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208B1 -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 Google Patents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208B1
KR101762208B1 KR1020170053851A KR20170053851A KR101762208B1 KR 101762208 B1 KR101762208 B1 KR 101762208B1 KR 1020170053851 A KR1020170053851 A KR 1020170053851A KR 20170053851 A KR20170053851 A KR 20170053851A KR 101762208 B1 KR101762208 B1 KR 101762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ing
arm
connection arm
connection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053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발판은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 회전축의 외경보다 축구멍을 비교적 크게 형성되도록 여유공간을 갖기 때문에 바람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면 그 여유공간에 축이 이동하면서 큰 소음이 발생과 잦은 충격에 의한 파손의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화재발생 또는 강도침입과 같은 비상시 베란다에서 외부로 전개된 안전난간과 연동하여 하부에 펼쳐지는 발판에 의해 복도(통로)를 제공하되, 발판이 베란다난간에 겹쳐진 직립상태로 수용되고 전면은 대피안전난간과 밀착시켜 외력이 가해져도 흔들림없이 고정되어 소음의 발생을 억제와 더불어 파손의 우려도 해소할 수 있는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Folding scaffolds device for evacuation railings}
본 발명은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입주세대로 외부인의 침입 또는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 발생 시 현관을 이용하여 대피가 곤란할 경우 벽체를 사이에 둔 안전한 옆세대로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베란다 난간에서 전방으로 전개되는 안전난간과 연동하여 하부에서 복도(통로)를 제공하도록 펼쳐져 남녀노소 및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운반하는 휠체어가 신속하고 복도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세대가 거주하도록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과 같이 공동으로 생활하는 고층건물에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고층건물은 통상적으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현관과 거실에는 창고로 사용하는 공간 또는 거실 확장공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베란다가 설계되어 있고, 그 베란다에는 사람이 외부로 낙상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베란다 난간이 설치되어 입주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층건물은 전력을 이용하여 각종 전자기기의 사용으로 합선의 위험과 난방용 보일러 및 조리용 가스레인지 등의 가스 누출에 의한 화재가 발생하면 고층에서 쉽게 대피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대피설비를 갖추어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대피설비로는 베란다에 설비되어 대피시 와이어를 이용하여 하부층으로 이동하는 완강기가 제공되었으나 고층에서 혼자 매달려 하부층으로 내려오는 공포심으로 인하여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고, 또는 베란다의 바닥면을 하부층 세대와 연통하는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안전사다리가 제공되었으나 그 안전사다리가 설비된 베란다 바닥 또는 그에 해당하는 하부층 베란다에 물건이 올려진 경우에는 사다리를 펼칠 수 없는 문제점으로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베란다의 난간에서 펼쳐 하부층으로 계단이 자동으로 펼쳐져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특허등록 제1562205호(명칭: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가 공개되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은 입체 형상으로서 발코니 내부를 마주보는 한쪽 면이 개방된 화재 대피 공간부와, 창살 형태를 갖는 2개의 프레임이 포개지고 2개의 프레임 사이에 2개 이상의 발 지지 수단이 절첩된 상태에서 화재 대피 공간부의 측부에 세워져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 추락 사고를 방지하고 화재가 발생되어 축 회전 수단에 의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었을 때 2개의 프레임 사이 간격이 벌어짐과 더불어 2개의 프레임 사이에서 절첩된 발 지지 수단이 펼쳐져 화재 대피를 위한 비상 계단을 형성하는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을 마주보는 화재대피 공간부의 측부를 열고 닫는 축부 개폐 수단, 및 상기 화재 대피 공간부의 상부를 열고 닫는 상부 개폐 수단,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 화재 대피 공간부의 측부에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을 붙들어 고정하여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 되지 않도록 하고 화재 발생시 잠금 해제되었을 때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도록 하는 락킹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종래의 대피장치는 화재와 같은 비상시 사용자가 베란다에 설비된 대피수단을 밀어 180도 회전하면서 안전한 하부층으로 계단이 자동으로 펼쳐져 내려오면 화재 대피공간으로 이동한 후 계단을 이용하여 하부층으로 대피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 대피장치를 구성하는 발판은 양단부가 제1,2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비사용 시 대피수단을 접으면 발판이 절첩 구조상 "∧"형상을 이루게 되고, 그러한 상기 발판은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 회전축의 외경보다 축구멍을 비교적 크게 형성되도록 여유공간을 갖기 때문에 바람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면 그 여유공간에 축이 이동하면서 큰 소음이 발생과 잦은 충격에 의한 파손의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대피장치의 발판은 직립상태로 절첩된 후 별도로 고정되지 않은 이유에서도 상기와 같은 소음을 억제할 수 없어 주거생활이 크게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발생 또는 강도침입과 같은 비상시 베란다에서 외부로 전개된 안전난간과 연동하여 하부에 펼쳐지는 발판에 의해 복도(통로)를 제공하되, 발판이 직립된 절첩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져도 흔들림없이 고정되어 소음발생의 억제와 더불어 파손의 우려도 해소할 수 있는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양측세대를 구분하는 벽체의 양측면 상부에 각각 고정된 브라켓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벽체 전방으로 벗어나 설치된 난간수평바의 하부에 출입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베란다난간과 상기 베란다난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지지수단에 의해 안내되어 전방으로 전개되는 대피안전난간과 상기 전개되는 대피안전난간과 연동하여 접힘 또는 펼침되는 발판절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절첩치는 일단이 상방향으로 절곡된 절곡연장부를 갖는 "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대피안전난간에 직립으로 구비된 안전난간수직바의 하부 내측과 일단이 제1회전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복수로 설치되는 제1연결암과, "ㅡ"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1연결암의 타단과 제2회전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베란다난간에 직립으로 구비된 난간수직바의 하부와 제2회전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복수로 설치되는 제2연결암과, 상기 펼쳐진 상태에서의 제1연결암 및 제2연결암의 상부에 각각 안착된 후 고정되도록 양측단부가 하향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복수가 상부에서 관통형성된 배수구멍이 형성된 제1발판 및 제2발판으로 구성되어, 발판 절첩시 제1연결암이 절곡연장부의 절곡된 길이에 의해 제2연결암과 겹쳐진 상태에서 난간수직바 내측에 직립되고 전방 제1발판은 대피안전난간에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절첩되는 제1,2발판이 서로 접혀진 상태에서 개방된 양측 출입구와 벽체가 위치한 난간수평바와 난간수직바 사이로 삽입된 후, 대피안전난간이 제1발판 전방에서 지지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흔들림을 방지시켜 소음발생을 원천봉쇄할 수 있고 더불어 충격에 의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절첩장치가 베란다에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절첩장치가 베란다에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연결암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연결암에 제1,2발판이 설치되어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펼쳐진 제1,2연결암이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연결암 사이의 틈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수직바가 간격을 갖고 벽면 양측에 각각 1개씩 설치되어 제1,2발판이 양측 출입구의 총길이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수직바가 벽체의 양측에 각각 2개씩 설치되어 총3칸으로 구획되고, 벽체 양측 난간수직바에 제2연결암에 연결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연결암이 제2연결암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양측세대를 구분하는 벽체(100)의 양측면 상부에 각각 고정된 브라켓(101)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벽체(100) 전방으로 벗어나 설치된 난간수평바(111)의 하부에 직립으로 설치된 난간수직바(112)에 의해 출입구(113)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베란다난간(110)과 상기 베란다난간(1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지지수단(120)에 의해 안내되어 전방으로 전개되는 대피안전난간(130)과 상기 전개되는 대피안전난간(130)과 연동하여 접힘 또는 펼침되는 발판절첩장치(1)를 구성하되, 상기 발판절첩장치(1)는 크게 대피안전난간(130)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결암(10)과 상기 베란다난간(110)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연결암(20)을 상기 제1연결암(10)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절첩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1,2연결암(10)(20)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발판(51)(52)을 설치하여 대피안전난간(130)이 전개된 상태에서 펼쳐져 복도(통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암(10)은 일단이 대피안전난간(130)에 직립으로 설치된 안전난간수직바(131)의 하부 내측과 제1회전핀(31)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일단은 상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절곡연장부(11)로 구성시켜 전체 형상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회전핀(31)은 상기 절곡연장부(11)의 일단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연결암(10)의 타단 상부에는 지지핀(12)이 설치되어 후술할 제2연결암(20)에 형성되는 제1고정턱(21) 또는 제2고정턱(22)에 걸려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절곡연장부(11)는 대피안전난간(130)의 비사용 시 베란다난간(110)과 대피안전난간(130)이 접촉된 상태에서 제1연결바(10)와 제2연결바(20)가 직립으로 겹쳐져 난간수직바(112)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2연결바(20)가 세워질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대피안전난간(130)의 비사용 시 제1연결바(10)에 설치되는 후술할 제1발판(51)과 제2연결바(20)에 설치되는 제2발판(52)이 베란다난간(110)의 난간수직바(112)에 배치되고, 상기 제2발판(52)의 전방을 대피안전난간(130)이 지지하여 고정된 상태를 이루어 충격발생을 억제하는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암(20)은 "ㅡ"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써, 그 일단이 상기 제1연결암(10)의 타단 외측과 제2회전핀(32)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베란다난간(110)에 제3회전핀(33)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1,2연결암(10)(20)은 대피안전난간(130)의 전후로 이동시 제1,2,3회전핀(31)(32)(33)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면 상기 제1연결암(10)의 제1회전핀(31)은 제2연결암(20)의 제3회전핀(33)이 설치된 높이보다 절곡연장부(11)의 길이만큼 높게 형성되어 제1,2발판(51)(52)이 접혔을 땐 절곡연장부(11)의 길이에 의해 난간수직바(112) 내부에 위치하고, 펼쳐졌을 땐 절곡연장부(11)의 길이에 의해 수평상태로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연결암(20)의 일단에는 외경의 크기보다 작게 즉, 상기 제1연결암(10)에 구비된 지지핀(12)의 외경이 간섭없이 안내되며 회전할 수 있도록 반원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써, 대피안전난간(130)이 전개되면 절첩된 제1,2연결암(10)(20)이 수평하게 펴지면 지지핀(12)과 제1고정턱(21)이 맞닿아 그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저지하여 펼쳐진 제1,2발판(51)(52)을 밟고 이동할 수 있는 것이고, 또는 상기 제1,2연결암(10)(20)을 절첩시켜 직립상태가 되면 지지핀(12)이 제2고정턱(22)과 맞닿아 지지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연결암(10)은 첨부된 도면 도 7과 같이, 대피안전난간(130)의 양측 안전난간수직바(131) 내부에 간격을 두고 한 쌍이 설치되고, 제2연결암(20)은 양측 출입구(113)의 전체길이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첨부된 도면 도 8과 같이, 상기 벽체(100)의 양측면에 출입구(113)를 형성하기 위한 난간수직바(112)를 한 쌍으로 설치하여 4개의 난간수직바(112)에 의해서 개구된 총3칸을 형성하고, 그 각각의 칸 하부 양측 내면에 간격을 갖도록 이격된 한 쌍의 제2연결암(20)이 제3회전핀(33)으로 각각 설치되며, 상기 베란다난간(110)과 대응하는 대피안전난간(130) 역시 총3칸으로 구획되도록 안전난간수직바(131)를 4개로 설치하고, 그 각각의 안전난간수직바(131) 하부에 제1연결암(10)을 제1회전핀(31)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벽체(100) 양측면에 근접되어 직립설치된 난간수직바(112)의 폭만큼 이격된 각각의 제2연결암(20)이 펼쳐진 상태에서 하단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판(23)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베란다난간(110) 최외측에 설치되는 난간수직바(112)를 제외한 나머지 난간수직바(112) 양측에 설치되는 제2연결암(20)을 연동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는, 상기 제1연결암(10)은 첨부된 도면 도 9와 같이, 제2연결암(20)을 중앙에 개재한 상태로 양측에 한 쌍으로 각각 설치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제1연결암(10)이 제2연결암(20) 양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제2연결암(20)의 연결판(23)이 회전 간섭에 의해서 설치가 될 수 없지만 제1연결암(10)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자가 전체하중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제1연결암(10)과 제2연결암(20)의 각각 내부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1/2 이하의 높이로 이루어진 보강살(40)이 설치되어 보강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제1연결암(10)과 제2연결암(20)은 베란다난간(110) 및 대피안전난간(130)을 구획시켜 형성되는 각각의 칸에 의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되고, 발판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2연결암(10)(20)의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절반 이하의 높이를 갖는 보강살(40)을 복수로 설치시켜 내구성을 향상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연결암(20) 외측에 설치된 제1연결암(10)이 절첩되어 직립상태가 되면 제2연결암(20)에 설치된 보강살(40)이 제1연결암(10)의 하단에 걸려 겹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1연결암(10)의 하단에서 제2연결암(20)의 보강살(40)이 수용되는 위치에 ┌┐"형상으로 오목한 수용홈(13)을 형성하여 간섭없이 절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2발판(51)(52)은 제1,2연결암(10)(20)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써, 상기 제1발판(51)은 제1연결암(10)에 고정되고, 상기 제2발판(52)은 제2연결암(20)에 고정되어 대피자 밟고 이동할 수 있는 복도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2발판(51)(52)은 양측이 하방향으로 각각 절곡된 절곡부(53)가 구성되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각각 설치되는 제1연결암(10)과 제2연결암(20)의 내면에 각각 삽입된 후 리벳으로 고정되되, 그 절곡부(53)에는 보강살(40)의 상단이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장착홈(54)이 각각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2발판(51)(52)은 무모양의 판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빗물의 배수 및 중량을 절감하도록 원형 또는 장공으로 형성된 관통구멍(55)이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연결암(10)과 제2연결암(20)이 제2회전핀(32)으로 상호 연결되는 단부에는 틈새(60)를 구성시켜 발판 절첩시 제1발판(51)의 절곡부(53)의 두께(t)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2연결암(20) 외측에 설치되는 제1연결암(10) 상단에 고정된 제1발판(51)은 접히는 과정에서 절곡부(53)가 제2연결암(20)에 걸려 회전 불가능하지만 상기 절곡부(53)를 수용할 수 있는 틈새(60)를 형성함으로써, 간섭없이 회전하여 절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1,2연결암(10)(20)에는 첨부된 도면 도 2와 같이, 스프링(70)을 설치시켜 적은 힘으로 밀어도 절철된 제1,2발판(51)(52)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스프링(70)은 제2회전핀(32) 외주연에 설치되고, 양단부는 각각 제1연결암(10)과 제2연결암(20)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회지핀(32)에 설치된 스프링(70)과 더불어 큰 펼침력을 제공하도록 제1회전핀(31)에 설치한 후, 일단을 안전난간수직바(131)에 고정하고, 타단은 제1연결암(10)에 고정하며, 반대 측 제3회전핀(33)에 스프링(70)을 설치한 후, 일단을 난간수직바(112)에 고정하고, 타단을 제2연결암(20)에 고정하여 총3개의 스프링(70)을 각각 설치하여 비교적 큰 펼침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발판절첩장치(1)는 제1,2연결암(10)(20)이 겹쳐져 직립되면 제1연결암(10)의 절곡연장부(11)에 의해 제2연결암(20)이 설치된 난간수직바(112) 내부에 수용 배치되고, 상기 제1연결암(10)에 고정된 제1발판(51) 전면을 대피안전난간(130)의 후방이 이동 불가하게 지지하여 소음발생을 방지하는 작용효과가 있고, 또한 스프링(70)의 설치함으로써, 노약자 누구나 손쉽게 발판을 펼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는 유용한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발판절첩장치: 1 제1연결암: 10
절곡연장부: 11 지지핀: 12
수용홈:13 제2연결암: 20
제1,2고정턱: 21,22 연결판: 23
제1,2,3회전핀: 31,32,33 보강살: 40
제1,2발판: 51,52 절곡부: 53
장착홈: 54 관통구멍: 55
틈새: 60 스프링: 70
벽체: 100 브라켓: 101
베란다난간: 110 난간수평바: 111
난간수직바: 112 출입구: 113
측면지지수단: 120 대피안전난간: 130
안전난간수직바: 131

Claims (8)

  1. 양측세대를 구분하는 벽체(100)의 양측면 상부에 각각 고정된 브라켓(101)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벽체 전방으로 벗어나 설치된 난간수평바(111)의 하부에 출입구(113)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베란다난간(110)과 상기 베란다난간(1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지지수단(120)에 의해 안내되어 전방으로 전개되는 대피안전난간(130)과 상기 전개되는 대피안전난간(130)과 연동하여 절첩되는 발판절첩장치(1)에 있어서,
    상기 발판절첩장치(1)는 일단이 상방향으로 절곡된 절곡연장부(11)를 갖는 "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대피안전난간(130)에 직립으로 구비된 안전난간수직바(131)의 하부 내측과 일단이 제1회전핀(31)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 상부에 돌출형성된 지지핀(12)이 마련된 제1연결암(10)과,
    "ㅡ"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1연결암(10)의 타단 외측과 제2회전핀(32)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베란다난간(110)에 직립으로 구비된 난간수직바(112)의 하부와 제3회전핀(33)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지지핀(12)과 접촉 지지되도록 일단은 전체 폭보다 작은 반원으로 형성시켜 상부에 제1고정턱(21)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2고정턱(22)을 형성시켜 이루어진 제2연결암(20)과,
    양측단부가 하향 절곡된 절곡부(53)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암(10)에 안착 고정되는 제1발판(51)과 상기 제2연결암(20)에 안착 고정되는 제2발판(52)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2발판(51)(52) 절첩시 제1연결암(10)이 절곡연장부(11)의 절곡된 길이에 의해 제2연결암(20)과 겹쳐진 상태에서 난간수직바(112) 내부에 직립되고 전방에 위치된 제1발판(51)은 대피안전난간(130)에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안전난간(130)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연결암(10)과 베란다난간(110)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연결암(20)의 각각 내부 상단에서 1/2 이하의 높이로 형성된 보강살(4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암(10)은 제2회전핀(3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연결암(20)과 겹칠 때, 제2연결암(20)의 보강살(40)을 수용할 수 있는 하부 대응위치에 "┌┐"형상으로 오목한 수용홈(13)이 형성되며,
    제1,2발판(51)(52)의 양측면에 구비된 절곡부(53)에 하부에 상기 제1,2연결암(10)(20)에 형성된 보강살(40)이 내부로 수용된 상태로 안착되도록 장착홈(54)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암(10)과 제2연결암(20)이 제2회전핀(32)으로 상호 연결되는 단부에는 제1,2연결암(10)(20) 사이에 간격을 갖는 틈새(60)를 구성하되, 상기 틈새(60)는 제1발판(51) 양측 절곡부(53)의 두께(t)가 수용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핀(32)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양단부는 각각 제1연결암(10)과 제2연결암(20)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0)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제1회전핀(31)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양단부는 각각 안전난간수직바(130)와 제1연결암(10)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0)과, 제2회전핀(32)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양단부는 각각 제1연결암(10)과 제2연결암(20)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0)과, 제3회전핀(33)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양단부는 각각 제2연결암(20)과 난간수직바(112)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수직바(112)는 벽체(100)의 양측면에 각각 출입구(113)를 형성하도록 난간수평바(111) 하부에 4개가 직립시켜 개구된 3칸으로 구성하고, 그 각각의 칸 하부 양측 내면에 한 쌍의 제2연결암(20)이 제3회전핀(33)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암(20)과 제2회전핀(32)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암(10)은 상기 난간수직바(112)와 마주하는 대피안전난간(130) 대응위치에 안전난간수직바(131)를 설치하여 제1회전핀(31)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100) 양측면에 직립고정된 난간수직바(112)의 폭만큼 이격된 각각의 제2연결암(20)이 펼쳐진 상태에서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판(2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암(10)은 제2연결암(20)을 개재한 상태로 양측에 한 쌍으로 각각 설치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발판(51)(52)은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멍(55)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KR1020170053851A 2017-04-26 2017-04-26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KR101762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51A KR101762208B1 (ko) 2017-04-26 2017-04-26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51A KR101762208B1 (ko) 2017-04-26 2017-04-26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208B1 true KR101762208B1 (ko) 2017-08-04

Family

ID=5965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851A KR101762208B1 (ko) 2017-04-26 2017-04-26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2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872A (ko) 2018-01-29 2019-08-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난간을 활용한 대피용 구조물
EP3888757A1 (en) * 2020-03-31 2021-10-06 Mentor T&C Co., Ltd. Fire and disaster evacuation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35B1 (ko) 2016-04-11 2016-12-08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35B1 (ko) 2016-04-11 2016-12-08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872A (ko) 2018-01-29 2019-08-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난간을 활용한 대피용 구조물
EP3888757A1 (en) * 2020-03-31 2021-10-06 Mentor T&C Co., Ltd. Fire and disaster evacua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205B1 (ko)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CN108368702B (zh) 一体型折叠式安全栏杆以及室外避难楼梯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0610401B1 (ko) 화재시 대피용 난간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863901B1 (ko) 접이식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843842B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805060B1 (ko)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KR102096210B1 (ko)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
KR101412211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762208B1 (ko)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KR20100138392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20090042692A (ko) 화재 대피 기능을 가지는 베란다 안전 회전 난간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CN211169414U (zh) 住宅外加装电梯的结构
KR101129439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KR101648354B1 (ko) 완강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접이식 난간
JP2004324283A (ja) 避難用梯子
JP2004197456A (ja) 非常用梯子装置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RU88274U1 (ru) Пожарно-спас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