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681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681B1
KR101774681B1 KR1020160001994A KR20160001994A KR101774681B1 KR 101774681 B1 KR101774681 B1 KR 101774681B1 KR 1020160001994 A KR1020160001994 A KR 1020160001994A KR 20160001994 A KR20160001994 A KR 20160001994A KR 101774681 B1 KR101774681 B1 KR 101774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ce
terminal
main body
resi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6285A (ko
Inventor
히데후미 호리우치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6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 금구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선(W)의 단말부에 접속되는 단자 금구(10)와, 상기 단자 금구(10)가 수용되는 하우징(20)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 금구(10)는 통 형상을 이루는 본체부(13)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13)에는 상기 하우징(20)에 마련된 수지 랜스(24)가 후방에서 걸릴 수 있는 랜스 걸림부(18)가 마련되고, 상기 랜스 걸림부(18) 중 상기 본체부(13)의 외주면측에 위치하는 외측 가장자리부(18S)에는, 상기 랜스 걸림부(18) 중 상기 본체부(13)의 내주면측에 위치하는 내측 가장자리부(18U)보다 전방으로 후퇴한 여유부(19)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20)에는, 상기 수지 랜스(24)의 걸림 해제 방향의 탄성 변위를 제한하는 리테이너(27)가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선의 단말부에 접속된 단자 금구가 하우징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하우징에 수용된 단자 금구는, 하우징에 마련된 수지 랜스에 걸려 빠짐이 방지된다.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에 있어서는, 단자 금구의 각통부의 후단에, 수지 랜스가 후방으로부터 걸리는 랜스 걸림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이 강한 힘으로 인장되었을 때에는, 랜스 걸림면의 외연(각통부의 외주면측의 가장자리)의 모서리가 수지 랜스에 걸려 수지 랜스의 걸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의 단자 금구의 유지력이 높여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72744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수지 랜스 중 랜스 걸림면의 외연이 걸리는 지점에 응력이 집중하기 때문에, 매우 강한 힘으로 전선이 인장되면 수지 랜스가 파괴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이 때문에, 수지 랜스로의 응력 집중을 막아 단자 금구의 유지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근거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단자 금구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전선의 단말부에 접속되는 단자 금구와, 상기 단자 금구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 금구는 통 형상을 이루는 본체부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수지 랜스가 후방에서 걸릴 수 있는 랜스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랜스 걸림부 중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측에 위치하는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랜스 걸림부 중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측에 위치하는 내측 가장자리부보다 전방으로 후퇴한 여유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수지 랜스의 걸림 해제 방향의 탄성 변위를 제한하는 리테이너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랜스 걸림부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여유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수지 랜스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한 리테이너에 의해 수지 랜스의 걸림 해제 방향의 탄성 변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단자 금구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자 금구로서, 전선의 단말부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수지 랜스가 랜스 걸림부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커넥터의 일부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여유부가, 상기 랜스 걸림부 중 상기 수지 랜스의 폭 치수에 맞춘 최소한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필요 최소한의 가공에 의해, 여유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여유부가,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를 두드려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랜스 걸림부가, 상기 내주면측에서 상기 외주면측으로 펀칭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 실시예에 대해서, 도 1∼도 3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넥터(C)는, 전선(W)의 단말부에 접속되는 단자 금구(10)와, 단자 금구(10)가 수용되는 하우징(20)을 구비하고 있다. 단자 금구(10)는, 커넥터(C)가 도시하지 않은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춰졌을 때에, 상대측 커넥터에 구비된 암형의 단자 금구에 접속되는 수형의 단자 금구이다. 이하, 각 구성 부재에 있어서, 도 2의 좌측(상대측 커낵터와의 끼워 맞춤면측)을 전방, 우측을 후방, 상측을 상방, 하측을 하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하우징(20)은 합성수지제로서, 내부에 단자 금구(10)가 수용되는 블록 형상을 이루는 단자 수용부(21)와, 단자 수용부(21)의 외주를 포위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는 통 형상의 후드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 수용부(21)에는, 단자 금구(10)가 개별로 수용되는 캐비티(23)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캐비티(23)는, 상하 2단으로 나뉘어 형성되고, 각 단에는 폭 방향으로 한 쌍씩 배열되어 있다.
각 캐비티(23)의 벽면에는, 수지 랜스(24)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수지 랜스(24)는, 상하의 캐비티(23) 사이의 격벽(25)에 마련되고, 즉 상단의 캐비티(23)에서는 하벽에, 하단의 캐비티(23)에서는 상벽에 마련되어 있다.
수지 랜스(24)는, 격벽(25)으로부터 전방으로 캔틸레버 형상을 이루며 연장되는 연장부(24A)와, 연장부(24A)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 돌기부(24B)를 구비하고 있다. 수지 랜스(24)는, 연장부(24A)의 근원부(후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걸림 돌기부(24B)는, 연장부(24A)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기부(24B)의 전면은, 단자 금구(10)를 넣고 빼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교차되는 걸림면(26)으로 되어 있다. 걸림면(26)의 높이 치수(걸림 돌기부(24B)의 돌출 치수)는, 단자 금구(10)를 구성하는 금속 판재를 2장 겹친 판 두께 치수와 동등한 치수로 되어 있다.
후드부(22)는, 단자 수용부(21)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단자 수용부(21)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후드부(22)의 내측이며 단자 수용부(21)의 앞쪽에, 상대측 커넥터가 끼워 맞춰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20)에는, 수지 랜스(24)의 걸림 해제 방향의 탄성 변위(휨 공간(S)측으로의 탄성 변위)를 제한하는 리테이너(27)가 장착되어 있다. 리테이너(27)는, 단자 수용부(21)와는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단자 수용부(21)의 전면측에 장착되는 프론트 리테이너이다.
리테이너(27)는 합성수지제로서, 전체적으로 캡 형상을 이루며, 수지 랜스(24)의 휨 공간(S)에 전방으로부터 진입 가능한 휨 제한부(28)를 갖고 있다. 휨 제한부(28)는, 휨 공간(S)을 메워 수지 랜스(24)의 걸림 해제 방향의 탄성 변위를 제한한다.
전선(W)의 단말부에 접속된 단자 금구(10)를 캐비티(23)에 후방으로부터 삽입하면, 단자 금구(10)가 수지 랜스(24)의 걸림 돌기부(24B)를 눌러 수지 랜스(24)를 휨 공간(S)으로 탄성적으로 휘게 하고, 단자 금구(10)가 정규 위치에 도달하면, 수지 랜스(24)가 탄성 복귀하여 걸림 돌기부(24B)가 단자 금구(10)의 랜스 홀(17)에 끼워 넣어진다. 이에 따라, 단자 금구(10)가 수지 랜스(24)에 의해 1차적으로 빠짐 방지된다. 그 후, 하우징(20)에 장착된 리테이너(27)의 휨 제한부(28)에 의해 수지 랜스(24)의 걸림 해제 방향의 변위가 제한되며, 단자 금구(10)가 2차적으로 빠짐 방지된다.
단자 금구(10)는 도전성의 금속 판재에 굽힘 가공 등을 행하여 일체로 성형되며,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단자 금구(10)의 후단부에는, 전선(W)의 단말부에 접속되는 전선 접속부(11)가 마련되고, 전단부에는, 상대측의 단자 금구에 접촉하여 접속되는 편평판 형상의 탭부(1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 금구(10)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는, 전선 접속부(11)와 탭부(12) 사이를 잇는 본체부(13)가 마련되어 있다.
전선 접속부(11)는, 전선(W)의 단말부가 압착되는 오픈 배럴 형상을 이루고, 바닥판(14)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배럴편(11A)을 갖고 있다(도 1 참조).
본체부(13)는 통 형상을 이루고, 바닥판(14)과 그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기립하는 한 쌍의 측판(15)과, 각 측판(15)의 기립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 바닥판(14)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천장판(16)을 갖고 있다. 또한, 바닥판(14)은, 전선 접속부(11)에 도달할 때까지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천장판(1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3)의 전단부에 있어서는 2장의 금속 판재가 겹쳐진 형태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천장판(16)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는, 수지 랜스(24)의 걸림 돌기부(24B)가 끼워 맞춰질 수 있는 랜스 홀(17)이 형성되어 있다. 랜스 홀(17)은, 천장판(16)을 부분적으로 잘라 세워 형성되어 있다. 랜스 홀(17)을 형성하기 위해 접혀진 부분은 본체부(13) 내부에 천장판(16)으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으로 경사지고, 그 선단이 바닥판(14)에 접촉 또는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랜스 홀(17)은, 수지 랜스(24)의 걸림 돌기부(24B)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전후 방향으로 약간 긴 직사각 형상을 이루며 천장판(16)을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랜스 홀(17)의 주연부 중 앞쪽의 가장자리부가, 수지 랜스(24)가 후방으로부터 걸릴 수 있는 랜스 걸림부(18)로 되어 있다.
랜스 걸림부(18) 중 본체부(13)의 외주면측에 위치하는 외측 가장자리부(18S)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스 걸림부(18) 중 본체부(13)의 내주면측에 위치하는 내측 가장자리부(18U)보다 전방으로 후퇴한 여유부(19)로 되어 있다. 여유부(19)는, 랜스 걸림부(18)의 외측의 모서리를 잘라낸 형태의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여유부(19)는, 랜스 걸림부(18) 중 수지 랜스(24)의 폭 치수에 맞춘 최소한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여유부(19)는, 랜스 홀(17)의 전체 폭 중 양단부에는 형성되지 않고, 중앙부[천장판(16)과 측판(15) 사이의 굴곡부(17K)와, 랜스 홀(17)의 모서리의 라운딩부(17M)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랜스 걸림부(18)는, 내주면측에서 외주면측으로 펀칭하여 형성되어 있고, 여유부(19)는, 랜스 걸림부(18)의 외측 가장자리(18S)를 두드려서 형성된다. 여유부(19)가 형성됨으로써, 외측 가장자리부(18S)의 모서리는 모따기된 형상이 된다. 또한, 랜스 걸림부(18)의 펀칭 방향은 어느 쪽 방향이어도 상관없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커넥터(C)에 있어서 단자 금구(10)의 유지력을 측정한 실험 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험에서는, 랜스 걸림부(18)에 여유부(19)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단자 금구(이후, 종래의 단자 금구라고 칭함)와, 여유부(19)가 형성된 단자 금구(10)를 이용하여 각각의 유지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전선(W)의 단말부에 접속한 종래의 단자 금구 또는 단자 금구(10)를 하우징(20)에 수용하고, 리테이너(27)를 하우징(20)에 장착한 상태에서, 전선(W)을 일정 속도(본 실시예에서는 50 ㎜/min)로 후방으로 인장하고, 종래의 단자 금구 또는 단자 금구(10)가 빠졌을 때의 하중을 판독하는 실험을 각각 복수 회씩 행하였다.
그 실험 결과는 이하와 같았다. 종래의 단자 금구의 유지력은, 최소값이 80.2 N, 최대값이 95.2 N, 평균값(상가 평균)이 86.9 N이었다. 이것에 대하여, 단자 금구(10)의 유지력은, 최소값이 94.8 N, 최대값이 107.0 N, 평균값이 98.6 N이었다. 이 실험 결과에 따라, 단자 금구(10)의 유지력이, 종래의 단자 금구의 유지력에 비해 현저히(약 10 N)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종래의 단자 금구가 하우징(20)으로부터 빠졌을 때에는, 수지 랜스(24)의 일부가 깔끔하게 잘라 내어져 없어지는 등의 파괴 형태를 자주 볼 수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단자 금구(10)가 하우징(20)으로부터 빠졌을 때에는, 수지 랜스(24)의 일부가 종래의 단자 금구의 경우와 같이 깔끔하게 잘라 내어지지 않고, 크게 변형된 상태로 남겨져 있는 등의 파괴 형태를 많이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C)는, 전선(W)의 단말부에 접속되는 단자 금구(10)와, 단자 금구(10)가 수용되는 하우징(20)을 구비하고, 단자 금구(10)는 통 형상을 이루는 본체부(13)를 가지며, 본체부(13)에는 하우징(20)에 마련된 수지 랜스(24)가 후방에서 걸릴 수 있는 랜스 걸림부(18)가 마련되고, 랜스 걸림부(18) 중 본체부(13)의 외주면측에 위치하는 외측 가장자리부(18S)에는, 랜스 걸림부(18) 중 본체부(13)의 내주면측에 위치하는 내측 가장자리부(18U)보다 전방으로 후퇴한 여유부(19)가 마련되며, 하우징(20)에는, 수지 랜스(24)의 걸림 해제 방향의 탄성 변위를 제한하는 리테이너(27)가 장착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랜스 걸림부(18)의 외측 가장자리부(18S)에 여유부(19)가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수지 랜스(24)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막는 수 있고, 또한 리테이너(27)에 의해 수지 랜스(24)의 걸림 해제 방향의 탄성 변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단자 금구(10)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유부(19)가, 랜스 걸림부(18) 중 수지 랜스(24)의 폭 치수에 맞춘 최소한의 범위로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필요 최소한의 가공에 의해, 여유부(19)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자 금구(10)의 본체부(13)에 랜스 홀(17)이 형성되고, 그 앞쪽의 가장자리부가 랜스 걸림부(18)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예컨대 단자 금구의 본체부에 랜스 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본체부의 후단이 랜스 걸림부로 된 단자 금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자 금구(10)가 수형의 단자 금구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암형의 단자 금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여유부(19)가, 랜스 걸림부(18)의 전체 폭 중 양단부를 제외한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유부를, 예컨대 랜스 걸림부의 복수 지점에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도 좋다.
C : 커넥터
W : 전선
10 : 단자 금구
13 : 본체부
18 : 랜스 걸림부
18S : 외측 가장자리부
18U : 내측 가장자리부
19 : 여유부
20 : 하우징
24 : 수지 랜스
27 : 리테이너

Claims (4)

  1. 전선의 단말부에 접속되는 단자 금구와,
    상기 단자 금구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 금구는 통 형상을 이루는 본체부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수지 랜스가 후방에서 걸릴 수 있는 랜스 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랜스 걸림부 중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측에 위치하는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랜스 걸림부 중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측에 위치하는 내측 가장자리부보다 전방으로 후퇴한 여유부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수지 랜스의 걸림 해제 방향의 탄성 변위를 제한하는 리테이너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여유부는 상기 랜스 걸림부에 걸리는 상기 수지 랜스의 걸림면과 접촉하지 않는 것인,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유부는, 상기 랜스 걸림부 중 상기 수지 랜스의 폭 치수에 맞춘 최소한의 범위로 마련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유부는,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를 두드려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랜스 걸림부는, 상기 내주면측에서 상기 외주면측으로 펀칭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KR1020160001994A 2015-01-09 2016-01-07 커넥터 KR101774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02789A JP2016129088A (ja) 2015-01-09 2015-01-09 コネクタ
JPJP-P-2015-002789 2015-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285A KR20160086285A (ko) 2016-07-19
KR101774681B1 true KR101774681B1 (ko) 2017-09-04

Family

ID=5638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994A KR101774681B1 (ko) 2015-01-09 2016-01-07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6129088A (ko)
KR (1) KR1017746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466A (ko) * 2017-09-12 2019-03-20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26233B1 (en) * 2019-05-23 2020-11-03 Te Connectivity Corporation Resilient latch with low stress concentrations
DE102020207331A1 (de) * 2020-06-12 2021-12-16 Aptiv Technologies Limited Verbindergehäuse und verbinderanordnung für abgedichtete ringanschlüs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8534A (ja) * 2011-05-13 2012-12-0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気コネクタ及びハーネ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2744A (ja) 2002-03-19 2003-09-26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および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8534A (ja) * 2011-05-13 2012-12-0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気コネクタ及びハーネ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466A (ko) * 2017-09-12 2019-03-20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102070372B1 (ko) 2017-09-12 2020-01-29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29088A (ja) 2016-07-14
KR20160086285A (ko) 201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953B1 (ko) 커넥터
JP6119670B2 (ja) コネクタ
EP2779317A1 (en) Connector
US20150311629A1 (en) Electric connector
US20150333427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connector and terminal fitting
KR101774681B1 (ko) 커넥터
KR20110099186A (ko) 단자 피팅
JP2019149335A (ja) 端子及びハーネス
JP5999510B2 (ja) 雌端子金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60544A (ja) 雌端子金具
CN107017516B (zh) 连接器
US10658778B2 (en) Female electrical terminal
KR101723298B1 (ko) 커넥터 하우징
CN106463869B (zh) 阴端子
US9124017B2 (en) Terminal fitting
JP6119671B2 (ja) コネクタ
US11217925B2 (en) Female terminal
US10367289B2 (en) Terminal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or device
JP2012129012A (ja) 端子金具の接続構造
JP6143194B2 (ja) 雄端子金具
JP2016207253A (ja) コネクタと端子金具の接続構造
JP5836623B2 (ja) コネクタ
US11646521B2 (en) Connector with terminal fitting
CN205488744U (zh) 可快速组装的usb插头连接器外壳
KR20150027298A (ko) 조인트 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