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812B1 -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 Google Patents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812B1
KR101776812B1 KR1020150101039A KR20150101039A KR101776812B1 KR 101776812 B1 KR101776812 B1 KR 101776812B1 KR 1020150101039 A KR1020150101039 A KR 1020150101039A KR 20150101039 A KR20150101039 A KR 20150101039A KR 101776812 B1 KR101776812 B1 KR 101776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ropeller
propeller units
units
rotation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9272A (ko
Inventor
손흥선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01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812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32Rotors
    • B64C2201/024
    • B64C2700/628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에 관한 것으로, 본체;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되며,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를 수신한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본체가 비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생성하는 프로펠러 유닛들;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과 연결되어 있어 상호 마주하는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간격이 기 설정된 최대 이격간격 또는 기 설정된 최소 이격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을 동시에 왕복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Small flying object capable of air-shooting}
본 발명은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조종되어 비행하면서 촬영할 수 있으며, 공중에서 정지하여 촬영 시 흔들림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사용 및 각종 행사에서의 중계를 위해 항공 촬영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항공 촬영을 위해 비행선이나 유인 또는 무인 헬리콥터를 이용 하였는데, 유인 헬리콥터의 경우 사람이 직접 헬리콥터를 운전해야 하므로 과도한 비용이 발생하고 위험성이 존재할 뿐 아니라, 비행공역에 따라 비행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최근에는 무인 헬리콥터와 유사하나, 크기를 현저하게 줄여 일반인도 개인적으로 항공 촬영을 할 수 있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드론)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는 비행을 하면서 동적인 연속영상을 촬영할 때에는 문제점이 없으나,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가 공중에 멈춰서 정지영상을 촬영할 때 바람과 같은 외적인 요인으로 인해 흔들려서 선명한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가 공중에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떠 있을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0116호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조종되어 비행하면서 촬영할 수 있으며, 공중에서 정지하여 촬영 시 흔들림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되며,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를 수신한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본체가 비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생성하는 프로펠러 유닛들;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과 연결되어 있어 상호 마주하는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간격이 기 설정된 최대 이격간격 또는 기 설정된 최소 이격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을 동시에 왕복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를 수신한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본체가 부양하여 비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생성하며,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1 프로펠러 유닛들;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를 수신한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본체가 부양하여 비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생성하며,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왕복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로펠러 유닛들;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들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들을 동시에 왕복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간격이 기 설정된 최대 이격간격 또는 기 설정된 최소 이격간격을 유지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되며,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를 수신한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본체가 비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생성하는 프로펠러 유닛들;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설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여, 상기 본체의 자세를 제어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의 슬라이딩 이동 거리를 동일하게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되며,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를 수신한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본체가 비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생성하는 프로펠러 유닛들;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와 상기 본체 사이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본체의 자세를 제어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과 상기 본체 사이의 상대 위치를 동일하게 하도록 제어하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프로펠러 유닛들이 왕복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어 비행 중에는 상호 마주하는 프로펠러 유닛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거리를 기 설정된 최소 이격거리로 유지하여 공기저항을 줄여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둘째,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가 비행 중 공중에 정지하여 정지화상을 촬영할 때에는, 프로펠러 유닛들은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호 마주하는 프로펠러 유닛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거리를 기 설정된 최대 이격거리로 유지하여 고기저항을 키워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공중에 정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셋째,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의 위치 조정을 통하여, 상기 소형 비행 물체의 자세 제어가 가능하므로, 모두 방향으로 또는 특정 방향으로 속도를 빠르게 할 수도 있고, 공중에 안정적인 정지 자세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자세 제어는 상기 본체와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 사이의 상대 위치(상대 좌표)를 변화시켜서 수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의 구조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의 구동유닛, 연결 암들 및 프로펠러 유닛들의 구조가 상세히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의 다른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의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를 살펴보면, 상기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100)는 본체(110), 프로펠러 유닛(130) 및 구동유닛(15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 및 상기 구동유닛(150)이 설치되는 것으로,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은 상기 본체(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구비되므로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이 구비될 수 있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복수 개의 프로펠러 결합부(111)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본체(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4개의 상기 프로펠러 결합부(111)가 형성된다. 후술되겠지만,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들은 수평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 이동되는데, 상기 프로펠러 결합부(11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프로펠러 결합부(111)에 안내되어 왕복 슬라이드 이동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상측에 개구부(미표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미표기)를 차폐하는 본체커버(11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상기 개구부(미표기)가 형성됨으로써,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구동유닛(150)의 유지보수가 편리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상기 구동유닛(150)이 설치되면, 상기 본체커버(115)가 상기 개구부(미표기)를 차폐하도록 상기 본체(110)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구동유닛(150)의 구성들 중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150)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본체커버(115)를 상기 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구동유닛(150)의 유지보수를 손쉽게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은 상기 본체(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되며,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를 수신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작동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본체(110)가 부양하여 비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에는 4개의 상기 프로펠러 결합부(111)가 형성되므로,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들도 4개 구비된다.
각각의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은, 연결 암(131), 구동모터(133) 및 프로펠러(135)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암(131)은 상기 구동모터(133) 및 상기 프로펠러(135)를 상기 본체(110)와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1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본체(110)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상기 프로펠러 결합부(111)에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연결 암(131)이 상기 프로펠러 결합부(111)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암(131)은 예시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 암(131)의 상측에는 상기 연결 암(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 암 가이드(131a)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프로펠러 결합부(111)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 암(131)이 상기 프로펠러 결합부(111)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연결 암 가이드(131a)와 끼워져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미도시)에 끼워져 결합된 상기 연결 암 가이드(131a)가 상기 가이드 돌기(미도시)에 안내되어 상기 연결 암(131)이 상기 프로펠러 결합부(111)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프로펠러 결합부(111)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왕복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1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암(131)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펠러(135)는 상기 구동모터(133)의 축에 결합된다. 상기 프로펠러(135)가 상기 구동모터(133)에서 제공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110)가 부양하여 비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생성하는 것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구동모터(133)은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구동모터(133)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펠러(135)가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시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를 이용하여 작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미도시)에는 수신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와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에서 송출한 작동신호를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상기 수신부(미도시)가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와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통신방법은 기존의 공지된 다양한 실시 형태의 공지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150)은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들을 왕복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모든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들을 동시에 왕복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쌍을 이루는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들을 왕복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들 중 하나의 쌍 또는 복수 개의 쌍과 상기 본체(110)에 대하여 설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들 중 하나의 쌍 또는 복수 개의 쌍과 상기 본체(110) 사이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본체(110)의 자세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유닛(1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플레이트(153) 및 링크 바(155)들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153)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되 모터(151)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모터(151)가 제공하는 구동력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링크 바(155)는 일단이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153)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 암(131)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링크 바(155)들이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들의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되므로, 각각의 상기 링크 바(155)가 각각의 상기 연결 암(131)을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153)와 연결시킨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유닛(130)들은 동시에 왕복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링크 바(155)는 상기 모터(151)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153)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링크 바(153)에 연결된 상기 연결 암(131)을 왕복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즉,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153)가 상기 모터(151)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153)와 힌지 결합된 상기 링크 바(155)의 일측은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153)를 따라 회전하고, 상기 링크 바(155)의 타측은 후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 바(155)의 타측에 힌지 결합으로 연결된 상기 연결 암(131)은 상기 프로펠러 결합부(111)의 내부로 인입된다.
반면,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153)가 상기 모터(151)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153)와 힌지 결합된 상기 링크 바(155)의 일측이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153)를 따라 회전하고, 상기 링크 바(155)의 타측은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 바(155)의 타측에 힌지 결합으로 연결된 상기 연결 암(131)은 상기 프로펠러 결합부(111)로부터 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이 상기 링크 바(155)에 의해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153)에 모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들은 동시에 왕복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렇듯, 상기 연결 암(131)이 상기 구동유닛(150)에 의해 왕복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프로펠러 결합부(111)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프로펠러 결합부(111)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것이며, 상호 마주하여 쌍을 이루는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거리가 기 설정된 최대 이격거리 또는 기 설정된 최소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100)는, 상기 프로펠러 유닛에 의해 상기 본체(110)가 부양하여 비행할 때에는 상기 구동유닛(150)에 의해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들을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호 마주하는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간격을 상기 기 설정된 최소 이격간격으로 유지한다. 즉, 상기 구동유닛(150)에 의해 상기 연결 암(131)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프로펠러 결합부(111)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호 마주하는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간격이 상기 기 설정된 최소 이격간격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100)는 공기저항이 줄어들어 비행이 보다 부드럽고 자유로워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반면, 상기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100)가 비행 중 공중에서 정지할 때에는, 상기 구동유닛(150)에 의해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들을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호 마주하는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간격을 상기 기 설정된 최대 이격간격으로 유지한다.
즉, 상기 구동유닛(150)에 의해 상기 연결 암(131)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프로펠러 결합부(111)로부터 인출됨으로써 상호 마주하는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간격이 상기 기 설정된 최대 이격간격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100)의 비행 시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이 많아져 공기저항이 커지므로 상기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100)가 비행 중 공중에서 정지하여 정지화상을 촬영하더라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100)는 지지수단(1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수단(120)은 상기 본체(110)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100)가 지상에 착륙할 때, 지면과 접촉하며 상기 본체(110)가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본체(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수단(120)은 특정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본체(110)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100`)가 도시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100`)는 본체(110), 제1 프로펠러 유닛(140)들, 제2 프로펠러 유닛(140`)들 및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의 상기 본체(11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로펠러 유닛(140)들 및 제2 프로펠러 유닛(140`)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로펠러 유닛(140)들 및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140`)들은 모두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를 수신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본체(110)가 부양하고 비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생성한다.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프로펠러 유닛(140)들 및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140`)들은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상기 프로펠러 결합부(111)에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다만, 상기 제1 프로펠러 유닛(140)들은 상기 본체(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되, 왕복 슬라이드 이동되지 않게 상기 본체(110)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140`)들은 상기 본체(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왕복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상기 제1 프로펠러 유닛(140)들 및 2개의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140`)들이 구비되고, 각각 상기 제1 프로펠러 유닛(140)들 및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140`)들은 상호 마주하여 쌍을 이룬다.
한편, 상기 본체(110)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상기 제1 프로펠러 유닛(140)들은 상호 마주하는 상기 제1 프로펠러 유닛(140)들의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거리가 기 설정된 최대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140`)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을 따라 왕복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호 마주하는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140`)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거리가 기 설정된 최소 이격거리 또는 기 설정된 최대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왕복 슬라이드 이동된다. 즉, 상기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100)가 비행할 때에는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140`)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거리를 상기 기 설정된 최소 이격거리를 유지하고, 상기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110)가 비행 중 공중에서 정지할 때에는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140`)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거리를 상기 기 설정된 최대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상기 제1 프로펠러 유닛(140)은 일부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1 연결 암(141), 상기 제1 연결 암(141)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는 제1 구동모터(143) 및 상기 제1 구동모터(143)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구동모터(143)가 제공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프로펠러(14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 암(141)은 상호 마주하는 상기 제1 프로펠러 유닛(140)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기 설정된 최대 이격거리로 유지될 수 있을 정도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110)에 직접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연결 암(141)에 고정 결합되는 상기 연결 링크 바(142)에 의해 상기 제1 연결 암(141)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도 있다. 상기 연령 링크 바(142)에 의해 상기 제1 연결 암(141)이 상기 본체(110)와 연결됨으로써, 상호 마주하는 상기 제1 프로펠러 유닛(140)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기 설정된 최대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 구동모터(143)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연결 암(141)의 선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구동모터(143)의 축에 상기 제1 프로펠러(145)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구동모터(143)가 제공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 프로펠러(145)가 회전하여 상기 항공 찰영용 소형 비행물체(100`)가 부양하고 비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140`)은 제2 연결 암(141`), 제2 구동모터(143) 및 제2 프로펠러(14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140`)이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구조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이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140`)들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기 구동유닛(150)에 대해서도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을 왕복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상기 구동유닛(15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100`)는, 상기 제1 프로펠러 유닛(140)들과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140`)들 중 상기 제1 프로펠러 유닛(140)들이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기 설정된 최대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나,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140`)들은 왕복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비행할 때에는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140`)들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140`)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거리를 상기 기 설정된 최소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100`)는 상기 제1 프로펠러 유닛(140)들에 의해 기본적인 공기저항성을 갖기 때문에 상기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100`)가 비행 중 공중에 정지하여 정지 화상을 촬영할 때,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140`)들을 슬라이드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흔들림없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프로펠러 유닛(140)들 만으로도 상기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100`)의 균형을 유지하기 어려울 때에는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140`)들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보다 더 안정적으로 상기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100`)의 균형을 유지하여 흔들림 없는 보다 선명한 정지 화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되며,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를 수신한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본체(110)가 비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생성하는 프로펠러 유닛(130)들 및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되,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를 상기 본체(110)에 대하여 설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여, 상기 본체(110)의 자세를 제어하는 구동유닛(1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유닛(150)은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들의 슬라이딩 이동 거리를 동일하게 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되며,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를 수신한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본체(110)가 비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생성하는 프로펠러 유닛(130)들 및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되,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와 상기 본체(110) 사이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본체(110)의 자세를 제어하는 구동유닛(1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유닛(150)은 상기 프로펠러 유닛(130)들과 상기 본체(110) 사이의 상대 위치를 동일하게 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0: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110: 본체 111: 프로펠러 결합부
115: 본체 커버
130: 프로펠러 유닛 131: 연결 암
133: 구동모터 135: 프로펠러
150: 구동유닛 151: 모터
153: 디스크 플레이트 155: 링크 바
140: 제1 프로펠러 유닛 141: 제1 연결 암
142: 연결 링크 바 143: 제1 구동모터
145: 제1 프로펠러 140`: 제2 프로펠러 유닛
141`: 제2 연결 암 143`: 제2 구동모터
145`: 제2 프로펠러

Claims (19)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본체에 삽입되는 연결 암과, 상기 연결 암의 선단에 결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가 제공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되며,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본체가 비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생성하는 프로펠러 유닛들;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프로펠러 유닛의 상기 연결 암과 연결되어 있어 상호 마주하는 상기 프로펠러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간격이 기 설정된 최대 이격간격 또는 기 설정된 최소 이격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연결 암들을 동시에 왕복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비행할 때에는,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호 마주하는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간격이 상기 기 설정된 최소 이격간격으로 유지되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비행 중 공중에서 정지할 때에는,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호 마주하는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간격이 상기 기 설정된 최대 이격간격으로 유지되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되 모터와 연결되어 있어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디스크 플레이트; 및
    일단은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와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연결 암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의 개수에 대응되어 복수 개 구비되는 링크 바들을 포함하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가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연결 암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기 설정된 최소 이격거리가 되며,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연결 암이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도록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기 설정된 최대 이격거리가 되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7. 본체;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를 수신한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본체가 부양하여 비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생성하며,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1 프로펠러 유닛들;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를 수신한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본체가 부양하여 비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생성하며,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왕복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로펠러 유닛들;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들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들을 동시에 왕복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간격이 기 설정된 최대 이격간격 또는 기 설정된 최소 이격간격을 유지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펠러 유닛들은,
    상호 마주하는 상기 제1 프로펠러 유닛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간격이 상기 기 설정된 최대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고정 결합되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비행할 때에는,
    상기 구동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들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호 마주하는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간격을 상기 기 설정된 최소 이격간격으로 유지하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비행 중 공중에서 정지할 때에는,
    상기 구동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들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호 마주하는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간격을 상기 기 설정된 최대 이격간격으로 유지하는 항공 촬여용 소형 비행물체.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펠러 유닛은,
    일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1 연결 암;
    일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연결 암과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1 연결 암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결 링크 바;
    상기 제1 연결 암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1 구동모터; 및
    상기 제1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구동모터가 제공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본체에 삽입되는 제2 연결 암;
    상기 제2 연결 암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2 구동모터; 및
    상기 제2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구동모터가 제공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되 제3 모터와 연결되어 있어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디스크 플레이트; 및
    일단은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와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 연결 암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들의 개수에 대응되어 복수 개 구비되는 링크 바들을 포함하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가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 연결 암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기 설정된 최소 이격거리가 되며,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 연결 암이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도록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2 프로펠러 유닛들 각각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기 설정된 최대 이격거리가 되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가 지상에 착륙할 때 지면과 접촉하여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16.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본체에 삽입되는 연결 암과, 상기 연결 암의 선단에 결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가 제공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되며,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본체가 비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생성하는 프로펠러 유닛들; 및
    상기 본체에 상기 연결 암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설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여, 상기 본체의 자세를 제어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 각각의 상기 연결 암의 슬라이딩 이동 거리를 동일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17. 삭제
  18.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본체에 삽입되는 연결 암과, 상기 연결 암의 선단에 결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가 제공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되며,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본체가 비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생성하는 프로펠러 유닛들; 및
    상기 본체에 상기 연결 암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와 상기 본체 사이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본체의 자세를 제어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프로펠러 유닛들 각각의 상기 연결 암과 상기 본체 사이의 상대 위치를 동일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19. 삭제
KR1020150101039A 2015-07-16 2015-07-16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KR101776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039A KR101776812B1 (ko) 2015-07-16 2015-07-16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039A KR101776812B1 (ko) 2015-07-16 2015-07-16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272A KR20170009272A (ko) 2017-01-25
KR101776812B1 true KR101776812B1 (ko) 2017-09-19

Family

ID=5799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039A KR101776812B1 (ko) 2015-07-16 2015-07-16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8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771B1 (ko) 2019-05-14 2020-10-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항공비행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57913B (zh) * 2017-11-21 2020-01-07 歌尔科技有限公司 基于无人机的载重控制方法、设备以及无人机
KR102133412B1 (ko) * 2018-12-24 2020-07-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접이식 드론
KR102632901B1 (ko) 2019-01-11 2024-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의 프레임 레이트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0116A (ko) 2012-01-06 2013-12-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로터 항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771B1 (ko) 2019-05-14 2020-10-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항공비행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272A (ko)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812B1 (ko) 항공 촬영이 가능한 소형 비행물체
KR101689197B1 (ko) 드론용 짐벌 어셈블리
US10175693B2 (en) Carrier for unmanned aerial vehicle
CN209805921U (zh) 无人驾驶飞行器
US8272593B2 (en) Rotational bottom blade type flight vehicle
CN112204443B (zh) 光学滤光装置、摄像装置、摄像***及移动体
TW201341702A (zh) 可避免環架鎖定之傾斜球形轉台
US20200140085A1 (en) Portable integrated uav
CN106029502A (zh) 云台及使用该云台的无人飞行器
WO2019062140A1 (zh) 无人飞行器
EP3269641A1 (en) Unmanned aerial or marine vehicle
KR102295789B1 (ko) 추진 방향 변경이 가능한 드론
CN108995820B (zh) 云台、具有该云台的拍摄装置及无人机
CN110162075B (zh) 一种飞行器控制方法、装置及飞行器
CN106516140B (zh) 一种具有航拍功能的飞行器
CN107690606B (zh) 云台、拍摄设备和无人飞行器
CN110040246B (zh) 单轴双旋翼无人飞行装置、具该装置的***及遥控方法
KR102505949B1 (ko) 무인 비행 시스템
CN205525020U (zh) 一种飞行器机架
EP3368412B1 (en) An air vehicle and imaging apparatus therefor
CN206149414U (zh) 基于虚拟现实第一视角警用的无人机侦察装置
CN109383775A (zh) 无人机专用摄像装置
US10814979B2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with variable impelled air vectored thrust apertures
KR102134174B1 (ko) 무인 비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단말기
CN219514125U (zh) 一种小型机载摄像机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