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884B1 -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병렬 계류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병렬 계류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884B1
KR101774884B1 KR1020150155609A KR20150155609A KR101774884B1 KR 101774884 B1 KR101774884 B1 KR 101774884B1 KR 1020150155609 A KR1020150155609 A KR 1020150155609A KR 20150155609 A KR20150155609 A KR 20150155609A KR 101774884 B1 KR101774884 B1 KR 101774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unit
sofa
side fen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3296A (ko
Inventor
정현수
이승재
박건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5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88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40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diminishing wave res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17/009Wave breakers, breakwaters, splashboard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02T70/1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병렬 계류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측벽에 설치되는 소파 구조물은, 한 쌍의 장변 펜스와 한 쌍의 단변 펜스를 포함하며, 후방의 단변 펜스가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개폐됨으로써 내부공간에 병렬 하역 작업을 위한 하역 선박이 진출입 가능하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병렬 계류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Wave dissipation device for parallel mooring loading/unloading of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병렬 계류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LNG(액화천연가스)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LNG를 생산/처리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는 LNG-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LNG-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LNG 벙커링 터미널(Bunkering Terminal) 등이 있다.
이러한 해양구조물의 경우 LNG의 하역(Loading/Unloading) 작업을 위해 LNG 운반선 등이 병렬로 계류되며, 로딩 암(Loading Arm)을 이용하여 LNG를 하역한다. 로딩 암, 병렬 계류설비(계류라인, 펜더) 등의 허용 상대변위 및 하중을 고려할 때 병렬 계류 하역작업이 가능한 최대 파고는 대략 3 m 정도로 매우 제한적이다. 이러한 제한조건으로 인해 해양구조물의 작업성능(Operability)은 매우 안 좋아지며,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34129호 (2011.04.05 공개) -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의 파도를 외부에 비해 줄어들게 하여 하역 선박을 수용하면서 하역 선박의 상대 운동이 줄어들어 병렬 계류 하역 작업의 성능이 향상되게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병렬 계류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병렬 계류 하역 작업 시에만 펼쳐지고 평상 시에는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어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미치는 구조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병렬 계류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측벽에 설치되는 소파 구조물로서, 한 쌍의 장변 펜스와 한 쌍의 단변 펜스를 상층 소파 구조물로 포함하며, 후방의 단변 펜스가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개폐됨으로써 내부공간에 병렬 하역 작업을 위한 하역 선박이 진출입 가능한 병렬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한 쌍의 장변 펜스와 상기 한 쌍의 단변 펜스 각각에는, 직육면체 형태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소파판을 포함하는 하방 소파 구조체가 하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되, 상기 소파판은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가 중첩되어 설치되되 상기 복수의 관통홀이 교차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장변 펜스와 상기 한 쌍의 단변 펜스 각각에는, 롤러에 감겨있는 롤러블 타입(rollable type) 소파판을 포함하는 하방 소파 구조체가 설치되며, 상기 롤러블 타입 소파판은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하방으로 펼쳐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장변 펜스와 상기 한 쌍의 단변 펜스 각각에는, 복수의 단위 소파판이 접힘 가능하게 결합된 폴더블 타입(foldable type) 소파판을 하방 소파 구조체가 설치되며, 병렬 하역 작업 시에 상기 복수의 단위 소파판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 폴더블 타입 소파판이 소파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측벽에 설치되는 소파 구조물로서, 메인 몸체; 상기 메인 몸체의 일단에서 상기 메인 몸체와 일직선이 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가변 가능하게 단면적이 상이한 복수의 장변 펜스 부재가 텔레스코픽 구조로 결합된 장변 펜스; 상기 메인 몸체의 일단에서 상기 메인 몸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가변 가능하게 단면적이 상이한 복수의 단변 펜스 부재가 텔레스코픽 구조로 결합된 단변 펜스를 상층 소파 구조물로 포함하는 병렬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메인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로드가 상기 장변 펜스에 연결되어 상기 장변 펜스의 돌출된 길이를 가변시키는 제1 실린더부재; 상기 메인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로드가 상기 단변 펜스에 연결되어 상기 단변 펜스의 돌출된 길이를 가변시키는 제2 실린더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측벽에 설치되는 소파 구조물로서, 메인 단위 펜스; 상기 메인 단위 펜스의 일단에 상기 메인 단위 펜스의 길이 방향과 일직선 방향으로 복수의 제1 단위 펜스가 일렬로 배열된 장변 펜스; 상기 메인 단위 펜스의 일단에 상기 메인 단위 펜스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제2 단위 펜스가 일렬로 배열된 단변 펜스를 상층 소파 구조물로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펜스는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1 연결로프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 않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펜스는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2 연결로프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 않게 연결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펜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펜스가 각각 다층 구조의 폴딩 상태로 보관되다가 병렬 하역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 최상층의 제1 단위 펜스와 제2 단위 펜스가 잡아당겨져 펼쳐지는 구조를 가지는 병렬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최상층의 제1 단위 펜스와 제2 단위 펜스는 윈치-와이어 방식 혹은 리니어 바에 의해 폴딩 상태에서 펼쳐지게 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과, 관통홀이 형성된 소파판을 포함하는 하방 소파 구조체가 상기 상층 소파 구조물의 기본 골격이거나 혹은 상기 상층 소파 구조물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하방 소파 구조체의 소재는 해수로 인한 부식에 견딜 수 있음과 동시에 일정한 강도를 갖고 구부리나(rollable) 접을(foldable) 수 있는 소재이며, 상기 관통홀의 홀 면적은 상기 소파판의 전체 면적의 10~90% 범위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측면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의 파도를 외부에 비해 줄어들게 하여 하역 선박을 수용하면서 하역 선박의 상대 운동이 줄어들어 병렬 계류 하역 작업의 성능이 향상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병렬 계류 하역 작업 시에만 펼쳐지고 평상 시에는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어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미치는 구조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마련된 병렬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파 구조물의 장변 펜스와 단변 펜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층 소파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층 소파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방 소파 구조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방 소파 구조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파 구조물이 양방향에 마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유닛"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마련된 병렬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는 부유식 해양구조물(1), 병렬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10), 제1 장변 펜스(11a), 제2 장변 펜스(11b), 제1 단변 펜스(12a), 제2 단변 펜스(12b), 내부공간(20), 계류라인(14), 제1 충돌 방지 펜더(13), 제2 충돌 방지 펜더(15), 하역 선박(2)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은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측벽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하역선박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내부공간에 진입한 하역선박에는 외부의 파도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병렬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10)은 위에서 내려다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펜스 구조체로서, 한 쌍의 장변 펜스(11a, 11b)와 한 쌍의 단변 펜스(12a, 12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장변 펜스(11a, 11b)는 부유식 해양구조물(1)의 측벽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 장변 펜스(11a)가 부유식 해양구조물(1)의 측벽에 계류라인(14)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 병렬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병렬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10)과 부유식 해양구조물(1)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장변 펜스(11a)의 외벽과 부유식 해양구조물(1)의 측벽 사이에는 제1 충돌 방지 펜더(13)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한 쌍의 장변 펜스(11a, 11b)와 한 쌍의 단변 펜스(12a, 12b)를 각 변으로 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내부공간(20)에는 하역 선박(2)이 진출입하게 된다. 이 경우 하역 선박(2)의 원활한 진출입을 위해 후방에 설치된 제2 단변 펜스(12b)는 제2 장변 펜스(11b)에 대해 힌지 결합되어 있어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2 단변 펜스(12b)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내부공간(20)이 개방되면 하역 선박(2)이 내부공간(20)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도 1의 (a) 참조). 이후 제2 단변 펜스(12b)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내부공간(20)이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내부공간(20)에 파도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도 1의 (b) 참조).
도면에서는 제2 단변 펜스(12b)가 제2 장변 펜스(11b)에 대해 힌지 결합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제2 단변 펜스(12b)가 제1 장변 펜스(11a)에 대해 힌지 결합되어 개폐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소파 구조물(10)의 내측, 즉 한 쌍의 장변 펜스(11a, 11b)와 한 쌍의 단변 펜스(12a, 12b)의 내벽에는 제2 충돌 방지 펜더(15)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충돌 방지 펜더(15)는 내부공간(20)에 진입한 하역 선박(2)과 소파 구조물(10)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게 된다.
소파 구조물(10)에 의해 내부공간(20)에 위치하는 하역 선박(2)은 외부에 비해 줄어든 파도에 의해 운동이 감소하게 된다. 즉, 부유식 해양구조물(1)과 하역 선박(2)의 상대운동이 줄어들어 병렬 계류 하역 작업의 작업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파 구조물의 장변 펜스와 단변 펜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는 하방 소파 구조체(50), 지지 프레임(30), 소파판(40), 관통홀(42)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지지 프레임(30)은 장변 펜스(11a, 11b) 혹은 단변 펜스(12a, 12b)의 기본 골격이거나 장변 펜스(11a, 11b) 혹은 단변 펜스(12a, 12b)의 하부에 부착되는 구조물이다.
지지 프레임(30)은 소정 높이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태의 틀일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복수의 소파판(40)이 세로로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소파판0a, 12b type)40)에는 복수의 관통홀(42)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과하는 파도의 에너지가 감소하여 소파판(40) 뒤쪽에 위치하는 내부공간(20), 즉 하역 선박(2)의 근처에서는 파고가 작아지도록 한다.
소파판(40)은 가로 방향으로 여러 겹의 소파판(40)이 겹쳐지는 다층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층의 소파판(40)의 관통홀(42) 위치를 교차 배치시킴으로써 소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0) 및 소파판(40)을 포함하는 하방 소파 구조체(50)는 한 쌍의 장변 펜스(11a, 11b)와 한 쌍의 단변 펜스(12a, 12b) 중 하나 이상에 하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하방 소파 구조체(50)가 4방향으로 모두 설치되는 경우에는 모든 각도의 입사 파도에 대해 소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지 프레임(30), 소파판(40), 관통홀(42)로 구성되는 하방 소파 구조체(50)의 소재는 해수로 인한 부식에 견딜 수 있음과 동시에 일정한 강도를 갖고 구부리나(rollable) 접을(foldable) 수 있는 소재 (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고분자 소재, 탄소합금, 강화복합섬유, 부식 처리된 플렉시블 얇은 금속 등)이며, 이 때 관통홀(42)의 홀 면적은 전체 소파판(40) 면적의 10~90%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층 소파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는 상층 소파 구조물(100), 메인 몸체(110), 장변 펜스(120), 장변 펜스 부재(122a, 122b), 단변 펜스(130), 단변 펜스 부재(130a, 130b)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층 소파 구조물(100)은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메인 몸체(110), 장변 펜스(120), 단변 펜스(130)를 포함한다.
메인 몸체(110)는 상층 소파 구조물(100)의 기본 골격을 구성하며, 부유식 해양구조물(1)의 측벽에 형성된 소정의 격납 공간에 격납되어 보관 가능하다. 평상시에는 격납 공간 내에 위치하여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부유식 해양구조물(1)에 미치는 부하를 최소화하고, 병렬 하역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격납 공간에서 인출되어 소파 구조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몸체(110)의 양단에는 장변 펜스(120)와 단변 펜스(130)가 각각 설치된다. 이 경우 장변 펜스(120)와 단변 펜스(130)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메인 몸체(110)와 일직선이 되는 방향으로 장변 펜스(120)가 설치되고, 메인 몸체(1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단변 펜스(130)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메인 몸체(110)와의 결합 관계가 반대가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관련된 작동 과정을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장변 펜스(120)는 메인 몸체(110)의 일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메인 몸체(110)의 일단에서 A1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변 펜스(120)는 단면적이 상이한 다수 개의 장변 펜스 부재(122a, 122b)가 다단으로 접철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장변 펜스(120)는 후술하는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돌출된 길이의 가변이 가능하다.
단변 펜스(130)는 메인 몸체(110)의 타단에서 장변 펜스(120)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B1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메인 몸체(110)의 일단에서 돌출된 길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변 펜스(130)는 단면적이 상이한 다수 개의 단변 펜스 부재(130a, 130b)가 다단으로 접철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단변 펜스(130)는 후술하는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돌출된 길이의 가변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장변 펜스 부재(122a, 122b) 및 단변 펜스 부재(130a, 130b)는 하방향으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는 장변 펜스 부재(122a, 122b) 및 단변 펜스 부재(130a, 130b)의 하방향으로 도 2에서 도시한 지지 프레임(30), 소파판(40), 관통홀(42)로 구성된 하방 소파 구조체(50)가 부착될 수도 있다.
구동부는 메인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실린더부재 및 제2 실린더부재를 포함한다.
제1 실린더부재는 메인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로드는 장변 펜스(120)에 연결된다. 제1 실린더부재의 로드 작동에 따라 장변 펜스(120)의 돌출된 길이의 가변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실린더부재는 메인 몸체(110)의 내부에서 제1 실린더부재와 함께 설치되는 것으로서, 로드는 단변 펜스(13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 실린더부재의 로드 작동에 따라 단변 펜스(130)의 돌출된 길이의 가변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실린더부재 및 제2 실린더부재의 작동 제어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변 펜스(130)의 말단부에는 메인 몸체(110)와 장변 펜스(120) 사이의 설치 관계와 유사하게 제2 장변 펜스가 단변 펜스(130)의 말단부로부터 교차하는 방향(즉, 장변 펜스(120)와 평행한 A1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접철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장변 펜스의 말단부에는 메인 몸체(110)와 단변 펜스(130) 사이의 설치 관계와 유사하게 제2 단변 펜스가 제2 장변 펜스의 말단부로부터 교차하는 방향(즉, 단변 펜스(130)와 평행한 B1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접철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층 소파 구조물(100)은 병렬 하역 작업이 요구될 경우 메인 몸체(110)에서 장변 펜스(120)를 소정 길이만큼 돌출시키고, 단변 펜스(130) 역시 소정 길이만큼 돌출시키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직사각형 형상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펜스 구조체를 형성하여, 병렬 하역 작업 시 내부공간에 진입한 하역 선박에 미치는 파도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평상 시에는 상층 소파 구조물(100)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그 보관을 위한 격납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키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층 소파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는 상층 소파 구조물(200), 메인 단위 펜스(210a), 제1 단위 펜스(210b~210d), 제2 단위 펜스(220a~220c), 관통홀(230), 연결로프(24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층 소파 구조물(200)은 폴딩(folding)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위 펜스(메인 단위 펜스, 제1 단위 펜스와 제2 단위 펜스)를 포함한다.
메인 단위 펜스(210a)의 일단에는 메인 단위 펜스(210a)의 길이 방향과 일직선 방향(A2 방향)으로 복수의 제1 단위 펜스(210b~210d)가 일렬로 배열되어 장변 펜스를 구성하고, 타단에는 메인 단위 펜스(210a)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B2 방향)으로 복수의 제2 단위 펜스(220a~220c)가 일렬로 배열되어 단변 펜스를 구성한다.
복수의 제1 단위 펜스(210b~210d)는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관통홀(230)이 형성되고, 연결로프(240)가 관통홀(230) 사이를 연결하고 있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복수의 제2 단위 펜스(220a~220c) 역시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관통홀(230)이 형성되고, 연결로프(240)가 관통홀(230) 사이를 연결하고 있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장변 펜스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1 단위 펜스(210b~210d)는 평상시에는 다층 구조로 접혀진 폴딩 상태로 보관되다가, 병렬 하역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 최상층에 위치하는 제1 단위 펜스(210b~210d)를 제1 방향(A2)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전체가 하나의 층으로 펼쳐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단변 펜스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2 단위 펜스(220a~220c)는 평상시에는 다층 구조로 접혀진 폴딩 상태로 보관되다가, 병렬 하역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 최상층에 위치하는 제2 단위 펜스(220a~220c)를 제2 방향(B2)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전체가 하나의 층으로 펼쳐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최상층의 단위 펜스를 잡아당기는 구조는 예를 들어 윈치(winch)와 와이어를 이용하여 최상층의 단위 펜스의 끝단에 와이어를 연결하고 윈치를 감아 와이어를 제1 방향(A2) 혹은 제2 방향(B2)으로 잡아당기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제1 방향(A2)과 제2 방향(B2)으로 연장 가능한 리니어 바(미도시)가 별도 실치되어 있고, 리니어 바와 최상층의 단위 펜스가 결합되어 있어, 리니어 바가 연장됨에 따라 최상층의 단위 펜스가 이동하면서 펼쳐질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단위 펜스(210a~210d, 220a~220c)는 하방향으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는 단위 펜스(210a~210d, 220a~220c)의 하방향으로 도 2에서 도시한 지지 프레임(30), 소파판(40), 관통홀(42)로 구성된 하방 소파 구조체(50)가 부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방 소파 구조체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방 소파 구조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방 소파 구조체(300)은 롤러블 타입(rollable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롤러블 타입 하방 소파 구조체(300)은 플렉시블한 소파판(310)을 포함하며, 소파판(310)에는 복수의 관통홀(320)이 형성된다.
평상시에는 플렉시블한 소파판(310)이 롤러(미도시)에 감겨 있어 그 부피를 최소화하고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소파가 필요한 경우에는 롤러를 회전시켜 소파판(310)이 하방으로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파도가 소파판(310)을 통과하도록 하여 파고의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방 소파 구조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방 소파 구조체(400)은 폴더블 타입(foldable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폴더블 타입 하방 소파 구조체(400)은 복수의 단위 소파판(410a~410d)을 포함하며, 각 단위 소파판(410a~410d)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복수의 단위 소파판(410a~410d)은 가로 혹은 세로로 접을 수 있도록 폴딩 구조로 연결되어 있어, 폴딩 상태에서는 그 부피가 최소화되어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소파가 필요한 경우에는 가로 혹은 세로로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넓은 표면적을 가지도록 하여 파도가 소파판을 통과하도록 하여 파고의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롤러블 타입 하방 소파 구조체(300) 혹은 폴더블 타입 하방 소파 구조체(400)은 앞서 설명한 도 1의 소파 구조물(10), 도 3의 소파 구조물(100), 도 4의 소파 구조물(200)에도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파 구조물이 양방향에 마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부유식 해양구조물(1)에 대해 소파 구조물(10a, 10b)이 일 측면뿐만 아니라 양 측면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는 앙방향 하역 기능을 가지는 부유식 해양구조물(1)에 대해 활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부유식 해양 구조물 2, 2a, 2b: 하역 선박
10, 10a, 10b: 소파 구조물 11a, 11b: 장변 펜스
12a, 12b: 단변 펜스 13: 제1 충돌 방지 펜더
14: 계류라인 15: 제2 충돌 방지 펜더
20: 내부공간 30: 지지 프레임
40: 소파판 50; 하방 소파 구조체
100: 상층 소파 구조물 110: 메인 몸체
120: 장변 펜스 122a, 122b: 장변 펜스 부재
130: 단변 펜스 130a, 130b: 단변 펜스 부재
200: 상층 소파 구조물 210a: 메인 단위 펜스
210b~210d: 제1 단위 펜스 220a~220c: 제2 단위 펜스
230: 관통홀 240: 연결로프
300: 하방 소파 구조체 310: 소파판
320: 관통홀 400: 하방 소파 구조체
410a~410d: 단위 소파판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측벽에 설치되는 소파 구조물로서,
    메인 몸체;
    상기 메인 몸체의 일단에서 상기 메인 몸체와 일직선이 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가변 가능하게 단면적이 상이한 복수의 장변 펜스 부재가 텔레스코픽 구조로 결합된 장변 펜스;
    상기 메인 몸체의 일단에서 상기 메인 몸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가변 가능하게 단면적이 상이한 복수의 단변 펜스 부재가 텔레스코픽 구조로 결합된 단변 펜스를 상층 소파 구조물로 포함하는 병렬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로드가 상기 장변 펜스에 연결되어 상기 장변 펜스의 돌출된 길이를 가변시키는 제1 실린더부재;
    상기 메인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로드가 상기 단변 펜스에 연결되어 상기 단변 펜스의 돌출된 길이를 가변시키는 제2 실린더부재를 더 포함하는 병렬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
  7.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측벽에 설치되는 소파 구조물로서,
    메인 단위 펜스;
    상기 메인 단위 펜스의 일단에 상기 메인 단위 펜스의 길이 방향과 일직선 방향으로 복수의 제1 단위 펜스가 일렬로 배열된 장변 펜스;
    상기 메인 단위 펜스의 일단에 상기 메인 단위 펜스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제2 단위 펜스가 일렬로 배열된 단변 펜스를 상층 소파 구조물로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펜스는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1 연결로프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 않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펜스는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2 연결로프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 않게 연결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펜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펜스가 각각 다층 구조의 폴딩 상태로 보관되다가 병렬 하역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 최상층의 제1 단위 펜스와 제2 단위 펜스가 잡아당겨져 펼쳐지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최상층의 제1 단위 펜스와 제2 단위 펜스는 윈치-와이어 방식 혹은 리니어 바에 의해 폴딩 상태에서 펼쳐지게 되는 병렬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
  8. 삭제
  9.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과, 관통홀이 형성된 소파판을 포함하는 하방 소파 구조체가 상기 상층 소파 구조물의 기본 골격이거나 혹은 상기 상층 소파 구조물의 하부에 부착되는 병렬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 소파 구조체의 소재는 해수로 인한 부식에 견딜 수 있음과 동시에 일정한 강도를 갖고 구부리거나(rollable) 접을(foldable) 수 있는 소재이며, 상기 관통홀의 홀 면적은 상기 소파판의 전체 면적의 10~90% 범위인 병렬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
KR1020150155609A 2015-11-06 2015-11-06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병렬 계류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 KR101774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609A KR101774884B1 (ko) 2015-11-06 2015-11-06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병렬 계류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609A KR101774884B1 (ko) 2015-11-06 2015-11-06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병렬 계류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296A KR20170053296A (ko) 2017-05-16
KR101774884B1 true KR101774884B1 (ko) 2017-09-06

Family

ID=5903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609A KR101774884B1 (ko) 2015-11-06 2015-11-06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병렬 계류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8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647B2 (ja) * 1994-11-16 2000-05-22 株式会社山武 計測値表示方法および計測値表示装置
JP2006265946A (ja) * 2005-03-24 2006-10-05 Mitsubishi Heavy Ind Ltd 膜式堤防
KR101186288B1 (ko) * 2010-11-22 2012-09-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KR101487513B1 (ko) * 2013-11-29 2015-0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문풀유동 소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647B2 (ja) * 1994-11-16 2000-05-22 株式会社山武 計測値表示方法および計測値表示装置
JP2006265946A (ja) * 2005-03-24 2006-10-05 Mitsubishi Heavy Ind Ltd 膜式堤防
KR101186288B1 (ko) * 2010-11-22 2012-09-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KR101487513B1 (ko) * 2013-11-29 2015-0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문풀유동 소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296A (ko) 201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8488B2 (en) Foldabl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folding and unfolding the same
KR101302210B1 (ko) 접이식 빌지킬을 구비한 선박
US8590214B2 (en) Foldable roof for foldable habitation and method of handling and stacking foldable habitations
CA2127720A1 (en) A bridge crane
KR20100029424A (ko) 갑판부 컨테이너의 고박방법, 이 방법에 사용되는 스프링 부착 라싱바, 갑판부 컨테이너의 간격조절장치 및 그 고박설비
KR20110058310A (ko) 접철식 파이프 스토리지 랙이 구비된 해저 파이프 부설선
US10308422B2 (en) Foldable RCS container
KR101774884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병렬 계류 하역 작업용 소파 구조물
KR101186288B1 (ko)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KR101028066B1 (ko) 상부 하중 지지 구조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040018363A (ko) 컨테이너의 고정방법
KR101280491B1 (ko) 컨테이너선용 래싱 브리지
KR20130084446A (ko) 컨테이너선용 래싱브리지
WO2005000668A1 (en) Device at cardeck for vehicles on ships
KR101434434B1 (ko) 모듈 구조체
JP5306499B2 (ja) ポンツーンハッチカバー格納台
JP7015631B2 (ja) 津波バリア
KR101378965B1 (ko) 월 해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uís et al. Ultimate strength of plate assemblies with localized imperfection subjected to compressive loads
KR101784829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선수 소파 장치
KR102588352B1 (ko) 관절형 연결장치
KR20140123153A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대형 호스 유지보수 보조 장치
KR101642391B1 (ko) 화물 적재 선박
KR20110069441A (ko) 다단식 크레인 시스템
KR101815705B1 (ko) 컨테이너 결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