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470B1 -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470B1
KR101776470B1 KR1020160030999A KR20160030999A KR101776470B1 KR 101776470 B1 KR101776470 B1 KR 101776470B1 KR 1020160030999 A KR1020160030999 A KR 1020160030999A KR 20160030999 A KR20160030999 A KR 20160030999A KR 101776470 B1 KR101776470 B1 KR 101776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blade
adapter
swivel bearing
bea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래
이기학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0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470B1/ko
Priority to US15/417,103 priority patent/US10961983B2/en
Priority to PCT/KR2017/001240 priority patent/WO2017159985A1/ko
Priority to EP17157041.9A priority patent/EP32199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4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long loads, e.g. with separate wheeled load suppor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fluids, e.g. having direct contact between fluid and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4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베이스 상단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에 장착되는 선회베어링유닛과 상기 선회베어링유닛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 배치되는 각도조절 실린더와 블레이드의 일단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 어댑터 및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과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에 연동되며 배치되는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블레이드 어댑터를 미세조정하여 급커브 구간, 터널, 육교, 경사로 등에서 블레이드의 선회폭을 향상시켜 차량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position of a blade transport vehicle's adapter }
본 발명은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레이드 어댑터를 미세조정하여 급커브 구간, 터널, 육교, 경사로 등에서 블레이드의 선회폭을 향상시켜 차량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풍력터빈과 같은 풍력설비는 바람에 의한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친환경적 발전시설로서, 지구환경 보호의 필요성이 부각되는 요즘 시대에 각광받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일환이다.
이러한 풍력설비는 크게 나셀(nacelle)과 타워(tower)로 나눌 수 있다. 이중 나셀에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blade)가 허브(hub)에 소정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장착되고, 허브의 중심은 로터의 구동샤프트에 연결된다. 풍력에 의해 블레이드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에너지가 로터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나셀의 내부에는 로터와 연결된 발전기(generator)가 내장되어 있다. 로터의 회전에 따라 발전기는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렇듯 풍력발전에 있어서 블레이드의 역할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를 풍력터빈이 설치된 지역까지 운송하기 위해서 도 1a와 같은 블레이드 운송차량이 사용된다.
종래 블레이드 운송차량(1)은 크게 하부트레일러(8), 유압실린더(3), 고정프레임(4), 선회베어링유닛(5), 블레이드 어댑터(6)를 포함한다.
먼저 하부트레일러(8)는 메인바디에 복수의 바퀴가 여러 열로 배치되어 있다. 이는 블레이드(7)의 하중을 분산하기 위한 것과 블레이드(7)를 안정적으로 운송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트레일러(8)의 양측에는 지지빔(2)이 배치된다. 지지빔(2)은 운송차량이 정차 후 블레이드(7)를 움직이기 위해 유압장치에 의해 하부트레일러(8)의 폭 방향 양측으로 신장되어 지면에 닿아 블레이드(7) 하중에 따라 운송차량에 걸리는 부하를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물론 운행 중에는 유압장치에 의해 지면에서 분리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하부트레일러(8)의 상단에는 고정프레임(4)이 배치된다. 고정프레임(4)은 한 쌍의 기둥이 하부트레일러(8)의 상단에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유압실린더(3)가 힌지 연결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유압실린더(3)의 로드 단부는 선회베어링유닛(5)의 베어링블록(5b) 하단에 힌지연결된다.
유압실린더(3)가 작동되어 유압실린더(3)의 로드가 신장되면, 베어링블록(5b)의 각도는 변경된다. 이에 따라 베어링블록(5b)에 장착된 선회베어링(5a)과 선회베어링(5a)에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된 블레이드 어댑터(6)가 함께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도 1a를 참고하면, 도 1b와 비교하여 유압실린더(3)의 작동에 따라 블레이드(7)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볼 수 있다.
여기서 선회베어링(5a)은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블록(5b)에 장착되는데, 이는 베어링블록(5b)상에 배치된 선회드라이브(5c)에 의해 이뤄지게 된다. 사용자가 블레이드(7)를 회전시키기 위해 선회드라이브(5c)를 작동시키면 기어로 맞물려 있는 선회베어링(5a)이 회전함에 따라 선회베어링(5a)과 볼트체결되어 있는 블레이드 어댑터(6)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블레이드(7)의 회전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그런데 블레이드 운송차량(1)을 운행하다보면, 급커브 구간, 터널, 육교, 경사로 등을 지날 때, 블레이드(7)의 길이로 인하여 운송차량의 선회복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대형 블레이드(7)는 그 길이가 수십미터에 이른다. 만약 구간의 커브 정도가 큰 경우에는 대형 블레이드(7)의 길이가 너무 길이 나무, 가로등과 같은 도로 주변의 지형 지물과 충돌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커브가 있는 터널 구간을 이동간에는 터널의 벽에 블레이드의 끝단부가 충돌하여 손상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7)의 선회폭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국내특허 등록번호: 제 10-1564849 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레이드 어댑터를 미세조정하여 급커브 구간, 터널, 육교, 경사로 등에서 블레이드의 선회폭을 향상시켜 차량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베이스 상단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에 장착되는 선회베어링유닛과 상기 선회베어링유닛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 배치되는 각도조절 실린더와 블레이드의 일단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 어댑터 및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과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에 연동되며 배치되는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회베어링유닛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배치되는 베어링블록과 상기 베어링블록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선회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블록에 배치되고 상기 선회베어링을 회전시키는 선회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선회베어링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에서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내부는 구 형태의 중공부로 이뤄진 복수의 제1 하우징브라켓 및 몸체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상에 소정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로드부는 상기 제1 하우징브라켓에 힌지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베어링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에서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내부는 구 형태의 중공부로 이뤄진 복수의 제2 하우징브라켓 및 몸체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안착홈에 배치되고, 로드부는 상기 제2 하우징브라켓에 힌지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베어링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안착홈에 배치되고, 내부는 구 형태의 중공부로 이뤄진 지지브라켓 및 상기 지지브라켓에 몸체부는 힌지볼로 연결되고, 로드부는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3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유압실린더, 상기 제2 유압실린더 또는 상기 제3 유압실린더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상에 90도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레이드 어댑터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유압실린더를 배치하여 블레이드 배치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급커브 구간, 터널, 육교, 경사로 등에서 블레이드 운송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중 도로상황에 따라 마주하게 되는 각종 장애물로부터 블레이드의 접촉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어, 블레이드의 품질, 성능 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블레이드 운송차량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블레이드 운송차량에 대한 부분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부분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명에서 어댑터의 위치를 조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발명에서 어댑터의 위치를 조정한 상태를 나타낸 대한 상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A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9b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B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부분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명에서 어댑터의 위치를 조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발명에서 어댑터의 위치를 조정한 상태를 나타낸 대한 상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는 선회베어링유닛(160), 각도조절 실린더(140), 블레이드 어댑터(150) 및 위치조절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선회베어링유닛(160)은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베이스(110) 상단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120)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스틸 재질의 평평한 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열로 배치된 바퀴가 장착된 하부트레일러 상단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접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120)은 스틸 재질로 상기 베이스(110) 상단에 한 쌍의 기둥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선회베어링유닛(160)은 고정프레임(120)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선회베어링유닛(160)은 베어링블록(161), 선회베어링(163) 및 선회드라이브(16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베어링블록(161)은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상단에 힌지(162)로 연결되며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블록(161)은 스틸 재질로서 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팔각 판기둥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그리고 선회베어링(163)은 상기 베어링블록(161)에서 블레이드 어댑터(150)를 마주보는 측에 배치되고,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선회베어링(163)은 블레이드 어댑터(15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선회베어링(163)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구름볼이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선회드라이브(165)는 상기 베어링블록(161)에서 상기 선회베어링(163)이 장착된 면의 반대측 면에 배치되고 상기 선회베어링(163)에 기어로 연결되어 선회베어링(163)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각도조절 실린더(140)는 상기 선회베어링유닛(16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160)과 연결되며 상기 고정프레임(12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를 참고하며 각도조절 실린더(140)의 몸체는 고정프레임(120)의 한 쌍의 기둥 사이에 샤프트(14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각도조절 실린더(140)의 로드는 상기 베어링블록(161)의 하단부에 배치된 브라켓(142)에 힌지(141)로 연결된 것을 볼 수 있다.
사용자가 각도조절 실린더(140)를 구동하면, 각도조절 실린더(140)의 로드가 신장되며 힌지(162)를 회전축으로 하여 베어링블록(161)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각도조절 실린더(140)는 베어링블록(161)을 움직임으로서, 베어링블록(161)에 배치된 선회베어링(163)에 연결되어 있는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여 궁극적으로는 블레이드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물론 이는 블레이드의 미세 각도 조절이 아니라, 비교적 큰 각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게 된다.
다음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일단부는, 상기 위치조절수단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배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선회베어링(163)에 움직임이 가능한 정도의 유동성이 있게 기어로 맞물려 배치되어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타단부에는 블레이드의 단부가 볼트체결되어 결합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조절수단(200)은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160)과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150)에 연동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위치조절수단(200)은 회전플레이트(167) 및 제1 유압실린더(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회전플레이트(167)는 상기 선회베어링(163)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스틸 재질의 원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167)는 선회베어링(163)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 유압실린더(213)의 몸체부(213a)는 상기 회전플레이트(167)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유압실린더(213)의 로드부(213b)는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150)에 장착된 제1 하우징브라켓(211)에 힌지볼(212)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9a를 참고하면 제1 하우징브라켓(211)의 내부는 힌지볼(212)이 배치될 수 있도록 구 형태의 중공부로 가공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150)에서 상기 안착홈(23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볼(212)는 다양한 방향으로 블레이드 어댑터(150)가 움직일 수 있도록 구 형태일 수 있다.
운행 중에 사용자는 장애물을 피하거나 또는 급커브 구간, 터널, 육교, 경사로 등에서 블레이드의 선회폭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유압실린더(213)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유압실린더(213)는 90도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3개 또는 6개 등 다른 개수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이 4개가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미세 각도를 조절을 통제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블레이드를 좌측으로 미세 조정하고 싶다면 좌측방향에 배치된 제1 유압실린더(213)의 유압량을 줄이고, 우측방향에 배치된 제1 유압실린더(213)의 유압량을 늘리면 된다. 이 때 상측과 하측에 배치된 제1 유압실린더(213)의 유압량은 그대로 유지하면 된다. 결과적으로는 블레이드의 배치위치는 좌측으로 조정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블레이드를 우측으로 미세 조정하고 싶다면 우측방향에 배치된 제1 유압실린더(213)의 유압량을 줄이고, 좌측방향에 배치된 제1 유압실린더(213)의 유압량을 늘리면 된다. 이 때도 역시 상측과 하측에 배치된 제1 유압실린더(213)의 유압량은 그대로 유지한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블레이드를 상측으로 미세 조정하고 싶다면 상측방향에 배치된 제1 유압실린더(213)의 유압량을 줄이고, 하측방향에 배치된 제1 유압실린더(213)의 유압량을 늘리면 된다. 이 때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 제1 유압실린더(213)의 유압량은 그대로 유지하면 된다. 최종적으로 블레이드의 배치위치는 상측으로 조정되게 된다.
운행 중에 사용자는 장애물을 피하거나 또는 급커브 구간, 터널, 육교, 경사로 등에서 블레이드의 선회폭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유압실린더(213)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운행 중에 블레이드의 미세한 배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급커브 구간, 경사로 등에서 차량이 받는 원심력, 하중 등을 완화할 수 있으며, 운행 중에 각종 장애물로부터 블레이드의 접촉, 손상 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궁극적으로는 블레이드의 안정적인 운송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150) 위치조절장치는 선회베어링유닛(160), 각도조절 실린더(140), 블레이드 어댑터(150) 및 위치조절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선회베어링유닛(160)은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베이스(110) 상단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120)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스틸 재질의 평평한 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열로 배치된 바퀴가 장착된 하부트레일러 상단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접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120)은 스틸 재질로 상기 베이스(110) 상단에 한 쌍의 기둥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선회베어링유닛(160)은 고정프레임(120)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선회베어링유닛(160)은 베어링블록(161), 선회베어링(163) 및 선회드라이브(16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베어링블록(161)은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상단에 힌지(162)로 연결되며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블록(161)은 스틸 재질로서 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팔각 판기둥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그리고 선회베어링(163)은 상기 베어링블록(161)에서 블레이드 어댑터(150)를 마주보는 측에 배치되고,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선회베어링(163)은 블레이드 어댑터(15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선회베어링(163)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구름볼이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선회드라이브(165)는 상기 베어링블록(161)에서 상기 선회베어링(163)이 장착된 면의 반대측 면에 배치되고 상기 선회베어링(163)에 기어로 연결되어 선회베어링(163)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각도조절 실린더(140)는 상기 선회베어링유닛(16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160)과 연결되며 상기 고정프레임(120)에 배치될 수 있다. 각도조절 실린더(140)의 몸체는 고정프레임(120)의 한 쌍의 기둥 사이에 샤프트(14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각도조절 실린더(140)의 로드는 상기 베어링블록(161)의 하단부에 배치된 브라켓(142)에 힌지(141)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각도조절 실린더(140)를 구동하면, 각도조절 실린더(140)의 로드가 신장되며 힌지(162)를 회전축으로 하여 베어링블록(161)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각도조절 실린더(140)는 베어링블록(161)을 움직임으로서, 베어링블록(161)에 배치된 선회베어링(163)에 연결되어 있는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여 궁극적으로는 블레이드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물론 이는 블레이드의 미세 각도 조절이 아니라, 비교적 큰 각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게 된다.
다음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일단부는, 상기 위치조절수단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배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선회베어링(163)에 움직임이 가능한 정도의 유동성이 있게 기어로 맞물려 배치되어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타단부에는 블레이드의 단부가 볼트체결되어 결합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위치조절수단(200)은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160)과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150)에 연동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위치조절수단(200)은 회전플레이트(167) 및 제2 유압실린더(2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회전플레이트(167)는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안착홈(2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선회베어링(163)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스틸 재질의 원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167)는 선회베어링(163)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회전플레이트(167)의 내부에 제2 유압실린더(223)의 몸체부(223a)의 길이 만큼의 깊이를 가지는 안착홈(231)이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보다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압실린더(223)의 몸체부(223a)는 상기 회전플레이트(167)의 안착홈(231)에 소정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유압실린더(223)의 로드부(223b)는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150)에 장착된 제2 하우징브라켓(221)에 힌지볼(222)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하우징브라켓(221)의 내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게시된 제1 하우징브라켓(211)과 동일하게 힌지볼(222)이 배치될 수 있도록 구 형태의 중공부로 가공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150)에서 상기 안착홈(23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볼(222)는 다양한 방향으로 블레이드 어댑터(150)가 움직일 수 있도록 구 형태일 수 있다.
제2 유압실린더(223)의 몸체부(223a) 전부는 회전플레이트(167)의 안착홈(231)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접합되어 삽입 배치되므로, 제2 유압실린더(223)는 안착홈(231)의 하단면에 의해 지지되며 블레이드 어댑터(150)에 연결되어 있게 된다. 이는 제2 유압실린더(223)의 로드부(223b)에 연결된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배치위치 조정시 흔들림, 진동 등을 완화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변경이 이뤄지게 한다.
운행 중에 사용자는 장애물을 피하거나 또는 급커브 구간, 터널, 육교, 경사로 등에서 블레이드의 선회폭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유압실린더(223)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제2 유압실린더(223)가 90도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3개 또는 6개 등 다른 개수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같이 4개가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미세 각도를 조절을 통제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5를 참고하면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블레이드를 좌측으로 미세 조정하고 싶다면 좌측방향에 배치된 제2 유압실린더(223)의 유압량을 줄이고, 우측방향에 배치된 제2 유압실린더(223)의 유압량을 늘리면 된다. 이 때 상측과 하측에 배치된 제2 유압실린더(223)의 유압량은 그대로 유지하면 된다. 결과적으로는 블레이드의 배치위치는 좌측으로 조정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블레이드를 우측으로 미세 조정하고 싶다면 우측방향에 배치된 제2 유압실린더(223)의 유압량을 줄이고, 좌측방향에 배치된 제2 유압실린더(223)의 유압량을 늘리면 된다. 이 때도 역시 상측과 하측에 배치된 제2 유압실린더(223)의 유압량은 그대로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6를 참고하면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블레이드를 상측으로 미세 조정하고 싶다면 상측방향에 배치된 제2 유압실린더(223)의 유압량을 줄이고, 하측방향에 배치된 제2 유압실린더(223)의 유압량을 늘리면 된다. 이 때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 제2 유압실린더(223)의 유압량은 그대로 유지하면 된다. 최종적으로 블레이드의 배치위치는 상측으로 조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는 달리 회전플레이트(167)의 내부 안착홈(231)에 제2 유압실린더(223)가 배치됨에 따라 제2 유압실린더(223)의 지지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뤄지게 되고, 이는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흔들림, 진동 등을 완화하여 블레이드의 고정을 보다 안정적으로 향상시키게 된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150) 위치조절장치는 선회베어링유닛(160), 각도조절 실린더(140), 블레이드 어댑터(150) 및 위치조절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선회베어링유닛(160)은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베이스(110) 상단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120)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스틸 재질의 평평한 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열로 배치된 바퀴가 장착된 하부트레일러 상단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접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120)은 스틸 재질로 상기 베이스(110) 상단에 한 쌍의 기둥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선회베어리유닛은 고정프레임(120)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선회베어링유닛(160)은 베어링블록(161), 선회베어링(163) 및 선회드라이브(16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베어링블록(161)은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상단에 힌지(162)로 연결되며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블록(161)은 스틸 재질로서 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팔각 판기둥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그리고 선회베어링(163)은 상기 베어링블록(161)에서 블레이드 어댑터(150)를 마주보는 측에 배치되고,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선회베어링(163)은 블레이드 어댑터(15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선회베어링(163)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구름볼이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선회드라이브(165)는 상기 베어링블록(161)에서 상기 선회베어링(163)이 장착된 면의 반대측 면에 배치되고 상기 선회베어링(163)에 기어로 연결되어 선회베어링(163)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각도조절 실린더(140)는 상기 선회베어링유닛(16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160)과 연결되며 상기 고정프레임(120)에 배치될 수 있다. 각도조절 실린더(140)의 몸체는 고정프레임(120)의 한 쌍의 기둥 사이에 샤프트(14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각도조절 실린더(140)의 로드는 상기 베어링블록(161)의 하단부에 배치된 브라켓(142)에 힌지(141)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각도조절 실린더(140)를 구동하면, 각도조절 실린더(140)의 로드가 신장되며 힌지(162)를 회전축으로 하여 베어링블록(161)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각도조절 실린더(140)는 베어링블록(161)을 움직임으로서, 베어링블록(161)에 배치된 선회베어링(163)에 연결되어 있는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여 궁극적으로는 블레이드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물론 이는 블레이드의 미세 각도 조절이 아니라, 비교적 큰 각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게 된다.
다음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일단부는, 상기 위치조절수단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배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선회베어링(163)에 움직임이 가능한 정도의 유동성이 있게 기어로 맞물려 배치되어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타단부에는 블레이드의 단부가 볼트체결되어 결합 고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조절수단(200)은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160)과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150)에 연동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위치조절수단(200)은 회전플레이트(167) 및 제3 유압실린더(2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회전플레이트(167)는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테이퍼부(232)가 형성된 복수의 안착홈(2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선회베어링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스틸 재질의 원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167)는 선회베어링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플레이트(167)의 안착홈(231)은 단면이 원형이며, 제3 유압실린더(237)가 360도 방향으로 모두 이동이 가능하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유압실린더(237)는 상기 회전플레이트(167)의 안착홈(231)에 소정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지지브라켓(235)에 제3 유압실린더(237)의 몸체부(237a)는 힌지볼(234)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유압실린더(237)의 로드부(237b)는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150)에 볼트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9b를 참고하면, 지지브라켓(235)는 힌지볼(234)가 배치될 수 있도록 구 형태의 중공부로 이뤄질 수 있으며, 힌지볼(234)는 제3 유압실린더(237)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의 제3 유압실린더(237)의 구동에 따라 제3 유압실린더(237)의 몸체부(237a)는 지지브라켓(235)의 힌지볼(234)를 지지축으로 하여 미세 이동하며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미세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운행 중에 사용자는 장애물을 피하거나 또는 급커브 구간, 터널, 육교, 경사로 등에서 블레이드의 선회폭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3 유압실린더(237)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제3 유압실린더(237)가 90도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3개 또는 6개 등 다른 개수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같이 4개가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미세 각도를 조절을 통제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5를 참고하면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블레이드를 좌측으로 미세 조정하고 싶다면 좌측방향에 배치된 제3 유압실린더(237)의 유압량을 줄이고, 우측방향에 배치된 제3 유압실린더(237)의 유압량을 늘리면 된다. 이에 따라 이때 상측과 하측에 배치된 제3 유압실린더(237)의 유압량은 그대로 유지하면 된다. 결과적으로는 블레이드의 배치위치는 좌측으로 조정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블레이드를 우측으로 미세 조정하고 싶다면 우측방향에 배치된 제3 유압실린더(237)의 유압량을 줄이고, 좌측방향에 배치된 제3 유압실린더(237)의 유압량을 늘리면 된다. 이 때도 역시 상측과 하측에 배치된 제3 유압실린더(237)의 유압량은 그대로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6를 참고하면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블레이드를 상측으로 미세 조정하고 싶다면 상측방향에 배치된 제3 유압실린더(237)의 유압량을 줄이고, 하측방향에 배치된 제3 유압실린더(237)의 유압량을 늘리면 된다. 이 때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 제3 유압실린더(237)의 유압량은 그대로 유지하면 된다. 최종적으로 블레이드의 배치위치는 상측으로 조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달리, 제3 유압실린더(237)의 몸체부(237a)가 테이퍼진 안착홈(231)의 내부에서 지지브라켓(235)에 힌지볼(234) 연결되어 사용자의 구동에 따라 움직이며, 블레이드 어댑터(150)의 미세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상의 사항은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0:블레이드 운송차량 B:블레이드
110:베이스 120:고정프레임
140:각도조절 실린더 150:블레이드 어댑터
160:선회베어링유닛 161:베어링블록
163:선회베어링 165:선회드라이브
167:회전플레이트
200:위치조절수단 211:제1 하우징브라켓
213:제1 유압실린더 221:제2 하우징브라켓
223:제2 유압실린더 231:안착홈
232:테이퍼부 235:지지브라켓
237:제3 유압실린더

Claims (8)

  1.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베이스 상단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에 장착되는 선회베어링유닛;
    상기 선회베어링유닛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 배치되는 각도조절 실린더;
    블레이드의 일단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 어댑터; 및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과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에 연동되며 배치되는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선회베어링유닛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배치되는 베어링블록;
    상기 베어링블록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선회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블록에 배치되고 상기 선회베어링을 회전시키는 선회드라이브;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선회베어링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회전플레이트;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상에 배치되고, 내부는 구 형태의 중공부로 이뤄진 복수의 제1 하우징브라켓; 및
    몸체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상에 소정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로드부는 상기 제1 하우징브라켓에 힌지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 유압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압실린더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상에 90도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

  3.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베이스 상단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에 장착되는 선회베어링유닛;
    상기 선회베어링유닛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 배치되는 각도조절 실린더;
    블레이드의 일단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 어댑터; 및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과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에 연동되며 배치되는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선회베어링유닛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배치되는 베어링블록;
    상기 베어링블록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선회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블록에 배치되고 상기 선회베어링을 회전시키는 선회드라이브;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베어링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회전플레이트;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에서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내부는 구 형태의 중공부로 이뤄진 복수의 제2 하우징브라켓; 및
    몸체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안착홈에 배치되고, 로드부는 상기 제2 하우징브라켓에 힌지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 유압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압실린더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상에 90도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
  5.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베이스 상단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에 장착되는 선회베어링유닛;
    상기 선회베어링유닛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 배치되는 각도조절 실린더;
    블레이드의 일단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 어댑터; 및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선회베어링유닛과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에 연동되며 배치되는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선회베어링유닛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배치되는 베어링블록;
    상기 베어링블록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선회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블록에 배치되고 상기 선회베어링을 회전시키는 선회드라이브;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베어링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회전플레이트;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안착홈에 배치되고, 내부는 구 형태의 중공부로 이뤄진 지지브라켓; 및
    상기 지지브라켓에 몸체부는 힌지볼로 연결되고, 로드부는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3 유압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압실린더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상에 90도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베어링은 상기 베어링블록에서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를 마주보는 측에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선회드라이브는 상기 베어링블록에서 상기 선회베어링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상기 선회베어링과 기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상단에 한 쌍의 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각도조절 실린더의 몸체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한 쌍의 기둥 사이에 샤프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각도조절실린더의 로드는 상기 베어링블록의 하단부에 배치된 브라켓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




KR1020160030999A 2016-03-15 2016-03-15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 KR101776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999A KR101776470B1 (ko) 2016-03-15 2016-03-15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
US15/417,103 US10961983B2 (en) 2016-03-15 2017-01-26 Blade transport vehicle
PCT/KR2017/001240 WO2017159985A1 (ko) 2016-03-15 2017-02-05 블레이드 운송차량
EP17157041.9A EP3219983B1 (en) 2016-03-15 2017-02-21 Blade transport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999A KR101776470B1 (ko) 2016-03-15 2016-03-15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470B1 true KR101776470B1 (ko) 2017-09-07

Family

ID=5992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999A KR101776470B1 (ko) 2016-03-15 2016-03-15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2741A (zh) * 2020-12-30 2021-04-09 江苏轲特特种运输机械制造有限公司 可移动承载装置及运输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677B1 (ko) * 2013-08-28 2014-03-12 위캔글로벌 주식회사 좌우 각도조절이 가능한 집초기
KR101481946B1 (ko) * 2014-09-29 2015-01-15 임재형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운송하기 위한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677B1 (ko) * 2013-08-28 2014-03-12 위캔글로벌 주식회사 좌우 각도조절이 가능한 집초기
KR101481946B1 (ko) * 2014-09-29 2015-01-15 임재형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운송하기 위한 트레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2741A (zh) * 2020-12-30 2021-04-09 江苏轲特特种运输机械制造有限公司 可移动承载装置及运输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9983B1 (en) Blade transport vehicle
JP4959439B2 (ja) 風力発電装置
JP2006200400A (ja) 水平軸風車
EP2108822A2 (en) Wind deflector for wind turbine and wind turbine incorporating same
ES2304319A1 (es) Una torre de celosia y un metodo de ereccion de un aerogenerador con una torre de celosia.
CN101821160A (zh) 线性风力发电机
JPWO2012111094A1 (ja) 風車翼のピッチ駆動装置、これを備えた風車回転翼、および風力発電装置
KR101481946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운송하기 위한 트레일러
CN103511199A (zh) 风力机
KR101776470B1 (ko)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
ES2474415T3 (es) Central e�lica
CN105799737B (zh) 单轨道岔梁驱动装置
CN104508299A (zh) 具有水平的转子轴且具有可旋转的塔架的风力发电设备
JP2010520401A (ja) 風力発電プラント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629099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운송을 위한 트레일러
JP2010168937A (ja) アップウインド型風力発電設備
CN208656681U (zh) 塔式光热发电***、定日镜、跟踪驱动装置及其转台
KR20100026902A (ko) 풍력 및 태양광 발전기용 블럭
CN108061394B (zh) 一种定日镜方位驱动机构
KR101776468B1 (ko)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SE0950727A1 (sv) Vindturbin med turbinblad
US20150247486A1 (en) Wind turbine
KR101776469B1 (ko)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
JP2008240591A (ja) 翼端部の周速を機械的に引き出し利用する風力発電装置
KR101564849B1 (ko) 적재물의 선회 반경이 가변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운송하기 위한 트레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