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429B1 - 접촉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만빙 여부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접촉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만빙 여부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429B1
KR101771429B1 KR1020160108820A KR20160108820A KR101771429B1 KR 101771429 B1 KR101771429 B1 KR 101771429B1 KR 1020160108820 A KR1020160108820 A KR 1020160108820A KR 20160108820 A KR20160108820 A KR 20160108820A KR 101771429 B1 KR101771429 B1 KR 101771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ice
cam
sens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욱
전경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알텍
Priority to KR1020160108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25C1/225
    • F25C5/00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구동 캠에 의해 작동되고 만빙 감지 레버에 연동되는 만빙 감지 유닛과 상기 인너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만빙 감지 유닛의 접촉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만빙 감지 유닛이 만빙 감지용 스위치의 작동 단자를 직접 가압하여 신호를 발생하게 하여 정확한 만빙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접촉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만빙 여부 감지 방법이다.

Description

접촉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만빙 여부 감지 방법{ICE MAKER OF SENSING FULL ICE STATE BY TOUCH AND METHOD FOR SENSING FULL ICE STATE BY THE SAME}
본 발명은 만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구동 캠에 의해 작동되고 만빙 감지 레버에 연동되는 만빙 감지 유닛과 상기 인너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만빙 감지 유닛의 접촉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만빙 감지 유닛이 만빙 감지용 스위치의 작동 단자를 직접 가압하여 신호를 발생하게 하여 정확한 만빙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접촉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만빙 여부 감지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제빙기라고 하는 것은 냉장고와 같은 저온 저장부에서 얼음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빙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D)에 의해 구동되는 샤프트(S)와 상기 샤프트(S)에 구비되어 얼음을 파내는 블레이드(B)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D)는 하우징(H)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H)은 샤프트(S)측에 설치되는 인너 하우징(H1)과, 상기 인너 하우징(H1)을 덮도록 설치되는 아우터 하우징(H2)으로 이루어진다.
아이스 트레이(IT)에 물이 공급된 후 냉각되어 얼음이 생산되며 구동부(D)의 작동에 의해 샤프트(S)가 회전되고 이에 의해 이젝터(E)가 회전하며 얼음을 이빙한다.
상기 얼음을 이빙하기 위해서는 얼음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 얼음이 없는 상태가 확인되어야 하며, 만일 얼음 저장부에 얼음이 충분한 상태(이하 만빙 이라 함)인 경우 이빙 작동을 하지 않아야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만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캠(D1)과 상기 구동 캠(D1)에 의해 회전되는 만빙 감지 유닛(LN)을 포함한다.
상기 만빙 감지 유닛(LN)은 구동 캠(D1)에 접하여 승하강하는 캠 연동 바아(4)와 구동부 커버(D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과 상기 회전축(1)에서 연장되며 만빙 감지 레버(L)에 설치되는 감지 레버 구동축(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캠 연동 바아(4)에는 마그네틱 홀더(5)가 구비되며, 상기 마그네틱 홀더(5)는 회전축(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홀 센서(HS)측으로 접근하거나 혹은 멀어지게 된다. 상기 마그네틱 홀더(5)에는 마그네틱(MG)이 구비되어 상기 마그네틱 홀더(5)가 홀 센서(HS)에 근접한 상기 홀 센서(HS)에서 신호가 발생한다.
즉, 상기 캠 연동 바아(4)가 작동 캠(D1)의 작동 홈(D1-1)에 낙하하면 상기 캠 연동 바아(4)에 연동되는 마그네틱 홀더(5)는 회전축(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홀 센서(HS)에 근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캠 연동 바아(4)에는 감지 레버 구동축(2)이 연동되어 있어 되고, 상기 캠 연동 바아(4)의 낙하에 의해 감지 레버 구동축(2)이 회전축(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만빙 감지 레버(L)도 낙하하게 된다.
만일 얼음 저장부에 얼음이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만빙 감지 레버(L)는 낙하하게 되고, 상술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홀더(5)는 홀 센서(HS)에 근접하여 상기 홀 센서(HS)에서 신호가 발생한다. 상기 신호에 의해 얼음 저장부에 얼음이 없으므로 도 1에 도시된 이젝터(E)를 회전하여 얼음을 이빙하도록 한다.
반대로, 얼음 저장부에 얼음이 충분히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만빙 감지 레버(L)는 얼음에 접하게 되어 낙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2) 역시 회전하지 않게 되고 회전축(1) 또한 회전하지 않게 된다. 결국, 상기 캠 연동 바아(4)가 상기 작동 홈(D1-1)에 위치해도 낙하하지 않게 되며, 상기 마그네틱 홀더(5) 역시 홀 센서(HS)측으로 근접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기 홀 센서(HS)에서는 아무런 신호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러한 상태를 만빙 상태로 판단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네틱 홀더(5)가 홀 센서(HS)에 근접하여 상기 홀 센서(HS)에서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만빙 감지 유닛(LN)의 사용에 따라 회전축(1)이나 감지 레버 구동축(2) 등이 마모되거나 혹은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마그네틱 홀더(5)의 궤적이 변경되어 홀 센서(HS)에서 발생되는 신호가 정확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그네틱 홀더(5)가 충분히 회전하지 못하여 홀 센서(HS)에서 신호가 발생할 상황인데, 신호가 발생하지 않거나, 반대로 상기 마그네틱 홀더(5)가 과도하게 회전하여 홀 센서(HS)에서 신호가 발생하지 않아야 할 상황인데, 신호가 발생되어 만빙 여부를 잘못 판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얼음이 충분히 저장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다시 이빙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빙기와 만빙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미국 등록 특허 제3,612,800호 미국 등록 특허 제3,649,781호 미국 등록 특허 제4,746,780호 미국 등록 특허 제5,213,205호 미국 등록 특허 제5,970,725호 미국 등록 특허 제7,619,172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450595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304299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304299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7-002192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 캠에 의해 작동되고 만빙 감지 레버에 연동되는 만빙 감지 유닛과 상기 인너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만빙 감지 유닛의 접촉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만빙 감지 유닛이 만빙 감지용 스위치의 작동 단자를 직접 가압하여 신호를 발생하게 하여 정확한 만빙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접촉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만빙 여부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부(D)의 구동 캠(D1)에 의해 작동되고 만빙 감지 레버(L)에 연동되는 만빙 감지 유닛(500)과, 인너 하우징(H1)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만빙 감지 유닛(500)의 접촉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와, 상기 인너 하우징(H1) 내부에 구비되는 급수 조절 장치(WS)로 이루어지고, 상기 급수 조절 장치(WS)는 상기 인너 하우징(H1)에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브라켓(300)과, 상기 브라켓(300) 상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D)에 의해 회전되는 작동 캠(C)과, 상기 브라켓(300) 상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 레버(200)와, 상기 작동 레버(200) 일 측에 구비되는 케이스(100) 및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 레버(200)는 상기 브라켓(300)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중심부(230)와, 상기 중심부(230)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 캠(C)의 작동 홈(C1)에 접하여 승하강하는 제1레버(210)와, 상기 중심부(230) 타 측에 구비되고 제1레버(210)에 연동되어 승하강하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단자(MC1-1)를 가압하는 제2레버(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부(230)는 케이스(100)와 작동 캠(C)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레버(210)는 상기 중심부(230)에서 작동 캠(C)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작동 캠(C)에 접하며, 상기 제2레버(220)는 상기 중심부(230)에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레버(220)는 상기 중심부(230)에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장부(221)와, 상기 연장부(221) 끝단에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작동 단자(MC1-1)를 가압하는 가압부(2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레버(220)의 길이는 제1레버(2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접촉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만빙 감지 유닛(500)은 상기 인너 하우징(H1)을 관통하며 만빙 감지 레버(L)에 연동되는 감지 레버 구동축(520)과,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호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D)의 구동 캠(D1)에 의해 승하강 하는 캠 연동 바아(540)와, 상기 캠 연동 바아(540) 일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를 가압하는 작동 바아(550)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 캠(D1)의 외측면 일부에는 구동 캠(D1)의 반경 방향 두께가 감소하여 작동 홈(D1-1)이 형성되며, 상기 캠 연동 바아(540)와 작동 바아(550)는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에서,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에서 구동 캠(D1) 방향으로 회전축(510)이 연장되며 동일한 중심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너 하우징(H1)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510)과 접하는 부분은 곡면인 지지부(560)가 형성한다.
상기에서, 상기 인너 하우징(H1) 바닥면에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를 고정하는 고정부(570)를 구비하고,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는 상기 인너 하우징(H1) 바닥면과 내부 측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570)는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를 상기 인너 하우징(H1)의 내부 측면으로 가압하는 가압판(571)과, 상기 가압판(571)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판(571)을 인너 하우징(H1) 바닥면에 고정하는 고정구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구 삽입부(572)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만빙 감지 유닛(500)에 의해 만빙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구동 캠(D1)의 회전에 의해 캠 연동 바아(540)가 구동 캠(D1)의 작동 홈(D1-1)에 낙하하여 만빙 감지 레버(L)가 낙하하고 작동 바아(550)가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에 근접하도록 회전하여 작동 단자(MC3-1)가 눌러져서 작동되면 만빙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구동 캠(D1)의 회전에 의해 캠 연동 바아(540)가 구동 캠(D1)의 작동 홈(D1-1)에 낙하한 경우 만빙 감지 레버(L)가 만빙 상태의 얼음에 의해 낙하하지 않고 작동 바아(550) 역시 회전하지 않아 작동 단자(MC3-1)가 작동되자 않으면 만빙 상태로 판단하는 만빙 여부 감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종래보다 편리하고 정밀하게 급수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제빙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만빙 감지 유닛을 설명하는 일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만빙 감지 유닛으로서, 인너 하우징 일부는 절단하여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만빙 감지 유닛으로서, 도 4에서 만빙 감지 유닛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만빙 감지 유닛으로서,도 4에서 다른 각도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급수 조절 장치로서, 인너 하우징에 브라켓과 케이스 그리고 조절 캠이 설치되을 도시하는 일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조절 장치로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케이스 일부를 절단하고 작동 레버와 조절 캠(C)을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조절 장치로서 상기 도 4에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를 분리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조절 장치로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를 이동하여 급수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조절 장치로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케이스의 다른 부분을 절단하고 작동 레버와 조절 캠(C)을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조절 장치로서 아우터 하우징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조절 장치로서 도 13에서 본 발명의 조절 장치를 인너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한 분리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조절 장치로서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조절 장치로서 인장 탄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D)의 구동 캠(D1)에 의해 작동되고 만빙 감지 레버(L)에 연동되는 만빙 감지 유닛(500)과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로 이루어진다.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는 상기 인너 하우징(H1)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만빙 감지 유닛(500)의 접촉에 의해 신호를 발생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만빙 여부 판단을 위한 신호는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에서 발생하고,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의 작동은 만빙 감지 유닛(500)이 작동 단자(MC3-1)를 직접 가압하여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홀더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홀더가 홀 센서에 근접하는 거리에 따라 홀 센서에서 신호가 발생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마그네틱 홀더의 회전 궤적이나 설치 위치 등이 장시간 사용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 상기 홀 센서에서 잘못된 신호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상기 만빙 감지 유닛(500)이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를 직접 가압하여 작동시키도록 하여 정확한 신호 발생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접촉형 스위치로서 이는 널리 알려진 구성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만빙 감지 유닛(500)은 상기 인너 하우징(H1)을 관통하며 만빙 감지 레버(L)에 연동되는 감지 레버 구동축(520)과,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호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D)의 구동 캠(D1)에 의해 승하강 하는 캠 연동 바아(540)와, 상기 캠 연동 바아(540) 일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를 가압하는 작동 바아(55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 캠(D1)의 외측면 일부에는 구동 캠(D1)의 반경 방향 두께가 감소하여 작동 홈(D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캠 연동 바아(540)와 작동 바아(550)는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캠 연동 바아(540)가 상기 작동 홈(D1-1)에 진입하여 방향1로 낙하하면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은 방향3으로 회전한다. 이는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이 인너 하우징(H1)의 삽입공(H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이 방향3으로 회전하면 작동 바아(550)는 이에 연동되어 방향3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만빙 감지 레버(L) 역시 방향 3으로 회전하여 낙하한다.
만일 상술된 바와 같이 얼음 저장부가 얼음으로 충진되지 않고 비어 있는 경우 상기 만빙 감지 레버(L)가 낙하하고 상기 작동 바아(550)는 방향 3으로 회전하여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의 작동 단자(MC3-1)를 누르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에서 신호를 발생하여 만빙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이빙하게 한다.
반대로, 얼음 저장부가 얼음으로 충진되어 만빙 상태인 경우 상기 만빙 감지 레버(L)가 얼음에 접촉하여 하강하지 않으므로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은 회전하지 않게 되고,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에 연동되는 캠 연동 바아(540) 역시 회전하지 않게 되어 상기 작동 홈(D1-1)상에 배치되어 낙하하지 않는다.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 및 캠 연동바아(540)에 연동되는 작동 바아(550) 역시 회전하지 않아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의 작동 단자(MC3-1)를 누르지 않게 되어,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에서는 아무런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만빙으로 판단하여 이빙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만일 상기 구동 캠(D1)이 더 회전을 하여 캠 연동 바아(540)가 작동 홈(D1-1)을 지나서 구동 캠(D1)의 외측면에 접하게 되면, 상기 캠 연동 바아(540)는 방향2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감지 레버 구동축(520)은 방향4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작동 바아(550) 역시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방향4로 회전하고 만빙 감지 레버(L) 역시 방향4로 회전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의 작동 단자(MC3-1)의 직접 접촉하여 누르거나 혹은 누르지 않게 하여 보다 정확한 만빙 여부 판단이 가능해진다.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에서 구동 캠(D1) 방향으로 회전축(510)이 연장되며 동일한 중심선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레버 구동축(520)에서 구동 캠(D1)방향 즉, 도면상 좌측으로 회전축(510)이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축(510)은 상기 지지부(56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5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너 하우징(H1)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510)과 접하는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축(510)과 지지부(560)에 의해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은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너 하우징(H1)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인너 하우징(H1) 바닥면과 내부 측면에 동시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를 보다 안정적을 고정하도록 고정부(570)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5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를 상기 인너 하우징(H1)의 내부 측면으로 가압하는 가압판(57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판(571)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가압판(571) 일부에 고정구 삽입부(572)를 형성하여 고정구(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고정구 삽입부(572)를 통과한 후 인너 하우징(H1)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만빙 감지 유닛(500)에 의해 만빙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캠(D1-1)의 회전에 의해 캠 연동 바아(540)가 구동 캠(D1)의 작동 홈(D1-1)에 낙하하면 캠 연동 바아(540)는 방향1로 회전하고 감지레버 구동축(520)은 방향3으로 회전하여 만빙 감지 레버(L)가 방향3으로 회전하여 낙하하고 작동 바아(550)는 방향3으로 회전하여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에 근접한다. 이에 의해 상기 작동 단자(MC3-1)가 작동 바아(550)에 의해 눌러져서 작동되면 만빙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만일, 상기 구동 캠(D1)의 회전에 의해 캠 연동 바아(540)가 구동 캠(D1)의 작동 홈(D1-1)에 낙하하려고 하는 경우 만빙 감지 레버(L)가 만빙 상태의 얼음에 의해 낙하하지 않으면 작동 바아(550) 역시 회전하지 않아 작동 단자(MC3-1)가 작동되자 않게되고 이에 의해 만빙 감지용 스위치(MC3)에서 아무런 신호가 발생하지 않아 만빙 상태로 판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빙기(10)는 급수 조절 장치(WS)를 더 포함한다. 즉, 얼음을 얼리기 위해서 물의 급수가 필요하면 상기 물의 급수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급수 조절 장치(WS)는 도 7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D)가 구비되는 인너 하우징(H1)에 설치된다.
상기 급수 조절 장치(WS)는 상기 인너 하우징(H1)에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브라켓(300)과, 상기 브라켓(300)상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D)에 의해 회전되는 작동 캠(C)과, 상기 브라켓(300)상의 일 지점으로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 레버(200)와, 상기 작동 레버(200) 일 측에 구비되는 케이스(100) 및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 레버(200)는 상기 브라켓(300)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중심부(230)와, 상기 중심부(230)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 캠(C)의 작동 홈(C1)에 접하여 승하강하는 제1레버(210)와, 상기 중심부(230) 타 측에 구비되고 제1레버(210)에 연동되어 승하강하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단자(MC1-1)를 가압하는 제2레버(2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중심부(230)는 케이스(100)와 작동 캠(C)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레버(210)는 상기 중심부(230)에서 작동 캠(C)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작동 캠(C)에 접하며, 상기 제2레버(220)는 상기 중심부(230)에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2레버(220)는 상기 중심부(230)에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장부(221)와, 상기 연장부(221) 끝단에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작동 단자(MC1-1)를 가압하는 가압부(22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레버(220)는 제1레버(210)보다 길이가 길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급수 조절 장치(10)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작동 캠(C)이 구동부(D)에 의해 회전되는 중 상기 제1레버(210)가 작동 캠(C)의 작동 홈(C1)에 삽입되면 낙하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210)가 작동 홈(C1)에 삽입되면 상기 제1레버(210)는 중심부(230)를 중심으로 방향1로 회전하여 낙하한다. 이러한 제1레버(210)의 회전에 의해 제2레버(220)는 중심부(230)를 중심으로 방향4로 회전하여 상승한다.
상기 상승되는 제2레버(220)가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단자(MC1-1)를 가압하여 물을 공급하는 공급 밸브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아이스 트레이(IT, 도 1참조)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작동 캠(C)이 추가로 회전하면 제1레버(210)가 작동 홈(C1)에서 벗어나서 방향2로 상승한다. 이에 의해 제2레버(220)는 방향3으로 하강한다. 이에 의해 제2레버(220)는 작동 단자(MC1-1)를 누르지 못하게 되어 공급 밸브의 작동은 중단된다.
즉, 상기 작동 단자(MC1-1)가 눌러지는 시간 동안 물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물 공급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위치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가 위치1에 있는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를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2에 있는 경우 작동 단자(MC1-1)가 제2레버(220)의 가압부(222)에 의해 눌러지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상기 가압부(222)가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1)에 근접하도록 형성된 것에 기인한다.
즉,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가 위치1에 있는 경우보다 위치2에 있는 경우가 작동 단자(MC1-1)가 가압부(222)에 의해 눌러지는 시간이 증가하는 작용에 의해 물 공급 시간을 증가시키게 된다. 반대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가 위치2에서 위치1로 이동하면 물 공급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레버(220)는 제1레버(210)보다 길이가 길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2레버(220)의 길이를 증가하여 가압부(222)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를 보다 다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가압부(222)가 작동 단자(MC1-1)를 가압하는 시간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부(230)는 중심부 본체(231)와, 상기 중심부 본체(231)에 형성되는 삽입공(2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공(232)에는 브라켓(300)에서 돌출된 중심 바아(330)가 삽입되어 상기 중심부(230)가 회전 가능하게 브라켓(300)에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가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의 케이스 본체(110)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상면에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절 슬롯(120)과, 상기 케이스 본체(110) 내부 바닥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이동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130)로 이루어진다.
즉,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상면에 조절 슬롯(120)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이동 방향(예를 들어 도면상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 본체(110) 내부에는 가이드(130)가 이동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가이드(130)에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가 접하면서 이동하게 되어 보다 정밀한 이동이 가능해진다.
물론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도면상 하측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내부 하측면에 접하고,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도면상 상측은 상기 가이드(130)에 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를 브라켓(30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케이스 본체(110) 외측에 고정부(14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는 상술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일 부분에는 고정공(MC1-3)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조절 슬롯(120)을 통과한 고정구(F)가 상기 고정공(MC1-3)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가 케이스(10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볼트 등과 같은 고정구(F)를 조절 슬롯(120)을 통과한 후 고정공(MC1-3)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구(F)가 조절 슬롯(120)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를 고정할 수 있다. 만일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를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고정구(F)를 풀어서 고정상태를 해제하면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와 작동 레버(200) 그리고 작동 캠(C)은 브라켓(300)상에 배치된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300)은 판체 형상이며 인너 하우징(H1)의 바닥면에서 아우터 하우징(H2)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브라켓 본체(310)와, 상기 브라켓 본체(310)에서 돌출된 브라켓 걸림부(3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 본체(310)는 인너 하우징(H1) 바닥면에서 아우터 하우징(H2)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인너 하우징(H1) 내부에 설치된다. 즉, 브라켓 본체(310)와 인너 하우징(H1) 바닥면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구동부(D)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 본체(310)상에 구비되는 조절 캠(C)의 일 부분이 상기 관통공(340)을 통과한 후 상기 구동부(D)의 구동 캠(D1)에 설치되어 연동된다.
상기 구동 캠(D1)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동 걸림부(D2)가 형성되어 조절 캠(C)과 연동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본체(310) 일부에는 브라켓 걸림부(32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 걸림부(320)는 상기 제1레버(210)가 조절 캠(C)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 걸림부(320)는 제1레버(210)가 조절 캠(C)에 근접하는 방향인 도면상 좌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 레버(200)의 제1레버(210)의 일 측에는 레버 걸림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 걸림부(320)와 레버 걸림부(240)사이에 스프링 등을 이용하는 인장 탄성부(400)가 구비된다. 레버 걸림부(240)가 형성되는 제1레버(210)가 상기 인장 탄성부(400)에 의해 당겨져서 제1레버(210)가 조절 캠(C)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레버(210)가 작동 홈(C1)에 도달한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정확하게 낙하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걸림부(3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방향으로 절곡되어 인장 탄성부가 걸림될 수 있다. 상기 레버 걸림부(2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210)에서 돌출되며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인장 탄성부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MC-2는 원점을 체크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이다.
또한 도 15에서 구동부(D) 중 구동 캠(D-1)의 구성만 도시하고 상기 구동 캠(D-1)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동력 전달을 위한 기어 유닛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는 상기 선행기술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고, 본 도면을 보다 명료하게 표현하기 위해 상기 모터와 관련되는 기어 유닛은 생략하였다.
이하 상술된 본 발명의 급수 조절 장치(10)를 이용하여 급수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도 7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는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를 이동하여 작동 레버(200)의 중심부(230)로부터의 거리를 변동한다. 이에 의해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단자(MC1-1)가 제2레버(220)에 의해 눌려지는 시간이 변동된다.
즉,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를 이동하면 작동 단자(MC1-1)의 위치가 변동된다. 상기 작동 단자(MC1-1)의 위치가 변동되면 제2레버(220)의 가압부(222)에 의해 눌러지는 시간이 변동된다. 이에 의해 상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에 연결되는 급수 밸브의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우선, 인너 하우징(H1)에 결합된 아우터 하우징(H2)을 분리한다. 이후, 상기 케이스(100)의 조절 슬롯(120)을 통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고정공(MC1-3)에 고정된 고정구(F)를 풀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가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조절용 마이크 스위치(MC1)를 이동하여 작동 레버(200)의 중심부(230)로부터의 거리를 변동시킴에 의해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단자(MC1-1)가 제2레버(220)의 가압부(222)에 의해 눌려지는 시간을 조절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급수 시간을 조절하게 된다.
이후, 상기 고정구(F)를 다시 조임하여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를 고정하고, 아우터 하우징(H2)을 인너 하우징(H1)에 다시 설치하여 조정 작업을 완료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케이스 110 : 케이스 본체
120 : 조절 슬롯 130 : 가이드
200 : 작동 레버 210 : 제1레버
220 : 제2레버 221 : 연장부
222 : 가압부 230 : 중심부
240 : 레버 걸림부 300 : 브라켓
310 : 브라켓 본체 320 : 브라켓 걸림부
330 ; 중심 바아 340 : 관통공
400 : 인장 탄성부 500 : 만빙 감지 유닛
510 : 회전축 520 : 감지레버 구동축
540 : 캠 연동 바아 550 : 작동 바아
560 : 지지부 570 : 고정부

Claims (5)

  1. 구동부(D)의 구동 캠(D1)에 의해 작동되고 만빙 감지 레버(L)에 연동되는 만빙 감지 유닛(500)과, 인너 하우징(H1)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만빙 감지 유닛(500)의 접촉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와, 상기 인너 하우징(H1) 내부에 구비되는 급수 조절 장치(WS)로 이루어지고,
    상기 급수 조절 장치(WS)는 상기 인너 하우징(H1)에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브라켓(300)과, 상기 브라켓(300) 상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D)에 의해 회전되는 작동 캠(C)과, 상기 브라켓(300) 상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 레버(200)와, 상기 작동 레버(200) 일 측에 구비되는 케이스(100) 및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 레버(200)는 상기 브라켓(300)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중심부(230)와, 상기 중심부(230)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 캠(C)의 작동 홈(C1)에 접하여 승하강하는 제1레버(210)와, 상기 중심부(230) 타 측에 구비되고 제1레버(210)에 연동되어 승하강하며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작동 단자(MC1-1)를 가압하는 제2레버(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부(230)는 케이스(100)와 작동 캠(C)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레버(210)는 상기 중심부(230)에서 작동 캠(C)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작동 캠(C)에 접하며, 상기 제2레버(220)는 상기 중심부(230)에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레버(220)는 상기 중심부(230)에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장부(221)와, 상기 연장부(221) 끝단에서 조절용 마이크로 스위치(MC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작동 단자(MC1-1)를 가압하는 가압부(2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레버(220)의 길이는 제1레버(2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접촉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빙 감지 유닛(500)은 상기 인너 하우징(H1)을 관통하며 만빙 감지 레버(L)에 연동되는 감지 레버 구동축(520)과,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호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D)의 구동 캠(D1)에 의해 승하강 하는 캠 연동 바아(540)와, 상기 캠 연동 바아(540) 일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를 가압하는 작동 바아(550)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 캠(D1)의 외측면 일부에는 구동 캠(D1)의 반경 방향 두께가 감소하여 작동 홈(D1-1)이 형성되며,
    상기 캠 연동 바아(540)와 작동 바아(550)는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접촉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제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레버 구동축(520)에서 구동 캠(D1) 방향으로 회전축(510)이 연장되며 동일한 중심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너 하우징(H1)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510)과 접하는 부분은 곡면인 지지부(560)가 형성되는 접촉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제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하우징(H1) 바닥면에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를 고정하는 고정부(570)를 구비하고,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는 상기 인너 하우징(H1) 바닥면과 내부 측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570)는 상기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를 상기 인너 하우징(H1)의 내부 측면으로 가압하는 가압판(571)과, 상기 가압판(571)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판(571)을 인너 하우징(H1) 바닥면에 고정하는 고정구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구 삽입부(572)로 이루어지는 접촉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제빙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만빙 감지 유닛(500)에 의해 만빙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구동 캠(D1)의 회전에 의해 캠 연동 바아(540)가 구동 캠(D1)의 작동 홈(D1-1)에 낙하하여 만빙 감지 레버(L)가 낙하하고 작동 바아(550)가 만빙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MC3)에 근접하도록 회전하여 작동 단자(MC3-1)가 눌러져서 작동되면 만빙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구동 캠(D1)의 회전에 의해 캠 연동 바아(540)가 구동 캠(D1)의 작동 홈(D1-1)에 낙하한 경우 만빙 감지 레버(L)가 만빙 상태의 얼음에 의해 낙하하지 않고 작동 바아(550) 역시 회전하지 않아 작동 단자(MC3-1)가 작동되자 않으면 만빙 상태로 판단하는 만빙 여부 감지 방법.
KR1020160108820A 2016-08-26 2016-08-26 접촉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만빙 여부 감지 방법 KR101771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820A KR101771429B1 (ko) 2016-08-26 2016-08-26 접촉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만빙 여부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820A KR101771429B1 (ko) 2016-08-26 2016-08-26 접촉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만빙 여부 감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429B1 true KR101771429B1 (ko) 2017-08-25

Family

ID=5976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820A KR101771429B1 (ko) 2016-08-26 2016-08-26 접촉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만빙 여부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4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381B1 (ko) * 2005-11-30 2006-03-30 대림정밀공업(주) 무접촉 방식의 자동제빙기용 구동장치
KR100814686B1 (ko) 2006-09-25 2008-03-18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US20090178420A1 (en) 2008-01-14 2009-07-16 France/Scott Fetzer Company Icemaker Control Module
KR101603337B1 (ko) * 2009-06-25 2016-03-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기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381B1 (ko) * 2005-11-30 2006-03-30 대림정밀공업(주) 무접촉 방식의 자동제빙기용 구동장치
KR100814686B1 (ko) 2006-09-25 2008-03-18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US20090178420A1 (en) 2008-01-14 2009-07-16 France/Scott Fetzer Company Icemaker Control Module
KR101603337B1 (ko) * 2009-06-25 2016-03-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기 및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356B1 (ko) 냉장고용 제빙기
KR101304299B1 (ko) 독립 감지 방식의 제빙기 이빙 장치 및 방법
US20130327074A1 (en) Refrigerator
KR101603337B1 (ko) 냉장고용 제빙기 및 제어방법
EP1916489B1 (en) Ice making apparatus
KR101450595B1 (ko) 독립 제어 방식의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구동 방법
JPH09178309A (ja) 自動製氷機及び自動製氷機の氷皿位置制御方法
KR101771429B1 (ko) 접촉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만빙 여부 감지 방법
EP2096385B1 (en)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30021529A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만빙감지장치
KR100845858B1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55514B1 (ko) 택트 스위치 방식의 제빙기
AU2018318603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30013B1 (ko) 지렛대 방식의 제빙기용 급수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100034477A (ko) 만빙레버를 포함하는 제빙기
KR100346401B1 (ko) 냉장고의 얼음저장량 조절구조 및 조절방법
JP6088225B2 (ja) 製氷装置、製氷装置の装置本体、および製氷装置の製氷皿装着検知方法
KR100690680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US20200370811A1 (en) Refrigerator
KR100710222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0781260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2273101B1 (ko) 제빙 장치
KR102452971B1 (ko) 제빙 장치
KR100740840B1 (ko) 냉장고
KR20040027007A (ko) 제빙기의 히터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