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078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078B1
KR101772078B1 KR1020110002425A KR20110002425A KR101772078B1 KR 101772078 B1 KR101772078 B1 KR 101772078B1 KR 1020110002425 A KR1020110002425 A KR 1020110002425A KR 20110002425 A KR20110002425 A KR 20110002425A KR 101772078 B1 KR101772078 B1 KR 101772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isplay module
key region
dispos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941A (ko
Inventor
홍봉국
강영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2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078B1/ko
Publication of KR20120080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층되도록 배치되고,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패턴을 포함하는 윈도우부와, 상기 윈도우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키 영역 및 상기 터치시 상기 키 영역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키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적층되는 전기적 소자를 포함함으로써, 단말기 내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고, 여유 공간에는 안테나와 같은 내부 구조물을 장착할 수 있게 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모듈 위에 전기적 소자가 형성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단말기 전면의 터치 키의 라이팅(Lighting)구현 시 별도의 LED 부품을 회로기판에 실장할 필요없이 디스플레이 모듈에 일체화하여 구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층되도록 배치되고,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패턴을 포함하는 윈도우부와, 상기 윈도우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키 영역 및 상기 터치시 상기 키 영역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키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적층되는 전기적 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키 영역내에, 단말기의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각각 다른 패턴의 키 마크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키마크들이 배치되는 키 영역을 각각 분할하여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분할된 키 영역의 하면에, 상기 전기적 소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적 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ED)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장착되며,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부와, 단말기 케이스의 일단에 근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키 영역 및 상기 터치 입력시 상기 키 영역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키 영역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적층되는 전기적 소자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키 영역내에, 단말기의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각각 다른 패턴의 키 마크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키마크들이 배치되는 키 영역을 각각 분할하여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분할된 키 영역의 하면에, 상기 전기적 소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의 시각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연계하여 단말기의 각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형성되는 키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키 영역은 서로 근접하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전기적 소자를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에 배치하는 것에 비하여, 디스플레이 영역과 키 영역을 서로 근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별도의 회로기판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단말기 내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고, 여유 공간에는 안테나와 같은 내부 구조물을 장착할 수 있게 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단말기의 본체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 음향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제1 조작부(116), 음향 입력부(117)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141, 도 3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조작부(116)는 윈도우부 상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도록 형성되는 키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음향 입력부(117)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 측에 장착된 리어 케이스(121)에는 제2 조작부(123), 인터페이스(124), 전원 공급부(12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작부(123)는 리어 케이스(121)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와 더불어 제2 조작부(12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메뉴 등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조작부(123)는 스크롤 기능 외에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부(116,123)이 예시된 바와 같이 최소화된다면, 전화 번호나 문자 등은 디스플레이부(113)에 구비되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25)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리어 케이스(121)에 장착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25)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21)에는 제2 영상 입력부(127), 제2 음향출력부(130),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1) 등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7)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7)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 입력부(127)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8)와 거울부(129)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8)는 제2 영상 입력부(127)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29)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7)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 음향출력부(130)는 제1 음향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1)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와 별도로 리어 케이스(121)의 일 측에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1)는 리어 케이스(121)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조작부(116) 등은 프론트 케이스(111)에, 제2 조작부(123) 등은 리어 케이스(121)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위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조작부(123)가 제1 조작부(116)와 인접하게 프론트 케이스(111)에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7)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7)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11)의 일면을 덮도록 윈도우부(140)가 결합 된다. 윈도우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외부에서 인지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일면을 덮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윈도우부(140)가 디스플레이부(113, 도 1 참조)를 이룬다.
윈도우부(140)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정보(명령, 신호 등)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윈도우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부(140)에는 빛이 투과되지 않거나 빛의 투과율이 아주 낮은 불투명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부(140)의 가장자리를 따라 빛이 투과할 수 없도록 표면 처리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제1 조작부(116)에 대응하여 조작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 패드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누름 조작하는 대상이 된다. 이러한 조작 패드 윈도우부(140)의 일부분에 조작 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음향홀(114b), 윈도우홀(112b), 그리고 영상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음향홀(114b)은 음향출력부(114)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이동 단말기의 음향, 예를 들어 벨소리, 음악 등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윈도우홀(112b)은 디스플레이부(11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제1 영상 입력부(115, 이상 도 1 참조)에 대응하여서는 광 투과성의 영상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21)에는 회로기판(170), 디스플레이 모듈(141), 스피커 모듈(114a), 카메라 모듈(115a), 그리고 스위치등이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170)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170)은 사용자가 윈도우부(140)를 터치함에 따라 발생하는 윈도우부(140)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변화, 예를 들어 정전용량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부(140)의 내부에는 전극이 내장되도록 형성된다. 전극은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에는 전하가 충전될 수 있으며, 도전체가 가까운 거리에서 움직이면 그에 따라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의 변화할 수 있다. 도전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윈도우를 터치하면 전극에 충전된 전하량이 변하며, 이는 결국 손가락과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하는 것과 같다.
윈도우부(140)의 전극은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제어부, 예를 들어 회로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연성회로기판(150)이 홀(150b)을 관통하여 회로기판(170, 이상 도 3 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전하량의 변화의 감지에 따라 회로기판(170)은 이동 단말기(100)와 관련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50)는 윈도우부(140)의 일단에서 연장된다. 연성회로기판(150)의 일단에는 연결부(151)가 형성되어 전극과 연결되며 타단은 커넥터(185)에 의해 회로기판(170)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51)는 일정 강성(stiffness)와 탄성을 유지하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3)는 윈도우부(140), 디스플레이 모듈(141) 및 전기적 소자(181)를 포함한다. 윈도우부(140)에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패턴이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일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41)을 구성하는 회로기판(141b)과 액정패널(141a) 위에 결합층 또는 보호층(142a)이 형성되고, 이 위에 터치 패턴(140b)과 윈도우부(140)가 적층된다. 보호층은 UV 레진이나 기타 합성 수지가 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과 윈도우부를 결합하고, 윈도우부가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케이스에 접하는 영역에는 엘시디 패드(14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과 윈도우부를 결합하고, 윈도우부가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윈도우부(140)는 키 마크(116b)들이 배치되는 키 영역(116)과 디스플레이 모듈(141)로부터 시각 정보롤 받아 투영되는 디스플레이 영역(140a)을 포함한다.
키 영역(116)에는 단말기의 각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형상화된 키 마크(116b)들이 형성되고, 상기 키 마크(116b)들은 메뉴, 홈, 되돌리기, 서치 등의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사각형 형상, 집 형상, 화살표가 후방을 가르키는 형상, 돋보기의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들이 키 마크(116b)들을 보고, 해당 키를 누르거나, 접촉하면 단말기의 원하는 기능이 수행된다는 것을 직감할 수 있다. 즉, 상기 키 영역(116)에는, 서로 다른 패턴으로 이루어진 키 마크(116b)들이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키 마크(116b)들을 터치하게 되면 미리 정해진 단말기의 일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키 영역(116)은 상기 각각의 키 마크(116b)들에 대응하도록 분할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 마크(116b)들은 터치 입력시 상기 키 영역(116)의 하부에 배치된 전기적 소자(181)가 발광되는 경우 빛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키 마크(116b)들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키 영역(116a)들은 하면에 배치된 전기적 소자(181)에 의해 발광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보다 확실하게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되며, 분할된 키 영역(116a)에 서로 다른 밝기나 색상의 빛이 새어나와 사용자의 편의성 또는 단말기에 색다른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소자(181)는 특히 발광 다이오드(LED)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전기적 소자(181)를 디스플레이 모듈(141) 위의 홈(180)에 배치함으로써, 구동 인버터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백라이트나 기타 소자들을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적 소자(181)를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측면에 배치하는 것에 비하여, 디스플레이 영역(140a)과 키 영역(116)을 서로 근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별도의 회로기판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전기적 소자(181)를 디스플레이 모듈(141) 위에 배치하면, 단말기 내에 여유 공간(160)이 형성되며, 여유 공간(160)에는 안테나와 같은 내부 구조물을 장착할 수 있게 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여유 공간은 회로기판(141b)이나 디스플레이 모듈(141)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있으므로, 안테나가 실장될 경우 충분한 대역폭과 방사효율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9)

  1.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층되도록 배치되고,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패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시각정보를 받아 투영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부;
    상기 윈도우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키 영역; 및
    상기 터치시 상기 키 영역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키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적층되는 전기적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소자는 상기 액정패널 위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일체화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키 영역은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영역내에, 단말기의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각각 다른 패턴의 키 마크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마크들이 배치되는 키 영역을 각각 분할하여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분할된 키 영역의 하면에, 상기 전기적 소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시각 정보를 받아 투영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장착되며,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부;
    단말기 케이스의 일단에 근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키 영역; 및
    상기 터치 입력시 상기 키 영역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키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적층되는 전기적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소자는 상기 액정패널 위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일체화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키 영역은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 영역내에, 단말기의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각각 다른 패턴의 키 마크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마크들이 배치되는 키 영역을 각각 분할하여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분할된 키 영역의 하면에, 상기 전기적 소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삭제
  9. 삭제
KR1020110002425A 2011-01-10 2011-01-10 이동 단말기 KR101772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425A KR101772078B1 (ko) 2011-01-10 2011-01-10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425A KR101772078B1 (ko) 2011-01-10 2011-01-10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941A KR20120080941A (ko) 2012-07-18
KR101772078B1 true KR101772078B1 (ko) 2017-08-28

Family

ID=4671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425A KR101772078B1 (ko) 2011-01-10 2011-01-10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0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006B1 (ko) * 2012-10-16 2019-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7566588A (zh) * 2017-08-22 2018-01-09 长沙市宇顺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触摸屏按键背光装置及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941A (ko)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4209B2 (en) Mobile terminal
RU2399085C2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KR101886752B1 (ko) 이동 단말기
KR101485392B1 (ko) 휴대 단말기
KR101832954B1 (ko) 이동 단말기
KR101437991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46618A (ko) 휴대 단말기
KR101822938B1 (ko) 이동 단말기
KR101772078B1 (ko) 이동 단말기
KR101392916B1 (ko) 휴대 단말기
KR10201822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89536B1 (ko) 이동 단말기
KR101604749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1910381B1 (ko) 이동 단말기
KR101922006B1 (ko) 이동 단말기
KR101409872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43B1 (ko) 휴대 단말기
KR20150067671A (ko) 이동 단말기
KR101960513B1 (ko) 이동 단말기
KR101301522B1 (ko) 휴대 단말기
KR101631082B1 (ko) 키패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04213B1 (ko)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30005575A (ko) 이동 단말기
KR20090036466A (ko) 휴대 단말기
KR20130053618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