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303B1 - 전통한복의 거들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전통한복용 거들지 - Google Patents

전통한복의 거들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전통한복용 거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303B1
KR101779303B1 KR1020160157463A KR20160157463A KR101779303B1 KR 101779303 B1 KR101779303 B1 KR 101779303B1 KR 1020160157463 A KR1020160157463 A KR 1020160157463A KR 20160157463 A KR20160157463 A KR 20160157463A KR 101779303 B1 KR101779303 B1 KR 101779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le
geodeulji
hanbok
shenzhen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덕순
Original Assignee
서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덕순 filed Critical 서덕순
Priority to KR1020160157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2/00Multi-step production lines for mak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들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심천, 거들지천, 제2심천을 각각 적층한 거들지의 상하 가장자리부에 봉제선을 형성한 다음, 가장자리부를 내부로 시접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거들지상에 거들지천이 외부로 노출되게끔 제1심천 또는 제2심천을 뒤집은 다음, 봉제선과 가장자리부를 다림질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거들지천의 양끝이 마주하여 접하도록 거들지를 반(半)으로 시접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의 거들지 끝단을 경사지게 봉제선을 형성한 다음, 봉제선을 따라 등간격(等間隔) 형태로 절단하고, 재차 거들지천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뒤집어 완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한복소매에 부착하는 거들지를 특이한 신규공법으로 제작한 뒤 소매가 더러워지거나 찢어지는 상황에서 한복저고리 자체 또는 한복용 소매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거들지만을 신속 · 정확하게 교체하여 비용절감의 최적화는 물론, 거들지의 구비 색상을 다양하게 형성한 상태에서 거들지의 외표면부에 각양의 로고 · 문자 · 문양 등을 마음대로 추가하여 소매 끝 거들지의 독특성을 기반으로 한 심미감 및 장식미 제공과 함께, 거들지 외면부에 특정기업의 광고나 대외행사 및 국가적 홍보행위 등 적재적소의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을 통한 색다름과 표현의 즐거움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통한복의 거들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전통한복용 거들지{A traditional Hanbok gardens manufacturing method and a traditional Hanbok tool made according to the method}
본 발명은 거들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복소매에 부착하는 거들지를 특이한 신규공법으로 제작한 뒤 소매가 더러워지거나 찢어지는 상황에서 한복저고리 자체 또는 한복용 소매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거들지만을 신속 · 정확하게 교체하여 비용절감의 최적화는 물론, 거들지의 구비 색상을 다양하게 형성한 상태에서 거들지의 외표면부에 각양의 로고 · 문자 · 문양 등을 마음대로 추가하여 소매 끝 거들지의 독특성을 기반으로 한 심미감 및 장식미 제공과 함께, 거들지 외면부에 특정기업의 광고나 대외행사 및 국가적 홍보행위 등 적재적소의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을 통한 색다름과 표현의 즐거움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전통한복의 거들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전통한복용 거들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복은 한국 고유의 의복으로서, 중국의 당나라 · 명나라 · 원나라 등의 관복과 한국 고유의 복식을 조화시켜 발달해 온 전통의복이다. 한복은 유(한복저고리) · 고(바지) · 상(치마) · 포(두루마기)가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한복은 크게 예복과 평상복으로 구분하고, 성인용과 어린이용 · 남녀별 · 계절별 등으로도 나누어진다. 성인남자의 평상복으로는 바지 · 한복저고리 · 조끼 · 마고자를 기본으로 착용하며, 외출 시에는 두루마기를 추가로 입는다. 예복으로는 길례인 경우 두루마기를 입고 갓을 착용하며, 가례인 경우 흉배가 있는 단령복에 각대를 하고 사모를 착용한다. 제례에는 흰 도포나 두루마기를 입고 갓을 착용하며, 상례에는 상복을 착용한다.
성인 여자의 경우에는 평상복으로 한복저고리와 치마가 기본이며, 마고자와 두루마기를 추가로 입는다. 예복으로는 소례복과 대례복이 있는데, 소례복은 포록색 당의에 화관이나 족두리를 쓰고, 대례복은 다홍색 활옷에 화관을 쓰거나 초록색 원삼에 족두리를 쓰는 것이 관례였다.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어울려 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매우 아름다우며, 옷차림이 단정하고 우아하며, 동양적인 윤리가 깃들어 있는 초연한 멋스러움을 내포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한복은 바지나 치마의 길이와 폭을 넉넉하게 구성하는데, 윗도리의 소매길이는 활동하기 불편하지 않게 팔 길이에 맞게끔 구성함으로써 멋과 생활의 편의성을 모두 고려하여 제작한다. 한복을 전통방식 · 기성복 · 개량한복으로 제작하더라도 제작비용이 평균적으로 높기 때문에 평균 1벌 정도만 주문하여 구입하는 것이 다수인 추세이다. 뿐만 아니라, 1벌의 한복을 다양한 목적 및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고, 특히 소매부분이 가장 접촉이 많아 빨리 더러워지거나 헐어져서 한복저고리 전체 또는 소매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한복 전체를 다시 제작하는 경우에는 제작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소매부분만 교체하는 경우 역시 한복의 상의 어깨와 겨드랑이의 접합부를 분리한 뒤, 새로운 소매를 제작하여 접합부를 봉제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비용과 시간이 많이 발생하는 애로가 있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58688호에 따르면, '소매가 손상되지 않으면서도 견고하게 토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양측단부가 개구되고, 소매형상으로 형성한 몸체, 상기 몸체에 부착되고 타측이 소매 시접에 끼워지게 하여 토시가 소매에 간편하게 고정되게 하는 고정수단인 걸고리, 소매 폭을 좁혀 활동성이 배가되도록 토시 몸체에 부착되는 벨크로로 구성된 토시를 제공한다.'라고 기재하고 있다.
선행문헌에 따르면, 전통한복의 고유미를 손상시키지 않고, 작업 시 소매가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선행문헌은 설명한 바와 같이 오염이나 손상에 대한 방지만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어 한복의 외적 심미감이나 행사 및 광고 등의 간접적인 시각효과 내지 한복 고유의 멋을 낼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제공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구조로 사료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58688호 “한복 소매용 토시”(2004.08.03)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복소매에 부착하는 거들지를 특이한 신규공법으로 제작한 뒤 소매가 더러워지거나 찢어지는 상황에서 한복저고리 자체 또는 한복용 소매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거들지만을 신속 · 정확하게 교체하여 비용절감의 최적화는 물론, 거들지의 구비 색상을 다양하게 형성한 상태에서 거들지의 외표면부에 각양의 로고 · 문자 · 문양 등을 마음대로 추가하여 소매 끝 거들지의 독특성을 기반으로 한 심미감 및 장식미 제공과 함께, 거들지 외면부에 특정기업의 광고나 대외행사 및 국가적 홍보행위 등 적재적소의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을 통한 색다름과 표현의 즐거움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거들지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거들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복저고리의 소매부분에 장설되는 거들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심천, 거들지천, 제2심천을 각각 적층한 거들지의 상하 가장자리부에 봉제선을 형성한 다음, 가장자리부를 내부로 시접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거들지상에 거들지천이 외부로 노출되게끔 제1심천 또는 제2심천을 뒤집은 다음, 봉제선과 가장자리부를 다림질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거들지천의 양끝이 마주하여 접하도록 거들지를 반(半)으로 시접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의 거들지 끝단을 경사지게 봉제선을 형성한 다음, 봉제선을 따라 등간격(等間隔) 형태로 절단하고, 재차 거들지천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뒤집어 완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단계의 거들지는 제1심천, 거들지천, 제2심천의 색상 각각이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색으로 대응되도록 형성하고, 거들지천의 표면부에는 로고(logo) · 문자 · 문양 등을 추가 형성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단계는 거들지에 형성하는 봉제선을 기준으로 약 0.5 ~ 1cm 내외의 잉여천만 남기도록 하여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4단계는 거들지의 끝단을 매끄럽게 정리하도록 봉제선을 기준으로 펼친 상태에서 잉여천을 내접(內接)한 다음, 봉제선으로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1심천, 거들지천, 제2심천을 각각 적층한 거들지의 가장자리부에 봉제선을 형성하면서 가장자리부를 내부로 시접하고, 거들지천이 외부로 노출되게끔 뒤집은 다음, 봉제선과 가장자리부를 다림질하며, 거들지천의 양끝이 마주하여 접하도록 거들지를 반(半)으로 시접하면서 거들지 끝단을 경사지게 봉제선을 형성한 다음, 봉제선을 따라 등간격(等間隔) 형태로 절단하고, 재차 거들지천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뒤집어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복소매에 부착하는 거들지를 특이한 신규공법으로 제작한 뒤 소매가 더러워지거나 찢어지는 상황에서 한복저고리 자체 또는 한복용 소매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거들지만을 신속 · 정확하게 교체하여 비용절감의 최적화는 물론, 거들지의 구비 색상을 다양하게 형성한 상태에서 거들지의 외표면부에 각양의 로고 · 문자 · 문양 등을 마음대로 추가하여 소매 끝 거들지의 독특성을 기반으로 한 심미감 및 장식미 제공과 함께, 거들지 외면부에 특정기업의 광고나 대외행사 및 국가적 홍보행위 등 적재적소의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을 통한 색다름과 표현의 즐거움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들지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들지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들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한복저고리(1)의 소매(2)에 구비하여 사용하는 한복용 거들지의 제조방법에 관련되며, 1단계(S10), 제2단계(S20), 제3단계(S30), 제4단계(S40)를 주요 제조방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1단계(S10)는 제1심천(11), 거들지천(12), 제2심천(13)을 각각 적층한 거들지(10)의 상하 가장자리부(14)에 봉제선(15)을 형성한 다음, 가장자리부(14)를 내부로 시접한다. 1단계(S10)는 거들지(10)의 구성인 제1심천(11), 거들지천(12), 제2심천(13)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봉제하는 단계이다. 거들지(10)의 구성을 제1심천(11), 거들지천(12), 제2심천(13)의 3가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이유는, 후술하는 제4단계(S40)를 거쳐서 완성된 거들지(10)의 외부면에서 내부로의 봉제선 및 시접부위가 비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단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거들지(10)의 제1심천(11), 거들지천(12), 제2심천(13)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적층한 거들지(10)의 장방향(長方向)으로 상하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14)에서 약 0.5 ~ 1cm 내외의 거리를 두고 봉제선(15)을 형성하여 거들지(10)의 구성인 제1심천(11), 거들지천(12), 제2심천(13)을 동시에 결합한다. 결합한 거들지(10)의 상·하 가장자리부(14), 다시 말해 봉제선(15)을 형성한 가장자리부(14)의 끝단을, 봉제선(15)을 기준으로 하여 내부로 접하도록 시접한다. 즉, 한복 원단을 사용한 거들지(10)이므로 복원력이 뛰어나기에 봉제선(15)을 기준으로 하여 가장자리부(14)의 끝단을 내부로 시접해야 후술하는 제2단계(S20)의 작업이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단계(S10)의 거들지(10)는 제1심천(11), 거들지천(12), 제2심천(13)의 색상 각각이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색으로 대응되도록 형성하고, 거들지천(12)의 표면부에는 다양한 로고(logo) · 문자 · 문양 등을 추가 형성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1단계(S10)에서 사용하는 거들지(10)의 주요 구성인 제1심천(11), 거들지천(12), 제2심천(13)은 한복(1)의 주(主) 원단과 동일하거나 유사 원단을 사용하는 것으로, 거들지(10) 구성의 여러 색상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하거나 다양한 색상들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거들지(10)의 거들지천(12) 표면부에 로고(logo) · 문자 · 문양 등을 다양하게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내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거들지(10)는 한복(1)의 소매(2) 끝단에 주로 부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복(1)의 심미감과 장식미를 최대한 살려주는 효과는 물론, 때가 잘 묻는 소매(2)부분을 커버하여 한복(1)의 청결을 높일 수 있으며, 또 다양한 색상 속에 다양한 로고(logo) · 문자 · 문양 등을 인쇄하거나 덧댐 형태로 추가하여 특정 모임이나 국가적인 행사 때, 각종 시연회 등의 여러 행사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손쉽게 덧대어 입거나 거들지(10)를 겹겹이 추가해서 입을 수 있는 편리성과 간편성도 제공한다. 다시 말해, 거들지(10)의 외면부에 그 행사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색상과 로고 및 문양 등을 추가하게 될 경우, 그 행사에 맞는 심미감과 장식미 제공은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거들지(10)의 교체가 용이하므로 한 벌의 한복에 다양한 용도와 목적에 맞는 여러 형태 및 각양의 형상과 모양을 지닌 거들지(10)를 달고 사용한 후 바로 때어낼 수 있어 광범위한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단계(S20)는 상기 제1단계(S10)의 거들지(10) 상에 거들지천(12)이 외부로 노출되게 제1심천(11) 또는 제2심천(13)을 뒤집은 다음, 봉제선(15)과 가장자리부(14)를 다림질한다. 제2단계(S20)는 상술한 제1단계(S10)를 거친 거들지(10)에서 거들지천(12)을 중심으로 일 측의 제1심천(11) 또는 타측의 제2심천(13)을 완전히 뒤집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제1단계(S10)에서 가장자리부(14)에 봉제선(15)을 형성한 거들지(10)의 겉과 속을 완전히 뒤집어서 봉제선(15)과 가장자리부(14)의 시접부위를 내부로 형성하여 외부에서 말끔 내지 깔끔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거들지(10)의 제1심천(11), 거들지천(12), 제2심천(13)의 3가지 구성을 봉제선(15)으로 서로 결합은 해주되, 봉제선(15) 및 가장자리부(14)의 시접부위를 뒤집는 작업을 통해 내부에 숨기는 것으로, 시접부위를 일체화된 거들지(10)로 구현하여 심미감 및 장식미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목적임과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거들지(10)의 제조를 손쉬우면서도 멋들어지게 제조할 수 있는 신규한 기법이기도 하다. 그리고 상기 내부와 외부를 뒤집은 거들지(10)는 봉제선(15)이 형성된 내부의 상·하 가장자리부(14)를 다림질하여 거들지(10) 전체를 납작하게 형성한 뒤, 거들지(10)로서의 모양새를 갖추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단계(S30)는 상기 제2단계(S20)의 거들지천(12) 양끝이 마주하여 접하도록 거들지(10)를 반(半)으로 시접한다. 제3단계(S30)는 제2단계(S20)를 거친 거들지(10)의 거들지천(12)이 상하로 서로 마주하여 접하도록 구성하며, 거들지천(12)을 내측에 위치하도록 기준하여 거들지(10)를 반(半)으로 시접한다. 추가하자면, 거들지천(12)을 상하로 인접하기 위해서는 거들지(10)의 외측이 아닌, 내측으로 거들지천(12)을 위치한 다음, 거들지(10) 전체를 반(半)으로 나누어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이 동일선상에 마주하게 시접하는 것이다. 여기서 거들지천(12)을 외측으로 향하도록 시접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제4단계(S40)를 거친 거들지(10)의 외부면인 거들지천(12)이 아닌, 제1심천(11) 또는 제2심천(13)이 형성되므로 거들지천(12)을 내측에서 인접하게 시접하는 작업은 주의를 요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4단계(S40)는 상기 제3단계(S30)의 거들지(10) 끝단이 경사지게 봉제선(25)을 형성한 다음, 봉제선(25)을 따라 등간격 형태로 절단하고, 재차 거들지천(1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뒤집어 완성한다. 제4단계(S40)는 제3단계(S30)를 거친 거들지(10)의 일측과 타측 끝단을 경사지게 결합하는 봉제선(25)을 형성한다. 제4단계(S40)의 봉제선(25)을 경사지게 형성하는 이유는 한복저고리(1)의 소매(2) 하단이 겨드랑이를 시작으로 외(外) 방향으로 굴곡지되, 소매(2)의 외단을 이루는 폭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소매(2)의 일부와 결합하는 거들지(10)의 일측과 타측 끝단 또한 경사지게 구성하면서 결합하도록 봉제선(25)을 형성해야 한다.
즉, 거들지(10)를 반(半)으로 시접한 시접부위는 소매의 상단에 접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수평이 되게끔 시접하면 되지만, 시접부위와 대향하는 거들지(10)의 일측과 타측 끝단은 소매(2)의 하단에 접하게끔 결합하는 것으로, 소매(2)의 굴곡지면서 외(外) 방향으로 소매 폭이 점점 줄어들게끔 이루어지기에 거들지(10)의 양측 끝단 또한 이에 상응한 경사지는 봉제선(25)을 형성하는 것이 타당하다. 시접한 거들지(10)의 일측과 타측의 끝단을 경사진 봉제선(25)으로 결합 완료한 다음, 내부에 위치한 거들지(10)의 거들지천(12)을 외부로 향하도록 뒤집으면, 한복저고리(1)의 소매(2)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완성형의 거들지(10)로 탄생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4단계(S40)는 거들지(10)에 형성하는 봉제선(25)을 기준으로 대략 0.5 ~ 1cm 내외의 잉여천(16)만 남기도록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제4단계(S40)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거들지(10)의 끝단이 경사지게 봉제선(25)을 형성하고, 봉제선(10)을 기준하여 거들지(10)의 끝단방향으로 약 0.5 ~ 1.0cm를 남기고 거들지(10)의 나머지 부분을 잘라내는 제단작업을 수행하여 봉제선(25)의 주변을 최적화한다. 즉, 봉제선(25)에서 약 0.5 ~ 1.0cm 내외의 잉여천(16)만 남기고, 나머지 불필요한 거들지(10)의 일부를 재단하여 봉제부분의 주위를 깔끔하게 정리함으로써 한복(1)의 소매(2)에 부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해준다. 봉제선(25)만 형성하면 거들지(10)의 끝단에 남아있는 거들지(10)의 일부가 소매(2)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삐져나와 심미감 및 장식미를 저하시켜 한복저고리(1)의 맵시를 살리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불필요한 거들지(10)의 일부를 최소화하여 최적화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4단계(S40)는 상기 제4단계(S40)는 거들지(10)의 끝단을 매끄럽게 정리하도록 봉제선(25)을 기준으로 펼친 상태에서 잉여천(16)을 내접한 다음, 봉제선(35)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단계(S40)에서 거들지(10)의 끝단에 잉여천(16)을 구성하는 작업을 수행한 다음, 거들지(10)의 표면에 잉여천(16)을 결합하여 매끄럽게 정리하도록 봉제선(25)을 기준으로 하여 거들지(10)를 정확히 반으로 펼친 상태에서 잉여천(16)의 상부와 정면부를 대칭하도록 'Y'자 형상으로 내접한 뒤 거들지(10)와 일체로 결합하는 봉제선(25)을 형성한 후 완전 고정시켜 마무리한다.
상기의 봉제작업을 모두 수행하면, 거들지(10)의 내부와 외부가 반대로 향하게 뒤집어 주게 되어 잉여천(16)의 봉제부분을 내부로 숨기고, 거들지천(12)을 외부로 보이게 형성한 뒤 한복저고리(1)의 소매(2) 끝단에서 손 시침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또한, 상기한 한복저고리(1)의 거들지(10)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1심천(11), 거들지천(12), 제2심천(13)을 각각 적층한 거들지(10)의 가장자리부(14)에 봉제선(15)을 형성하면서 가장자리부(14)를 내부로 시접하고, 거들지천(12)이 외부로 노출되게끔 뒤집은 다음, 봉제선(15)과 가장자리부(14)를 다림질하며, 거들지천(12)의 양끝이 마주하여 접하도록 거들지(10)를 반(半)으로 시접하면서 거들지(10) 끝단이 경사지게 봉제선(25)을 형성한 다음, 봉제선(25)을 따라 등간격 형태로 절단하고, 재차 거들지천(1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뒤집어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복소매에 부착하는 거들지를 특이한 신규공법으로 제작한 뒤 소매가 더러워지거나 찢어지는 상황에서 한복저고리 자체 또는 한복용 소매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거들지만을 신속 · 정확하게 교체하여 비용절감의 최적화는 물론, 거들지의 구비 색상을 다양하게 형성한 상태에서 거들지의 외표면부에 각양의 로고 · 문자 · 문양 등을 마음대로 추가하여 소매 끝 거들지의 독특성을 기반으로 한 심미감 및 장식미 제공과 함께, 거들지 외면부에 특정기업의 광고나 대외행사 및 국가적 홍보행위 등 적재적소의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을 통한 색다름과 표현의 즐거움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한복저고리 2: 소매
10: 거들지 11: 제1심천
12: 거들지천 13: 제2심천
14: 가장자리부 15, 25, 35: 봉제선
16: 잉여천 S10: 제1단계
S20: 제2단계 S30: 제3단계
S40: 제4단계

Claims (5)

  1. 한복저고리(1)의 소매(2)부분에 장설되는 거들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심천(11), 거들지천(12), 제2심천(13)을 각각 적층한 거들지(10)의 상하 가장자리부(14)에 봉제선(15)을 형성한 다음, 가장자리부(14)를 내부로 시접하는 제1단계(S10);
    상기 제1단계(S10)의 거들지(10) 상에 거들지천(12)이 외부로 노출되게 제1심천(11) 또는 제2심천(13)을 뒤집은 다음, 봉제선(15)과 가장자리부(14)를 다림질하는 제2단계(S20);
    상기 제2단계(S20)의 거들지천(12)의 양끝이 마주하여 접하도록 거들지(10)를 반(半)으로 시접하는 제3단계(S30);
    상기 제3단계(S30)의 거들지(10) 끝단을 경사지게 봉제선(25)을 형성한 다음, 봉제선(25)을 따라 등간격(等間隔) 형태로 절단하고, 재차 거들지천(1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뒤집어 완성하는 제4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한복의 거들지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S10)의 거들지(10)는 제1심천(11), 거들지천(12), 제2심천(13)의 색상 각각이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색으로 대응되도록 형성하고, 거들지천(12)의 표면부에는 로고(logo) · 문자 · 문양 등을 추가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한복의 거들지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S40)는 거들지(10)에 형성하는 봉제선(25)을 기준으로 0.5 ~ 1cm 내외의 잉여천(16)만 남기도록 하여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한복의 거들지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S40)는 거들지(10)의 끝단을 매끄럽게 정리하도록 봉제선(25)을 기준으로 펼친 상태에서 잉여천(16)을 내접(內接)한 다음, 봉제선(35)으로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한복의 거들지 제조방법.
  5.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제1심천(11), 거들지천(12), 제2심천(13)을 각각 적층한 거들지(10)의 가장자리부(14)에 봉제선(15)을 형성하면서 가장자리부(14)를 내부로 시접하고, 거들지천(12)이 외부로 노출되게끔 뒤집은 다음, 봉제선(15)과 가장자리부(14)를 다림질하며, 거들지천(12)의 양끝이 마주하여 접하도록 거들지(10)를 반(半)으로 시접하면서 거들지(10) 끝단을 경사지게 봉제선(25)을 형성한 다음, 봉제선(25)을 따라 등간격(等間隔) 형태로 절단하고, 재차 거들지천(1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뒤집어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한복의 거들지.
KR1020160157463A 2016-11-24 2016-11-24 전통한복의 거들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전통한복용 거들지 KR101779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463A KR101779303B1 (ko) 2016-11-24 2016-11-24 전통한복의 거들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전통한복용 거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463A KR101779303B1 (ko) 2016-11-24 2016-11-24 전통한복의 거들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전통한복용 거들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303B1 true KR101779303B1 (ko) 2017-09-26

Family

ID=6003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463A KR101779303B1 (ko) 2016-11-24 2016-11-24 전통한복의 거들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전통한복용 거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3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392B1 (ko) 2020-11-27 2021-04-22 김미희주 족두리 제작방법
CN116919039A (zh) * 2023-07-18 2023-10-24 波司登羽绒服装有限公司 肩袢加工方法及肩袢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064Y1 (ko) 2002-01-21 2002-04-20 김광순 소매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저고리
KR200358688Y1 (ko) 2004-05-08 2004-08-11 김홍갑 한복 소매용 토시
KR101660651B1 (ko) 2015-11-07 2016-09-27 서덕순 깨끼한복용 이음매의 박음질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064Y1 (ko) 2002-01-21 2002-04-20 김광순 소매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복저고리
KR200358688Y1 (ko) 2004-05-08 2004-08-11 김홍갑 한복 소매용 토시
KR101660651B1 (ko) 2015-11-07 2016-09-27 서덕순 깨끼한복용 이음매의 박음질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392B1 (ko) 2020-11-27 2021-04-22 김미희주 족두리 제작방법
CN116919039A (zh) * 2023-07-18 2023-10-24 波司登羽绒服装有限公司 肩袢加工方法及肩袢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1617B2 (en) Green means 4 kids attire
KR101779303B1 (ko) 전통한복의 거들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전통한복용 거들지
US20110154555A1 (en) Ritual fringes for a garment
CN102370262A (zh) 儿童服装
CN103767207B (zh) 一种服装袖子结构及其成型方法
KR101909385B1 (ko) 긴 한복저고리 제작방법과 그 방법에 의한 한복 긴저고리
TWI444148B (zh) shirt
JP2003171812A (ja) 重ね着カジュアル
KR20150004505U (ko) 소매길이 연장부재가 구비된 한복
CN217695290U (zh) 一种无缝硬挺衬衫衣领及其无缝衬衫
CN213154033U (zh) 一种现代汉服
CN213486966U (zh) 一种双面双穿的双层面料外套
CN209965320U (zh) 时尚领口巾
CN214759168U (zh) 一种领边加厚的polo衫
Patke Fashionable Adaptation and Commercial Consumption of Indian Gold Embroidery and the Implicated Imperial Politics (c. 1850‒1910)
CN202664267U (zh) 短袖t恤
WO2016084518A1 (ja) リバーシブルシャツ
Brough The classic white formal shirt: a powerful emblem of social change
JPH1088406A (ja) 二部式着物
Mangieri Fashion, Transnationality, and Swahili Men
Proje et al. Interpretation of clothing heritage for contemporary tourism
JP3013621U (ja) ウエア
Damalie et al. Celebrating Africa: Afro-Asian Nuances of Fashion
JP3094205U (ja) 和 服
JP3036188U (ja) 袷衣のように、逆くの字形、くの字形、に左右前合せ着用し、一際目立つ2色のクリスタルカラーの生地を前面に、そして6色の虹色のパステルカラーのクリスタルな極薄の裏生地を内部スカート状に着用し、吹き流しのようにイブニングドレスの下裾に10cm程そのレインボウカラーが華麗にひらめく様に活用した、エレガンスムード強調のオールシルクのイブニングドレ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