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689B1 -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 - Google Patents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689B1
KR101764689B1 KR1020150126801A KR20150126801A KR101764689B1 KR 101764689 B1 KR101764689 B1 KR 101764689B1 KR 1020150126801 A KR1020150126801 A KR 1020150126801A KR 20150126801 A KR20150126801 A KR 20150126801A KR 101764689 B1 KR101764689 B1 KR 101764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vessel
blood
labeling
list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9782A (ko
Inventor
이창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Priority to KR1020150126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689B1/ko
Publication of KR20170029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40Controls; Safety devices

Landscapes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채혈관과 검사정보 및 환자정보에 기반하여 검사에 요구되는 채혈관 리스트를 비교하여 투입된 채혈관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채혈관 적절성 판단부 및 투입된 채혈관이 적절하면, 투입된 채혈관에 해당되는 검사정보 또는 환자정보를 라벨링하는 라벨링부를 포함하는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에 관련된다.

Description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APPARATUS FOR RECOGNIZING AND LABELING TUBE FOR BLOOD TEST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채혈관의 색 또는 형태를 기초로 채혈관을 인식하고 라벨링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련된다.
종래 채혈관 라벨링 장치는 채혈관을 미리 종류별로 분리 보관하고, 환자정보 및 검사정보에 해당되는 채혈관을 보관된 용기에서 하나씩 꺼내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은 채혈관을 미리 종류별로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과 분리 보관된 채혈관들을 보관 해야 하기 때문에 채혈관 라벨링 장치의 규모가 매우 컸다. 즉, 라벨링을 위한 부분과 채혈관을 분리 보관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채혈관을 분리 보관하는 부분이 매우 큰 부피를 차지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10-145148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형화가 가능한 채혈관 라벨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검사자가 부적절한 채혈관을 투입하더라도 부적절한 채혈관을 필터링하여 실수를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는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채혈관과 검사정보 및 환자정보에 기반하여 검사에 요구되는 채혈관 리스트를 비교하여 투입된 채혈관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채혈관 적절성 판단부 및 투입된 채혈관이 적절하면, 투입된 채혈관에 해당되는 검사정보 또는 환자정보를 라벨링하는 라벨링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채혈관 적절성 판단부는, 투입된 채혈관의 색 또는 형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감지된 색 또는 형태를 기초로 채혈관의 종류를 판별하는 채혈관 종류 판별부 및 판별된 채혈관의 종류와 상기 채혈관 리스트를 비교하는 채혈관 리스트 비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투입된 채혈관의 캡 부분의 색 또는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는 상기 검사정보 및 환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는 상기 투입구에 투입된 채혈관을 상기 센서부에 의한 감지가 가능한 감지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수단은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각각의 채혈관을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가지고 상기 감지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한 개의 채혈관을 받는 복수의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수신부는 원통형의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의 바디는 회전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의 바디는 선행하는 채혈관에 대한 감지가 완료된 이후 다음 번 채혈관이 상기 감지영역에 위치되도록 회전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형화가 가능한 채혈관 라벨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검사자가 부적절한 채혈관을 투입하더라도 부적절한 채혈관을 필터링하여 목적된 채혈관에 대하여만 라벨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순차적으로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을 수행하기 위해 투입되는 채혈관의 시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1000)의 제어부(30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10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1000)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이동수단(110)의 다양한 형태의 예시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모듈(module)",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1000)의 투입구(100)를 통해 채혈관(11-13)이 투입된다. 투입된 채혈관은 제어부(300)의 명령에의해 투입된 채혈관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적절한 채혈관은 해당되는 건강정보 또는 환자정보가 라벨링되어 배출구(200)로 배출된다. 적절하지 않은 채혈관의 경우 라벨링없이 배출구(200)로 배출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1000)의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서 제어부(300)는 장치(1000)의 외부에 드러나도록 도시되었으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00)는 일종의 프로세서로서 장치(10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1000)의 제어부(3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채혈관 적절성 판단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혈관 적절성 판단부(310)는 센서부(311), 채혈관 종류 판별부(312) 및 채혈관 리스트 비교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채혈관 적절성 판단부(310)는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채혈관과 검사정보 및 환자정보에 기반하여 검사에 요구되는 채혈관 리스트를 비교하여 투입된 채혈관의 적절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환자(A)에 대하여 필요한 검사(a1,a2,b1)가 필요한 경우, 환자정보는 환자(A)에 대한 인적 정보이고, 검사정보는 검사내용(a1,a2,b1)일 수 있다. 또한 위 환자정보 및 검사정보에 기반하여 요구되는 채혈관 리스트는 예컨대 x1, x1, y1가 될 수 있다. 즉, 채혈관 종류 x1 이 두 개 투입되어야 하고, y1이 한 개 투입되어야 한다. 위 예시는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채혈관의 종류 및 개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검사자가 채혈관(x1)을 세 개 투입하거나 채혈관(z1)의 종류를 투입하는 경우, 세 번째 투입된 채혈관(x1)과 채혈관(z1)은 부적절한 채혈관으로서 필터링 되어야 한다. 따라서 채혈관 적절성 판단부(310)는 투입된 채혈관에 대응되는 채혈관 정보가 채혈관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또는 개수가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검사정보, 환자정보 또는 채혈관 리스트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는 장치(1000) 내부에 배치되거나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가 외부에 존재하는 경우 장치(1000)는 통신모듈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3은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10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라벨링부(400)는 투입된 채혈관이 적절하면, 해당되는 검사정보 또는 환자정보를 인쇄 후 투입된 채혈관에 라벨링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링부(400)는 투입구를 통해 장치(1000)의 내부로 들어온 채혈관의 옆면에 종이류를 부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종이류에 검사정보 또는 환자정보를 프린트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라벨링부(401)가 더 배치되어 라벨링부(400)와 다른 검사정보 또는 환자정보를 추가로 라벨링할 수도 있다. 또는 라벨링부(401)는 환자정보 또는 검사정보를 인쇄 후, 스티커형태로 배출하여 채혈관 외에 유린컵(소변), 혈액팩 등 환자정보 및 검사정보가 필요한 임의의 임상진단 샘플에 라벨링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부(311)는 투입된 채혈관의 색 또는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센서부(311)는 색 감지 센서, 비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부(311)는 센싱이 가능한 감지영역에 채혈관 위치하면 채혈관의 색 및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311)는 채혈관의 전체적인 색과 형상을 감지하거나 다른 예에서는 채혈관의 캡 부분의 색 또는 형상만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센서부(311)가 이동수단(110)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감지영역은 이동수단(110)의 좌측 부분이 될 수 있다. 도 4a에서는 센서부(311)가 이동수단의 좌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센서부(311)는 투입구(100)와 라벨링이 처리되는 위치 사이의 임의 위치일 수 있다.
채혈관 종류 판별부(312)는 감지된 색 또는 형태를 기초로 채혈관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채혈관의 종류 판별을 위해 채혈관의 종류에 따른 특징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채혈관 종류 판별부(312)는 투입된 채혈관의 특징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채혈관의 종류에 따른 특징정보와 비교하여 투입된 채혈관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예컨대 캡의 색이 붉은색이고 캡의 형태가 6각형인 점등의 특징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채혈관 리스트 비교부(313)는 판별된 채혈관의 종류와 상기 채혈관 리스트를 비교할 수 있다. 채혈관 종류 판별부(312)가 투입된 채혈관의 종류가 x1이라고 판별한 경우, 채혈관 리스트 비교부(313)는 투입된 채혈관(x1)이 채혈관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조사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1000)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1000)는 투입구(100)에 투입된 채혈관(11)을 센서부(311)에 의한 감지가 가능한 감지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수단(110)은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각각의 채혈관을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가지고 감지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감지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투입구(1000)와 라벨링부(400)에의해 라벨링되는 위치 사이의 임의 위치일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이동수단(110)은 한 개의 채혈관이 들어갈 수 있는 수신부(111,112)가 복수 개 존재한다. 도 4a에서는 두 개의 수신부(111,112)가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일 예에서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신부(111,112)는 원통형의 바디(1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위 바디(110)가 회전하면서 채혈관을 한 개씩 다음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4a에서 감지영역은 수신부(111)과 수신부(112) 사이의 위치이고, 센서부(311)는 바디(210)가 회전하는 동안 채혈관의 색 또는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원통형의 바디는 선행하는 채혈관에 대한 감지가 완료된 이후 다음 번 채혈관이 감지영역에 위치되도록 회전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속도는 제어부(300)에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이동수단(110)의 다양한 형태의 예시들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채혈관(11)이 바디(110)에 90도 차이를 갖고 들어가도록 수신부가 구성되어 있다. 도 4a에서 수신부(111,112)들은 180도 차이를 가진다.
도 5a 를 참조하면 이동수단(110)은 회전하며(예컨대 r방향), 회전에 의해 채혈관들(11-13) 순차적으로 아래로 이동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채혈관이 아래로 떨어지기 전 특정 위치(예컨대 여기가 감지영역일 수 있다)에서 센서가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채혈관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5a에 있어서 채혈관(11)은 인식이 종료되어 다음 단계로 이동되고, 채혈관(12)는 센싱정보를 받고 있는 것이 나타난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이동수단(110)은 단면을 가로막는 걸림막(L1, L2)가 구비된 원통형의 기구일 수 있다. 걸림막(L1, L2)는 양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채혈관(11) 및 채혈관(12)가 순차적으로 하나씩 다음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걸림막들이 이동되는 시간 간격을 조절하여 채혈관들 하나씩 감지영역 또는 라벨링되는 영역으로 이동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이동수단(110)에의해 감지영역에 도달하는 채혈관의 시간간격이 발생되고, 이동수단에 의해 한 개씩 순차적으로 채혈관의 종류 감지 및 적절성 여부가 판단되므로 채혈관의 적절성 판단에 대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투입구
200 : 배출구
300 : 제어부
400 : 라벨링부
1000 :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

Claims (7)

  1.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채혈관과 검사정보 및 환자정보에 기반하여 검사에 요구되는 채혈관 리스트를 비교하여 투입된 채혈관에 대응되는 채혈관이 상기 채혈관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여부 및 채혈관 종류별 투입된 채혈관의 수가 상기 채혈관 리스트에 따른 채혈관 종류별 채혈관의 수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하는 채혈관 판단부; 및
    투입된 채혈관이 상기 채혈관 리스트에 존재하면, 투입된 채혈관에 해당되는 검사정보 또는 환자정보를 라벨링하는 라벨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채혈관 판단부는,
    투입된 채혈관의 캡 부분의 색 및 형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감지된 색 및 형태를 기초로 채혈관의 종류를 판별하는 채혈관 종류 판별부를 포함하되,
    상기 투입구에 투입된 채혈관을 상기 센서부에 의한 감지가 가능한 감지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외주면에 복수의 수신부를 포함한, 회전 가능한 원통형의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수단은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각각의 채혈관을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가지고 상기 감지영역과 라벨링 영역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채혈관이 상기 이동수단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감지영역을 지나가는 동안 상기 채혈관의 캡 부분의 색 및 형태를 감지하는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혈관 판단부는,
    판별된 채혈관의 종류와 상기 채혈관 리스트를 비교하는 채혈관 리스트 비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정보 및 환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의 이동수단은 선행하는 채혈관에 대한 감지가 완료된 이후 다음 번 채혈관이 상기 감지영역에 위치되도록 회전 속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
KR1020150126801A 2015-09-08 2015-09-08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 KR101764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801A KR101764689B1 (ko) 2015-09-08 2015-09-08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801A KR101764689B1 (ko) 2015-09-08 2015-09-08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782A KR20170029782A (ko) 2017-03-16
KR101764689B1 true KR101764689B1 (ko) 2017-08-14

Family

ID=58498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801A KR101764689B1 (ko) 2015-09-08 2015-09-08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68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032A (ko)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수직방향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KR20190065564A (ko)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채혈관 라벨지 정렬 및 처리장치
KR20190065568A (ko)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KR20200113447A (ko)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채혈관 정렬 및 라벨링 처리장치
KR20200113445A (ko)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수직방향 채혈관 공급 처리장치
KR20200113446A (ko)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분리 가능한 투입부를 구비한 채혈관 공급 처리장치
KR102319099B1 (ko) 2020-07-29 2021-10-29 주식회사 더텍 진공 채혈관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6355B (zh) * 2017-07-27 2023-04-14 吉林大学 一种真空采血管自动贴标分类装置
KR102620005B1 (ko) * 2022-05-02 2024-01-03 에너지움 주식회사 시험관 라벨링 장치 및 시험관 라벨링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3499A (ja) * 2012-01-17 2015-05-14 インペコ ホールディング リミテッドInpeco Holding Ltd. 生体物質の容器を追跡可能にラベリングす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39143B1 (en) 2009-06-05 2019-03-20 Techno Medica Co., Ltd. Labeling device for automatic test-tube setting-up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3499A (ja) * 2012-01-17 2015-05-14 インペコ ホールディング リミテッドInpeco Holding Ltd. 生体物質の容器を追跡可能にラベリングする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032A (ko)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수직방향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KR20190065564A (ko)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채혈관 라벨지 정렬 및 처리장치
KR20190065568A (ko)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KR20200113447A (ko)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채혈관 정렬 및 라벨링 처리장치
KR20200113445A (ko)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수직방향 채혈관 공급 처리장치
KR20200113446A (ko)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분리 가능한 투입부를 구비한 채혈관 공급 처리장치
KR102319099B1 (ko) 2020-07-29 2021-10-29 주식회사 더텍 진공 채혈관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782A (ko)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689B1 (ko)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
US11574460B2 (en) Sample container recognition
US10247743B2 (en) Analyte testing automation system, biological sample check module, and biological sample check method
US1074666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an artifact in a specimen
JP6927465B2 (ja) 検体中の妨害因子を分類するためのモデルベース方法及び装置
WO201601442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ube inspection and liquid level detection
US20220178958A1 (en) Tailored sample handling based on sample and/or sample container recognition
US11085913B2 (en) Biological sample analyzer
CN109073663B (zh) 用于建立样品试管组的方法、计算机程序产品和***
JP2019504997A (ja) 側方多視点から試料を定量化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方法及び装置
JP6282060B2 (ja) 検体検査自動化システム
WO2015056649A1 (ja) 検体検査自動化システムおよび容量チェックモジュールならびに生体試料のチェック方法
EP2339327A1 (en) Automatic test for imaging units
JP6002859B2 (ja) 自動化されたデキャッピング(decapping)を円滑化するデュアルバーコードラベリング(dualbarcodelabeling)
US20230097384A1 (en) Biological sample analysis device
CN116917939A (zh) 适用于使用单个图像捕获装置识别样本容器的3d中心位置的方法和设备
US2021033497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hiln determination with a deep adaptation network for both serum and plasma samples
US11097277B2 (en) Cover member with orientation indicia
US20210192265A1 (en) Method and devices for assessing the suitability of a sample tube for use in a laboratory automation system
JP6971288B2 (ja) 管の自動ハンドリング
JP6522608B2 (ja) 検体検査自動化システムおよび検体チェックモジュール
US20230230399A1 (en) Instrument parameter determination based on Sample Tube Identification
US20230296875A1 (en) Microscopy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Orientation of a Sample Carrier
WO2023126745A1 (e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bubbles
JP7171460B2 (ja) 検体検査装置、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