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109B1 - Midsole for Shoes Containing Air Chamber in Outsole and Shoes Contain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idsole for Shoes Containing Air Chamber in Outsole and Shoes Contain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109B1
KR101779109B1 KR1020160042273A KR20160042273A KR101779109B1 KR 101779109 B1 KR101779109 B1 KR 101779109B1 KR 1020160042273 A KR1020160042273 A KR 1020160042273A KR 20160042273 A KR20160042273 A KR 20160042273A KR 101779109 B1 KR101779109 B1 KR 101779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layer
midsole
air chamb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2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숙
Original Assignee
김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숙 filed Critical 김경숙
Priority to KR1020160042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1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1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7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bottom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43B17/035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the air being expelled to the outs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dsole for shoes comprising an air chamber in an outsole, and to the shoes comprising the same. When a midsole composite (1) is used in the shoes comprising the air chamber in the outsole in order to provide a ventilation function or an air cushion function, it is possible to solve a problem of the midsole being lowered or torn, and at the same time, to obtain optimum walking comfort and excellent durability by the midsole. The midsole composite (1) is composed of a base layer (100) composed of a press board, a first paper board layer (200), a second paperboard layer (300), a reinforced nylon layer (400), a synthetic rubber layer (500) and a surface layer (600) composed of a microfiber cloth or a leather material.

Description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및 이를 구비한 신발{Midsole for Shoes Containing Air Chamber in Outsole and Shoes Contain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dsole for a footwear having an air chamber on an outsole,

본 발명은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및 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풍기능이나 에어쿠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에 최적화되어 통상의 미드솔을 착용했을 경우에 발생하는 미드솔의 내려앉음이나 찢어짐 현상을 해결하면서 최적의 보행 편의성 및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및 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dsole for a footwear having an air chamber on an outsole and a footwear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twear having an air chamber on the outsole for providing a ventilation function and an air cushion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dsole for a footwear having an air chamber on an outsole and a footwear having the same, which can provide an optimal walking comfort and durability while solving the downward tear or tear of the midsole.

일반적으로 보행시 지면에 대한 발의 운동은 크게 3단계의 과정으로서 뒤꿈치에 의한 착지단계, 뒤꿈치에서 앞꿈치로의 중심이동단계, 앞꿈치가 지면을 밀어서 이탈하는 단계를 좌우의 발이 연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발은 중심유지 및 체중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므로, 중심유지 및 충격흡수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신발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그 연구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In general, the foot motion to the ground during walking is largely a three-step process in which the left and right feet repeatedly repeat the landing step by the heel, the center shift step from the heel to the forearm, and the step of pushing away the forefoot. In this process, since the foot plays a role of absorbing the center holding and the impact of the weight, the importance of the shoe that can complement the center holding and the shock absorbing function is emerging, and the research is actively progressing.

한편, 충격흡수와 관련하여, 체중이 약 60kg의 사람의 일반적인 보행 동작에서 하루 평균 6000보를 걷는다고 가정하였을 때, 발에는 약 432톤의 하중이 걸리며, 이는 비행기의 무게(약 400ton)를 넘는 하중으로, 보행이나 런닝에 있어서 발에 가해지는 충격량은 생각 이상으로 크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충격량을 감소시키지 못할 경우, 관절에 퇴행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밖에 없다.On the other hand, with regard to shock absorption, assuming that a person walking at an average walking weight of about 60 kg weighs about 6000 feet per day, a load of about 432 tons is required for the foot, which is a load , The amount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foot in walking or running is larger than expected. Therefore, if such an amount of impact can not be reduced, a regressive change in the joints can not be avoid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6002호에는 신발의 미드솔 부분에 스프링을 장착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용 신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신발은 상부패드, 하부패드 및 스프링을 집어넣는 관통공을 별개의 금형을 사용하여 사출제작한 후 상부패드, 하부패드 및 스프링저장관통공을 고주파 또는 본드접착하는 방식으로 제작해야 하므로 생산공정 및 그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비용 및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Utility Model No. 20-0176002 discloses a shock absorbing shoe in which a spring is mounted on a midsole portion of a shoe to absorb a shock. However, shoes such as those described above must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using the upper mold, the lower mold, and the through-holes for inserting the spring, and then the upper mold pad, the lower mold, and the spring storing through holes should be manufactured by high frequency bonding or bond bonding There is a problem that produc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are increased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production process and its structure.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3-0072277호는 신발의 미드솔에 코일스프링을 장착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신발 충격완화 완충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신발은 코일스프링이 압축되거나 팽창할 때 코일스프링이 플랜지에서 빠져 이탈하거나 스프링 자체가 파손되는 등 견고성에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 제조시 미드솔에 완충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별도의 수납실을 구성해야 하고 별도의 수납실이 구성된 미드솔은 미드솔을 제작한 후 별도로 완충장치를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고주파 접착방식이나 본드접착방식으로 제작해야 하는 등 생산공정 및 그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비용 및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0072277 discloses a shoe shock absorbing damping device for reducing impact by attaching a coil spring to a midsole of a shoe. The shoe as described above has problems in that the coil spring escapes from the flange when the coil spring is compressed or expanded, or the spring itself is broken, an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hoe has a separate storage room And the midsole having a separate storage chamber must be manufactured by a high-frequency bonding method or a bond-bonding method since a shock absorber must be separately installed after manufacturing the midsole. Therefore, the production process and its structure are complic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is increases.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67481호에서 아웃솔 테두리에 통풍구가 형성된 지지대를 구현함으로써, 에어쿠션 기능이 작용하는 과정에서도 안정적인 보행 운동을 유지하도록 통풍신발을 제안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proposed a ventilation shoe so as to maintain a stable walking motion in the course of the operation of the air cushion function by implementing a support base formed with ventilation holes in the outsole frame in Korean Patent No. 10-1567481 There is a bar.

그런데 신발에 통풍기능이나 에어쿠션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신발 아웃솔에 공기실을 설치하면서, 통상의 미드솔(중창)을 사용하여 신발을 제작할 경우, 일정시간 신발을 착용하면 미드솔(중창)의 내려앉음이나 찢어짐 현상이 나타나 이를 예방하면서도 최적의 보행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미드솔(중창)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when shoes are made using normal midsole while installing an air chamber on a shoe outsole to give the shoe a ventilation function or an air cushion function, when the shoe is wor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midsole There is a demand for a midsole (midsole) capable of providing optimal walking comfort while preventing tears from appearing.

이에, 본 발명자들은 통풍기능이나 에어쿠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에서 프레스보드로 구성된 베이스층(100), 제1 페이퍼보드층(200), 제2 페이퍼보드층(300), 강화나일론층(400), 합성고무층(500) 및 극세사천 또는 가죽류로 구성된 표면층(600)으로 구성된 미드솔 복합체(1)를 사용할 경우, 미드솔이 내려앉거나 찢어짐이 발생하고 바닥면 압력 분포의 편중 발생이나 압력 증가로 인한 발의 통증 유발, 보행안정성이 훼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최적의 보행 편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In order to provide a ventilation function or an air cushion function,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developed a base layer 100 composed of a pressboard, a first paperboard layer 200, a second paperboard layer 300 (1) composed of a reinforced nylon layer (400), a synthetic rubber layer (500) and a surface layer (600) composed of a microfiber cloth or leather is used, the midsole is sagged or torn and the bottom pressure distribu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by confirming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foot stiffness is damaged due to the occurrence of unevenness or pressure increase due to the increase of pressure, and that the optimal walking comfort and durability are excellent.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에 통풍기능이나 에어쿠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에서의 미드솔의 내려앉음이나 찢어짐, 바닥면 압력 분포의 편중 발생이나 압력 증가로 인한 발의 통증 유발, 보행안정성의 훼손 문제점을 해결한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및 이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twear having an air chamber on an outsole for imparting a ventilation function or an air cushion function to a shoe, such as lowering or tearing of the midsol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dsole for a footwear having an air chamber in an outsole and a footwear having the same, which solves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in walking stabil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적의 보행 편의성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및 이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dsole for a footwear having an air chamber in an outsole and a footwear having the same, which can ensure optimal walking comfort and durabi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프레스보드로 구성된 베이스층(100): (B) 상기 베이스층 상부에 형성된 제1 페이퍼보드층(200); (C) 상기 제1 페이퍼보드층(200) 상부에 형성된 제2 페이퍼보드층(300); (D) 상기 제2 페이퍼보드층(300) 상부에 형성된 강화나일론층(400); (E) 상기 강화나일론층(400) 상부에 형성된 합성고무층(500); 및 (F) 상기 합성고무층(500) 상부에 형성되고 극세사천 또는 가죽류로 구성된 표면층(600)을 포함하는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를 제공한다.(B) a first paperboard layer (200) formed on the base layer (100); (C) a second paperboard layer 300 formed on the first paperboard layer 200; (D) a reinforced nylon layer 400 formed on the second paperboard layer 300; (E) a synthetic rubber layer 500 formed on the toughened nylon layer 400; And (F) a surface layer 600 formed on the synthetic rubber layer 500 and composed of microfiber cloth or leather.

본 발명은 또한 아래로부터 프레스보드, 제1 페이퍼보드, 제2 페이퍼보드, 강화나일론, 합성고무, 극세사천 또는 가죽류의 순서로 배치시키고, 각 층의 원단 사이에 핫 멜트(hot melt) 필름을 삽입한 다음, 가열하여 융착시키는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comprising the steps of disposing a press board, a first paper board, a second paper board, a reinforced nylon, a synthetic rubber, a microfiber cloth or a leather stream in this order from below and inserting a hot melt film And then an air chamber is provided on the outsole for heating and fusion bonding.

본 발명은 또한, 아웃솔, 미드솔 및 갑피로 이루어지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하면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와 폭을 갖고 내부에 공기 순환 통로가 형성된 지지대가 아래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 안쪽에는 지지대보다 아래를 향해 튀어나오도록 공기실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공기 순환 통로와 연통되는 것에 의해 공기실에 공기가 흡입 또는 배출되며, 상기 미드솔은 (A) 프레스보드로 구성된 베이스층(100): (B) 상기 베이스층 상부에 형성된 제1 페이퍼보드층(200); (C) 상기 제1 페이퍼보드층(200) 상부에 형성된 제2 페이퍼보드층(300); (D) 상기 제2 페이퍼보드층(300) 상부에 형성된 강화나일론층(400); (E) 상기 강화나일론층(400) 상부에 형성된 합성고무층(500); 및 (F) 상기 합성고무층(500) 상부에 형성되고 극세사천 또는 가죽류로 구성된 표면층(600)을 포함하는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ootwear comprising an outsole, a midsole and an upper member, wherein the outsole is formed with a support bas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width along the rim of the lower surface and having an air circulation passage formed therein and protruding downward, (A) a base layer (100) composed of a pressboard; and a base layer (100) formed of a pressboard, wherein the air chamber (B) a first paperboard layer (200) formed on the base layer; (C) a second paperboard layer 300 formed on the first paperboard layer 200; (D) a reinforced nylon layer 400 formed on the second paperboard layer 300; (E) a synthetic rubber layer 500 formed on the toughened nylon layer 400; And (F) a surface layer 600 formed on the synthetic rubber layer 500 and composed of microfiber cloth or leather.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및 이를 구비한 신발은 통풍기능이나 에어쿠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에서 미드솔이 내려앉음이나 찢어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해결함과 동시에 최적의 보행 편의성 및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ootwear midsole having the air chamber in the out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otwear having the footwear have a problem that the midsole is sagged or torn in the foot having the air chamber in the outsole for imparting the ventilation function or the air cushion func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optimum walking comfort and durability at the same time.

또한, 바닥면 압력 분포의 편중 발생이나 압력 증가로 인한 발의 통중이 유발되고, 보행안정성을 훼손하는 문제를 제거하여 신발의 상품성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merchantability of the shoe by eliminating the problem of unbalance of the bottom surface pressure distribution and generation of the foot due to the increase of pressure, and the problem of compromising the walking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의 앞부분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의 측면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의 윗면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의 측면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의 뒷부분의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도 7에 나타낸 공기실의 통풍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와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나타낸 미드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도 7에 나타낸 공기실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idsole composite (1) for footwear having an air chamber on an out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hotograph of a front portion of a midsole composite 1 for shoes having an air chamber on an out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taken from the side of a midsole composite 1 for shoes having an air chamber on an out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hotograph taken on the upper surface of a midsole composite 1 for shoes having an air chamber on an out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taken from the side of a midsole composite (1) for footwear having an air chamber on an out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hotograph of a rear portion of a footwear midsole composite 1 having an air chamber on an out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shoe having an air chamber on an out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ottom view of Fig.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Figs. 10A and 10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ventilation action of the air chamber shown in Fig. 7. Fig.
11A and 11B are bottom views of sho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idsole shown in Fig.
13A to 13C are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air chamber shown in Fig.

본 발명에서는 통풍기능이나 에어쿠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에서 프레스보드로 구성된 베이스층(100), 제1 페이퍼보드층(200), 제2 페이퍼보드층(300), 강화나일론층(400), 합성고무층(500) 및 극세사천 또는 가죽류로 구성된 표면층(600)으로 구성된 미드솔 복합체(1)를 사용할 경우, 미드솔이 내려앉거나 찢어지는 현상을 해결함과 동시에 최적의 보행 편의성 및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vide a ventilation function and an air cushion function, a base layer 100, a first paperboard layer 200, a second paperboard layer 300, When the midsole composite 1 composed of the reinforced nylon layer 400, the synthetic rubber layer 500 and the surface layer 600 composed of microfiber cloth or leather is us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henomenon in which the midsole is sagged or torn, Convenience, and durability.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A) 프레스보드로 구성된 베이스층(100): (B) 상기 베이스층 상부에 형성된 제1 페이퍼보드층(200); (C) 상기 제1 페이퍼보드층(200) 상부에 형성된 제2 페이퍼보드층(300); (D) 상기 제2 페이퍼보드층(300) 상부에 형성된 강화나일론층(400); (E) 상기 강화나일론층(400) 상부에 형성된 합성고무층(500); 및 (F) 상기 합성고무층(500) 상부에 형성되고 극세사천 또는 가죽류로 구성된 표면층(600)을 포함하는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 one aspect (A) a base layer 100 composed of a pressboard: (B) a first paperboard layer 200 formed on the base layer; (C) a second paperboard layer 300 formed on the first paperboard layer 200; (D) a reinforced nylon layer 400 formed on the second paperboard layer 300; (E) a synthetic rubber layer 500 formed on the toughened nylon layer 400; And (F) a surface layer 600 formed on the synthetic rubber layer 500 and composed of microfiber cloth or leather.

본 발명에 의한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는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 소재를 결합한 복합구조의 원단을 개발하여 보행 기능성과 편의성 그리고 내구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The footwear midsole composite (1) having an air chamber on the out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abricated by combining a composite material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to satisfy both the walking function, the convenience, and the durability.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를 도 1에 도시하였으며,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ootwear midsole composite 1 having an air chamber on an outsole having the above features is shown in FIG. 1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A) 프레스보드로By pressboard 구성된  Configured 베이스층Base layer (100)(100)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의 프레스보드로 구성된 베이스층(100)은 미드솔 뒤 보강재로 사용하며 신발의 변형방지와 보행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펄프와 텍스타일을 혼합하여 형성하는데, 면 65~75중량%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25~35중량%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면 70%와 폴리프로필렌 30%를 150~180℃의 고온 및 180~190ton의 가압하중에서 7~9분 동안 융착 및 압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인장강도(1.3kg/mm2, KSM6882) 및 인열 강도(1.8kg/mm, KSM6882)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The base layer 100 composed of the pressboard of the shoes-based midsole composite 1 having an air chamber on the outsole is used as a stiffener on the back of the midsole and serves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shoe and keep the center of the foot. It comprises 65 to 75% by weight of cotton and 25 to 35% by weight of polypropylene (PP), preferably 70% cotton and 30% polypropylene at a high temperature of 150 to 180 DEG C And tensile strength (1.3 kg / mm 2 , KSM6882) and tear strength (1.8 kg / mm, KSM6882), which can be manufactured by fusing and pressing at a pressing load of 180 to 190 tons for 7 to 9 minutes.

(B) 제1 (B) First 페이퍼보드층Paperboard layer (200)(200)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의 베이스층 상부에 형성된 제1 페이퍼보드층(200)은 전체적으로 신발의 형태 유지와 통기성, 땀흡수 및 보행시 굴곡이 가능하게 한다. 면 65~75중량%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25~35중량%를 포함하는 텍손(Texon)으로, 바람직하게는 면 70%와 폴리프로필렌 30%를 170~190℃의 고온 및 150~170ton의 가압하중에서 4~6분 동안 융착 및 압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통기성과 흡수도(48% (satra tm3), KSM6882)가 좋으며 내굴곡성(20000cycle)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The first paperboard layer 200 formed on the base layer of the footwear-based midsole composite 1 having the air chamber in the outsole allows the shape of the footwear to be maintained, breathability, sweat absorption, and bending during walking. (Texon) containing 65 to 75% by weight of cotton and 25 to 35% by weight of polypropylene (PP), preferably 70% cotton and 30% polypropylene at a high temperature of 170 to 190 & (48% (satra tm 3 ), KSM6882) and excellent flexing resistance (20000 cycles). The air permeability and the absorbency (48% (satra tm 3 ), KSM6882) are good.

(C) 제2 (C) Second 페이퍼보드층Paperboard layer (300)(300)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의 제1 페이퍼보드층(200) 상부에 형성된 제2 페이퍼보드층(300)은 미드솔 보강재로서, 고중량의 하중으로 인한 미드솔의 내려앉음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면 50~60중량%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40~50중량%를 포함하는 고강도 텍손(Texon)으로, 바람직하게는 면 60%와 폴리프로필렌 40%를 150~250℃의 고온 및 250~350ton의 가압하중에서 융착 및 압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인장강도(1.8kg/mm2, KSM6882), 인열 강도(2.1kg/mm2, KSM6882) 및 파열강도(2.7kg/mm2, KSM6882)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을 40중량%로 높이고 일반 텍손(Texon) 보다 높은 온도(200℃)와 높은 가압하중(300ton)에서 15분 동안 융착 및 압착하여 강도가 40% 이상 뛰어난 텍손을 제조하여 사용한다. 인장강도는 1.3kg/mm2에서 1.8kg/mm2로(KSM6882), 인열강도는 1.8kg/mm2에서 2.1kg/mm2로 그리고 파열강도는 1.6kg/mm2에서 2.7kg/mm2로 상승하였다.The second paperboard layer 300 formed on the first paperboard layer 200 of the shoes-based midsole composite 1 having the air chamber in the outsole is a midsole reinforcement material and prevents the midsole from falling down due to a high- . Texon having a high strength of 50 to 60% by weight and 40 to 50% by weight of polypropylene (PP), preferably 60% of cotton and 40% of polypropylene are heated at a high temperature of 150 to 250 ° C, may be prepared by fusing and pressing in the pressing load of 350ton, the tensile strength (1.8kg / mm 2, KSM6882) , tear strength (2.1kg / mm 2, KSM6882) and burst strength (2.7kg / mm 2, KSM6882) There are excellent features. Increase the content of polypropylene to 40% by weight and melt and press for 15 minutes at a higher temperature (200 ° C) than a normal Texon (200 ° C) and a high pressure load (300 ton). A tensile strength of 1.3kg / mm 2 at 1.8kg / mm 2 in (KSM6882), tear strength is 1.8kg / mm 2 in at 2.1kg / mm 2 and the rupture strength of 1.6kg / mm 2 at 2.7kg / mm 2 Respectively.

(D) 강화나일론층(400)(D) a reinforced nylon layer 400,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의 제2 페이퍼보드층(300) 상부에 형성된 강화나일론층(400)은 미드솔 보강재로 사용하며, 보행 시 종횡으로 부터의 힘을 감당하여 미드솔이 늘어남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강화 나일론 소재로, 미드솔에서 가장 늘어나는 힘을 많이 받는 곳에 쓰이는 보강재이다. 인장강도 및 인열 강도가 매우 뛰어나고, 내굴곡성(20000cycle)도 우수한 특징이 있다.The reinforced nylon layer 400 formed on the second paperboard layer 300 of the footwear midsole composite 1 having the air chamber in the outsole is used as a midsole reinforcement material, This prevents the growth of the Toughened nylon is the reinforcing material used in the midsole with the most increased strength. It has excellent tensile strength and tear strength, and excellent bending resistance (20000 cycle).

(E) (E) 합성고무층Synthetic rubber layer (500)(500)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의 강화나일론층(400) 상부에 형성된 합성고무층(500)은 충격 흡수재로서 사용되며, 보행시 체중으로 인한 압력을 분산시키고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 기능을 한다. 합성고무로서 네오프렌(neoprene)을 사용할 수 있다. 네오프렌은 클로로프렌고무 또는 이것에 소량의 다른 단위체를 중합시킨 합성고무의 상품명이다. CR 스폰지라고도 불리며, 제조는 아세틸렌 2분자를 중합시켜 얻은 비닐아세틸렌에 염산을 첨가시켜 클로로프렌을 얻고, 이것을 5℃ 또는 40℃에서 에멀션화시켜 얻을 수 있다. 내열, 내한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탄력성과 복원력이 뛰어나고 촉감이 부드러운 특징이 있다.The synthetic rubber layer 500 formed on the toughened nylon layer 400 of the shoes-based midsole composite material 1 having the air chamber on the outsole is used as a shock absorber, Function. As synthetic rubber, neoprene can be used. Neoprene is a trade name of chloroprene rubber or a synthetic rubber obtained by polymerizing a small amount of other units. It is also called CR sponge. The production can be obtained by adding hydrochloric acid to vinyl acetylene obtained by polymerizing two molecules of acetylene to obtain chloroprene and emulsifying it at 5 占 폚 or 40 占 폚. It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cold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excellent elasticity and resilience, and soft touch.

(F) (F) 극세사천Microfiber cloth 또는  or 가죽류로Leather 구성된 표면층(600) The surface layer (600)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의 합성고무층(500) 상부에 형성되고 극세사천 또는 가죽류로 구성된 표면층(600)은 신발 앞단의 깔창으로 사용되며 땀흡수, 미끄럼 방지, 오염 방지 역할을 한다. 극세사천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과 나일론의 혼방으로서 땀흡수, 발산을 통하여 신발내부의 쾌적함을 유지하며, 표면을 기모처리 하여 부드러운 촉감과 미끄러움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The surface layer 600 formed on the synthetic rubber layer 500 and composed of microfiber cloth or leather is used as an insole on the front of the shoe. The sweat absorbing, non-slip, It plays a role. Microfiber cloth is a blend of polyurethane (PU) and nylon. It keeps the comfort inside the shoe by absorbing sweat and diverging. It has a feature of brushed surface to prevent soft touch and slipper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체중이나 점프 동작 등을 고려하여 고중량의 하중으로 미드솔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A) 프레스보드층 및 (B) 제1 페이퍼보드층 사이에 강화나일론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7층 구조의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를 제조할 수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urther enhance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midsole from being stretched under a heavy load in consideration of weight, jump operation,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midsole composite (1) for shoes having an air chamber on an outsole having a seven-layer structure further including a reinforced nylon layer.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6중 구조로 형성된 미드솔에는 통풍공(136)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의 뒷부분의 사진은 도 6에 도시하였다.2 to 5, a vent hole 136 is formed in a midsole formed by a hexagonal structure. A photograph of the rear portion of the footwear midsole composite 1 having the air chamber on the outso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기존에는 서로 다른 소재들을 결합하여 복합체를 제조할 경우, 접착제를 사용하여 본딩 처리하였으나, 본 발명은 미드솔 원단인 텍손(Texon)과 고강도 텍손(Texon) 각각의 소재의 특성을 살리면서 접합함으로써 6중구조의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by combining different materials, the bonding process is performed by using an adhesi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composite material by combining the materials of the midsole fabric Texon and the high-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idsole composite (1) for shoes having an air chamber on the outsole of a bath is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아래로부터 프레스보드, 제1 페이퍼보드, 제2 페이퍼보드, 강화나일론, 합성고무, 극세사천 또는 가죽류의 순서로 배치시키고, 각 층의 원단 사이에 핫 멜트(hot melt) 필름을 삽입한 다음, 가열하여 융착시키는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from another viewpoint, arranged in the order of a press board, a first paper board, a second paper board, a reinforced nylon, a synthetic rubber, a microfiber cloth or a leather stream from the bottom and hot mel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hoe sole for a shoe sole, and a shoe sole.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60~200℃의 온도 및 250~350ton의 가압하중에서 융착시킬 수 있다.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usion bonding can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160 to 200 DEG C and a pressing load of 250 to 350 tons.

상기 프레스보드 및 제1 페이퍼보드는 면 65~75중량% 및 폴리프로필렌 25~35중량%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페이퍼보드는 50~60중량% 및 폴리프로필렌 40~50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essboard and the first paperboard may be composed of 65 to 75% by weight of cotton and 25 to 35% by weight of polypropylene, and the second paperboard may be composed of 50 to 60% by weight and 40 to 50% by weight of polypropylene have.

또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아웃솔, 미드솔 및 갑피로 이루어지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하면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와 폭을 갖고 내부에 공기 순환 통로가 형성된 지지대가 아래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 안쪽에는 지지대보다 아래를 향해 튀어나오도록 공기실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공기 순환 통로와 연통되는 것에 의해 공기실에 공기가 흡입 또는 배출되며, 상기 미드솔은 (A) 프레스보드로 구성된 베이스층(100): (B) 상기 베이스층 상부에 형성된 제1 페이퍼보드층(200); (C) 상기 제1 페이퍼보드층(200) 상부에 형성된 제2 페이퍼보드층(300); (D) 상기 제2 페이퍼보드층(300) 상부에 형성된 강화나일론층(400); (E) 상기 강화나일론층(400) 상부에 형성된 합성고무층(500); 및 (F) 상기 합성고무층(500) 상부에 형성되고 극세사천 또는 가죽류로 구성된 표면층(600)을 포함하는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twear comprising an outsole, a midsole, and an upper member, wherein the outsole is formed with a support bas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width along an edge of a lower surface and an air circulation passage formed therein, And an air chamber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so as to protrude below the support, and the air is suck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air chamber by communicating with the air circulation passage of the support. The midsole comprises: (A) 100): (B) a first paperboard layer 200 formed on the base layer; (C) a second paperboard layer 300 formed on the first paperboard layer 200; (D) a reinforced nylon layer 400 formed on the second paperboard layer 300; (E) a synthetic rubber layer 500 formed on the toughened nylon layer 400; And (F) a surface layer 600 formed on the synthetic rubber layer 500 and composed of microfiber cloth or leather.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저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이다.FIG. 7 is a side view of a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ottom view of FIG. 7, and FIG.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2)은 갑피(110)와, 아웃솔(130)과 미드솔(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hoe 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member 110, an outsole 130, and a midsole 1.

상기 아웃솔(130)은 일반적으로 탄성을 갖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지되, 보행 동작으로 인해 후술하는 공기실(134)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로 인한 공기의 흡입과 배출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축, 복원될 수 있는 정도의 탄성이 있는 소재이면 무방하다.The outsole 130 is generally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can be repeatedly contracted and restored by the suction and discharge of air due to the difference in pressure applied to the air chamber 134 due to a walking operation It is acceptable if the material is elastic.

상기 아웃솔(130) 위에 접합되는 미드솔(1)은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보행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수 기능 소재를 활용하여 아웃솔(130)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수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The midsole 1, which is joined to the outsole 13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supporting a large load while providing ease of gait. The midsole 1 may be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Allow moisture to be blocked.

상기 아웃솔(130)은 하면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와 폭을 갖는 지지대(132)가 아래(바닥면)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지지대(132) 내부에 홈을 형성하여 공기 순환 통로(133)가 되도록 한다.A support base 132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width along the rim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utsole 13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ly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ase 132. A groove is formed in the support base 132 to define an air circulation passage 133 .

상기 지지대(132) 안쪽의 아웃솔(130)에는 지지대(132)보다 아래를 향해 튀어나오도록 공기실(134)을 형성한다.An air chamber 134 is formed on the outsole 130 inside the supporter 132 so as to protrude below the supporter 132.

이때 공기실(134)은 아웃솔(130) 전체나 일부분에 하나 또는 다수가 신발의 용도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실(134)에는 공기가 흡입되고 배출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여 동 통로를 지지대(132) 내부의 공기 순환 통로(133)와 연통시킨다.At this time, one or more of the air chamber 134 may be formed in the whole or part of the outsole 130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hoe. In the air chamber 134, a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be sucked and discharged is formed, And communicates with the air circulation passage 133 inside the support base 132.

또한, 아웃솔(130)에 형성되는 공기실(134)은 둥근 라운드형, 타원형, 사다리꼴, 삼각형, 각종 기둥형 등 여러 모양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 평평한 아웃솔에서 아래를 향해 돌출된 형태의 공기실(134)을 형성하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라도 무방하다.The air chamber 134 formed in the outsole 13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round, oval, trapezoid, triangle, and various pillars. The air chamber 134 may be formed in a conventional flat outsole, 134 may be formed.

여기서 상기 공기실(134)이 형성된 아웃솔(130)의 하면은 도 13a 내지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요철을 주어 미끄럼 등을 방지할 수도 있다.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sole 130 having the air chamber 134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protrusions and protrusions as shown in FIGS. 13A to 13C to prevent slipping or the like.

상기 아웃솔(130)의 공기실(132), 지지대(132) 내부의 공기 순환 통로(133), 아웃솔(130)에 접합된 상부의 미드솔(1)이나 갑피(110) 또는 뒤축 부분의 월형 등에 공기실(134)의 공기가 흡입되고 배출될 수 있도록 통풍공(136)이 다수 형성된다.The air chamber 132 of the outsole 130, the air circulation passage 133 in the support base 132, and the upper half of the midsole 1, the upper 110, A number of ventilation holes 136 are formed so that air in the chamber 134 can be sucked and discharged.

이때 상기 통풍공(136)의 수와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공기실(134)의 수축과 복원의 정도와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신발의 용도에 적합한 아웃솔(130)의 쿠션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gree and speed of shrinkage and restoration of the air chamber 134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number and size of the vent holes 136, thereby providing a cushion role of the outsole 130 suitable for the use of the shoe .

또한, 아웃솔(130) 가장자리에 재봉 봉합에 필요한 여분의 면적을 배치하고 아웃솔(130)과 미드솔(1)을 봉합선(122)으로 봉합하여 더욱 안정적인 에어쿠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xtra area required for sewing and sewing can be disposed on the edge of the outsole 130, and the outsole 130 and the midsole 1 can be sealed with the seaming line 122 to provide a more stable air cushion function.

이러한 통풍신발(2)의 구성으로 인해 보행시 아웃솔(130)의 공기실(134)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로 공기실(134)에 공기의 흡입, 배출이 유도되고, 이에 따라 공기실(134)이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수축, 복원되어 보행 동작에 따라 아웃솔(130)에 편안한 에어쿠션 기능을 제공하여 편안한 착화감을 주게 된다.Due to such a configuration of the ventilation shoe 2, air is sucked and discharged into the air chamber 134 due to the difference in pressure applied to the air chamber 134 of the outsole 130 at the time of walking, Is smoothly shrunk and restored to provide a comfortable air cushion function to the outsole 130 according to the gait operation,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grip.

즉,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 동작 중 통풍신발(2)이 지면에 압착될 때에는 공기실(134)의 공기가 통풍공(136)으로 배출되고, 통풍신발의 압착이 종료된 시점부터 통풍공(136)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며 아웃솔 공기실(134)이 공기로 차게 된다.10A and 10B, the air in the air chamber 134 is discharged to the vent hole 136 when the ventilation shoe 2 is pressed on the ground during the gait operation, and when the ventilation shoe is completely pressed The air is sucked through the vent hole 136 and the outsole air chamber 134 is filled with air.

이때 지지대(132)는 공기실(134)의 수축, 복원 과정에서 보행의 안정성을 유지함에 도움을 주며, 등산과 같은 경사지의 보행에서 공기실(134) 공기의 흡입과 배기를 원활히 유도하여 안정적인 쿠션 보행을 지원한다.At this time, the support member 132 helps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walking in the shrinking and restoring process of the air chamber 134 and smoothly induces the suction and exhaust of the air in the air chamber 134 in the walking of the slope such as climbing, Supports walking.

따라서 스포츠화나 아웃도어 슈즈가 아닌 일반적인 신발들의 경우에는 통풍즉, 공기의 흡입과 배출의 흐름이 부여하는 공기실(134)의 수축과 복원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접지면적을 넓히며 지면과 밀착하게 되기 때문에 도 11b에서와 같이 지지대를 형성하지 않고 공기실(134)만 형성할 수도 있고, 도 11a에서와 같이 아웃솔(130) 테두리 일부분에만 수개의 지지대(132)를 분리하여 돌출 형성할 수도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general shoes other than sports shoes or outdoor shoes, the grounding area is widened naturally in the shrinking and restoring process of the air chamber 134 provided by the flow of air, that is, the suction and discharge of air, Only the air chamber 134 may be formed without forming the support bar as in FIG. 11A, or several support bars 132 may be protruded from only a part of the outer frame 130 as shown in FIG. 11A.

또한, 상기 지지대(132)는 보행의 안정성을 지원하는 기능 외에도 공기실(134)과 연통하는 공기 순환 통로(133)가 지지대 내부에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아웃솔(130) 전반에 균형 있는 쿠션감을 제공한다.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stability of the walking, the support base 132 is provided with an air circulation passage 133 communicating with the air chamber 134 in the form of a groove in the support base, to provide.

도 12는 도 13에 나타낸 미드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idsole shown in Fig.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뒷부분의 미드솔(1)에 발뒤꿈치 모양의 공기 유통로(124)가 구비된 보형물을 설치하여 지지대(132) 내부의 공기 순환 통로(133)와 연통시킨다.As shown in FIG. 12, a prosthesis having a heel-shaped air passage 124 is provided in the midsole 1 at the rear of the sho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ir circulation passage 133 inside the support table 132.

이때 신발 뒤쪽 갑피(110)에 작은 구멍을 다수 형성하거나, 망사 스타일의 소재로 갑피(110)를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small holes may be formed in the upper part 110 of the shoe, or the upper part 110 may be formed of a mesh-like material.

따라서 자연스럽게 공기가 유통되어 발뒤꿈치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과 먼지를 막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air can flow naturally to protect the heel from external impact, as well as to prevent moisture and dust from entering the outside.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Example]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  One: 프레스보드의Of the pressboard 제조 Produce

면 70중량%와 폴리프로필렌 30중량%를 175℃의 온도 및 180ton의 가압하중에서 8분 동안 융착 및 압착하여 프레스보드를 제조하였다.70% by weight of cotton and 30% by weight of polypropylene were fused and pressed at 175 DEG C and 180 ton pressure for 8 minutes to prepare a press board.

프레스 가압하중은 터치패널 상에 ton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를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압력 단위로 환산할 수 있다.The press load is expressed as ton on the touch panel and can be converted into a pressure unit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1][Equation 1]

P = (B x 1000kg)/A [kg/cm2]P = (B x 1000 kg) / A [kg / cm 2 ]

여기서, A는 프레스 가압면의 면적(cm2)이고, B는 프레스 가압력(ton)이다.Here, A is the area (cm 2 ) of the pressing surface of the press, and B is the pressing force (ton).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2:  2: 텍손(페이퍼보드)의Texon (paperboard) 제조 Produce

면 70중량%와 폴리프로필렌 30중량%를 181℃의 온도 및 160ton의 가압하중에서 5분 동안 융착 및 압착하여 텍손을 제조하였다.70% by weight of cotton and 30% by weight of polypropylene were fused and pressed for 5 minutes at a temperature of 181 DEG C and a pressing load of 160 tons to prepare Texons.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3: 고강도  3: High strength 텍손(페이퍼보드)의Texon (paperboard) 제조 Produce

면 60중량%와 폴리프로필렌 40중량%를 200℃의 온도 및 300ton의 가압하중에서 15분 동안 융착 및 압착하여 고강도 텍손을 제조하였다.60% by weight of cotton and 40% by weight of polypropylene were fused and pressed for 15 minutes at a temperature of 200 DEG C and a pressing load of 300 tons to prepare a high strength Texon.

실시예Example 1:  One: 아웃솔에On the outsole 공기실을Air chamber 구비한 신발용  For shoes 미드솔Midsole 복합체의 제조 Manufacture of Composites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에서 프레스보드, 텍손 및 고강도 텍손 그리고 강화 나일론, 네오프렌 및 극세사천을 아래로부터 차례대로 배치시키고, 각 층의 원단 사이에 핫 멜트(hot melt) 필름을 삽입한 다음, 180℃의 온도 및 300ton의 가압하중에서 융착시켜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를 제조하였다.In the Production Examples 1 to 3, press boards, Texons, high strength Texons, toughened nylons, neoprene, and microfine fabrics were arranged in order from bottom to bottom, hot melt films were inserted between the fabric layers, And a pressure load of 300 ton to prepare an air-tight seamed midsole composite (1).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용 미드솔 복합체(1)은 층 구조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재가 그 요구물성을 충족함으로써 통상의 미드솔을 착용했을 경우에 발생하는 미드솔의 내려앉음이나 찢어짐 현상을 해결하고, 최적의 보행 편의성 및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shoes-like midsole composite (1) having an air chamber on the outsole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each material constituting the layer structure satisfies the required properties, so that the midsole Tearing phenomenon can be solved, and optimum walking ease and durability can be provided.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such specific embodiment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something to do.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defined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and their equivalents.

1: 미드솔 복합체 2: 신발
100: 베이스층 200: 제1 페이퍼보드층
300: 제2 페이퍼보드층 400: 강화나일론층
500: 합성고무층 600: 표면층
110: 갑피 122: 봉합선
124: 공기 유통로 130: 아웃솔
132: 지지대 133: 공기 순환 통로
134: 공기실 136: 통풍공
1: Midsole composite 2: Shoes
100: base layer 200: first paperboard layer
300: second paperboard layer 400: reinforced nylon layer
500: Synthetic rubber layer 600: Surface layer
110: upper 122: seam
124: Air circulation path 130: Outsole
132: support member 133: air circulation passage
134: air chamber 136: ventilation hole

Claims (13)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아웃솔, 미드솔 및 갑피로 이루어지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하면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와 폭을 갖고 내부에 공기 순환 통로가 형성된 지지대가 아래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 안쪽에는 지지대보다 아래를 향해 튀어나오도록 공기실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공기 순환 통로와 연통되는 것에 의해 공기실에 공기가 흡입 또는 배출되며,
상기 미드솔은 (A) 면 65~75중량% 및 폴리프로필렌 25~35중량%를 포함하는 프레스보드로 구성된 베이스층(100): (B) 상기 베이스층 상부에 형성된, 면 65~75중량% 및 폴리프로필렌 25~35중량%를 포함하는 제1 페이퍼보드층(200); (C) 상기 제1 페이퍼보드층(200) 상부에 형성된, 면 50~60중량% 및 폴리프로필렌 40~50중량%를 포함하는 제2 페이퍼보드층(300); (D) 상기 제2 페이퍼보드층(300) 상부에 형성된 강화나일론층(400); (E) 상기 강화나일론층(400) 상부에 형성된, 클로로프렌고무로 형성된 합성고무층(500); 및 (F) 상기 합성고무층(500) 상부에 형성되고 폴리우레탄과 나일론의 혼방 극세사천 또는 가죽류로 구성된 표면층(600)을 포함하는 미드솔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
For footwear consisting of outsole, midsole and upper;
The outsole is formed with a support bas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width along the rim of the lower surface and having an air circulation passage formed therein,
An air chamber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so as to protrude below the support, so that the air is suck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air chamber by communicating with the air circulation passage of the support,
(B) a base layer (100) composed of a pressboard comprising (A) 65 to 75% by weight of cotton and 25 to 35% by weight of polypropylene; (B) A first paperboard layer (200) comprising 25 to 35% by weight of a polypropylene; (C) a second paperboard layer 300 formed on the first paperboard layer 200, the second paperboard layer 300 comprising 50 to 60% by weight of cotton and 40 to 50% by weight of polypropylene; (D) a reinforced nylon layer 400 formed on the second paperboard layer 300; (E) a synthetic rubber layer 500 formed on the toughened nylon layer 400 and formed of chloroprene rubber; And (F) a surface layer (600) formed on the synthetic rubber layer (500) and composed of a blend microfiber cloth or leather of polyurethane and nyl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은 아웃솔 전체나 일부분에 하나 또는 다수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아웃솔 테두리 전체에 하나 또는 아웃솔 테두리 일부분에 다수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one or more of the air chambers are formed on the whole or part of the outsole, and a plurality of the support rods are formed on the entire outsole rim or a part of the outsole rim is formed separately. One sho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에 흡입 배출되는 공기의 통풍공은 아웃솔, 지지대, 아웃솔과 접합된 미드솔이나 갑피 중의 한 부분에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여러 부분에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
The outsol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ventilation holes of the air sucked and discharged into the air chamber are independently formed in one of a midsole or an upper part joined to the outsole, the support, and the outsole, Shoes having an air chamb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 테두리에 재봉 봉합에 필요한 여분의 면적을 배치하고 아웃솔과 미드솔을 봉합선으로 봉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
The footwea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n extra area necessary for sewing and sewing is disposed on the outsole frame, and the outsole and the midsole are sewn together with a sealing lin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이 형성된 아웃솔의 하면은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The footwea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sole on which the air chamber is formed is provided with concave and convex portion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뒷부분에 발뒤꿈치 모양의 공기 유통로가 구비된 보형물을 설치하여 공기 순환 통로와 연통시키고, 신발 뒤쪽 갑피에는 작은 구멍이 형성되거나 망사 스타일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에 공기실을 구비한 신발.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oot is provided with a heel-shaped air passage on the back of the sho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ir circulation passage, and a small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shoe, Footwear with an air chamber on the outsole.
KR1020160042273A 2016-04-06 2016-04-06 Midsole for Shoes Containing Air Chamber in Outsole and Shoes Containing the Same KR1017791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273A KR101779109B1 (en) 2016-04-06 2016-04-06 Midsole for Shoes Containing Air Chamber in Outsole and Shoes Contain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273A KR101779109B1 (en) 2016-04-06 2016-04-06 Midsole for Shoes Containing Air Chamber in Outsole and Shoes Contain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109B1 true KR101779109B1 (en) 2017-09-26

Family

ID=60036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273A KR101779109B1 (en) 2016-04-06 2016-04-06 Midsole for Shoes Containing Air Chamber in Outsole and Shoes Contain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10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0624B1 (en) 1999-09-10 2003-01-28 Nikola Lakic Inflatable lining for footwear with protective and comfortable coatings or surrounds
JP2005502400A (en) * 2001-08-30 2005-01-27 フットスター コーポレイション Shock absorbing footwear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0624B1 (en) 1999-09-10 2003-01-28 Nikola Lakic Inflatable lining for footwear with protective and comfortable coatings or surrounds
JP2005502400A (en) * 2001-08-30 2005-01-27 フットスター コーポレイション Shock absorbing footwear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48109A1 (en) Contoured Fluid-Filled Chamber
CN109922684B (en) Flexible fluid-filled chamber with tension member
JP6592069B2 (en) Fluid-filled chamber for footwear with a central tension feature
CN113615931B (en) Flexible fluid-filled chamber with tensile member
JP6063046B2 (en) Chamber filled with fluid
US9565898B2 (en) Footwear including a support cage
CN104705906B (en) The manufacture method of contouring fluid filled chamber with tension member
CN106028862A (en) Sole assembly with textile sh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04520483A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fluid-filled chambers incorporating spacer textile materials
WO1999043229A1 (en) Thermoformable fabric shoe sole and upper
KR101779109B1 (en) Midsole for Shoes Containing Air Chamber in Outsole and Shoes Containing the Same
CA2865776C (en) Footwear including a support c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