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988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988B1
KR101758988B1 KR1020150121654A KR20150121654A KR101758988B1 KR 101758988 B1 KR101758988 B1 KR 101758988B1 KR 1020150121654 A KR1020150121654 A KR 1020150121654A KR 20150121654 A KR20150121654 A KR 20150121654A KR 101758988 B1 KR101758988 B1 KR 101758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height
column
ro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329A (ko
Inventor
이정엽
Original Assignee
이정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엽 filed Critical 이정엽
Priority to KR1020150121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988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6Placing by using several means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독립기초부재의 기초부에 결합된 기둥부와 높이조절부가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높이조절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복수 개의 독립기초부재를 울퉁불퉁한 지면에 안착시킨 경우, 각각의 독립기초부재의 높이조절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높이조절부의 높이가 서로 일정해지도록 배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PILE HAVING HEIGHT ADJUSTMENT FUNCTION}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높이조절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은 토양의 수분 함량 과다 등으로 인하여 건물 등의 구조물의 기초 지반으로써 불충분한 지지력을 가지므로, 구조물의 침하를 방지하고 구조물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연약지반 보강용 파일(pile)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보강용 파일 중 하나인 독립 기초 파일은 연약지반에서 건축물의 기초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지반에 대한 보강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하중을 분산시켜 지반에 전달함으로써, 연약지반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독립 기초 파일 중 하나인 팽이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콘크리트 팽이파일(10)은 원형의 상면을 구비하되, 그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기초부(12)와, 상기 기초부(12)의 중앙 하부에 길게 연장 설치된 파일본체부(14)를 포함한다. 이러한 팽이파일(10)은 기초부(12)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반의 사방으로 분산시킴으로 인하여 매우 높은 지반보강 기능을 갖게 된다.
한편, 독립 기초 파일 중 하나인 팽이파일을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다수 개의 팽이파일을 연약지반의 지면에 평면상으로 배열한 후, 쇄석 등의 골재로서 공간을 메우고 다져서 보강하게 된다. 이때, 다수 개의 팽이파일들은 그 높이가 일정해야 하나, 지면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 다수 개의 팽이파일들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도록 배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다수 개의 팽이파일들의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팽이파일에 추가적으로 보강 작업을 해야 하므로, 공기가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1450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초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높이조절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반에 위치되는 기초부; 상기 기초부에 관통되도록 설치되되 그 상단부는 상기 기초부보다 상부로 돌출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제 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서 상기 제 1 결합부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 1 결합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과 상기 기초부 사이에 채움부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둥부에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되 그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삽입가이드부를 갖는 몸체부와, 상기 기둥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삽입되되 그 하부에 상기 삽입가이드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날개부를 갖는 앵커부를 구비하는 앵커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되되 외부 가압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를 타격하여, 상기 몸체부가 지반에 근입되도록 하는 내부로드와, 상기 내부로드가 삽입되도록 상기 앵커부의 상부에 위치되되 외부 가압에 의하여 상기 앵커부를 타격하여 상기 날개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펼쳐지도록 하는 외부로드를 구비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기 삽입가이드부의 최하단의 직경은 상기 앵커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기둥부를 관통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부에서 그 하부로 연장되되 상기 지지부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상기 삽입가이드부와, 상기 삽입가이드부의 하단에 그 하부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도록 형성되는 첨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기둥부 사이에 삽입되는 기둥 형상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상기 삽입가이드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기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부로드의 상부는 상기 외부로드보다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부로드의 상부에는 상기 내부로드보다 상부로 돌출되는 타격안내부가 장착되고, 상기 타격안내부로 가해지는 외부 압력이 상기 외부로드로 전달되어, 상기 외부로드가 상기 앵커부를 타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복수 개가 직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초부의 수평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가 삽입된 상기 기초부가 지반에 배치되는 제 1 과정; 상기 기둥부에 상기 앵커부재의 상기 몸체부와 상기 앵커부가 설치되는 제 2 과정; 상기 앵커부재의 상부에 상기 가압부재의 상기 내부로드와 상기 외부로드가 설치되는 제 3 과정; 상기 몸체부가 상기 지반에 근입되도록 상기 내부로드가 타격되는 제 4 과정; 상기 날개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펼쳐지도록 상기 외부로드가 타격되는 제 5 과정;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상기 높이조절부가 결합되는 제 6 과정; 및 상기 높이조절부가 회전되면서 높이가 조절되는 제 7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5 과정은: 상기 외부로드의 상부에 상기 내부로드보다 상부로 돌출되는 타격안내부가 장착되는 단계; 및 상기 타격안내부가 타격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7 과정 이후, 상기 높이조절부와 상기 기초부 사이에 채움부가 채워지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채움부는 시멘트 몰탈이 타설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4 과정과 상기 제 5 과정 사이에, 상기 가압부재의 상기 내부로드와 상기 외부로드에 다른 가압부재의 내부로드와 외부로드가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몸체부가 상기 지반에 근입되도록 상기 내부로드가 타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독립기초부재의 기둥부에 결합된 높이조절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복수 개의 독립기초부재를 울퉁불퉁한 지면에 안착시킨 경우, 각각의 독립기초부재의 높이조절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높이조절부의 높이가 서로 일정해지도록 배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와 기초부 사이에 채움부가 채워지므로, 높이조절부와 기초부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한번 정해진 높이조절부와 기초부 간의 높이가 임의로 조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앵커부재의 몸체부의 삽입가이드부의 최하단의 직경은 앵커부의 삽입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몸체부가 지반에 근입될 때, 지반에는 삽입가이드부의 직경만큼의 공간이 확보되며, 이에 따라 삽입가이드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앵커부의 삽입부는 별도의 외부 압력 없이 상기 공간을 통하여 지반의 하부로 근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압력에 의하여 앵커부재의 날개부가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되어, 날개부와 지면 간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앵커부에 가해지는 저항력이 상승되어, 구조물에 대한 지지력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독립 기초 파일 중 하나인 팽이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의 독립기초부재에 구비되는 기초부와 기둥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의 독립기초부재에 구비되는 높이조절부와 채움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의 독립기초부재에 구비되는 기초부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 및 그 시공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의 독립기초부재에 구비되는 기초부와 기둥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은 지반(1)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독립기초부재(100)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앵커부재(200: 도 6 도시)와 가압부재(300: 도 7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독립기초부재(100)는 기초부(110), 기둥부(120) 및 높이조절부(130: 도 3 도시)를 포함하며, 채움부(140: 도 3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초부(110)는 지반(1)에 위치되는 것으로, 지반(1)을 굴토하여 형성되는 터파기 홈(1a)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초부(110)는 예를 들면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초부(110)의 형상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을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기둥부(120)는 기초부(110)의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삽입되는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 기둥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둥부(120)가 기초부(110)에 삽입될 때, 기둥부(120)의 상단부는 기초부(110)보다 상부로 돌출되며, 기둥부(120)의 상단부의 외주연에는 제 1 결합부(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기둥부(120)는 철, 콘크리트,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130)와 채움부(140)는 하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의 독립기초부재에 구비되는 높이조절부와 채움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높이조절부(130)는 기둥부(120)의 제 1 결합부(122)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판(132)과 제 2 결합부(134)를 포함한다. 지지판(132)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132)에서 기둥부(120)로 가해지는 구조물의 하중은 기초부(110)의 넓은 면적을 통하여 지반(1)의 사방으로 분산되어 매우 높은 지반 보강 기능을 갖게 된다. 제 2 결합부(134)는 제 1 결합부(122)와 결합되도록 지지판(132)에서 제 1 결합부(122)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 1 결합부(122)와 제 2 결합부(134)는 상호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판(132)이 회전됨에 따라, 제 1 결합부(122)와 나사 결합된 제 2 결합부(134)가 제 1 결합부(12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지지판(132)과 기초부(110) 간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어, 지지판(132)의 높이 조절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130)를 회전시킴으로써, 높이조절부(13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복수 개의 독립기초부재(100)를 울퉁불퉁한 지면에 안착시킨 경우, 각각의 독립기초부재(100)의 높이조절부(130)의 높이를 조절하여 지지판(132)들의 높이가 서로 일정해지도록 배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채움부(140)는 지지판(132)과 기초부(110)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것으로, 예를 들면 시멘트 혼합물이 타설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시멘트 혼합물은 시멘트 페이스트, 시멘트 모르타르, 시멘트 콘크리트 등과 같이 시멘트를 포함한 다양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지지판(132)과 기초부(110) 사이에 채움부(140)가 채워지므로, 높이조절부(130)와 기초부(110)는 견고하게 결합되어, 한번 정해진 높이조절부(130)와 기초부(110) 간의 높이가 임의로 조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의 독립기초부재에 구비되는 기초부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기초부(110)는 팽이파일과 같이, 그 수평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기초부(110)는 그 수평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기초부(110)는 그 수평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의 (d)를 참조하면, 기초부(110)는 그 수평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의 (e)를 참조하면, 기초부(110)는 그 수평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의 단면적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의 (f)를 참조하면, 기초부(110)는 그 수평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의 단면적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의 시공 방법은 먼저, 독립기초부재(100)의 기둥부(120)가 삽입된 기초부(110)가 지반(1)에 배치된다. 이때, 지반(1)에는 기초부(110)가 삽입되기 위한 터파기 홈(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 독립기초부재(100)의 기둥부(120)에 앵커부재(2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앵커부재(2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앵커부재(200)는 몸체부(210)와 앵커부(220)를 포함한다.
몸체부(210)는 기둥부(120)에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지지부(212)와, 지지부(212)의 하단부에서 그 하부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되 지지부(212)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삽입가이드부(214)와, 삽입가이드부(214)의 하단부에서 그 하부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되 그 하부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도록 첨예하게 형성되는 첨예부(216)를 포함한다. 그리고 해머(미도시) 등에 의한 외부 압력이 몸체부(210)의 지지부(212)로 가해지면, 몸체부(210) 전체가 지반(1)으로 삽입되면서 지반(1)에 박히게 된다.
앵커부(220)는 지지부(212)가 삽입되도록 기둥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삽입부(222)와, 상기 삽입부(222)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삽입가이드부(21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날개부(224)와, 상기 삽입부(222)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 1 연결부(222a)를 포함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한 날개부(224)의 상호 마주보는 측부끼리는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가압부재(300)의 외부로드(320)가 앵커부(220)를 타격하면 날개부(224)가 삽입가이드부(214) 방향으로 하강하되, 삽입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외부로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독립기초부재(100)의 기둥부(120)에 앵커부재(200)의 앵커부(220)와 몸체부(210)가 삽입될 때, 앵커부(220)에 몸체부(210)가 결합된 후, 결합된 앵커부(220)와 몸체부(210)가 기둥부(120)에 삽입될 수도 있고, 몸체부(210)가 기둥부(120)에 삽입된 후, 앵커부(220)가 몸체부(210)와 기둥부(120) 사이로 삽입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면, 앵커부재(200)에 가압부재(300)가 설치된다. 여기서 가압부재(3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가압부재(300)는 앵커부재(200)를 가압하는 것으로, 앵커부재(200)의 몸체부(210)를 가압하여 몸체부(210)를 지반(1) 속으로 근입시키는 내부로드(310)와, 앵커부재(200)의 앵커부(220)를 가압하여 앵커부(220)의 날개부(224)가 외부로 펼쳐지도록 하는 외부로드(320)를 포함한다. 내부로드(31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 기둥 형상 등으로 형성되되, 앵커부재(200)의 몸체부(21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로드(310)는 앵커부재(200)의 몸체부(210)의 상부에 위치된다. 외부로드(320)는 내부로드(310)가 삽입되도록 내부로드(31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앵커부(220)의 삽입부(222)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외부로드(320)는 앵커부재(200)의 앵커부(220)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때, 외부로드(320)와 앵커부(220)는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앵커부(220)의 삽입부(222)의 상단에는 제 1 연결부(222a)가 형성되고, 외부로드(320)의 하단부에는 제 2 연결부(322)가 형성되며, 앵커부(220)에 외부로드(320)가 결합될 때, 제 1 연결부(222a)와 제 2 연결부(322)가 나사 결합되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 후, 해머 등이 내부로드(310)를 타격하여 해머 등에 의한 외부 가압이 몸체부(210)로 전달된다. 그러면 몸체부(210)는 내부로드(310)에 의한 타격에 의하여 지반(1)의 하부로 근입된다. 이때, 내부로드(310)의 상부는 후술하는 외부로드(320)보다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해머 등이 내부로드(310)의 상부를 타격할 때, 외부로드(320)는 타격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몸체부(210)의 삽입가이드부(214)의 최하단의 직경은 앵커부(220)의 삽입부(222)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몸체부(210)가 지반(1)에 근입될 때, 지반(1)에는 삽입가이드부(214)의 직경만큼의 공간이 확보되며, 이에 따라 삽입가이드부(21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앵커부(220)의 삽입부(222)는 별도의 외부 압력 없이 상기 공간을 통하여 지반(1)의 하부로 근입되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 앵커부재(200)를 보다 깊이 근입시키기 위하여 가압부재(300)가 직렬로 복수 개가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앵커부재(200)와 연결된 가압부재(300)의 내부로드(310)와 외부로드(320)의 상부에 다른 가압부재(300)의 내부로드(310)와 외부로드(320)가 직렬로 설치되며, 이때, 상호 마주보는 외부로드(320)끼리는 나사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 후, 최상단에 위치한 내부로드(310)가 타격되어 앵커부재(200)의 몸체부(210)가 지반(1)에 깊이 근입된다. 한편, 가압부재(300)의 개수는 별도로 제한하지 않으며, 현장 조건에 따라 가감 가능하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 외부로드(320)를 타격하여 외부로드(320)와 연결된 앵커부(220)의 날개부(224)가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이때, 내부로드(310)는 외부로드(320)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드(320)의 상부에는 내부로드(310)보다 상부로 돌출되는 타격안내부(330)가 장착된다. 타격안내부(330)는 그 내부에 관통홀(330a)이 형성되어, 외부로드(320)의 상부에 타격안내부(330)가 장착될 때, 내부로드(310)는 상기 관통홀(330a)에 삽입된다.
그 후, 해머 등이 타격안내부(330)를 타격하면, 타격안내부(330)가 외부로드(320)를 타격하고, 외부로드(320)는 앵커부(220)를 타격하게 된다. 그러면 앵커부(220)의 삽입부(222)와 연결된 날개부(224)가 몸체부(210)의 삽입가이드부(214)를 따라 하부로 슬라이딩되면서 외측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처럼 앵커부재(200)의 날개부(224)가 외측으로 펼쳐지게 되면, 날개부(224)와 지면 간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게 되어, 앵커부(220)에 가해지는 저항력이 상승되어, 후술하는 높이조절부(130)의 지지판(132)에 지지되는 구조물에 대한 지지력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도 9에 구비되는 타격안내부(330)가 제거된 후, 독립기초부재(100)의 기둥부(120)의 제 1 결합부(122)에 높이조절부(130)의 제 2 결합부(134)가 결합된다. 이때, 높이조절부(130)의 지지판(132)이 회전됨에 따라, 제 2 결합부(134)가 제 1 결합부(12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지지판(132)과 기초부(110) 간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어, 지지판(132)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독립기초부재(100)를 울퉁불퉁한 지면에 안착시킨 경우, 각각의 독립기초부재(100)의 높이조절부(130)의 높이를 조절하여 지지판(132)들의 높이가 서로 일정해지도록 배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후, 지지판(132)과 기초부(110) 사이에 채움부(140)가 채워질 수 있다. 채움부(140)는 지지판(132)과 기초부(110) 사이의 공간에 시멘트 혼합물이 타설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채움부(140)에 의하여 높이조절부(130)와 기초부(110)는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한번 정해진 높이조절부(130)와 기초부(110) 간의 높이는 임의로 조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독립기초부재 110: 기초부
120: 기둥부 122: 제 1 결합부
130: 높이조절부 132: 지지판
134: 제 2 결합부 140: 채움부
200: 앵커부재 210: 몸체부
212: 지지부 214: 삽입가이드부
216: 첨예부 220: 앵커부
222: 삽입부 222a: 제 1 연결부
224: 날개부 300: 가압부재
310: 내부로드 320: 외부로드
322: 제 2 연결부 330: 타격안내부
330a: 관통홀

Claims (14)

  1. 지반에 위치되는 기초부;
    상기 기초부에 관통되도록 설치되되 그 상단부는 상기 기초부보다 상부로 돌출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제 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서 상기 제 1 결합부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 1 결합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기초부 사이에 채움부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에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되 그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삽입가이드부를 갖는 몸체부와, 상기 기둥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삽입되되 그 하부에 상기 삽입가이드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날개부를 갖는 앵커부를 구비하는 앵커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되되 외부 가압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를 타격하여, 상기 몸체부가 지반에 근입되도록 하는 내부로드와, 상기 내부로드가 삽입되도록 상기 앵커부의 상부에 위치되되 외부 가압에 의하여 상기 앵커부를 타격하여 상기 날개부가 상기 삽입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펼쳐지도록 하는 외부로드를 구비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삽입가이드부의 최하단의 직경은 상기 앵커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기둥부를 관통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부에서 그 하부로 연장되되 상기 지지부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상기 삽입가이드부와, 상기 삽입가이드부의 하단에 그 하부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도록 형성되는 첨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기둥부 사이에 삽입되는 기둥 형상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상기 삽입가이드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기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로드의 상부는 상기 외부로드보다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부로드의 상부에는 상기 내부로드보다 상부로 돌출되는 타격안내부가 장착되고,
    상기 타격안내부로 가해지는 외부 압력이 상기 외부로드로 전달되어, 상기 외부로드가 상기 앵커부를 타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복수 개가 직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의 수평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121654A 2015-08-28 2015-08-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 KR101758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654A KR101758988B1 (ko) 2015-08-28 2015-08-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654A KR101758988B1 (ko) 2015-08-28 2015-08-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329A KR20170025329A (ko) 2017-03-08
KR101758988B1 true KR101758988B1 (ko) 2017-07-18

Family

ID=58404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654A KR101758988B1 (ko) 2015-08-28 2015-08-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9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986B1 (ko) * 2021-04-06 2021-11-03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기둥 하중을 소구경 파일로 직접 전달하기 위한 파일 두부 접합구
CN114855785A (zh) * 2022-04-02 2022-08-05 王立新 一种钢筋混凝土预制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638A (ja) * 2000-03-27 2001-12-14 Hiroshi Sakai 地盤補強用基台の施工方法及び地盤補強用基台装置並びに地盤の補強構造
KR200345928Y1 (ko) * 2003-12-09 2004-03-22 강남구 토목공사용 파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450A (ko) 2011-07-21 2013-01-30 강우진 팽이파일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을 위한 마감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638A (ja) * 2000-03-27 2001-12-14 Hiroshi Sakai 地盤補強用基台の施工方法及び地盤補強用基台装置並びに地盤の補強構造
KR200345928Y1 (ko) * 2003-12-09 2004-03-22 강남구 토목공사용 파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329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8615B2 (en) Base body of electric transmission tower using micropile
US7416367B2 (en) Lateral force resistance device
KR100767093B1 (ko) 깊이 조절이 가능한 압입체를 이용한 구조물 인상공법
KR100657454B1 (ko) 구조물 지지용 기초장치
KR10175898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독립 기초 파일
US5505561A (en) Self-piloting compressible piling
CA2804702C (en) A fence post assembly
KR101633289B1 (ko) 소구경 파일의 두부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존 기초콘크리트의 보강 방법
KR101843379B1 (ko) 연약지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
KR20190087254A (ko) 분리형 소켓을 포함하는 내진성 기초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101241351B1 (ko) 정착력이 우수한 네일 및 그 네일을 이용한 네일링 시공 방법
KR101623377B1 (ko) 파일용 두부 보강체
KR101927736B1 (ko) 지반고정력이 우수한 소일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설치방법과 앵커옹벽 설치방법
US10030348B2 (en) Apparatus for activating the lateral friction of pile-like load-bearing members
KR101853185B1 (ko) 주면마찰력 향상을 위한 말뚝 그라우팅 장치
KR102209904B1 (ko) 앵커소켓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7194627B2 (ja) 駅ホームの補強構造
KR101409975B1 (ko) 태양전지판 설치용 기초파일
KR200408589Y1 (ko) 휀스용 포스트의 기초구조
US3803783A (en) Foundation earth anchor
KR101496291B1 (ko) 옹벽구조용 패널 간격 조절장치,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및 옹벽 시공방법
KR101987215B1 (ko) 두부확경파일, 그의 제조방법, 및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두부확경파일을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KR101944389B1 (ko) 프리캐스트블록 및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벽체 및 그 시공방법
AU2010257353B2 (en)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and anchor bolt installation jig
RU145800U1 (ru) Сва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