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785B1 - 마감타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마감타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785B1
KR101782785B1 KR1020170041811A KR20170041811A KR101782785B1 KR 101782785 B1 KR101782785 B1 KR 101782785B1 KR 1020170041811 A KR1020170041811 A KR 1020170041811A KR 20170041811 A KR20170041811 A KR 20170041811A KR 101782785 B1 KR101782785 B1 KR 101782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bent
width direction
extending
press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테크우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테크우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테크우드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41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94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양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 마감타일들을 하단에 맞닿는 타 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마감타일 고정장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폭방향의 일 측부로부터 하향연장되는 제1 가압부와, 폭방향의 타 측부로부터 하향연장되는 제2 가압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의 볼트 수용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측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 수용구를 통하여 수용되는 볼트가 관통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볼트 관통부; 및 상기 한쌍의 연장부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간격형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감타일 고정장치{Anchor finishing tile}
본 발명은 마감타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루널이나 사이드 마감타일을 바닥면이나 월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학교의 교실이나 강당 또는 체육관, 무용실 등의 마루공사에 있어서는 굴곡진 바닥면에 대해서 마루를 수평하게 고정 설치하기 위한 지지부재로서 마루널이 사용된다. 통상, 이러한 마루널은, 탄성 또는 강성이 있는 목재, 합성 목재,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마루의 구배를 맞추는 동시에 마루로부터 인가되는 부하를 지탱하도록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루널은,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상에서, 예를 들어 나사 회전 하여 상하부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높이를 조정하도록 된 상부홀더부재 및, 상기 상부홀더부재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받침목 수용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마루널에 있어서는 마루널, 즉 일종의 마감 타일의 일 측면에 홈을 형성하고, 타 측면에는 이러한 홈에 삽입되는 혀를 내어 서로 결합하는 구조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바닥재에 마감 타일을 고정시켰다.
그러나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마루널을 고정하기 위한 작업이 비요율적이어서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마루널 간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본 발명은 마루널 등의 마감타일을 시공하는 공수를 줄임으로써 효율적인 마 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마감타일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루널 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형성하여 마루널 등의 시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마감타일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양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 마감타일들을 하단에 맞닿는 타 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마감타일 고정장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폭방향의 일 측부로부터 하향연장되는 제1 가압부와, 폭방향의 타 측부로부터 하향연장되는 제2 가압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의 볼트 수용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측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 수용구를 통하여 수용되는 볼트가 관통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볼트 관통부; 및 상기 한쌍의 연장부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간격형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부는 폭방향을 기준으로 타측에 구비되는 제1 가압부 또는 제2 가압부에 비하여 상기 연장부의 길이 방향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 관통부는, 상기 연장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의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는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상기 연장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의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절곡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볼트가 관통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형성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폭방향 기준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 수용구에는 상기 볼트 수용구의 에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된 볼트의 나사산에 접촉하는 나사산 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횡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의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타일 고정장치는 마루널 등의 측면 홈에 삽입되어 볼트의 체결에 의하여 상기 마루널의 측면 홈 저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중 어느 하나에 톱니 형상의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마루널 등의 마감타일을 가고정한 후 타 마감타일을 삽입한 후 마무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감 타일의 시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감타일 고정장치는 마감타일 간의 사이에 개재되어 인접하는 마감타일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형성부를 구비함으로써 일일이 간격을 재어 고정시켜야 하는 수고로움을 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타일 고정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감타일 고정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마감타일 고정장치의 모습을 제1 방향에서 바라 본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마감타일 고정장치의 모습을 제1 방향의 반대측에서 바라 본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감타일 고정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마감타일 고정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마감타일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마감타일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감타일 고정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타일 고정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타일 고정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타일 고정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타측의 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타일 고정장치는 양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 마감타일들을 하단에 맞닿는 타 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마감타일이라 함은 마루널이나 월(Wall) 구조물에 부착하여 벽체를 마감하는 타일 등을 의미한다. 또한 상술한 타 부재라 함은 마루널의 경우 바닥재 또는 바닥재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등이 이에 해당하며, 사이드 마감타일의 경우에는 월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타일 고정장치(100)는 몸체부(110), 연장부(120), 간격형성부(125) 및 가압부(117, 119)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수평방향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10)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폭방향의 양 측면에는 제1 가압부(117)와 제2 가압부(119)가 형성된다. 몸체부(110)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의 볼투 수용구(115)가 형성된다.
몸체부(110)의 하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부(120)가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1 가압부(117) 및 제2 가압부(119)를 설명한다.
제1 가압부(117)는 몸체부(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압부(117)는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몸체부(110)의 측면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가압부(119)는 몸체부(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제1 가압부(117)의 타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압부(119)는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나, 제1 가압부(117)와 마찬가지로 몸체부(110)의 측면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가압부(118)의 하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1191)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1191)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1191)는 몸체부(110)의 일측면, 즉 제2 가압부(119)가 마감타일의 측면 홈에 삽입되는 경우 마감타일의 측면 홈을 가압하여 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후 시공단계의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요철부(1191)은 도 3의 (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가압부(117)에 비하여 아래 방향으로 더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a)와 같이 제1 가압부(117)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바라보는 경우 타측의 요철부(1191)가 관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요철부(1191)가 더 제1 가압부(117)의 단부에 비하여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요철부(1191)를 이용하여 마루널 등을 가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간격형성부(125)를 설명한다. 간격형성부(125)는 한쌍의 연장부(120)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몸체부(1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간격형성부(110)는 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 단부로부터 양 폭방향으로 연장된다. 간격형성부(125)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몸체부(110)의 양측 단부를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연장부(120) 및 볼트 관통부(121, 122)를 설명한다. 연장부(120)는 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연장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되며, 각각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측에 구비된다. 연장부(120)는 횡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경량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볼트 관통부(121, 122)는 몸체부(110)의 볼트 수용구(115)를 통하여 수용되는 볼트가 관통하여 하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볼트의 경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볼트 관통부(121, 122)는 제1 절곡부(121)와 제2 절곡부(122)를 구비한다.
제1 절곡부(121)는 연장부(1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다른 하나의 연장부(120)에 연결된다. 제1 절곡부(1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볼트의 횡방향 단면 형상에 형합하도록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절곡부(122)는 제1 절곡부(121)와 마찬가지로 연장부(1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다른 하나의연장부(120)에 연결된다. 또한 제2 절곡부(122)는 제1 절곡부(121)와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절곡부(122)는 제1 절곡부(121)와 마찬가지로 볼트의 횡방향 단면 형상의 형합하도록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절곡부(121)와 제2 절곡부(122)가 절곡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내려다 보는 경우 볼트가 통과할 수 있는 경로(115a)를 형성한다.
한편, 제1 절곡부(121)와 제2 절곡부(122)는 내측에 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절곡부(122)는 도 3을 기준으로 제1 절곡부(12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다만 제1 절곡부(121)와 제2 절곡부(122)의 상하부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위치가 서로 바뀌거나 수직방향으로 서로 일부 겹친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트 수용구(115b)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볼트 수용구(115b)는 나사산 접촉부(111)가 형성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볼트 수용구(115b)는 형상면에서 제한이 없으나, 수용될 볼트의 횡단면 형상보다는 크게 형성됨으로써 볼트가 충분히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볼트 수용구(115b)의 에지 일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나사산 접촉부(111)가 형성된다. 나사산 접촉부(111)는 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볼트 수용구(115b)의 내측에 볼트가 수용되는 경우 해당 볼트의 나사산과 접촉하여 암나사로서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볼트는 볼트 수용구(115b)를 통하여 삽입된 후 나사산 접촉부(111), 제1 절곡부(121) 및 제2 절곡부(122)에 접촉한 상태로 진입하게 되며, 제2 절곡부(122)의 하단에 위치하는 타 부재와 체결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타일 고정장치를 이용한 마감타일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마감타일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마감타일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널을 시공하는 경우 바닥면(F)에 지지부(91)들을 설치한 후 지지부(91)들 위에 세로 부재(95)와 가로 부재(97)들을 이용하여 마루널을 시공하기 위한 기초 구조를 형성한다. 이후 가로부재(97)에 마루널(99)을 고정시기 위하여 마감타일 고정장치(100)를 이용한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타일 고정장치(100)의 일측면을 제2 가압부(119)를 선행하여 마루널(99)의 홈(991)에 삽입한 후 볼트(199)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가고정시킨다. 이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1191)가 마루널(99)의 홈(991)의 저면(993)을 가압함으로써 가고정이 된다. 이후 타 마루널(99)을 타측의 제1 가압부(117)측으로 근접시킨 후 제1 가압부(117)가 타 마루널(99)의 홈(991)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 때 간격형성부(125)는 마루널(99)의 측면에 접촉한 상태가 됨으로써 마루널(99)들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볼트(199)를 더 조임으로써 마루널의 고정을 마무리 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감타일 고정장치를 설명한다. ㅍ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감타일 고정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타일 고정장치(100b)는 간격형성부(125a)가 착탈식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간격형성부(125a)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마루널들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부이다.
마루널은 계절, 기후 등에 따라 수축 및 확장 정도가 상이하여 시공되는 시기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여름철에는 마루널이 충분히 확장된 상태이기 때문에 간격을 약 2mm 정도로 상대적으로 더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겨울철에는 마루널이 수축된 상태이기 때문에 약 4mm 정도로 상대적으로 더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간격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간격형ㅅ어부(125a)의 폭에 따라 마감타일 고정장치의 규격을 제각기 달리 형성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타일 고정장치(100b)는 간격형성부(125a)를 착탈식으로 형성함으로써 규격에 따른 몇 종류의 간격형성부(125a)를 구비하는 경우 이를 상황에 따라 바꾸어서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120)에는 간격형성부(125a)를 끼울 수 있도록 간격형성부 끼움홈(126)이 형성된다. 간격형성부 끼움홈(126)은 단차진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끼움홈(126) 사이에 타 부분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형성된 끼움부(1261)가 형성된다. 간격형성부(125a)는 상술한 끼움부(1261)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평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끼움부 수용부(1251)가 형성된다.
마감타일 고정장치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간격형성부(125a)는 제조의 용이성 및 시공의 편의성을 위하여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0: 마감타일 고정장치
110: 몸체부
115: 볼트 수용구
117, 119: 가압부1
120: 연장부
121, 122: 절곡부(볼트 관통부)
125: 간격형성부

Claims (7)

  1. 양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 마감타일들을 하단에 맞닿는 타 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폭방향의 일 측부로부터 하향연장되는 제1 가압부와, 폭방향의 타 측부로부터 하향연장되는 제2 가압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의 볼트 수용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측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 수용구를 통하여 수용되는 볼트가 관통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볼트 관통부; 및
    상기 한쌍의 연장부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간격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는 폭방향을 기준으로 타측에 구비되는 제1 가압부 또는 제2 가압부에 비하여 상기 연장부의 길이 방향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마감타일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관통부는,
    상기 연장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의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는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상기 연장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의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절곡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볼트가 관통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마감타일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형성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폭방향 기준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감타일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수용구에는 상기 볼트 수용구의 에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된 볼트의 나사산에 접촉하는 나사산 접촉부가 형성되는 마감타일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횡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마감타일 고정장치.
KR1020170041811A 2017-03-31 2017-03-31 마감타일 고정장치 KR101782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811A KR101782785B1 (ko) 2017-03-31 2017-03-31 마감타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811A KR101782785B1 (ko) 2017-03-31 2017-03-31 마감타일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785B1 true KR101782785B1 (ko) 2017-09-28

Family

ID=6003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811A KR101782785B1 (ko) 2017-03-31 2017-03-31 마감타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7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7806A1 (en) * 2006-10-09 2010-10-14 Elk Premium Building Products, Inc. Hidden decking fastener and related method of fastening deck boar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7806A1 (en) * 2006-10-09 2010-10-14 Elk Premium Building Products, Inc. Hidden decking fastener and related method of fastening deck boar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0792B2 (en) Interlocking floor panels and floor system
AU2012280201B2 (en) Fastening system
US20130074425A1 (en) Spacer and Associated Method for Laying Tile
EP3070230A1 (en) Floorboard assembly
US10113321B2 (en) Decking support system
KR101362809B1 (ko) 곡선부의 적용이 가능한 데크조립체
EP3070231A1 (de) Wechselbelag mit steckverbindung
KR101782785B1 (ko) 마감타일 고정장치
KR20130017699A (ko) 데크 플레이트 고정 구조
KR101863507B1 (ko) 칸막이의 중간프레임 간격조절 고정장치
US20060090415A1 (en) Suspended ceiling assembly
US20090282771A1 (en) Panelling system primarily for decking
US20210363766A1 (en) Spacer for installation of flooring system
CN111075144A (zh) 一种地面瓷砖的安装结构
JP2008285929A (ja) 床板固定具
CA2996256A1 (en) Hanger for bracing panel
EP2118398B1 (en) False wall
JP3919584B2 (ja) 床板固定具、床板敷設方法および床構造
JP2021188366A (ja) 階段型枠
JP2005344371A (ja) 床構造体及びテラスデッキ
US20070107373A1 (en) Installation grid
US10208494B2 (en) Roof plug
KR102034843B1 (ko) 목재 데크용 결속구와 목재 데크 및 목재 데크의 시공방법
KR20140012401A (ko) 합성목재 패널 조립체
CN209924390U (zh) 一种板材铺装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