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743B1 - Mobile terminal,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743B1
KR101772743B1 KR1020150006643A KR20150006643A KR101772743B1 KR 101772743 B1 KR101772743 B1 KR 101772743B1 KR 1020150006643 A KR1020150006643 A KR 1020150006643A KR 20150006643 A KR20150006643 A KR 20150006643A KR 101772743 B1 KR101772743 B1 KR 101772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llumination
bluetooth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6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0235A (en
Inventor
송주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6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743B1/en
Publication of KR2015002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2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7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5B37/0245
    • H05B37/027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조명장치의 제어를 위한 입력을 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조명장치의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장치에 송신하는 블루투스 송신모듈을 포함한다.A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device;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illumin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And a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lighting device.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조명장치 및 조명시스템{MOBILE TERMINAL,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0001] MOBILE TERMINAL,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0002]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조명장치 및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 lighting device and a lighting system.

조명장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실내 인테리어의 일반 조명, 특정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무대 조명, 광고 조명 및 경관 조명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조명장치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포함하며, 이는 일반 램프 조명장치에 비해 적은 소모 전력으로 구동된다. 특히, LED 조명장치는 다수 배열설치된 LED의 점멸 순서, 발광 색상 및 밝기 등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연출을 수행할 수 있다.Lighting apparatuses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particular, for general lighting of interior decorations, stage lighting for producing a specific atmosphere, advertising lighting, and landscape lighting. The lighting device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LED) device, which is driven with less power consumption than a typical lamp lighting device. In particular, the LED lighting device can perform various kinds of production by controlling the flashing order, the color of light emission, and the brightness of LEDs having a large number of LEDs.

기존의 LED 조명을 제어하는 방식은 전원을 온/오프 하거나, 조명과 유선으로 연결된 제어장치의 버튼을 이용했다. 그러나, 제어장치가 고정된 위치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움직여서 제어장치를 동작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trolling the LED illumination uses the buttons of the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by turning on / off the power or by the light and the wire. However, since the control device is located in a fixed posi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move to operate the control device.

따라서, 조명을 제어하는 방식은 유선에서 무선으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이 있다. Therefore,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method of controlling illumination is moving from wired to wireless, and there i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lighting device by using Bluetooth.

그러나,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은 블루투스 리모콘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추가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device such as a Bluetooth remote controller must be additionally provided a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lighting device using Bluetooth.

[선행특허 문헌] 국내공개특허공보 제 10-2008-0092038호[Prior Patent Literatur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092038

본 발명은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이 이동 단말기를 통해 조명장치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조명 장치, 및 조명제어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 lighting apparatus, and a lighting control system that can conveniently control a lighting apparatus through a mobile terminal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조명장치의 제어를 위한 입력을 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조명장치의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장치에 송신하는 블루투스 송신모듈을 포함한다.A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device;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illumin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And a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light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조명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수신모듈;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조명구동부; 및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여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A lighting device controlled by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uetooth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n illumination driver for output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illu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an illumination unit for emitting light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signal.

이동 단말기를 통해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조명시스템에 있어서,A lighting system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through a mobile terminal,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조명장치의 제어를 위한 입력을 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조명장치의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장치에 송신하는 블루투스 송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수신모듈과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조명구동부와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여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device,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ligh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and a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lighting device The lighting device comprising: a Bluetooth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light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signal; And a lighting unit for emitting light in response to the driving sig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리모콘과 같은 별도의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수단이 필요 없이 조명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고, 별도의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수단이 필요 없게 되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 등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conveniently control the lighting without the need for means for controlling a separate lighting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ler, and there is no need for means for controlling the separate lighting devic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송신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블록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조명제어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00) 및 조명장치(200)를 포함한다.The lighting control system includes a mobile terminal 100 and a lighting device 200.

이동 단말기(100)와 조명장치(200)는 상호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통신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 중의 하나인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 단말기(100)와 조명장치(200)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호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와 조명장치(200) 각각은 후술할 블루투스 송신모듈(110), 블루투스 수신모듈(210)을 포함한다.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illumination device 200 can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can use Bluetooth, which is one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lighting apparatus 200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using Bluetooth,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lighting apparatus 200 each include a Bluetooth transmitting module 110, a Bluetooth receiving module 210).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을 받은 경우, 그에 따른 신호를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조명장치(200)에 송신하여 조명장치(200)를 제어한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an input by a user's operation,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to the lighting device 200 using Bluetooth to control the lighting device 200. [

블루투스란 약 10m 내지 100m 정도의 근거리 상에서 2.4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규격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통신 규격은 동일 주파수가 사용되는 경우 발생하는 혼선을 처리하거나 기기간의 식별을 위하여 약정된 규격을 포함하고 있다.Bluetooth refers to a communication standard that allows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a frequency of 2.4 GHz band in a short distance of about 10 m to 100 m. Such a communication standard can be used for handling crosstalk occurring when the same frequency is used, And includes the agreed specifications.

본 발명의 블루투스 송신모듈(110) 및 블루투스 수신모듈(210)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규격을 따른다.The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110 and the Bluetooth reception module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y with the Bluetooth Low Energy standard.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규격은 기존 블루투스 규격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듀티 싸이클(duty cycle)을 가지며 저가격 생산이 가능하고, 저속의 데이터 전송률을 통한 전력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어 코인셀 배터리를 이용할 경우 1년 이상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디바이스 연결절차를 간소화하였으며, 패킷 사이즈도 기존 블루투스에 비해 작게 설계되었다.The Bluetooth low energy standard has a relatively small duty cycle and can be manufactured at a low cost compared with the existing Bluetooth standard and the power consumption through the low data rate can be greatly reduced so that the coin cell battery If it is used, it can operate for more than one year. The device connection procedure is simplified, and the packet size is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conventional 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규격은 듀얼모드와 싱글모드 두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듀얼모드는 기존 블루투스와 저에너지 기술이 공존하는 형태이며 주로 휴대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 사용되고, 싱글모드는 센서 등과 같은 독립형 제품에 사용되며 프로토콜 구조는 듀얼모드와 동일하다.The Bluetooth low energy standard can be implemented in two modes: dual mode and single mode. The dual mode is a mode in which existing Bluetooth and low-energy technology coexist, and is mainly used for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ingle mode is used for a stand-alone product such as a sensor, and a protocol structure is the same as a dual mode.

본 발명의 블루투스 송신모듈(110) 및 블루투스 수신모듈(210)의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규격은 듀얼모드 또는 싱글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The Bluetooth low energy standard of the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110 and the Bluetooth reception module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dual mode or a single mode.

이동 단말기(100)는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e) 폰, GSM 폰, CDMA-2000 폰, WCDMA 폰과 같은 통상적인 이동 전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 MBS(Mobile Broadcast System) 폰 일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a conventional mobile phone such as a cellular phone,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phone, a GSM phone, a CDMA-2000 phone, a WCDMA phone,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MBS (Mobile Broadcast System) phone.

조명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포함하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토대로 한 동작을 수행한다.
The lighting device 200 includes at least one light source and performs an operation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송신모듈(110), 사용자 입력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부(140), 출력부(150), 전원공급부(160),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110, a user input unit 120, an interface unit 130, a memory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power supply unit 160, .

블루투스 송신모듈(110)은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를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규격에 따라 조명장치(200)로 전송한다.The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110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20 to the illuminati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Bluetooth low energy standard.

사용자 입력부(120)는 조명장치(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는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20 receives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200 by the user. The user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30)에 포함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3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3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allows data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30.

메모리부(140)는 제어부(17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4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70 and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moving picture, etc.). The memory 140 may store data on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ted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메모리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4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magnetic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4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40 on the Internet.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 모듈, 알람부, 및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generates an output related to a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an audio output module, an alarm unit, and a haptic module.

전원공급부(16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6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제어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부(120)에 의해 입력 받은 입력신호를 블루투스 송신모듈(11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110 to transmit the input signal received by the user input unit 120.

제어부(17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can perform pattern recognition processing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송신모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블루투스 송신모듈(110)은 대역통과필터(BPF: Band Pass Filter)(111), 스위치부(112), 고주파(RF: Radio Frequency)처리부(113), 중간대역처리부(BBC: Bluetooth Baseband Core)(114), 연산처리부(μPU: micro-Processor Unit)(115) 및 위상동기회로부(116)를 포함한다.The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110 includes a band pass filter (BPF) 111, a switch unit 112, a radio frequency (RF) processing unit 113, a BBC (Bluetooth Baseband Core) 114, a micro-processor unit (μPU) 115, and a phase lock circuit unit 116.

위의 구성부들은 하나의 칩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들 칩소자가 기판 상에 실장되어 몰딩됨으로써 블루투스 송신모듈(110)을 이룰 수도 있다.The abov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device, and these chip devices may be mounted on a substrate and molded to form a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110.

또한, 위의 구성부들 외에 메모리, 전원부, 음성 코덱, 헤드셋 인터페이스 등의 구성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components such as a memory, a power supply, a voice codec, and a headset interface may be further provided.

우선, 대역통과필터(111)는 안테나를 통하여 인입되는 신호 중에서 블루투스 대역의 주파수 신호만을 필터링하여 스위치부(112)로 전달하고, 스위치부(112)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분리하여 안테나 또는 고주파처리부(113)로 전달한다.First, the band pass filter 111 filters only a frequency signal of the Bluetooth band from the signals input through the antenna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witch unit 112. The switch unit 112 separates the transmit signal and the receive signal, And transfers it to the processing unit 113.

상기 고주파처리부(113)는 수신단과 송신단으로 이루어져(고주파처리부(113)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되지 않음), 수신단은 아날로그 RF신호를 중간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송신단은 중간대역신호를 아날로그 RF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eceiving unit converts an analog RF signal into an intermediate band signal, and the transmitting unit converts the intermediate band signal into an analog RF signal (not shown) As shown in FIG.

수신단은 저잡음증폭기(LNA), 수신대역통과필터(Rx BPF), 주파수혼합기, IF필터 및 수신신호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송신단은 전력증폭모듈(PAM), 송신대역통과필터(Tx BPF), 주파수혼합기, IF필터 및 송신신호처리모듈을 포함한다.The receiver includes a low noise amplifier (LNA), a receive bandpass filter (Rx BPF), a frequency mixer, an IF filter and a receive signal processing module. The transmitter includes a power amplifier module (PAM), a transmit bandpass filter (Tx BPF) A mixer, an IF filter, and a transmit signal processing module.

고주파처리부(113)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 규격을 따르므로 40개의 교신 채널을 설정하여 무선망을 구성하고, 블루투스 통신의 송수신을 제어한다.Since the high frequency processor 113 complies with the Bluetooth low energy standard, 40 communication channels are set to configure a wireless network and control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Bluetooth communication.

중간대역처리부(114)는 물리계층의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구성부로서, FFT(Fast Fourier Transform) 회로, 에러 교정 회로, 디지털 변복조기, 채널 부호화기/복호화기 등을 구비하며, 블루투스 대역 신호를 코딩/디코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로서 신호처리하고, 디스플레이장치, 키패드 등의 입출력장치를 제어하여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middle band processing unit 114 includes a Fast Fourier Transform (FFT) circuit, an error correction circuit, a digital modulator / demodulator, a channel encoder / decoder, and the like. Performs signal processing as multimedia data, and controls input / output devices such as a display device and a keypad to provide a user interface.

또한, 중간대역처리부(114)는 송수신호를 변복조시킴에 있어서,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이득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득제어신호를 고주파처리부(113)의 저잡음증폭기 또는 전력증폭기로 전달함으로써 신호 세기를 조정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band processing unit 114 generates a gain control signal by sensing the strength of the signal and transmits the gain control signal to a low noise amplifier or a power amplifier of the high frequency processing unit 113, .

연산처리부(115)는 네트워크 링크를 제어하고,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지털 신호를 처리한다.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115 controls a network link and executes an application program to process a digital signal.

위상동기회로부(116)는 2차 루프필터를 이용하여 고주파 처리부(113)로 주파수원 신호를 제공한다.
The phase lock circuit 116 provides a frequency source signal to the high frequency processor 113 using a secondary loop filt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조명장치(200)는 블루투스 수신모듈(210), 조명부(220), 조명구동부(230), 센서부(240), 저장부(250), 카메라부(260), 컨트롤러(2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ing device 200 may include a Bluetooth receiving module 210, an illumination unit 220, an illumination driving unit 230, a sensor unit 240, a storage unit 250, a camera unit 260, have.

블루투스 수신모듈(210)은 이동 단말기(100)의 블루투스 송신모듈(110)과 통신을 수행한다. 블루투스 수신모듈(210)은 블루투스 송신모듈(110)가 송신한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블루투스 수신모듈(210)은 블루투스 송신모듈(110)을 구성하는 요소들과 대응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21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Bluetooth transmitting module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21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uetooth transmitting module 110.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210 may have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Bluetooth transmitting module 110.

조명부(220)는 후술할 조명 구동부(230)를 통해 입력되는 조명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빛을 발광한다. 조명부(220)는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백색 LED, RGB LED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조명부(220)는 다수 개의 조명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illumination unit 220 emits light in response to the illumination driving signal input through the illumination driving unit 2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illumination unit 220 may be implemented by an LED (Light Emitting Diode),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 white LED, an RGB LED, or the like. The illumination unit 22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ights.

조명 구동부(230)는 후술할 컨트롤러(2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부(220)에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조명 구동부(230)는 컨트롤러(270)의 제어신호에 따른 밝기로 조명부(220)가 구동되도록 조명부(220)에 구동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The illumination driving unit 230 may supply a driving signal to the illumination unit 22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ler 27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illumination driver 230 may supply the illumination unit 220 with the driving signal so that the illumination unit 220 is driven with the brightnes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270.

또한, 조명 구동부(230)는 조명부(220)에 포함된 다수의 조명 중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조명에만 구동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llumination driving unit 230 can supply driving signals only to the illumination existing at a specific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illumination included in the illumination unit 220.

센서부(240)는 조명장치(200)의 구동이 필요 없는 경우를 감지하여, 조명장치(200)의 구동을 멈추어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sensor unit 240 senses the case where the driving of the lighting device 200 is not necessary and stops the driving of the lighting device 200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from being consumed.

저장부(250)는 조명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나, 조명장치(200)의 동작 중에 발생한 정보 등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250 store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illumination device 200,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illumination device 200, and the like.

특히, 저장부(25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부(120)의 입력에 대응하여 조명장치(200)의 동작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조명의 동작 조건 정보를 저장한다.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250 stores operation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illumination for adjus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illumination device 200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user's input unit 120 of the user.

이때, 조명장치(200)의 동작 조건 정보에는 조명의 밝기 정보, 조명의 위치 정보, 조명의 색상 정보 등을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illumination device 200 includes brightness information of illumination, position information of illumination, color information of illumination, and the like.

저장부(2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5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M, ROM (EEPROM, etc.), and the like.

카메라부(260)는 조명장치(200)가 비추는 공간을 촬영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명장치(200)의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The camera unit 260 may be installed in a part of the lighting device 200 as a means for photographing the space illuminated by the lighting device 200. [

컨트롤러(270)는 조명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2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200.

특히, 컨트롤러(270)는 블루투스 수신모듈(210)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조명장치(200)의 동작 조건 정보를 저장부(250)로부터 추출하며, 추출한 조명장치(200)의 동작 조건 정보에 의해 조명부(220)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270 extracts the operating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lighting device 200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210 from the storage unit 250, And controls the illumination unit 220 to be driven by the condition information.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이동단말기
110 : 블루투스 송신모듈
120 : 사용자 입력부
130 : 인터페이스부
140 : 메모리부
150 : 출력부
160 : 전원공급부
170 : 제어부
200 : 조명장치
210 : 블루투스 수신모듈
220 : 조명부
230 : 조명구동부
240 : 센서부
250 : 저장부
260 : 카메라부
270 : 컨트롤러
100: mobile terminal
110: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120: user input section
130:
140:
150:
160: Power supply
170:
200: Lighting device
210: Bluetooth receiving module
220:
230:
240:
250:
260:
270: Controller

Claims (10)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의 제어를 위한 입력을 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동작 조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조명 중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조명의 동작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동작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장치에 송신하는 블루투스 송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조명 중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조명에만 상기 동작 조건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가 공급되도록 하는 상기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이동 단말기.
A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A user input for receiving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device;
An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setting an operation condition of an illumination at a specific position among a plurality of illuminations constituting the illumination apparatus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n operation condition of the illumination apparatus, ; And
And a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lighting device,
Wherein,
And generates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such that a driv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condition is supplied only to the illumination existing at a specific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illuminations constituting the illumin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송신모듈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블루투스 대역의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고주파 처리부;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를 부호화 한 후 상기 부호화된 신호를 변조하는 중간대역 처리부; 및
상기 변조된 신호를 상기 조명장치에 송신하는 블루투스 송신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A high frequency processor for converting a high frequency signal of the Bluetooth band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n intermediate band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coding the digital signal and modulating the encoded signal; And
And a Bluetooth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modulated signal to the ligh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송신모듈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rtooth Low Energy) 규격을 따르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A mobile terminal conforming to the Bluetooth Low Energy (Blurtooth Low Energy) stand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emory unit for storing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이동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수신모듈;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동작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동작 조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저장된 상기 조명장치의 동작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동작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조명구동부; 및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여 빛을 발광하며, 복수의 조명을 포함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조건 정보는
상기 복수의 조명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입력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조명 중 특정 조명에만 적용될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조명 구동부는,
상기 조명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복수의 조명 중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조명에만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조명장치.
A lighting device controlled by a mobile terminal,
A Bluetooth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operation condition information for adjus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illumin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lighting apparatus using operation condition information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lighting apparatus stor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n illumination driver for output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illu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And an illumination unit that emits light corresponding to the drive signal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s,
The operating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s,
The controller comprising: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be applied only to a specific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s based on the received input signal,
The light-
And supplies a driv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only to an illumination existing at a specific one of the plurality of illuminations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llumin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수신모듈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 규격을 따르는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Lighting devices that comply with the Bluetooth low energy standar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가 비추는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camera section for photographing an area illuminated by the illumination device.
이동 단말기를 통해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조명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조명장치의 제어를 위한 입력을 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조명장치의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장치에 송신하는 블루투스 송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수신모듈과,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동작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동작 조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저장된 상기 조명장치의 동작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동작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조명구동부와,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여 빛을 발광하며, 복수의 조명을 포함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조건 정보는
상기 조명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입력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조명 중 특정 조명에만 적용될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조명구동부는,
상기 조명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복수의 조명 중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조명에만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조명시스템.
A lighting system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through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user input for receiving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device,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illumin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And a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lighting device,
The illumination device includes:
A Bluetooth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operation condition information for adjus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illumin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lighting apparatus using operation condition information for adjus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lighting apparatus store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signal;
An illumination driver for output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illu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an illumination unit that emits light corresponding to the drive signal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s,
The operating condition information
Compri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llumination,
The controller comprising: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be applied only to a specific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s based on the received input signal,
The light-
And supplies a driv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only to an illumination existing at a specific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illuminations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llumin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송신모듈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블루투스 대역의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고주파 처리부;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를 부호화 한 후 상기 부호화된 신호를 변조하는 중간대역 처리부; 및
상기 변조된 신호를 상기 조명장치에 송신하는 블루투스 송신부를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A high frequency processor for converting a high frequency signal of the Bluetooth band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n intermediate band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coding the digital signal and modulating the encoded signal; And
And a Bluetooth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modulated signal to the light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송신모듈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 규격을 따르는 조명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luetooth transmission module
A lighting system that complies with the Bluetooth low energy standard.
KR1020150006643A 2015-01-14 2015-01-14 Mobile terminal,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KR1017727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643A KR101772743B1 (en) 2015-01-14 2015-01-14 Mobile terminal,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643A KR101772743B1 (en) 2015-01-14 2015-01-14 Mobile terminal,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959A Division KR101500030B1 (en) 2011-10-24 2011-10-24 Mobile terminal,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235A KR20150020235A (en) 2015-02-25
KR101772743B1 true KR101772743B1 (en) 2017-08-29

Family

ID=5257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643A KR101772743B1 (en) 2015-01-14 2015-01-14 Mobile terminal,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74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149Y1 (en) * 2005-09-06 2005-12-09 주식회사 소프텔레웨어 Bluetooth Access Point Apparatus Capable Of Bluetooth Module Connect And Disconnect
JP2010238572A (en) * 2009-03-31 2010-10-21 Yashima Dengyo Co Ltd Led lighting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149Y1 (en) * 2005-09-06 2005-12-09 주식회사 소프텔레웨어 Bluetooth Access Point Apparatus Capable Of Bluetooth Module Connect And Disconnect
JP2010238572A (en) * 2009-03-31 2010-10-21 Yashima Dengyo Co Ltd Led lighting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235A (en)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1646B2 (en)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control system
US766350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emitting color of visible light according to a current communication state in a VLC device
US9794690B2 (en) Wireless speaker system and wireless data transmission method
CN102640434B (en) Control to be used for the apparatus and method of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of data transmission
US9822963B2 (en) Wirelessly-controlled lighting device with audio play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51708B2 (en) Intelligent lighting apparatus
KR101500030B1 (en) Mobile terminal,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EP2822352B1 (en) Wireless Control System And Wireless Network Expansion Method Applied Thereto
KR101765978B1 (en)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US986726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lighting system
US2013016916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grouped devices
US11606852B2 (en) Voice communication between lamp and remote device plus lighting control via remote device
KR101772743B1 (en) Mobile terminal,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KR101674124B1 (en)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surface illuminator
US10165659B2 (en) Lighting system controller configured to be remotely controlled via a Bluetooth-enabled wireless device for controlling outdoor LED lighting
KR20120131438A (en) System for controlling peripheral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with connected smart phone and method therefor
US20060238371A1 (en) Remote control system of electric equipment
CN205566378U (en) Multi -media lamp
CN107527402B (en) Light-operated door lock system
KR20150006817A (en) Mobile terminal,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KR20150099985A (en)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lighting device and remote controller
CN106209229A (en) Data transmission device based on light and method
KR20130043391A (en) Mobile terminal,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TWI632827B (en) Intelligent lighting apparatus
US20210020395A1 (en) Smart Light Swit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