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167B1 -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 Google Patents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167B1
KR101783167B1 KR1020170000472A KR20170000472A KR101783167B1 KR 101783167 B1 KR101783167 B1 KR 101783167B1 KR 1020170000472 A KR1020170000472 A KR 1020170000472A KR 20170000472 A KR20170000472 A KR 20170000472A KR 101783167 B1 KR101783167 B1 KR 101783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hut
blocking
ba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0035922&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8316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Priority to KR1020170000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65Stop-end shutt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프레임 또는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 내부 지지구조가 형성된 차단봉, 신축성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Concrete interception wall having blocking members into which blocking pipe inserted}
본 발명은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프레임 또는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 내부 지지구조가 형성된 차단봉, 신축성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슬라브 등을 구축하는 작업에 있어서 한 번에 모든 면적의 구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없는 경우에는 타설 면적을 일정 구역으로 나누어 콘크리트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정 구역으로 면적을 나누어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한 번에 타설할 수 있는 구역을 다음 작업을 실시할 구역과 나누어 구획시키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단프레임(20)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공(40)을 다수 형성하고 각 체결공(40)에 머리부(60)를 가진 차단봉(50)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서, 차단프레임(20)은 콘크리트 타설 구역의 상부면을 막아주고, 차단봉(50)은 상부 철근과 하부 철근 및 기타 구조물 등이 설치된 하부면을 차단시키게 되며, 한번 작업 시 정해진 구역에서 콘크리트 타설이 종료되도록 일정 구역을 막고 콘크리트 타설물이 일정 구역 안에만 머물면서 양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차단봉(50)이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져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에 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단봉(50) 사이사이에 틈이 생기고, 특히 고강도 콘크리트와 같은 묽은 콘크리트가 타설될 경우에는 차단봉(50) 사이의 틈으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당량이 흘러나오게 되어, 콘크리트 타설막이 부근에서 콘크리트의 누설을 초래함으로써 양생되는 콘크리트 밀도의 불균형이나 공극이 발생되는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누설된 콘크리트가 차단봉을 둘러싸면서 굳어져 콘크리트 양생 후 차단봉을 떼어내기가 매우 어렵게 되거나 차단봉을 떼어내는 과정에서 차단봉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127298호 “휨방지 차단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2012. 3. 8. 등록), 등록특허 제1050947호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 타설방법”(2011. 7. 14. 등록), 공개특허 제2009-58045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마감부재의 콘크리트 누출방지용 차단판(2009. 6. 9. 공개), 등록특허 제1585942호 ”콘크리트 타설용 마감부재“(2016. 1. 11. 등록) 등을 들 수 있다.
등록특허 제1127298호 “휨방지 차단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에는 차단봉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저항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차단봉의 단면형상을 타원으로 형성하고, 차단봉이 삽입되는 프레임의 관통공도 타원으로 형성하여 차단봉·관통공이 늘어선 방향으로는 그 폭이 좁고, 그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는 폭이 넓도록 타원을 구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는데, 다수개의 타원형 관통공에 다수개의 타원형 차단봉의 방향을 일일이 맞추어 삽입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등록특허 제1050947호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 타설방법”에는 막음재 간의 틈을 최소화하고 콘크리트가 막음재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재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막음재 본체(종래의 타설막이의 차단봉에 해당됨)에 이형필름을 감싸서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콘크리트가 막음재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는 있지만, 이 기술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비해 타설막이 부근에서 콘크리트의 누설이 최소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표 1의 비교예 2 참조).
공개특허 제2009-58045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마감부재의 콘크리트 누출방지용 차단판”에는 콘크리트 타설면부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수직차단봉이 끼움되는 개방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개의 호형 요홈을 갖는 요철차단막을 형성하고, 수직차단봉이 상부세로근이나 하부세로근의 간섭에 의해 일부 수직차단봉이 거푸집 바닥면까지 하강하지 못함으로 인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하부타설면의 누출부를 막아줄 수 있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수직차단봉이 거푸집 바닥면까지 하강하지 못함으로 인해 형성되는 누출부를 막아줄 수 있는 효과는 있지만 차단봉 사이로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는 없으며, 차단판이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 콘크리트 양생 후 차단판을 콘크리트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585942호 ”콘크리트 타설용 마감부재“에는 고정프레임은 고강도의 경질의 합성수지나 알루미늄, 스텐레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차단부재(종래의 타설막이의 차단봉에 해당됨)는 금속재질의 원형파이프 형태를 갖는 것이 개시되어 있는데,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차단봉은 탄력성이 전혀 없어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배근된 철근 사이에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제1127298호 “휨방지 차단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2012. 3. 8. 등록) 등록특허 제1050947호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 타설방법”(2011. 7. 14. 등록) 공개특허 제2009-58045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마감부재의 콘크리트 누출방지용 차단판(2009. 6. 9. 공개) 등록특허 제1585942호 ”콘크리트 타설용 마감부재“(2016. 1. 11. 등록)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봉이 콘크리트 타설물이 미치는 횡압력에 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신축성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제공함으로써 타설막이 부근에서 콘크리트의 누설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양생 후 차단부재를 떼어내기가 용이하며, 차단부재를 떼어내는 과정에서 차단봉이 파손되지 않는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양생 후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해체 시에 차단부재가 차단프레임에서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면서 차단부재에 삽입되는 차단봉이 차단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다수개의 소정 형상의 상부 체결공(121)이 일정 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뚫린 평면부(120)와, 상기 평면부(120)에 뚫린 다수개의 상부 체결공(121)과 대향하는 다수개의 소정 형상의 하부 체결공(131)이 길이방향으로 뚫린 저면부(130)와, 상기 평면부(120) 및 저면부(130)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는 정면부(140)로 형성되는 차단프레임(110); 머리부(151)와 몸체부(152)를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51)는 상부 체결공(121)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부 체결공(121)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52)는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52)의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가지는 차단봉(150); 신축성 있는 소재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저면부(130) 하방에 위치하는 차단부재(160); 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프레임(110)은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고, 상기 차단봉(150)은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평면부(120)와 저면부(30)에 서로 마주 보며 뚫린 다수개의 상부 체결공(121), 하부 체결공(131)과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하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프레임(110)을 플라스틱 또는 강철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형성하며, 차단부재(16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160)는 발포수지(162)로 형성하되 외주면에 은박지(163)를 부착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프레임(110)을 플라스틱 또는 강철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형성하며, 차단부재(160)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160)는 건축용 백업재(164)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다른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210), 차단봉(150) 및 차단부재(160)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210)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소정 형상의 상부 차단봉 체결공(221)이 뚫린 평면부(220)와, 상기 평면부(220)에 대향하는 저면부(230), 상기 평면부(220) 및 저면부(230)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정면부(240)로 구성되어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고, 상기 저면부(230)에는 일정 간격으로 원형판(232)이 정면부(240) 내측 하단으로 이어지는 지지편(233)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원형판(232) 안에 원형판(232)보다 작은 지름의 원형으로 제1개구부(234)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차단봉 체결공(221)과 제1개구부(234)는 중심축 선이 일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개구부(234)는 하부 차단봉 체결공(231)이 되고, 상기 원형판(232)의 지지편(233)은 상방으로 ‘┎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원형판(232)이 저면부(230)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원형판(232)의 지지편(233)이 상방으로 ‘┎ ’형상으로 절곡되어 저면부(240)에 형성된 원형의 제2개구부(235)는 차단부재 삽입공(236)이 되고, 상기 차단봉(150)은 머리부(151)와 몸체부(152)를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51)는 상부 차단봉 체결공(221)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부 차단봉 체결공(221)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52)는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52)의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가지며, 상기 차단프레임(210)의 평면부(220)와 저면부(230)에 서로 마주보며 뚫린 다수개의 체결공(221, 231)에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하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고, 상기 차단부재(160)는 신축성있는 소재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차단부재(160)의 상단부는 차단부재 삽입공(236)에 끼어지며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는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210)을 강철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형성하며, 차단부재(16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160)는 발포수지(162)로 형성하되 외주면에 은박지(163)를 부착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210)을 강철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형성하며, 차단부재(160)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160)는 건축용 백업재(164)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봉은 종래의 차단봉에 비해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을 지지하는 하중이 크게 상승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봉이 삽입된 차단부재 사이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막이 부근에서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고강도 콘크리트와 같은 묽은 콘크리트의 타설 시 효과적이다.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차단봉이 파손되지 않으며, 차단부재는 콘크리트와의 흡착력이 약하므로 차단부재를 떼어내기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차단부재를 떼어내는 과정에서 차단부재가 훼손되더라도 훼손된 차단부재만 교체하면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부근에서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이 최소화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막이 부근에서도 밀도가 균일하고 공극이 발생하지 않는 균일한 품질의 콘크리트 양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콘크리트 양생 후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해체 시에 차단부재가 차단프레임에서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면서 차단부재에 삽입되는 차단봉이 차단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해체 시에 차단프레임에서 차단봉을 빼내더라도 차단부재가 차단프레임에서 분리되지 않아 콘크리트로부터 차단프레임과 차단부재를 동시에 떼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사시도,
도 2의 (a)는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봉의 사시도, (b)는 차단봉 몸체부의 측단면도, (c)는 (b)의 A-A'선 단면도,
도 3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봉의 사시도, (b)는 차단봉 몸체부의 측단면도, (c)는 (b)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나타내는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나타내는 사진,
도 6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의 저면부에 프레스가공으로 절개 성형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b)는 (a)에서 지지편을 상방으로 ‘┎ ’형상으로 절곡한 것을 나타내는 차단프레임의 측면도, (c)는 (b)의 사시도,
도 7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에 차단부재와 차단봉이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b)는 (a)의 사시도,
도 8, 9는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봉에 대한 품질검사 성적서,
도 10, 1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봉에 대한 품질검사 성적서,
도 12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5에 대한 (주)건설기술원의 시험결과보고서,
도 34 내지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에 대한 한국품질기술연구소의 품질검사성적서,
도 44 내지 도 53은 본 발명의 비교예 1 내지 5에 대한 한국품질기술연구소의 품질검사성적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a)는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봉의 사시도, (b)는 차단봉 몸체부의 측단면도, (c)는 (b)의 A-A'선 단면도, 도 3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봉의 사시도, (b)는 차단봉 몸체부의 측단면도, (c)는 (b)의 A-A'선 단면도이다.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봉(50)은 차단봉 상단의 머리부(60)와,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는 몸체부(70)를 포함하며, 차단봉 몸체부(70)의 단면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봉(150)은 차단봉 상단의 머리부(151)와,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는 몸체부(152)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52)의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지지구조(153)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52)의 단면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요철 형상이 추가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도 8, 9는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봉에 대한 품질검사 성적서, 도 10, 1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봉에 대한 품질검사 성적서이다.
상기 품질검사는 한국품질기술연구소에 의뢰하여 수행하였으며, 상기 품질검사 성적서에 의하면 차단봉의 횡압력 지지하중은 다음과 같이 측정되었다.
종래의 차단봉(A) 본 발명에 의한 차단봉(B) B/A
횡압력 지지하중 372N 1,030N 2.8
상기 품질검사에 의하면 종래의 차단봉의 횡압력 지지하중은 372N(Newton), 본 발명에 의한 차단봉의 횡압력 지지하중은 1,030N으로 측정되어, 본 발명에 의한 차단봉의 횡압력 지지하중이 종래의 차단봉의 횡압력 지지하중의 2.8배에 달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대법원은 “출원고안이 우수한 작용효과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출원 전에 실시된 바 없는 것을 보면 통상의 기술자가 이 사건 출원고안을 극히 용이하게 고안할 수 없었다고 봄이 상당하다.”라고 판시한 바 있다(대법원 2001. 12. 14. 선고 99후1140 판결).
본 발명에 의한 차단봉의 내부 지지구조는 요철 형상의 단순한 구조로 보이지만 종래의 차단봉에 비해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에 매우 강하여 차단봉이 전혀 파손되지 않는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실시된 바 없으므로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었다고 보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단봉의 내부 지지구조는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중공 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지지구조가 요철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나타내는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 내지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다수개의 소정 형상의 상부 체결공(121)이 일정 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뚫린 평면부(120)와, 상기 평면부(120)에 뚫린 다수개의 상부 체결공(121)과 대향하는 다수개의 소정 형상의 하부 체결공(131)이 길이방향으로 뚫린 저면부(130)와, 상기 평면부(120) 및 저면부(130)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는 정면부(140)로 형성되는 차단프레임(110); 머리부(151)와 몸체부(152)를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51)는 상부 체결공(121)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부 체결공(121)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52)는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52)의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가지는 차단봉(150); 신축성 있는 소재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저면부(130) 하방에 위치하는 차단부재(160); 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프레임(110)은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고, 상기 차단봉(150)은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평면부(120)와 저면부(30)에 서로 마주 보며 뚫린 다수개의 상부 체결공(121), 하부 체결공(131)과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하부 타설 구역을 차단한다.
삭제
삭제
상기 차단프레임(110)과 차단봉(150)은 콘크리트 타설 공사현장 여건과 적용할 곳에 따라 차단프레임(110)의 크기, 차단봉(150)의 굵기와 개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하부 체결공(121, 131)의 형상이 원형으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하부 체결공(121, 131)의 형상에 따라 차단봉(150)의 형상도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100)는 차단봉이 삽입된 차단부재 사이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막이 부근에서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고강도 콘크리트와 같은 묽은 콘크리트의 타설 시 효과적이다.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차단봉이 파손되지 않으며, 차단부재는 콘크리트와의 흡착력이 약하므로 차단부재를 떼어내기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차단부재를 떼어내는 과정에서 차단부재가 훼손되더라도 훼손된 차단부재만 교체하면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부근에서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이 최소화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막이 부근에서도 밀도가 균일하고 공극이 발생하지 않는 균일한 품질의 콘크리트 양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의 저면부에 프레스가공으로 절개 성형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b)는 (a)에서 지지편을 상방으로 ‘┎ ’형상으로 절곡한 것을 나타내는 차단프레임의 측면도, (c)는 (b)의 사시도, 도 7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에 차단부재와 차단봉이 체결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b)는 (a)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콘크리트 양생 후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해체 시에 차단부재가 차단프레임에서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면서 차단부재에 삽입되는 차단봉이 차단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차단프레임 외에 다른 구성은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와 동일하며,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콘크리트 타설막이(200)는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210), 차단봉(150) 및 차단부재(160)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210)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소정 형상의 상부 차단봉 체결공(221)이 뚫린 평면부(220)와, 상기 평면부(220)에 대향하는 저면부(230), 상기 평면부(220) 및 저면부(230)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정면부(240)로 구성되어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고,
상기 저면부(230)에는 일정 간격으로 원형판(232)이 정면부(240) 내측 하단으로 이어지는 지지편(233)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원형판(232) 안에 원형판(232)보다 작은 지름의 원형으로 제1개구부(234)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차단봉 체결공(221)과 제1개구부(234)는 중심축 선이 일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개구부(234)는 하부 차단봉 체결공(231)이 되고, 상기 원형판(232)의 지지편(233)은 상방으로 ‘┎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원형판(232)이 저면부(230)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원형판(232)의 지지편(233)이 상방으로 ‘┎ ’형상으로 절곡되어 저면부(240)에 형성된 원형의 제2개구부(235)는 차단부재 삽입공(236)이 되고,
상기 차단봉(150)은 머리부(151)와 몸체부(152)를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51)는 상부 차단봉 체결공(221)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부 차단봉 체결공(221)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52)는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52)의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가지며, 상기 차단프레임(210)의 평면부(220)와 저면부(230)에 서로 마주보며 뚫린 다수개의 체결공(221, 231)에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하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고,
상기 차단부재(160)는 신축성있는 소재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차단부재(160)의 상단부는 차단부재 삽입공(236)에 끼어지며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는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된다.
상기 저면부(230)에 형성되는 원형판(232), 지지편(233) 및 제1개구부(234)의 형상은 강철로 만들어지는 차단프레임(210)의 저면부(230)에 프레스가공으로 절개 성형된다.
상기 차단봉(150)은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210)의 상부 차단봉 체결공(221)과 하부 차단봉 체결공(231)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삽입되므로 신축성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차단부재(160)가 콘크리트의 압력을 받더라도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210)의 외측으로 전혀 휘어지지 않는다.
<실시예 1>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차단프레임(110)을 플라스틱으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형성하며, 차단부재(16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160)는 발포수지(162)로 형성하되 외주면에 은박지(163)를 부착하여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차단프레임(110)을 플라스틱으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형성하며, 차단부재(160)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160)는 건축용 백업재(164)로 제작하였다.
상기 건축용 백업재(164)는 실링의 3면 접착을 방지하거나 줄눈을 하는 등의 목적으로 줄눈 밑에 넣는 재료로 등록특허 제542380호 “콘크르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구조 및 그 시공방법”(2006. 1. 10. 공고)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이하 같음).
<실시예 3>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차단프레임(110)을 강철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형성하며, 차단부재(16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160)는 발포수지(162)로 형성하되 외주면에 은박지(163)를 부착하여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차단프레임(110)을 강철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형성하며, 차단부재(16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160)는 건축용 백업재(164)로 제작하였다.
<실시예 5>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차단프레임(110)을 강철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형성하며, 차단부재(160)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160)는 건축용 백업재(164)로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와 동일하게,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프레임을 플라스틱으로 만들고, 차단봉은 플라스틱으로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차단프레임을 플라스틱으로 만들고, 차단봉차단봉은 플라스틱으로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만들며, 차단봉을 발포수지로 감싸고 발포수지의 겉면을 선행기술(등록특허 제1050947호)에 개시된 이형필름으로 감싸서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차단프레임을 강철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강철로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만들며, 차단부재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는 발포수지로 형성하되 외주면에 은박지를 부착하여 제작하였다.
<비교예 4>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차단프레임을 강철로 만들고, 차단봉은 강철로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만들며, 차단부재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는 건축용 백업재로 제작하였다.
<비교예 5>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차단프레임을 강철로 만들고, 차단봉은 강철로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만들며, 차단부재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는 건축용 백업재로 제작하였다.
도 12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5에 대한 (주)건설기술원의 시험결과보고서이다.
상기 시험에서는 1m×1m×0.4m의 거푸집에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각각 설치한 후 내면 바닥으로부터 높이 250mm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 타설막이로부터 누설되는 양을 수집하기 위하여 타설막이 밑에 질량이 확인된 비닐을 깔고 콘크리트 타설 후 20분 동안 누설된 양과 비닐을 수거하여 전자식 지시 저울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의 콘크리트 누설량과 같다.
구분 시료번호 프레임에 사용한 재질 차단봉에 사용한 재질 및 모형 콘크리트 누설량(kg) 해체
하중(N)
비교예1 1 플라스틱 원형 : 플라스틱 2.8300
(100)
841
(100)
비교예2 2 플라스틱 원형 : 플라스틱 + 발포수지 + 이형필름 1.9471
(68.8)
1.9471
(100)
700
(83.2)
700
(100)
실시예 1 3 플라스틱 원형 : 플라스틱 + 발포수지 + 은박지 0.4104
(14.5)
0.4104
(21.1)
30
(3.6)
30
(4.3)
실시예 2 4 플라스틱 사각형 : 플라스틱 + 백업재 0.1231
(4.3)
0.1231
(6.3)
30
(3.6)
30
(4.3)
실시예3 5 강철 원형 : 플라스틱 + 발포수지 + 은박지 0.1343
(4.7)
0.1343
(6.9)
30
(3.6)
30
(4.3)
비교예3 6 강철 원형 : 강철 + 발포수지 + 은박지 0.1360
(4.8)
0.1360
(7.0)
60
(7.1)
60
(8.6)
실시예4 7 강철 원형 : 플라스틱 + 백업재 0.1227
(4.3)
0.1227
(6.3)
50
(5.9)
50
(7.1)
비교예4 8 강철 원형 : 강철 + 백업재 0.1775
(6.3)
0.1775
(9.1)
50
(5.9)
50
(7.1)
실시예5 9 강철 사각형 : 플라스틱 + 백업재 0.0881
(3.1)
0.0881
(4.5)
60
(7.1)
60
(8.6)
비교예5 10 강철 사각형 : 강철 + 백업재 0.0455
(1.6)
0.0455
(2.3)
90
(10.7)
90
(12.9)
주 : 상기 시료번호 1~10에서 차단봉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이며, 시료번호 2~10에서 차단봉의 모형을 원형, 사각형으로 기재한 것은 차단봉이 삽입된 결합부재의 형상을 나타냄(도 12 내지 도 33의 시료 사진 참조).
상기 시험 결과, 비교예 1(시료번호 1)에 비해 실시예 1(시료번호 3), 실시예 2(시료번호 4), 실시예 3(시료번호 5), 실시예 4(시료번호 7), 실시예 5(시료번호 9)는 콘크리트 누설량의 감소율이 각각 85.5%, 95.7%, 95.3%, 95.7%, 96.9%에 달하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2(시료번호 2)에 비해서도 실시예 1(시료번호 3), 실시예 2(시료번호 4), 실시예 3(시료번호 5), 실시예 4(시료번호 7), 실시예 5(시료번호 9)는 콘크리트 누설량의 감소율이 각각 78.9%, 93.7%, 93.1%, 93.7%, 95.5%에 달하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차단봉(150)은 차단부재(160)에 삽입되어 차단부재(160)들이 서로 탄탄하게 밀착되므로 일반 콘크리트뿐만 아니라 고강도 콘크리트와 같은 묽은 콘크리트의 타설 시에도 콘크리트가 거의 누설되지 않으며, 실시예 5의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 2의 경우, 차단프레임(110)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콘크리트의 타설면적이 넓으면 차단프레임이 콘크리트의 압력을 이겨내지 못하고 휘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타설면적이 넓지 않은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교예 3 내지 5의 경우, 콘크리트 누설량의 감소율은 현저한 수준이지만, 강철로 만들어진 차단봉은 탄력성이 전혀 없어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배근된 철근 사이에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확인되었다.
도 34 내지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에 대한 한국품질기술연구소의 품질검사성적서, 도 44 내지 도 53은 본 발명의 비교예 1 내지 5에 대한 한국품질기술연구소의 품질검사성적서이다.
상기 품질검사에서는 [표 2]의 시료번호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각각 삽입하고 콘크리트 양생 후 시험속도 40mm/min로 상기 타설막이의 해체하중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의 해체 하중과 같다.
상기 시험 결과, 비교예 1(시료번호 1)에 비해 실시예 1(시료번호 3), 실시예 2(시료번호 4), 실시예 3(시료번호 5), 실시예 4(시료번호 7), 실시예 5(시료번호 9)는 해체하중 감소율이 각각 96.4%, 96.4%, 96.4%, 94.1%, 92.9%에 달하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2(시료번호 2)에 비해서도 실시예 1(시료번호 3), 실시예 2(시료번호 4), 실시예 3(시료번호 5), 실시예 4(시료번호 7), 실시예 5(시료번호 9)는 해체하중 감소율이 각각 95.7%, 95.7%, 95.7%, 92.9%, 91.4%에 달하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콘크리트 타설막이(200)의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210)을 강철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형성하며, 차단부재(16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160)는 발포수지(162)로 형성하되 외주면에 은박지(163)를 부착하여 제작하였다.
<실시예 7>
콘크리트 타설막이(200)의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210)을 강철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형성하며, 차단부재(16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160)는 건축용 백업재(164)로 제작하였다.
<실시예 8>
콘크리트 타설막이(200)의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210)을 강철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형성하며, 차단부재(160)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160)는 건축용 백업재(164)로 제작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콘크리트 타설막이(200)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100)가 갖는 효과를 그대로 가지며, 이에 더하여 콘크리트 양생 후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해체 시에 차단부재가 차단프레임에서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면서 차단부재에 삽입되는 차단봉이 차단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해체 시에 차단프레임에서 차단봉을 빼내더라도 차단부재가 차단프레임에서 분리되지 않아 콘크리트로부터 차단프레임과 차단부재를 동시에 떼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110 : 차단프레임 120 : 평면부
121 : 상부 체결공 130 : 저면부
131 : 하부 체결공 140 : 정면부
150 : 차단봉 151 : 머리부
152 : 몸체부 153 : 지지구조
160 : 차단부재 161 : 삽입홈
162 : 발포수지 163 : 은박지
164 : 건축용 백업재
200 :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210 :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 220 : 평면부
221 : 상부 차단봉 체결공 230 : 저면부
231 : 하부 차단봉 체결공 232 : 원형판
233 : 지지편 234 : 제1개구부
235 : 제2개구부 236 : 차단부재 삽입공
240 : 정면부

Claims (6)

  1. 다수개의 소정 형상의 상부 체결공(121)이 일정 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뚫린 평면부(120)와, 상기 평면부(120)에 뚫린 다수개의 상부 체결공(121)과 대향하는 다수개의 소정 형상의 하부 체결공(131)이 길이방향으로 뚫린 저면부(130)와, 상기 평면부(120) 및 저면부(130)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는 정면부(140)로 형성되는 차단프레임(110);
    머리부(151)와 몸체부(152)를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51)는 상부 체결공(121)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부 체결공(121)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52)는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52)의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가지는 차단봉(150);
    신축성 있는 소재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저면부(130) 하방에 위치하는 차단부재(160); 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프레임(110)은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고, 상기 차단봉(150)은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평면부(120)와 저면부(30)에 서로 마주 보며 뚫린 다수개의 상부 체결공(121), 하부 체결공(131)과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하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프레임(110)을 플라스틱 또는 강철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형성하며, 차단부재(16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160)는 발포수지(162)로 형성하되 외주면에 은박지(163)를 부착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프레임(110)을 플라스틱 또는 강철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형성하며, 차단부재(160)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160)는 건축용 백업재(164)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4.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210), 차단봉(150) 및 차단부재(160)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210)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소정 형상의 상부 차단봉 체결공(221)이 뚫린 평면부(220)와, 상기 평면부(220)에 대향하는 저면부(230), 상기 평면부(220) 및 저면부(230)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정면부(240)로 구성되어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고,
    상기 저면부(230)에는 일정 간격으로 원형판(232)이 정면부(240) 내측 하단으로 이어지는 지지편(233)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원형판(232) 안에 원형판(232)보다 작은 지름의 원형으로 제1개구부(234)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차단봉 체결공(221)과 제1개구부(234)는 중심축 선이 일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개구부(234)는 하부 차단봉 체결공(231)이 되고, 상기 원형판(232)의 지지편(233)은 상방으로 ‘┎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원형판(232)이 저면부(230)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원형판(232)의 지지편(233)이 상방으로 ‘┎ ’형상으로 절곡되어 저면부(240)에 형성된 원형의 제2개구부(235)는 차단부재 삽입공(236)이 되고,
    상기 차단봉(150)은 머리부(151)와 몸체부(152)를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51)는 상부 차단봉 체결공(221)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부 차단봉 체결공(221)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52)는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52)의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가지며, 상기 차단프레임(210)의 평면부(220)와 저면부(230)에 서로 마주보며 뚫린 다수개의 체결공(221, 231)에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하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고,
    상기 차단부재(160)는 신축성있는 소재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차단부재(160)의 상단부는 차단부재 삽입공(236)에 끼어지며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는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210)을 강철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형성하며, 차단부재(16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160)는 발포수지(162)로 형성하되 외주면에 은박지(163)를 부착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체결구조의 차단프레임(210)을 강철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153)를 형성하며, 차단부재(160)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160)는 건축용 백업재(164)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20170000472A 2017-01-02 2017-01-02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783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472A KR101783167B1 (ko) 2017-01-02 2017-01-02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472A KR101783167B1 (ko) 2017-01-02 2017-01-02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167B1 true KR101783167B1 (ko) 2017-09-28

Family

ID=6003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472A KR101783167B1 (ko) 2017-01-02 2017-01-02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16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106B1 (ko) * 2017-11-30 2018-07-12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콘크리트 누출을 방지하는데 최적화된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200001199U (ko) 2018-11-30 2020-06-09 박서연 타설막이
KR20200001781U (ko) 2019-01-30 2020-08-07 김춘성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200001802U (ko) 2019-02-01 2020-08-11 심선숙 타설막이
KR20200001960U (ko) 2019-02-27 2020-09-04 박서연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200002362U (ko) 2019-04-17 2020-10-27 김춘성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210000539U (ko) 2019-08-27 2021-03-09 박서연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0493864Y1 (ko) 2020-09-10 2021-06-17 윤준현 타설막이
KR20210002344U (ko) 2020-04-13 2021-10-21 김춘성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220144943A (ko) * 2021-04-21 2022-10-28 원종창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230001673U (ko) 2022-02-10 2023-08-17 박서연 타설막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4683A (ja) 2002-07-30 2004-04-22 Arao Kk コンクリートストッパー
KR100912859B1 (ko) 2007-12-04 2009-08-18 박동수 콘크리트타설을 위한 마감부재의 콘크리트 누출방지용차단판
KR101585942B1 (ko) 2014-09-03 2016-01-18 신영산업개발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용 마감부재
KR101608644B1 (ko) 2015-07-27 2016-04-04 배용웅 콘크리트타설 이동칸막이 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4683A (ja) 2002-07-30 2004-04-22 Arao Kk コンクリートストッパー
KR100912859B1 (ko) 2007-12-04 2009-08-18 박동수 콘크리트타설을 위한 마감부재의 콘크리트 누출방지용차단판
KR101585942B1 (ko) 2014-09-03 2016-01-18 신영산업개발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용 마감부재
KR101608644B1 (ko) 2015-07-27 2016-04-04 배용웅 콘크리트타설 이동칸막이 폼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106B1 (ko) * 2017-11-30 2018-07-12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콘크리트 누출을 방지하는데 최적화된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200001199U (ko) 2018-11-30 2020-06-09 박서연 타설막이
KR20200001781U (ko) 2019-01-30 2020-08-07 김춘성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200001802U (ko) 2019-02-01 2020-08-11 심선숙 타설막이
KR20200001960U (ko) 2019-02-27 2020-09-04 박서연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200002362U (ko) 2019-04-17 2020-10-27 김춘성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210000539U (ko) 2019-08-27 2021-03-09 박서연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210002344U (ko) 2020-04-13 2021-10-21 김춘성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0493864Y1 (ko) 2020-09-10 2021-06-17 윤준현 타설막이
KR20220144943A (ko) * 2021-04-21 2022-10-28 원종창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2613858B1 (ko) * 2021-04-21 2023-12-14 원종창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230001673U (ko) 2022-02-10 2023-08-17 박서연 타설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167B1 (ko)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868288B1 (ko) 차단부재와 차단판을 가지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868287B1 (ko)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
JP5394818B2 (ja) 誘発目地材
KR101127298B1 (ko) 휨방지 차단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878106B1 (ko) 콘크리트 누출을 방지하는데 최적화된 콘크리트 타설막이
CN110284610B (zh) 一种定制化部分拆除的钢筋混凝土结构及其静态破碎拆除方法
JP2016215376A (ja) 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一体型鋼製セグメント
KR20090010281A (ko) 콘크리트의 끊어치기를 위한 마감부재
EP3412842B1 (de) Fugenfüllungsprofil
KR20180103417A (ko) 콘크리트의 압력에 파손되지 않으며 콘크리트의 누출을 완전히 방지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190000388U (ko)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부재
KR101861969B1 (ko)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US20050188648A1 (en) Unreinforced masonry wall strengthening method and setup
KR200396180Y1 (ko) 토류판 고정장치
EP2006450A1 (de) Schallabsorbierende Bauelemente,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Bauelemente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Lärmschutzwand aus diesen Bauelementen
KR20190000626U (ko) 콘크리트의 압력에 파손되지 않으며 콘크리트의 누출을 완전히 방지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2105771B1 (ko) 거푸집 일체형 지수재
KR20200002362U (ko)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180002146U (ko) 내부 지지구조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사용되는 차단봉
CN112695806A (zh) 超前止水后浇带施工方法
JP2016108785A (ja) 止水板取付部材、止水板、鉄筋架台および連続地中壁の施工方法
KR20210002344U (ko)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102363376B1 (ko) 비개착터널용 방수식 토압지지대
KR102363379B1 (ko) 비개착터널용 방수식 토압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178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612

Effective date: 20190226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