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033B1 -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 - Google Patents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033B1
KR101790033B1 KR1020150129961A KR20150129961A KR101790033B1 KR 101790033 B1 KR101790033 B1 KR 101790033B1 KR 1020150129961 A KR1020150129961 A KR 1020150129961A KR 20150129961 A KR20150129961 A KR 20150129961A KR 101790033 B1 KR101790033 B1 KR 101790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dropper
mesh
cosmetics
tube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541A (ko
Inventor
여명권
Original Assignee
(주)톨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톨리코리아 filed Critical (주)톨리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29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033B1/ko
Publication of KR20170032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 몸체 상부에 캡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캡부재 내부에 상, 하 이동이 가능하며 피스톤링이 결합된 버튼이 결합되고 상기 캡부재 하부에 스포이트관이 결합되되, 상기 스포이트관 하부 내측에 메쉬망이 접합된 메쉬망 프레임이 결합되는 구조로써, 상기 용기 몸체 내부에 액상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을 혼합하여 충전시킨 후에 상기 버튼을 눌렀다 놓으면 상기 피스톤링이 펌핑 운동을 하는 동시에 액채형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이 스포이트관에 흡입되는데 이때 비드형 화장품은 상기 스포이트관 하부에 결합된 메쉬망에 부딪혀 파괴되어 비드형 화장품 내의 화장료가 액상 화장품과 함께 스포이트관으로 흡입되면서 혼합되어 두 가지의 화장료 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용기 몸체 내부에 충전된 비드형 화장품의 외경이 메쉬망 프레임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0.5mm의 크기를 가지고 있고, 스포이트의 흡입력으로는 깨어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 경우, 버튼을 눌렀다 놓으면 피스톤링의 펌핑 운동에 의해 비드형 화장품 한개가 메쉬망 프레임 내측에 깨지지 않은 상태로 삽입되고, 이후 사용자가 스포이트관을 도포부위로 이동시켜 상기 비드형 화장품을 배출한 다음, 손으로 비벼서 비드형 화장품을 깨뜨려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액상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이 혼합 충전된 용기몸체(10)와; 상기 용기몸체(10)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캡부재(20)와; 상기 캡부재(20) 상부 내측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피스톤링(32)이 장착된 버튼(30)과; 상기 캡부재(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30)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40) 및 상기 캡부재(20) 내부에 결합되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화장품을 흡입 또는 배출하는 스포이트관(50)으로 구성되되, 상기 스포이트관(50) 하부 내측에는 메쉬망(62)이 접합된 메쉬망 프레임(6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A spuit container which can be conveniently assembled mash net to spuit tube}
본 발명은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 몸체 상부에 캡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캡부재 내부에 상, 하 이동이 가능하며 피스톤링이 결합된 버튼이 결합되고 상기 캡부재 하부에 스포이트관이 결합되되, 상기 스포이트관 하부 내측에 메쉬망이 접합된 메쉬망 프레임이 결합되는 구조로써, 상기 용기 몸체 내부에 액상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을 혼합하여 충전시킨 후에 상기 버튼을 눌렀다 놓으면 상기 피스톤링이 펌핑 운동을 하는 동시에 액채형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이 스포이트관에 흡입되는데 이때 비드형 화장품은 상기 스포이트관 하부에 결합된 메쉬망에 부딪혀 파괴되어 비드형 화장품 내의 화장료가 액상 화장품과 함께 스포이트관으로 흡입되면서 혼합되어 두 가지의 화장료 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용기 몸체 내부에 충전된 비드형 화장품의 외경이 메쉬망 프레임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0.5mm의 크기를 가지고 있고, 스포이트의 흡입력으로는 깨어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 경우, 버튼을 눌렀다 놓으면 피스톤링의 펌핑 운동에 의해 비드형 화장품 한개가 메쉬망 프레임 내측에 깨지지 않은 상태로 삽입되고, 이후 사용자가 스포이트관을 도포부위로 이동시켜 상기 비드형 화장품을 배출한 다음, 손으로 비벼서 비드형 화장품을 깨뜨려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또는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을 말한다.
상기 화장품을 사용목적에 따라 분류해보면 피부표면의 피지, 노폐물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안화장품과, 피부에 수분과 유분을 적절히 공급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화장품과, 아름다운 색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색조화장품과, 모발 또는 두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모발을 보호하고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발화장품 및 향료를 알코올 등에 녹여서 타인에게 향기를 풍기기 위해 사용되는 향수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화장품들은 대체적으로 액체, 분말, 겔, 고형화된 화장품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근래에는 화장품의 기능이 더욱 다양화됨에 따라 액체 상태의 화장품 속에 비드 형태의 화장품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비드형 화장품이란, 구슬 모양의 얇은 막이 형성된 형태로서, 상기 비드 내부에 겔상 또는 액체의 화장료가 충전되어 있고 얇은 막을 깨뜨려 비드 내부의 내용물을 액상화장품과 혼합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비드가 내장된 화장품은 심미감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개폐 기능을 가지고 있는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화장료를 덜어내어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토출되는 화장료 양을 조절하지 못하여 화장료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화장료를 스포이트관을 이용하여 스포이팅 방식으로 정량 토출하는 스포이트 용기가 개발됨으로써 화장료의 정량 토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스포이트 용기 내부에 액상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을 혼합하여 충전할 경우에는 상기 비드형 화장품이 펌프의 흡입관을 막아 화장품을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본등록특허 2004-275415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알칼리 이온수 분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펌프용기 내부의 펌프 흡입관 하부에 거름망이 형성되어 스포이트 용기에도 응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액상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의 혼합 화장품 용기로 사용할 때에 거름망이 부드러운 섬유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서 펌프를 누르게 되면 상기 비드형 화장품은 거름망에 걸리게 되어 펌프의 흡입관을 막는 문제점은 해결되나 비드형 화장품이 으깨어지지 않아 액상 화장품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8343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스포이트관 외주연에 메쉬(Mesh)구조의 파쇄공이 형성된 회동 가능한 파쇄회동편을 갖는 파쇄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캡슐 또는 비드 타입의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 시 파쇄하여 원하는 화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스포이트형 화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파쇄부재에 형성된 파쇄회동편이 금속의 토션 스프링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써, 화장료가 수용된 용기 내에 파쇄부재를 장기간 보관시 금속의 토션 스프링에 의해 화장료가 녹이 쓸어 화장료가 변질되어 피부 트러블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쇄부재에 많은 부품이 사용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포이트관을 용기 본체로부터 인출할 때 와이퍼로 스포이트관 외주연을 쓸어 내려 주어야 하나 종래기술은 슬라이딩되는 파쇄부재가 스포이트관 외주연에 설치되어 있어서 와이퍼를 사용할 수 없어서 스포이트관 외주연에 비드 화장품이 묻어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6003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에어리스 펌프 모듈이 장착되는 넥부와 상기 넥부 아래에 형성되어 용기 몸체에 결합하며 화장료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숄더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에 그물망이 형성되는 숄더부를 상기 에어리스 펌프 모듈과 결합하여 용기 내에 액상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을 혼합하여 충전 시킨 후 에어리스 펌프에 의해 토출시킬 때에 비드형 화장품은 그물망에 부딪혀 파괴되어 비드형 화장품 내의 화장료가 액상 화장품과 함께 배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비드형 화장품의 비드 크기가 다를 경우 비드의 크기에 맞는 그물망을 바꿔 제작해야 하는데 상기 종래 기술은 숄더부에 그물망이 일체로 제작되어 그물망 크기를 바꾸게 되면 조립공정을 바꾸어야 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에어리스 펌프를 가압하여 화장료를 토출하여 사용할 때 펌핑 된 화장료는 펌프 실린더에 저장이 되는데 이때 펌프 실린더에 저장된 두 가지 화장료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게 되면 두 가지 화장료가 화학 반응을 일으켜서 두 가지 화장료의 효과가 급감하거나 효과가 사라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 몸체 상부에 캡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캡부재 내부에 상, 하 이동이 가능하며 피스톤링이 결합된 버튼이 결합되고 상기 캡부재 하부에 스포이트관이 결합되되, 상기 스포이트관 하부 내측에 메쉬망이 접합된 메쉬망 프레임이 결합되는 구조로써, 상기 용기 몸체 내부에 액상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을 혼합하여 충전시킨 후에 상기 버튼을 눌렀다 놓으면 상기 피스톤링이 펌핑 운동을 하는 동시에 액채형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이 스포이트관에 흡입되는데 이때 비드형 화장품은 상기 스포이트관 하부에 결합된 메쉬망에 부딪혀 파괴되어 비드형 화장품 내의 화장료가 액상 화장품과 함께 스포이트관으로 흡입되면서 혼합되어 두 가지의 화장료 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스포이트관 하부 내측에 메쉬망 프레임을 결합하는 구조써, 비드의 크기 맞는 메쉬를 갖는 메쉬망이 접합된 메쉬망 프레임을 손쉽게 결합하여 스포이트관과 메쉬망의 조립 공정이 간편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스포이트관 하부에 메쉬망이 형성되어 버튼을 가압하여 스포이트관으로 화장료를 흡입할 때 메쉬망을 통해 두 가지 내용물이 섞이게 되고 스포이트관에 채워진 내용물을 피부에 배출하여 도포할 때 메쉬망을 통해 한번 더 두 가지 내용물이 섞이면서 배출되어, 두 가지 화장료를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용기 몸체 내부에 충전된 비드형 화장품의 외경이 메쉬망 프레임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0.5mm의 크기를 가지고 있고, 스포이트의 흡입력으로는 깨어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 경우, 버튼을 눌렀다 놓으면 피스톤링의 펌핑 운동에 의해 비드형 화장품 한개가 메쉬망 프레임 내측에 깨지지 않은 상태로 삽입되고, 이후 사용자가 스포이트관을 도포부위로 이동시켜 상기 비드형 화장품을 배출한 다음, 손으로 비벼서 비드형 화장품을 깨뜨려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액상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이 혼합 충전된 용기몸체(10)와;
상기 용기몸체(10)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캡부재(20)와;
상기 캡부재(20) 상부 내측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피스톤링(32)이 장착된 버튼(30)과;
상기 캡부재(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30)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40) 및
상기 캡부재(20) 내부에 결합되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화장품을 흡입 또는 배출하는 스포이트관(50)으로 구성되되,
상기 스포이트관(50) 하부 내측에는 메쉬망(62)이 접합된 메쉬망 프레임(6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캡부재(20)는 외캡(22)과 상기 외캡(22) 내측에 결합되는 내캡(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부재(20)의 외캡(22) 내주연에는 상하가이드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30) 외주연에는 상하가이드돌기(332)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부재(20)의 내캡(24)은 상부로 연장 형성된 내벽(242)과 상기 내벽(242)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부로 연장 형성된 외벽(244) 및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연장돌륜(24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부재(20)의 내캡(24) 내부에는 상기 스포이트관(50)의 상단을 눌러 고정시키는 동시에 밀폐시키는 튜브패킹(7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쉬망(62)은 메쉬망 프레임(60)의 상단에 접합되되, 고주파 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쉬망(62)은 메탈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섬유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쉬망(62)은 200메쉬 내지 500메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드형 화장품은 피스톤링(32)의 펌핑에 의해 메쉬망 프레임(60) 내측에 깨지지 않은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스포이트관(50)과 함께 도포부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 몸체 상부에 캡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캡부재 내부에 상, 하 이동이 가능하며 피스톤링이 결합된 버튼이 결합되고 상기 캡부재 하부에 스포이트관이 결합되되, 상기 스포이트관 하부 내측에 메쉬망이 접합된 메쉬망 프레임이 결합되는 구조로써, 상기 용기 몸체 내부에 액상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을 혼합하여 충전시킨 후에 상기 버튼을 눌렀다 놓으면 상기 피스톤링이 펌핑 운동을 하는 동시에 액채형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이 스포이트관에 흡입되는데 이때 비드형 화장품은 상기 스포이트관 하부에 결합된 메쉬망에 부딪혀 파괴되어 비드형 화장품 내의 화장료가 액상 화장품과 함께 스포이트관으로 흡입되면서 혼합되어 두 가지의 화장료 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포이트관 하부 내측에 메쉬망 프레임을 결합하는 구조써, 비드의 크기 맞는 메쉬를 갖는 메쉬망이 접합된 메쉬망 프레임을 손쉽게 결합하여 스포이트관과 메쉬망의 조립 공정이 간편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포이트관 하부에 메쉬망이 형성되어 버튼을 가압하여 스포이트관으로 화장료를 흡입할 때 메쉬망을 통해 두 가지 내용물이 섞이게 되고 스포이트관에 채워진 내용물을 피부에 배출하여 도포할 때 메쉬망을 통해 한번 더 두 가지 내용물이 섞이면서 배출되어, 두 가지 화장료를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 몸체 내부에 충전된 비드형 화장품의 외경이 메쉬망 프레임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0.5mm의 크기를 가지고 있고, 스포이트의 흡입력으로는 깨어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 경우, 버튼을 눌렀다 놓으면 피스톤링의 펌핑 운동에 의해 비드형 화장품 한개가 메쉬망 프레임 내측에 깨지지 않은 상태로 삽입되고, 이후 사용자가 스포이트관을 도포부위로 이동시켜 상기 비드형 화장품을 배출한 다음, 손으로 비벼서 비드형 화장품을 깨뜨려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알칼리 이온수 분무 장치.
도 2는 종래의 스포이트형 화장 용기.
도 3은 종래의 숄더에 그물망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메쉬망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버튼을 가압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가압이 해제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용기몸체로부터 캡부재를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용기몸체로부터 분리된 캡부재의 버튼을 가압하여 피부에 화장품을 배출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메쉬망 프레임 내측에 한개의 비드형 화장품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메쉬망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는 내부에 액상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이 혼합 충전된 용기몸체(10)와; 상기 용기몸체(10)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캡부재(20)와; 상기 캡부재(20) 상부 내측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피스톤링(32)이 장착된 버튼(30)과; 상기 캡부재(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30)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40) 및 상기 캡부재(20) 내부에 결합되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화장품을 흡입 또는 배출하는 스포이트관(50)으로 구성되되, 상기 스포이트관(50) 하부 내측에는 메쉬망(62)이 접합된 메쉬망 프레임(6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몸체(10)의 내부에는 액상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이 혼합 충전된다.
상기 용기몸체(10) 상부에는 입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12)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캡부재(20)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용기몸체(10)의 입구부(12) 내주연에는 스포이트관(50) 외주연엔 뭍은 화장품을 훑어내는 와이퍼(14)가 더 형성된다.
상기 캡부재(20)는 용기몸체(10)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캡부재(20)는 외캡(22)과 상기 외캡(22) 내측에 결합되는 내캡(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부재(20)의 외캡(22) 내주연에는 버튼(30)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상하가이드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가이드홈(222) 하측에는 외캡(22)이 내캡(24)으로부터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돌기(22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돌기(224)의 하측에는 내캡(24)과 결합되는 결합돌륜(226)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캡부재(20)의 내캡(24)은 상부로 연장 형성된 내벽(242)과, 상기 내벽(242)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부로 연장 형성된 외벽(244) 및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연장돌륜(24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연장돌륜(246)의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몸체(10)의 입구부(12)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내캡(24)의 내부 중앙에는 스포이트관(50)이 관통되는 관통홀(248)이 형성된다.
상기 내벽(242)의 내주연에는 패킹결합돌륜(242a)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부연장돌륜(246) 외주연에는 회전방지홈(246a)이 형성되어 상기 외캡(22)의 회전방지돌기(224)가 끼워지며, 상기 회전방지홈(246a) 하측에는 결합홈(246b)이 형성되어 상기 외캡(22)의 결합돌륜(226)과 결합된다.
상기 캡부재(20)의 내캡(24) 내부에는 스포이트관(50)의 상단을 눌러 고정시키는 동시에 밀폐시키는 튜브패킹(70)이 더 형성된다.
상기 튜브패킹(70)의 하부에는 스포이트관(50)의 상단을 누르는 누름부(72)가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패킹결합홈(74)이 형성되어 상기 내벽의 패킹결합돌륜(242a)이 결합된다.
상기 튜브패킹(70)은 탄성을 갖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 천연고무(natural rubber), 엘라스토머(elastomer), NBR(nitrile-butadiene rubber), 실리콘(silico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30)은 캡부재(20)의 상부 내측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버튼(30)은 중앙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1 하부연장돌륜(31)과 상기 제1 하부연장돌륜(3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 하부연장돌륜(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하부연장돌륜(31)의 하측에는 내캡(24)의 내벽(242) 내주연에 밀착되어 상하 이동하는 피스톤링(32)이 장착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내벽(242)은 실린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2 하부연장돌륜(33)의 외주연에는 상하가이드돌기(332)가 형성되어 상기 외캡(22)의 상하가이드홈(222)에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캡부재(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30)을 탄력지지하는데, 상기 탄성부재(40)의 하부는 내캡(24)의 내벽(242)과 외벽(244) 사이에 끼워지고, 상부는 버튼(30)의 내측 상단에 밀착된다.
상기 스포이트관(50)은 캡부재(20) 내부에 결합되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화장품을 흡입 또는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포이트관(50)은 내캡(24)의 관통홀(248)에 삽입되며, 상기 튜브패킹(70)의 누름부(72)에 의해 스포이트관(50) 상단이 눌리면서 고정된다.
상기 스포이트관(50)의 하부에는 메쉬망 프레임(60)이 삽입되는 프레임 삽입홈(52)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삽입홈(52) 외주연에는 프레임 결합홈(522)이 형성된다.
상기 메쉬망 프레임(6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관 형태이며, 스포이트관(50)의 프레임 삽입홈(52)에 장착되고, 상단에는 비드형 화장품이 부딪혀 파괴되는 메쉬망(62)이 접합된다.
상기 메쉬망 프레임(60)의 외주연에는 프레임 결합돌륜(64)이 형성되어 상기 스포이트관(50)의 프레임 결합홈(522)에 결합된다.
즉, 스포이트관(50) 하부 내측에 메쉬망 프레임(60)을 결합하되, 비드형 화장품의 크기에 따라 이와 대응되는 크기의 메쉬를 갖는 메쉬망(62)을 메쉬망 프레임(60)에 접합하여 스포이트관(50)에 결합하기 때문에 메쉬망의 조립 공정이 간편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포이트관(50) 하부에 메쉬망(6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버튼(30)을 가압하여 스포이트관(50)으로 화장품을 흡입할 때 상기 메쉬망(62)을 통해 두 가지 화장품이 섞이게 되고, 스포이트관(50)에 채워진 화장품을 피부에 배출하여 도포할 때 상기 메쉬망(62)을 통해 한번 더 두 가지 화장품이 섞이면서 배출되어 두 가지 화장품이 효과적으로 혼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메쉬망(62)은 메쉬망 프레임(60)의 상단에 접합되며, 스포이트관(50)을 통해 흡입되는 비드형 화장품을 파괴하는 역할을 한다.
즉, 버튼(30)을 눌렀다 놓으면 상기 피스톤링(32)의 펌핑 운동에 의해 용기몸체(10)에 수용된 액상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이 스포이트관(50)을 통해 흡입되는데, 이때 비드형 화장품이 상기 스포이트관(50) 하부에 형성된 메쉬망(62)에 부딪혀 파괴되어 비드형 화장품 내의 화장료가 액상 화장품과 함께 스포이트관(50)으로 흡입되면서 혼합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메쉬망(62)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쉬망 프레임(60)의 하단에 접합될 수도 있다.
상기 메쉬망(62)은 메쉬망 프레임(60)의 상단에 접합되되, 고주파 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열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쉬망(62)은 메탈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섬유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쉬망(68)을 메탈재질로 형성할 때에는 철(Fe), 알루미늄(Al), 구리(Cu), 텅스텐(W), 스텐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니켈(Ni), 주석(Sn), 마그네슘(Mg), 칼슘(Ca), 티타늄(Ti), 아연(Zn), 갈륨(Ga)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쉬망(68)을 합성수지재질로 형성할 때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 비닐(Polyvinyl), TPE(thermoplastic elastomer(열가소성 플라스틱 탄성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아크릴 및 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메쉬망(62)은 200메쉬 내지 500메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쉬망(68)이 200메쉬 미만인 경우에는 메쉬의 크기가 너무 커서 용기몸체(10)에 수용된 비드형 화장품이 파괴되지 않고 상기 메쉬를 그대로 통과하거나 균일하게 파괴되지 않게 되며, 500메쉬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메쉬의 크기가 너무 작아 화장품이 상기 메쉬를 용이하게 통과하지 못하거나 파괴된 비드형 화장품의 찌꺼기가 메쉬에 끼어 막히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또한, 용기 몸체(10) 내부에 충전된 비드형 화장품의 외경이 메쉬망 프레임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0.5mm의 크기를 가지고 있고, 스포이트의 흡입력으로는 깨어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 경우에는 비드형 화장품 한개가 메쉬망 프레임(60) 내측에 깨지지 않은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스포이트관(50)과 함께 도포부위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30)을 눌렀다 놓으면 피스톤링(32)의 펌핑 운동에 의해 비드형 화장품 한개가 메쉬망 프레임(60) 내측으로 빨려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비드형 화장품은 깨지지 않은 상태로 메쉬망(62)의 하부면에 밀착된다. 이후, 사용자가 스포이트관(50)을 도포부위로 이동시켜 상기 비드형 화장품을 배출한 다음, 비드형 화장품을 손으로 비벼서 깨뜨려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조립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5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포이트관(50)의 프레임 삽입홈(52)에 메쉬망(62)이 접합된 메쉬망 프레임(60)을 결합하되, 상기 메쉬망 프레임(60)의 프레임 결합돌륜(64)이 스포이트관(50)의 프레임 결합홈(522)에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포이트관(50)을 내캡(24)의 관통홀(248)에 삽입하고, 내캡(24)의 내부에 튜브패킹(70)을 결합하여 스포이트관(50)을 고정시킨다.
이 후, 상기 내캡(24)의 외측에 외캡(22)을 상부로부터 결합하는데, 상기 외캡(22)의 회전방지돌기(224)가 내캡(24)의 회전방지홈(246a)에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외캡(22)의 결합돌륜(226)이 내캡(24)의 결합홈(246b)에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내캡(24)의 내벽(242)과 외벽(244) 사이에 탄성부재(40)를 넣은 후, 하측에 피스톤링(32)이 장착된 버튼(30)을 외캡(22)과 내캡(24) 사이에 결합시키되, 상기 버튼(30)의 상하가이드돌기(332)가 외캡(22)의 상하가이드홈(222)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 후, 용기몸체(10) 내부에 액상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을 충전한 다음 상기 용기몸체(10)의 입구부(12)에 와이퍼(14)를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이 버튼(30)과 스포이트관(50)이 조립된 캡부재(20)를 용기몸체(10)의 입구부(12)에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사용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버튼을 가압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가압이 해제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용기몸체로부터 캡부재를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용기몸체로부터 분리된 캡부재의 버튼을 가압하여 피부에 화장품을 배출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의 메쉬망 프레임 내측에 한개의 비드형 화장품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된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튼(30)을 수직으로 가압한다.
상기 버튼(30)이 가압되면 버튼(3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버튼(30) 하부에 결합된 피스톤링(32)이 내캡(24)의 내벽(242) 내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실린더 역할을 하는 내벽(242) 내부의 체적이 줄어들면서, 상기 내벽(242) 내부의 공기가 스포이트관(50)을 통해 배출된다.
이후,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튼(30)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버튼(30)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40)의 탄성에 의해 버튼(30)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버튼(30)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링(32) 역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내캡(24)의 내벽(242) 내부의 체적이 커져 진공압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스포이트관(50)으로 용기몸체(10)에 수용된 액상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이 함께 흡입된다. 이때, 비드형 화장품이 상기 스포이트관(50) 하부에 형성된 메쉬망(62)에 부딪혀 파괴되어 비드형 화장품 내의 화장료가 액상 화장품과 함께 스포이트관(50) 내부로 흡입된다.
이후,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몸체(10)로부터 캡부재(20)를 분리한 다음,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부에 스포이트관(50)을 대고 버튼(30)을 가압하여 스포이트관(50) 내부에 흡입된 화장품을 배출시켜 피부에 도포한다.
따라서, 상기 스포이트관(50)으로 화장품을 흡입할 때 메쉬망(62)을 통해 두 가지 화장품이 섞이게 되고, 스포이트관(50)에 채워진 화장품을 피부에 배출하여 도포할 때 상기 메쉬망(62)을 통해 한번 더 두 가지 화장품이 섞이면서 배출된다.
또한, 용기 몸체(10) 내부에 충전된 비드형 화장품의 외경이 메쉬망 프레임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0.5mm의 크기를 가지고 있고, 스포이트의 흡입력으로는 깨어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 경우,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튼(30)을 눌렀다 놓으면 피스톤링(32)의 펌핑 운동에 의해 비드형 화장품 한개가 메쉬망 프레임(60) 내측으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비드형 화장품은 깨지지 않은 상태로 메쉬망(62)의 하부면에 밀착된다.
이 후, 용기몸체(10)로부터 캡부재(20)를 분리한 다음, 스포이트관(50)을 도포부위로 이동시켜 상기 비드형 화장품을 배출한 후, 비드형 화장품을 손으로 비벼서 깨뜨려 사용한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 용기몸체 20: 캡부재
22: 외캡 24: 내캡
30: 버튼 32: 피스톤링
40: 탄성부재 50: 스포이트관
52: 프레임 삽입홈 60: 메쉬망 프레임
62: 메쉬망 70: 튜브패킹
222: 상하가이드홈 224: 회전방지돌기
246a: 회전방지홈 332: 상하가이드돌기

Claims (5)

  1. 내부에 액상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이 혼합 충전된 용기몸체(10)와;
    상기 용기몸체(10)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캡부재(20)와;
    상기 캡부재(20) 상부 내측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피스톤링(32)이 장착된 버튼(30)과;
    상기 캡부재(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30)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40)와;
    상기 캡부재(20) 내부에 결합되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화장품을 흡입 또는 배출하는 스포이트관(50) 및
    상기 스포이트관(50)의 하부 내측에 결합되며, 상단에 메쉬망(62)이 접합된 메쉬망 프레임(60)으로 구성되되,
    상기 메쉬망 프레임(6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관 형태이며, 스포이트관(50)의 하부에 형성된 프레임 삽입홈(52)에 장착되고,
    상기 스포이트관(50)으로 화장품의 흡입 시 상기 메쉬망(62)을 통해 액상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이 섞이고, 화장품의 배출 시 액상 화장품과 비드형 화장품이 한번 더 섞이면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62)은 메쉬망 프레임(60)의 상단에 접합되되, 고주파 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 또는 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62)은 메탈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섬유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62)은 200메쉬 내지 500메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형 화장품은 피스톤링(32)의 펌핑에 의해 메쉬망 프레임(60) 내측에 깨지지 않은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스포이트관(50)과 함께 도포부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
KR1020150129961A 2015-09-14 2015-09-14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 KR101790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961A KR101790033B1 (ko) 2015-09-14 2015-09-14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961A KR101790033B1 (ko) 2015-09-14 2015-09-14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541A KR20170032541A (ko) 2017-03-23
KR101790033B1 true KR101790033B1 (ko) 2017-10-26

Family

ID=58496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961A KR101790033B1 (ko) 2015-09-14 2015-09-14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0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366B1 (ko) * 2020-03-20 2020-09-01 주식회사 창신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102368404B1 (ko) * 2021-06-29 2022-02-28 주식회사 두코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3509B1 (en) * 2016-06-17 2017-09-19 Avon Products, Inc. Applicator for personal care
KR101987578B1 (ko) * 2018-01-30 2019-06-12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스포이트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5122A1 (en) * 2011-08-01 2014-06-26 Colgate-Palmolive Company Dispensing container with enhanced appeara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5122A1 (en) * 2011-08-01 2014-06-26 Colgate-Palmolive Company Dispensing container with enhanced appearan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366B1 (ko) * 2020-03-20 2020-09-01 주식회사 창신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102368404B1 (ko) * 2021-06-29 2022-02-28 주식회사 두코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541A (ko)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033B1 (ko)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
US8413849B2 (en) Secure dispensing system for multiple consumables
US10543956B2 (en) Dispenser and process
JP5096704B2 (ja) 定量分配器
EP3205228A1 (en) Two-liquid mixing container provided with pressing pocket
JP6386668B2 (ja) スポイト型異液混合容器
KR200475351Y1 (ko)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CN107105865B (zh) 内部形成有波纹管的异类液体混合容器
EP2507141A2 (en) Device for storing and dispensing fluids
US20210161274A1 (en) Cosmetic container provided with pump including part made of polyketone material
KR20160149356A (ko) 비드형 화장품을 포함한 액상 화장품 펌프용기
KR200453435Y1 (ko)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
KR20150088922A (ko) 여과 스프레이 용기
KR200472967Y1 (ko) 고형물 함유 화장료 용기
KR200487895Y1 (ko) 메쉬망과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캡슐화장품 용기
JP2007050899A (ja) ノズルヘッド
CN212165188U (zh) 化妆品容器
KR102549913B1 (ko) 튜브형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KR20180005291A (ko) 내용물 분쇄가 가능한 펌프용기
KR102636712B1 (ko) 노즐 차단 구조를 갖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CN214904439U (zh) 一种化妆瓶
KR101971918B1 (ko) 임시저장소를 갖는 플로킹팁을 구비한 스포이드 용기
CN213535780U (zh) 一种带有联动密封结构的出液杆的化妆品泵头
EP3281550A1 (en) Spuit-type container including flocking tip having temporary storage
CN209553883U (zh) 一种用于水乳类化妆品的两种液体混合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