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671B1 - Earset - Google Patents

Ear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671B1
KR101762671B1 KR1020160035875A KR20160035875A KR101762671B1 KR 101762671 B1 KR101762671 B1 KR 101762671B1 KR 1020160035875 A KR1020160035875 A KR 1020160035875A KR 20160035875 A KR20160035875 A KR 20160035875A KR 101762671 B1 KR101762671 B1 KR 101762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peaker
housing
hole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8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두식
Original Assignee
해보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보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보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5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6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6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set comprising: a case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an ear pad attached to one end of the case, forming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ear canal of a user, and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n ear of the user; and a soundproof housing accommodated in the case, and including a speaker output hole transmitting a sound generated from a speaker to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ear pad, a microphone input hole transmitting the sound introduced from the users ear to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ear pad, a speaker receiving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speaker output hole and receiving the speaker, and a microphone receiving groove having an inside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diameter of a microphone and receiving the microphone, wherein th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has a clearance between an end of the microphone input hole and a microphone support portion that supports one side of the microphone.

Description

이어셋{EARSET}Ear set {EARSET}

본 발명은 이어셋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마이크가 수납되는 방음 하우징의 마이크 수납홈의 구조를 개선한 이어셋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set which improves the structure of a microphone receiving groove of a soundproof housing in which a microphone is housed so as to increase the volume of a microphone input.

일반적으로 이어셋은 이어폰(스피커)과 마이크로폰(마이크)을 결합한 음성 송수신 장치로서, MP3 플레이어,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와 입을 통해 음향, 음성 등 소리가 송수신된다.In general, an ear-set is a voice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that combines an earphone (speaker) and a microphone (microphone), and is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n MP3 player or a mobile phone by wire or wireless. Sounds such as sound and voice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user's ear and mouth.

이러한 이어셋은 크게, 소리를 송신하는 스피커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고 마이크가 사용자의 입에 가까운 위치에 오는 분리형과, 스피커와 마이크가 귀에 모두 삽입되는 형태의 일체형으로 분류된다.These earset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a separable type in which a speaker for transmitting sound is inserted into the user's ear and a microphone is located in a position near the user's mouth, and an integral type in which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are both inserted into the ear.

분리형 이어셋의 경우, 스피커와 마이크의 위치가 서로 떨어지게 구성되며, 양 손을 자유롭게 하면서 음악 청취, 통화 등을 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지만, 소음이 심한 장소 혹은 사용자가 몸을 움직일 경우에는 귀에 꽂은 스피커가 빠지거나 마이크의 위치가 흔들리기 때문에 소리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removable earset, the position of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are made to be distant from each other. While it is convenient to listen to music and make conversation while freely opening both hands, in a place where noise is high or when the user moves the body, There is a problem in that sound can not be transmitted accurately because the microphone is loosened or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is shaken.

반면, 일체형 이어셋의 경우 외이도에 삽입되는 이어패드를 장착하고, 스피커와 마이크가 귀에 모두 삽입되어, 분리형 이어셋에 비해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도 소리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ntegral type earset, the ear pad inserted in the ear canal is attached, and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are inserted into the ear, so that the sound can be accurately transmitted even in a place where noise is higher than the separate type earset.

이러한 일체형 이어셋의 선행기술로서 본 출원인이 2012.03.29.자로 특허출원하여 2013.12.12.자로 등록공고된 이어셋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41308호에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art of this type of integrated earset, an earset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41308 filed by the applicant on March 29, 2012 and registered as December 12, 2013 is disclosed.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어셋은 마이크의 외주와 마이크 수납홈의 내주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마이크가 마이크 수납홈에 수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earset is formed such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icrophone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and the microphone is housed in th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이에, 종래의 이어셋은 사용자의 귀로부터 마이크 입력홀로 유입된 일부의 소리만이 마이크의 전면을 통해 마이크로 유입되고, 마이크로 유입되지 않은 나머지 소리는 마이크의 외주와 마이크 수납홈의 내주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마이크의 후방으로 방출된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earset, only a part of the sound introduced into the microphone input hole from the user's ear is micro-introduc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microphone, and the remaining sound is not introduced into the microphone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icrophone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microphone- It is emitted to the rear of the microphone.

따라서, 마이크 입력홀로부터 마이크 수납홈으로 유입된 음량에 비해, 마이크로 유입되는 음량이 줄어들게 되어 상대방에게 상대적으로 작은 소리가 전달될 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소리의 명료도도 저하되며, 통화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the volume of the microphones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volume of the sound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input hole into th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so that a relatively small sound i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and the clarity of the sou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is lowered. .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41308호(발명의 명칭: 이어셋용 방음 하우징 및 그를 구비하는 유,무선 이어셋, 공고일: 2013.12.12.)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341308 (Title: Soundproof housing for earpiece and wired and wireless earset with earphone, publication date: Dec. 12, 201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이크가 수납되는 방음 하우징의 마이크 수납홈의 구조를 개선하여, 마이크로 유입되는 음량을 증대시키고,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소리의 명료도를 향상시켜 소리의 음질을 개선하며, 통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어셋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structure of a microphone receiving groove of a soundproof housing in which a microphone is housed to improve the sound volume of a microphone, And to provide an earset capabl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a call.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외이도와 연통하는 연통공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귀에 착탈되는 이어패드;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며,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상기 이어패드의 연통공으로 전달하는 스피커 출력홀과, 사용자의 귀로부터 상기 이어패드의 연통공으로 유입되는 소리를 마이크로 전달하는 마이크 입력홀과, 상기 스피커 출력홀과 연통하며 상기 스피커가 수납되는 스피커 수납홈과, 상기 마이크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마이크가 수납되는 마이크 수납홈을 구비한 방음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 수납홈은, 상기 마이크 입력홀의 단부와 상기 마이크의 일측을 지지하는 마이크 지지부와의 사이에 이격 공간부가 형성된, 이어셋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An ear pad attached to one end of the case and forming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ear canal of the user and being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user's ear; And a microphone input hole for transmitting a sound from the user's ear to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ear pad through a microphone, a microphone input hole formed in the case, for transmitting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to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ear pad, And a microphone housing groove having a speaker receiving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output hole and receiving the speaker, and a microphone receiving groove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outer diameter of the microphone and accommodating the microphone, And an earphone space formed between the end of the input hole and the microphone support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microphone.

여기서, 상기 방음 하우징은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는 상기 스피커 출력홀, 상기 스피커 수납홈, 상기 마이크 입력홀, 상기 마이크 수납홈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oundproof housing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housing and the rear housing, and the speaker output hole, the speaker receiving groove, the microphone input hole, and th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ront housing.

또한,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리어 하우징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 돌기와,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리어 하우징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돌출 돌기가 결합되는 돌기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one of the front housing and the rear housing, and a protrusion coupling recess formed in the other of the front housing and the rear housing and coupled with the protrusion protrusion may be included.

상기 스피커 출력홀과 상기 마이크 입력홀은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 수납홈과 상기 마이크 수납홈은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peaker output hole and the microphone input hole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speaker receiving groove and th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가 수납되는 방음 하우징의 마이크 수납홈의 구조를 개선하여, 마이크로 유입되는 음량을 증대시키고,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소리의 명료도를 향상시켜 소리의 음질을 개선하며, 통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of the soundproof housing in which the microphone is housed, thereby improving the volume of the microphone inflow and improving the clarity of sou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6a는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의 정면 분해사시도,
도 6b는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의 배면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Fig. 3 is a vertical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1,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6A is a front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housing and the rear housing,
6B is an exploded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housing and the rear housing.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에 앞서, 이하의 설명에서의 이어셋은 스피커와 마이크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귓속에 삽입되는 기구를 말하며, 음악을 듣는 이어폰, 유선형 이어마이크, 블루투스 헤드셋, wifi 헤드셋, 근거리 무선통신 헤드셋(NFC 헤드셋), binary CDMA 헤드셋, 음성검색 또는 음성제어용 헤드셋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earpie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refers to a mechanism in which a speaker and a microphone are integrally formed and inserted into the ear, and includes an earphone for listening to music, a streaming ear microphone, a Bluetooth headset, a wifi headset, , a binary CDMA headset, a headset for voice search or voice control.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1)은 케이스(10)와, 이어패드(30)와, 방음 하우징(40)을 포함한다.1 to 6 show an ear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se drawings, an earpho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 an ear pad 30, and a soundproof housing 40.

케이스(10)는 이어셋(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10)는 내부에 방음 하우징(4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또한 이어패드(30)가 결합되는 돌출부(21)를 가지며, 배면 케이스(11)와 전면 케이스(15)를 포함한다.The case 10 forms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earset 1. The case 10 has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soundproofing housing 40 therein and has a protrusion 21 to which the ear pad 30 is coupled and the rear case 11 and the front case 15 .

배면 케이스(11)는 어어셋(1) 후방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로서 전면 케이스(15)의 후단부에 결합된다. 배면 케이스(11)의 후방에는 후술할 배터리(85)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단자(87)가 마련되어 있다.The rear case 11 is joined to the rear end of the front case 15 as a portion for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rear set 1. A charging terminal 87 for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8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ack case 11. [

전면 케이스(15)는 사용자의 외이도(미도시)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배면 케이스(11)와 결합되어 전체적인 케이스(10)를 형성한다.The front case 15 is inserted into the external ear canal (not shown) of the user and is coupled with the back case 11 to form the entire case 10.

전면 케이스(15)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절두 원추 형상을 가지며, 배면 케이스(11)와 착탈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 본체(17)와, 귓속에 삽입되도록 전면 케이스 본체(17)의 일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21)를 포함한다. 전면 케이스 본체(17)의 내측과 돌출부(21)의 내측은 서로 연통된다. 돌출부(21)의 내측 일 영역은 후술할 이어패드(30)의 연통공(33)과 연통하는 제1분할공(25)과 제2분할공(27)이 형성되어 있다. 제1분할공(25)과 제2분할공(27)은 격벽(23)에 의해 분할되며, 제1분할공(25)은 후술할 스피커 출력홀(45)과 연통하고, 제2분할공(27)은 후술할 마이크 입력홀(47)과 연통한다. 제1분할공(25)은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제2분할공(27)은 비원호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전면 케이스 본체(17)와 돌출부(21)는 관통된 하나의 큰 구멍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ront case 15 has a generally truncated conical shape and includes a front case body 17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ck case 11 and a second case body 17 which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end of the front case body 17 to be inserted into the ear. And a protrusion 21 formed thereon. The inside of the front case body 17 and the inside of the projection 2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first partitioning hole 25 and a second partitioning hole 27 are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2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hole 33 of the ear pad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dividing hole 25 and the second dividing hole 27 are divided by the partition 23 and the first dividing hole 25 communicates with the speaker output hole 45 to be described later, 27 communicate with a microphone input hole 47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partition hole 25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second partition hole 27 has a non-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Here, the front case body 17 and the protrusion 21 may be integrally formed to have one large hole penetrated therethrough.

또한, 전면 케이스(15)에는 방음 하우징(40)과 배터리(85)가 수용된다.In addition, a soundproof housing 40 and a battery 85 are accommodated in the front case 15.

한편, 배면 케이스(11)와 전면 케이스(15)는 기밀을 유지하며 끼움 결합된다. 일 실시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케이스(15)를 향하는 배면 케이스(11)의 단부의 외주에는 끼움턱(13)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배면 케이스(11)를 향하는 전면 케이스(15)의 단부의 내주에는 배면 케이스(11)의 끼움턱(13)과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29)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ck case 11 and the front case 15 are tightly fitted together. 3 and 4, a fitting protrusion 13 protrudes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d portion of the back case 11 toward the front case 15, A fitting groove 29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of an end portion of the front case 15 so as to be fitted to the fitting protrusion 13 of the back case 11.

이어패드(30)는 전면 케이스(15)의 돌출부(21)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외이도와 연통하는 연통공(33)을 형성하며 전면 케이스(15)가 귓속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이어패드(30)는 사용자의 외이도에 신축가능하게 밀착되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실리콘, 합성수지,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ear pad 30 is attached to the protruding portion 21 of the front case 15 and forms a communication hole 33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ear canal of the user so that the front case 15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ear. The ear pad 30 is made of any one of silicone, synthetic resin, and rubber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so as to be stretchable and close to the user's external ear canal.

이러한 이어패드(30)는 이어패드 몸체(31)와, 복수의 트레드(35)를 포함한다.The ear pad 30 includes an ear pad body 31 and a plurality of treads 35.

이어패드 몸체(31)는 외이도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선단부가 부분 절취된 예컨대, 절두된 반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이어패드 몸체(31)는 전면 케이스(15)의 돌출부(21)에 결합되며, 이어패드 몸체(31)의 내부에는 후술할 방음 하우징(40)의 스피커 출력홀(45) 및 마이크 입력홀(47)과 연통하는 연통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공(33)은 스피커(51)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사용자의 외이도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의 귀로부터 연통공(33)으로 전달되는 소리는 마이크(55)로 전달된다. 여기서, 이어패드 몸체(31)는 절두된 반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절두된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The pad body 31 has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for example, a truncated cone whose distal end is partly cut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external ear canal. The ear pad 31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portion 21 of the front case 15 and the speaker output hole 45 and the microphone input hole 47 of the soundproof housing 40, And a communication hole 33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hole 33 is formed. The communication hole 33 serves to transmit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51 to the external ear canal of the user. Further,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user's ear to the communication hole 33 is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55. Here, the ear pad body 31 is shown as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truncated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복수의 트레드(35)는 링 형상을 가지며, 이어패드 몸체(31)의 선단부의 반대측 단부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복수의 트레드(35)는 이어패드 몸체(31)의 연통공(33)의 축선에 대해 외이도로의 삽입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부(37)를 가진다. 이에, 트레드(35)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이에 의해, 외이도로 이어패드(30)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트레드(35)와 외이도 내벽 사이의 마찰에 의해 움직임이 억제되어, 쾌적하고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plurality of treads 35 have a ring shape and are formed at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posite end por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ear pad body 31. The plurality of treads 35 have inclined portions 37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ear canal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communication hole 33 of the ear pad body 31. Thus, the tread 35 has a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s a whole. As a result, the insertion of the ear pad 30 is smoothly performed by the ear canal, and the movement of the ear pad 30 is suppressed by friction between the tread 35 and the inner wall of the ear canal,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and stable feeling of comfort.

또한, 복수의 트레드(35)는 케이스(10)를 향할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증대되는 단면형상을 가진다. 즉, 복수의 트레드(35)는 외이도로의 삽입반대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확경되는 단면형상을 가진다. 이에 의해, 이어셋(1)을 외이도에 장착한 경우, 트레드(35)와 외이도 내벽 사이의 밀착력이 더욱 향상되어, 외부의 소음이 외이도로 유입되는 것을 차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이도의 크기에 관계없이 이어패드(30)를 착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The plurality of treads 35 have a cross-sectional shape gradually increasing in outer diameter toward the case 10. That is, the plurality of treads 35 have a cross-sectional shape that gradually increas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insertion into the ear canal. Accordingly, when the earset 1 is attached to the ear canal, the adhesion between the tread 35 and the ear canal inner wall is further improved, thereby preventing external noise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ear canal, The ear pad 30 can be worn, and convenience for the user is increased.

여기서, 트레드(35)의 단면형상은 삼각형 이외에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트레드(35)는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read 35 may hav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other than a triangle. The plurality of treads 35 may have the same outer diameter.

한편, 방음 하우징(40)은 케이스(10)에 수용되어, 스피커(51)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이어패드(30)로 전달하고,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어패드(30)로 전달되는 소리를 마이크(55)로 전달한다. 또한, 방음 하우징(40)은 전면 케이스(15) 또는 배면 케이스(11)를 통해 외부 잡음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스피커(51)와 마이크(55)에 의한 진동 노이즈 발생을 줄여 음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oundproof housing 40 is housed in the case 10 and transmits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51 to the ear pad 30 and transmits a sound transmitted from the user's ear to the ear pad 30 through a microphone 55). The soundproof housing 40 shields external noise from entering through the front case 15 or the back case 11 and reduces the occurrence of vibration noise caused by the speaker 51 and the microphone 55, It plays a role.

방음 하우징(40)은 이어패드(30)를 향하는 프론트 하우징(41)과, 배면 케이스(11)를 향하는 리어 하우징(71)이 결합된 형태로 배면 케이스(11)와 전면 케이스(15)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된다.The soundproof housing 40 includes a front housing 41 facing the ear pad 30 and a rear housing 71 facing the rear housing 11 so as to be coupled to the rear housing 11 and the front housing 15 And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프론트 하우징(41)은 전면 케이스(15)의 내부 수용공간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전면 케이스(15)의 돌출부(21) 내측을 향해 길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론트 하우징(41)에는 전면 케이스(15)의 돌출부(21)의 내측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삽입돌출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돌출부(43)는 전면 케이스(15)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링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삽입돌출부(43)에 의해 프론트 하우징(41)은 전면 케이스(15)에 용이하게 삽입되며 밀착 결합되고, 이에 프론트 하우징(41)이 전면 케이스(15)와 완전 밀착하며 조립되지 않아 발생하는 에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front housing 41 is provided in one area of the inner housing space of the front case 15 and can be protruded toward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21 of the front case 15. For example, the front housing 41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rotrusion 43 corresponding to the inner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trusion 21 of the front case 15. The insertion projection 43 has a ring shape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front case 15. The front housing 41 is easily inserted into the front case 15 by the insertion protrusion 43 and is tightly coupled to the front case 15 so that the front housing 41 is in complete contact with the front case 15, The phenomenon can be prevented.

또한, 프론트 하우징(41)에는 스피커(51)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하나의 스피커 출력홀(45)과,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어패드(30)의 연통공(33)으로 전달되는 소리를 마이크(55)로 전달하는 하나의 마이크 입력홀(47)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housing 41 is provided with a speaker output hole 45 for outputting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51 and a sound transmitted from the user's ear to the communication hole 33 of the ear pad 30, And a microphone input hole (47) for transmitting the sound to the microphone (55).

이러한 스피커 출력홀(45) 및 마이크 입력홀(47)은 각각 전면 케이스(15)의 제1분할공(25) 및 제2분할공(27)과 연통하며, 스피커(51)의 소리가 마이크(55)로 유입되지 않도록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된다.The speaker output hole 45 and the microphone input hole 47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ividing hole 25 and the second dividing hole 27 of the front case 15 and the sound of the speaker 51 is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55, respectively.

스피커 출력홀(45)은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리어 하우징(71)을 향해 일정 직경을 가진다. 여기서, 스피커 출력홀(45)은 원형 이외에 타원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peaker output hole 45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has a predetermined diameter toward the rear housing 71. Here, the speaker output hole 45 may hav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such as an oval shape, a polygonal shape, etc. in addition to the circular shape.

또한, 마이크 입력홀(47)은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리어 하우징(71)을 향해 일정 직경을 가진다. 여기서, 마이크 입력홀(47)은 원형 이외에 타원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microphone input hole 47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has a predetermined diameter toward the rear housing 71. Here, the microphone input hole 47 may hav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such as an oval shape, a polygonal shape, etc. in addition to the circular shape.

프론트 하우징(41)에는 스피커 출력홀(45)과 연통하며 스피커(51)가 수납되는 스피커 수납홈(53)과, 마이크 입력홀(47)과 연통하며 마이크(55)가 수납되는 마이크 수납홈(57)이 마련되어 있다. 스피커 수납홈(53)과 마이크 수납홈(57)은 각각, 스피커(51)의 소리가 마이크(55)로 유입되지 않도록, 독립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housing 41 is provided with a speaker housing groove 53 communicating with the speaker output hole 45 and accommodating the speaker 51 therein and a microphone housing groove 53 communicating with the microphone input hole 47 and accommodating the microphone 55 57) are provided. The speaker accommodating groove 53 and the microphone accommodating groove 57 are independently formed so that the sound of the speaker 51 does not flow into the microphone 55. [

스피커 수납홈(53)과 마이크 수납홈(57)이 방음 하우징(40)의 중심선을 따라 동일 위치에 나란하게 형성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패드(30)의 축선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피커 수납홈(53)은 스피커(51)가 끼워맞춤결합되도록 스피커(5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마이크 수납홈(57)은 마이크(55)가 끼워맞춤결합되도록 마이크(55)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진다. 이에, 스피커(51)는 스피커 수납홈(53)에 기밀을 유지하며 결합되고, 마이크(55)는 마이크 수납홈(57)에 기밀을 유지하며 결합된다.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스피커 수납홈(53)과 마이크 수납홈(57)은 방음 하우징(40)의 중심선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편위되게 배치 예컨대, 스피커 수납홈(53)이 이어패드(30)에 가까이 형성되고 마이크 수납홈(57)이 배면 케이스(11)에 가까이 형성되거나, 또는 스피커 수납홈(53)이 배면 케이스(11)에 가까이 형성되고 마이크 수납홈(57)이 이어패드(30)에 가까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speaker accommodating grooves 53 and the microphone accommodating grooves 57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soundproof housing 40 so as to be parallel to the axis of the ear pad 30 as shown in FIGS. And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peaker accommodating groove 53 has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peaker 51 so that the speaker 51 can be fitted and fitted. And has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Thus, the speaker 51 is hermetically coupled to the speaker receiving groove 53, and the microphone 55 is hermetically coupled to th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57. Although not shown, in another embodiment, the speaker housing groove 53 and the microphone housing groove 57 are arranged to be offset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soundproof housing 40, for example, The microphone housing groove 57 is formed near the pad 30 and the microphone housing groove 57 is formed near the back case 11 or the speaker housing groove 53 is formed near the back case 11, And may be formed closer to the pad 30.

한편, 마이크 수납홈(57)에는 이격 공간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이격 공간부(61)는 마이크 입력홀(47)의 단부와 마이크(55)의 일측을 지지하는 마이크 지지부(63)와의 사이에 형성되며, 마이크(55)의 외경보다 작고 마이크 입력홀(47)의 내경보다 큰 크기를 가진다.On the other hand, a spacing space 61 is formed in th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57. The spacing space portion 61 is formed between the end of the microphone input hole 47 and the microphone support portion 63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microphone 55 and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microphone 55,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방음 하우징(40)의 마이크 수납홈(57)에 이격 공간부(61)를 형성함으로써, 방음 하우징(40)의 사출 부분과 간격을 두게 되어 마이크(55)에 전달되는 외부의 진동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특히, 마이크(55)가 마이크 수납홈(57)에 끼워맞춤 결합됨으로써, 사용자의 귀로부터 마이크 입력홀(47)로 유입된 소리가 마이크(55)의 후방으로 방출되지 않고 마이크(55)의 전면을 통해 마이크(55)로 유입되어, 마이크(55)로 유입되는 음량이 증대하게 되어 상대방에게 상대적으로 큰 소리가 전달될 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소리의 명료도를 향상시켜 소리의 음질을 개선하며, 통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By forming the spacing space portion 61 in th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57 of the soundproof housing 40 as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vibration noise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55 is spaced apart from the emitting portion of the soundproof housing 40, . Particularly, since the microphone 55 is fitted into th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57, the sound introduced into the microphone input hole 47 from the user's ear is not emitted to the back of the microphone 55, The volume of the microphone 55 is increased and the sound volume of the microphone 55 is increased so that a relatively loud sound i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and the sound quality of the sound is improved by improving the clarity of sou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he quality of the call can be improved.

그리고, 프론트 하우징(41)의 배면에는 예컨대, 리어 하우징(71)을 향하는 프론트 하우징(41)의 판면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출 돌기(65)가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6A and 6B, a pair of protrusions 65 protrude i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housing 41, for example, on the surface of the front housing 41 facing the rear housing 71 Respectively.

리어 하우징(71)은 프론트 하우징(41)의 배면에 결합되어, 스피커(51) 및 마이크(55)의 각 배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프론트 하우징(41)의 후방을 차단하며, 전면 케이스(15)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된다.The rear housing 71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housing 41 to support the rear surfaces of the speaker 51 and the microphone 55 and to block the rear of the front housing 41, In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그리고, 리어 하우징(71)의 전면에는 예컨대, 프론트 하우징(41)을 향하는 리어 하우징(71)의 판면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하우징(41)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 돌기(65)가 결합되는 한 쌍의 돌기 결합홈(73)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론트 하우징(41)의 돌출 돌기(65)가 리어 하우징(71)의 돌기 결합홈(73)에 끼움결합됨으로써, 프론트 하우징(41)과 리어 하우징(71)의 경계부분은 기밀을 유지하며 견고하게 결합된다.6A and 6B,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housing 71 facing the front housing 41, a pair of protrusions (not shown) formed on the front housing 41 And a pair of projecting engagement grooves 73 to which the projecting portions 65 are engaged. The protruding protrusion 65 of the front housing 41 is fitted into the protruding engagement groove 73 of the rear housing 71 so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front housing 41 and the rear housing 71 is kept airtight And is firmly coupled.

또한, 리어 하우징(71)에는 스피커용 케이블(81)이 통과하는 스피커용 케이블공(75)과, 마이크용 케이블(83)이 통과하는 마이크용 케이블공(77)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스피커용 케이블공(75)은 프론트 하우징(41)의 스피커 수납홈(53)과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어, 스피커 수납홈(53)에 수납된 스피커(51)에 접속된 스피커용 케이블(81)이 통과한다. 마이크용 케이블공(77)은 프론트 하우징(41)의 마이크 수납홈(57)과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되어, 마이크 수납홈(57)에 수납된 마이크(55)에 연결된 마이크용 케이블(83)이 통과한다. 마이크용 케이블공(77)은 마이크(55)의 특성에 따라 그 직경이 조절될 수 있다.A speaker cable hole 75 through which the speaker cable 81 passes and a microphone cable hole 77 through which the microphone cable 83 passes are formed in the rear housing 71. The speaker cable hole 75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peaker receiving groove 53 of the front housing 41 and the speaker cable 81 connected to the speaker 51 housed in the speaker receiving groove 53 It passes. The microphone cable hole 77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57 of the front housing 41 so that the microphone cable 83 connected to the microphone 55 housed in th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57 is passed do. The diameter of the cable hole 77 for the microphon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crophone 55. [

또한, 각 케이블공(75,77)은 리어 하우징(71)에 접착제 등으로 밀봉됨으로써 외부 소음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특히 배면 케이스(11)를 향하는 각 케이블공(75,77)의 일측을 각 케이블(81,83)의 직경보다 크게 함몰 형성함으로써, 각 케이블공(75,77)을 접착제로 밀봉시 접착제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Each of the cable holes 75 and 77 is sealed to the rear housing 71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to prevent external noise from flowing into the cable holes 75 and 77.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ve from flowing down when the cable holes 75 and 77 are sealed with the adhesive agent by forming the recesse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ables 81 and 83. [

이러한 방음 하우징(40)은 조립의 용이성, 외부로부터 잡음을 차단하고 내부로부터 송수신되는 소리신호가 사용자의 외이도에 효율적으로 전해지도록 흡음재, 플라스틱, 고무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undproof housing 40 is preferably made of a sound absorbing material, plastic, rubber, silicone, or the like so that the soundproof housing 40 can easily be assembled, the noise from the outside is blocked, and sound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the inside ar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user's external ear canal.

한편, 배면 케이스(11)를 향하는 리어 하우징(71)의 후방에는 배터리(85)가 마련되어 있으며, 배터리(85)는 전면 케이스(15)의 내측에 수용된다. 배터리(85)는 마이크(55)로 전원을 제공한다.A battery 85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rear housing 71 facing the rear case 11 and the battery 85 is housed inside the front case 15. The battery 85 provides power to the microphone 55.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1)은 케이스(10)의 전면 케이스(15)의 돌출부(21)에 이어패드(30)가 결합되고, 케이스(10)의 내측에는 방음 하우징(40)이 수용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earpie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pad 30 connected to the protruding portion 21 of the front case 15 of the case 10 and the inside of the case 10 And the soundproof housing 40 is accommodated.

그리고, 프론트 하우징(41)에 하나의 스피커 출력홀(45), 하나의 스피커 수납홈(53), 하나의 마이크 입력홀(47), 하나의 마이크 수납홈(57)을 형성하고, 특히 마이크 수납홈(57)에는 마이크 입력홀(47)의 단부와 마이크(55)의 일측을 지지하는 마이크 지지부(63)와의 사이에 이격 공간부(61)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The front housing 41 has one speaker output hole 45, one speaker receiving groove 53, one microphone input hole 47, and on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57, The groove 57 has a space 61 formed between the end of the microphone input hole 47 and the microphone support 63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microphone 55.

이로써, 프론트 하우징(41)에 수납된 스피커(71)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는 스피커 출력홀(45)을 거쳐 제1분할공(25)과 연통공(33)을 통해 이어패드(30)로 전달된다. 또한, 이어패드(30)의 연통공(33)으로부터 제2분할공(27)을 거쳐 마이크 입력홀(47)로 유입되는 소리는 마이크 수납홈(57)에 수납된 마이크(55)의 전면으로 유입된다.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71 housed in the front housing 41 is transmitted to the ear pad 30 through the first partition hole 25 and the communication hole 33 through the speaker output hole 45 . The sound introduced into the microphone input hole 47 from the communication hole 33 of the ear pad 30 through the second dividing hole 27 is transmit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icrophone 55 housed in th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57 ≪ / RTI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1)은, 마이크(55)가 수납되는 방음 하우징(40)의 마이크 수납홈(57)의 구조를 개선하여, 즉 방음 하우징(40)의 마이크 수납홈(57)에 마이크 입력홀(47)의 단부와 마이크(55)의 일측을 지지하는 마이크 지지부(63)와의 사이에, 마이크(55)의 외경보다 작고 마이크 입력홀(47)의 내경보다 큰 크기를 갖는 이격 공간부(61)를 형성함으로써, 방음 하우징(40)의 사출 부분과 간격을 두게 되어, 마이크(55)에 전달되는 외부의 진동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arpho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57 of the soundproof housing 40 in which the microphone 55 is housed, that is, the microphone 55 of the soundproof housing 40 The microphone receiving hole 47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57 between the end of the microphone input hole 47 and the microphone supporting portion 63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microphone 55. The microphone receiving hole 47 is smaller in outer diameter than the microphone 55,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xternal vibration noise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55 because the spacing portion 61 having a large size is formed and spaced apart from the injection portion of the soundproof housing 40.

또한, 마이크(55)가 마이크 수납홈(57)에 끼워맞춤 결합됨으로써, 사용자의 귀로부터 마이크 입력홀(47)로 유입된 소리가 마이크(55)의 후방으로 방출되지 않고 마이크(55)의 전면을 통해 마이크(55)로 유입되어, 마이크(55)로 유입되는 음량이 증대하게 되어 상대방에게 상대적으로 큰 소리가 전달될 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소리의 명료도를 향상시켜 소리의 음질을 개선하며 통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microphone 55 is fitted into th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57 so that sound introduced into the microphone input hole 47 from the user's ear is not emitted to the back of the microphone 55, The sound volume of the microphone 55 is increased, so that a relatively loud sound i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as well as the clarity of sou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is improved to improve the sound quality of the sou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하우징에 돌출 돌기를 형성하고 리어 하우징에 돌기 결합홈을 형성하여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을 결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론트 하우징에 돌기 결합홈을 형성하고 리어 하우징에 돌출 돌기를 형성하여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을 결합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ront housing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protrusion and the rear housing is formed with a protrusion coupling groove to connect the front housing and the rear hous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ront housing and the rear housing may be combined by forming protruding projections on the rear housing.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이어셋 10 : 케이스
11 : 배면 케이스 15 : 전면 케이스
17 : 전면 케이스 본체 21 : 돌출부
30 : 이어패드 31 : 이어패드 몸체
33 : 연통공 35 : 트레드
40 : 방음 하우징 41 : 프론트 하우징
45 : 스피커 출력홀 47 : 마이크 입력홀
51 : 스피커 53 : 스피커 수납홈
55 : 마이크 57 : 마이크 수납홈
61 : 이격 공간부 63 : 마이크 지지부
65 : 돌출 돌기 71 : 리어 하우징
73 : 돌기 결합홈
1: Earset 10: Case
11: Rear case 15: Front case
17: front case body 21:
30: Ear pad 31: Ear pad body
33: communicating hole 35: tread
40: soundproof housing 41: front housing
45: speaker output hole 47: microphone input hole
51: Speaker 53: Speaker housing groove
55: microphone 57: microphone storage groove
61: spacing space 63: microphone support
65: projecting projection 71: rear housing
73: projecting engagement groove

Claims (4)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외이도와 연통하는 연통공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귀에 착탈되는 이어패드;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며,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상기 이어패드의 연통공으로 전달하는 스피커 출력홀과, 사용자의 귀로부터 상기 이어패드의 연통공으로 유입되는 소리를 마이크로 전달하는 마이크 입력홀과, 상기 스피커 출력홀과 연통하며 상기 스피커가 수납되는 스피커 수납홈과, 상기 스피커 수납홈과 상기 이어패드의 축선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가 끼워맞춤 결합되며 수납되는 마이크 수납홈을 구비한 방음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 수납홈은, 상기 마이크 입력홀의 단부와 상기 마이크의 일측을 지지하는 마이크 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마이크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마이크 입력홀의 내경보다 큰 크기를 갖는 이격 공간부가 형성된, 이어셋.
A case forming an appearance;
An ear pad attached to one end of the case and forming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ear canal of the user and being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user's ear; And
A microphone input hole which is received in the case and which transmits sound generated by the speaker to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ear pad, a microphone input hole for transmitting sound from the user's ear to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ear pad, And a microphone housing groove which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an axis of the speaker housing groove and the ear pa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which the microphone is fitted and coupled and is housed, / RTI >
Wherein th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has a spacing space formed between an end of the microphone input hole and a microphone support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microphone and having a size small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microphone and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microphone input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하우징은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는 상기 스피커 출력홀, 상기 스피커 수납홈, 상기 마이크 입력홀, 상기 마이크 수납홈이 형성된, 이어셋.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proof housing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housing and the rear housing,
Wherein the speaker output hole, the speaker receiving groove, the microphone input hole, and th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are formed in the front ho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리어 하우징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 돌기와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리어 하우징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돌출 돌기가 결합되는 돌기 결합홈을 포함하는, 이어셋.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t least one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of the front housing and the rear housing
And a protruding engaging recess formed in the other of the front housing and the rear housing to engage with the protruding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출력홀과 상기 마이크 입력홀은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 수납홈과 상기 마이크 수납홈은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게 형성되는, 이어셋.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eaker output hole and the microphone input hole are independently formed separately, and the speaker receiving groove and the microphone receiving groove are separately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KR1020160035875A 2016-03-25 2016-03-25 Earset KR1017626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875A KR101762671B1 (en) 2016-03-25 2016-03-25 Ear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875A KR101762671B1 (en) 2016-03-25 2016-03-25 Ear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671B1 true KR101762671B1 (en) 2017-08-04

Family

ID=59654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875A KR101762671B1 (en) 2016-03-25 2016-03-25 Ear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67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646A (en) 2019-03-05 2020-09-15 주식회사 이엠텍 Earset
KR20200106808A (en) 2019-03-05 2020-09-15 주식회사 이엠텍 Earset having inner microphone
US11076215B2 (en) 2018-12-07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aker and microphone
US11297407B2 (en) 2019-03-05 2022-04-05 Em-Tech Co., Ltd. Earset having inner microphone
KR20230139023A (en) 2022-03-25 2023-10-05 주식회사 이엠텍 Earset with inner mic for feedback active noise cancelling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6215B2 (en) 2018-12-07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aker and microphone
CN113228703A (en) * 2018-12-07 2021-08-06 三星电子株式会社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loudspeaker and a microphone
CN113228703B (en) * 2018-12-07 2024-05-07 三星电子株式会社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speaker and a microphone
KR20200106646A (en) 2019-03-05 2020-09-15 주식회사 이엠텍 Earset
KR20200106808A (en) 2019-03-05 2020-09-15 주식회사 이엠텍 Earset having inner microphone
US11297407B2 (en) 2019-03-05 2022-04-05 Em-Tech Co., Ltd. Earset having inner microphone
KR20230139023A (en) 2022-03-25 2023-10-05 주식회사 이엠텍 Earset with inner mic for feedback active noise cancel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268B1 (en) Earset
KR101721157B1 (en) Earset
KR101762671B1 (en) Earset
US9473842B2 (en) Earset
EP3110168B1 (en) An earphone having an acoustic tuning mechanism
KR101959608B1 (en) An earphone having a controlled acoustic leak port
US7477756B2 (en) Isolating deep canal fitting earphone
EP1843627B1 (en) A personal voice-transmitted device
JP2015511805A (en) Soundproof housing for earset and wired / wireless earset including the same
TW201306607A (en) Earphone integrated with a microphone
KR101694706B1 (en) Earset
CN110100454B (en) Sound output device
JP6631530B2 (en) Sound output device
WO2006070229A2 (en) Earphone
JP2012244350A (en) Canal-type earphone
JP5062150B2 (en) earphone
US20230276156A1 (en) Sound output device
CN109644301B (en) Sound output device
US11962965B2 (en) Wireless earbud having external ear contact point
KR101427120B1 (en) earphone on tragus
JP7320316B1 (en) open earbuds
JP2012085114A (en) Earphone
AU2019284040B2 (en) An earphone having an acoustic tuning mechanism
KR102002529B1 (en) An earphone with a nozzle-integrated speaker unit
KR20080073074A (en) Head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