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282B1 - 음용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음용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282B1
KR101758282B1 KR1020150121659A KR20150121659A KR101758282B1 KR 101758282 B1 KR101758282 B1 KR 101758282B1 KR 1020150121659 A KR1020150121659 A KR 1020150121659A KR 20150121659 A KR20150121659 A KR 20150121659A KR 101758282 B1 KR101758282 B1 KR 101758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ischarge
contact portion
lever
drink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331A (ko
Inventor
이재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1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282B1/ko
Priority to CN201610368512.2A priority patent/CN106473608B/zh
Priority to US15/180,469 priority patent/US9981838B2/en
Publication of KR20170025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331A/ko
Priority to KR1020170065987A priority patent/KR102284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5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ve seat
    • B67D1/1466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ve seat the valve shutter being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iq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9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connected to a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2001/0087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 B67D2001/0089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operated by lev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67D2001/0094Valve mountings in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34Modules
    • B67D2210/00036Modules for use with or in refrig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기초하여 음용수를 토출하도록 형성된 직수형의 음용수 공급장치로서, 급수원에서 공급된 음용수가 유동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토출유로; 각각의 토출유로에 구비되는 토출밸브; 상기 토출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토출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유로의 단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코크; 상기 코크에 결합되며, 미는 힘 및 당기는 힘에 의해 조작되도록 형성된 토출레버; 및 상기 토출밸브와 상기 센서를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는 힘 및 상기 당기는 힘 중 하나의 힘이 상기 토출레버에 가해지면, 상기 토출레버의 일부가 상기 센서의 스위치를 눌러서 상기 센서로부터 토출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용수 공급장치{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
본 발명은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기계식 토출레버와 같이 미는 힘 및 당기는 힘 중 하나의 힘으로 작동 가능한 전자식 토출레버를 채용한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용수 공급장치는 사용자가 마실 수 있는 음용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독자적인 장치로 형성되거나,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는 상온의 음용수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용수 공급장치 내부를 유동하는 음용수를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필요에 따라 냉수나 온수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음용수는 지하수 또는 수도전(급수원)으로부터 급수되는 원수일 수 있고, 원수를 필터와 같은 여과수단으로 필터링한 정수일 수 있다.
이러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원수 또는 정수를 저수조에 저수한 후에 사용자의 토출명령에 따라 상기 저수조 내에 저수된 음용수를 토출하는 저수형 음용수 공급장치와, 저수조를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의 토출명령에 따라 음용수를 직접 공급하는 직수형 음용수 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수형 음용수 공급장치의 경우,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의 압력 또는 감압밸브에 의해 감압된 물의 압력에 의해 음용수가 토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음용수를 토출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음용수 공급장치에 구비되는 토출레버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레버는 기계식 토출레버와 전자식 토출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토출레버는 토출레버와 코크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의 힘으로 음용수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자식 토출레버는 센서의 작동을 통해 음용수 토출라인 또는 음용수 공급라인에 구비되는 밸브를 개폐 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계식 토출레버의 경우, 토출레버와 코크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의 복원력이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수압이 강한 직수형 음용수 공급장치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계식 코크 및 토출레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저수식 음용수 공급장치는 음용수가 토출되는 코크(100)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코크(100)를 통해 음용수를 토출시키도록 형성된 토출레버(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토출레버(200)의 일측은 상기 코크(100)에 스프링(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크(100) 내에는 상기 토출레버(200)의 조작에 의해 코크(100) 하측의 토출공(110)을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로드(1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토출레버(200)를 밀거나 당길 때, 상기 개폐로드(120)가 상기 토출공(110)을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00)은 상기 개ㅍㅒ로드(120) 및 상기 토출레버(200)에 복원력을 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복원력이 약한 스프링(300)을 토출레버(200)와 코크(100) 사이에 설치하면, 사용자에 의한 토출레버(200)의 조작은 용이해지나 누수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상대적으로 복원력이 강한 스프링(300)을 토출레버(200)와 코크(100) 사이에 설치하면, 누수의 문제가 어느 정도 방지될 수는 있으나, 사용자에 의한 토출레버(200)의 조작이 어렵거나 불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직수형 음용수 공급장치에는 전자식 토출레버를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반해, 전자식 토출레버의 경우, 사용자에 의한 미는 힘(즉, 누르는 힘)의 작용에 의해 음용수를 토출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전술한 직수형 음용수 공급장치에 구비되는 전자식 토출레버의 경우, 당기는 힘을 가하여 음용수를 토출할 수 있는 기계식 토출레버의 감성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식 토출레버의 경우, 음용수를 계속적으로 토출하기 위해서는 토출레버를 계속 밀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식 토출레버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음용수를 토출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센서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수형 음용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전자식 토출레버에 기계식 토출레버의 조작방식 또는 감성을 적용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식 토출레버가 적용된 경우에도, 음용수의 계속적인 토출을 위해 토출레버를 기 설정된 각도로 당겨서 고정시켜놓을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전자식 토출레버의 당기는 힘에 의해서도 음용수를 토출시킬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기초하여 음용수를 토출하도록 형성된 직수형의 음용수 공급장치로서, 급수원에서 공급된 음용수가 유동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토출유로; 각각의 토출유로에 구비되는 토출밸브; 상기 토출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토출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유로의 단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코크; 상기 코크에 결합되며, 미는 힘 및 당기는 힘에 의해 조작되도록 형성된 토출레버; 및 상기 토출밸브와 상기 센서를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는 힘 및 상기 당기는 힘 중 하나의 힘이 상기 토출레버에 가해지면, 상기 토출레버의 일부가 상기 센서의 스위치를 눌러서 상기 센서로부터 토출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토출레버는 상기 미는 힘 및 상기 당기는 힘 중 하나의 힘이 상기 토출레버의 길이방향 일 단부에 가해질 때, 상기 토출레버의 타 단부가 상기 센서의 스위치를 누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레버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 및 상기 센서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된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크는 코크 하우징 및 상기 코크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스프링 설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의 일측과 상기 스프링 설치부 사이에 스프링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토출레버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토출레버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조작부에 미는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센서에 구비된 스위치를 누르도록 형성된 제1접촉부 및 상기 조작부에 당기는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센서에 구비된 스위치를 누르도록 형성된 제2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레버의 타 단부에는 상기 조작부의 폭방향 양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보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보 사이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부는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촉부의 폭은 상기 한 쌍의 지지보 사이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2접촉부의 폭은 상기 한 쌍의 지지보 사이의 폭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조작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크는 상기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센서 설치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 설치부와 상기 접촉부는 상기 코크 하우징의 상측에서 서로 대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센서 설치부는 상기 코크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그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높게 경사지도록 상기 센서 설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센서 하우징, 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자유단부를 덮도록 형성된 판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판스프링 부재를 누르면, 상기 판스프링 부재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눌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센서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 부재는 상기 센서 하우징의 전단부보다 더 전방으로 연장하되, 상기 센서 하우징의 하면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로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코크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센서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코크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센서와 중첩을 피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에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이 작용될 때, 상기 스위치가 상기 판스프링 부재에 의해 눌리도록 상기 제1접촉부 또는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스위치를 향해 상기 판스프링 부재를 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가 초기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당겨지면, 상기 제2접촉부의 후단부와 상기 코크 하우징의 상면이 접하면서 상기 조작부가 당겨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수형 음용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전자식 토출레버에 기계식 토출레버의 조작방식 또는 감성을 적용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식 토출레버가 적용된 경우에도, 음용수의 계속적인 토출을 위해 토출레버를 기 설정된 각도로 당겨서 고정시켜놓을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센서만을 사용하여, 전자식 토출레버의 당기는 힘에 의해서도 음용수를 토출시킬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계식 코크 및 레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외형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구조 및 배관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에 구비되는 코크 및 레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레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코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레버에 미는 힘이 작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레버에 당기는 힘이 작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음용수 공급장치에 구비되는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 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이하, 용어를 정의함에 있어서, 필터부를 통과하기 전의 물을 원수라고 하고, 필터를 통과하여 여과된 원수를 정수라고 하며, 냉수탱크에서 냉각된 물을 냉수라고 하고, 온수탱크에서 가열된 물을 온수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원수, 상기 정수, 상기 냉수 및 상기 온수는 모두 음용수 또는 물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전단과 후단은 유체의 순방향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과 하류측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외형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음용수 공급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디스펜서(3)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3)는 사용자가 응용수를 공급받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3)는 일반적으로 캐비닛(2)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3)에는 음용수가 토출되는 코크(7)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3)에는 음용수의 배출을 조작하기 위한 실시간 제어 입력부(4) 및 안전 버튼부(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제어 입력부(4)는 사용자에 의해 밀거나 당겨서 조작되는 레버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간 제어 입력부(4)는 토출레버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안전 버튼부(5)는 온수의 토출 시에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온수의 토출 시에 상기 실시간 제어 입력부(4)를 조작한 후 상기 안전 버튼부(5)가 눌리면 온수가 코크(7)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이는, 온수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음용수를 토출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실시간 제어 입력부(4)에 해당하는 토출레버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컵(C)을 상기 코크(7) 하부에 배치한 상태로 상기 레버를 밀거나 당겨서 상기 코크(7)로부터 토출되는 음용수를 상기 컵(C) 내에 담을 수 있다.
즉,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는(1) 사용자가 상기 레버를 밀거나 당기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코크(7)를 통해 음용수가 배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1)는 디스플레이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6)는 냉수 온도 및 온수 온도를 포함하는 음용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6)는 터치인식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6)의 터치를 통하여 정수, 온수 및 냉수 중 적어도 하나의 음용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냉수와 정수의 토출을 위한 하나의 코크 및 온수의 토출을 위한 다른 하나의 코크를 포함하는 두 개의 코크(7)가 도시되어 있으나, 정수, 온수 및 냉수 각각의 토출을 위한 3개의 코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달리, 냉수, 정수 및 온수 모두를 위한 단 하나의 코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구성 및 배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구조 및 배관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1)는 급수원(10)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기초하여 음용수를 토출하도록 형성된 직수형 음용수 공급장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은 상기 급수원(10)에서 나오는 물의 수압 자체 또는 상기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되어 감압밸브(20)를 통과하여 감압된 물의 수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1)는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미도시)를 구비하는 온수탱크(60) 및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미도시)를 구비하는 냉수탱크(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공급유로(50)를 통해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를 향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로(50)에는 하나 이상의 필터(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상기 필터(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유로(50)에는 상기 필터(30)의 하류측(즉, 후단)에 공급밸브(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밸브(40)는 사용자의 음용수 토출신호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로(50)는 상기 공급밸브(40)의 후단에서 제1유로(51) 및 제2유로(52)로 분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51)는 상기 온수탱크(60)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52)는 상기 냉수탱크(70)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로(50)에서 분지된 제1유로(51)를 따라 흐르는 음용수는 상기 온수탱크(6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로(52)는 냉수탱크(70)를 향하는 제3유로(53) 및 전술한 코크(7)를 향하는 제4유로(54)로 분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유로(52)에서 분지된 제3유로(53)를 따라 흐르는 음용수는 상기 냉수탱크(7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로(52)에서 분지된 제4유로(54)를 따라 흐르는 음용수는 사용자의 정수 토출신호에 따라서 상온의 정수 상태로 코크(7)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에 의해 냉수 토출신호가 입력되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공급유로(50), 제2유로(52) 및 제3유로(53)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냉수탱크(70) 내로 공급된다. 이때, 냉수탱크(70) 내의 물(즉, 냉수)은 상기 냉수탱크(70)에 연결된 제5유로(55)를 경유하여 코크(7)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온수 토출신호가 입력되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공급유로(50) 및 제1유로(51)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온수탱크(60) 내로 공급된다. 이때, 온수탱크(70) 내의 물(즉, 온수)는 상기 온수탱크(70)에 연결된 제6유로(56)를 경유하여 코크(7)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전술한 제4유로(54), 제5유로(55) 및 제6유로(56)는 토출유로로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1)는 급수원에서 공급된 음용수가 유동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토출유로(54, 55, 5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토출유로(54, 55, 56)에는 토출밸브(91, 92, 9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유로(54), 상기 제5유로(55) 및 상기 제6유로(56)에는 각각 토출밸브(91, 92, 93)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용수 토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토출밸브(91, 92, 93)는 후술할 제어부(C)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토출밸브(91, 92, 93)는 솔레노이드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코크(7)는 3개의 코크가 상기 제4유로(54), 상기 제5유로(55) 및 상기 제6유로(56)의 토출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4유로(54), 상기 제5유로(55) 및 상기 제6유로(56)의 토출단부가 하나로 병합되어 1개의 코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냉수 및 정수의 토출을 위한 제4유로(54)와 제5유로(55)의 토출단부에 하나의 코크가 구비되고, 온수의 토출을 위한 토출단부에 다른 하나의 코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 각각에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통기유로(81, 82)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기유로(81, 82)는 상기 온수탱크(60)에 연결된 제1통기유로(81) 및 냉수탱크(70)에 연결된 제2통기유로(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통기유로(81)에는 제1통기밸브(83)가 구비되고, 상기 제2통기유로(82)에는 제2통기밸브(8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기밸브(83) 및 상기 제2통기밸브(84)는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 내에 물을 채울 때 각각 개방될 수 있다.
즉, 음용수 공급장치(1)의 초기 설치 시에, 통기유로(81, 82)를 통해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온수탱크(60) 및 상기 냉수탱크(70) 내로 물의 공급이 가능하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에 구비되는 코크 및 레버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에 구비되는 코크 및 레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레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코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코크와 레버의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코크와 레버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6을 함께 참조하면, 전술한 코크(7)는 토출밸브(91, 92, 93)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토출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센서(7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토출레버(4)는 미는 힘 및 상기 당기는 힘에 의해 조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레버(4)는 상기 토출레버(4)를 음용수 공급장치(1)의 후방을 향해 미는 힘 및 상기 토출레버(4)를 상기 미는 힘과 반대방향인 음용수 공급장치(1)의 전방을 향해 당기는 힘에 의해 조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는 힘 및 상기 당기는 힘 중 하나의 힘이 상기 토출레버(4)에 가해지면, 상기 토출레버(4)의 일부가 상기 센서(710)의 스위치(712)를 눌러서 상상기 센서(710)로부터 토출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음용수를 토출시키기 위하여, 센서(710)의 토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식 토출레버(4)를 미는 방향 및 당기는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레버(4)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토출레버(4)의 일부는 상기 센서(710)에 구비되는 스위치(712)를 누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레버(4)는 상기 미는 힘 및 상기 당기는 힘 중 하나의 힘이 상기 토출레버(4)의 길이방향 일 단부(410)에 가해질 때, 상기 토출레버(4)의 타 단부가 상기 센서(710)의 스위치(712)를 누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 하나의 센서(710)만으로, 상기 토출레버(4)의 미는 힘 및 당기는 힘에 따라서 음용수를 토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레버(4)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411) 및 상기 센서(71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된 접촉부(422, 42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크(7)는 코크 하우징(701) 및 상기 코크 하우징(701) 내에 구비되는 스프링 설치부(7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422, 423)의 일측과 상기 스프링 설치부(710) 사이에 스프링(72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설치부(710)는 상기 토출레버(4)의 조작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된 로드(712) 및 상기 로드(712)가 지지되는 지지부(7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712)의 둘레에 상기 스프링(72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720)은 상기 로드(720)에 마련된 스프링 지지부(712')와 상기 코크 하우징(701)의 상면(70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크 하우징(701)의 하면에는 음용수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공(70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720)은 상기 토출레버(4)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720)은 상기 토출레버(4)가 조작될 때 상기 토출레버(4)를 초기 상태로 되돌리는 힘을 상기 토출레버(4)에 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부(411)는 상기 토출레버(4)의 일단부(410)에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422, 423)는 상기 토출레버(4)의 타단부(42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토출레버(4)는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411)의 길이는 상기 접촉부(422, 423)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422, 423)는 상기 조작부(411)에 미는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센서(710)에 구비된 스위치를 누르도록 형성된 제1접촉부(422) 및 상기 조작부(411)에 당기는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센서에 구비된 스위치(712)를 누르도록 형성된 제2접촉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부(411)에 미는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제1접촉부(422)를 통해 상기 센서(710)가 토출신호를 발생시키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부(411)에 당기는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제2접촉부(423)를 통해 상기 센서(710)가 토출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토출레버(4)의 타 단부(420)에는 상기 조작부(411)의 폭방향 양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보(42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보(421)는 서로 폭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접촉부(420) 및 상기 제2접촉부(430)는 상기 한 쌍의 지지보(42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접촉부(422)는 상기 한 쌍의 지지보(421) 사이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부(423)는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접촉부(422)는 상기 한 쌍의 지지보(42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접촉부(423)는 상기 한 쌍의 지지보의 전방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촉부(422)의 폭은 상기 한 쌍의 지지보(421) 사이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2접촉부(423)의 폭은 상기 한 쌍의 지지보 사이의 폭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전술한 접촉부(422, 423)는 상기 조작부(411)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422, 423)는 상기 조작부(4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422, 423), 상기 한 쌍의 지지보(421) 및 상기 조작부(41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코크(7)는 상기 센서(710)를 설치하기 위한 센서 설치부(7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설치부(720)에는 전술한 센서(71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설치부(720)는 상기 코크 하우징(701)의 상면(701')으로부터 상측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현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 설치부(720)는 상기 코크 하우징(701)의 상면(701')으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710)는 그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높게 경사지도록 상기 센서 설치부(72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710)가 상기 센서 설치부(720)에 설치될 때, 상기 센서(710)는 그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상태로 경사지도록 상기 센서 설치부(7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레버(4)의 전후방향 조작에 의해 제1접촉부(422) 및 제2접촉부(423) 중 하나가 상기 센서(710)의 스위치(712)에 접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710)는 센서 하우징(711), 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 하우징(71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스위치(712) 및 상기 스위치(712)의 자유단부를 덮도록 형성된 판스프링 부재(7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하우징(711)은 상기 센서(710)의 외관을 형성하며,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712)는 상기 센서 하우징(712)의하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712)는 상기 센서 하우징(711)으로부터 상기 센서 하우징(711)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 부재(713)는 상기 센서 하우징(711)의 전단부보다 더 전방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 부재(713)는 상기 센서 하우징(711)의 하면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로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 하우징(711)의 하면과 상기 판스프링 부재(713) 사이에 상기 스위치(712)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촉부(422)와 상기 제2접촉부(423)는 상기 판스프링 부재(713)를 통하여 상기 스위치(712)를 누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접촉부(422)는 상기 코크(7)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센서(710)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접촉부(423)는 상기 코크(7)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센서(710)와 중첩을 피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사기 토출레버(4)를 조작하기 전 상태에서, 상기 제1접촉부(422)와 상기 센서(710)는 상기 코크(7)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되,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접촉부(423)와 상기 센서(710)는 상기 코크(7)의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상기 토출레버(4)의 조작부(411)에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이 작용될 때, 상기 스위치(712)가 상기 판스프링 부재(713)에 의해 눌리도록 상기 제1접촉부(422) 또는 상기 제2접촉부(423)가 상기 스위치(712)를 향해 상기 판스프링 부재(713)를 밀 수 있다.
즉, 상기 토출레버(4)의 조작부(411)에 사용자에 의해 미는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제1접촉부(422)는 상기 판스프링 부재(713)를 통해 상기 센서(710)의 스위치(712)를 누르게 된다.
또한, 상기 토출레버(4)의 조작부(411)에 사용자에 의해 당기는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제2접촉부(422)는 상기 판스프링 부재(713)를 통해 상기 센서(710)의 스위치(712)를 누르게 된다.
한편, 상기 조작부(411)가 초기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당겨지면, 상기 제2접촉부(423)의 후단부와 상기 코크 하우징(701)의 상면(701')이 접하면서 상기 조작부(411)가 당겨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접촉부(423)는 상기 센서(710)의 스위치(712)를 누른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411)가 사용자에 의해 초기 상태로 되돌려질 때까지 음용수는 계속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토출레버(4)에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제1접촉부(422) 또는 상기 제2접촉부(423)가 상기 스위치(712)를 누르는 작동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레버에 미는 힘이 작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레버에 당기는 힘이 작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7을 참조하면, 음용수의 토출을 위하여, 토출레버(4)에는 사용자에 의해 미는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즉, 음용수의 토출을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토출레버(4)의 조작부(411)에 사용자에 의해 미는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제2접촉부(423)의 하면이 코크 하우징(701)의 상면(701')에 지지된 상태로 제1접촉부(422)가 상측을 향해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상측으로 움직이는 상기 제1접촉부(422)는 센서(710)에 구비된 판스프링 부재(713)를 통해 스위치(712)를 누르게 된다. 상기 스위치(712)가 눌리면, 센서(710)로부터 토출 신호가 후술할 제어부(C)로 전달되고, 제어부(C)는 복수 개의 토출밸브(91, 92, 93) 중 하나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제어부(C)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토출신호가 정수, 냉수 또는 온수 토출신호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토출밸브(91, 92, 93) 중 하나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음용수의 토출을 위하여, 토출레버(4)에는 사용자에 의해 당기는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즉, 음용수의 토출을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토출레버(4)의 조작부(411)에 사용자에 의해 당기는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제1접촉부(422)가 연직 하방으로 회전되면서, 제2접촉부(423)가 상측을 향해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상측으로 움직이는 상기 제2접촉부(423)는 센서(710)에 구비된 판스프링 부재(713)를 통해 스위치(712)를 누르게 된다. 상기 스위치(712)가 눌리면, 센서(710)로부터 토출 신호가 후술할 제어부(C)로 전달되고, 제어부(C)는 복수 개의 토출밸브(91, 92, 93) 중 하나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제어부(C)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토출신호가 정수, 냉수 또는 온수 토출신호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토출밸브(91, 92, 93) 중 하나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411)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당겨지면, 상기 제2접촉부(423)의 후방면이 코크 하우징(701)의 상면(701')과 면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부(411)를 놓은 상태에서 전술한 스프링(720)의 복원력이 토출레버(4)에 가해지더라도, 토출레버(4)는 초기 상태로 복귀되지 않는다.
즉, 상기 조작부(411)가 초기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90도 내지 110도)로 당겨지면, 사용자가 조작부(411)를 놓더라도, 조작부(411)가 초기 상태로 복귀되지 않고 음용수의 토출이 계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411)의 초기 위치는 상기 조작부(411)가 사용자에 의해 밀거나 당겨지지 않아서 음용수가 토출되지 않는 상태의 조작부(411)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음용수의 토출을 멈추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411)를 밀어서 초기 위치로 되돌려야 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식 토출레버(4)를 종래의 기계식 토출레버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조작하여 음용수 공급장치로부터 음용수를 토출시킬 수 있다.
도 9는 음용수 공급장치에 구비되는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1)는 전원공급부(P) 및 제어부(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P)는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P)는 상기 제어부(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전술한 디스플레이부(6) 및 센서(71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디스플레이부(6) 및 상기 센서(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전술한 공급밸브(40) 및 토출밸브(91, 92, 93)를 제어하도록, 상기 공급밸브(40) 및 토출밸브(91, 92, 9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패널 형태로 형성된 상기 디스플레이부(6)를 통해 정수, 온수 또는 냉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6)를 통해 정수, 온수 및 냉수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전술한 토출레버(4)를 조작하여 선택한 음용수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밸브(40)는 사용자의 음용수 토출신호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C)는 정수, 냉수 및 온수를 포함하는 음용수의 토출신호에 따라서 공급밸브(40)가 개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공급밸브(40)의 개방에 따라서 전술한 제4유로(54), 제5유로(55) 및 제6유로(56)를 포함하는 토출유로를 통해 음용수가 토출될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사용자에 의해 토출레버(4)가 조작되면, 상기 토출레버(4)는 센서(710)에 구비되는 스위치(712)를 누르게 된다. 즉, 토출레버(4)의 조작에 따라서 센서(710)는 음용수 토출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C)는 센서(710)로부터 전달받은 음용수 토출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토출신호(91, 92, 93) 중 하나를 개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6)를 통해 정수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센서(710)로부터 전달받은 음용수 토출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토출신호(91, 92, 93) 중 정수의 토출을 위한 토출밸브(91)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6)를 통해 냉수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센서(710)로부터 전달받은 음용수 토출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토출신호(91, 92, 93) 중 냉수의 토출을 위한 토출밸브(92)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6)를 통해 온수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센서(710)로부터 전달받은 음용수 토출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토출신호(91, 92, 93) 중 온수의 토출을 위한 토출밸브(93)를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수를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6)에 어떠한 입력도 하지 않은 상태로, 단지 정수 토출을 위한 토출레버(4)를 조작함에 따라서, 정수를 토출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설명한 것과 달리, 사용자가 정수를 토출시키고자 할 때에는 디스플레이부(6)에 어떠한 제어 명령도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지 정수 토출을 위한 토출레버(4)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식 토출레버(4)를 채용하더라도, 종래의 기계식 토출래버의 감성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센서(710)만을 사용하여, 전자식 토출레버(4)의 미는 방향 및 당기는 방향 작동 모두에 대하여 토출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 급수원 20 감압밸브 30 필터
40 공급밸브 50 공급유로 60 온수탱크
70 냉수탱크 422 제1접촉부 423 제2접촉부
710 센서

Claims (17)

  1.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기초하여 음용수를 토출하도록 형성된 직수형의 음용수 공급장치로서,
    급수원에서 공급된 음용수가 유동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토출유로;
    각각의 토출유로에 구비되는 토출밸브;
    상기 토출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토출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유로의 단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코크;
    상기 코크에 결합되며, 미는 힘 및 당기는 힘에 의해 조작되도록 형성된 토출레버; 및
    상기 토출밸브와 상기 센서를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레버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 및 상기 센서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된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조작부에 미는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센서에 구비된 스위치를 누르도록 형성된 제1접촉부 및 상기 조작부에 당기는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센서에 구비된 스위치를 누르도록 형성된 제2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는 힘 및 상기 당기는 힘 중 하나의 힘이 상기 토출레버에 가해지면, 상기 토출레버의 일부가 상기 센서의 스위치를 눌러서 상기 센서로부터 토출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레버는 상기 미는 힘 및 상기 당기는 힘 중 하나의 힘이 상기 토출레버의 길이방향 일 단부에 가해질 때, 상기 토출레버의 타 단부가 상기 센서의 스위치를 누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는 코크 하우징 및 상기 코크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스프링 설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의 일측과 상기 스프링 설치부 사이에 스프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토출레버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토출레버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레버의 타 단부에는 상기 조작부의 폭방향 양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보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보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보 사이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부는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의 폭은 상기 한 쌍의 지지보 사이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2접촉부의 폭은 상기 한 쌍의 지지보 사이의 폭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조작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는 상기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센서 설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설치부와 상기 접촉부는 상기 코크 하우징의 상측에서 서로 대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센서 설치부는 상기 코크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그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높게 경사지도록 상기 센서 설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센서 하우징, 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자유단부를 덮도록 형성된 판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판스프링 부재를 누르면, 상기 판스프링 부재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눌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센서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 부재는 상기 센서 하우징의 전단부보다 더 전방으로 연장하되, 상기 센서 하우징의 하면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코크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센서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코크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센서와 중첩을 피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이 작용될 때, 상기 스위치가 상기 판스프링 부재에 의해 눌리도록 상기 제1접촉부 또는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스위치를 향해 상기 판스프링 부재를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초기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당겨지면, 상기 제2접촉부의 후단부와 상기 코크 하우징의 상면이 접하면서 상기 조작부가 당겨진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7.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기초하여 음용수를 토출하도록 형성된 직수형의 음용수 공급장치로서,
    급수원에서 공급된 음용수가 유동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토출유로;
    각각의 토출유로에 구비되는 토출밸브;
    상기 토출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토출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유로의 단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코크;
    상기 코크에 결합되며, 미는 힘 및 당기는 힘에 의해 조작되도록 형성된 토출레버; 및
    상기 토출밸브와 상기 센서를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레버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 및 상기 센서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된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크는 코크 하우징 및 상기 코크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스프링 설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의 일측과 상기 스프링 설치부 사이에 스프링이 마련되고,
    상기 미는 힘 및 상기 당기는 힘 중 하나의 힘이 상기 토출레버에 가해지면, 상기 토출레버의 일부가 상기 센서의 스위치를 눌러서 상기 센서로부터 토출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KR1020150121659A 2015-08-28 2015-08-28 음용수 공급장치 KR101758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659A KR101758282B1 (ko) 2015-08-28 2015-08-28 음용수 공급장치
CN201610368512.2A CN106473608B (zh) 2015-08-28 2016-05-30 饮用水供给装置
US15/180,469 US9981838B2 (en) 2015-08-28 2016-06-13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KR1020170065987A KR102284367B1 (ko) 2015-08-28 2017-05-29 음용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659A KR101758282B1 (ko) 2015-08-28 2015-08-28 음용수 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987A Division KR102284367B1 (ko) 2015-08-28 2017-05-29 음용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331A KR20170025331A (ko) 2017-03-08
KR101758282B1 true KR101758282B1 (ko) 2017-07-14

Family

ID=58104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659A KR101758282B1 (ko) 2015-08-28 2015-08-28 음용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81838B2 (ko)
KR (1) KR101758282B1 (ko)
CN (1) CN10647360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178B1 (ko) * 2021-08-23 2022-04-27 이인규 코크살균수단과 급수제어수단이 마련된 음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25243S1 (en) * 2016-03-29 2018-08-14 Winix, Inc. Hot and cold water purifier
USD832021S1 (en) * 2016-03-29 2018-10-30 Winix Inc. Hot and cold water purifier
GB2549478A (en) * 2016-04-18 2017-10-25 Pernod Ricard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USD853169S1 (en) * 2017-06-26 2019-07-09 Coway Co., Ltd. Water purifier
USD853772S1 (en) * 2017-06-26 2019-07-16 Coway Co., Ltd. Water purifier
CN109717748B (zh) * 2017-10-31 2021-06-04 清湖乃思株式会社 饮用水供给装置的取水部组装体
USD871818S1 (en) * 2018-01-26 2020-01-07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Dispenser
USD882037S1 (en) * 2018-04-23 2020-04-21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USD878134S1 (en) * 2018-06-25 2020-03-17 Bhrs Group Beverage dispenser
USD876147S1 (en) * 2018-06-26 2020-02-25 Bhrs Group Beverage dispenser
KR20200007187A (ko) * 2018-07-12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취출기
USD948265S1 (en) * 2020-09-30 2022-04-12 Ningbo Aquart Electrical Appliance Co., Ltd. Water dispenser
USD1019242S1 (en) * 2021-03-09 2024-03-26 Shenzhen Chenbei Technology Co., Ltd. Coffee machine
USD984188S1 (en) * 2021-03-31 2023-04-25 Brio Water Technology, Inc.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5261A (en) * 1972-07-20 1990-04-10 Hays Macfarland & Associates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3934757A (en) * 1974-12-20 1976-01-27 Container Corporation Of America Refrigerator water dispenser with child-proof guard
US4210262A (en) * 1978-07-10 1980-07-01 Peter Donaldso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with vent valve
US5181631A (en) * 1986-07-18 1993-01-26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dispenser valve with controllable flow rate
US5129434A (en) * 1987-06-05 1992-07-14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dispensing valve with flow control lever arm
US5228486A (en) * 1992-05-29 1993-07-20 Wilshire Partners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pensing beverages
KR970043407U (ko) * 1995-12-30 1997-07-31 정수기의 선택적 연속취수장치
CA2246816C (en) * 1998-09-04 2006-08-29 Bloomfield Industries Canada Limited Beverage brewing apparatus
CN2525906Y (zh) * 2001-07-20 2002-12-18 北京中日新自动化***有限公司 数码调温自动饮水机
US20050087255A1 (en) * 2003-10-23 2005-04-28 Humphrey Richard L. RF device in drinkware to record data/initiate sequence of behavior
US6871675B1 (en) * 2003-10-24 2005-03-29 The Brita Products Company Countertop water dispenser
US7171993B2 (en) * 2004-05-21 2007-02-06 Pepsico, Inc. Beverage dispenser with automatic cup-filling control
CN101137797B (zh) * 2005-01-13 2010-06-23 理想标准国际公司 具有可选的自动模式和手动模式的近程龙头
KR101215095B1 (ko) 2005-12-21 2012-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581382B2 (en) * 2009-06-22 2017-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ver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413460B2 (en) * 2009-06-22 2013-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ver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PL2546186T3 (pl) * 2011-07-12 2016-04-29 Whirlpool Co Dozowniki napojów i sposób dozowania napojów
US9624086B2 (en) * 2012-06-18 2017-04-18 Bunn-O-Matic Corporation Accessible faucet handle
CN103110353B (zh) * 2013-01-11 2015-01-28 依莱克顿(宁波)电器科技有限公司 饮水咖啡冲泡机及控制方法
US9272893B2 (en) * 2013-03-12 2016-03-01 Keurig Green Mountain, Inc. Multi-valve liquid flow control for liquid supply
KR20150000752U (ko) 2013-08-14 2015-02-25 이수구 분리가 가능한 음용수 취수장치
KR20150058731A (ko) 2013-11-21 2015-05-29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펜서
CN203987604U (zh) * 2014-07-10 2014-12-10 厦门鼎荣电器制造有限公司 茶饮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178B1 (ko) * 2021-08-23 2022-04-27 이인규 코크살균수단과 급수제어수단이 마련된 음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331A (ko) 2017-03-08
US20170057802A1 (en) 2017-03-02
US9981838B2 (en) 2018-05-29
CN106473608A (zh) 2017-03-08
CN106473608B (zh)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282B1 (ko) 음용수 공급장치
US8083104B2 (en) Variable temperature dispenser system and method
KR101178685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2218018B1 (ko) 냉장고
EP2682691B1 (en) Refrigerator
US7677053B2 (en) Refrigeration appliance dispenser
KR101876367B1 (ko) 냉장고
US20120104031A1 (en) Water dispenser and method of operating it
WO2007016415A3 (en) Refrigerator-mounted hot beverage dispenser
KR10247145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2013032706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US20070256444A1 (en) Water suppl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70064517A (ko) 음용수 공급장치
KR101146626B1 (ko) 조명 콕과 이를 이용한 정수기 콕
US10190817B2 (en) Refrigerator
US10697700B2 (en) Refrigeration water dispensing system
KR101557755B1 (ko) 자동 밸브의 체결구조 및 그 자동 밸브를 이용한 온수 매트
KR100727594B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유량 조절 장치
KR100911283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US20170023143A1 (en) Transmission element device for two-way timing
KR20090036188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674094B1 (ko) 냉온수기
KR20190020918A (ko) 수실 분리식 정수기용 코크 밸브
KR101671481B1 (ko) 냉장 기기의 디스펜서 구조물과 그 작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77620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