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840B1 -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840B1
KR101777840B1 KR1020150117947A KR20150117947A KR101777840B1 KR 101777840 B1 KR101777840 B1 KR 101777840B1 KR 1020150117947 A KR1020150117947 A KR 1020150117947A KR 20150117947 A KR20150117947 A KR 20150117947A KR 101777840 B1 KR101777840 B1 KR 101777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elastic
shield plate
upp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669A (ko
Inventor
성호륜
Original Assignee
성호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호륜 filed Critical 성호륜
Priority to KR1020150117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840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5Printed circuits including an angle between each other
    • H01R12/737Printed circuits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6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 H01R13/6587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for mounting on PCB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를 이루는 한 쌍의 소켓과 플러그를 2개의 기판에 각각 구비하여 2개의 기판을 간편하게 서로 연결하고, 그 연결되는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충격이나 2개의 기판에 각각 구비된 소켓과 플러그의 서로 다른 방향의 결합오차를 흡수하며, 서로 다른 방향의 충격 및 진동이 가해져도 접속이 불안정해지거나 커넥터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소켓 하우징에 실드플레이트를 간편하고 안정되게 결합하여 외부의 전자파 등으로부터 커넥터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하는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이는 하나의 커넥터는 각각의 기판에 납땜 고정되는 한 쌍의 소켓과 플러그로 구성하고, 상기 소켓과 플러그의 하우징에는 각각 다수의 단자를 구비하여 단자들의 접속에 의해 2개의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며, 상기 소켓의 하우징은 상측하우징과 하측하우징으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그 분리하여 구성된 상측하우징과 하측하우징은 접속부와 리드부 사이에 탄성부가 구비된 단자로 결합하여 탄성부에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여 구성된 상측하우징에는 정면과 배면에 복수의 고정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결합부가 형성된 정면과 배면의 하측에는 간격유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측하우징의 정면과 배면의 양측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한 후, 그 가이드홈에 실드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를 삽입하고, 상기 실드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는 탄성결합부를 형성하며, 상기 실드플레이트의 하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클립을 형성하여서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를 구성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Shield connector for board to board}
본 발명은 2개의 기판을 전기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외부의 전자파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실드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넥터를 이루는 한 쌍의 소켓과 플러그를 2개의 기판에 각각 구비하여 2개의 기판을 간편하게 서로 연결하고, 그 연결되는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충격이나 2개의 기판에 각각 구비된 소켓과 플러그의 서로 다른 방향의 결합오차를 흡수하며, 서로 다른 방향의 충격 및 진동이 가해져도 접속이 불안정해지거나 커넥터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소켓 하우징에 실드플레이트를 간편하고 안정되게 결합하여 외부의 전자파 등으로부터 커넥터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하는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기판이 사용되는 제품은 메인 기판을 구성하고, 그 메인기판에는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보조기판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제품의 기능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메인기판에 보조기판을 연결할 때는 커넥터를 이용하는 방법과 플렉시블와이어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에서 플렉시블와이어를 이용하는 방법은 제품의 프레임에 메인기판과 보조기판을 각각 고정하고, 그 고정된 메인기판과 보조기판에 커넥터가 구비된 플렉시블와이어를 결합하여 메인기판과 보조기판을 연결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법은 메인기판과 보조기판들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제품이 불필요하게 대형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플렉시블와이어를 사용하여 회로를 연결하는 구성은 제품의 본체에서 회전동작 또는 슬라이드 동작하는 부품에 회로를 연결할 필요가 있을 때에만 사용하는 방법으로 제한되고 있다.
한편 메인기판과 보조기판을 커넥터로 연결하는 방법은 이미 오래전부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었으며, 그 쉬운 예가 컴퓨터 본체의 마더보드에 메모리카드, 그래픽카드, 사운드카드 등을 장착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으며, 근래에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카오디오와 같은 제품을 정해진 위치로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메인 구성품의 메인기판에 보조 구성품의 보조기판이 전기 및 회로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때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메인기판과 보조기판을 커넥터로 연결하는 방법 중에서 메인기판과 보조기판에 각각 암커넥터인 소켓과 수커넥터인 플러그를 구비하여 소켓과 플러그들의 연결에 의해 메인기판과 보조기판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메인기판과 보조기판을 커넥터로 연결하는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기판에 납땜하여 고정되는 소켓(1)에 다른 기판에 납땜하여 고정된 플러그(4)를 결합시키면 소켓(1)의 단자(2)(3) 외측으로 플러그(4)의 단자(5)(6)가 삽입되면서 소켓(1)의 단자(2)(3)와 플러그(4)의 단자(5)(6)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켓(1)과 플러그(4)의 접속구성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제품에서는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자동차와 같이 운행하는 동안에는 충격과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제품에 사용할 경우 소켓(1)과 플러그(4)의 접속이 불량해지거나 심할 경우 소켓(1)과 플러그(4)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종래의 소켓(1)과 플러그(4)가 결합되면 소켓(1)에 구비된 단자(2)(3)들은 플러그(4)에 구비된 단자(5)(6)들에 각각 1대1로 접속될 때 소켓(1)의 단자(2)(3)들은 플러그(4)의 단자(5)(6) 한 쪽 면에만 접속되어 있는 것이므로 소켓(1)과 플러그(4)에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면 단자(2)(3)(5)(6)들의 접속은 불안정해질 뿐만 아니라, 충격이나 진동이 심하여 소켓(1)과 플러그(4)에 각기 다른 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면 단자(2)(3)(5)(6)들의 접속은 더욱 불안정해지면서 접속불량이 발생되거나 소켓(1)과 플러그(4)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커넥터에 전자파 차폐 구성이 없는 경우에는 외부의 전자파 간섭에 의해 커넥터의 소켓과 플러그가 전달해야 하는 신호에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정면과 배면에 실드플레이트(20)를 구비하되 하우징(10)의 정면과 배면에는 다수의 돌기(11)(12)를 형성하고, 실드플레이트(20)에는 상기 돌기(11)(12)에 대응하는 절개홀(21)(22)을 형성하여 상기 다수의 돌기(11)(12)와 절개홀(21)(22)의 결합에 의해 하우징(10)과 실드플레이트(20)가 결합되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은 하우징(10)과 실드플레이트(20)의 결합은 외력이 작용하면 하우징(10)으로부터 실드플레이트(20)가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드플레이트(20)를 접지하는 구성은 단자(30)(31)들 중의 선택된 몇 개의 단자(31)에 돌출편(32)을 형성하고, 그 돌출편(32)이 실드플레이트(20)의 절개홀(23)에 결합되도록 한 것이므로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하여 실드플레이트(20)를 접지하는 단자(31)를 별도로 구성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단자를 형성하는 별도를 금형 등이 필요하게 되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단자(30)(31)들 사이사이에 접지를 위한 돌출편(32)이 형성된 단자(31)를 구비해야 하므로 단자(30)(31) 배열과 조립을 위한 작업성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기판을 회로적으로 연결할 때 2개의 기판에 각각 암커넥터인 소켓과 수커넥터인 플러그를 구비하여 기판을 서로 연결하고, 소켓의 하우징은 상측하우징과 하측하우징으로 분리 구성하면서 단자의 탄성부에 의해 상측하우징과 하측하우징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되게 함으로써 소켓과 플러그를 결합할 때의 충격에 의한 흔들림과 2개의 기판에 각각 구비된 소켓과 플러그의 서로 다른 방향의 결합오차를 흡수함은 물론 소켓이 고정된 기판이나 플러그가 고정된 기판 중의 어느 한 기판을 통해 전달된 충격 또는 진동이 단자의 탄성부에서 완충되어 접속이 불안정해지거나 커넥터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측하우징 정면과 배면에 구비되는 실드플레이트와 하우징은 후크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고, 단자에는 실드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시킨 클립을 결합시킴으로서 별도 구조의 단자를 사용하지 않아도 안정되고 간편하게 실드플레이트를 연결 고정함과 동시에 커넥터를 전자파로부터 용이하게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한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커넥터는 각각의 기판에 납땜 고정되는 한 쌍의 소켓과 플러그로 구성하고, 상기 소켓과 플러그의 하우징에는 각각 다수의 단자를 구비하여 단자들의 접속에 의해 2개의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며, 상기 소켓의 하우징은 상측하우징과 하측하우징으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그 분리하여 구성된 상측하우징과 하측하우징은 접속부와 리드부 사이에 탄성부가 구비된 단자로 결합하여 탄성부에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여 구성된 상측하우징에는 정면과 배면의 양측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정면과 배면의 하측에는 간격유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홈에는 실드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를 삽입하고, 상기 실드플레이트의 하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클립을 형성하여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커넥터는 각각의 기판에 납땜 고정되는 한 쌍의 소켓과 플러그로 구성하고, 상기 소켓과 플러그의 하우징에는 각각 다수의 단자를 구비하여 단자들의 접속에 의해 2개의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며, 상기 소켓의 하우징은 상측하우징과 하측하우징으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그 분리하여 구성된 상측하우징과 하측하우징은 접속부와 리드부 사이에 탄성부가 구비된 단자로 결합하여 탄성부에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여 구성된 상측하우징에는 정면과 배면에 복수의 고정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결합부가 형성된 정면과 배면의 하측에는 간격유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는 탄성결합부를 형성한 실드플레이트의 하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클립을 형성하여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를 구성하여도 달성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커넥터는 각각의 기판에 납땜 고정되는 한 쌍의 소켓과 플러그로 구성하고, 상기 소켓과 플러그의 하우징에는 각각 다수의 단자를 구비하여 단자들의 접속에 의해 2개의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며, 상기 소켓의 하우징은 상측하우징과 하측하우징으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그 분리하여 구성된 상측하우징과 하측하우징은 접속부와 리드부 사이에 탄성부가 구비된 단자로 결합하여 탄성부에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여 구성된 상측하우징에는 정면과 배면에 복수의 고정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결합부가 형성된 정면과 배면의 하측에는 간격유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측하우징의 정면과 배면의 양측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한 후, 그 가이드홈에 실드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를 삽입하고, 상기 실드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는 탄성결합부를 형성하며, 상기 실드플레이트의 하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클립을 형성하여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를 구성하여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는 2개의 기판을 회로적으로 연결할 때 2개의 기판에 각각 소켓과 플러그를 구비하여 기판을 서로 연결하고, 소켓의 하우징은 상측하우징과 하측하우징으로 분리 구성하면서 단자의 탄성부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되게 함으로써 소켓과 플러그를 결합할 때의 충격에 의한 흔들림은 물론 소켓이 고정된 기판이나 플러그가 고정된 기판 중의 어느 한 기판을 통해 전달된 충격 또는 진동이 단자의 탄성부에서 완충되어 다른 쪽 기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상측하우징 정면과 배면에 구비되는 실드플레이트와 상측하우징은 탄성후크와 고정후크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실드플레이트와 상측하우징을 안정되고 간편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드플레이트의 하단에 복수로 형성한 클립을 단자의 탄성부에 결합시킴으로서 별도 구조의 단자를 사용하지 않아도 안정되게 실드플레이트를 접지시켜 전자파의 간섭으로부터 커넥터를 안전하게 차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기판 연결용 커넥터를 보인 일측면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실드플레이트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소켓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소켓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예의 소켓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예의 소켓을 보인 사시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 실드플레이트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사시도.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에 의한 좌우방향의 완충동작을 보인 정면도.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에 의한 전후방향의 완충동작을 보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소켓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소켓을 이용하여 기판을 수평으로 연결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소켓을 이용하여 기판을 수직으로 연결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 예시한 커넥터는 소켓(100)과 플러그(400)(500)를 한 쌍으로 구성하고,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100)의 하우징(110)(140)과 플러그(400)(500)의 하우징(410)(510) 내측으로 다수의 단자(200)(420)(520)를 구비하여 단자(200)(420)(520)들의 접속에 의해 2개의 기판(600)(700)(7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이때 플러그(400)(500)에 결합되어 수평 또는 수직의 기판(700)(700')과 연결되는 소켓(100)은 하우징(110)(140)을 상측하우징(110)과 하측하우징(140)으로 완전히 분리하여 구성하고, 그 상측하우징(110)과 하측하우징(140)은 단자(200)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즉, 소켓(100)의 상측하우징(110)은 플러그(400)(500)의 단자(420)(520)와 접속되는 단자(200)의 접속부(210)와 겹합하고, 소켓(100)의 하측하우징(140)은 기판(600)에 납땜 고정되는 리드부(220)에 결합되어 상측하우징(110)과 하측하우징(140)은 단자(200)의 탄성부(230)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본 구성에 더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하측하우징(140)과 분리하여 구성된 상측하우징(110)에는 정면과 배면의 양측에 실드플레이트(300)를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111)이 형성된 정면과 배면의 하측에는 단자(200)의 탄성부(230)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130)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홈(111)에는 실드플레이트(300)의 양측 단부(320)를 삽입하고, 상기 실드플레이트(300)의 하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클립(340)을 형성하여 단자(200)의 탄성부(230)에 결합시킴으로써 제1 실시예의 실드커넥터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본 구성에 더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하측하우징(140)과 분리하여 구성된 상측하우징(110)에는 정면과 배면에 실드플레이트(300)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결합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결합부(120)가 형성된 정면과 배면의 하측에는 단자(200)의 탄성부(230)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130)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고정결합부(120)에 결합되는 탄성결합부(330)를 형성한 실드플레이트(300)의 하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클립(340)을 형성하여 단자(200)의 탄성부(230)에 결합시킴으로써 제2 실시예의 실드커넥터를 구성한다.
특히 상기와 같은 기본 구성에 더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 제3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가이드홈(111)과 제2 실시예의 고정결합부(120) 및 탄성결합부(330)를 모두 적용한 것으로, 상기 하측하우징(140)과 분리하여 구성된 상측하우징(110)에는 정면과 배면에 실드플레이트(300)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결합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결합부(120)가 형성된 정면과 배면의 하측에는 단자(200)의 탄성부(230)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130)를 형성하며, 상기 상측하우징(110)의 정면과 배면의 양측에는 실드플레이트(300)를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홈(111)을 형성한 후, 그 가이드홈(111)에 실드플레이트(300)의 양측 단부(320)를 삽입하고, 상기 실드플레이트(300)에는 상기 고정결합부(120)에 결합되는 탄성결합부(330)를 형성하며, 상기 실드플레이트(300)의 하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클립(340)을 형성하여 단자(200)의 탄성부(230)에 결합시킴으로써 제3 실시예의 실드커넥터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제2 실시예의 구성 및 제3 실시예의 구성에 더해지는 각 부분별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상측하우징(110)의 정면과 배면에 복수로 형성되는 고정결합부(120)는 경사면(122)과 단턱(123)이 형성된 고정후크(121)와 실드플레이트(300)의 이탈 방지를 위한 블로커로 구성하되 상기 고정결합부(120)의 고정후크(121)는 2개의 고정후크(121)를 서로 대향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결합부(120)의 블로커는 고정후크(121) 앞에 형성되는 수직블로커(124)와 그 아래로 연결 형성되는 수평블로커(125)로 구성하며, 수직블로커(124)는 고정후크(121)에 결합된 탄성후크(331)의 이탈을 방지하고, 수평블로커(125)에는 안착홈(126)을 형성하여 실드플레이트(300)의 하단부(321)가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상측하우징(110)의 정면과 배면의 하측에 형성되는 간격유지부(130)는 하측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격편(131)과 하측을 향하여 개방된 절개홈(133)을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형성하여 단자(200)의 탄성부(230) 상단이 격편(131) 사이의 절개홈(133)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간격유지부(130)의 격편(131)은 각각의 격편(131) 양측 선단에 경사면(132)을 형성하여 단자(200)의 탄성부(230) 상단이 격편(131) 사이의 절개홈(133)으로 안전하게 삽입되게 하고, 격편(131)의 양측면과 탄성부(230) 사이에는 탄성부(230) 상단의 보호를 위한 갭(gap)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실드플레이트(300)의 하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클립(340)은 제일 외측의 단자(200)에 결합되도록 하고, 그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단자(200)에 결합되도록 클립(340)을 형성하여 클립(340)이 결합된 단자(200)들이 접지단자가 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실드플레이트(300)의 하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클립(340)은 수평블로커(125) 사이의 삽입홈(112)을 통해 삽입되어 상측하우징(110)과 하측하우징(140)을 연결하는 단자(200)의 탄성부(230) 상단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각각의 기판(600)(700)(700')에 납땜하여 고정한 소켓(100)과 플러그(400)(500)를 결합시키면 기판(600)(700)(700')을 직각 또는 수평인 상태로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켓(100)과 플러그(400)(500)를 결합시킬 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흔들림은 물론 소켓(100)과 플러그(400)(500)의 어느 한쪽에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분리 구성한 상측하우징(110)과 하측하우징(140)의 단자(200)로 흡수하여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의 소켓(100)은 하우징을 상측하우징(110)과 하측하우징(140)으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분리 구성된 상측하우징(110)에는 단자(200)의 접속부(210)를 압입고정하고, 하측하우징(140)에는 단자(200)의 리드부(220)를 압입고정하여 단자(200)의 접속부(210)와 리드부(220)를 일체로 연결구성한 탄성부(230)에 의해 상기 상측하우징(110)과 하측하우징(140)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따라서 소켓(100)의 상측하우징(110)과 하측하우징(140) 사이에는 단자(200)의 탄성부(230)에 의해 충격이나 진동이 흡수되는 완충가동부가 구성되는 것이므로 소켓(100)과 플러그(400)(500)를 결합시킬 때는 사용 중에 상측하우징(110)과 하측하우징(140)의 어느 한쪽에서 충격이나 진동이 전해져도 완충가동부인 단자(200)의 탄성부(230)에서 전후, 좌우, 상하방향의 모든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여 타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하여 소켓(100)과 플러그(400)(500)는 단자(200)(420)(520)의 접촉을 매우 안정시켜 접속불량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소켓(100)은 상측하우징(110)의 정면과 배면에 실드플레이트(300)를 구비하되 그 실드플레이트(300)는 양측의 단부(320)가 상측하우징(110) 정면과 배면 양측으로 형성시킨 가이드홈(111)을 따라 삽입됨과 동시에 고정결합부(120)와 탄성결합부(330)가 결합수평블로커(125)의 안착부(126)에 실드플레이트(300)의 하단부(321)가 안착되는 것이므로 상측하우징(110)과 실드플레이트(300)가 안정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즉, 상측하우징(110)의 가이드홈(111)에 실드플레이트(300)의 양측 단부(320)가 안내되어 삽입되면 탄성결합부(330)의 탄성후크(331)는 고정결합부(120)의 고정후크(121)를 지나면서 경사면(122)(332)끼리 서로 접촉되면서 지나게 되어 탄성후크(331)가 벌어졌다가 복귀하면서 탄성후크(331)의 단턱(333)이 고정후크(120)의 단턱(123)에 걸리게 되므로 상측하우징(110)과 실드플레이트(300)는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후크(120)는 상측하우징(110)과 수직블로커(124) 사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므로 고정후크(120)에 결합된 탄성후크(331)는 단턱(123)(333)끼리의 결합되고, 그 고정후크(120)와 탄성후크(331)는 각각 2개를 서로 대향되게 형성시킨 상태에서 결합되어 결합 반대방향으로의 분리가 방지될 뿐만 아니라, 탄성후크(331)가 정면 또는 배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은 수직블로커(124)에 의해 방지되므로 상측하우징(110)과 실드플레이트(300)는 보다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상측하우징(110)과 실드플레이트(300)의 결합은 제1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홈(111)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고, 제2 실시예와 같이 고정결합부(120)와 탄성결합부(330)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지만, 제3 실시예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가이드홈(111)과 제2 실시예의 고정결합부(120) 및 탄성결합부(330)를 모두 사용하여 상측하우징(110)과 실드플레이트(300)를 결합하면 보다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측하우징(110)과 실드플레이트(300)가 결합될 때 실드플레이트(300)의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클립(340)은 단자(200)의 탄성부(230)에 삽입되므로 클립(340)과 단자(200)를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립(340)은 실드플레이트(300)가 단자(200)를 통하여 접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소켓(100)은 정면과 배면의 실드플레이트(300)로 인하여 차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클립(340)은 실드플레이트(300)의 하단에 하측이 탄성 개방되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실드플레이트(300)를 가이드홈(111)을 따라 수평블로커(125)의 안착홈(126)까지 삽입하여 상측하우징(110)에 결합할 때 클립(340)은 자연스럽게 단자(200)에 결합된다.
또한 클립(340)은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클립(340)과 단자(200)의 결합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으며, 단자(200)의 리드부(220)가 기판(600)에 납땜 고정되면 실드플레이트(300)는 자연스럽게 접지가 되는 것이므로 별도 형상의 접지용 단자를 구성하지 않아도 소켓(100)을 전자파의 간섭으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립(340)과 결합되는 단자(200)를 가장 외측에 구비되는 2개의 단자(200)와 구비되는 전체 단자(200) 수에 따라 단자(200)들의 중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클립(340)과 결합되는 단자(200)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실드플레이트(300)는 물론 클립(340)에 결합된 단자(200)가 실드 역할을 하게 되어 전기적 연결에 사용된 단자(200)들을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전자파의 간섭으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해 실드플레이트(300)의 클립(340)과 단자(200)의 탄성부(230)가 결합되어 있어도 단자(200)의 탄성부(230)가 수행해야 하는 X축방향인 좌우측 진동의 완충작용과 Y축방향인 전후측 진동의 완충작용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Z축방향인 상하측 진동의 완충작용은 소켓(100)의 단자(200)와 플러그(400)(500)의 단자(420)(520) 사이에서 이루어지지만, 상측하우징(110)의 좌우측으로 X축방향의 진동이 전달되면 상측하우징(110)의 움직임은 상측하우징(110)의 정면과 배면에 고정된 실드플레이트(300)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실드플레이트(300)의 클립(340)과 그 클립(340)에 결합된 단자(200)에 그대로 전달되어 진동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때 클립(340)에 결합되지 않고 전기적 연결에 사용된 단자(200)들은 탄성부(230)의 상단이 상측하우징(110)에 형성시킨 간격유지부(13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전기적 연결에 사용된 단자(200)들의 탄성부(230)도 상측하우징(110)과 함께 움직이면서 완충작용을 하여 좌우측 방향의 충격과 진동으로 인한 움직임을 흡수한다.
즉 상기 간격유지부(130)는 격편(131)과 절개홈(133)을 단자(200)의 숫자만큼 반복하여 형성하고, 단자(200)의 탄성부(230) 상단은 격편(131)의 경사면(132)을 따라 절개홈(133)에 삽입되도록 한 것이므로 상측하우징(110)의 좌우측 움직임은 상측하우징(110)과 일체인 격편(131)을 통해 탄성부(230) 상단을 미는 동작으로 이어지므로 클립(340)에 결합된 단자(200)는 물론 전기적 연결에 사용된 단자(200)들 모두를 함께 동작시키며 좌우측 방향의 완충작용을 할 수 있다.
한편, 상측하우징(110)의 전후측 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은 클립(340)이 탄성부(340)의 상단에서 미끄러져 이동하면서 탄성부(230)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음으로써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전후측 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상측하우징(110)이 전후측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측하우징(110)에 고정된 실드플레이트(300)와 클립(340)도 상측하우징(110)과 함께 움직이게 된다.
그러나 상측하우징(110)과 하측하우징(140)을 연결하는 단자(200)의 리드부(220)는 기판(600)에 고정된 하측하우징(14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단자(200)의 리드부(220)는 물론 탄성부(230)도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므로 탄성부(230)는 감기듯 접히면서 탄성 압축되는 동작은 하고, 그런 탄성부(230)에 결합된 클립(340)은 탄성부(340)에서 미끄러지면서 이동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측하우징(110)의 움직임을 완충할 수 있는 한계거리범위 내에서는 클립(340)이 단자(200)의 탄성부(2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 안정된 전후방향의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좌우방향의 복합된 충격이 전해졌을 때는 상기 좌우방향의 완충동작과 상기 전후방향의 완충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효율적인 충격흡수를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X축방향인 좌우측 움직임의 완충작용과 상기 Y축방향인 전후측 움직임의 완충작용은 소켓(100)과 플러그(400)(500)의 결합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개의 기판(600)(700)(700')에 허용오차범위 내로 각각 고정된 소켓(100)과 플러그(400)(500)의 서로 다른 방향의 결합오차를 흡수하는 동작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다.
100 : 소켓 110 : 상측하우징
111 : 가이드홈 120 : 고정결합부
121 : 고정후크 122, 132, 332 : 경사면
123, 333 : 단턱 124 : 수직블로커
125 : 수평블로커 126 : 안착홈
130 : 간격유지부 131 : 격편
133 : 절개홈 140 : 하측하우징
200, 420, 520 : 단자 210 : 접속부
220 : 리드부 230 : 탄성부
300 : 실드플레이트 310 : 절곡편
320 : 단부 321 : 하단
330 : 탄성결합부 331 : 탄성후크
340 : 클립 400, 500 : 플러그

Claims (11)

  1. 삭제
  2. 하나의 커넥터는 각각의 기판에 납땜 고정되는 한 쌍의 소켓과 플러그로 구성하고, 상기 소켓과 플러그의 하우징에는 각각 다수의 단자를 구비하여 단자들의 접속에 의해 2개의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며, 상기 소켓의 하우징은 상측하우징과 하측하우징으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그 분리하여 구성된 상측하우징과 하측하우징은 접속부와 리드부 사이에 탄성부가 구비된 단자로 결합하여 탄성부에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여 구성된 상측하우징에는 정면과 배면에 복수의 고정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결합부가 형성된 정면과 배면의 하측에는 간격유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는 탄성결합부를 형성한 실드플레이트의 하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클립을 형성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
  3. 하나의 커넥터는 각각의 기판에 납땜 고정되는 한 쌍의 소켓과 플러그로 구성하고, 상기 소켓과 플러그의 하우징에는 각각 다수의 단자를 구비하여 단자들의 접속에 의해 2개의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며, 상기 소켓의 하우징은 상측하우징과 하측하우징으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그 분리하여 구성된 상측하우징과 하측하우징은 접속부와 리드부 사이에 탄성부가 구비된 단자로 결합하여 탄성부에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여 구성된 상측하우징에는 정면과 배면에 복수의 고정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결합부가 형성된 정면과 배면의 하측에는 간격유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측하우징의 정면과 배면의 양측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한 후, 그 가이드홈에 실드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를 삽입하고, 상기 실드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는 탄성결합부를 형성하며, 상기 실드플레이트의 하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클립을 형성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
  4. 청구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하우징의 정면과 배면에 형성된 고정결합부는 경사면과 단턱이 형성된 고정후크와 이탈 방지를 위한 블로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부의 고정후크는 2개의 고정후크를 서로 대향되게 형성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
  6.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부의 블로커는 고정후크 앞에 형성되는 수직블로커와 그 아래로 연결 형성되는 수평블로커로 구성하며, 수평블로커에는 안착홈을 형성하여 실드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
  7. 청구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하우징의 정면과 배면의 하측에 형성되는 간격유지부는 하측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격편과 하측을 향하여 개방된 절개홈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단자의 탄성부 상단이 격편 사이의 절개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
  8.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의 격편은 각각의 격편 양측 선단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단자의 탄성부 상단이 격편 사이의 절개홈으로 안전하게 삽입되게 하고, 격편의 양측면과 탄성부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
  9. 청구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클립은 제일 외측 단자에 결합되도록 하고, 그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클립을 형성하여 클립이 결합된 단자들이 접지단자가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
  10. 청구항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클립은 상측하우징과 하측하우징을 연결하는 단자의 탄성부 상단에 결합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
  11. 청구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복수의 탄성결합부는 경사면과 단턱이 형성된 탄성후크로 구성하고, 그 탄성후크는 2개의 탄성후크를 서로 대향되게 형성하여 고정결합부의 고정후크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
KR1020150117947A 2015-08-21 2015-08-21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 KR101777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947A KR101777840B1 (ko) 2015-08-21 2015-08-21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947A KR101777840B1 (ko) 2015-08-21 2015-08-21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669A KR20170022669A (ko) 2017-03-02
KR101777840B1 true KR101777840B1 (ko) 2017-09-13

Family

ID=5842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947A KR101777840B1 (ko) 2015-08-21 2015-08-21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2234B (zh) * 2021-06-29 2022-04-01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可改善端子共面度的高速io连接器及连接器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8559A (ja) * 2006-10-25 2008-05-08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KR101185545B1 (ko) * 2011-04-07 2012-09-24 성경정밀(주) 기판 연결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8559A (ja) * 2006-10-25 2008-05-08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KR101185545B1 (ko) * 2011-04-07 2012-09-24 성경정밀(주) 기판 연결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669A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1626B2 (en) Mating connector
TWI470879B (zh) 卡邊緣連接器
JP4651521B2 (ja) コネクタ用シールドケース
US989346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shielding shell
JP2006522485A (ja) 複数のモジュール収容ベイを備えたシールドケージ
US10008796B1 (en) Connector structure
TW201521289A (zh) 連接器
TW200843215A (en) Connector capable of absorbing an error in mounting position
US20090305570A1 (en) High density rectangular interconnect
JP5315912B2 (ja) 多連装電気コネクタ
JP2001085086A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08192474A (ja) 外導体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KR101777840B1 (ko)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
KR102131128B1 (ko) 플로팅 리셉터클 커넥터
KR101001889B1 (ko)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JP7353123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CN102570211A (zh) 用于跨装式连接器的安装特征
KR101185545B1 (ko) 기판 연결용 커넥터
KR102516102B1 (ko)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CN112351629B (zh) 电子设备
JP7312554B2 (ja) 可動コネクタ
JP7051759B2 (ja) 電子ユニット
JP2021064470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KR101001890B1 (ko) 연결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TWM493789U (zh) 對接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