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670B1 -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670B1
KR101785670B1 KR1020160002044A KR20160002044A KR101785670B1 KR 101785670 B1 KR101785670 B1 KR 101785670B1 KR 1020160002044 A KR1020160002044 A KR 1020160002044A KR 20160002044 A KR20160002044 A KR 20160002044A KR 101785670 B1 KR101785670 B1 KR 101785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ne
curvature
indoor unit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2818A (ko
Inventor
오지혜
서범수
황본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2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6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82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01/003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유입된 외부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 외부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공기 토출구를 향해 토출하도록 형성된 실내팬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공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베인 및 상기 베인의 맞은편에 마련되고 기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는 토출 가이드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토출 가이드는 상기 토출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서로 다른 곡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it}
본 발명은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실내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범위를 실내기의 코너부분까지 폭넓게 확보할 수 있는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는 실내기 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팽창밸브와 실내열교한기는 실내기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팽창밸브가 실외기 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내열교환기 일측에는 실내팬이 구비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 일측에는 실외팬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내 팬의 구동에 의해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실내열교환기 내의 냉매와 열교환한 후 상기 공기 토출구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토출구의 형상에 따라서 상기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장에 설치 또는 매립되는 실내기의 경우, 상기 공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범위가 실내기의 코너부분까지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실내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종래의 천장 매립형 실내기의 하면에 구비되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토출구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실내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 상기 실내기 내의 실내열교환기(미도시)와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2)를 구비한다.
공기 유입구(1)는 실내기 하면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 유입구(1)를 통해 실내기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2)는 기 설정된 길이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유입구(1)의 둘레를 따라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구(1) 및 공기 토출구(2)는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4)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유입구(10)는 상기 프레임(4)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복수 개의 공기 토출구(2)는 상기 프레임(4)의 각 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공기 유입구(10) 둘레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 토출구(2)는 상기 사각형의 프레임(4)의 각 변에 대응하여 4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토출구(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범위는 상기 공기 토출구(2)의 길이에 한정된다. 즉, 상기 공기 토출구(2)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실내기의 코너 방향을 향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실내기에 따르면 실내기의 코너 부분에 대응하는 실내 공간에 실내기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도달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실내기는 공기의 토출범위를 좌우방향으로 확대하기 위하여, 공기 토출구(2)에 풍향조절 날개(3)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풍향조절 날개(3)로 인해, 종래의 실내기는 그 구조가 복잡해지고, 조립 부품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실내기는 복잡한 구조 및 부품 수의 증가에 따라 제품의 단가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프레임(4)의 코너 부분에 추가적으로 공기 토출구를 마련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으나, 이 경우, 코너 부분의 기류를 좋아지지만 직선 부분에서 유로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토출구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드레인 팬과 같은 내부 구조물이 전부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기의 공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기의 공기 토출구에 별도의 풍향조절 날개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상기 공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실내기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는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토출구 및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프레임의 변경 없이, 공기의 토출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범위를 확대하여, 실내 공간의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유입된 외부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 외부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공기 토출구를 향해 토출하도록 형성된 실내팬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공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베인 및 상기 베인의 맞은편에 마련되고 기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는 토출 가이드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토출 가이드는 상기 토출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서로 다른 곡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토출구의 길이방향 중앙부보다 상기 토출구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상기 토출 가이드의 곡률이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 가이드는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향하여 기 설정된 지점에 곡률변경 시작점을 구비하고,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을 기준으로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내측보다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외측의 곡률이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외측의 곡률은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을 기준으로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양 단부로 갈수록 점점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구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으로 구획된 유입구 프레임에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유입구 프레임의 각각의 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 프레임의 코너들은 기설정된 곡률반경을 구비하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곡선이 시작되는 곡선 시작점의 위치는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의 위치와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공기 토출구에 구비되는 곡률변경 시작점은 실내기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유입구 프레임의 변에 구비되는 곡선 시작점과 동일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중심의 두께는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양 단부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토출구의 폭이 상기 공기 토출구의 길이방향 중심에서 길이방향 단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상기 베인의 두께는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양 단부로 갈수록 점점 얇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인은 상기 공기 토출구 측을 향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 맞은편의 2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면은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중심에서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향하여, 상기 제2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냉매를 압축하도록 형성된 압축기와, 냉매와 실외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 일측의 실외팬을 구비하는 실외기; 및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냉매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 일측의 실내팬을 구비하는 실내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및 상기 공기 유입구의 둘레에 마련되며, 기설정된 길이를 구비하는 베인 및 상기 베인의 맞은편에 마련되고 기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는 토출 가이드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 개의 공기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 가이드는 상기 토출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곡률이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토출 가이드는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향하여 기 설정된 지점에 곡률변경 시작점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 가이드는 상기 길이방향 중심에서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까지 제1곡률을 구비하고,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부터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양 단부까지 상기 제1곡률보다 작은 제2곡률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곡률은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부터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양 단부로 갈수록 점점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구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으로 구획된 유입구 프레임에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유입구 프레임의 각각의 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 프레임의 코너들은 기설정된 곡률반경을 구비하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곡선이 시작되는 곡선 시작점의 위치는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의 위치와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토출구의 폭이 상기 공기 토출구의 길이방향 중심에서 길이방향 단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상기 베인의 두께는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양 단부로 갈수록 점점 얇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기의 공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기의 공기 토출구에 별도의 풍향조절 날개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상기 공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실내기의 코너에 대응하는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는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토출구 및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프레임의 변경 없이, 공기의 토출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범위를 확대하여, 실내 공간의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내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내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실내기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5의 (a) 및 (b)는 도 3에 도시된 실내기에서 공기 토출구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서로 다른 위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실내기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에서의 공기 토출 범위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냉매 순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는 압축기(100), 실내열교환기(200), 팽창밸브(300), 실외열교환기(400)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I"는 실내기를 나타내고 "O"는 실외기를 나타낼 수 있다.
압축기(100)는 냉매를 압축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압축기(100)는 저온 저아의 냉매를 가압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로 만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는 공기조화장치(10) 내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가 공기조화장치(10) 내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압축기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서 직렬 및/또는 병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00)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200)는 실내 공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200) 내로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내열교환기(200)는 공기조화장치(100)의 냉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는 실외 공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400) 내로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는 공기조화장치(100)의 냉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00) 및 실외열교환기(400)는 핀-튜브 방식의 열교환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열교환기(200) 측에는 실내 팬(210)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400) 측에는 실외 팬(41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0)는 냉방 모드와 난방 모드가 전환될 때, 냉매의 순환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유로전환밸브(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600)는 4방 밸브(four-way valve)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로전환밸브(600)는 냉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외기로 안내하고, 난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내기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기(100) 내에는 상기 압축기(100)의 원활한 구동을 위하여 오일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100) 내의 오일은 상기 압축기(100)의 구동에 따라서 냉매와 혼합되어 상기 압축기(100)로부터 냉매와 함께 토출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냉매와 오일이 혼함된 상태의 유체를 "혼합기"로 정의한다.
이러한 혼합기가 공기조화장치(10)의 냉매 사이클을 순환하게 되면, 실내열교환기(200) 및 실외열교환기(400)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는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오일의 혼합기로부터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분리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분리기(500)는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오일의 혼합기로부터 오일을 분리하여 다시 압축기(100)로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분리기(500)로 유입된 혼합기에서 분리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00)와 실외열교환기(400)를 포함하는 냉매 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혼합기는 공급유로(105)를 통해 오일분리기(50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오일분리기(500)에서 분리된 액상 오일은 회수유로(505)를 통해 다시 압축기(100)로 공급되고, 상기 오일분리기(500)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냉매 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내기(I)는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 및 흡입된 공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공기 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토출구의 형상에 따라서 공기의 토출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실내기(I)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범위를 최대로 확보하기 위한 실내기(I)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내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I)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220), 유입된 외부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200),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230), 외부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구(220)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공기 토출구(230)를 향해 토출시키는 실내팬(21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 토출구(230)는 상기 공기 토출구(230)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베인(240) 및 상기 베인(240)의 맞은편에 마련되고 기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는 토출 가이드(25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가이드(250)는 상기 실내기(I)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실내기(I)의 폭방향 외측 또는 길이방향 외측을 향하여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가이드(250)는 상기 베인(240)에 비해 실내기(I)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인(240)이 공기 토출구(23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토출 가이드(250)는 상기 베인(240)에 비해 실내기(I)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 가이드(250)는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곡률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 가이드(250)는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서로 다른 곡률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곡률에 따라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저항에 변화를 주기 위함이다.
토출 가이드(250)의 곡률이 크면(즉, 곡률반경이 작으면) 유로저항이 커지고, 토출 가이드(250)의 곡률이 작으면(즉, 곡률반경이 크면) 유로저항이 작아진다. 다시 말해서, 유로저항이 작을수록,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이 증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다른 실내기(I)는 천장에 매립되는 매립형 실내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입구(220) 및 공기 토출구(230)는 실내기(I)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기(I)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01, 202)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201, 202)는 상부 본체(201) 및 상기 상부 본체(201)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 본체(202)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실내팬(210)은 상기 상부 본체(201) 내측에 구비되고, 원심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내팬(210)의 일측에는 상기 실내팬(210)의 구동을 위한 모터(21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본체(201) 내측에서, 상기 실내팬(210)의 주변에는 하나 이상의 실내열교환기(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220) 및 상기 공기 토출구(230)는 하부 본체(202)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본체(202)의 중앙부에 상기 공기 유입구(220)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본체(202)의 둘레부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공기 토출구(2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인(240)은 상기 하부 본체(202)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공기 토출구(230)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인(240)은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일측에서 상기 하부 본체(202)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될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베인(240)의 개방 각도에 따라서, 상기 공기 토출구(23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방향의 토출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인(240)이 상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상기 공기 토출구(230)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각도가 상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다.
도 3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팬(210)의 구동에 의해 실내기(I)의 공기 유입구(220)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실내열교환기(200)의 냉매와 열교환된 후에, 공기 토출구(23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토출구(230)는 전술한 베인(240) 및 토출 가이드(25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가이드(250)는 상기 하부 본체(202)에서 상기 베인(240)의 맞은편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 가이드(250)는 상기 베인(240)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인(240)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상기 베인(240)과 함께 상기 공기 토출구를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 가이드(250)는 상기 공기 유입구(220)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기 설정된 곡률로 밴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 가이드(250)는 실내기(I)의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밴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공기 토출구(23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다시 공기 유입구(220)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곡률에 따라서, 상기 공기 토출구(23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저항이 변화될 수 있으며, 유로저항의 변화에 따라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이 변화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형상 및 그에 따른 유로저항의 변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내기의 저면도를 나타내고, 도 5의 (a) 및 (b)는 도 3에 도시된 실내기에서 공기 토출구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서로 다른 위치의 종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는 도 4의 A-A 부분의 종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4의 (B-B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서 "W"를 폭방향으로 정의하고, "L"을 길이방향으로 정의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실내기(I) 저면의 중앙부에는 공기 유입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 유입구(220)는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내기(I) 저면의 둘레부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 토출구(230)는 기 설정된 길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220)의 둘레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구(230)는 전술한 베인(24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인(240)은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인(240)은 하부 본체(202)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힌지축(241)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인(240)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토출구(230)는 상기 베인(240)과 전술한 토출 가이드(250)에 의해 구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곡률은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중앙부보다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더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토출 가이드(250)는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길이방향 중앙부보다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곡률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토출 가이드(250)는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길이방향 중앙부보다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곡률반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 및 (b)는 토출 가이드(250)의 길이방향 중앙부와 양 단부에서의 곡률의 차이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 가이드(250)는 길이방향 중앙부에서보다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곡률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중앙부보다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유동저항이 작아져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4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토출 가이드(250)는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향하여 기 설정된 지점에 곡률변경 시작점(255)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 가이드(250)는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255)까지 제1곡률(또는 제1곡률반경)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 가이드(250)는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255)부터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길이방향 양 단부까지 상기 제1곡률보다 작은 제2곡률(또는 제1곡률반경보다 큰 제2곡률반경)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255)을 기준으로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길이방향 내측보다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길이방햐 외측의 곡률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보다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토출 공기의 유동저항이 작아져서,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비해 양 단부에서의 토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이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255)을 기준으로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길이방향 외측의 곡률은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길이방향 양 단부로 갈수록 점점 작아질 수 있다.
즉,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255)부터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길이방향 양 단부까지의 제2곡률은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길이방향 양 단부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255)을 기준으로,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길이방향 양 단부까지 유로저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므로, 토출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은 점진적으로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 유입구(220)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으로 구획된 유입구 프레임(221)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 프레임(221)은 전술한 하부 본체(20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하부 본체(202)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토출구(230)는 상기 유입구 프레임(221)의 각각의 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토출구(230)는 4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구 프레임(221)의 코너(229)들은 기 설정된 곡률 반경을 구비하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토출구(220) 또는 상기 토출 가이드(25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유입구 프레임(221)의 코너(229)들은 기 설정된 곡률 반경을 구비하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 프레임(221)의 코너(229)의 형상으로 인해, 유입구 프레임(221)의 코너(229)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기 토출구(220)까지의 거리가 상기 유입구 프레임(221)의 변으로부터 상기 공기 토출구(220)까지의 거리보다 멀어지게 된다.
이는,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유로저항의 감소로 인해 다시 상기 공기 유입구(2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화살표를 참조하면,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중앙부(도 5의 (a))에 비해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양 단부(도 5의 (b))에서 유로저항의 감소로 인해 토출 공기가 상대적으로 공기 유입구(220) 측으로 치우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유입구 프레임(221)의 코너(229) 부분의 형상으로 인해,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다시 상기 공기 유입구(220)로 흡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 프레임(221)에서 곡선이 시작되는 곡선 시작점(225)의 위치는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255)의 위치와 대응할 수 있다. 즉, 상기 곡선 시작점(225)은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255)과 실내기(I)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기(I)의 폭방향(W) 또는 길이방향(L)으로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공기 토출구(230)에 구비되는 곡률변경 시작점(255)은 실내기의 폭방향(W) 또는 길이방향(L)으로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유입구 프레임(221)의 곡선 시작점(225)은 동일 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내기(I)의 폭방향(W)으로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공기 토출구(230)에 구비되는 곡률변경 시작점(255)은 실내기의 폭방향(W)으로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유입구 프레임(221)의 곡선 시작점(225)은 제1 동일 선(L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실내기(I)의 길이방향(L)으로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공기 토출구(230)에 구비되는 곡률변경 시작점(255)은 실내기(I)의 길이방향(L)으로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유입구 프레임(221)의 곡선 시작점(225)은 제2 동일 선(L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동일선(L1)과 상기 제2 동일선(L2)은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상기 공기 토출구(230)와 상기 공기 유입구(220) 사이의 거리는,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상기 공기 토출구(230)와 상기 공기 유입구(220) 사이의 거리보다 멀 수 있다.
또한, 유로저항의 감소가 시작되는 곡률변경 시작점(255)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양 단부까지, 공기 토출구(230)와 공기 유입구(220) 사이의 거리가 점점 멀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입구 프레임(221)의 코너(229) 부분의 곡선 구조로 인해, 공기 토출구(230)에서 토출된 공기가 공기 유입구(220)로 다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공기 토출구(230)의 양 단부에서 유로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베인(240)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전술한 베인의 형상을 나타내기 위한 베인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6을 함께 참조하면, 베인(240)은 기 설정된 길이(l)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인(240)의 길이(l)는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I)에 복수 개의 공기 토출구(230)가 형성된 경우, 상기 베인(240)은 각각의 공기 토출구(2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인(240)은 그 길이방향 중심(245)의 두께가 길이방향 양 단부(246)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인(240)의 길이방향 중심(245)은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중심에 대응하고, 상기 베인(240)의 길이방향 양 단부(246)는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인(240)에 의해 구획되는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중심의 너비는 길이방향 양 단부의 너비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양 단부의 유로저항을 길이방향 중심의 유로저항에 비해 작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폭이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중심에서 길이방향 단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상기 베인(240)의 두께는 상기 베인(240)의 길이방향 중심(245)으로부터 상기 베인(240)의 길이방향 양 단부로 갈수록 얇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폭은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중심에서 길이방향 단부로 갈수록 점점 커질 수 있으며,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유로저항은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중심에서 길이방향 단부로 갈수록 점점 작아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인(240)은 상기 공기 토출구(230) 측을 향하는 제1면(241) 및 상기 제1면(241) 맞은편의 제2면(24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면(241)은 상기 베인(240)이 상기 공기 토출구(23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 토출구(23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면(241)은 상기 베인(240)이 상기 공기 토출구(230)를 폐쇄한 상태에서 실내기(I)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면(242)은 상기 제1면(241)의 맞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면(241)과 상기 제2면(242)에 의해 상기 베인(240)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면(242)은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면(241)은 상기 베인(240)의 길이방향 중심(245)에서 상기 베인(240)의 길이방향 양 단부(246)를 향하여, 상기 제2면(242)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면(241)은 기 설정된 각도록 상기 제2면(242)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면(241)은 상기 제1면(241)의 길이방향 중심(245)을 기준으로, 상기 제2면(242)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인(240)의 길이방향 중심(245)에 대응하는 공기 토출구(230)의 폭은 상기 베인(240)의 길이방향 양 단부(246)에 대응하는 공기 토출구(23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토출구(230)는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공기 토출구(230)의 길이방향 양 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커져서, 유로저항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실내기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에서 공기 토출범위가 넓어지는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종래의 실내기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에서의 공기 토출 범위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는 종래의 실내기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범위를 나타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범위를 나타낸다.
우선, 도 7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실내기(I')는 실내공간(S)을 공조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실내공간(S)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7의 (a)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실내기(I')의 코너부분(C)에 대응하는 실내공간(S)의 코너부(S')까지 실내기(I')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도달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의 실내기(I')에 따르면, 실내기(I')의 코너 부분(C)을 향하는 기류가 없거나 작기하기 때문에, 상기 실내기(I')의 코너 부분(C)에 대응하는 실내공간(S)의 코너 부분(S')은 그 외의 부분과 온도 편차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실내기(I')를 구동시키면, 실내공간(S)에 영역별 온도 편차가 생기게 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실내기(I')에서 실내공간(S)의 영역별 온도 편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좌우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공기토출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풍향조절 날개와 같은 구성이 필요하다. 이는, 제품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고, 제품의 제조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7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I)는 실내공간(S)의 영역별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b)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기(I)의 코너 부분(C)에 대응하는 실내공간(S)의 코너부(S')까지 실내기(I)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I)를 구동시키면, 실내공간(S)에 영역별 온도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기(I)의 코너 부분(C)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풍향조절 날개와 같은 구성이 불필요하므로, 제품의 구조가 간소화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베인(240)의 형상 및 토출 가이드(250)의 형상을 통해, 실내기(I)의 코너 부분(C)을 향하는 기류를 상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압축기 200 실내열교환기
220 공기 유입구 230 공기 토출구
240 베인 250 토출 가이드
300 팽창밸브 400 실외열교환기
500 오일분리기 600 유로전환밸브

Claims (15)

  1.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유입된 외부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
    외부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공기 토출구를 향해 토출하도록 형성된 실내팬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공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베인 및 상기 베인의 맞은편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며 기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는 토출 가이드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토출 가이드는 실내기의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밴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토출 가이드는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기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되 상기 토출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서로 다른 곡률을 구비하며, 상기 공기 토출구의 길이방향 중앙부보다 상기 토출구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상기 토출 가이드의 곡률이 작고,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중심은 공기 토출구의 길이방향 중심에 대응하고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양 단부는 상기 공기 토출구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대응하며,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중심의 두께는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양 단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가이드는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향하여 기 설정된 지점에 곡률변경 시작점을 구비하고,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을 기준으로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내측보다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외측의 곡률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외측의 곡률은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을 기준으로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양 단부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으로 구획된 유입구 프레임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유입구 프레임의 각각의 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 프레임의 코너들은 기설정된 곡률반경을 구비하는 곡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이 시작되는 곡선 시작점의 위치는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의 위치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7. 제6항에 있어서,
    실내기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공기 토출구에 구비되는 곡률변경 시작점은 실내기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유입구 프레임의 곡선 시작점은 동일선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구의 폭이 상기 공기 토출구의 길이방향 중심에서 길이방향 단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상기 베인의 두께는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양 단부로 갈수록 점점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공기 토출구 측을 향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 맞은편의 2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면은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중심에서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향하여, 상기 제2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11. 냉매를 압축하도록 형성된 압축기와, 냉매와 실외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 일측의 실외팬을 구비하는 실외기; 및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냉매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 일측의 실내팬을 구비하는 실내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및
    상기 공기 유입구의 둘레에 마련되며, 기설정된 길이를 구비하는 베인 및 상기 베인의 맞은편에 마련되고 공기 토출구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며 기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는 토출 가이드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 개의 공기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 가이드는 실내기의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밴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토출 가이드는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기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되 상기 토출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곡률이 상이하게 형성되며, 상기 공기 토출구의 길이방향 중앙부보다 상기 토출구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상기 토출 가이드의 곡률이 작고,
    상기 베인의 길입방향 중심은 공기 토출구의 길이방향 중심에 대응하고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양 단부는 상기 공기 토출구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대응하며,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중심의 두께는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양 단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가이드는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향하여 기 설정된 지점에 곡률변경 시작점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 가이드는 상기 길이방향 중심에서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까지 제1곡률을 구비하고,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부터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양 단부까지 상기 제1곡률보다 작은 제2곡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곡률은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부터 상기 토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양 단부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으로 구획된 유입구 프레임에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유입구 프레임의 각각의 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 프레임의 코너들은 기설정된 곡률반경을 구비하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곡선이 시작되는 곡선 시작점의 위치는 상기 곡률변경 시작점의 위치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구의 폭이 상기 공기 토출구의 길이방향 중심에서 길이방향 단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상기 베인의 두께는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 양 단부로 갈수록 점점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160002044A 2016-01-07 2016-01-07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1785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044A KR101785670B1 (ko) 2016-01-07 2016-01-07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044A KR101785670B1 (ko) 2016-01-07 2016-01-07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818A KR20170082818A (ko) 2017-07-17
KR101785670B1 true KR101785670B1 (ko) 2017-11-06

Family

ID=59442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044A KR101785670B1 (ko) 2016-01-07 2016-01-07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6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9591A (ko) * 2022-11-29 202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4303A (ja) * 2002-04-01 2003-10-15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向調整板、案内板、室内機及び空気調和装置
KR100453241B1 (ko) 2002-10-08 2004-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4303A (ja) * 2002-04-01 2003-10-15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向調整板、案内板、室内機及び空気調和装置
KR100453241B1 (ko) 2002-10-08 2004-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818A (ko) 2017-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48033A1 (en) Air conditioner
CN109891155B (zh) 室内机及空调装置
KR102569298B1 (ko) 공기조화기
CN111615607B (zh) 空调
KR20170043908A (ko) 공기 조화기
KR102391356B1 (ko) 공기조화기
KR101887066B1 (ko)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
US11578877B2 (en) Air conditioner having fan module with installation space and stabilizer modifier spaced apart from the fan module
KR101785670B1 (ko)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
WO2020250363A1 (ja) 遠心送風機、空気調和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EP3745044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219976689U (zh) 一种换热芯体及空气调节单元
KR10043705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JP2024048908A (ja) 空気調和装置
KR2021009262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6659072A (zh) 一种换热芯体及空气调节单元
CN117043517A (zh) 室内机以及空调装置
KR20060073246A (ko) 에어컨 실내기의 토출구 이중 차단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