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930B1 -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 Google Patents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930B1
KR101754930B1 KR1020150177239A KR20150177239A KR101754930B1 KR 101754930 B1 KR101754930 B1 KR 101754930B1 KR 1020150177239 A KR1020150177239 A KR 1020150177239A KR 20150177239 A KR20150177239 A KR 20150177239A KR 101754930 B1 KR101754930 B1 KR 101754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ain
core material
perforation ho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9700A (ko
Inventor
이임락
욱 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Priority to KR1020150177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930B1/ko
Publication of KR20170069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3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installing wick drains or sand ba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6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forming sand drains containing only loose aggre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립지와 같은 연약지반의 수분 배수촉진 목적으로 제공하는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형태를 구성함에 있어 토압 및 절곡시 함몰되지 않고 배수유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를 일정간격으로 동일 면상에 독립적으로 배치된 간극수 유입용 천공홀을 가지며 내부에는 상기 천공홀과 연결된 배수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유로의 내부에는 배수유로를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된 유공관과 상기 유공관이 일정거리를 가지고 배치되도록 유공관의 외주측면과 이웃한 유공관 외주측면에 연결되어 배수로를 형성하는 판상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Core of drain board}
본 발명은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립지와 같은 연약지반의 간극수 배수 촉진을 목적으로 제공하는 드레인 보드 코어재의 배수유로가 토압 및 절곡시 함몰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한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늪지대나 갯벌지대와 같이 토양 중에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지역에는 지반이 연약하여 지반 상부에 토목구조물이나 건축물 등이 안정되게 건설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연약지반에 토목공사나 건축공사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약한 지반을 단단하게 개량시키는 개량공사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연약지반을 단단하게 개량시키는 공사에 적용되는 연약지반 개량공법으로써는, 연약지반에 다수개의 기둥을 박고 그 기둥의 선단부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여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방법과, 연약지반에 약액을 주입하여 약액이 굳어지면서 연약지반에 다수의 파일이 형성되고 그들 파일의 선단부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법과 일정 간격으로 수직배수재를 시공하여 연약지반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배수재를 통해 지상으로 배출시킴으로서 조기압밀을 유도하여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수분제거를 통하여 지반을 압밀시키는 공법에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플레이트(110)와, 상기 플레이트(100)의 일면 또는 양면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배수공(120)과 상기 플레이트(110)의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지하수를 유입시켜 상기 배수공을 통해 배수시키는 슬릿홈(130,131,132)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홈(130,131,132)은 상기 플레이트(110)의 표면으로 부터 상기 배수공(120)의 연통부분까지 서로 일정한 곡률을 가지며 상기 배수공(120)과 상기 슬릿홈(130,131,132)은 일정한 비율의 지름을 갖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드레인 보드는 연약지반 내부에서 수평 및 수직으로 삽입 설치되어 토양내부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 및 상승시켜 배출하는 과정에서 수분배출에 의해 침하되는 연약지반으로부터 강한 토압을 받게 되는데, 이때 드레인 보드에 가해지는 강한 토압에 의해서 배수유로가 함몰되어 현저히 감소하게 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배수유로가 완전히 막혀버리게 되어, 드레인 보드 시공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배수성능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배수성능 또는 통수기능을 전혀 발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96117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압에 의한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눌림과 수축에 의한 뒤틀림을 방지하여 간극수 배수의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한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코어재와 이 코어재의 외부를 덮는 여과부직포로 이루어진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에 있어서, 일정간격을 가지고 동일면상에 독립적으로 배치된 간극수 유입용 천공홀을 가지며 내부에는 상기 천공홀과 연결된 배수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유로의 내부에는 배수유로를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된 유공관과 상기 유공관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유공관의 외주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이웃한 유공관의 외주측면에 연결됨으로써 배수로를 형성하는 판상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천공홀은 유공관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공관의 배수유로 내부에 형성된 지지리브는 상기 유공관에 형성된 천공홀로부터 수분유입을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천공홀 양측단에 수직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공관의 지지리브 일측끝단이 상기 유공관의 내주면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상연결부재는 배수유로가 형성되도록 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배수유로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천공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상연결부재의 배수유로 내부에는 함몰을 방지하는 지지리브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는 코어재의 배수유로 내부에 지지리브가 형성되어 토압 및 절곡시 상기 배수유로가 함몰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어 간극수 배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4a는 본 발명의 유공관에 형성된 지지리브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4b는 도 4a에 대한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유공관에 형성된 지지리브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은 도 5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7a, 7b는 본 발명의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를 나타낸 사용실시예.
도 7c는 토압에 의한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를 나타낸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1)는 코어재와 이 코어재의 외부를 덮는 여과부직포로 이루어진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에 있어서, 일정간격을 가지고 동일 면상에 독립적으로 배치된 간극수 유입용 천공홀(12)을 가지며 내부에는 상기 천공홀(12)과 연결된 배수유로(14)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유로(14)의 내부에는 배수유로(14)를 지지하는 지지리브(16)가 형성된 유공관(10)과 상기 유공관(10)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유공관(10)의 외주측면으로 부터 연장되어 이웃한 유공관의 외주측면에 연결되는 배수로가 형성된 판상연결부재(2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때, 상기 유공관(10)에 형성되는 천공홀(12)은 첨부도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공관(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공관(10) 일면에 천공홀(12)을 형성시킨 구조는 수평배수재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 유공관(10) 양면에 천공홀(12)을 형성시킨 구조는 수직배수재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유공관(10)에 형성된 천공홀(12)은 토양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상기 유공관(10)의 배수유로(14)로 유도하는 유도공으로써 상기 유공관(10)의 길이방향으로 하나의 천공홀(12)이 형성될 수 있으나 절곡시 상기 유공관(10)의 함몰을 방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둘 이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공관(10)의 배수유로(14) 내부에 형성된 지지리브(16)는 상기 유공관(1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유공관(10)의 배수유로(14)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유공관(10)의 배수유로(14) 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1)는 매립지 및 연약지반 내부에서 수평 및 수직으로 설치되며 이때 수직형태로 삽입된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1)를 수평으로 설치된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1)에 연결시 상기 수직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1)를 절곡시켜 설치하는데 이때, 종래의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는 절곡되는 부분이 함몰되어 내부가 막혀 집수 효율이 떨어지거나 뒤틀림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지만, 본 발명의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1)는 상기 유공관(10)의 내부에 지지리브(14)가 구비되어 절곡 및 토압에 의한 하중작용시 상기 지지리브(14)에 의해 상기 유공관(10)의 배수유로(14)가 함몰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배수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유공관(10)의 배수유로(14) 내부에 형성된 지지리브(14)는 토압 및 절곡에 의한 변형시에도 상기 유공관(10)의 천공홀(12) 및 배수유로(14)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유공관(10)에 형성된 천공홀(12)로 부터 유입되는 간극수가 상기 배수유로(14)로 유입되는 것을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천공홀(12) 양측단에 수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1)는 수직 및 수평형태로 설치된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1) 중 수직형태로 설치된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1)를 절곡하여 수평 드레인 보드에 연결시 절곡 및 토압에 의해 상기 유공관(10)의 배수유로(14) 및 천공홀(1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공관(10)의 지지리브(16) 일측끝단이 상기 유공관(10)의 내주면부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공간부(14-2)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공관(10)의 배수유로(12) 내부에 형성된 지지리브(16)가 상기 유공관(10)의 내주면부으로 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공간부(14-2)가 형성되므로써, 절곡시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압에 의해 상기 유공관(10)의 변형이 방지되어 배수유로(14)가 함몰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유공관(10)의 천공홀(12) 양측단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리브(16)가 상기 유공관(10)의 내주면부으로 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부(14-2)는 상기 유공관(10)을 다양한 각도로 절곡 및 변형시 보다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14-2)는 내주면부 상, 하로 나누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의 유공관(10)의 내부인 배수유로(14_)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지지리브(16)가 수직하게 설치되고, 배수유로(14)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리브(16)는 유공관(10)의 상부에 설치된 천공홀(12)의 일측에 형성되며, 배수유로(14)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리브(16)는 유공관(10)의 하부에 설치된 천공홀(12)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원형의 유공관(10)이 지반토압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지지리브(16)에 의해 배수유로(14)가 막히지 않고, 배수효과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유공관(10)의 외주측면 동일면상에 연결되는 판상연결부재(20)는 하나의 판상으로 연결되어 배수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유공관(10)을 지지함과 동시에 간극수 배수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상연결부재(20)가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배수유로(22)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극수가 상기 배수유로(22)로 유입될 수 있도록 천공홀(2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상연결부재(20)에 배수유로(22) 형성시 토압 및 절곡에 의해 함몰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상연결부재(20)의 배수유로(22) 내부에는 함몰을 방지하는 지지리브(26)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1)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실시예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동일 면상에 독립적으로 배치된 간극수 유입용 천공홀(12)을 가지며 내부에는 상기 천공홀(12)과 연결된 배수유로(14)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유로(14)의 내부에는 배수유로(14)를 지지하는 지지리브(16)가 형성된 유공관(10)과 상기 유공관(10)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유공관(10)의 외주측면으로 부터 연장되어 이웃한 유공관의 외주측면에 연결됨으로써 배수로를 형성하는 판상연결부재(2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1)는 도 7a,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지 및 연약지반에 수평과 수직 형태로 시공한 후 연결 결합시켜 간극수 배출을 통한 압밀촉진 및 지반개량 용도로 적용된다.
이때, 수직형태로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1)를 설치하여 수평으로 설치된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1)에 연결시 상기 수직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1)를 굴곡시켜 수평 드레인 보드에 연결하는데 이때 절곡된 유공관(10)의 배수유로(14)가 함몰되지 않고 상기 지지리브(16)에 의해 배수유로(14)가 유지되어 간극수 배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토압에 의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공관(10)이 변형될 경우 상기 지지리브(16)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적인 배수성능이 유지되므로 간극수 배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는 매립지와 같은 연약지반의 간극수 배수촉진 목적으로 제공하는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에 형성된 배수유로 내부에 지지리브가 형성되어 토압 및 절곡에 의한 변형시 상기 배수유로가 함몰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어 간극수 배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1 :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10 : 유공관 12 : 천공홀
14 : 배수유로 14-2 : 공간부
16 : 지지리브
20 : 판상연결부재 22 : 배수유로
24 : 천공홀 26 : 지지리브

Claims (6)

  1. 코어재와 이 코어재의 외부를 덮는 여과부직포로 이루어진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에 있어서,
    일정간격을 가지고 동일면상에 독립적으로 배치된 간극수 유입용 천공홀을 가지며 내부에는 상기 천공홀과 연결된 배수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유로의 내부에는 배수유로를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된 원형의 유공관과;
    상기 유공관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유공관의 외주측면으로 부터 연장되어 이웃한 유공관의 외주측면에 연결되는 배수로가 형성된 판상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유공관의 내부인 배수유로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지지리브가 수직하게 설치되고, 배수유로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리브는 유공관의 상부에 설치된 천공홀의 일측에 형성되며, 배수유로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리브는 유공관의 하부에 설치된 천공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유공관이 지반토압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지지리브에 의해 배수유로가 막히지 않고, 배수효과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홀은 유공관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의 지지리브 일측끝단이 상기 유공관의 내주면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연결부재는 배수유로가 형성되도록 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천공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연결부재의 배수유로 내부에는 복수 개의 지지리브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KR1020150177239A 2015-12-11 2015-12-11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KR101754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239A KR101754930B1 (ko) 2015-12-11 2015-12-11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239A KR101754930B1 (ko) 2015-12-11 2015-12-11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700A KR20170069700A (ko) 2017-06-21
KR101754930B1 true KR101754930B1 (ko) 2017-07-07

Family

ID=5928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239A KR101754930B1 (ko) 2015-12-11 2015-12-11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9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700A (ko)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359B1 (ko)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
US85902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proofing a basement
KR102097855B1 (ko) 더블 아이 빔에 압축응력이 도입된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101037952B1 (ko) 이중진공펌프를 구비한 연약지반 배수장치
KR101754930B1 (ko) 드레인 보드의 코어재
JP2009209571A (ja) 導水材および導水材の設置方法
JP2006336338A (ja) 水抜管及び水抜管を用いた排水方法
KR200477688Y1 (ko) 옹벽용 배수파일
KR20160025058A (ko) 대심도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다층드레인 연결구조
KR101037954B1 (ko) 연약지반 배수장치
KR101684271B1 (ko) 연약지반 배수재
KR101398910B1 (ko) 선단확장형 파일
KR100390285B1 (ko) 원통형 및 판형 복합드레인에 의한 연약지반의탈수촉진공법 및 그 물건
KR20110050577A (ko) 연약지반용 8자형 수평 드레인보드
CN102433873A (zh) 侧壁多孔空心桩
CN100447346C (zh) 筋状管桩
CN216586625U (zh) 一种基坑排水结构
KR101697871B1 (ko) 배수재 연결용 소켓
KR100699726B1 (ko)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KR100954527B1 (ko) 연약지반 배수시스템
CN114182933B (zh) 超高陡岩质边坡落地脚手架的施工方法
KR101551897B1 (ko) 건축물용 지하수 배수관
KR101665089B1 (ko) 연약지반 배수장치
KR20140048723A (ko) 파형강관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JP4396433B2 (ja) 底設導坑先進アーチパイプルーフ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