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803B1 -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803B1
KR101778803B1 KR1020110015053A KR20110015053A KR101778803B1 KR 101778803 B1 KR101778803 B1 KR 101778803B1 KR 1020110015053 A KR1020110015053 A KR 1020110015053A KR 20110015053 A KR20110015053 A KR 20110015053A KR 101778803 B1 KR101778803 B1 KR 101778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parts
vinyl acetate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620A (ko
Inventor
김유민
남기준
김환기
주동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5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803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62Insulating-layers or insulating-films on metal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6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ac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other vinyl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2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hea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flam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세트산 비닐 에틸렌 공중합 수지 40 내지 70 중량%, 무수말레산으로 그래프트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 내지 30 중량% 및 개질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비할로겐계 난연제 40 내지 80 중량부, 활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절연층을 구비하는 절연 전선은 상온에서의 기계적 물성뿐만 아니라 고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의 기준치를 모두 만족하고 난연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Description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High Heat Resistant Insulation Composition For Cable}
본 발명은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절연 전선은 고내열성을 가져야 하며, 일반적으로는 UL 1581 규정에서 요구하는 vw-1 수직 고난연을 만족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할로겐계 난연제를 포함하여 절연 전선을 제조하였으나, 할로겐계 난연제는 연소시 유독성 기체를 방출하기 때문에 환경 보호를 위하여 이러한 할로겐계 난연제에 대한 사용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할로겐계 난연제를 대신하여 사용되는 비할로겐계 난연제는 친환경적이기는 하나, 할로겐계 난연제에 비해 난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과량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과량의 난연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절연 전선은 인장 강도, 신장율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현재까지 개발된 절연 전선(비할로겐계 난연제 사용)은, 상온에서의 인장강도가 약 1.05 kgf/mm2이고 상온에서의 신장율이 약 150%인 105℃급 내열 전선에 그친다.
전자기기, 특히 전기 모터가 장착된 전자기기의 경우에는 모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모터 주변에는 125℃급의 고내열 절연 전선(상온에서의 인장강도가 약 1.41 kgf/mm2, 상온에서의 신장율이 약 300%)이 사용되어야 하나,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한 고내열 절연 전선의 개발은 미미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여 고내열성 절연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세트산 비닐 에틸렌 공중합 수지 40 내지 70 중량%, 무수말레산으로 그래프트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 내지 30 중량% 및 개질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비할로겐계 난연제 40 내지 80 중량부, 활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절연층을 구비하는 절연 전선은 상온에서의 기계적 물성 뿐만 아니라 고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의 기준치를 모두 만족하고 난연성이 양호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세트산 비닐 에틸렌 공중합 수지 40 내지 70 중량%, 무수말레산으로 그래프트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 내지 30 중량% 및 개질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비할로겐계 난연제 40 내지 80 중량부, 활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아세트산 비닐 에틸렌 공중합 수지는 20 내지 35%의 아세트산 비닐을 포함한다. 중합시에 아세트산 비닐 함량이 20% 미만일 경우에는 상온 신장율이 저하되며, 35%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온 인장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아세트산 비닐 에틸렌 공중합 수지는 0.2 내지 4 g/10분의 용융 점도를 갖는다. 상기 용융 점도가 0.2 g/10분 미만일 경우에는 가공시에 높은 부하가 발생하여 가공성이 좋지 못하며, 4 g/1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제품의 상온 인장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아세트산 비닐 에틸렌 공중합 수지는 기본 수지의 40 내지 7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4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난연제의 필러 로딩(filler loading) 특성이 좋지 못하여 기본 수지와 난연제 간의 상용성이 저하되어 기계적 물성 및 난연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아세트산 비닐 에틸렌 공중합 수지 외의, 기본 수지를 구성하는 다른 수지들의 함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상온에서의 인장강도가 좋지 못하다.
상기 무수말레산이 그래프트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0.94 내지 0.97 g/cm2의 밀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도와 관련하여 0.94 g/cm2 미만일 경우에는 제품의 상온 인장 강도가 저하되며, 0.97 g/cm2을 초과할 경우에는 제품의 상온 신장율이 저하된다.
상기 무수말레산이 그래프트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기본수지의 10 내지 3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상온에서의 인장 강도가 좋지 못하며,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온에서의 신장율이 좋지 못하다.
상기 개질된 폴리페닐렌옥사이드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와 고무 수지(엘라스토머)의 혼합물을 의미하며, 이러한 개질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를 사용함으로써 난연성, 유연성 및 신장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개질된 폴리페닐렌옥사이드에 사용되는 고무 수지로서, 고내충격 폴리스티렌(high impact polystyrene, HIP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폴리프로필렌 함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질된 폴리페닐렌옥사이드는 기본수지의 20 내지 4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 범위에서, 기본수지와 난연제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난연성이 향상된다.
상기 비할로겐계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계 난연제로서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APP),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melamine polyphosphate, MPP), 멜라민 포스페이트(melamine phosphate, MP)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할로겐 난연제의 함량은 상기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8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난연 효과가 미미하며, 8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은 난연성이 양호한 아세트산 비닐 에틸렌 공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면서 난연성이 매우 우수한 개질된 폴리페닐렌옥사이드도 함유하고 있으므로, 종래 기술의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절연 전선에서 요구하는 난연성을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활제로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쓰이는 활제를 사용하면 무방하다. 예를 들면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스테아르산, 스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르산부틸, 왁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제의 함량은 상기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윤활 효과가 나지 않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혼련이 곤란하게 되는 등 전체적인 절연 조성물의 물성을 저해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산화 방지제로서 티오에스테르계 산화 방지제, 페놀계 산화 방지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상기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산화 방지 효과가 미미하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품에 블루밍(blooming)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선용 절연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전선을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는 아래 실시예에 기재된 실시 형태 외에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할 따름이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아래 실시예 범위로 한정하기 위한 의도라고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절연 조성물의 성분에 따른 성능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실시예와 비교예의 절연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에서, 수지1 내지 수지6 중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의 수지의 중량%의 총 합은 100 중량%이며, 이러한 수지1 내지 수지6 중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진 기본수지 100 중량부 대비 난연제, 활제 및 산화방지제의 중량부는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수지1
(중량%)
수지2
(중량%)
수지3
(중량%)
수지4
(중량%)
수지5
(중량%)
수지6
(중량%)
난연제 활제 산화
방지제
실시예1 55 - 15 - - 30 50

8.4


3
실시예2 30 25 15 - - 30 50
실시예3 60 - 10 - - 30 70
실시예4 50 - 15 - - 35 60
실시예5 70 - 10 - - 20 80
비교예1 75 - 5 - - 20 50


8.4



3
비교예2 75 - 10 - - 15 50
비교예3 35 - 35 - - 30 50
비교예4 35 - 30 - - 35 50
비교예5 55 - 15 - - 30 85
비교예6 55 - 15 - - 30 35
비교예7 55 - - 15 - 30 50
비교예8 55 - - - 15 30 50
[표 1에 사용된 성분의 설명]
* 수지1: 비닐아세트산 에틸렌 공중합 수지(비닐아세트산 함량: 33%, 용융점도: 0.2 g/10분)
* 수지2: 비닐아세트산 에틸렌 공중합 수지(비닐아세트산 함량: 25%, 용융점도: 2.0 g/10분)
* 수지3: 무수말레산이 그래트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 수지4: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 수지5: 무수말레산이 그래프트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
* 수지6: 개질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 난연제: 인계 난연제
* 활제: 왁스
* 산화방지제: 티오에스테르계 산화방지제와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혼합물
물성 측정 및 평가
상기 실시예(1~5) 및 비교예(1~8)에 따르는 절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절연체를 제조하였고, 상기 절연체를 구비하는 절연 전선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절연 전선은 상기의 표 1에 제시한 조성물을 3L 니더를 사용하여 180℃에서 30분간 훈련한 후, 전선 압출기를 통하여 24AWG의 도체를 이용하여 외경 1.61 mm의 절연 전선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절연 전선의 시편에 대하여 상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및 신장율), 고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잔율 및 신장율 잔율) 및 난연성을 시험한 결과를 아래 표 2에 정리하였다. 간략한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물성 평가는 상온, 158℃ 오븐에서의 내열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그리고 vw-1 난연테스트를 진행하였다.
㉠ 상온에서의 기계적 물성
시편의 상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은, UL spec에 의거하여 시험하였다. 인장강도는 1.41 kgf/mm2 이상, 신장율은 300% 이상이어야 한다.
㉡ 고온에서의 기계적 물성
시편의 고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은, UL spec에 의거하여 158℃ 컨벡션 오븐에서 168 시간동안 내열 시험을 하였다. 인장강도 잔율 및 신장 잔율은 각각 80% 이상이어야 한다.
㉢ 난연성 평가
난연성은 UL 1581-1080에 의거하여 vw-1 평가를 만족하여야 한다.
Figure 112011012236921-pat00001
표 2에 정리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시편은 상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신장율, 인장강도), 고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잔율, 신장잔율) 및 난연성에서 모두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비교예 1의 시편은 인장강도, 인장강도 잔율, 신장잔율 및 난연성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인장강도는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발생한 것은 비교예 1의 조성물이 75 중량%의 과량의 수지1(비닐아세트산 에틸렌 공중합 수지) 및 5 중량%의 소량의 수지3(무수말레산이 그래프트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였기 때문이다.
비교예 2의 시편은 상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신장율, 인장강도), 고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잔율, 신장잔율)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난연성 시험에서 불합격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발생한 것은 비교예 2의 조성물이 15 중량%의 소량의 수지4(개질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를 포함하였기 때문이다.
비교예 3의 시편은 인장강도, 인장강도 잔율 및 신장잔율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인장강도는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였고 난연성 시험에서 불합격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발생한 것은 비교예 3의 조성물이 이러한 결과가 발생한 것은 비교예 3의 조성물이 35 중량%의 소량의 수지1(비닐아세트산 에틸렌 공중합 수지) 및 35 중량%의 과량의 수지3(무수말레산이 그래프트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였기 때문이다.
비교예 4의 시편은 고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잔율, 신장잔율) 및 난연성에서 모두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상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신장율, 인장강도)에서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발생한 것은 비교예 4의 조성물이 35 중량%의 소량의 수지1(비닐아세트산 에틸렌 공중합 수지)을 포함하였기 때문이다.
비교예 5의 시편은 고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잔율, 신장잔율) 및 난연성에서 모두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상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신장율, 인장강도)에서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발생한 것은 비교예 5의 조성물이 85 중량부의 과량의 난연제를 포함하였기 때문이다.
비교예 6의 시편은 상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신장율, 인장강도), 고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잔율, 신장잔율)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난연성 시험에서 불합격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발생한 것은 비교예 6의 조성물이 35 중량부의 소량의 난연제를 포함하였기 때문이다.
비교예 7의 시편은 상온에서의 신장율, 고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잔율, 신장잔율)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내고 난연성 시험에서 합격하였으나, 상온에서의 인장강도에서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발생한 것은 비교예 7의 조성물이 본 발명의 무수말레산으로 그래프트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대신, 무수말레산으로 그래프트되지 않은 일반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기본수지에 포함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비교예 8의 시편 역시, 비교예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온에서의 신장율, 고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잔율, 신장잔율)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내고 난연성 시험에서 합격하였으나, 상온에서의 인장강도에서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발생한 것은 비교예 8의 조성물이 본 발명의 무수말레산으로 그래프트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대신, 무수말레산으로 그래프트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기본수지에 포함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난연성 절연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절연층 및 이를 구비하는 절연 전선은 상온에서의 기계적 물성 뿐만 아니라 고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의 기준치를 모두 만족하고 난연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아세트산 비닐 에틸렌 공중합 수지, 무수말레산으로 그래프트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및 개질된 폴리페닐렌옥사이드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기본수지, 난연제, 활제 및 산화방지제를 적절한 함량으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절연 조성물을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을 개시하였다. 본 실시예를 포함하는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님을 밝혀 둔다.

Claims (6)

  1. 아세트산 비닐 에틸렌 공중합 수지 40 내지 70 중량%, 무수말레산으로 그래프트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 내지 30 중량% 및 개질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비할로겐계 난연제 40 내지 80 중량부,
    활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수말레산으로 그래프트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밀도는 0.94 내지 0.97 g/cm2이고,
    상기 개질된 폴리페닐렌옥사이드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와 고내충격 폴리스티렌,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함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트산 비닐 에틸렌 공중합 수지는 20 내지 35%의 아세트산 비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트산 비닐 에틸렌 공중합 수지는 0.2 내지 4 g/10분의 용융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할로겐게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난연제는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PP),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MPP), 멜라민 포스페이트(MP)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전선.
KR1020110015053A 2011-02-21 2011-02-21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 KR101778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053A KR101778803B1 (ko) 2011-02-21 2011-02-21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053A KR101778803B1 (ko) 2011-02-21 2011-02-21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620A KR20120095620A (ko) 2012-08-29
KR101778803B1 true KR101778803B1 (ko) 2017-09-15

Family

ID=46886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053A KR101778803B1 (ko) 2011-02-21 2011-02-21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8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0397A (zh) * 2019-02-02 2019-05-28 上海国缆检测中心有限公司 一种电气化铁路用低烟无卤阻燃护套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5347A (ja) * 2008-03-07 2009-09-24 Wintech Polymer Ltd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被覆電線
WO2010033396A1 (en) * 2008-09-16 2010-03-25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Llc Crack-resistant, flame retardant, halogen-free, cable assembly and coating composition
WO2011011921A1 (en) 2009-07-31 2011-02-03 Dow Global Technologies Inc.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elastom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5347A (ja) * 2008-03-07 2009-09-24 Wintech Polymer Ltd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被覆電線
WO2010033396A1 (en) * 2008-09-16 2010-03-25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Llc Crack-resistant, flame retardant, halogen-free, cable assembly and coating composition
WO2011011921A1 (en) 2009-07-31 2011-02-03 Dow Global Technologies Inc.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elasto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620A (ko)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9942B2 (ja) 鉄道車両用絶縁電線及び鉄道車両用ケーブル
KR101601286B1 (ko) 고난연 전자 기기 전선용 고분자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US20100101822A1 (en) Stress/Thermal Cracking Resistant Cable Sheath Material
JP5549675B2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WO2011043259A1 (ja)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絶縁電線、フラットケーブル、成形品
JP2014101446A (ja) 非ハロゲン耐熱老化性難燃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電線およびケーブル
KR20140009373A (ko) 논할로젠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절연 전선 및 튜브
JP2012119087A (ja) 絶縁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20002221A1 (en) Flame retardant insulation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high temperature performance
KR101571104B1 (ko) 내열성·내방사선성 난연 절연 조성물과 이를 적용한 전선
JP2014225478A (ja) 非ハロゲン難燃樹脂組成物を用いた電線およびケーブル
KR101276480B1 (ko) 내열성 전선용 수지 조성물 및 내열성 전선
US10366807B2 (en) Resin composition for automotive cable material and cable using the same
JP2007169415A (ja) 難燃性、耐火性エチレン−プロピレン−ジエン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低圧耐火電線・ケーブル
JP2017050189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を用いた絶縁電線及びケーブル
JP2005200574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KR101696928B1 (ko) 가공성과 물성이 향상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폴리올레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KR101778803B1 (ko)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
KR101781643B1 (ko) 고난연성 절연재료 조성물
KR20090083138A (ko)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및 전선
KR101808828B1 (ko) 전선용 시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JP2016103414A (ja) 電線被覆材組成物、絶縁電線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KR101774448B1 (ko) 난연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철도차량용 신호 케이블의 시스 재료 조성물
CN111875873A (zh) 一种电器设备内部连接线缆用的绝缘护套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874538B1 (ko) 내 컷스루 특성을 갖는 난연성이 개선된 절연재 제조용조성물, 절연전선, 전선용 절연재 및 절연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