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439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439B1
KR101792439B1 KR1020160131971A KR20160131971A KR101792439B1 KR 101792439 B1 KR101792439 B1 KR 101792439B1 KR 1020160131971 A KR1020160131971 A KR 1020160131971A KR 20160131971 A KR20160131971 A KR 20160131971A KR 101792439 B1 KR101792439 B1 KR 101792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odule
lens
housing
magne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창
안병기
김포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1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439B1/ko
Priority to US15/717,696 priority patent/US10379315B2/en
Priority to CN201710947562.0A priority patent/CN107942600B/zh
Priority to CN201721317487.1U priority patent/CN207424488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3
    • H04N5/2257
    • H04N5/2258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복수의 렌즈 모듈을 각각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복수의 렌즈 모듈의 이동을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된 하나의 회로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두 개의 렌즈 모듈이 장착된 듀얼 카메라가 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듀얼 카메라는 두 개의 독립된 카메라 모듈을 단순히 병렬적으로 집합시킨 형태로만 설계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후 변형 등에 취약하여 보강재를 통한 추가적인 보강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두 개의 독립된 카메라 모듈을 단순히 병렬적으로 집합시킨 형태이므로, 듀얼 카메라의 크기를 줄이는데도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복수의 렌즈 모듈을 채용하면서도 크기를 줄이고, 제조 단가를 낮추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복수의 렌즈 모듈을 각각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복수의 렌즈 모듈의 이동을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된 하나의 회로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 모듈을 채용하면서도 크기를 줄이고, 제조 단가를 낮추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회로소자의 위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마그네트, 코일, 위치 센서 및 회로소자를 광축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마그네트, 코일 및 회로소자를 광축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두 개의 렌즈 모듈의 광 중심 사이의 거리와 하우징의 너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광축 방향은 제1 렌즈 모듈(210) 또는 제2 렌즈 모듈(230)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복수의 렌즈 모듈(210, 230), 복수의 렌즈 모듈(210, 230)을 수용하는 하우징(100) 및 상기 복수의 렌즈 모듈(210, 230)을 각각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3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렌즈 모듈(210), 제2 렌즈 모듈(230),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을 수용하는 하우징(100),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300)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렌즈 모듈(210, 23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400)을 더 포함한다.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은 각각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각각의 렌즈 배럴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복수의 렌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광축을 따라 배치된다.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은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 중 어느 하나의 화각이 상대적으로 넓게 구성(광각 렌즈)되고, 나머지 하나의 화각이 상대적으로 좁게 구성(망원 렌즈)될 수 있다.
이처럼 두 개의 렌즈 모듈의 화각을 서로 다르게 설계함으로써, 피사체의 이미지를 다양한 심도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피사체에 대한 두 개의 이미지를 이용(일 예로, 합성)하여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밝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저조도 환경에서도 피사체의 이미지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줌 기능도 구현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모두 수용하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이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이동 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100)은 베이스(110) 및 베이스(110)와 결합하는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베이스(110)에는 두 개의 광 경로 윈도우가 구비된다. 따라서, 두 개의 광 경로 윈도우를 통해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통과한 광이 각각 이미지 센서(410, 430)에 수광될 수 있다.
케이스(120)는 베이스(110)와 결합하며,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이미지 센서 모듈(400)은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통과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하우징(100)에 부착된다.
일 예로, 이미지 센서 모듈(400)은 베이스(110)에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450), 인쇄회로기판(450)에 연결되는 제1 이미지 센서(410) 및 제2 이미지 센서(430)를 포함한다.
또한, 이미지 센서 모듈(400)은 적외선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각 렌즈 모듈(210, 230)을 통해 입사된 광 중에서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이미지 센서(410, 430)는 각각의 렌즈 모듈(210, 23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일 예로 각각의 이미지 센서(510, 53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액추에이터(300)는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액추에이터(300)는 제1 렌즈 모듈(210) 및 제2 렌즈 모듈(230)과, 하우징(100)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각각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300)는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복수의 마그네트(310a, 330a)와 복수의 코일(310b, 330b)을 포함한다.
복수의 코일(310b, 330b)에 전원이 인가될 경우, 복수의 마그네트(310a, 330a)와 복수의 코일(310b, 330b)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제1 렌즈 모듈(210)과 제2 렌즈 모듈(230)을 각각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렌즈 모듈(210)의 일 측면에는 제1 마그네트(310a)가 부착되고, 제2 렌즈 모듈(230)의 일 측면에는 제2 마그네트(330a)가 부착된다.
또한, 제1 코일(310b)은 제1 마그네트(310a)와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2 코일(330b)은 제2 마그네트(330a)와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하우징(100)에는 기판(350)에 부착되며, 제1 코일(310b) 및 제2 코일(330b)은 기판(350)을 매개로 하우징(100)에 고정된다.
일 예로, 기판(350)은 하우징(100)의 측면 중에서 길이가 더 긴 면에 부착되고, 기판(350)의 일면에는 제1 코일(310b) 및 제2 코일(330b)이 구비된다.
한편, 제1 렌즈 모듈(210) 및 제2 렌즈 모듈(230)과, 하우징(100) 사이에는 각 렌즈 모듈(210, 23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복수의 볼 부재(B)가 배치된다.
복수의 볼 부재(B)는 광축 방향으로 배치되며, 각 렌즈 모듈(210, 230)이 이동할 때 구름운동하도록 구성된다.
기판(350)의 타면에는 제1 마그네트(310a) 및 제2 마그네트(330a)에 대하여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력을 발생시키는 요크(360)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1 마그네트(310a) 및 제2 마그네트(330a)와, 요크(360) 사이의 인력에 의하여 복수의 볼 부재(B)는 제1 렌즈 모듈(210), 제2 렌즈 모듈(230) 및 하우징(10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요크(360)는 제1 마그네트(310a) 및 제2 마그네트(330a)와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하나의 요크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두 개의 요크가 제1 마그네트(310a) 및 제2 마그네트(330a)와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1 코일(310b) 및 제2 코일(330b) 사이에는 하나의 제어부(370)가 배치된다.
하나의 제어부(370)는 제1 코일(310b) 및 제2 코일(330b)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1 렌즈 모듈(210) 및 제2 렌즈 모듈(230)의 이동을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된 구동회로소자(Driver IC, 이하, 회로소자라고 함)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회로소자의 위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소자(370)는 제1 코일(310b) 및 제2 코일(330b) 사이에 위치한다. 참고로, 도 3에는 기판(350)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 코일(310b), 제2 코일(330b) 및 회로소자(370)는 기판(350)의 일면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나의 회로소자(370)를 포함하며, 하나의 회로소자(370)를 통해 복수의 렌즈 모듈(일 예로, 제1 렌즈 모듈(210) 및 제2 렌즈 모듈(230))의 이동을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각 렌즈 모듈을 별개의 회로소자를 통해 제어하는 경우에는, 회로소자, 코일 및 기판 사이의 연결구조가 복잡해지고, 카메라 모듈의 전체 크기도 증가하게 된다.
일 예로, 각 렌즈 모듈을 별도로 제어하는 별개의 회로소자가 있는 경우에는 이미지 센서 모듈(400)의 인쇄회로기판(450)과 액추에이터(300)의 기판(350)을 서로 연결하는 패드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고, 각 패드를 납땜하는 공정도 늘어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하나의 회로소자(370)를 통해 복수의 렌즈 모듈(210, 230)의 이동을 각각 제어하므로, 회로소자(370), 복수의 코일(310b, 330b) 및 기판(350) 사이의 연결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조 단가를 낮추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회로소자(370)를 복수의 코일(310b, 330b)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전체 크기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마그네트, 코일, 위치 센서 및 회로소자를 광축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렌즈 모듈(210, 230))의 위치를 각각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폐루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폐루프 제어를 위하여 위치 센서(310c, 330c)가 필요하다. 위치 센서(310c, 330c)는 홀 센서일 수 있다.
위치 센서(310c, 330c)는 각 코일(310b, 330b)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된다.
일 예로, 위치 센서(310c, 330c)는 각 코일(310b, 330b)의 내측에 배치되어 각 코일(310b, 330b)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기판(35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센서(310c, 330c)를 위한 별도의 장착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카메라 모듈을 소형화할 수 있다.
위치 센서(310c, 330c)는 각 렌즈 모듈(210, 230)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복수 개가 마련된다. 일 예로, 복수의 위치 센서(310c, 330c)는 제1 렌즈 모듈(2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위치 센서(310c) 및 제2 렌즈 모듈(2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위치 센서(330c)일 수 있다.
제1 위치 센서(310c) 및 제2 위치 센서(330c)는 제1 마그네트(310a) 및 제2 마그네트(330a)의 자기력선속 밀도의 변화를 통해 제1 마그네트(310a)가 부착된 제1 렌즈 모듈(210)의 위치 및 제2 마그네트(330a)가 부착된 제2 렌즈 모듈(230)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회로소자(370)는 제1 위치 센서(310c) 및 제2 위치 센서(330c)에 의해 감지된 제1 렌즈 모듈(210) 및 제2 렌즈 모듈(230)의 위치에 따라 제1 코일(310b) 및 제2 코일(330b)에 각각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카메라 모듈의 전원이 켜지면, 복수의 위치 센서(310c, 330c)에 의해 각 렌즈 모듈(210, 230)의 초기 위치가 감지된다. 그리고, 각 렌즈 모듈(210, 230)은 감지된 초기 위치로부터 초기 설정위치로 이동된다. 여기서, 초기 위치는 카메라 모듈의 전원이 켜졌을 때 각 렌즈 모듈(210, 230)의 광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고, 초기 설정위치는 각 렌즈 모듈(210, 230)의 초점이 무한대가 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회로소자(370)의 구동신호에 의해 각 렌즈 모듈(210, 230)이 초기 설정위치로부터 목표 위치까지 이동됨으로써 초점이 조정된다.
초점 조정 과정에서 각 렌즈 모듈(210, 230)은 광축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다(즉,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마그네트, 코일 및 회로소자를 광축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회로소자(370')는 각 코일(310b, 330b)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회로소자(Driver IC)와 각 렌즈 모듈(210, 2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가 하나의 칩으로 구성된 회로소자일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도 4의 실시예와는 달리, 별도의 위치 센서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별도의 위치 센서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각 코일(310b, 330b)의 권선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렌즈 모듈(210, 230)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마그네트(310a)와 제2 마그네트(330a)는 각각 일부분이 하나의 회로소자(370')와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두 개의 렌즈 모듈의 광 중심 사이의 거리와 하우징의 너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렌즈 모듈(210)의 광 중심과 제2 렌즈 모듈(230)의 광 중심 사이의 거리(D1)는 하우징(100)의 너비(D2)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제1 렌즈 모듈(210)의 광축과 제2 렌즈 모듈(230)의 광축 사이의 최단 거리(D1)는 하우징(100)의 너비(D2)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광 중심은 광이 각 렌즈 모듈(210, 230)의 광축과 만나는 점을 의미하고, 너비는 도 6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하우징(100)의 변 중에서 짧은 측의 변의 길이를 의미한다.
두 개의 렌즈 모듈로 촬영한 두 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밝은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하여는, 두 개의 렌즈 모듈의 광 중심 간의 거리를 가깝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두 개의 렌즈 모듈의 광 중심 사이의 거리가 멀게 설계될 경우에는 하나의 피사체에 대한 두 개의 이미지가 서로 다르게 촬영되어,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 또는 밝은 이미지의 생성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제1 렌즈 모듈(210)의 광 중심과 제2 렌즈 모듈(230)의 광 중심 사이의 거리(D1)를 하우징(100)의 너비(D2)보다 작게 설계함으로써, 하나의 피사체에 대한 두 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의 실시예는 하나의 제어부(370'')의 위치를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하나의 제어부(37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제어부(370'')는 이미지 센서 모듈(400)에 구비된다.
일 예로, 이미지 센서 모듈(400)은 베이스(110)에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450), 인쇄회로기판(450)에 연결되는 제1 이미지 센서(410)와 제2 이미지 센서(430) 및 인쇄회로기판(450)에 구비되는 하나의 제어부(370'')를 포함한다.
하나의 제어부(370'')는 제1 이미지 센서(410)와 제2 이미지 센서(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제어부(370'')를 제1 이미지 센서(410)와 제2 이미지 센서(430) 사이의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하나의 제어부(370'')는 제1 코일(310b) 및 제2 코일(330b)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1 렌즈 모듈(210) 및 제2 렌즈 모듈(230)의 이동을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하나의 제어부(370'')는 제1 위치 센서(310c) 및 제2 위치 센서(330c)에 의해 감지된 제1 렌즈 모듈(210) 및 제2 렌즈 모듈(230)의 위치에 따라 제1 코일(310b) 및 제2 코일(330b)에 각각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 모듈을 채용하면서도 크기를 줄이고, 제조 단가를 낮추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하우징 110: 베이스
120: 케이스 210: 제1 렌즈 모듈
230: 제2 렌즈 모듈 300: 액추에이터
310a: 제1 마그네트 310b: 제1 코일
310c: 제1 위치 센서 330a: 제2 마그네트
330b: 제2 코일 330c: 제2 위치 센서
350: 기판 360: 요크
370, 370': 회로소자 400: 이미지 센서 모듈
410: 제1 이미지 센서 430: 제2 이미지 센서
450: 인쇄회로기판

Claims (15)

  1. 제1 렌즈 모듈과 제2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1 렌즈 모듈 및 상기 제2 렌즈 모듈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렌즈 모듈 및 상기 제2 렌즈 모듈을 각각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의 이동을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회로소자가 배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제1 이미지 센서와 제2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하나의 회로소자는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와 상기 제2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기판이 부착되고,
    상기 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두 개의 위치 센서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회로소자는 상기 두 개의 위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1 렌즈 모듈 및 상기 제2 렌즈 모듈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에 각각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 중 길이가 더 긴 면에 부착되는 카메라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렌즈 모듈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2 렌즈 모듈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제2 마그네트; 및
    상기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제2 마그네트와 마주보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제2 마그네트에 대하여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력을 발생시키는 요크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모듈 및 상기 제2 렌즈 모듈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각 렌즈 모듈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볼 부재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모듈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은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모듈의 광축과 상기 제2 렌즈 모듈의 광축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하우징의 너비보다 작은 카메라 모듈.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131971A 2016-10-12 2016-10-12 카메라 모듈 KR101792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971A KR101792439B1 (ko) 2016-10-12 2016-10-12 카메라 모듈
US15/717,696 US10379315B2 (en) 2016-10-12 2017-09-27 Camera module
CN201710947562.0A CN107942600B (zh) 2016-10-12 2017-10-12 相机模块
CN201721317487.1U CN207424488U (zh) 2016-10-12 2017-10-12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971A KR101792439B1 (ko) 2016-10-12 2016-10-12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439B1 true KR101792439B1 (ko) 2017-10-31

Family

ID=6030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971A KR101792439B1 (ko) 2016-10-12 2016-10-12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79315B2 (ko)
KR (1) KR101792439B1 (ko)
CN (2) CN207424488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84140A1 (en) * 2017-11-09 2019-05-1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mera device, bracket and mobile terminal using same
KR102044132B1 (ko) 2018-09-12 2019-11-13 주식회사 엠씨넥스 Pcb의 선택적 교체가 가능한 멀티 카메라
US10530908B2 (en) 2017-11-09 2020-01-0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mera device, bracket and mobile terminal using same
EP3771196A4 (en) * 2018-03-20 2022-01-19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EQUIPPE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439B1 (ko) * 2016-10-12 2017-10-3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207010790U (zh) * 2017-04-17 2018-02-13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成像模组
US11415861B2 (en) * 2018-05-23 2022-08-16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CN109922239B (zh) * 2019-03-06 2024-05-28 昆山丘钛微电子科技有限公司 相机模组
WO2021164504A1 (zh) * 2020-02-20 2021-08-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成像模组、电子装置和存储介质
KR20220008618A (ko) 2020-07-14 2022-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1466A (ja) * 2003-07-07 2005-02-03 Fujinon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1847A1 (fr) * 2005-02-10 2006-08-11 St Microelectronics Sa Dispositif comportant un module de camera a mise au point automatique et procede de montage correspondant
KR100880672B1 (ko) * 2007-07-18 2009-02-02 자화전자 주식회사 자동초점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59753B1 (ko) 2007-08-31 2014-1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원 보드타입의 듀얼 카메라모듈
US8279541B2 (en) * 2009-12-10 2012-10-02 New Scale Technologies Lens actuator module
KR101314652B1 (ko) 2012-03-30 2013-10-07 자화전자(주) 카메라 모듈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113675A (ko) 2014-03-31 2015-10-08 자화전자(주) 듀얼 카메라 모듈
KR101588951B1 (ko) * 2014-04-16 2016-01-26 삼성전기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KR101620020B1 (ko) 2014-07-08 2016-05-23 자화전자(주) 공유 요크를 이용한 듀얼 렌즈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262676B1 (ko) * 2014-09-23 202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
KR101751105B1 (ko) * 2014-12-19 2017-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0334170B2 (en) * 2015-01-23 2019-06-2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102404326B1 (ko) * 2015-02-02 2022-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
KR20160103437A (ko) * 2015-02-24 2016-09-01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729543B1 (ko) 2015-02-25 2017-04-24 자화전자(주) 듀얼 렌즈용 싱글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04932174B (zh) * 2015-06-25 2018-03-16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双摄像头模组
US9995904B2 (en) * 2015-08-14 2018-06-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05785547A (zh) * 2016-04-27 2016-07-20 河南省皓泽电子有限公司 一种双摄像头用的闭环单组控制中心导向自动对焦装置
KR101792439B1 (ko) * 2016-10-12 2017-10-3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1466A (ja) * 2003-07-07 2005-02-03 Fujinon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84140A1 (en) * 2017-11-09 2019-05-1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mera device, bracket and mobile terminal using same
US10484582B2 (en) 2017-11-09 2019-11-1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mera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10530908B2 (en) 2017-11-09 2020-01-0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mera device, bracket and mobile terminal using same
US10819889B2 (en) 2017-11-09 2020-10-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mera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same
EP3771196A4 (en) * 2018-03-20 2022-01-19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EQUIPPED THEREOF
CN115379094A (zh) * 2018-03-20 2022-11-22 Lg伊诺特有限公司 用于测量深度信息的相机和光学设备
CN115379094B (zh) * 2018-03-20 2024-01-12 Lg伊诺特有限公司 用于测量深度信息的相机和光学设备
KR102044132B1 (ko) 2018-09-12 2019-11-13 주식회사 엠씨넥스 Pcb의 선택적 교체가 가능한 멀티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79315B2 (en) 2019-08-13
US20180100986A1 (en) 2018-04-12
CN107942600B (zh) 2021-03-23
CN207424488U (zh) 2018-05-29
CN107942600A (zh)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439B1 (ko) 카메라 모듈
CN109031584B (zh) 镜头驱动装置及包括镜头驱动装置的相机模块
KR102140296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792441B1 (ko) 카메라 모듈
KR102163416B1 (ko) 조리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9494769B2 (en) Multi-lens imaging module and actuator with auto-focus adjustment
CN107360349B (zh) 摄像***及其镜头单元
CN110308605B (zh) 便携式电子设备及相机模块
KR101901702B1 (ko) 카메라 모듈
US1113190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module
KR101813392B1 (ko) 카메라 모듈
US11256066B2 (en) Optical mechanism
KR102561934B1 (ko)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KR20190137657A (ko) 듀얼 카메라 모듈
KR101792431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70122469A (ko) 카메라 모듈
US20220244486A1 (en) Lens driving module, photographing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CN107295225B (zh) 相机模块
KR102080656B1 (ko) 카메라 모듈
KR101823272B1 (ko) 카메라 모듈
KR20190063716A (ko) 카메라 모듈
KR102016493B1 (ko) 카메라 모듈
KR101813393B1 (ko) 카메라 모듈
KR20220059089A (ko) 카메라 모듈
EP4113965B1 (en) Optical element driving unit, imaging optical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