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090B1 -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090B1
KR101792090B1 KR1020137002852A KR20137002852A KR101792090B1 KR 101792090 B1 KR101792090 B1 KR 101792090B1 KR 1020137002852 A KR1020137002852 A KR 1020137002852A KR 20137002852 A KR20137002852 A KR 20137002852A KR 101792090 B1 KR101792090 B1 KR 101792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il spring
plug
hous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5598A (ko
Inventor
빌렘 블랙본
마틴 아우어
그레고어 라이너
Original Assignee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105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를 전송하기 위한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로서, 케이블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물질로 만들어진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를 삽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개방 측면(14)을 구비하며, 상기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형성하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물질로 만들어진 하우징(10)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10)에 삽입된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와 상기 하우징(10) 사이에 접촉 영역과 접촉 압력을 구비하는 전기 접촉을 수립하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10)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18)를 구비하는,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18)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HIGH-CURRENT PLUG-IN CONNECTOR}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특정된 바와 같이, 전류를 전송하기 위한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로서, 케이블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물질로 만들어진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를 삽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개방 측면 또는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형성하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물질로 만들어진 하우징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압력 영역과 접촉 압력이 있는 전기적 접촉부를 만들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고 전류를 전송하기 위한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는 예를 들어 전기 드라이브 또는 하이브리드 드라이브를 갖는 자동차에 사용된다. 이 경우에 제공되는 것은 접촉 블레이드가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로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을 갖는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이다. 하우징과 블레이드 유형의 접촉부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물질로 만들어지고, 전류를 전도하기에 적합한 케이블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목적은 예를 들어 진동과 같은 기계적 부하를 받을 때에도 그 전기적 특성에 대해 전술된 종류의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를 개선시키는 것이다.
본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를 구비하는 전술된 종류의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사항은 다른 청구항에 기술되어 있다.
전술된 종류의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에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를 취하는 접촉 부재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
이것은 특히 작은 점유 공간이 필요할 때 신뢰성 있는 전기 접촉이 하우징과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 사이에 이루어지고, 그리고 기계적인 진동이 크게 로딩될 때에도 이것은 접촉 지점이 예를 들어 마모로 인해 이 경우에 언급할 가치가 있는 임의의 마모를 받지 않고 고 전류를 신뢰성 있게 전송한다고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고 전류를 특히 우수하게 전송하는 것은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를 블레이드 유형의 플러그인 커넥터, 삽입가능한 블레이드, 또는 접촉형 블레이드로 만드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기계적으로 간단하고 동시에 신뢰성있게 동작하는 구성은 코일 스프링의 중심 길이방향 축이 직선과 평행하게 정렬되는 방식으로 코일 스프링을 배열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를 용이하게 조립하는 것은 2개,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코일 스프링을 제공하고 이러한 2개,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코일 스프링의 중심 길이방향 축이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대응하는 수의 전체 접촉 면적과 함께 특히 다수의 접촉 지점은 코일 스프링의 회전부의 각 방사방향으로 외부 측에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와 하우징과 전기적 및 기계적 접촉을 만드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을 배열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방사 방향으로, 또는 다시 말해 코일 스프링의 길이방향 중심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고, 방사 방향으로 대응하는 접촉 압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은 0보다 큰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코일 스프링의 길이방향 중심 축에 대해 코일 스프링의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 특히 그 모든 회전부의 길이방향 중심 축을 경사지게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를 서로 끼워맞추는 특히 간단한 방법은, 하우징에,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에, 미리 결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을 보유하도록 전기적으로 절연성인 물질로 만들어진 장착 부재를 배열하고,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장착 부재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단면이 타원형인 코일 스프링의 한정된 정렬을 구비하는 코일 스프링을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장착하는 신뢰성 있는 동작 방법은 각 코일 스프링에 대해 장착 부재에 자유 단부를 구비하는 스피곳(spigot)를 제공하고, 각 스피곳 위에 스피곳이 코일 스프링의 회전부에서 축방향으로 맞물리도록 코일 스프링이 배열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장착 부재 위에 코일 스프링을 용이하게 끼워맞추는 것은 장착 부재를 2개 부분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코일 스프링 대신에 특히 우수한 기계적 고정은 장착 부재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이 수용부(aperture)를 통해 끼워맞춰지는 것에 의해 하우징과 전기적 및 기계적 접촉을 만들고,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를 위한 하우징 내 챔버로 돌출하도록 배열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하우징에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를 클램핑으로 고정하여, 기계적 진동 부하 하에서도 하우징에 대해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은 서로를 향하는 2개의 플랩을 장착 부재에 제공하고, 상기 2개의 플랩은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고 그 간격이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의 두께보다 더 작은 것에 의해 달성된다.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와 하우징 사이에 이루어진 전기 접촉부에 특히 우수한 접촉 압력은 코일 스프링의 중심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의 방사방향 직경이 이 하우징에 삽입된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의 분해도;
도 3은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가 삽입될 때 도 1에 도시된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의 단면도;
도 4는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가 삽입될 때 도 1에 도시된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
도 5는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가 삽입될 때 도 1에 도시된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의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를 위한 장착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장착 부재의 다른 사시도;
도 8은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가 삽입될 때 도 6에 도시된 장착 부재의 다른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를 위한 접촉 부재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접촉 부재의 단부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고 전류를 전송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블레이드 형태(도 2 및 도 5)의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형성하고 삽입 단부에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14)를 구비하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물질로 만들어진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삽입 단부와는 반대쪽 케이블 단부(16)에서 하우징(12)은 전류 케이블(미도시)에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는 또한 전류 케이블(미도시)에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0)에는 및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를 위한 하우징(10) 내 챔버에는, 코일 스프링(18)이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에 삽입된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 사이에 전기적인 접촉을 하도록,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물질로 만들어진 코일 스프링 형태의 4개의 접촉 부재(18)가 배열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8)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명확하고 단순화된 표현을 위하여, 이 코일 스프링(18)은 도 1 내지 도 8에는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장착 부재(20)는 코일 스프링(18)이 하우징(10)에 대해 미리 결정된 위치에 그리고 미리 결정된 지점에서 하우징(10) 내에 배열되고 고정되도록 제공된다. 미리 장착된 코일 스프링(18)을 취하면, 이것은 하우징(10) 내 개구(14)에 삽입되고 하우징(10) 내에 래치될 수 있다. 장착 부재(20)는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둘러싼다. 다시 말해, 장착 부재(20)는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가 특히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착 부재(20)에 삽입되도록 하우징(10)에 배열된다.
장착 부재(20)는 제 1 장착 부분(22)과 제 2 장착 부분(24)으로 조립된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장착 부분 (22)은, 제 1 장착 부분(22)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자유 단부(28)를 각각 구비하는 스피곳(spigots)(26)을 구비한다. 이 스피곳(26)은 코일 스프링(18)을 고정하는 데 사용되고, 장착 부재(20)의 수용부(30)에 배열된다. 이들 장착 부재를 끼워맞추기 위해 코일 스프링(18)은 자유 단부(28)를 통해 스피곳(26)에 삽입되고 이후 제 1 장착 부분 (22)과 제 2 장착 부분(24)은 함께 끼워맞춰진다. 장착 부분(22, 24)과 코일 스프링(18)을 포함하는 이 미리 조립된 유닛은 하우징(10)의 개구(14)로 슬라이딩되고 하우징(10) 내에 래치된다. 이것은 특히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는 상태이다. 또한 이들 도 3 및 도 4를 보면, 코일 스프링(18)은 그 회전부(turns)의 방사 방향으로 외부 측이 하우징(10)과 전기적 및 기계적 접촉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코일 스프링(18)은 하우징(10) 내의 챔버로 또는 장착 부재(20) 내 챔버로 돌출하며,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가 챔버 내로 삽입된다.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는 특히 도 5에서 볼 수 있다. 이 도 5에서 또한 명백한 것은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가 삽입될 때 코일 스프링(18)이 하우징(10)의 내부벽과 이 커넥터 사이에 클램핑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방사방향으로 코일 스프링(18)은 스프링으로부터의 힘과는 반대쪽 방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18)으로부터 초래되는 복원력은, 회전부가 하우징(10)과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하게 하고 이 회전부가 하우징 및 커넥터와 기계적으로 터치하는 지점에 적절한 접촉 압력이 있는 것을 보장한다. 이것은 코일 스프링(18)의 회전부의 외부측에서 발생한다. 복수의 회전부에서 코일 스프링(18)은 한편으로는 코일 스프링(18)과 하우징(10) 사이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코일 스프링(18)과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 사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촉점을 형성한다.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를 통해 전류의 흐름은 이에 따라 코일 스프링(18)의 복수의 개별 회전부에 걸쳐 분배되어, 코일 스프링(18)의 개별 회전부는 각각 총 전류의 일부만 전송하면 된다. 특히 도 3 내지 도 5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8)은 장착 부재(20)의 수용부(30)를 통해 끼워맞춰진다. 다시 말해, 수용부(30)는 코일 스프링(18)에 의해 하우징(10) 및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 사이에 전기적 및 기계적 접촉을 만드는 접촉창(contact-making window)을 형성한다.
도 6 내지 도 8로부터 알 수 있듯이, 장착 부재(20)는 하우징(10)의 삽입 단부와는 반대쪽 단부에 배열된 단부에 2개의 플랩(32, 34)을 구비하며, 이 2개의 플랩은 장착 부분(22, 24) 각각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자유 단부에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서로를 향하는 플랩(32, 34)들 사이의 간격은 이 경우에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의 두께보다 더 작다.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가 하우징(10)에 그리고 장착 부재(20)에 삽입되면, 블레이드 형태의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는 장착 요소(20)를 통해 2개의 플랩(32, 34) 사이에 있는 지점으로 끼워맞춰진다. 플랩(32, 34)은 개방되게 서로 탄성적으로 멀어지게 휘어지고, 그 결과 플랩(32, 34)을 복원시키는 힘이 이에 따라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에 작용한다. 이로써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는 하우징(10) 내에 또는 장착 부재(20) 내에 고정되며, 따라서 진동을 댐핑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코일 스프링(18)과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 사이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코일 스프링(18)과 하우징(10) 사이에 접촉 지점이 서로 효과적으로 유지되는, 즉 닫히는 것과, 여러 기계적 진동이 내부에 삽입된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를 구비하는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에 작용하는 경우에도 각 접촉 지점이 심지어 잠깐이라도 개방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 개방은 사실 하우징(10), 코일 스프링(18), 및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 상의 전기 전도성 코팅에 원치 않는 마모가 존재할 수 있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것이고, 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코일 스프링의 개별 부분, 즉 한편으로는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와 코일 스프링(18) 사이에 그리고 하우징(10)과 코일 스프링(18) 사이에 개별 접촉 지점이 특히 국부적으로 고 전류를 구비하게 로드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진동 댐핑은 코일 스프링(18)에 의해 더 지원되거나 또는 방사 방향으로, 즉 해당 코일 스프링(18)의 중심 길이방향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 코일 스프링으로부터 복원력에 의해 다소 지원된다.
코일 스프링(18)의 예시적인 및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다. 코일 스프링(18)은 회전부(36)와 중심 길이방향 축(38)을 구비한다. 그 자체로, 각각의 회전부(36)는 또한 중심 길이방향 축(40)을 구비한다. 종래의 코일 스프링에서 중심 길이방향 축(38, 40)은 서로 일직선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도시된 코일 스프링에서의 회전부(36)는 코일 스프링(18)의 중심 길이방향 축(38)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이것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8)의 중심 길이방향 축(38)과 해당 회전부(36)의 중심 길이방향 축(40) 사이에 미리 결정된 소정의 각도(42)를 형성한다. 다른 방식으로 보면, 경사진 회전부는 각 회전부(36)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8)의 중심 길이방향 축(38)에 수직인 면이 원형이 아니라 타원형 형태를 초래하게 하는데, 즉 장축(44)과 단축(46)을 구비하게 한다.
코일 스프링(18)에 대한 이러한 구성은 코일 스프링(18)이 특히 방사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잘 변형될 수 있는 방사방향의 바람직한 방향을 형성하여, 크게 변형된 상태로부터 높은 복원력을 제공하여 소성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것은 단축(46)에 의해 형성된 방향인데, 즉 코일 스프링(18)의 중심 길이방향 축(38)에 수직하면서 중심 길이방향 축(38, 40)들 사이의 면에 놓여있는 공간 내 직선을 따라가는 방향이다. 특히 도 3, 도 4, 및 도 5로부터 볼 수 있듯이, 스피곳(26)은 단면이 타원형이며, 스피곳(26)의 이 타원형 구성의 단축은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의 삽입 방향과 수직이로 배열되어 있다. 이로써,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유형의 경사진 회전부(36)를 구비하는 코일 스프링(18)이, 스피곳(26)에 삽입될 때, 하우징(10) 내에서 정확하게 동일한 배향으로 모두 정렬되고, 즉 단축(46)은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의 삽입 방향에 수직이며 다시 말해서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이 된다. 이런 방식으로, 코일 스프링(18)의 접촉 지점, 즉 회전부(36)의 접촉 지점에 대한 접촉 압력이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 및 하우징(10)에 가해져야하는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18)의 단축(46)이 정확히 정렬된다.
"고 전류" 또는 "고 전류 강도"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100A, 200A, 300A, 400A 또는 그 이상의 세기를 갖는 전류를 의미한다.

Claims (12)

  1. 전류를 전송하기 위한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로서,
    상기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물질로 만들어진 하우징(1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케이블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은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물질로 만들어진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를 삽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개방 측면 또는 단부(14)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는 하나 이상의 접촉 부재(18)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하우징(10)에 삽입된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와 상기 하우징(10) 사이에, 접촉 영역 및 접촉 압력이 발생하는 전기적 접촉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10)에 대하여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접촉 부재(18)는 코일 스프링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하우징(10) 내, 상기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챔버 내에는, 미리 결정된 위치에 상기 하나 이상의 코일 스프링(18)을 고정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절연성인 물질로 만들어진 장착 부재(20)가 배열되고, 상기 장착 부재(20)는 상기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를 수용하도록 되어있는,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20)는 각 코일 스프링(18)에 대해, 자유 단부(28)를 구비하는 스피곳(26)을 포함하며, 상기 스피곳(26)이 상기 코일 스프링의 회전부(36)에 축방향으로 맞물리도록 코일 스프링(18)이 각각의 스피곳(26)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는 블레이드 유형의 플러그인 커넥터, 삽입형 블레이드 또는 접촉형 블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18)은, 상기 코일 스프링(18)의 중심 길이방향 축(38)이 직선과 평행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18)은 2개,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이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중심 길이방향 축(38)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18)은, 상기 코일 스프링(18)의 회전부(36)의 방사방향으로 외부측에서 상기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 및 상기 하우징(10)과 전기적 및 기계적 접촉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18)의 하나 이상의 회전부(36)의 길이방향 중심 축(40)은 0보다 큰 소정의 각도(42)만큼 상기 코일 스프링(18)의 길이방향 중심 축(38)에 대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20)는 2개의 부분(22, 24)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20)는 수용부(30)를 구비하며, 하나 이상의 코일 스프링(18)은 수용부(30)를 통해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하우징(10)과 전기적 및 기계적 접촉을 하고 상기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를 위해 상기 하우징(10) 내의 챔버 내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20)는 서로를 향하는 2개의 플랩(32, 34)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플랩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플랩의 간격은 상기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의 두께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18)의 중심 길이방향 축(38)에 수직한 상기 하나 이상의 코일 스프링(18)의 방사방향 직경은, 상기 하우징(10)에 삽입된 맞물림 플러그인 커넥터(12)와 상기 하우징(10)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11. 삭제
  12. 삭제
KR1020137002852A 2010-07-29 2011-06-09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KR101792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0010827U DE202010010827U1 (de) 2010-07-29 2010-07-29 Hochstromsteckverbinder
DE202010010827.6 2010-07-29
PCT/EP2011/002856 WO2012013258A1 (de) 2010-07-29 2011-06-09 Hochstromsteckverbi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598A KR20130105598A (ko) 2013-09-25
KR101792090B1 true KR101792090B1 (ko) 2017-11-01

Family

ID=4299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852A KR101792090B1 (ko) 2010-07-29 2011-06-09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764489B2 (ko)
EP (1) EP2599165B1 (ko)
JP (1) JP5827329B2 (ko)
KR (1) KR101792090B1 (ko)
CN (1) CN103038949B (ko)
CA (1) CA2803099C (ko)
DE (1) DE202010010827U1 (ko)
HK (1) HK1183379A1 (ko)
TW (1) TWM416925U (ko)
WO (1) WO20120132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1003555U1 (de) * 2011-03-04 2011-05-26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83413 Hochstromsteckverbinder mit Ringfederkontaktierung
DE202011005270U1 (de) 2011-04-14 2011-09-01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DE202011005271U1 (de) * 2011-04-14 2011-07-26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mit einem Kontaktelement
DE102011089978B4 (de) * 2011-12-27 2022-01-13 Vitesco Technologies Germany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sowi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S8585440B2 (en) * 2012-04-11 2013-11-19 Amphenol East Asia Electronic Technology (Shenzhen) Ltd. High-speed connector with conductive plastic blocks in contact with contact sections of signal terminals
US9190756B2 (en) * 2013-08-01 2015-11-17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CN103427196A (zh) * 2013-08-23 2013-12-04 昆山弘杰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大电流接插件
CN105580201B (zh) * 2013-09-25 2018-12-25 泰连公司 电力端子连接器
JP6404008B2 (ja) * 2014-06-23 2018-10-10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電気的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US10230202B2 (en) 2014-11-04 2019-03-12 X-Microwave, Llc Modular building block system for RF and microwave design of components and systems from concept to production
DE102015216632A1 (de) * 2015-08-31 2017-03-02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Anordnung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 zwischen einem Flachkontakt und einem Hochstromleiter
JP6508035B2 (ja) * 2015-12-24 2019-05-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6660561B2 (ja) 2016-07-06 2020-03-1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モジュール、およびコネクタ
JP6627664B2 (ja) * 2016-07-06 2020-01-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6780513B2 (ja) * 2017-01-18 2020-11-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モジュール
JP6724868B2 (ja) * 2017-06-13 2020-07-1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大電流用端子およびコネクタ
US10355389B2 (en) * 2017-08-01 2019-07-16 Delphi Technologies, Llc High-current electrical terminal
JP6889838B2 (ja) * 2017-10-24 2021-06-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
US20210370531A1 (en) * 2020-05-28 2021-12-02 Ati Industrial Automation, Inc. Pin, Toroidal Spring Socket, and High-Current Connector for a Robotic Device
US20230335961A1 (en) * 2020-10-08 2023-10-19 Interplex Industries, Inc. Bus bar connector
DE102021112425A1 (de) * 2021-05-12 2022-11-1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Vibrationsbelastbare elektrische Hochstrom-Flachbuchsenkontaktein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4572A1 (en) 2003-02-11 2004-11-11 Brigitte Hielscher Plug connector
JP2008204634A (ja) 2007-02-16 2008-09-04 Mitsubishi Electric Corp 接触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0213A (en) * 1975-01-30 1989-03-07 Square D Company Low resistance electrical connecting assembly
JPS5476992A (en) * 1977-11-30 1979-06-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ocket device
US4531174A (en) 1981-10-27 1985-07-23 Square D Company Draw-out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external connectors
US4514025A (en) 1982-11-08 1985-04-30 Square D Company Low resistance electrical connector
US4632496A (en) * 1983-09-26 1986-12-30 Williams Robert A Connector socket
US8437855B2 (en) * 2007-04-09 2013-05-07 Bal Seal Engineering, Inc. Connector assembly for use with medical devices
US8057270B2 (en) * 2007-12-05 2011-11-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act device
US8215013B2 (en) * 2008-04-11 2012-07-10 Bal Seal Engineering, Inc. Method for making a free standing axially compressed connector st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4572A1 (en) 2003-02-11 2004-11-11 Brigitte Hielscher Plug connector
JP2008204634A (ja) 2007-02-16 2008-09-04 Mitsubishi Electric Corp 接触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64489B2 (en) 2014-07-01
KR20130105598A (ko) 2013-09-25
WO2012013258A1 (de) 2012-02-02
TWM416925U (en) 2011-11-21
CN103038949A (zh) 2013-04-10
JP2013535777A (ja) 2013-09-12
DE202010010827U1 (de) 2010-10-21
EP2599165A1 (de) 2013-06-05
US20130130556A1 (en) 2013-05-23
CA2803099A1 (en) 2012-02-02
HK1183379A1 (en) 2013-12-20
CN103038949B (zh) 2015-04-29
EP2599165B1 (de) 2014-08-06
JP5827329B2 (ja) 2015-12-02
CA2803099C (en) 201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090B1 (ko) 고 전류 플러그인 커넥터
EP2517310B1 (en) Power contact
JP2014503961A (ja) 電力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20120238154A1 (en) Wire-to-wire connector
EP2426786B1 (en) Plug-in unit
JP2018503957A (ja) 電気コンタクトデバイス
KR20160030136A (ko) 삽입형 커넥터
AU2007349106C1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dust cover
KR102492314B1 (ko) 적응형 커넥터
KR20150065893A (ko) 절연 부품을 포함하는 삽입형 커넥터
US6394829B1 (en) Self-aligning electrical interconnect
WO2014114323A1 (en) Electrical high power connection assembly
WO2014111135A1 (en) Electrical high power connection assembly
CN107978894B (zh) 成角度的插接连接器及其制造方法
KR101496574B1 (ko) 자동차 분야에서 고전압 전류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 장치
CN116130998A (zh) 用于同轴插头的接触部组件以及多接触部组件
EP3809536A1 (en)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JP4597750B2 (ja) 雌型の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US20050009414A1 (en) Contact element for an electrical plug connection
CA2826448C (en) Insertion-type connector having a contact-making member
US20240030656A1 (en) Shield Contact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Shield Contact Element
EP3648259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es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projections provided on hinged cover
US20220140501A1 (en) Connection device for electrical conductors, and spring element for a connection device
KR20230065552A (ko) 고전압 커넥터
EP0986140B1 (en) Electrical fema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