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310B1 - 2-(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2-(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310B1
KR101770310B1 KR1020160044950A KR20160044950A KR101770310B1 KR 101770310 B1 KR101770310 B1 KR 101770310B1 KR 1020160044950 A KR1020160044950 A KR 1020160044950A KR 20160044950 A KR20160044950 A KR 20160044950A KR 101770310 B1 KR101770310 B1 KR 101770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zo
oxazol
formula
amino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4522A (ko
Inventor
박혜영
황은숙
장현욱
김영국
김다롱
오연지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70024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 C07D263/5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63/54Benzoxazoles; Hydrogenated benzoxazo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61K31/423Ox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 C07D263/5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63/54Benzoxazoles; Hydrogenated benzoxazoles
    • C07D263/58Benzoxazoles; Hydrogenated benzox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7Optical is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2-(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유도체,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T 세포가 T 세포의 증식 촉진인자로 알려진 인터루킨-2(Interleukin-2, IL-2)에 의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FNγ(Interferon gamma) 생성과 5-리폭시게나아제(5-Lipoxygenase, 5-LO)의 발현이 주로 나타나는 Th1(T helper cells 1) 세포로의 분화를 방지하고,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활성이 우수하므로, 이와 관련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2-(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2-(phenylamino)benzo[d]oxazol-5-ol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2-(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물리적인 외상, 유해한 화학물질,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나 생체 내 대사산물 중의 자극성 물질에 의하여 야기되는 조직손상에 대하여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정상적이고 보호적인 생체 내 방어기전의 발현이다. 이러한 염증은 손상조직과 이동성 세포(migrating cells)로부터 생산되는 다양한 화학매개 인자에 의하여 촉발되며, 이들 화학매개 인자들은 염증과정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것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특허문헌 1에서는 유도형 일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나 사이클로-옥시제나제(cyclo-oxygenase-2; COX-2)에 의해 대식세포와 같은 생체 내 염증 세포들이 활성화되면서, 염증 매개인자인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PG), 인터루킨-1 베타(Interleukin-1 beta; IL-1β), 종양괴사인자-알파(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및 사이토카인(cytokine) 등이 다량으로 생산된다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염증성 질환은 활성화된 T 세포(T lymphocytes)의 지속적인 성장과 증식으로 인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과다 생성되면서 일어난다. 구체적으로, T 세포는 T 세포의 증식 촉진인자로 알려진 인터루킨-2(Interleukin-2, IL-2)에 의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 gamma, IFNγ) 생성 및 5-리폭시게나아제(5-Lipoxygenase, 5-LO 또는 5-LOX)의 발현을 특징으로 하는 Th1(T helper cells 1) 세포로 분화한다. 이뿐만 아니라, 상기 염증성 질환은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와 같은 사이토카인과도 깊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터루킨-6(이하"IL-6")(일명 인터페론-β2; B-세포 분화 인자; B-세포 자극 인자-2)는 구체적으로 급성 염증 반응의 조절, B-세포 및 T-세포 분화를 비롯한 특이적 면역 반응의 조절, 골 대사, 혈소판형성, 상피 증식, 신경 세포 분화, 신경 보호, 노화 등에서 발생되는 염증 반응과 같은 다수의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하는 다기능성 사이토카인이다.
비특허문헌 2-4에는 IL-6가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크론병(Crohns disease) 등의 염증성 장질환 (Inflammatory bowel disease)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다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며, 또한 비특허문헌 5에는 IL-6의 플라즈마 농도와 패혈증(Sepsis)이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다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인터페론(interferon)은 바이러스의 침입을 받은 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바이러스의 침입에 저항하도록 생체 내의 세포들을 자극하는 물질로서, 알파, 베타, 감마형 세 가지가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인터페론 중에서 가장 효과가 있다고 밝혀진 것은 감마인터페론으로, 활성화된 T 세포 및 대식세포(macrophage)에 의해 생산되며, 비정상적인 인터페론 감마는 자가염증 또는 자가면역 질환과 관련되어 있다.
크론병이나 궤양성 대장염으로 대표되는 염증성 장질환은 국내 발병률과 유병률이 서양보다 낮지만 최근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염증성 장질환의 병인 및 발병 기전은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으나,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유전적 취약성이 있는 사람이 환경적인 원인 또는 유발인자에 노출되면, 장 점막에 염증 및 면역반응이 초래되고, 부적절한 면역반응이 지속되고 증폭되어 만성적인 조직손상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CD4 양성인 조력T세포(helper T cell) 중에서 Th1 세포(T helper type 1) 및 Th2 세포(T helper type 2)의 불균형이 염증성 장질환과 연관되어 있음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어 왔다.
크론병은 Th1 세포와 관련된 인터페론-감마(interferon-γ, IFN-γ), 종양 괴사인자-알파(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인터루킨-2(interleukin-2, IL-2)와 관련이 있고, 궤양성 대장염은 Th2 세포와 관련된 형질전환 생장 인자-베타(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IL-4 및 IL-5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IL-6, IL-21 및 IL-23는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모두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성 장질환의 염증반응에는 많은 염증매개물질들이 관여하는데, 이중에서 루코트리엔(leukotriene)은 강력한 염증 매개체로, 천식, 관절염, 건선, 염증성 장질환의 병태생리에 주요 역할을 한다. 루코트리엔은 5-리폭시제나아제 (5-lipoxygenase, 5-LO)에 의해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에서 생성되며, 활성화된 루코트리엔은 급성 염증반응 및 과민반응을 매개한다. 또한 루코트리엔은 염증이나 면역학적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백혈구에서 분비되며, 내피세포의 점액 분비, 평활근의 수축, 모세혈관의 투과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루코트리엔의 생성을 억제하는 5-LO 억제제가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제로 많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대표적인 5-LO 억제제인 질로톤(zileuton)이 부작용 및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사용에 제한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T 세포가 인터루킨-2에 의하여 Th1 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방지하고, IL-6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 본 발명에 따른 2-(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유도체,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상기의 억제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크론씨병, 염증성 장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천식, 아토피 등의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히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5, 678-683.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279 (2014) 311-321.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23 (2014) 294-303. Seminars in Immunology 26 (2014) 75-79. Clin Infect Dis. (2000) 31 (6): 1338-1342.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 활성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2-(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2-(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2-(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2-(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3524260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는 독립적으로 -H, -OH, 할로겐, C1 -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SR4, -NO2, -NH2 또는 -N=N-Ph이고, 여기서 R4는 C1 -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고리화반응시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메톡시기를 하이드록시기로 전환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6035242603-pat00002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및 R3는 독립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2-(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유도체,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T 세포가 T 세포의 증식 촉진인자로 알려진 인터루킨-2(Interleukin-2, IL-2)에 의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FNγ(Interferon gamma) 생성과 5-리폭시게나아제(5-Lipoxygenase, 5-LO)의 발현이 주로 나타나는 Th1(T helper cells 1) 세포로의 분화를 방지하고,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활성이 우수하므로, 이와 관련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IFNγ(Interferon gamma) 생성억제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IFNγ(Interferon gamma) 생성억제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에 대한 독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화합물의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의 성장억제 효과 평가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 화합물의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의 성장억제 효과 평가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6은 농도별로 활성화된 CD4+ T 세포에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을 72시간 처리한 후, 아넥신(annexin) V 염색을 수행하여 세포 사멸을 확인한 이미지이다.
도 7은 농도별로 활성화된 CD4+ T 세포에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을 72시간 처리한 후, 프로피디움 요오드화물(propidium iodide) 염색을 수행하여 세포 사멸을 확인한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농도별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에서의 증식인자 IL-2 생성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농도별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에서의 증식인자 IL-2 mRNA 발현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농도별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에서의 세포 내 사이토카인 생성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농도별 Th1(T helper cells 1) 세포 분화억제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화합물의 장염 증상(stool consistency)에 대한 억제활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화합물의 대장 길이(colon length)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대장염 유도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화합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IFNγ 억제활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에 의한 대장염 감소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35242603-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는 독립적으로 -H, -OH, 할로겐, C1 -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SR4, -NO2, -NH2 또는 -N=N-Ph이고, 여기서 R4는 C1 -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바람직하게는,
R1은 -H, -OH, 할로겐, C1 -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C1 -5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이고;
R2는 -H, -OH, 할로겐, C1 -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 -5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SR4, -NO2, -NH2 또는 -N=N-Ph이고, 여기서 R4는 C1 -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및
R3는 -H, C1 -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C1 -5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은 -H, -OH, -Cl 또는 -Br이고;
R2는 -H, -OH, -CH3, -CH2CH3, -CH(CH3)2, -(CH2)3CH3, -Cl, -I, -SCH3, -NO2, -NH2 또는 -N=N-Ph이고; 및
R3는 -H, -CH2CH3 또는 -OCH3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는 하기의 화합물들을 들 수 있다.
(1) (Z)-2-((4-(페닐디아제닐)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2) 2-(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3) 2-((4-에틸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4) 2-((3,4-디클로로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5) 2-((4-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6) 2-((2-에틸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7) 2-((4-아이오도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8) 2-((4-이소프로필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9) 2-((4-(메틸티오)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10) 2-((3-브로모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11) 2-((4-나이트로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12) 2-(p-톨릴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13) 2-((4-부틸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14) 2-((2-메톡시-4-나이트로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15) 2-((4-아미노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및
(16) 2-((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아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류,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 등과 같은 무독성 유기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구연산, 젖산, 말레인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주석산, 푸마르산등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의 종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만델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유도체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토니트릴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시켜 제조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시켜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셔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용매화물, 광학 이성질체, 수화물 등을 모두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고리화반응시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메톡시기를 하이드록시기로 전환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6035242603-pat00004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및 R3는 독립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사용 가능한 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디옥산; 에틸에테르, 1,2-다이메톡시에탄 등을 포함하는 에테르용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포함하는 저급 알코올;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디클로로메탄(DCM), 디클로로에탄, 물, 아세토나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크레이트, 락테이트, 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만델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온도는 0℃에서 용매의 비등점 사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응시간은 특별한 제약은 없으나, 12-36시간 동안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고리화반응시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사용 가능한 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디옥산; 에틸에테르, 1,2-다이메톡시에탄 등을 포함하는 에테르용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포함하는 저급 알코올;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디클로로메탄(DCM), 디클로로에탄, 물, 아세토나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크레이트, 락테이트, 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만델레이트, 아세토나이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온도는 0℃에서 용매의 비등점 사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응시간은 특별한 제약은 없으나, 12-36시간 동안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메톡시기를 하이드록시기로 전환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용매 하에 환원제를 첨가하여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디옥산; 에틸에테르, 1,2-다이메톡시에탄 등을 포함하는 에테르용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포함하는 저급 알코올;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디클로로메탄(DCM), 디클로로에탄, 물, 아세토나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크레이트, 락테이트, 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만델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디클로로메탄(DC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원제로는 보론 트리보로하이드라이드(Boron triborohydride, BBr3)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반응온도는 0℃에서 용매의 비등점 사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응시간은 특별한 제약은 없으나, 12-36시간 동안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T 세포가 T 세포의 증식 촉진인자로 알려진 인터루킨-2(Interleukin-2, IL-2)에 의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FNγ(Interferon gamma) 생성과 5-리폭시게나아제(5-Lipoxygenase, 5-LO)의 발현이 주로 나타나는 Th1(T helper cells 1) 세포로의 분화를 방지하고,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염증성 질환으로는 크론씨병, 염증성 장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천식, 아토피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5-리폭시제나아제(5-Lipoxygenase)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4, 9 및 15 화합물은 LTC4 방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5-LO IC50(㎍/mL) 값이 모두 20㎍/mL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4, 9 및 15 화합물은 5-LO IC50(㎍/mL) 값이 7㎍/mL 이하인 것으로 나타나 현저히 우수한 5-LO 억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예 1의 표 2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STAT3 리포터 유전자(reporter gene)에 활성 저해정도를 확인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5, 6, 13 및 14 화합물은 인터루킨-6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IL-6 IC50(㎍/mL) 값이 모두 10㎍/mL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5, 6 및 13 화합물은 IL-6 IC50(㎍/mL) 값이 5㎍/mL 이하인 것으로 나타나 현저히 우수한 IL-6 억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예 2의 표 3 참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비장(splenic) T 세포의 IFNγ(Interferon gamma) 생성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비장(splenic) T 세포에서 생성되는 IFNγ(Interferon gamma) 사이토카인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처리에 의하여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예 3의 도 1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에서의 IFNγ(Interferon gamma) 생성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농도별 처리에 의하여 CD4+ T 세포 성장과, IFN-γ 사이토카인 생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예 4의 도 2 참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포 독성 키트(EZ-cytox)를 사용하여 세포 독성 정도를 분석한 결과, 24시간이 경과한 경우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에 대한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세포독성은 현저히 관찰되지 않았으나, 세포 증식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48시간 경과 때에는 세포의 현저한 감소가 확인되어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예 5의 도 3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은 농도의존적으로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예 6의 도 4 및 도 5 참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에 의한 활성화된 CD4+ T 세포의 숫적 감소의 원인을 설명하고자 세포 사멸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에 의해 아포프토시스 세포 사멸 마커(Apoptotic cell death marker)인 아넥신(annexin) V 발현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동시에 죽은 세포 표지자인 프로피디움 요오드화물(propidium iodide)이 염색된 세포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에 의한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의 세포사멸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실험예 7의 도 6 및 도 7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농도별 세포 증식 억제가 관찰됨에 따라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에서의 증식인자 IL-2 생성을 분석한 결과, 실시예 4 화합물에 의한 세포 증식 촉진 사이토카인 IL-2의 생성 감소가 나타났다. 하지만, 실시예 5 화합물에 의한 세포 증식 촉진 사이토카인 IL-2의 생성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IL-2 mRNA 발현은 실시예 4 화합물에 의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실시예 5 화합물에 의한 IL-2 mRNA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실험예 8의 도 8 및 도 9 참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농도별 세포 증식 억제가 관찰됨에 따라 활성화된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에서의 세포 내 사이토카인 생성을 세포 내 사이토카인 염색(intracellular cytokine staining) 방법을 통해 평가한 결과,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고농도 처리와 장시간 처리에 의해 세포 성장이 억제되었으나 PM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이오노마이신(Ionomycin) 자극에 의해 사이토카인 생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 모두에 의해 IFN-γ 생성 억제가 관찰되었다. 나아가, 실시예 4 화합물에 의한 IL-2 생성 억제는 확인되었지만, 실시예 5 화합물은 IL-2 생성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재확인하였다(실험예 9의 도 10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농도별 Th1(T helper cells 1) 세포 분화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 처리에 의하여 CD4+ T 세포의 Th1 세포로의 분화가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예 10의 도 11 참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과민성 대장염 억제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화합물은 대장염을 유도한 면역 저하(Immune deficient) RAG KO 마우스를 사용한 in vivo 실험에서도 우수한 대장염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1의 도 12 및 도 13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대장염 유도 동물모델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IFNγ 억제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화합물은 대장염 유도 동물모델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IFNg 억제활성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2의 도 14 참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에 의한 대장염 감소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CD4+ T 세포 주입군에서는 대장 조직 내 염증세포의 침윤과 조직 파괴가 관찰되는 반면, 실시예 4 화합물 주입군에서는 염증 소견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3의 도 15 참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자,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 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인체에 대한 효과적인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약 0.001-100 mg/kg/일이며, 바람직하게는 0.01-35 mg/kg/일이다. 몸무게가 70 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07-7000 mg/일이며, 바람직하게는 0.7-2500 /일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T 세포가 T 세포의 증식 촉진인자로 알려진 인터루킨-2(Interleukin-2, IL-2)에 의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FNγ(Interferon gamma) 생성과 5-리폭시게나아제(5-Lipoxygenase, 5-LO)의 발현이 주로 나타나는 Th1(T helper cells 1) 세포로의 분화를 방지하고,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염증성 질환으로는 크론씨병, 염증성 장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천식, 아토피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Z)-2-((4-( 페닐디아제닐 ) 페닐 )아미노) 벤조 [d] 옥사졸 -5-올 (7a)의 제조
Figure 112016035242603-pat00005

단계 1 : (Z)-1-(2- 하이드록시 -5- 메톡시페닐 )-3-(4-( 페닐디아제닐 ) 페닐 ) 티오 우레아의 제조
Figure 112016035242603-pat00006
2-아미노-4-메톡시페놀 (100 mg, 1 eq)에 (Z)-1-(4-이소티오시아나토페닐)-2-페닐디아젠을 동일한 당량(1 eq) 만큼 첨가하고, MeOH 25 mL를 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교반 후 생성되는 침전을 감압 여과 또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Z)-1-(2-하이드록시-5-메톡시페닐)-3-(4-(페닐디아제닐)페닐)티오우레아를 제조하였다.
단계 2 : (Z)-5- 메톡시 -N-(4-( 페닐디아제닐 ) 페닐 ) 벤조 [d] 옥사졸 -2- 아민의 제조
Figure 112016035242603-pat00007
질소 가스 하,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Z)-1-(2-하이드록시-5-메톡시페닐)-3-(4-(페닐디아제닐)페닐)티오우레아 (100 mg, 1 eq)와 5 당량의 과산화칼륨(potassium peroxide, KO2) 혼합물에 아세토나이트릴을 5 mL 첨가하였다. 강하게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냉각수에 부어 희석하였다.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농축시켜 (Z)-5-메톡시-N-(4-(페닐디아제닐)페닐)벤조[d]옥사졸-2-아민을 제조하였다.
단계 3 : (Z)-2-((4-( 페닐디아제닐 ) 페닐 )아미노) 벤조 [d] 옥사졸 -5-올 (7a)의 제조
Figure 112016035242603-pat00008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Z)-5-메톡시-N-(4-(페닐디아제닐)페닐)벤조[d]옥사졸-2-아민(100 mg, 1 eq)에 디클로로메탄 5 mL를 첨가하고, 보론 트리보로하이드라이드(Boron triborohydride, BBr3)를 0.2 mL 첨가한 후, 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4시간 후, 물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용매를 감압 농축하였다. 이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 = 1:3)를 통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오렌지색의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수율 : 59%).
mp 249-250℃, 1H-NMR(DMSO-d6, 400MHz) δ 10.978(s, 1H), 9.270(s, 1H), 7.953(s, 4H), 7.854~7.876(m, 2H), 7.507~7.608(m, 3H), 7.293(d, J=8.8Hz, 1H), 6.868(d, J=2.4Hz, 1H), 6.571(dd, J=2.0Hz, J=8.4Hz, 1H), HR-FABMS Calcd for C19H15N4O2 (M++H): 331.1192, Found: 331.1190.
< 실시예 2> 2-(페닐아미노)벤조[d] 옥사졸 -5- (7b)의 제조
Figure 112016035242603-pat00009
(Z)-1-(4-이소티오시아나토페닐)-2-페닐디아젠을 사용하는 대신에 이소티오시아나토벤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수율 : 36%).
1H-NMR(DMSO-d6, 400MHz) δ 10.459(s, 1H), 9.210(s, 1H), 7.719(d, J=7.6Hz, 2H), 7.353(t, J=8.0Hz, 2H), 7.232(d, J=8.4Hz, 1H), 7.012(t, J=7.2Hz, 1H), 6.798(d, J=2.4Hz, 1H), 6.513(dd, J=2.4Hz, J=8.4Hz, 1H), HR-FABMS Calcd for C13H11N2O2(M++H): 227.0815, Found: 227.0818.
< 실시예 3> 2-((4- 에틸페닐 )아미노) 벤조 [d] 옥사졸 -5-올 (7c)의 제조
Figure 112016035242603-pat00010
(Z)-1-(4-이소티오시아나토페닐)-2-페닐디아젠을 사용하는 대신에 1-에틸-4-이소티오시아나토벤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옅은 갈색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수율 : 64%).
1H-NMR(DMSO-d6, 400MHz) δ 10.350(s, 1H), 9.205(s, 1H), 7.612(d, J=8.4Hz, 2H), 7.199(dd, J=8.4Hz, J=10.8Hz, 3H), 6.779(d, J=2.4Hz, 1H), 6.495(dd, J=2.4Hz, J=8.4Hz, 1H), 2.565(dd, J=7.6Hz, J=14.8Hz, 2H), 1.168(t, J=7.6Hz, 3H), HR-FABMS Calcd for C15H15N2O2 (M++H): 255.1129, Found: 255.1128.
< 실시예 4> 2-((3,4- 디클로로페닐 )아미노) 벤조 [d] 옥사졸 -5-올 (7d)의 제조
Figure 112016035242603-pat00011
(Z)-1-(4-이소티오시아나토페닐)-2-페닐디아젠을 사용하는 대신에 1,2-디클로로-4-이소티오시아나토벤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흰색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수율 : 31%).
1H-NMR(DMSO-d6, 400MHz) δ 10.855(s, 1H), 9.263(s, 1H), 8.095(d, J=2.4Hz, 1H), 7.589~7.650(m, 2H), 7.269(d, J=8.8Hz, 1H), 6.846(d, J=2.4Hz, 1H), 6.553(dd, J=2.4Hz, J=8.4Hz, 1H), HR-FABMS Calcd for C13H9Cl2N2O2(M++H): 295.0036, Found: 295.0036.
< 실시예 5> 2-((4- 하이드록시페닐 )아미노) 벤조 [d] 옥사졸 -5-올 (7e)의 제조
Figure 112016035242603-pat00012
(Z)-1-(4-이소티오시아나토페닐)-2-페닐디아젠을 사용하는 대신에 4-이소티오시아나토페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옅은 회색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수율 : 37%).
1H-NMR(DMSO-d6, 400MHz) δ 10.100(s, 1H), 9.157(s, 2H), 7.459~7.498(m, 2H), 7.173(d, J=8.8Hz, 1H), 6.729~6.770(m, 3H), 6.458(dd, J=2.0Hz, J=8.6Hz, 1H), HR-FABMS Calcd for C13H11N2O3 (M++H): 243.0765, Found: 243.0764.
< 실시예 6> 2-((2-에틸 페닐 )아미노)벤조[d] 옥사졸 -5- (7f)의 제조
Figure 112016035242603-pat00013
(Z)-1-(4-이소티오시아나토페닐)-2-페닐디아젠을 사용하는 대신에 1-에틸-2-이소티오시아나토벤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옅은 갈색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수율 : 35%).
1H-NMR(DMSO-d6, 400MHz) δ 9.518(s, 1H), 9.119(s, 1H), 7.708(d, J=7.6Hz, 1H), 7.112~7.266(m, 4H), 6.686(d, J=2.0Hz, 1H), 6.455(dd, J=2.4Hz, J=8.4Hz, 1H), 2.653~2.710(m, 2H), 1.128(t, J=7.6Hz, 3H), HR-FABMS Calcd for C15H15N2O2(M++H): 255.1125, Found: 255.1128.
< 실시예 7> 2-((4-아이오도 페닐 )아미노)벤조[d] 옥사졸 -5- (7g)의 제조
Figure 112016035242603-pat00014
(Z)-1-(4-이소티오시아나토페닐)-2-페닐디아젠을 사용하는 대신에 1-아이오도-4-이소티오시아나토벤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옅은 갈색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수율 : 39%).
1H-NMR(DMSO-d6, 400MHz) δ 10.623(s, 1H), 9.234(s, 1H), 7.662~7.691(m, 2H), 7.550~7.587(m, 2H), 7.242(d, J=8.8Hz, 1H), 6.805(d, J=2.4Hz, 1H), 6.526(dd, J=2.4Hz, J=8.4Hz, 1H), HR-FABMS Calcd for C13H10IN2O2 (M++H): 352.9781, Found: 352.9781.
< 실시예 8> 2-((4- 이소프로필페닐 )아미노) 벤조 [d] 옥사졸 -5-올 (7h)의 제조
Figure 112016035242603-pat00015
(Z)-1-(4-이소티오시아나토페닐)-2-페닐디아젠을 사용하는 대신에 1-이소프로필-4-이소티오시아나토벤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옅은 갈색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수율 : 16%).
1H-NMR(DMSO-d6, 400MHz) δ 10.415(s, 1H), 7.553~7.588(m, 4H), 7.186(d, J=8.4Hz, 2H), 6.936(s, 1H), 1.156(d, J=6.8Hz, 6H), HR-FABMS Calcd for C16H17N2O2(M++H): 269.1285, Found: 269.1283.
< 실시예 9> 2-((4-( 메틸티오 ) 페닐 )아미노) 벤조 [d] 옥사졸 -5-올 (7i)의 제조
Figure 112016035242603-pat00016
(Z)-1-(4-이소티오시아나토페닐)-2-페닐디아젠을 사용하는 대신에 (4-이소티오시아나토페닐)(메틸)설페인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옅은 갈색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수율 : 28%).
1H-NMR(DMSO-d6, 400MHz) δ 10.486(s, 1H), 9.226(s,1H), 7.666~7.695(m, 2H), 7.287~7.316(m, 2H), 7.224(d, J=8.8Hz, 1H), 6.79(d, J=2.4Hz, 1H), 6.508(dd, J=2.0Hz, J=8.6Hz, 1H), 2.502(dd, J=2.0Hz, J=3.6Hz, 3H), HR-FABMS Calcd for C14H13N2O2S (M++H): 273.0693, Found: 273.0692.
< 실시예 10> 2-((3- 브로모페닐 )아미노) 벤조 [d] 옥사졸 -5-올 (7j)의 제조
Figure 112016035242603-pat00017
(Z)-1-(4-이소티오시아나토페닐)-2-페닐디아젠을 사용하는 대신에 1-브로모-3-이소티오시아나토벤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옅은 갈색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수율 : 11%).
1H-NMR(DMSO-d6, 400MHz) δ 10.767(s, 1H), 9.237(s, 1H), 8.047(t, J=1.8Hz, 1H), 7.626(d, J=8.4Hz, 1H), 7.159~7.319(m, 3H), 6.821(d, J=2.4Hz, 1H), 6.525(dd, J=2.4Hz, J=8.6Hz, 1H), HR-FABMS Calcd for C13H10BrN2O2 (M++H): 304.9922, Found: 304.992.
< 실시예 11> 2-((4- 나이트로페닐 )아미노) 벤조 [d] 옥사졸 -5-올 (7k)의 제조
Figure 112016035242603-pat00018
(Z)-1-(4-이소티오시아나토페닐)-2-페닐디아젠을 사용하는 대신에 1-이소티오시아나토-4-나이트로벤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노란색의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수율 : 32%).
1H-NMR(DMSO-d6, 400MHz) δ 11.344(s, 1H), 9.329(s, 1H), 8.257~8.288(m, 2H), 7.924~7.955(m, 2H), 7.315(d, J=8.4Hz, 1H), 6.878(d, J=2.4Hz, 1H), 6.598(dd, J=2.4Hz, J=8.4Hz, 1H), HR-FABMS Calcd for C13H10N3O4(M++H): 272.0666, Found:272.0667.
< 실시예 12> 2-(p-톨릴 아미노 ) 벤조 [d] 옥사졸 -5- (7l)의 제조
Figure 112016035242603-pat00019
(Z)-1-(4-이소티오시아나토페닐)-2-페닐디아젠을 사용하는 대신에 1-이소티오시아나토-4-메틸벤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옅은 갈색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수율 : 27%).
1H-NMR(DMSO-d6, 400MHz) δ 10.344(s, 1H), 9.163(s, 1H), 7.596(d, J=8.4Hz, 2H), 7.211(d, J=8.8Hz, 1H), 7.155(d, J=7.6Hz, 2H), 6.778(d, J=2.4Hz, 1H), 6.493(dd, J=2.4Hz, J=8.6Hz, 1H), 2.266(s, 3H), HR-FABMS Calcd for C14H13N2O2(M++H): 241.0972, Found: 241.0975.
< 실시예 13> 2-((4- 부틸페닐 )아미노) 벤조 [d] 옥사졸 -5-올 (7m)의 제조
Figure 112016035242603-pat00020
(Z)-1-(4-이소티오시아나토페닐)-2-페닐디아젠을 사용하는 대신에 1-부틸-4-이소티오시아나토벤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흰색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수율 : 33%).
1H-NMR(DMSO-d6, 400MHz) δ 10.344(s, 1H), 9.183(s, 1H), 7.597(dd, J=2.8Hz, J=6.6Hz, 2H), 7.211(d, J=9.2Hz, 1H), 7.162(d, J=8.4Hz, 2H), 6.776(d, J=2.8Hz, 1H), 6.493(dd, J=2.0Hz, J=8.8Hz, 1H), 2.534(t, J=7.8Hz, 2H), 1.496~1.571(m, 2H), 1.231~1.349(m, 2H), 0.896(t, J=7.4Hz, 3H), HR-FABMS Calcd for C17H19N2O2 (M++H): 283.1441, Found: 283.1442.
< 실시예 14> 2-((2- 메톡시 -4- 나이트로페닐 )아미노) 벤조 [d] 옥사졸 -5-올 (7n)의 제조
Figure 112016035242603-pat00021
(Z)-1-(4-이소티오시아나토페닐)-2-페닐디아젠을 사용하는 대신에 1-이소티오시아나토-2-메톡시-4-나이트로벤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노란색의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수율 : 33%).
1H-NMR(DMSO-d6, 400MHz) δ 8.623(d, J=9.2Hz, 1H), 8.015(dd, J=2.4Hz, J=8.8Hz, 1H), 7.825(d, J=2.4Hz, 1H), 7.313(d, J=8.8Hz, 1H), 6.883(d, J=2.4Hz, 1H), 6.609(dd, J=2.4Hz, J=8.4Hz, 1H), 4.005(s, 3H), HR-FABMS Calcd for C14H12N3O5 (M++H): 302.0775, Found: 302.0771.
< 실시예 15> 2-((4-아미노 페닐 )아미노)벤조[d] 옥사졸 -5- (7o)의 제조
Figure 112016035242603-pat00022
(Z)-1-(4-이소티오시아나토페닐)-2-페닐디아젠을 사용하는 대신에 4-이소티오시아나토벤젠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검은색의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수율 : 34%).
1H-NMR(DMSO-d6, 400MHz) δ 9.893(s, 1H), 7.668~7.727(m, 2H), 7.324(dd, J=2.0Hz, J=6.8Hz, 1H), 7.143(d, J=8.8Hz, 1H), 6.703(d, J=2.0Hz, 1H), 6.564(dd, J=2.0Hz, J=6.8Hz, 1H), 6.43(dd, J=2.4Hz, J=8.6Hz, 1H), 4.821(s, 1H), 4.20(d, J=3.2Hz, 2H), HR-FABMS Calcd for C13H12N3O2 (M++H): 242.0924, Found: 242.0924.
< 실시예 16> 2-((3-하이드록시 페닐 )아미노)벤조[d] 옥사졸 -5- (7p)의 제조
Figure 112016035242603-pat00023
(Z)-1-(4-이소티오시아나토페닐)-2-페닐디아젠을 사용하는 대신에 3-이소티오시아나토페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옅은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수율 : 20%).
1H-NMR(DMSO-d6, 400MHz) δ 10.332(s, 1H), 9.420(s, 1H), 9.215(s, 1H), 7.298(t, J=2.4Hz, 1H), 7.219(d, J=8.8Hz, 1H), 7.043~7.216(m, 2H), 6.785(d, J=2.4Hz, 1H), 6.506(dd, J=2.4Hz, J=8.6Hz, 1H), 6.395~6.424(m, 1H), HR-FABMS Calcd for C13H11N2O3(M++H): 243.0764, Found: 243.0767.
하기 표 1에 실시예 1-16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화학구조식을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화학구조 실시예 화학구조
1
Figure 112016035242603-pat00024
9
Figure 112016035242603-pat00025
2
Figure 112016035242603-pat00026
10
Figure 112016035242603-pat00027
3
Figure 112016035242603-pat00028
11
Figure 112016035242603-pat00029
4
Figure 112016035242603-pat00030
12
Figure 112016035242603-pat00031
5
Figure 112016035242603-pat00032
13
Figure 112016035242603-pat00033
6
Figure 112016035242603-pat00034
14
Figure 112016035242603-pat00035
7
Figure 112016035242603-pat00036
15
Figure 112016035242603-pat00037
8
Figure 112016035242603-pat00038
16
Figure 112016035242603-pat00039
< 실험예 1> 5- 리폭시제나아제 (5- Lipoxygenase ) 활성 억제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5-리폭시제나아제(5-Lipoxygenase) 활성 억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1. 확인골수 유래-비만세포(bone marrow-derived mast cells, BMMCs )의 준비
여기서,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LTC4는 시스테이닐 류코트리엔(cyste-inyl leukotrienes)의 일종이며, 상기 류코트리엔은 신호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아이코사노이드(eicosanoid) 염증매개체이다.
[화학식 6]
Figure 112016035242603-pat00040

먼저, 골수 유래-비만세포(bone marrow-derived mast cells, 이하 BMMC)를 준비하기 위하여 수컷 Balb/c 마우스로부터 골수를 채취하고, 이를 인터루킨-3(IL-3, Sigma I4144, 2 ng/mL) 및 10% 소태아혈청을 포함하는 50% 영양강화 배지(2 mM L-글루타민, 25 mM HEPES 완충액, 2 mg/mL 탄산수소나트륨, 100 단위/mL 페니실린 G, 100 lg/mL 스트렙토마이신 설페이트 및 0.25 lg/mL 암포테리신 B를 함유하는 RPMI)에서 4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지 3주 후, 톨루이딘 블루(toluidine blue)를 사용한 염색법을 통해 98% 이상의 BMMC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2. TLC4 방출억제 효과 평가
상기 BMMC를 1x106 세포/mL의 농도로 영양강화 배지에 현탁한 후, DMSO에 녹인 실시예 3, 4, 9 및 15 화합물(최종 DMSO 농도는 0.5% 미만)을 처리하여 30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20분 동안 줄기 세포 인자(stem cell factor, SCF, Sigma S9915, 100 ng/mL)로 자극하고, 효소 면역분석 키트(enzyme immunoassay kit, Cayman Chemical, Ann Arbor, MI, USA)를 사용하여 제조업자의 지시사항에 따라 상층액(supernatants)에서 LTC4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세 차례에 걸쳐 수행하였으며, LTC4 방출의 억제 효과는 LTC4 방출의 감소량(%)을 계산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LO
IC50(㎍/mL)
1 -
2 -
3 16.11
4 4.97
5 -
6 -
7 -
8 -
9 6.43
10 -
11 -
12 -
13 -
14 -
15 5.59
16 -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4, 9 및 15 화합물은 LTC4 방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5-LO IC50(㎍/mL) 값이 모두 20㎍/mL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4, 9 및 15 화합물은 5-LO IC50(㎍/mL) 값이 7㎍/mL 이하인 것으로 나타나 현저히 우수한 5-LO 억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2> 인터루킨-6( Interleukin -6, IL-6) 생성 억제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 생성 억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이를 STAT3 리포터 유전자(reporter gene)의 활성 저해정도를 통해 확인하였다.
먼저, 인간 간암 세포주 HepG2를 10% (v/v) 소태아혈청,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100 U/㎖) 및 페니실린(100 U/㎖)이 첨가된 MEM(Minimal Essential Medium, WelGENE Inc, Daegu, Korea) 배지에서 37℃, 5% CO2조건으로 배양하였다. 6 웰(well) 세포 배양 접시의 80%까지 세포가 자라도록 하였다.
이후, 무혈청 배지 50 ㎕ 배지를 교환하고, 0.1 ㎍ pSTAT3-TA-Luc6 컨스트럭트(construct)를 형질주입(transfection)하였다. 형질주입된 세포를 1% BSA(Bovine Serum Albumin)/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으로 혈청 제한(serum starvation)하고, 실시예 3, 5, 6, 13 및 14 화합물을 1시간 동안 처리한 후, 인터루킨-6(IL-6)를 첨가하여 3시간 배양하였다.
PBS로 세척하고, 용해 완충용액(lysis buffer) 50 ㎕를 넣고 1분간 격렬하게 흔든 후 30-100 ㎕의 루시페리아제 기질(발광효소 기질, Promega luciferase assay system)을 넣고 발광측정기(luminometer)로 5분 내에 측정하였다. 여러 농도의 인터루킨-6(IL-6)에 의하여 나타나는 표준 희석액의 OD 540 nm(광학밀도, optical density)에서의 흡광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IL-6(STAT 3)
IC50(㎍/mL)
1 -
2 -
3 9.12
4 -
5 4.15
6 3.47
7 -
8 -
9 -
10 -
11 -
12 -
13 3.69
14 7.27
15 -
16 -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5, 6, 13 및 14 화합물은 인터루킨-6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IL-6 IC50(㎍/mL) 값이 모두 10㎍/mL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5, 6 및 13 화합물은 IL-6 IC50(㎍/mL) 값이 5㎍/mL 이하인 것으로 나타나 현저히 우수한 IL-6 억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3> 비장(splenic) T 세포에서 IFN γ(Interferon gamma) 생성억제 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비장(spleen) 존재 T 세포에서 IFNγ(Interferon gamma) 생성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여기서, IFNγ 생성억제 능력은 항염증 효과에 기인한다.
3-1. 비장 T 세포의 분리 및 배양
수컷 C57BL6 마우스의 비장을 준비하여 단세포 부유액(single cell suspension)을 제조하고, RBC(Red Blood Cell) 용해(lysis) 완충액(155 mM NH4Cl, 10 mM KHCO3, 0.5 M EDTA(pH 8.0))을 처리하여 적혈구를 제거한 후, 동량의 10% FBS RPMI(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배지를 넣어 중화하였다. 상기 RBC 용해(lysis) 완충액을 완전히 제거시키기 위하여 10% FBS RPMI 배지로 2회 세척한 세포를 카운팅(counting)하여 5x106 세포/mL가 되도록 10% FBS RPMI 배지를 첨가하였다. 전날 4℃에서 anti-CD3(cluster of differentiation 3) (1㎍/mL)로 코팅(coating)한 배양 접시를 PBS, 10% FBS RPMI 배지로 각각 1회 세척한 후, 위에서 카운팅한 세포를 접종(seeding)하여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세포 자극 2시간 후,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을 각각 다양한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3-2. IFN γ 의 생성 확인
화합물을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세포 배양액을 회수하여 IFNγ 의 생성을 ELISA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96-well 플레이트(costar)에 정제된 anti-mIFNγ(1 ㎍/㎖, BD Pharmingen) 항체 및 0.1 M Na2HPO4를 섞어 4℃에서 하룻밤 동안 방치한다. 0.05% Tween20/PBS로 플레이트를 3번 세척한 후 1% BSA/PBS로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블로킹(blocking)한다. 한번 더 0.05% Tween20/PBS로 플레이트를 3번 세척한 후 상기 실험예 3-1의 세포배양액을 1:10으로 희석하여 첨가하고, 4℃에서 하룻밤 동안 방치한다. 0.05% Tween 20/PBS로 플레이트를 3번 세척한 후 1% BSA/PBS에 바이오티닐화된(biotinylated) anti-m IFNγ(1 ㎍/㎖, BD Pharmingen)를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다. 0.05% Tween20/PBS로 플레이트를 3번 세척한 후 1% BSA/PBS에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결합된 스트렙타아비딘(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d streptavidin, 1 ㎍/㎖, BD Pharmingen)을 섞어 플레이트에 첨가한다. 0.05% Tween20/PBS로 플레이트를 3번 세척한 후 디에탄올 아민 완충액(Diethanol amine buffer, 10% Diethanolamine, 0.5 mM MgCl2)에 인산가수분해효소 기질(phosphatase substrate)을 1:500으로 희석한 용액을 첨가하여, ELISA plate reader(Molecular devices)로 405 nm 및 450 nm에서 흡광도를 읽는다. 정제된 재조합 mIFNγ를 표준 사이토카인(standard cytokine)으로 이용하여 연속 희석법(serial dilution을 통하여 정량화 일차직선을 구한 다음, 표준 곡선(Standard curve) 그래프를 만들어 분석에 활용하였다. IFNγ 측정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IFNγ(Interferon gamma) 생성억제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장(splenic) T 세포에서 생성되는 IFNγ(Interferon gamma) 사이토카인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처리에 의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4> 프라이머리 (primary) CD4 + T 세포의 생장억제 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 생장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4-1. CD4 + 양성 T 세포( CD4 + T cell)의 분리
먼저, 수컷 C57BL6 마우스의 비장과 림프절로부터 CD4+ T 세포를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는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비장과 림프절로부터 단세포 부유액(single cell suspension)을 제조하고, 적혈구를 제거한 후, 10x106 세포당 Mini Macs 완충액(2 mM EDTA, PBS에 용해된 0.5% BSA) 500 ㎕와 CD 4(L3T4) 마이크로비드(microbeads, Miltenyi Biotec) 25 ㎕를 섞어주고 차광하여 20분 동안 4℃에 방치하였다. MACS 분리(separation) LS 컬럼(column)을 자장(magnetic field)에 설치하고, LS 컬럼에 Mini MACS 완충액 3 mL로 평형상태를 형성하였다. Anti-CD4 Ab(Antibody)가 결합된 세포를 LS 컬럼에 넣고 Mini MACS 완충액 3 mL씩 두 번 세척한 다음 LS 컬럼을 자장(Magnetic field)에서 분리하고 Mini MACS 완충액 5 mL로 LS 컬럼으로부터 플런저(plunger)를 이용하여 CD4+ T 세포를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세포를 2x106세포/mL 농도가 되도록 anti-CD3 (1㎍/mL) 및 anti-CD28 (1㎍/mL)이 코팅된 플레이트(coated plate)에 접종(seeding)하고, 10 U/mL의 재조합형 인간 IL-2(recombinant human IL-2)를 첨가하여 세포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4-2.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 처리에 의한 CD4 + T 세포의 생장 억제 효과 평가
상기 분리한 CD4 양성 T 세포에, anti-CD3와 anti-CD28 항체로 자극을 주어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이와 동시에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을 농도별로 추가 처리하고, 48시간 후에 세포의 형태변화, 증식 정도, IFN-γ 사이토카인 농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IFNγ(Interferon gamma) 생성억제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농도별 처리에 의하여 CD4+ T 세포 성장과, IFN-γ 사이토카인 생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5> 프라이머리 (primary) CD4 + T 세포에 대한 독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포 독성 키트(EZ-CyTox)를 사용하여 세포 독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4-1에서 분리한 CD4+ T 세포를 접종(seeding)한 후,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을 농도별로 24시간 또는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24시간 또는 48시간 후에 세포 배양액을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각 웰에 EZ-CyTox 용액을 첨가하고, 30분 동안 5% CO2, 37℃ 인큐베이터에서 반응시켰다. 1분 동안 부드럽게 흔들어 주고, 플레이트 리더(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샘플을 대조군으로 정하여 100%로 정하고, 이에 비교하여 다른 샘플을 분석하여 %로 나타내어 생존한 세포의 숫자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에 대한 독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24시간이 경과한 경우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에 대한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세포 증식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48시간 경과 때에는 10μM 농도에서 약 20% 전후의 세포의 숫적 감소가 확인되었다.
< 실험예 6> 일차배양 CD4 + T 세포의 성장억제 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일차배양 CD4+ T 세포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예 4-1에서 분리한 CD4+ T 세포를 2x106 세포/mL가 되도록 현탁액을 제조한 후, CFSE(Carboxyfluorescein succinimidyl ester)를 5μM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약하게 흔들어 섞어주고, 차광하여 실온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10% FBS RPMI 배지를 추가하여 세척한 다음, 한번 더 RPMI 배지로 세포를 세척하였다. 살아있는 세포를 다시 카운팅(counting) 하여 2x106 세포/mL가 되도록 anti-CD3-코팅된 플레이트에 접종(seeding) 하여 자극을 주었다. 접종과 동시에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48시간 또는 72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를 회수하여 염색 완충액(staining buffer, PBS에 용해된 2% FBS)을 첨가하였다. 그 후, CFSE(Carboxyfluorescein succinimidyl ester)로 표지된 세포의 분열(division) 정도를 FACs Calibur(BD Bioscience)로 측정하였으며, 세포 밀도는 CellQuest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화합물의 일차배양 CD4+ T 세포의 성장억제 효과 평가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 화합물의 일차배양 CD4+ T 세포의 성장억제 효과 평가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은 농도의존적으로 일차배양 CD4+ T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7> CD4 + T 세포의 사멸( apoptotic cell death) 유도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에 의한 활성화된 CD4+ T 세포의 수적 감소의 원인을 설명하고자 세포 사멸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활성화된 CD4+ T 세포를 얻어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을 처리하고, 72시간 후에 세포를 회수하여 1x106세포/mL가 되도록 1x 결합 완충액(binding buffer) (10 mM HEPES (pH 7.4), 140 mM NaCl, 2.5 mM CaCl2)을 첨가하였다. 이후, 1x105 세포에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 결합된 아넥신(annexin) V 항체와 프로피디움 요오드화물(propidium iodide)을 넣어 혼합하고 차광하여 실온에서 15분 동안 반응시킨 후, 염색 완충액(Staining buffer, PBS에 용해된 2% FBS)로 세포를 세척하고, 다시 현탁화하여 FACs Calibur (BD Bioscience)로 분석하였다. CellQuest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사멸된 세포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6은 활성화된 CD4+ T 세포에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을 농도별로 72시간 처리한 후, 아넥신(annexin) V 로 염색하여 세포 사멸을 확인한 이미지이다.
도 7은 활성화된 CD4+ T 세포에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을 농도별로 72시간 처리한 후, 프로피디움 요오드화물(propidium iodide)로 염색하여 세포 사멸을 확인한 이미지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에 의해 아팝토시스 세포 사멸 마커(Apoptotic cell death marker)인 아넥신(annexin) V 발현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동시에 죽은 세포 표지자인 프로피디움 요오드화물(propidium iodide)이 염색된 세포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에 의한 일차배양 CD4+ T 세포의 세포사멸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8> CD4 + T 세포에서 인터루킨-2(IL-2)의 생성감소 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농도별 세포 증식 억제가 관찰됨에 따라 CD4+ T 세포에서 세포증식 촉진인자 IL-2 생성을 분석하였다.
8-1. IL-2 농도 측정
먼저, 분리하여 얻은 CD4+ T 세포를 anti-CD3 (1㎍/mL)/CD28 (1㎍/mL) 코팅된 플레이트에 접종(seeding) 하여 활성화하고, 2-3일에 재조합형의 인간 IL-2(recombinant human IL-2) 10 U/mL를 첨가한 RPMI 배지를 추가하여 세포를 팽창(expansion)하였다. Anti-CD3 (0.5㎍/mL) 코팅된 플레이트에 1x106 세포/mL가 되도록 접종(seeding) 한 후, 48시간 후에 세포배양액과 세포를 얻어 상기 실험예 3-2의 방법에 따라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분석을 수행하였다. 항체는 정제된 anti-mIL-2(1 ㎍/mL, BD Pharmingen)를 이용하였으며, 정제된 재조합형의 mIL2를 표준 사이토카인으로 이용하여 연속 희석법(serial dilution)을 통하여 정량화 일차직선을 구한 다음, 구하여 표준 곡선 그래프를 만들어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농도별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에서의 증식인자 IL-2 생성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 화합물에 의한 세포 증식 촉진 사이토카인 IL-2의 생성 감소가 나타났다. 하지만, 실시예 5 화합물에 의한 세포 증식 촉진 사이토카인 IL-2의 생성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다.
8-2. IL-2 mRNA 수준 측정
CD4+ T 세포에 TRIzol 용액(Invitrogen) 500 ㎕을 첨가하여 세포를 녹이고, 여기에 100 ㎕의 클로로포름(chloroform)을 첨가하여 15초 동안 세게 흔들어 준다. 그후, 4℃, 12,000 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를 하여 투명한 수층을 분리하고, 100 ㎕의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과 혼합하여 RNA를 침전시킨다. 다시 4℃, 12,000 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를 하여 가라앉은 RNA를 제외한 나머지 용액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75% 에탄올 1 ㎖을 넣어 세척한 후, 4℃, 12,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한다. 침전된 전체 RNA(total RNA)를 0.1% DEPC(diethyl pyrocarbonate) 물에 녹인 다음 RNA 농도를 정량한다.
RNA 1.0 ㎍을 0.5 ㎍ 올리고-dT(oligo-dT)와 섞은 후, 72℃에서 5분 동안 방치하여 RNA 2차 구조를 풀어준 다음, M-MuLV 역전사효소(M-MuLV reverse transcriptase, Promega), 10 mM dATP, 10 mM dTTP, 10 mM dGTP, 10 mM dCTP, 리보뉴클레아제 저해제(Promega) 25 unit을 혼합하여 최종 25 ㎕가 되도록 넣어준다. 이후, 42℃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cDNA를 합성한다.
상기 합성된 cDNA 0.25 ㎕ 및 2X 사이버 그린(SYBR green, Toyobo)을 섞어 하기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실시간-PCR(real-time PCR, ABI)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β-actin-FWD 5'-AGA GGG AAA TCG TGC GTG AC-3'
β-actin-REV 5'-CAA TAG TGA TGA CCT GGC CGT-3'
IL-2-FWD 5'-CCT GAG CAG GAT GGA GAA TTA CA-3'
IL-2-REV 5'-TCC AGA ACA TGC CGC AGA G-3'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농도별 CD4+ T 세포에서의 증식인자 IL-2 mRNA 발현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의 화합물 농도에 의존적으로 IL-2 mRNA 수준이 감소하나, 실시예 5의 화합물 처리에 의해서는 감소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9>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농도별 세포 증식 억제가 관찰됨에 따라 활성화된 CD4+ T 세포에서의 세포 내 사이토카인 생성을 세포 내 사이토카인 염색(intracellular cytokine staining) 방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먼저, 분리하여 얻은 CD4+ T 세포를 anti-CD3 (1㎍/mL)/anti-CD28 (1㎍/mL) 코팅된 플레이트에 접종(seeding) 하여 활성화하고, 2-3일에 재조합형 인간 IL-2(recombinant human IL-2) 10 U/mL를 첨가한 RPMI 배지를 추가하여 세포를 팽창(expansion)하였다. Anti-CD3 (0.5㎍/mL) 코팅된 플레이트에 1x106 세포/mL가 되도록 접종(seeding) 한 후, 24시간에 세포배양액과 세포를 얻어 세포 내 사이토카인(intracellular cytokine) 분석을 수행하였다.
4일 동안 활성화된 CD4+ T 세포를 PM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10 ng/mL와 이오노마이신(Ionomycin) 1㎍/mL을 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수확(harvest)하기 전 2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모넨신(Monensin) 4 μM을 처리하여 세포를 얻었다. 1x105 세포에 Cytofix/cytoperm 용액 (BD Biosciences)를 가하여 4℃에서 20분 동안 고정(fixation) 하고, 1X Perm/wash 용액 1 mL로 2번 세포를 세척한 후 PE-결합된(conjugated) IFN-γ 항체와 APC-결합된(conjugated) IL-2 항체를 perm/wash 용액에 섞어 첨가하였다. 차광하여 4℃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perm/wash 용액 500㎕로 세포를 세척한 후 염색 완충액(Staining buffer, PBS에 용해된 2% FBS)을 넣어 FACs Calibur (BD Bioscience)로 분석하였다. 세포 밀도(Cell population)는 CellQuest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CD4+ T 세포에서의 세포 내 사이토카인 생성에 대한 농도별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고농도 처리와 장시간 처리에 의해 세포 성장이 억제되었으나 PM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이오노마이신(Ionomycin) 자극에 의해 사이토카인 생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 모두에 의해 IFN-γ 생성 억제가 관찰되었다. 나아가, 실시예 4 화합물에 의한 IL-2 생성 억제는 확인되었지만, 실시예 5 화합물은 IL-2 생성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재확인하였다.
< 실험예 10> CD4 + T 세포의 Th1 (T helper cells 1) 세포로의 분화억제 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농도별 Th1(T helper cells 1) 세포 분화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프라이머리(primary) CD4+ T 세포를 분리한 후, IFN-γ를 생성하는 Th1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5일 동안 생체 외(in vitro)에서 분화를 유도한 후, anti-CD3로 24시간 동안 재자극을 주고 사이토카인 IFN-γ 생성을 상기 실험예 3-1의 방법에 따라 ELISA로 확인하였으며, anti-mIFNγ(1㎍/mL, BD Pharmingen) 항체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의 농도별 Th1(T helper cells 1) 세포 분화억제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화합물 처리에 의하여 CD4+ T 세포의 Th1 세포로의 분화가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11> 과민성 대장염(colitis) 억제활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과민성 대장염 억제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면역 저하(Immune deficient) RAG KO 마우스에 CD4+ T 세포를 주입하고 6주 동안 T 세포 매개 장염을 유발한 후, DMSO(vehicle) 또는 실시예 4 화합물을 10 mg/kg으로 2주 동안 복강 내 주입하면서 과민성 대장염의 증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화합물의 장염 증상(stool consistency)에 대한 억제활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화합물의 대장 길이(colon length)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DMSO 처리군에서는 장염 증상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는 반면, 실시예 4 화합물 처리군에서는 장염 증상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 화합물 처리군에서 DSS(Dextran sulfate sodium) 매개 장염에서 명확하게 관찰되는 대장 길이의 감축(colon shortening)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화합물은 대장염을 유도한 면역 저하(Immune deficient) RAG KO 마우스를 사용한 in vivo 실험에서도 우수한 대장염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12> 대장염 유도 동물모델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IFN γ 억제활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대장염 유도 동물모델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IFNγ 억제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면역 저하(Immune deficient) RAG KO 마우스에 CD4+ T 세포를 주입하고 6주 동안 T 세포 매개 장염을 유발한 후 염증성 사이토카인 IFNγ 생성을 확인하였다. 이후, DMSO(vehicle) 또는 실시예 4 화합물을 10 mg/kg으로 2주 동안 복강 내 주입하면서 IFNγ 생성이 감소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장간막의 림프절(mesenteric lymphnode)로부터 세포를 분리하고, anti-CD3 항체로 자극을 준 후, ex vivo로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세포 내 사이토킨 착색(Intracellular cytokine staining) 방법과 ELISA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는 대장염 유도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화합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IFNγ 억제활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RAG KO 마우스에 대하여 CD4+ T 세포를 주입한 군에서는 IFNγ 생성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실시예 4 화합물을 주입한 군에서는 IFNγ 생성이 현저히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화합물은 대장염 유도 동물모델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IFNg 억제활성이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13> 대장염 감소 조직병리학적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에 의한 대장염 감소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면역 저하(Immune deficient) RAG KO 마우스에 CD4+ T 세포를 주입하고 6주 동안 T 세포 매개 장염을 유발한 후, DMSO(vehicle) 또는 실시예 4 화합물을 10 mg/kg으로 2주 동안 복강 내 주입하면서 과민성 대장염의 증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에 의한 대장염 감소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CD4+ T 세포 주입군에서는 대장 조직 내 염증세포의 침윤과 조직 파괴가 관찰되는 반면, 실시예 4 화합물 주입군에서는 염증 소견이 감소하였음을 조직병리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1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1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과립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150 mg
대두추출물 50 mg
포도당 200 mg
전분 600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112017030855733-pat0004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는 독립적으로 -H, -OH, 할로겐, C1-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SR4, -NO2, -NH2 또는 -N=N-Ph이고, 여기서 R4는 C1-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되,
    2-(3-클로로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2-(2-클로로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2-(4-플루오로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2-(3-플루오로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2-(4-메톡시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및 2-(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은 제외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은 -H, -OH, 할로겐, C1 -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C1 -5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이고;
    R2는 -H, -OH, 할로겐, C1 -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 -5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SR4, -NO2, -NH2 또는 -N=N-Ph이고, 여기서 R4는 C1 -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및
    R3는 -H, C1 -5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C1 -5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R1은 -H, -OH, -Cl 또는 -Br이고;
    R2는 -H, -OH, -CH3, -CH2CH3, -CH(CH3)2, -(CH2)3CH3, -Cl, -I, -SCH3, -NO2, -NH2 또는 -N=N-Ph이고; 및
    R3는 -H, -CH2CH3 또는 -OCH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 (Z)-2-((4-(페닐디아제닐)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3) 2-((4-에틸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4) 2-((3,4-디클로로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5) 2-((4-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6) 2-((2-에틸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7) 2-((4-아이오도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8) 2-((4-이소프로필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9) 2-((4-(메틸티오)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10) 2-((3-브로모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11) 2-((4-나이트로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12) 2-(p-톨릴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13) 2-((4-부틸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14) 2-((2-메톡시-4-나이트로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15) 2-((4-아미노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및
    (16) 2-((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5.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고리화반응시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메톡시기를 하이드록시기로 전환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16035242603-pat00042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및 R3는 독립적으로 제1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6.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크론씨병, 염증성 장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천식 및 아토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T 세포의 증식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FNγ(Interferon gamma)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삭제
  9.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크론씨병, 염증성 장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천식 및 아토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10. 삭제
KR1020160044950A 2015-08-24 2016-04-12 2-(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70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18662 2015-08-24
KR1020150118662 2015-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522A KR20170024522A (ko) 2017-03-07
KR101770310B1 true KR101770310B1 (ko) 2017-08-24

Family

ID=5841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950A KR101770310B1 (ko) 2015-08-24 2016-04-12 2-(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3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921B1 (ko) 2019-09-24 2022-07-29 주식회사 이노보테라퓨틱스 헤테로아릴아미도피리딘올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4039676A4 (en) * 2019-10-02 2024-04-03 Klotho Sciences COMPOUND INTENDED TO INDUCE THE EXPRESSION OF AN ANTI-AGING KLOTHO GENE AND USE THEREOF
JP2024512813A (ja) * 2021-04-01 2024-03-19 クロトー サイエンシーズ 抗老化遺伝子klothoの発現を誘導する化合物を含む慢性腎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2375097B1 (ko) * 2021-04-01 2022-03-17 주식회사 클로소사이언스 항노화 유전자 klotho의 발현을 유도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98422A (ko) * 2021-12-24 2023-07-0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류코트리엔 b4 수용체 저해제 및 이의 용도
KR20240043869A (ko) * 2022-09-27 2024-04-0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4-아미노-부탄아미드를 포함하는 신규한 벤조옥사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2272A1 (en) 2002-03-29 2003-10-09 Chiron Corporation Substituted benzazoles and use thereof as raf kinase inhibitors
US20040122237A1 (en) 2002-03-29 2004-06-24 Payman Amiri Substituted benzazoles and methods of their use as inhibitors of Raf kinase
US20130096136A1 (en) * 2011-09-30 2013-04-18 Methylgene Inc. Inhibitors of Protein Tyrosine Kinase Activ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2272A1 (en) 2002-03-29 2003-10-09 Chiron Corporation Substituted benzazoles and use thereof as raf kinase inhibitors
US20040122237A1 (en) 2002-03-29 2004-06-24 Payman Amiri Substituted benzazoles and methods of their use as inhibitors of Raf kinase
US20130096136A1 (en) * 2011-09-30 2013-04-18 Methylgene Inc. Inhibitors of Protein Tyrosine Kinase Activit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sign and synthesis of 5, 6-fused heterocyclic amides as Raf kinase inihbitors. Bioorganic&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11, 21, pp. 3286-328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522A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310B1 (ko) 2-(페닐아미노)벤조[d]옥사졸-5-올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4828823B2 (ja) 治療用分子および方法−1
KR101705446B1 (ko) 면역질환 치료효과를 갖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ES2401077T3 (es) Nuevos derivados 1,2-difenileteno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inmunológicas
WO2017189613A1 (en) Methods of using fasn inhibitors
KR20180003530A (ko) 감각 유모 세포 사멸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화합물 및 방법
US8614240B2 (en) Benzoxazole derivatives havi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interleukin-6,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20130031229A (ko) 메포민을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0091795A1 (en) Olefinic benzimidazoles
KR20100126544A (ko) 항 rna 바이러스 작용을 가지는 아닐린 유도체
US20120225889A1 (en) Use of macrocyclic lacto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orders
US20070066577A1 (en) Benzoxazole derivative or analogue thereof for inhibiting 5-lipoxygenas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ame
JP2018516275A (ja) ナフトキノン系化合物を含む、膵炎を治療又は予防する組成物
KR101670317B1 (ko) 케톤펩타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34005B1 (ko) 티오우레아 유도체를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H0141616B2 (ko)
KR101804169B1 (ko)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 이의 광학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2759549B (zh) 3-取代氨基-4-((取代吡啶基)氨基)环丁-3-烯-1,2-二酮类化合物
KR20130106599A (ko) 헤디치움 코로나리움 유래 랍단 디터페노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US10160766B1 (en) Benzopyranyl tetracycle compoun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anti-inflammatory effect comprising the same
KR101620022B1 (ko) 닥나무로부터 추출된 폴리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1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1576892B2 (en) Benzopyran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JP2004509167A (ja) 安息香酸誘導体及びその使用方法
JP7101359B2 (ja) Pd-l1発現抑制作用を有する新規化合物
JPH012414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