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879B1 - 차량용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879B1
KR101763879B1 KR1020160109789A KR20160109789A KR101763879B1 KR 101763879 B1 KR101763879 B1 KR 101763879B1 KR 1020160109789 A KR1020160109789 A KR 1020160109789A KR 20160109789 A KR20160109789 A KR 20160109789A KR 101763879 B1 KR101763879 B1 KR 101763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ressure
plates
vehicle
actuators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이
Original Assignee
김용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이 filed Critical 김용이
Priority to KR1020160109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을 리프트 후 좌·우측 중 하나에 비정상적인 하강작동이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인지하여 하강작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유압력 조절이나 기계적 구동작동으로 하강거리만큼 상승보상하는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2플레이트, 상기 제1,2플레이트가 안내되는 한 쌍의 지주, 상기 제1,2플레이트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제1,2액츄에이터, 상기 제1,2액츄에이터에 유압을 공급 및 회수하는 유압공급부로 구성하여, 차량을 승강 및 하강시 정확한 균형을 유지하도록 각각 유압량을 조절할 수 있어 차량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유압력의 소실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유압의 소실을 즉시 비상 차단가능하여 차량의 추락이나 파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리프트 장치{Car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을 리프트 후 좌·우측에 균등하지 않게 유압력 소실이 발생하더라도 자동적 보상작동을 통해 차량의 추락이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정비용 리프트는 차량을 탑재 한 후, 차체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 차제의 각종 고장요소를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로써, 구조방식에 따라 지주형과 크로스 링크형(시져형, Scissor Type)으로 크게 구분된다.
크로스 링크형(X형 또는 시져형) 리프트는 한 쌍의 바닥프레임 상부에는 X자형의 크로스 링크가 각각 좌, 우측에 설치되고, 크로스 링크의 상부에는 차량을 안착할 수 있는 차량탑재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크로스 링크를 상승 및 하강하기 위하여 유압실린더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크로스 링크가 상승 및 하강하면서 차량이 안착되는 차량탑재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것이다.
시져형 리프트의 경우, 크로스 링크의 외곽에 차량의 바퀴가 위치하고 크로스 링크의 상부가 전후 두 지점에서 차량탑재대를 지지하기 때문에 차량이 차량탑재대의 길이방향 가운데에 위치하지 않으면 무게가 일측으로 쏠려 차량탑재대가 길이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인 리프트는 소형, 중형, 대형 차량 모두를 탑재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전장이 각기 다른 차량의 무게중심이 크로스 링크의 전후 두 지지점의 가운데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시져형 리프트는 차량이 차량탑재대 폭의 가운데에 오지 않고 일측으로 쏠려 진입하는 경우 차량의 하중이 일측 크로스 링크에 집중되어 차량탑재대가 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시져형 리프트의 차량탑재대 기울어짐 현상은 휠 얼라인먼트 작업과 같은 수평 정밀도(예를들어, 얼라인먼트 작업은 0.01° 수준의 정밀도가 요구됨)가 요구되는 작업을 불편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져형 리프트의 경우 차량탑재대 하부에서 작업중인 작업자가 공구 등을 교체하기 위해 측방향으로 이동하려 하는 경우 크로스 링크 또는 링크를 상승시키는 유압실린더에 걸려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고 작업자가 리프트 밖으로 빠져나오려 하는 경우에 차량의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지주형 리프트는 시져형 리프트와 달리 차량의 중량 불균등 분배에 의한 차량탑재대의 기울어짐 현상 방지 기능이 우수하고 작업자의 측면 방향 이동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지주형 리프트는 지주가 차량의 폭보다 넓게 설치되어야 하고 2주형 리프트의 경우 차량의 전장보다 긴 거리차로 전후 지주가 위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리프트가 설치되는 공간이 커서 차량 정비센터 내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지주형 리프트는 차량의 하중을 좌·우측에서 양분하여 리프트 하는 구조로써 유압력이 좌·우측으로 각각 공급되는데 리프트 상태에서 유압공급 및 차단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한 쪽이 비정상적으로 하강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차량이 지주와 접촉하여 파손되거나 추락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리프트를 완료한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일측 하강현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유압을 차단 및 공급하여 하강 변위만큼 보상을 하며 센싱 감지방식을 통해 정밀하게 감지와 제어가 가능하고, 비상유압력에 의해 대응력을 향상시켜 안전성을 확보하는 개선된 차량용 리프트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번호 제20-0332483호(멀티기능을 갖는 차량정비용 리프트) 공개번호 특1997-0010632(차량용 리프트) 등록번호 제20-0406369(차량용 리프트의 다용도 스토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을 승강 및 하강시 정확한 균형을 유지하도록 각각 유압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유압력의 소실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유압의 소실을 즉시 비상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리프트 균형상태를 실시간으로 센싱 작동에 의한 체크하여 처짐현상의 파악과 동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또는 모든 액츄에이터에 유압력 소실이 발생하더라도 비상유압공급부를 통해 유압소실량을 보상하여 즉각적으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렉기어와 피니언기어를 이용하여 유압구동과 별도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장치는 차량을 정비 및 주차하기 위한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차량이 올려지는 제1,2플레이트, 상기 제1,2플레이트가 각각 연결되어 승강 및 하강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지주, 상기 지주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2플레이트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2액츄에이터, 상기 제1,2액츄에이터에 유압을 각각 공급하는 제1,2공급라인과 유압을 회수하는 제1,2회수라인으로 형성하는 유압공급부로 형성하여, 상기 제1,2액츄에이터에 유압을 각각 동시적 또는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제1,2플레이트의 균형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승강 및 하강시키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을 승강 및 하강시 정확한 균형을 유지하도록 각각 유압량을 조절할 수 있어 차량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유압력의 소실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유압의 소실을 즉시 비상 차단가능하여 차량의 추락이나 파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리프트 균형상태를 실시간으로 센싱 작동에 의한 체크하여 처짐현상의 파악과 동시에 대응할 수 있어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고, 하나 또는 모든 액츄에이터에 유압력 소실이 발생하더라도 비상유압공급부를 통해 유압소실량을 보상하여 즉각적으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 2단계에 걸쳐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렉기어와 피니언기어를 이용하여 유압구동과 별도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비상적인 장치로 사용할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장치의 기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 센싱감지 기능이 추가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플레이트의 하강시 발광센서와 수광센서의 위치변화를 나타낸 부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 비상유압공급부가 추가된 구성도,
도 5는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 기계적 구동장치가 추가된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플레이트에 비정상적 하강작동 발생시 유압공급부의 제1액츄에어터를 작동시켜 보강 상승작동하는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플레이트에 비정상적 하강작동 발생시 발광센서와 수광센서의 감지를 이용하여 유압공급부의 제1액츄에어터를 작동시켜 보강 상승작동하는 작동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플레이트에 비정상적 하강작동 발생시 유압공급부를 이용하지 않고 비상유압공급부를 이용하여 제1액츄에어터를 작동시켜 보강 상승작동하는 작동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플레이트에 비정상적 하강작동 발생시 유압공급부의 제1액츄에어터와 제1피니언기어가 제1렉기어에 기어 연결로 회전되어 보강 상승작동하는 작동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와 제1,2플레이트가 와이어로 연결된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플레이트에 비정상적 하강작동 발생시 와이어의 지지로 인하여 추락을 방지하는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차량을 정비 및 주차하기 위한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플레이트(10)(20), 상기 제1,2플레이트(10)(20)가 안내되는 한 쌍의 지주(30), 상기 제1,2플레이트(10)(20)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제1,2액츄에이터(40)(50), 상기 제1,2액츄에이터(40)(50)에 유압을 공급 및 회수하는 유압공급부(60)로 리프트(100)를 구성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100)는 차량(1)이 올려지는 제1,2플레이트(10)(20)를 형성하는데, 상기 제1,2플레이트(10)(20)는 각각 차량(1)의 좌측 전후 바퀴와 우측 전후 바퀴가 올려지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제1,2플레이트(10)(20) 중 제1플레이트(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발광센서(7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플레이트(20)의 내측면에는 발광센서(70)의 신호를 수광하며 동일 간격으로 세로로 배치하는 다수개의 수광센서(71)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수광센서(71)는 5개로 구성하여 제1,2플레이트(10)(20)가 수평을 유지할 경우 발광센서(70)는 중앙에 위치하는 수광센서(71)와 센싱되며, 제1,2플레이트(10)(20) 중 하나가 하강하는 이상작동이 발생할 경우 발광신호를 수광하는 수광센서(71)가 변경됨을 통해 하강 거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플레이트(10)(20)가 각각 연결되어 승강 및 하강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지주(30)를 형성하는데, 상기 지주(30)는 하부 끝단에 설치면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내면에는 제1,2플레이트(10)(20)가 상승 및 하강하도록 안내홀(31)을 길이 방향을 따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지주(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2플레이트(10)(20)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2액츄에이터(40)(50)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1,2액츄에이터(40)(50)의 제1액츄에이터(40)는 제1실린더(41)에서 인출 삽입하는 제1실린더로드(42)로 형성되며, 제2액츄에이터(50)는 제2실린더(51)에서 인출 삽입하는 제2실린더로드(52)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1,2실린더(41)(51)는 각각 지주(30)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2실린더로드(42)(52)는 각각 제1,2플레이트(10)(20)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1,2액츄에이터(40)(50)에 유압을 각각 공급하는 제1,2공급라인(61)(62)과 유압을 회수하는 제1,2회수라인(63)(64)으로 형성하는 유압공급부(60)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유압공급부(60)는 유압력을 발생시켜 제1,2공급라인(61)(62)을 통해 유압을 공급하고, 제1,2회수라인(63)(64)을 통해 제1,2액츄에이터(40)(50) 내의 유압을 회수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1,2공급라인(61)(62)에는 유압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유압밸브(65)가 형성되며, 제1,2회수라인(63)(64)에는 유압의 회수를 제어하는 회수유압밸브(66)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1,2액츄에이터(40)(50)의 작동으로 상승 후 하강작동이 발생하여 수광센서(71)에서 발광센서(70)의 수광 위치가 변화될 경우 제어부(72)를 통해 제1,2액츄에이터(40)(50)의 제1,2회수라인(63)(64)의 회수유압밸브(66)를 폐쇄시켜 비상 정지하며, 제1,2공급라인(61)(62)의 공급유압밸브(65)를 개방시켜 하강된 제1액츄에이터(40)나 제2액츄에이터(50)에 유압을 공급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액츄에이터(40)(50)의 제1,2공급라인(61)(62)과 제1,2회수라인(63)(64)에는 비상유압공급부(60)를 통해 유압공급부(60)와 관계없이 별도로 유압을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비상유압공급부(60)는 유압공급부(60)의 고장이나 제1,2플레이트(10)(20)의 비정상적인 하강 현상에 제대로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추가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비상유압공급부(60)는 차량(1)의 무게에 따라 유압공급부(60)만을 이용하여 유압력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추가적으로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3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하는 제1,2렉기어(80)(90)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1,2렉기어(80)(90)에 기어 연결되는 제1,2피니언기어(81)(91)가 제1,2모터(82)(92)에 의해 회전하도록 제1,2플레이트(10)(20)의 일측에 각각 연결 구성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30)의 각 상단에 형성되며 모터의 구동력으로 작동하는 권취롤(93)을 형성하는데, 상기 모터(도면상 미도시)는 정역모터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권취롤(93)에서 제1,2플레이트(10)(20)의 상승시 모터의 구동으로 권취 및 하강시 풀림되는 와이어(94)를 구성하며, 상기 제1,2플레이트(10)(20)의 후방 끝단이 디귿자 형태의 제1,2프레임(11)(21)이 지주(10)를 감싸며 슬라이드되며, 차량(1)의 하부면을 떠받쳐 들어올리는 리프트의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94)가 제1,2플레이트(10)(20)의 디귿자 형태의 제1,2프레임(11)(21)의 후방 끝단을 관통하는 며 끝단에 받침판(95)이 형성되며, 와이어(94) 끝단과 제1,2플레이트(10)(20)를 연결하는 락부(96)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락부(96)는 제1,2플레이트(10)(20)와 연결되는 안전핀 형태나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1,2액츄에이터(40)(50)에 비정상 적으로 유압력이 상실되어 제1,2플레이트(10)(20)가 급격히 하강할 때 락부(96)가 연결을 해제하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받침판(95)의 상부로 설치하여 제1,2플레이트(10)(20)의 디귿자 형태의 제1,2프레임(11)(21)의 후방 끝단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97)으로 구성하여 제1,2플레이트(10)(20)가 급격히 하강할 때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리프트(100)은 제1,2액츄에이터(40)(50)에 유압을 각각 동시적 또는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제1,2플레이트(10)(20)의 균형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승강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리프트(100)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100)는 설치면에 지주(30)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 시공하고 하나의 지주(30)의 내부에 제1액츄에이터(40)와 제1플레이트(10)를 결합시켜 설치한 후 유압공급부(60)와 연결하며, 다른 하나의 지주(30)의 내부에 제2액츄에이터(50)와 제2플레이트(20)를 결합시켜 설치한 후 제1,2액츄에이터(40)(50)는 각각 제1,2공급라인(61)(62)과 제1,2회수라인(63)(64)을 이용하여 유압공급부(60)와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1,2액츄에이터(40)(50)와 연결된 제1,2공급라인(61)(62)과 제1,2회수라인(63)(64)을 분기시켜 비상유압공급부(67)와 연결한다.
이러한, 상기 비상유압공급부(67)는 제1,2공급라인(61)(62)과 각각 연결되는 제1,2비상공급라인(67a)(67b)으로 형성되며, 제1,2회수라인(63)(64)과 각각 연결되는 제1,2비상회수라인(67c)(67d)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2비상공급라인(67a)(67b)에는 비상공급밸브(68)가 각각 형성되며, 제1,2비상회수라인(67c)(67d)에는 각각 비상회수밸브(69)가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2플레이트(10)(20)의 하부에는 각각 발광센서(70)와 수광센서(71)를 설치하는데, 상기 수광센서(71)는 세로 배치로 다수개로 설치하는 것으로, 리프트(100)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리프트(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100)의 제1,2플레이트(10)(20)는 최저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차량(1)을 제1,2플레이트(10)(20)의 위에 주차시킨다.
이후, 상기 차량(1)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유압공급부(60)를 작동시켜 제1,2공급라인(61)(62)을 통해 유압을 제1,2액츄에이터(40)(50)에 공급하고, 차량(1)을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유압공급부(60)를 작동시켜 제1,2회수라인(63)(64)을 통해 제1,2액츄에이터(40)(50)의 유압을 회수하는 동작으로 구동시킨다.
이때, 정비나 주차를 위해 차량(1)을 상승시키기 위한 유압공급부(60)의 구동작동이 완료되면 제1,2공급라인(61)(62)의 공급유압밸브(65)는 차단상태를 유지한다.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차량(1)을 상승을 완료한 상태에서 제1,2플레이트(10)(20)중 제2플레이트(20)쪽은 정상이고 제1플레이트(10)가 비정상적으로 하강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10)가 유압이 비정상적인 상태로 인해 제1회수라인(63)을 통해 유압이 유압공급부(60)로 유출될 경우에는 비정상적으로 하강하는 제1플레이트(10)의 제1회수라인(63)의 회수유압밸브(66)를 제어부(72)의 제어로 차단하여 더 이상의 하강은 방지하는 동시에, 하강한 제1플레이트(10)의 공급유압밸브(65)를 개방시키고 유압공급부(60)를 작동시켜 유압을 재 공급하여 하강 거리만큼 상승시켜 제2플레이트(20)와 균형을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센서(70)와 수광센서(71)에 의한 작동을 살펴보면 차량(1)을 상승을 완료한 상태에서 제1플레이트(10)가 하강할 경우 발광센서(70)가 함께 하강하면서 발광신호를 수광하는 제2플레이트(20)에 형성된 수광센서(71)가 변경되어 수광신호를 제어부(72)로 전달되면 수광센서(71)들간의 거리를 통해 하강거리를 간단하게 파악한 후 제1플레이트(10)의 제1회수라인(63)의 회수유압밸브(66)를 제어부(72)의 제어로 차단하여 더 이상의 하강은 방지하는 동시에, 하강한 제1플레이트(10)의 공급유압밸브(65)를 개방시키고 유압공급부(60)를 작동시켜 유압을 재 공급하여 하강 거리만큼 상승시켜 제2플레이트(20)와 균형을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공급부(60)의 구동이 원활하지 않아 유압의 공급 및 회수 불가능하거나 급격하게 제1,2플레이트(10)(20)가 동시에 하강할 경우에는 제어부(72)에서 비상유압공급부(67)를 구동시켜 제1,2공급라인(61)(62)을 통해 비상 유압을 긴급히 공급하여 추락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제1,2공급라인(61)(62)의 공급유압밸브(65)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제1,2비상공급라인(67a)(67b)으 비상공급밸브(68)을 개방시켜 유압을 공급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공급부(60)와 비상유압공급부(67)가 원활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이거나 유압력에 의해 제1,2플레이트(10)(20)의 비정상적인 하강작동을 에는 차단하지 못할 경우에는 제어부(72)에서 제1,2모터(82)(92)를 작동시켜 제1,2피니언기어(81)(91)가 제1,2렉기어(80)(90)를 따라 브레이크기능을 수행하면서 추락 속도를 늦추는 동시에 멈춤기능 또는 상승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로써, 상기 리프트(100)는 유압공급부(60)를 이용하여 제1,2플레이트(10)(20)를 개별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어 비 균형적인 하강에 따른 대응이 가능하고 센싱을 통한 정확한 계측제어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100)는 하강속도나 차량의 무게 등을 파악하여 비상유압공급부(67)를 통해 추가 유압력을 공급할 수 있어 유압공급부(60)에 과부하를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리프트(100)는 유압공급부(60), 비상유압공급부(67), 렉과 피니언 구동방식을 이용하는 기계적 작동을 통해 3단계에 걸친 추락방지를 예방할 수 있어 차량(1)의 파손이나 추락,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100)는 제1,2플레이트(10)(20)에 차량(1)이 올려진 상태에서 제1,2액츄에이터(40)(50)가 각각 유압력으로 상승할 경우에는 권취롤(93)에 와이어(94)가 감기도록 모터가 작동하고, 제1,2액츄에이터(40)(50)가 각각 유압력으로 하강할 경우에는 권취롤(93)에서 와이어(94)가 풀리도록 모터가 작동한다.
이렇게, 상기 제1,2플레이트(10)(20)의 상승으로 차량(1)이 상승한 상태에서 제1,2액츄에이터(40)(50)에 비정상적으로 유압력이 상실되어 제1,2플레이트(10)(20)가 급격히 하강할 때 모터는 제어부(72)의 제어를 통해 정지상태를 유지하며, 락부(96)는 제1,2플레이트(10)(20)와 연결이 해제되어 추락하는데, 상기 제1,2플레이트(10)(20)는 풀림되지 않는 와이어(94)에 연결된 받침판(95)의 사이의 스프링(97)의 완충작용으로 추락 충격을 최소화하며 기계적 작동을 통해 차량(1)의 추락을 예방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리프트(100)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차량 10 : 제1플레이트
20 : 제2플레이트 30 : 지주
31 : 안내홀 40 : 제1액츄에이터
41 :제1실린더 42 : 제1실린더로드
50 : 제2액츄에이터 51 : 제2실린더
52 : 제2실린더로드 60 : 유압공급부
61 : 제1공급라인 62 : 제2공급라인
63 : 제1회수라인 64 : 제2회수라인
65 : 공급유압밸브 66 : 회수유압밸브
67 : 비상유압공급부 67a : 제1비상공급라인
67b : 제2비상공급라인 67c : 제1비상회수라인
67d : 제2비상회수라인 68 : 비상공급밸브
69 : 비상회수밸브
70 : 발광센서 71 : 수광센서
72 : 제어부 80 : 제1렉기어
81 : 제1피니언기어 82 : 제1모터
90 : 제2렉기어 91 : 제2피니언기어
92 : 제2모터 93 : 권취롤
94 : 와이어 95 : 받침판
96 : 락부 97 : 스프링
100 : 리프트

Claims (7)

  1. 차량을 정비 및 주차하기 위한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차량이 올려지는 제1,2플레이트에는 위치변화를 감지하도록 형성하는 발광센서와 수광센서,
    상기 제1,2플레이트가 각각 연결되어 승강 및 하강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지주,
    상기 지주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2플레이트의 상승 하강을 위해 유압을 제어하는 유압공급부,
    상기 발광센서와 수광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유압공급부에 유압을 각각 동시적 또는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제1,2플레이트의 균형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승강 및 하강시키도록 제어부로 구성하되,
    상기 지주의 각 상단에 형성되며 모터의 구동력으로 작동하는 권취롤,
    상기 권취롤에서 제1,2플레이트의 상승시 권취 및 하강시 풀림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제1,2플레이트의 디귿자 후방 끝단을 관통하며 끝단에 받침판이 형성되며, 와이어 끝단과 제1,2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락부,
    상기 받침판의 상부로 설치하여 제1,2플레이트의 디귿자 후방 끝단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공급부는 지주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2플레이트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2액츄에이터,
    상기 제1,2액츄에이터에 유압을 각각 공급하는 제1,2공급라인과 유압을 회수하는 제1,2회수라인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플레이트 중 제1플레이트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발광센서,
    상기 제2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발광센서의 신호를 수광하며 동일 간격으로 세로로 배치하는 다수개의 수광센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액츄에이터의 작동으로 상승 후 하강작동이 발생하여 수광센서에서 발광센서의 수광 위치가 변화될 경우 제어부를 통해 제1,2액츄에이터의 제1,2회수라인의 회수유압밸브를 폐쇄시켜 비상 정지하며, 제1,2공급라인의 공급유압밸브를 개방시켜 하강된 제1액츄에이터나 제2액츄에이터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액츄에이터의 제1,2공급라인과 제1,2회수라인에는 비상유압공급부를 통해 유압공급부와 관계없이 별도로 유압을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하는 제1,2렉기어,
    상기 제1,2렉기어에 기어 연결되는 제1,2피니언기어가 제1,2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제1,2플레이트의 일측에 각각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장치.
  7. 삭제
KR1020160109789A 2016-08-29 2016-08-29 차량용 리프트 장치 KR101763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89A KR101763879B1 (ko) 2016-08-29 2016-08-29 차량용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89A KR101763879B1 (ko) 2016-08-29 2016-08-29 차량용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879B1 true KR101763879B1 (ko) 2017-08-01

Family

ID=5965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789A KR101763879B1 (ko) 2016-08-29 2016-08-29 차량용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8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5216A (zh) * 2018-09-26 2018-12-11 浙江信正精密科技有限公司 锁板举升机
KR102090158B1 (ko) * 2019-09-10 2020-03-17 주식회사 유케이로보틱스 차량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색시스템
KR20220146056A (ko) * 2021-04-23 2022-11-01 장동익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리프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1291A (ja) 2000-03-22 2001-09-26 Satake Corp リフトアーム装置
JP2011148559A (ja) * 2010-01-19 2011-08-04 Muratec Automation Co Ltd 昇降旋回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1291A (ja) 2000-03-22 2001-09-26 Satake Corp リフトアーム装置
JP2011148559A (ja) * 2010-01-19 2011-08-04 Muratec Automation Co Ltd 昇降旋回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5216A (zh) * 2018-09-26 2018-12-11 浙江信正精密科技有限公司 锁板举升机
KR102090158B1 (ko) * 2019-09-10 2020-03-17 주식회사 유케이로보틱스 차량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색시스템
KR20220146056A (ko) * 2021-04-23 2022-11-01 장동익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리프팅장치
KR102479675B1 (ko) 2021-04-23 2022-12-21 장동익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리프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879B1 (ko) 차량용 리프트 장치
WO2018014641A1 (zh) 一种具有升降平台的自动导引运输车
DE102013015458B4 (de)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Regalbediengerät, Regalbediengerät sowie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Regalbediengeräts
CN100455761C (zh) 车辆升降装置以及具备该装置的机械式停车设备
EP2407414B1 (de) Hubgerüst für ein Flurförderzeug
US3703243A (en) Straddle carrier
US20200262690A1 (en) Chain slack detection system
CN209742450U (zh) 可防止机械安全挂钩联锁装置失灵的剪刀式简易升降车库
KR101507626B1 (ko)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JP2007099439A (ja) 高所作業車の過積載防止装置
KR101610928B1 (ko)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JP5112162B2 (ja) 駐車装置及び昇降装置
JP6788557B2 (ja) 橋形クレーン
EP2906495B1 (en) Base unit for a vehicle
JP5088214B2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ブレーキユニット
US10676333B2 (en) Mobile lifting column with displacement system for lifting a vehicle, and lif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2361590B1 (ko) 밸런스기능이 강화된 대형리프트
EP3455154B1 (en) Crane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loads, equipped with a drive system.
KR20210063838A (ko) 추락방지 리프트
KR102441565B1 (ko) 차량용 리프트 장치
JP5280138B2 (ja) 昇降載置台付台車
JP4625686B2 (ja) 作業車の安全制御装置
KR102605242B1 (ko) 자동 밸런싱 기능을 갖는 차량 리프트 및 차량 리프팅 방법
JP5173281B2 (ja) エレベータ
EP3191398B1 (en) Crane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loads comprising a roll-over pro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