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666B1 -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666B1
KR101767666B1 KR1020160062193A KR20160062193A KR101767666B1 KR 101767666 B1 KR101767666 B1 KR 101767666B1 KR 1020160062193 A KR1020160062193 A KR 1020160062193A KR 20160062193 A KR20160062193 A KR 20160062193A KR 101767666 B1 KR101767666 B1 KR 101767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unit
support
support ro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1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원식
연강흠
송대석
박현진
Original Assignee
(주)앤피에스
남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앤피에스, 남원식 filed Critical (주)앤피에스
Priority to KR1020160062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6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6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24Thermal treatment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 bodies, e.g. annealing, sin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a lifting arrangement, e.g. lift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support device and a substrate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The substrate support device includes: a processing chamber having a processing space of a substrate; a heating unit arranged on at least a wall among inner walls of the processing chamber; a susceptor unit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heating unit and facing the heating unit; a support unit extended in a direction and including a support rod capable of fixing at least a part of the substrate and a lifting unit installed to be detached from the support rod and lifting the support rod; and a posi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unit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substrate. So, the substrate support device can improv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a process by heating the substrate in a position in which the substrate is not biased in a substrate processing spac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ubstrate. In other words, the processing position of the substrate is not biased in the substrate processing space, and a whole area of the substrate is processed to be even. So, the quality of the substrate to be manufactured can be improved. Also, the size of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by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becomes diversified, the efficiency and the productivity of the substrate processing devic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기판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and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판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의 크기에 따라 처리공간에서의 기판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판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and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adjusting a position of a substrate in a process spa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bstrate, .

최근 들어, 기판 등을 열처리하는 방법으로 급속열처리(rapid thermal processing; RTP)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 rapid thermal processing (RTP) method has been widely used as a method of heat-treating a substrate or the like.

급속열처리 방법은 텅스텐 램프 등의 열원에서 나오는 방사광(放射光)을 기판에 조사하여 기판을 가열 처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급속열처리 방법은 퍼니스(furnace)를 이용한 기존의 기판 열처리 방법과 비교하여, 신속하게 기판을 가열하거나 냉각시킬 수 있으며, 압력 조건이나 온도 대역의 조절 제어가 용이하여, 기판의 열처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rapid thermal processing method is a method of heating a substrate by irradiating the substrate with radiation (emitted light) emitted from a heat source such as a tungsten lamp. Such a rapid thermal annealing method can heat or cool the substrate quickly, and can easily control the pressure condition and the temperature band, thereby improving the heat treatment quality of the substrat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ubstrate heat treatment method using a furnace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이때, 기판 처리 장치에는 기판을 처리하기 위해 열원에서 나오는 방사광이 균일하게 기판에 도달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런 균일한 열처리 과정을 통해 기판상에 박막의 품질이 결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t is required that the radiation emitted from the heat source reaches the substrate uniformly in order to process the substrate, and the quality of the thin film on the substrate can be determined through such a uniform heat treatment process.

특히, 기판 처리 장치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기판을 처리함에 있어, 기판을 수직방향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가열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기판 처리 장치에는 기판을 수직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기판 지지 장치가 구비되어 기판 처리 공정이 진행된다. Particularly, in processing a substrat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t is required that the substrate is heated in a state in which the substrate is hel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is end, And a substrate processing process is performed.

이와 같은 기판 지지 장치는 수직방향으로 기판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기판의 크기에 따라 기판 처리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의 위치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이 요구된다. Such a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is required to be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stably arranging the subs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easily control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disposed in the substrate processing spa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bstrate.

그러나, 종래의 기판 지지 장치는 처리 공간에서 지정된 한 위치에서만 기판을 지지하여, 처리 공간에서 기판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However, it is not easy for a conventional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to support the substrate only at a specified position in the processing space, and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in the processing space.

즉, 종래의 기판 지지 장치의 사용은 처리 공간의 어느 한쪽에만 기판을 편중 배치시키게 되고, 이에 처리되는 기판의 처리 품질이 국부적으로 상이한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기판 처리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기판의 최대 수용 크기가 한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That is, the use of the conventional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causes the substrate to be disposed in only one of the processing spaces, and the processing quality of the processed substrate is locally different. Further,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maximum accommodating size of the substrate that can be disposed in the substrate processing space is limited.

KRKR 2010-01112982010-0111298 A1A1

본 발명은 기판을 수직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기판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a substrat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판 처리 공간의 기판 최대 수용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판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the maximum accommodating size of a substrate in a substrate processing space and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판 처리 공간 내 기판의 편중 배치로 인한 박막의 품질 저하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는 기판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and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capable of suppressing or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a thin film due to uneven placement of the substrate in the substrate processing spa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지지 장치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 가능한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로드를 승강 가능하게 하는 승강부, 상기 기판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위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지지로드의 상승 또는 하강 이동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승강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ro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capable of fixing at least a part of a substrate, a lift unit detachably mountable to the support ro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elevating unit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determining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osition data of the substrate .

상기 지지로드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보조로드, 상기 지지로드 및 상기 보조로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로드 및 상기 지지로드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 가능하게 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supporting rod and the auxiliary rod, and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supporting rod,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supporting rod and at least one side surface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fixing part.

상기 연결로드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로드의 길이는 상기 기판의 하측에 상기 보조로드가 위치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rod is adjustable in length, and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rod can be adjusted so that the auxiliary rod is positioned below the substrate.

상기 승강부는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승강축 및 상기 승강축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로드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면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fting and lowering unit may include a lifting shaft reciprocally mov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a supporting member connected to the lifting shaft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ing rod.

상기 지지로드는 상기 승강부와 마주보는 일단부 영역이 상기 일단부 영역과 대향하는 타단부 영역보다 상기 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ing rod may have a large width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one direction, the one end region facing the elevation portion being wider than the other end region facing the one end region.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면 단면 형상은 상기 지지로드의 외측면 단면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The inner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upport member may correspond to the outer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upport rod.

상기 지지로드와 상기 승강부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는 자력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로드와 상기 승강부는 자기력에 의해 상호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A magnetic force member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support rod and the elevation portion, and the support rod and the elevation portion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는 기판의 처리공간을 형성하는 공정챔버와, 상기 공정챔버 내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벽에 배치되는 가열유닛, 상기 가열유닛의 안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유닛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서셉터유닛,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접촉하여 상기 기판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일부 구성이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처리공간에 배치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기판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ing chamber for forming a processing space for a substrate, a heating unit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wall of the processing chamber inner wall, A support unit arranged in the processing space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structure can be elevated so as to support the substrate in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area of the substrate and a support unit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And a position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size.

상기 위치 조절 유닛은 상기 기판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위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의 승강 이동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includes a display unit for collecting and displaying position data of the substrate,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upport unit is moved up or down according to the position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상기 위치 조절 유닛은 상기 기판의 하단부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기판의 중심 위치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osition adjus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position of a lower end of the substrate, and a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center position of the substrate using a result sensed by the sensing unit.

상기 판단부는 상기 기판의 중심 위치가 상기 공정챔버의 중심영역 내에 배치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의 중심위치가 상기 중심영역의 상부에 배치되면, 상기 지지유닛을 하강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lowering of the support unit when the center position of the substrate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area.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enter position of the substrate is disposed within the central area of the process chamber.

상기 판단부는 상기 기판의 중심 위치와 상기 공정챔버의 중심영역 내에 배치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의 중심위치가 상기 중심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면, 상기 지지유닛을 상승 제어할 수 있다.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center position of the substrate is located within the central region of the process chamber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ift of the support unit when the center position of the substrate is disposed below the center region.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처리공간에서 적어도 일부가 승하강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기판을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ing unit may include an elevating unit disposed at least partially in the processing space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a supporting unit detachably attached to the elevating unit and fixing the substrate.

상기 지지부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승강부에 면접촉 가능한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로드와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보조로드 및 상기 지지로드 및 상기 보조로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support ro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lift portion, an auxiliary rod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in parallel to the support rod and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rod,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connection load.

상기 승강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처리공간에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축 및 상기 승강축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로드에 면접촉 가능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로드는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Wherein the elevating portion includes an elevating shaft disposed at least partially in the processing space and movable up and down and a supporting member connected to the elevating shaft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upporting rod, .

상기 승강부와 마주보는 상기 지지로드의 일단부영역의 폭은 상기 일단부영역에 대향하는 타단부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width of one end region of the support rod facing the elevation portion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other end portion opposite to the one end region.

상기 승강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처리공간에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축 및 상기 승강축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로드에 면접촉 가능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로드 및 상기 지지부재는 자기력에 의해 상호 부착될 수 있다. And a support member that is connected to the lift shaft and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upport rod, wherein the support rod and the support member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magnetic force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에 따르면, 기판을 지지한 상태에서 기판의 크기에 따라 기판 처리 공간에 편중되지 않는 위치에서 가열 처리할 수 있어 공정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and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can be heated at a position that is not concentrated in the substrate processing spa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bstrate while supporting the substrate, Can be increased.

즉, 처리되는 기판의 크기에 따라 기판 처리 공간 내 기판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기판이 편중된 위치에서 처리되는 것을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in the substrate processing spa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d prevent the substrate from being processed in the biased position.

또한, 기판의 크기에 따라 기판 처리 공간에서 지지로드를 상승 및 하강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기판 처리 공간의 기판 최대 수용크기를 활용할 수 있다. Further, by providing the support rods so that the support rods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the substrate processing spa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bstrate, the maximum accommodating size of the substrate in the substrate processing space can be utilized.

이처럼, 기판 처리 공간에서의 기판의 처리 위치가 편중되지 않음으로써, 기판의 전체 영역이 균일하게 처리되어, 제작되는 기판의 품질을 증가시킬 수 있다.As such, since the processing position of the substrate in the substrate processing space is not biased, the entire area of the substrate can be uniformly processed, and the quality of the substrate to be manufactured can be increased.

그리고, 지지유닛에 지지되어 처리될 수 있는 기판의 크기가 다양해져, 기판 처리 장치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And, the size of the substrate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can be varie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가 구비된 기판 처리 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판 처리 장치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기판 처리 장치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서셉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지지부와 승강부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uscept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bstrate h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upport portion of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joining the support portion and the eleva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Befor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construction and the arrangement of the elemen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and carried out in other embodiments, and may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는 처리되는 기판의 크기에 따라 처리공간에서의 기판의 위치를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A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and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vices for easil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 substrate in a processing space according to the size of a substrate to be processed. Hereinafter, a substrate holding apparatus and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F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가 구비된 기판 처리 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기판 처리 장치의 A-A'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기판 처리 장치의 B-B' 단면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taken on line A-A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2,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1)는 기판(S)의 처리공간(T)을 형성하는 공정챔버(1000)와, 공정챔버(1000)의 내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벽에 배치되는 가열유닛(1500), 가열유닛(1500)의 안측에 배치되어, 가열유닛(1500)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서셉터유닛(1300), 기판(S)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접촉 구비되어 기판(S)을 지지하며, 처리공간(T)에 적어도 일부 구성이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지지유닛(1900) 및 지지유닛(1900)에 연결되어 기판(S)의 크기에 따라 지지유닛(19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유닛(1950)을 포함한다. 1 to 4,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 chamber 1000 forming a process space T of a substrate S, A susceptor unit 1300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heating unit 1500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heating unit 1500, at least a part of the substrate S, And is connected to a support unit 1900 and a support unit 1900 which ar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S so as to be capable of elevating at least a part of the structure in the processing space T, And a position adjustment unit 1950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unit 1900.

즉, 본 발명의 기판 처리 장치(1)는 처리공간(T)에서 처리되는 기판(S)의 크기에 따라서, 처리공간(T)에서의 지지유닛(1900)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에, 기판(S)이 처리공간(T)의 중앙에 배치되어 처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처리공간(T)에 수용될 수 있는 기판(S)의 최대 크기를 수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That is,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position of the support unit 1900 in the processing space 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ubstrate S processed in the processing space T. Thus, the substrate S can be disposed and processed in the center of the processing space T, and can accommodate the maximum size of the substrate S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processing space T.

공정챔버(1000)는 내부에 기판(S)을 수용하여 가열해주기 위한 공간, 즉, 처리공간(T)이 마련된 구성으로서, 처리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100)과, 하우징(1100)의 수평방향으로의 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설치되는 가열유닛(1500) 및 가열유닛(1500)의 안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 영역이 복수겹으로 형성되는 서셉터유닛(1300)을 포함한다. The processing chamber 1000 includes a housing 1100 for housing a processing space and a space for receiving and heating the substrate S therein, that is, a processing space T. The processing chamber 1000 includes a housing 1100, And a susceptor unit 1300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heating unit 1500 and having at least a part of a plurality of layer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eating unit 1500 and the susceptor unit 1300.

하우징(1100)은 진공의 가열 공간을 제공하며, 대략적인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박스 형상 또는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0)은 하나의 몸체로 일체 제작될 수도 있으나, 여러 부품이 연결 또는 결합된 조립 몸체를 지닐 수 있는데, 이 경우 각 부품 간의 연결 부위에는 밀폐(sealing)부재(미도시)가 부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S)의 가열 또는 냉각 시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100)은 기판(S)의 처리공간(T)을 제공하는 중공의 몸체(1110)와, 몸체(1110)의 개방된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커버(10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30)는 서셉터유닛(1300) 및 기판(S)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블록(heater block)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가열유닛(1500)이 장착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0 provides a vacuum heating space, and the approximate shape may be a hollow box shape or a block shape as shown. In this case, the housing 11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one body, but may have an assembling body in which various parts are connected or combined. In this case, a sealing member (not shown) And the like. Accordingly, energy required for heating or cooling the substrate S can be re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1100 includes a hollow body 1110 providing a processing space T of the substrate S and a cover 1030 disposed on both open sides of the body 1110 . The cover 1030 can be used as a heater block for heating the susceptor unit 1300 and the substrate S and the heating unit 1500 can be mounted.

공정챔버(1000)는 내부에 기판(S)을 수용하여 가열해주기 위한 처리공간(T)이 마련된 구성으로서, 처리공간(T)을 형성하는 하우징(1100)과, 하우징(1100)의 수평방향으로의 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설치되는 가열유닛(1500) 및 가열유닛(1500)의 안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 영역이 복수겹으로 형성되는 서셉터유닛(1300)을 포함한다. The process chamber 1000 is provided with a processing space T for receiving and heating the substrate S therein and includes a housing 1100 for forming the processing space T and a housing 1110 for housing the substrate 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using 1100 And a susceptor unit 1300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heating unit 1500 and having at least a part of the area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하우징(1100)은 진공의 가열 공간을 제공하며, 대략적인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박스 형상 또는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0)은 하나의 몸체로 일체 제작될 수도 있으나, 여러 부품이 연결 또는 결합된 조립 몸체를 지닐 수 있는데, 이 경우 각 부품 간의 연결 부위에는 밀폐(sealing)부재(미도시)가 부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S)의 가열 또는 냉각 시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100)은 기판(S)의 처리공간(T)을 제공하며, 후술하는 수령유닛(3500)이 장착되는 공정챔버 몸체(1110) 및 공정챔버 몸체(1110)의 개방된 측면을 커버하는 공정챔버 커버(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정챔버 커버(1130)는 공정챔버 몸체(1110)의 개방된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공정챔버 커버(1130a) 및 제2 공정챔버 커버(1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정챔버 커버(1130)는 서셉터유닛(1300) 및 기판(S)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블록(heater block)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가열유닛(1500)이 장착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0 provides a vacuum heating space, and the approximate shape may be a hollow box shape or a block shape as shown. In this case, the housing 11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one body, but may have an assembling body in which various parts are connected or combined. In this case, a sealing member (not shown) And the like. Accordingly, energy required for heating or cooling the substrate S can be reduced. The housing 1100 provides a processing space T of the substrate S and includes a process chamber body 1110 on which a receiving unit 3500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And a process chamber cover 1130 covering the side surfaces. At this time, the process chamber cover 1130 may include a first process chamber cover 1130a and a second process chamber cover 1130b, which are disposed on both open sides of the process chamber body 111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process chamber cover 1130 can be used as a heater block for heating the susceptor unit 1300 and the substrate S, and the heating unit 1500 can be mounted.

가열유닛(1500)은 공정챔버(1000)에 설치되어, 기판(S) 및 서셉터 유닛(1300)를 균일하게 가열하기 위한 구성으로, 공정챔버(1000)의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열유닛(1500)은 기판(S)의 이동경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동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공정챔버(1000) 내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벽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가열부(1510)와, 제1 가열부(1510)의 양단부 영역에 배치되는 제2 가열부(15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ing unit 1500 is installed in the process chamber 1000 and is configured to uniformly heat the substrate S and the susceptor unit 1300. The heating unit 150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s of the process chamber 1000 . At this time, the heating unit 1500 is exten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ement path of the substrate S,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at least one of the sidewalls of the process chamber 1000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movement path, And may include a heating unit 1510 and a second heating unit 1550 disposed at both end regions of the first heating unit 1510.

이에, 하우징(1100)에는 가열유닛(1500)을 장착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홈은 제1 가열부(1510)를 장착하기 위해 기판(S)의 이동경로 방향으로의 측면을 관통하며 형성된 제1 고정홈(1135) 및 제2 가열부(1550)를 장착하기 위해 기판(S)의 이동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측면을 관통하며 형성된 제2 고정홈(113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홈(1135) 및 제2 고정홈(1137)이 형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가열부(1510)의 양단부 영역에 제2 가열부(155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유닛(1500)이 공정챔버(1000)의 양측에 배치된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가열유닛(1500)은 공정챔버(1000)의 양측 중 어느 한쪽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가열유닛(1500)의 배치에 따라 공정챔버(1000)의 형태, 가열유닛(1500)의 연결형태, 서셉터유닛(1300)의 개수 및 온도감지부(1900)의 설치 위치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각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동일하다. A fixing groove for mounting the heating unit 1500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1100. The fixing groove may have a side surface in the moving path direction of the substrate S for mounting the first heating portion 1510 And a second fixing groove 1137 form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side surface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movement path of the substrate S for mounting the first fixing groove 1135 formed to penetrate and the second heating portion 1550 . The first fixing groove 1135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1137 may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so that the second heating portion 1550 may be disposed at both end regions of the first heating portion 1510. In this case, / RTI > Although the heating unit 150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rocess chamber 1000 in this embodiment, the heating unit 1500 may be disposed on only one side of the process chamber 1000.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type of the process chamber 1000, the connection type of the heating unit 1500, the number of the susceptor units 1300,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90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heating unit 1500 , And the constitution and operation effects of the respective embodiments are the same.

이하, 제1 가열부(1510) 및 제2 가열부(1550)를 설명하기 전에 제1 가열부(1510) 및 제2 가열부(1550)를 구성하기 위한 열원(1511)과 윈도우(1515)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Before describing the first heating unit 1510 and the second heating unit 1550, a heat source 1511 for constituting the first heating unit 1510 and the second heating unit 1550, Will be briefly described.

열원(1511)은 텅스텐 할로겐 램프, 카본 램프 및 루비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선형, 벌브(bulb)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열원(1511)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선형의 열원을 사용하는 경우, 복수 개의 열원(1511)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원(1511)의 표면 일부에는 반사체(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선형 열원의 경우 방사광이 방사상으로 방출되는데, 가열 대상인 서셉터유닛(1300) 및 기판(S)은 열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열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광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여 서셉터유닛(1300) 및 기판(S)의 가열 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열원의 표면 일부에 방사광을 서셉터유닛(1300) 및 기판(S)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체(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반사체는 열원의 중심부로부터 20°내지 300°범위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반사체가 상기 제시된 범위보다 넓은 범위에 형성되는 경우 방사광이 투과되는 영역이 매우 좁아져 서셉터유닛(1300) 및 기판(S)을 균일하게 가열하기 어렵고, 제시된 범위보다 좁은 범위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반사체를 통해 방사광의 반사되는 정도가 감소하여 서셉터유닛(1300) 및 기판(S)을 효과적으로 가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반사체는 방사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율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세라믹이나 Ni 또는 Ni/Au 합금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반사체는 가열유닛(1500)이 장착되는 하우징(1100) 내벽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공정챔버 커버(1130) 내벽 표면 중 가열유닛(1500)의 외주면을 감싸는 내벽의 표면에 반사체를 형성하면, 방사광이 공정챔버 커버(1130)의 내벽으로부터 반사되어 서셉터유닛(1300) 측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방사광의 집광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반사체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보다 저전력으로 서셉터유닛(1300)을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At least one of a tungsten halogen lamp, a carbon lamp, and a ruby lamp may be used as the heat source 1511, and various types of heat sources 1511 such as a linear type and a bulb type may be used. For example, when a linear heat source is used, a plurality of heat sources 1511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 reflector (not shown) may be formed on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heat source 1511. Since the susceptor unit 1300 and the substrate S to be heated are arranged so as to face the heat source, the direction of the radiation emitted from the heat source is controlled so that the susceptor unit 1300 and the susceptor unit 1300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substrate S. Therefore, a reflector (not shown) for reflecting the radiation to the suscepter unit 1300 and the substrate S side may be formed on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heat source. The reflector is preferab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range of 20 to 300 degrees from the center of the heat source. At this time, when the reflector is formed in a wider range than the above-described range,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heat the susceptor unit 1300 and the substrate S because the region through which the radiation is transmitted becomes very narrow and is formed in a narrower range than the suggested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heat the susceptor unit 1300 and the substrate S because the degree of reflection of the radiation through the reflector is reduced. Such a reflecto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reflectance capable of reflecting radiation,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ceramic, Ni, or Ni / Au alloy. Meanwhile, the reflector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1100 on which the heating unit 1500 is mounted. That is, when a reflecto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process chamber cover 1130 that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ing unit 1500, the emitted light is reflect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process chamber cover 1130 and irradiated to the susceptor unit 1300 side . Accordingly, the condensing efficiency of the emitted light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susceptor unit 1300 can be effectively heated with lower power than when the reflector is not formed.

윈도우(1515)는 열원(1511)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열원(1511)에서 방출되는 방사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1515)는 투과율이 우수하고 내열성이 우수한 석영, 사파이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1515)는 내부에 열원(1511)을 배치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윈도우(1515) 내부에서 열원(1511)의 삽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윈도우(1515)의 단면형상을 원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공정챔버(1000) 내부 압력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어 교체 주기를 연장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window 1515 is used to protect the heat source 1511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the radiation emitted from the heat source 1511. Therefore, the window 1515 can be formed of quartz, sapphire, or the like having excellent transmittance and excellent heat resistance. The window 1515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so that the heat source 1511 may be disposed therein and may be linearly formed to facilitate insertion and extraction of the heat source 1511 inside the window 1515. [ The cross-sectional shape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nd a polygon. Particularly, when the sectional shape of the window 1515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influence o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rocess chamber 1000 can be reduced, so that the replacement period can be extended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제1 가열부(1510)는 기판(S)의 이동경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기판(S)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을 가열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동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처리공간(T)의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어, 사이에 기판(S) 및 서셉터유닛(1300)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제1 가열부(1510)는 기판(S) 및 서셉터유닛(1300)과 이격된 거리가 동일 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온도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heating unit 1510 is provided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ement path of the substrate S and to heat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S an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S, The substrate S and the susceptor unit 1300 can be disposed between the center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ocessing space T of the substrate S and the susceptor unit 1300, respectively. At this time, each of the first heating parts 1510 is arranged so that the distances from the substrate S and the susceptor unit 1300 are the same distance, so that the temperature deviation does not occur.

제2 가열부(1550)는 제1 가열부(1510)의 양단부 영역에 이격 배치되어, 제1 가열부(1510)의 양단부 영역의 온도를 보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제1 가열부(1510)의 양단부 영역은 제1 가열부(1510)의 연장방향으로의 총 길이를 기준으로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의 소정영역 및 타단에서 일단까지의 소정영역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가열부(1510)의 양단부 영역은 연장길이를 기준으로 일단 및 타단 각각에서 제1 가열부(1510)의 중심쪽으로의 소정 영역을 포함하며, 이는, 제1 가열부(1510)의 연장길이에 대해서 제1 가열부(1510)의 중앙영역 온도에 대해 편차가 발생하는 단부의 영역을 의미한다. 이에 제1 가열부(1510)의 양단부영역은 제1 가열부(1510)의 총 연장길이를 100으로 할 때, 일단에서 제1 가열부(1510) 중앙으로의 5 내지 10의 영역 및 타단에서 제1 가열부(1510) 중앙으로의 5 내지 10의 영역이 양단부 영역일 수 있다. The second heating unit 1550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both end regions of the first heating unit 1510 to compensate the temperature of both end regions of the first heating unit 1510. At this time, the both end regions of the first heating portion 1510 include predetermined region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nd one end to the other end based on the total length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heating portion 1510. More specifically, the both end regions of the first heating portion 1510 include predetermined regions toward the center of the first heating portion 1510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length, 1510) of the first heating portion 1510 with respect to the central region temperature. Accordingly, when the total length of the first heating portion 1510 is 100, both end regions of the first heating portion 1510 are divided into 5 to 10 regions from the first end to the center of the first heating portion 1510, 1 to 5 in the center of the heating unit 1510 may be both end regions.

서셉터유닛(1300)은 공정챔버(1000) 내에서 제1 가열유닛(1510) 및 제2 가열유닛(1550)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기판(S)을 가열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 가열유닛(1510) 및 제2 가열유닛(1550) 사이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부 영역이 복수겹으로 형성된다. 즉, 서셉터유닛(1300)은 제1 가열유닛(1510) 및 제2 가열유닛(1550) 사이에서 공정챔버(1000)의 내벽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공정챔버(1000) 내벽에 고정되어 가열유닛(1500)의 배열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The susceptor unit 1300 is configured to heat the substrate S away from the first heating unit 1510 and the second heating unit 1550 in the process chamber 1000. The susceptor unit 1300 includes a first heating unit 1510 And the second heating unit 1550, and at least a part of the region is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That is, the susceptor unit 1300 is vertically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process chamber 1000 between the first heating unit 1510 and the second heating unit 1550, and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process chamber 1000, And is arranged paralle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unit 1500.

서셉터유닛(1300)은 기판보다 넓은 일면을 포함하는 메인 서셉터(1310)와, 메인 서셉터(13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연결되는 보조 서셉터 및 메인 서셉터(1310)를 공정챔버(1000) 내벽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330)를 포함한다. 이때, 서셉터유닛(1300)은 제1 가열유닛(1510) 및 제2 가열유닛(1550)에 각각 이격 배치되는 제1 서셉터부(1310a) 및 제2 서셉터부(1310b)를 포함하여, 제1 서셉터부(1310a)와 제2 서셉터부(1310b) 사이에 기판(S)을 배치할 수 있다. 이하, 서셉터유닛(13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는 것은 제1 서셉터부(1310a) 및 제2 서셉터부(1310b)에 모두 동일 적용되는 설명이다. The susceptor unit 1300 includes a main susceptor 1310 including one side wider than the substrate and an auxiliary susceptor 1310 connected to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main susceptor 1310 and a main susceptor 1310, And a fixing part 1330 for fixing to the inner wall. The susceptor unit 1300 includes a first susceptor portion 1310a and a second susceptor portion 1310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heating unit 1510 and the second heating unit 1550, The substrate S can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sceptor portion 1310a and the second susceptor portion 1310b.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each constitution of the susceptor unit 1300 is applied to both the first susceptor portion 1310a and the second susceptor portion 1310b.

메인 서셉터(1310)는 기판(S)과 가열유닛(1500) 사이에 배치되어, 기판(S)과 가열유닛(1500)이 직접적으로 마주보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가열유닛(1500)과 마주보는 기판(S)의 일면보다 큰 크기로 구비된다. 메인 서셉터(1310)는 단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조각들의 기판(S)의 일면보다 큰 면적의 일면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메인 서셉터(1310)는 소정 크기의 서셉터 플레이트를 복수개 포함하며, 복수개의 서셉터 플레이트들의 측면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susceptor 1310 is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S and the heating unit 1500 and configured to block direct contact between the substrate S and the heating unit 1500. The main susceptor 1310 includes a heating unit 1500, Is larger than one surface of the opposite substrate (S). The main susceptor 1310 may be formed as a single unit or may constitute one surface having a larger area than on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ieces of the substrate S. That is, the main susceptor 1310 includes a plurality of susceptor plates of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usceptor plate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보조 서셉터(미도시)는 메인서셉터(13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어, 메인 서셉터(1310)의 방사율을 보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보조 서셉터는 후술하는 온도감지부(1600)에 의해 기판(S)의 처리 온도를 측정할 때, 메인 서셉터(1310)의 산화에 의해 메인 서셉터(1310)의 두께 변화에 따라 메인 서셉터(1310)에서 방출되는 방사율이 상이해질 수 있다. 이에, 온도 감지부의 메인 서셉터(1310)의 변형에 의한 방사율 측정값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 및 방지하기 위해, 보조 서셉터는 메인서셉터(1310)의 두께를 보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An auxiliary susceptor (not shown) is arranged in at least a part of the main susceptor 1310 to correct the emissivity of the main susceptor 1310. [ That is, when the processing temperature of the substrate S is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auxiliary susceptor is operated by the main susceptor 1310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main susceptor 1310, The emissivity emitted from the susceptor 1310 may be different. The auxiliary susceptor serves to compensate for the thickness of the main susceptor 1310 in order to suppress or prevent the occurrence of errors in the emissivity measurement value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main susceptor 1310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고정부(1330)는 메인 서셉터(1310)를 공정 챔버의 내벽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메인 서셉터(1310)와 공정챔버(1000)의 내부 상벽을 상호 연결하여, 메인 서셉터(1310)를 처리공간(T)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The fixing portion 1330 is configured to fix the main susceptor 1310 to the inner wall of the process chamber and interconnects the main susceptor 1310 and the inner upper wall of the process chamber 1000, Can be stably supported in the processing space (T).

이와 같은 서셉터유닛(1300)는 기판 처리 시 기판(S)이 가열 유닛에서 조사되는 방사광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기판으로서 니켈(Ni), 구리(Cu), 코발트(Co), 몰리브덴(Mo), 마그네슘(Mg), 백금(Pt), 은(Ag), 크롬(Cr), 망간(Mn), 티타늄(Ti) 및 텅스텐(W) 등의 금속 박판을 이용하는데, 이와 같은 금속 재질의 기판에 방사광을 직접 조사하면 방사광이 반사되어 기판(S)을 공정 온도까지 가열하는데 많은 시간과 전력이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방사광을 흡수하고 열전도도가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서셉터유닛(1300)를 가열 유닛과 기판(S)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방사광에 의해 가열된 서셉터유닛(1300)를 통해 기판이 간접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하였다. 서셉터유닛(1300)는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탄화규소(SiC)가 코팅된 그라파이트, 탄화규소(Silicon Carbide), 질화규소(Silicon nitride), 알루미나(Al2O3), 질화알루미늄(Aluminum nitride) 및 석영(Quartz)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 유닛이 공정챔버(1000)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경우, 서셉터유닛(130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하나의 서셉터만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때, 기판(S)이 서셉터유닛(1300)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서셉터유닛(1300)를 기판(S)과 가열 유닛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서 한 쌍의 서셉터유닛(1300)를 사용하는 경우 기판 처리, 예컨대 기판(S)을 열처리하거나 박막을 증착하는 동안 기판(S)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여 그래핀의 증착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The susceptor unit 1300 serves to prevent the substrate S from being directly exposed to the radiation emitted from the heating unit during substrate processing. That is, in this embodiment, a substrate made of Ni, Cu, Co, Mo, Mg, Pt, Ag, Cr, Mn, titanium (Ti), and tungsten (W). When such a metal substrate is directly irradiated with the radiation, the amount of time and power required to heat the substrate S to the process temperature Can be consumed.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sceptor unit 1300, which absorbs the radiation and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is disposed between the heating unit and the substrate S, so that the substrate can be indirectly heated through the susceptor unit 1300 heated by the radiation Lt; / RTI > The susceptor unit 1300 may be formed of graphite or silicon carbide (SiC) coated graphite, silicon carbide, silicon nitride, alumina (Al2O3), aluminum nitride, and quartz Or the like. When the heating unit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rocess chamber 1000, the susceptor units 1300 may be provided in pairs, but only one susceptor may be used. At this time, it is important to arrange the susceptor unit 1300 between the substrate S and the heating unit so that the substrate S can be indirectly heated by the susceptor unit 1300. [ Here, when using a pair of susceptor units 1300,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deposition of the graphene by maintaining the substrate S at a constant temperature during the substrate processing, for example, during the heat treatment of the substrate S or the deposition of the thin film have.

온도감지부(1600)는 서셉터유닛(130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공정챔버(1000)에서 기판(S)이 로딩되는 측면에 교차하는 측면으로 가열유닛(1500)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온도 감지기를 포함한다. 온도감지부(1600)는 서셉터유닛(1300)의 온도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함으로써, 서셉터유닛(1300)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원하는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600 is provid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suscepter unit 1300 and is disposed at a side of the processing chamber 1000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substrate S is loaded. And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disposed between the temperature sensors.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600 can set the temperature of the susceptor unit 1300 to a desired temperature more accurately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susceptor unit 1300 in a noncontact manner.

온도감지기는 서셉터유닛(1300)의 일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공정챔버(1000) 내에 적어도 일부 영역이 배치되며, 서셉터유닛(1300)를 비접촉식 방법으로 측정하는 온도 측정 기구를 포함한다. 즉, 온도감지기는 공정챔버(1000)의 양측면, 즉 개방되지 않은 커버(1030)의 측면을 관통하며 그 일부 구성이 공정챔버(1000)의 측벽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도감지기는 방사 온도계(pyrometer)가 사용될 수 있으며, 공정챔버(1000)의 측벽을 관통하는 통로(L)가 형성되며, 통로(L)를 통해 서셉터유닛(1300)로부터 방출된 열의 방사율을 측정하여 서셉터유닛(1300)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감지기를 통한 서셉터의 온도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기판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설명하기로 한다. 이처럼 서셉터유닛(1300)로부터 방출되는 열의 방사율을 측정하기 위해 온도감지기는 측정하고자하는 방사되는 열의 파장이 투과할 수 있는 투과창이 배치되고, 투과창과 이격되어 배치된 렌즈를 통해 방사된 열의 파장을 측정하여 초전소자(b)를 통해 온도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공정챔버(1000)의 양측벽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통로(L)의 끝단에 렌즈와 초전소자(b)가 구비되는 방사형 온도계를 배치함으로써 온도감지기가 서셉터유닛(1300)를 측정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방사형 온도계가 공정챔버(1000)의 끝단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투과창을 고정시킬 수 있는 투과창 지지체와 방사형 온도계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는 제1 온도감지기 지지대가 공정챔버(1000)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온도감지기가 배치되는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셉터유닛(130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방사형 온도계와 서셉터유닛(1300) 사이에 서셉터유닛(1300)로부터 방사된 열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으면 그 배치 및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The temperature sensor includes at least a part of the region in the process chamber 1000 in a direction crossing one side of the susceptor unit 1300 and includes a temperature measuring mechanism for measuring the susceptor unit 1300 in a noncontact manner. That is, the temperature sensor may pass through both sides of the process chamber 1000, i.e., the side of the uncovered cover 1030, and some of its configuration may be disposed within the side walls of the process chamber 1000. Such a temperature sensor may be a radiation pyrometer and may include a passageway L extending through the sidewall of the process chamber 1000 so that the emissivity of the heat emitted from the susceptor unit 1300 through the passageway L And the temperature of the susceptor unit 1300 is measured. The method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susceptor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will be described before describing the substrate processing method to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measure the emissivity of the heat emitted from the susceptor unit 1300, the temperature sensor is provided with a transmissive window through which the wavelength of the radiated heat to be measured is disposed, and a wavelength of heat radiated through the lens spaced apart from the transmissive window And the temperature can be output through the superconducting element (b). At this time, by arranging a radial thermometer including a lens and a pyroelectric element (b) at the end of a passage L formed through both side walls of the process chamber 1000, the temperature sensor is arranged to measure the susceptor unit 1300 can do. At this time, a transmission window support capable of fixing the transmission window so that the radial thermometer can be disposed at the end of the process chamber 1000, and a first temperature sensor support capable of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radial thermometer are disposed in the process chamber 1000, As shown in FIG. However, the form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is disposed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heat radiated from the susceptor unit 1300 can be transferred between the susceptor unit 1300 and the radial thermometer disposed apart from the susceptor unit 1300 The arrangement and structure of the passage can be variously modified as long as the passage can be formed.

한편, 공정챔버(1000)에는 처리공간(T)으로 공정가스 및 냉각매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가스 처리 유닛이 구비된다. 가스 처리 유닛은 처리공간(T)으로 공정가스 및 냉각매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부(1710) 및 처리공간(T)으로부터 공정가스 및 냉각매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출유닛을 포함한다. Meanwhile, the process chamber 1000 is provided with a gas processing unit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at least one of a process gas and a cooling medium into the process space T. The gas processing unit includes a gas supply unit 1710 for supplying at least one of a process gas and a cooling medium to the process space T and a gas discharge unit 1710 for discharging at least one of the process gas and the cooling medium from the process space T. [ Unit.

가스공급부(1710)은 공정챔버(1000) 내벽의 상부에 배치되어, 공정챔버(1000) 내벽과의 사이에 가스공급공간을 형성하는 가스공급부재(1711)와, 가스공급부재(1711)로 공정가스 및 냉각매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기를 포함한다. The gas supply unit 1710 is disposed above the inner wall of the process chamber 1000 and includes a gas supply member 1711 for forming a gas supply space between itself and the inner wall of the process chamber 1000, And a gas supply for supplying at least one of gas and cooling medium.

가스공급부재(1711)는 소정두께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 영역이 공정챔버(1000) 내벽 상면과 이격배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711b)를 포함한다. 즉, 가스 공급부재의 돌출부(1711b)는 공정챔버(1000) 내벽 상면에 접촉됨으로써, 돌출부(1711b)가 형성되지 않은 가스공급부재(1711)의 일부 영역들은 공정챔버(1000) 내부 상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이다. 이에, 가스공급기에 의해 공정챔버(1000) 내부로 공급된 공정가스 및 냉각가스는 가스공급부재(1711)와 공정챔버(1000) 내벽 상면과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배출공간을 통해 측방향으로 공급된다. The gas supply member 1711 is formed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trusion 1711b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gas supply member 1711 can be dispos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process chamber 1000. That is, the projecting portion 1711b of the gas supply member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process chamber 1000, so that some regions of the gas supply member 1711 where the projection 1711b is not formed are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ocess chamber 10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separated. The process gas and the cooling gas supplied into the process chamber 1000 by the gas supplier are supplied laterally through the discharge space formed by the gas supply member 17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process chamber 1000 .

가스배출부(1730)은 공정챔버(1000) 내벽의 하부에 배치되어, 공정챔버(1000) 내의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부재(1731)와, 가스배출부재(1731)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공정챔버(1000) 내의 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가스배출기(1735)를 포함한다. The gas discharge portion 1730 is disposed below the inner wall of the process chamber 1000 and includes a gas discharge member 1731 for discharging gas in the process chamber 1000, And a gas ejector 1735 for sucking in the gas in the process chamber 1000.

가스 배출부재(1731)는 내부에 가스의 이동경로가 형성된 소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정챔버(1000) 내부 바닥에 배치되는 일면에는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1731c)가 형성된다. 이에, 가스 배출부재(1731)의 배출구(1731c)가 공정챔버(1000) 내부 바닥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가스 배출부재(1731)의 측면에는 처리공간(T)의 가스가 가스 배출부재(1731)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홀(1731a)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가스 배출기(1735)는 가스 배출부재(1731)의 가스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가스배출부재(1731)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The gas discharging member 1731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late shape in which a gas moving path is formed therein, and a discharge port 1731c through which gas is discharged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gas discharging member 1731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process chamber 1000. Thus, the discharge port 1731c of the gas discharge member 1731 can be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process chamber 1000. At this time,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731a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gas discharging member 1731 so that the gas in the processing space T can be sucked into the gas discharging member 1731. [ The gas discharger 1735 can adjus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gas discharging member 1731 with a structure for easily discharging the gas of the gas discharging member 1731 to the outside.

지지유닛(1900)은 처리공간(T)에서 기판(S)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처리공간(T)에서 적어도 일부가 승하강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승강부(1910)와 승강부(19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기판(S)을 고정하는 지지부(1930)를 포함한다. The support unit 190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ubstrate S in the processing space T and includes a lift portion 1910 and a lift portion 1910 which are arrang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m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the processing space T And a supporting portion 1930 for fixing the substrate S.

지지부(1930)는 기판(S)이 고정되기 위한 틀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 영역이 승강부(1910)에 면접촉 가능한 지지로드(1931)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1930)는 지지로드(1931)의 하부에서 지지로드(1931)와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보조로드(1935) 및 지지로드(1931)와 보조로드(1935)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로드(193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1930 includes a support rod 1931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lift portion 1910. The support portion 1930 is provided with a frame for fixing the substrate S thereto. The support portion 1930 includes an auxiliary rod 1935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1931 and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rod 1931 and at least one connection And a load 1937.

지지로드(1931)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기판의 일면에 접촉되어 기판(S)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어, 기판(S)을 관통 고정 가능하게 하는 고정체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로드(1931)는 승강부(1910)와 마주보는 일단부 영역이 일단부 영역과 대향하는 타단부 영역보다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로드(1931)는 승강부(1910)와 마주보는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지지로드(1931)의 양측면보다 돌출 형성된 날개부(19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날개부(1933)는 후술하는 지지부재(1915)에 면접촉되면서 지지부재(1915)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지지로드(1931)는 상하방향으로 슬릿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기판(S) 처리를 위해 공급된 가스가 용이하게 지지로드(1931) 사이로 흘러들어가 기판(S)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rods 1931 extend in one direction to contact the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fix the substrate S and ar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one direction, And includes a fixture that enables fixation. At this time, the support rod 1931 may have a large width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than the other end region facing the one end region, the one end region facing the lift portion 1910. That is, the support rod 1931 may be formed with a wing 1933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rod 1931 facing the lift portion 1910 and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rod 1931. At this time, the wing portion 1933 may be held on the support member 1915 while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1915 to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support rod 1931 can be formed with a sli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us, the gas supplied for the substrate (S) treatment can easily flow between the support rods 1931 and be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s S. [

고정체는 지지로드(1931)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어, 기판을 지지로드(1931)에 고정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이때, 고정체는 지지로드(1931)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핀과, 고정핀에 체결되는 고정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핀은 지지로드(1931)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기판(S)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링은 볼트-너트의 체결방법과 동일하게 고정핀에 체결됨으로써, 기판(S)을 지지로드(1931)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판(S)이 지지로드(1931)에 고정될 경우에는, 고정핀에 첫번째 기판(S)을 관통 배치시킨 후, 고정링으로 고정하고, 다시 고정핀에 두번째 기판(S)을 관통 배치시킨 후 고정링으로 고정할 수 있다. The fixture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support rod 1931 to fix the substrate to the support rod 1931. At this time, the fixture may include a fixture pin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support rod 1931, and a fixture ring fixed to the fixture pin. That is, the fixing pin may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rod 1931, and may be arranged to penetrate at least a part of the substrate S. The fixing ring is fastened to the fixing pin in the same manner as the bolt-nut fastening method, so that the substrate S can be fixed to the support rod 1931. When the plurality of substrates S are fixed to the support rods 1931, the first substrate S is placed on the fixing pins, and then fixed by the fixing ring. Then, the second substrate S is fixed to the fixing pins It can be fixed with a fixing ring after passing through.

한편, 고정체는 지지로드(1931)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과 맞닿는 고정 플레이트 및 고정 플레이트와 지지로드(1931)의 측면에 삽입 배치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체는 지지로드(1931)와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기판(S)을 배치하고, 지지로드(1931)와 고정 플레이트의 밀착에 의해 기판(S)을 지지로드(1931)와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볼트를 지지로드(1931)와 고정 플레이트에 삽입되도록 체결함으로써 고정 플레이트와 지지로드(1931) 사이의 밀착력에 의해 밀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xture may include a fixture plate and a fixture plate abutting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support rod 1931, and a fixture bolt inserted and disposed at the side of the support rod 1931. That is, the substrate S is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rod 1931 and the fixed plate, and the substrate S is held between the support rod 1931 and the fixed plate by the contact between the support rod 1931 and the fixed plate Can be fixed. By fastening the fixing bolt to be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rod 1931 and the fixing plate, the fixing bol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ing rod 1931 by the adhesion force.

보조로드(1935)는 지지로드(1931)에 이격되어 지지로드(1931)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때, 보조로드(1935)는 지지로드(1931)의 양측면에 기판(S)이 배치될 경우에, 양측면에 배치된 기판(S)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처리 공정 중에 기판(S)이 서로 맞닿는 것을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다. The auxiliary rod 1935 is disposed parallel to the support rod 1931,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rod 1931. At this time, the auxiliary rod 1935 is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s 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rod 1931 when the substrates 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rod 1931, And can be prevented and prevented.

연결로드(1937)는 지지로드(1931)와 보조로드(1935)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지지로드(1931)와 보조로드(1935)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결로드(1937)는 지지로드(1931) 및 보조로드(1935)의 연장방향으로의 양측면에 단부 영역이 삽입됨으로써 지지로드(1931)와 보조로드(1935)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rod 1937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support rod 1931 and the auxiliary rod 1935 and at least on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rod 1931 and the auxiliary rod 1935. At this time, the connection rod 1937 can connect between the support rod 1931 and the auxiliary rod 1935 by inserting an end region on both sid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upport rod 1931 and the auxiliary rod 1935.

이때, 연결로드(1937)는 상하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지지로드(1931)와 보조로드(1935)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연결로드(1937)의 길이는 기판(S)의 크기에 따라 길어지거나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기판(S)의 하측에 보조로드(1935)가 위치하도록 지지로드(1931)와 보조로드(193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nection rod 1937 can be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rod 1931 and the auxiliary rod 1935 can be adjusted. That is,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rod 1937 is formed to lengthen or shorte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bstrate S, so that the support rod 1931 and the auxiliary rod 1935 ) Can be adjusted.

한편, 연결로드(1937)가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기판(S)의 측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경우에는, 연결로드(1937)와 기판(S) 사이에 측면 서셉터(135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측면 서셉터(1350)는 기판의 이동방향으로의 반사광이 조사될 경우에 기판(S)에서 방사광이 반사되는 것을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nection rod 1937 is dispos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S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susceptor 135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rod 1937 and the substrate S have. That is, the side susceptor 1350 can suppress and prevent the reflection of the radiation from the substrate S when the reflected light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bstrate is irradiated.

승강부(1910)는 지지부(1930)를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일부가 처리공간(T)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축(1913) 및 승강축(1913)에 연결되어 지지로드(1931)에 면접촉 가능한 지지부재(1915)를 포함한다. 또한, 승강부(1910)는 승강축(1913)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체(1311)가 구비될 수도 있다.The elevating portion 1910 is configured to elevate and lower the supporting portion 1930. The elevating portion 1910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shaft 1913 and the elevating shaft 1913 at least a part of which is disposed in the processing space T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And a support member 1915 that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upport rod 1931. [ The elevating portion 191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body 1311 for guiding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elevating shaft 1913.

승강축(1913)은 공정챔버(100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 영역이 처리공간(T)에 배치된다. 이때, 승강축(1913)은 공정챔버(1000)의 상측에 배치된 가이드체(1311)의 일부 구성에 연결되어, 가이드체(1311) 일부 구성의 이동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An elevation shaft 1913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rocess chamber 1000, and at least a part of the region is disposed in the processing space T. At this time, the lifting shaft 1913 is connected to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guide body 1311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ocess chamber 1000, and can be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guide body 1311.

지지부재(1915)는 지지부(1930)의 이동방향으로의 측면이 개방형성되며, 지지부(1930)의 일부 영역이 관통하며 경유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지지부재(1915)의 내측면 중 일부는 지지부(1930)가 안착되는 안착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수령부재는 이동축에 연결되는 연결면과, 연결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면 및 상기 연결면과 평행하며, 연결면에 각각 안측으로 수직 연결되는 돌출면을 포함한다. 이에, 지지부재(1915)는 지지부(1930)의 날개부와 대응되는 단면형상을 갖는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1915 is formed so that a side surface thereof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1930 is opened and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930 passes through and passes through. At this time,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915 may be a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support portion 1930 is seate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member includes a connecting surface connected to the moving shaft, a vertical surfac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urface, and a protruding surface parallel to the connecting surface and vert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urface,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support member 1915 may include a guide hol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wing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930.

가이드체(1911)는 승강축(1913)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공정챔버(10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1911b, 1911c) 및 가이드 레일(1911b, 1911c)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 블럭(1911a)을 포함한다. 즉, 가이드 레일(1911b, 1911c)은 공정챔버(1000)의 상벽에서 승강축(1913)이 이동할 수 있는 상하방향으로의 경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승강축(1913)이 연결된 가이드 블럭(1911a)이 가이드 레일(1911b, 1911c)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승강축(1913)의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한다.The guide body 1911 is configured to form a movement path of the elevation shaft 1913 and is movable along guide rails 1911b and 1911c and guide rails 1911b and 1911c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cess chamber 1000 And a guide block 1911a. That is, the guide rails 1911b and 1911c form a pa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lifting shaft 1913 can move from the upper wall of the process chamber 1000. [ The guide block 1911a connected to the elevation shaft 1913 moves along the guide rails 1911b and 1911c so that the elevation shaft 1913 can move up and down.

위치 조절 유닛(1950)은 지지유닛(1900)에 연결되어 기판(S)의 크기에 따라 지지유닛(190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위치 조절 유닛(1950)은 기판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표시부(1953)와, 표시부(1953)에 수집된 위치 데이터에 따라 지지유닛(1900)의 승강 이동을 판단하는 판단부(1955) 및 판단부(1955)의 판단 결과에 따라 지지유닛(1900)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957)를 포함한다. 또한, 위치 조절 유닛(1950)은 처리공간(T)에서의 기판(S)의 하단부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1951) 및 감지부(1951)에서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기판의 중심 위치를 산출하는 산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195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1900 and is provide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unit 190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bstrate S. [ At this time,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1950 includes a display portion 1953 for collecting position data of the substrate, a determination portion 1955 for determining the movement of the support unit 1900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data collected on the display portion 1953, And a control unit 1957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unit 190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1955. The position adjusting unit 1950 calculates the center position of the substrate S by using the sensing unit 1951 that senses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substrate S in the process space T and the result sensed by the sensing unit 1951 (Not shown).

즉, 위치 조절 유닛(1950)은 지지유닛(1900)에 고정되는 기판(S)의 크기를 감지하고, 기판(S)의 중심위치를 공정챔버(1000)의 중심영역에 배치되도록 지지유닛(1900)의 상하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위치 조절 유닛(1950)은 다양한 기판 크기에 대응하여 지지유닛(1900)의 상하이동을 조절함으로써, 기판(S)이 처리공간(T)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1950 detects the size of the substrate S fixed to the support unit 1900 and adjusts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substrate S in the central area of the processing chamber 1000, ) Can be controlled.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1950 can adjust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support unit 1900 corresponding to various substrate sizes so that the substrate S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processing space T. [

감지부(1951)는 처리공간(T)에서의 기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처리공간(T)에서의 기판(S)의 하단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감지부(1951)는 지지부(1930)에 고정되어 승강부(1910)에 체결된 상태에서, 기판(S)의 하단부가 공정챔버(1000)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는지 감지한다. 이에, 감지부(1951)는 처리공간(T)의 상하방향으로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부에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951 senses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in the processing space T and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substrate S in the processing space T. [ That is, the sensing part 1951 is fixed to the supporting part 1930 and detects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substrate S in the process chamber 1000 in a state where the sensing part 1951 is fastened to the elevating part 1910. The sensing unit 1951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ing senso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rocessing space T in the vertical direction.

산출부(미도시)는 감지부(1951)에서 감지된 기판(S)의 하단부 위치 결과값을 이용하여 기판(S)의 중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판(S)의 하단부 위치 결과값과 미리 알고 있는 지지로드(1931)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기판(S)의 중심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산출부는 기판(S)이 지지부(1930)에 지지되어 승강부(1910)에 체결되었을 때의 초기 상태, 즉, 지지로드(1931)의 초기위치 값에서 기판(S)의 하단부 위치까지의 거리(기판의 상하방향으로의 길이)를 산출하고, 이를 반으로 나누어 기판(S)의 중심 위치 값을 산출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산출부는 지지부(1930)의 상단부로부터 기판(S)의 중심까지의 길이값을 산출하여, 기판의 중심 위치 값을 산출할 수 있다. (Not shown) is for calculating the center position of the substrate S using the resultant value of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substrate S sensed by the sensing unit 1951. The calculating unit The center position of the substrate S can be calculated using the position value of the support rod 1931 that is known in advance. That is, the calculator calculates the initial state of the substrate S when the substrate S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ortion 1930 and fastened to the elevating portion 1910, that is,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upporting rod 1931 to the lower end of the substrate S The distance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is calculated and divided by half to calculate the center position value of the substrate S. More specifically, the calculating unit can calculate the center position value of the substrate by calculating the length value from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1930 to the center of the substrate S. [

표시부(1953)는 기판(S)의 위치 데이터, 즉, 기판(S)의 중심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여 표시하는 구성이다. 이때, 표시부(1953)는 기판(S)의 위치 데이터를 화면에 영상 또는 수치로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표시부(1953)는 화면의 일 영상에서 중심위치가 표시된 기판(S)을 영상화하여 보여줄 수 있으며, 일 영상의 크기는 처리공간(T)의 크기로 설정한 상태에서 중심위치가 표시된 기판(S)을 일 영상의 크기를 기준으로 축소화하여 영상으로 보여줄 수 있다. The display portion 1953 is a structure for collecting and displaying the position data of the substrate S, that is, the center position data of the substrate S.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953 can display the position data of the substrate S on the screen as an image or a numerical value.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953 may display the substrate S displayed with the center position in a single image of the screen, and the size of the one image may be set to the size of the processing space T, (S) can be reduced in size based on the size of one image and displayed as an image.

판단부(1955)는 표시부에 표시된 기판(S)의 중심 위치 데이터에 따라 지지로드(1931)의 상승 및 하강 이동을 판단하는 구성이다. 즉, 판단부(1955)는 표시부(1953)에 표시된 기판(S)의 중심 위치가 공정챔버(1000)의 중심영역(처리공간의 중심영역) 내에 배치되는지 판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판단부(1955)는 공정챔버(1000)의 중심영역 내에 기판(S)의 중심 위치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 지지유닛(1900)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요구된다고 판단한다. 즉, 판단부(1955)는 공정챔버(1000)의 중심영역 내에 기판(S)의 중심 위치가 배치되지 않고, 기판(S)의 중심위치가 공정챔버(1000)의 중심영역보다 상부에 배치되면, 지지유닛(1900)이 하강하여야 한다고 판단한다. 또한, 판단부(1955)는 공정챔버(1000)의 중심영역 내에 기판(S)의 중심 위치가 배치되지 않고, 기판(S)의 중심위치가 공정챔버(1000)의 중심영역보다 하부에 배치되면, 지지유닛(1900)이 상승하여야 한다고 판단한다. The determination unit 1955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support rod 1931 in accordance with the center position data of the substrate 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at is, the determination unit 1955 is a structur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enter position of the substrate 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953 is disposed within the central region (central region of the process space) of the process chamber 1000. 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unit 1955 determines that it is required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support unit 1900 when the center position of the substrate S is not disposed within the central region of the process chamber 1000. [ That is, when the central position of the substrate S is not disposed within the central region of the process chamber 1000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substrate S is located above the central region of the process chamber 1000 , It is determined that the supporting unit 1900 should descend. If the central position of the substrate S is not disposed within the central region of the process chamber 1000 and the central position of the substrate S is located below the central region of the process chamber 1000 , It is determined that the supporting unit 1900 should be raised.

제어부(1957)는 판단부(1955)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지지유닛(1900) 중 승강부(19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제어부(1957)는 판단부(1955)에서 지지유닛(1900)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이에 대응하여 승강부(1910)의 승강축()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승강부(1910)에 동작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957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unit 1910 of the support unit 1900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1955.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1955 tha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support unit 1900 is necessary, the control unit 1957 controls the lifting unit 1910 such that the lifting axis of the lifting unit 1910 is raised or lowered 1910, respectively.

이처럼, 위치 제어 유닛(1950)을 통해 지지부(1930)에 지지된 기판(S)이 처리공간(T)의 중앙에 배치됨으로써, 기판(S)은 처리공간(T)의 중앙에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기판(S)이 처리공간(T)의 상부 또는 하부에 치우쳐져 처리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공정 불균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기판(S)의 크기에 따라서 지지유닛(1900)이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기판(S)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하여 공정을 진행할 수 있어 기판 처리 공정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ubstrate S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1930 via the position control unit 195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processing space T, so that the substrate S can be processed at the center of the processing space T hav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cess irregularity problem that may be caused when the substrate S is biased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processing space T.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unit 1900 can be easily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bstrate S, the process can be performed corresponding to various sizes of the substrate S,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substrate processing process .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 : 기판 1 : 기판 처리 장치
1910 : 승강부 1913 : 승강축
1915 : 지지부재 1930 : 지지부
1931 : 지지로드 1935 : 보조로드
1937 : 연결로드 1950 : 위치 조절 유닛
1953 : 표시부 1955 : 판단부
1957 : 제어부
S: substrate 1: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910: elevating part 1913: elevating shaft
1915: Support member 1930: Support member
1931: Support rod 1935: Auxiliary rod
1937: connection rod 1950: position control unit
1953: Display section 1955: Judgment section
1957:

Claims (17)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 가능한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보조로드;
상기 지지로드 및 상기 보조로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로드;
상기 지지로드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 가능하게 하는 고정부;
상기 지지로드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로드를 승강 가능하게 하는 승강부;
상기 기판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위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지지로드의 상승 또는 하강 이동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승강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판 지지 장치.
A support ro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capable of fixing at least a part of the substrate;
An auxiliary rod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ro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least one connection rod connecting the support rod and the auxiliary rod;
A fixing part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support rod to fix at least a part of the substrate;
A lifting unit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pport rod to allow the support rod to move up and down;
A display unit for collecting and displaying position data of the substrate;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upport rod is moved up or down according to position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elevat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ing unit
≪ / RTI >
삭제delete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로드의 길이는 상기 기판의 하측에 상기 보조로드가 위치하도록 조절되는 기판 지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rod is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Wherein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rod is adjusted such that the auxiliary rod is positioned below the substrate.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승강축; 및
상기 승강축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로드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면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기판 지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 lifting shaft reciprocally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lifting shaft and configured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support ro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는
상기 승강부와 마주보는 일단부 영역이 상기 일단부 영역과 대향하는 타단부 영역보다 상기 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큰 폭으로 형성되는 기판 지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The support rod
Wherein one end region facing the elevating portion is formed in a larger width in a direction crossing the one direction than the other end region facing the one end region.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면 단면 형상은 상기 지지로드의 외측면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기판 지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corresponds to an outer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upport ro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와 상기 승강부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는 자력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로드와 상기 승강부는 자기력에 의해 상호 탈부착 가능한 기판 지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a magnetic force member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support rod and the elevating portion are opposed to each other,
Wherein the support rod and the elevation portion are mutually detachable by a magnetic force.
기판의 처리공간을 형성하는 공정챔버;
상기 공정챔버 내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벽에 배치되는 가열유닛;
상기 가열유닛의 안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유닛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서셉터유닛;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접촉 하여 상기 기판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일부 구성이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처리공간에 배치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기판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절 유닛은,
상기 기판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위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의 승강 이동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처리공간에서 적어도 일부가 승하강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기판을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승강부에 면접촉 가능한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로드와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보조로드; 및
상기 지지로드 및 상기 보조로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A process chamber forming a processing space of the substrate;
A heating unit disposed on at least one of side walls of the process chamber;
A susceptor unit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heating unit and disposed facing the heating unit;
A support unit disposed in the processing space such that at least a part of the structure can be elevated so as to contact at least a part of the substrate to support the substrate; And
And a position adjusting unit connected to the supporting unit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ing uni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bstrate,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includes:
A display unit for collecting and displaying position data of the substrate;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upport unit is moved up or down according to position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The support unit includes:
A lift portion disposed at least partially in the processing space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And a supporting part detachably attached to the elevating part and fixing the substrate,
The support portion
A support ro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elevating portion;
An auxiliary rod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and spaced apart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rod; And
And at least one connection rod connecting the support rod and the auxiliary rod.
삭제delete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 유닛은
상기 기판의 하단부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기판의 중심 위치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A sensing unit sensing a position of a lower end of the substrate;
And a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a center position of the substrate using the resul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기판의 중심 위치가 상기 공정챔버의 중심영역 내에 배치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의 중심위치가 상기 중심영역의 상부에 배치되면, 상기 지지유닛을 하강 제어하는 기판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enter position of the substrate is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process chambe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owering of the support unit when the center position of the substrate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central area.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기판의 중심 위치와 상기 공정챔버의 중심영역 내에 배치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의 중심위치가 상기 중심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면, 상기 지지유닛을 상승 제어하는 기판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enter posi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central region of the process chamber are disposed,
Wherein the control unit elevates the support unit when the center position of the substrate is disposed below the center area.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처리공간에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축 및 상기 승강축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로드에 면접촉 가능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로드는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며 배치되는 기판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nd a supporting member connected to the elevating shaft and capable of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upporting rod, wherein the elevating shaft is mov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herein the support rod is arranged to penetrate the support member.
청구항 15 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와 마주보는 상기 지지로드의 일단부영역의 폭은 상기 일단부영역에 대향하는 타단부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기판 처리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a width of one end region of the support rod facing the elevating portion is larger than a width of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region.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처리공간에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축 및 상기 승강축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로드에 면접촉 가능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로드 및 상기 지지부재는 자기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는 기판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nd a supporting member connected to the elevating shaft and capable of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upporting rod, wherein the elevating shaft is mov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herein the support rod and the support member are mutually adhered by a magnetic force.
KR1020160062193A 2016-05-20 2016-05-20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7676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193A KR101767666B1 (en) 2016-05-20 2016-05-20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193A KR101767666B1 (en) 2016-05-20 2016-05-20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666B1 true KR101767666B1 (en) 2017-08-16

Family

ID=59752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193A KR101767666B1 (en) 2016-05-20 2016-05-20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66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9306A (en) * 2018-03-21 2019-10-01 Nps股份有限公司 Substrate board treatment and the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for utilizing th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547B1 (en) * 2013-03-06 2014-07-28 주식회사 제우스 Vertical type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
JP2015130522A (en) 2009-09-24 2015-07-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heat treat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0522A (en) 2009-09-24 2015-07-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heat treatment apparatus
KR101421547B1 (en) * 2013-03-06 2014-07-28 주식회사 제우스 Vertical type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9306A (en) * 2018-03-21 2019-10-01 Nps股份有限公司 Substrate board treatment and the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for utilizing the device
CN110299306B (en) * 2018-03-21 2023-04-11 Nps股份有限公司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092B1 (en) Transparent reflector plate for rapid thermal processing chamber
TW201724320A (en) Diode laser for wafer heating for EPI processes
US20080170842A1 (en) Temperature measurement and control of wafer support in thermal processing chamber
EP0978867A2 (en) Heating device of the light irradiation type and holding device therefor
JP2010225645A (en) Heat treatment apparatus
KR201400168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wafer position in a processing chamber under process conditions
TW201947665A (en) Thermal processing method and thermal processing apparatus
JP2015536048A (en) Improved edge ring lip
JP2019068063A (en)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bd substrate processing device
CN104752277A (en) Epitaxial Growth Apparatus
KR20150117617A (en) Susceptor with radiation source compensation
KR101605079B1 (en) Rapid thermal processing apparatus
KR101767666B1 (en)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10010381A (en) Heat treatment method and heat treatment apparatus
JP5964630B2 (en) Heat treatment equipment
TW201518698A (en) Pyrometer background elimination
JP6272743B2 (en)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KR102395731B1 (en) Heat treatment method and heat treatment apparatus
KR101856131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CN112349587A (en) Heat treatment method
KR101721619B1 (en) Transferr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it, the method for transferring substrate using it
US11828656B2 (en) Reflector plate for substrate processing
KR102195420B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20090044746A1 (en) Vertical heat treatment apparatus
JP6618336B2 (en) Substrate temperature distribution adjust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