정확히 인식하기 위해서 필요한 변수들을 더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 (Total time), V1(Vibrstion_time), V2(2*vibration_time + silent_time), S1(Silent_time) 및 S2(2*silent_time + vibration_time)을 정의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각 구간별 상태를 표시하는 변수로서, A(pre_silent), B(cur_silent), C(pre_vibration) 및 D(cur_vibration)을 각각 정의하여 활용할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다양한 변수들을 활용하여 사물인터넷 기기(400)의 제어부(502)는 이동 단말기에 의해 발생된 진동의 진동패턴을 정확히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동패턴 싱크(sync) 판단 방법에 관한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사물인터넷 기기 제어부(502)내의 페어링 프로세스(5021)내에 구비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일종으로, 상기 진동 파라미터("P1 set", "Pn set", "Pk set")들에 적용된 변수들을 활용하여 인식된 진동패턴을 정확히 인식하는 프로세스이다.
프로그램 실행이 시작되면(1100), 센서(506)를 통해 인식된 진동발생 여부 및 진동구간 주기, 침묵구간 주기 등을 측정한다(1101). 상기 1101 단계에 의해 측정된 값들을 활용하여, 침묵구간 갯수를 카운터 하는 단계(1102) 및 진동구간 갯수를 카운터 하는 단계(1103)를 실행하게 된다. 상기 1102 단계 및 1103 단계에서는, 전술한 진동 파라미터 변수들(예, T, V1, V2, S1, S2, A, B, C, D)을 활용하여 침묵구간의 존재 및 진동구간의 존재를 확인하고, 확인된 침묵구간 및 진동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침묵구간 및 진동구간의 갯수를 하나씩 증대하게 된다(1102a, 1103a). 이후 현재까지 결정된 침묵구간의 갯수 및 진동구간의 갯수가 특정 진동패턴 타입(예, "pattern #n")에서 적용된 침묵구간의 갯수(#S) 및 진동구간의 갯수(#V)와 동일한 지를 판단하게 된다(S1104). 상기 1104 단계에서, 만약 특정 진동패턴 타입(예, "pattern #n")의 침묵구간의 갯수(#S) 및 진동구간의 갯수(#V)와 단계 1102a 및 1103a 에서 인식된 참묵구간 및 진동구간의 갯수가 동일한다면, 해당 진동패턴 타입(예, "pattern #n")이 발생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1105). 상기 1104 단계에서 침묵구간의 갯수(#S) 및 진동구간의 갯수(#V)만큼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1101 단계로 다시 돌아와 상기 과정을 되풀이하게 된다. 상기 1105 단계는 전술한 사물인터넷 기기의 제1 메모리(503)내에 저장된 진동패턴 정보를 활용하여 판단하게 될 것이다(1105).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복수 어플리케이션 구현이 가능한 사물인터넷 기기의 페어링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사물인터넷 기기(4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기능(예를 들어, 도 4에 제시된 기능들 중 어느 하나)만이 실행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기존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삭제하고, 다시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하여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기능으로 업데이트 하여야 한다. 또는 제품 설계에 따라서는 업데이트 기능없이 최초 제조시 결정된 특정 기능만을 수행하는 사물인터넷 기기로 개발할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진동패턴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간의 페어링 방법은 상기와 같이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인터넷 기기에도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진동패턴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간의 페어링 방법은, 복수 어플리케이션 기능 구현이 가능한 사물인터넷 기기(1200)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우선 사용자는 제1 어플리케이션 기능(예, 1201, "음악 컨트롤 기능")을 위해서, 도 6 및 7a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어플리케이션(1201) 화면상에 사물인터넷 기기(1200)를 접촉함으로서 진동패턴을 이용한 1차 페어링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진다. 이후, 사물인터넷 기기(1200)는 상기 제1 어플리게이션 기능("음악 컨트롤 기능")으로 활용가능 하게 된다. 관련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1201) 터치스크린 상단에는 도 7a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 진동영역이 설정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이미 제1 어플리게이션 기능("음악 컨트롤 기능")으로 활용중인 사물인터넷 기기(1200)을, 또 다른 제2 어플리케이션 기능(예, 1202, "미아방지 기능")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 및 7a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어플리케이션(1202) 화면상에 사물인터넷 기기(1200)를 접촉함으로서 진동패턴을 이용한 2차 페어링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진다. 관련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1202) 터치스크린 상단에는 도 7a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 진동영역이 설정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따라서, 두번의 페어링을 통해, 최종 사물인터넷 기기(1200)는 멀티 어플리케이션 기능이 가능하게 된다. 단, 어플리케이션 기능 특성에 따라서는 하나의 사물인터넷 기기(1200)내에 함께 활용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얼(예, 본체 상단 "멀티 탭", 본체 몸통 "좌우 회전" 등)을 가진 어플리케이션 기능들로서, 전술한 도 4의 "음악 컨트롤 기능(413)" 및 "전등 제어 기능(403)"은 동시에 함께 활용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만약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얼을 가진 기능들을 함께 사용하고자 한다면, 사용자 명령을 구분하는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얼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기기(1200) 외관에 기능 버튼(button)을 더 구비하여(미도시), 제1 어플리케이션 기능("음악 컨트롤 기능(413)")으로 활용시와 제2 어플리케이션 기능("전등 제어 기능(403)")으로 활용시마다 우선 해당 버튼으로 결정한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얼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관련하여,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2차 페어링은 생략하고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어플리케이션 기능에 대해 1차 페어링이 이미 진행된 경우라면, 2차 페어링은 수행하지 않고 해당 제2 어플리케이션 기능 데이터를 사물인터넷 기기(1200)에 업데이트함에 의해 멀티 어플리케이션 기능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2차 페어링은 수행하지 않더라도, 제2 어플리케이션(1302) 화면내 진동영역상에 사물인터넷 기기(1200)를 접촉하여 지정된 진동패턴을 발생시킴에 의해, 제2 어플리케이션(1302) 기능 데이터를 사물인터넷 기기로 업데이트 하는 과정은 필요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이동 단말기 제어부(180) 또는 사물인터넷 기기 제어부(50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이동 단말기 무선통신부
180 : 이동 단말기 제어부
400 : 사물인터넷 기기
501 : 무선통신수단
502 : 제어부
503, 504 : 메모리
505 : 사용자 인터페이스
506 : 센서

Claims (16)

  1. 이동 단말기의 화면상에 구비된 진동영역에 접촉되는 사물인터넷 기기가 인식되면, 상기 진동영역에 지정된 진동패턴으로 진동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진동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진동패턴 정보가 발생한 진동패턴과 동일하면, 별도의 연결지시가 없어도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와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의 페어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사물인터넷 기기가 상기 진동영역에 접촉시, 기 정의된 복수의 진동패턴중 어느 하나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의 페어링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패턴은 이동 단말기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각각 대응되도록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의 페어링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 화면상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 화면상에 각각 진동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영역중 어느 하나에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를 접촉하면, 상기 진동영역이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진동패턴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의 페어링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pairing) 수행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타입에 적합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사물인터넷 기기의 페어링 방법.
  6. 사물인터넷 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무선통신부;
    진동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영역상에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의 접촉을 인식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의 접촉이 인식되면 상기 진동영역에 지정된 진동패턴으로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상기 진동패턴과 동일한 진동패턴 정보를 수신하면 별도의 연결지시가 없어도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사물인터넷 기기와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진동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복수의 진동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각각 진동영역을 구비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화면 상단에 구비된 진동영역에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를 접촉하면, 상기 진동영역이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진동패턴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어링(pairing) 수행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타입에 적합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삭제
  12.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수단;
    외부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인식하는 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이동단말기의 특정 진동영역에 접촉하여 상기 센서를 통해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된 진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된 진동패턴 정보중 발생된 진동과 일치하는 진동패턴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진동패턴 정보가 발생한 진동패턴과 동일하면, 별도의 연결지시가 없어도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별 페어링을 수행한 후, 복수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동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1회 페어링을 수행한 후, 복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로부터 다운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기.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별 페어링을 수행한 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기능만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기.
KR1020160069783A 2016-02-05 2016-06-03 사물인터넷 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방법 및 제어방법 KR101792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54589.0A EP3208700B1 (en) 2016-02-05 2017-02-03 Iot devic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with vibration pairing
US15/424,483 US10172168B2 (en) 2016-02-05 2017-02-03 IoT devic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with vibration pai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91535P 2016-02-05 2016-02-05
US62/291,535 2016-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671A KR20170093671A (ko) 2017-08-16
KR101792516B1 true KR101792516B1 (ko) 2017-11-02

Family

ID=5975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783A KR101792516B1 (ko) 2016-02-05 2016-06-03 사물인터넷 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방법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736B1 (ko) * 2017-09-05 2019-10-0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 인터넷 콘, 이를 포함하는 IoT 기반의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77747B1 (ko) 2019-01-29 2020-1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방법 및 데이터 수집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632B1 (ko) * 2015-03-10 2015-12-30 최승욱 단말기 간의 접촉을 확인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632B1 (ko) * 2015-03-10 2015-12-30 최승욱 단말기 간의 접촉을 확인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671A (ko)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8700B1 (en) Iot devic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with vibration pairing
KR2015013497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651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1914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0837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0892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64882A (ko) 전자 프레임의 충전 어셈블리 및 전자 프레임의 충전 방법
KR2018000552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413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413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107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792516B1 (ko) 사물인터넷 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방법 및 제어방법
KR20160148401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16412A (ko) 폴리오 케이스,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454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52190A (ko)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6626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3584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907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527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392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1329B1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164235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7121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40114483A (ko) 사물인터넷 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