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700B1 -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 Google Patents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700B1
KR101753700B1 KR1020160105632A KR20160105632A KR101753700B1 KR 101753700 B1 KR101753700 B1 KR 101753700B1 KR 1020160105632 A KR1020160105632 A KR 1020160105632A KR 20160105632 A KR20160105632 A KR 20160105632A KR 101753700 B1 KR101753700 B1 KR 101753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ing
frame
vertical
vertical fram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819A (ko
Inventor
박종길
Original Assignee
박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길 filed Critical 박종길
Priority to KR1020160105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7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5Connections of mullions and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외벽에 내/외장패널을 고정하거나 다양한 구조물(예: 비닐하우스,침대,책장,진열대 등)로 사용하기 위한 수직 구조물인 수직프레임과 수평 구조물인 수평프레임을 용접시공 및 볼트시공 과정이 없이 끼움 조립시킴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용접시공시 화재 발생이나 부식 발생 요인을 제거함과 아울러 따로 볼트 조립이 필요 없어 공사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인건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좌/우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홈(1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체결홈(110)과 체결홈(110)의 각 사이에는 각각 다수개의 볼트공(120)이 형성된 수직프레임(100);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양끝단에는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형성된 체결홈(110)에 삽입되어 끼움 고정되도록 걸이홈(211)이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210)이 돌출 형성된 수평프레임(200);을 포함하여 구성된 외장프레임 고정용 조립식 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A frame having a prefabricated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외벽에 내/외장패널을 고정하거나 다양한 구조물(예: 비닐하우스,침대,책장,진열대 등)로 사용하기 위한 수직 구조물인 수직프레임과 수평 구조물인 수평프레임을 용접시공 및 볼트시공 과정이 없이 끼움 조립시킴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용접시공시 화재 발생이나 부식 발생 요인을 제거함과 아울러 따로 볼트 조립이 필요 없어 공사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인건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외장 마감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대리석이나 화강암과 같은 건축용 석재패널은 사각평판형으로 가공 제작되어 대개 건축물의 외벽과 나란한 상태로 외벽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커튼월을 형성하도록 외벽체로 마감 시공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건축물의 외장패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직프레임을 골조체 슬라브의 선단에 L자형 고정 브라켓을 이용하여 볼트로 고정시키되,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며,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는 수평프레임을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수직프레임 사이에 고정되는 수평프레임을 수직프레임에 용접 고정시키게 되므로 용접 작업시 불똥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높고, 용접 부위의 피막이 손상되어 부식이 빨리 진행되며, 작업시 용접 숙련공을 필요로 하게 되어 인건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용접에 의해 재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요철 현상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L자형의 화스너를 대고 볼트로 고정시키는 방법이 이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사이에 L자형 화스너를 덧대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켜야 하므로 하중이 크게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외장패널 시공에 따른 재료비가 많이 들게 되며, 외장패널의 시공시간과 기간이 길어져 인건비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16920호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0320호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89761호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89586호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내/외장패널 등과 같은 판 구조물을 시공하고자 할 경우, 현장에서 용접작업을 전혀 하지 않으며 볼트와 너트 및 브라켓이 전혀 필요없이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만을 이용하여 상호 조립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건물의 내/외장패널 시공장치에 대한 하중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재료비를 대폭 줄일 수 있고, 특히, 용접 작업을 전혀 하지 않아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전혀 없고 설치 및 해체가 쉽고 간편하며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좌/우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체결홈과 체결홈의 각 사이에는 다수개의 볼트공이 형성된 수직프레임;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양끝단에는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어 끼움 고정되도록 걸이홈이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이 돌출 형성된 수평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좌/우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체결홈과 체결홈의 각 사이에는 볼트공이 형성된 수직프레임;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양끝단에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어 끼움 고정되도록 걸이홈이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이 돌출 형성된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에 각각 볼트 체결되어 외벽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거나 비닐하우스의 골조 구조물 또는 가구의 침대, 책장, 진열대 등 다양한 구조물에 사용되는 수직 구조물인 수직프레임과 수평 구조물인 수평프레임을 용접시공 및 볼트시공 과정이 없이 끼움 조립시킴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것이다.
또한, 용접시공시 화재 발생이나 부식 발생 요인을 제거함과 아울러 따로 볼트시공이 필요 없어 공사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인건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조립설치된 것으로 사용이 완료되면 해체시켜 재사용이 가능하여 재료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수직프레임에 수평프레임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수직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수평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수평프레임을 나타낸 부분확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수직프레임에 간격조절수단이 장착되어 외벽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간격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수직프레임을 외벽과의 간격을 좁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간격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수직프레임을 외벽과의 간격을 넓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홈의 걸고리편 삽입부에 수평프레임의 걸고리편이 삽입된 사용상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홈의 걸이홈 끼움부에 걸고리편의 걸이홈이 끼워진 상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수직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수평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수평프레임을 나타낸 부분확대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수평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수평프레임이 제1실시예의 수직프레임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의 걸고리편과 고정돌기가 체결홈의 걸고리편 삽입부와 고정돌기 삽입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상태에서 수평프레임이 일정부분 빠져나온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 제4실시예의 수직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 제4실시예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 제4실시에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 제5실시예의 수직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 제5실시예의 수평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 제5실시예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 제5실시예의 수직프레임에 수평프레임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 제6실시예의 수직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 제6실시예의 수평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 제6실시예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 제6실시예의 수직프레임에 수평프레임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좌/우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홈(1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체결홈(110)과 체결홈(110)의 각 사이에는 볼트공(120)이 형성된 수직프레임(1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측에는 하기에 설명될 수평프레임(200)에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210)과 고정돌기(220)가 각각 삽입되도록 한 쌍의 걸고리편 삽입부(111)와 고정돌기 삽입부(112)가 각각 구비되고, 하측에는 상기 걸고리편(210)에 형성된 걸이홈(211)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걸이홈 끼움부(113)가 구비되며, 상기 걸고리편 삽입부(111)와 걸림홈 끼움부(113)의 사이에는 고정돌기(220)가 끼워져 걸리도록 고정돌기 걸림부(114)가 구비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양끝단에는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형성된 체결홈(110)에 삽입되어 끼움 고정되도록 걸이홈(211)이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210)이 돌출 형성된 수평프레임(2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고리편(2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ㄲ”와 같은 형상과 모양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양끝단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210)의 상부 내측에는 한 쌍의 고정돌기(220)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이홈 끼움부(113)에 상기 걸고리편(210)에 형성된 걸이홈(211)이 강한 눌림에 의해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걸이홈 끼움부(113)의 폭이 걸이홈(211)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120)에 각각 볼트 체결되어 외벽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300)이 더 설치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볼트공(120)에 볼트 고정되도록 제1구멍(31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볼트가 삽입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장구멍(312)이 형성되되, 상기 장구멍(312)의 상/하부에는 제1수직돌기(313)가 돌출 형성되며, 좌/우측에는 제1수평돌기(314)가 돌출 형성된 길이조절판(310) 및 L자형을 갖으며, 일단에는 상기 길이조절판(310)의 타단에 밀착되어 장구멍(312)에 삽입되는 볼트가 관통되도록 제2구멍(32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외벽에 볼트 고정되도록 제3구멍(322)이 형성되되, 상기 제2구멍(321)의 상/하부에는 상기 제1수직돌기(313)와 맞물리는 제2수직돌기(323)가 돌출 형성되며, 좌/우측에는 상기 제1수평돌기(314)와 맞물리는 제2수평돌기(324)가 돌출 형성된 화스너(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조립방법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형성된 체결홈(110)에 수평프레임(200)에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210)을 삽입시킨 다음 상기 수평프레임(200)을 망치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아래로 힘을 가하여 밀어주어 상기 체결홈(110)에 구비된 걸이홈 끼움부(113)에 상기 한 쌍의 걸고리편(210)에 각각 형성된 걸이홈(211)을 끼워서 조립시키는데, 이때, 상기 걸고리편(21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돌기(220)는 체결홈(110)에 구비된 고정돌기 걸림부(114)에 끼워져 걸려지므로 수평프레임(10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수직프레임(100)에 다수개 형성된 체결홈(110)에 각각 수평프레임(200)에 형성된 걸고리편(210)을 끼워서 조립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형성된 볼트공(120)에 길이조절판(310)의 일단에 형서된 제1구멍(311)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 고정설치시킨 다음 상기 길이조절판(310)의 타단에 돌출 형성된 제1수직돌기(313)와 제1수평돌기(314)에 화스너(320)의 타단에 형성된 제2수직돌기(323)와 제2수평돌기(324)가 서로 맞물리도록 밀착시킨 후 길이조절판(310)의 장구멍(312)과 화스너(320)에 형성된 제2구멍(321)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 체결시킨 후 화스너(320)의 타단에 형성된 제3구멍(322)을 통해 외벽에 볼트로 고정시킨다.
이때,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고정설치된 길이조절판(310)과, 이 길이조절판(310)의 장구멍(312)에 삽입된 볼트를 이용하여 좌/우로 이동시켜 외벽과의 거리를 좁히거나 멀어지게 간격을 조절한 후 화스너(320)의 제2구멍(321)에 볼트를 삽입시켜 너트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판(310)에 형성된 제1수직돌기(313)와 제1수평돌기(314)와 상기 화스너(320)에 형성된 제2수직돌기(323)와 제2수평돌기(324)가 서로 맞물려 밀착되어있어 상/하/좌/우로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거나 비닐하우스의 골조 구조물 또는 가구의 침대, 책장, 진열대 등 다양한 구조물에 사용되는 수직 구조물인 수직프레임과 수평 구조물인 수평프레임을 용접시공 및 볼트시공 과정이 없이 끼움 조립시킴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것이다.
또한, 용접시공시 화재 발생이나 부식 발생 요인을 제거함과 아울러 따로 볼트시공이 필요 없어 공사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인건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조립설치된 것으로 사용이 완료되면 해체시켜 재사용이 가능하여 재료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2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좌/우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홈(4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체결홈(410)과 체결홈(410)의 각 사이에는 볼트공(420)이 형성된 수직프레임(4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41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6080835049-pat00001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기에 설명될 수평프레임(500)에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510)이 삽입되도록 걸고리편 삽입부(411)가 구비되고, 상기 걸고리편 삽입부(411)의 상측에는 상기 수평프레임(500)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돌기(520)가 끼워져 걸리도록 고정돌기 걸림부(412)가 구비되며, 하측에는 상기 걸고리편(510)에 형성된 걸이홈(511)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걸이홈 끼움부(413)가 구비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양끝단에는 상기 수직프레임(400)에 형성된 체결홈(410)에 삽입되어 끼움 고정되도록 걸이홈(511)이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510)이 돌출 형성된 수평프레임(5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고리편(51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ㄲ”와 같은 형상과 모양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500)의 양끝단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510)의 상부 내측에는 한 쌍의 고정돌기(520)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이홈 끼움부(413)에 상기 걸고리편(510)에 형성된 걸이홈(511)이 강한 눌림에 의해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걸이홈 끼움부(413)의 폭이 걸이홈(511)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400)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420)에 각각 볼트 체결되어 외벽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300)이 구비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300)은 앞서 제1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의 조립방법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400)에 형성된 체결홈(410)에 수평프레임(500)에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510)을 삽입시킨 다음 상기 수평프레임(500)을 망치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아래로 힘을 가하여 밀어주어 상기 체결홈(410)에 구비된 걸이홈 끼움부(413)에 상기 한 쌍의 걸고리편(510)에 각각 형성된 걸이홈(511)을 끼워서 조립시키는데, 이때, 상기 걸고리편(51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돌기(520)는 체결홈(410)에 구비된 고정돌기 걸림부(412)에 끼워져 걸리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수직프레임(400)에 다수개 형성된 체결홈(410)에 각각 수평프레임(500)에 형성된 걸고리편(510)을 끼워서 조립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400)에 형성된 볼트공(420)에 길이조절판(310)의 일단에 형성된 제1구멍(311)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 고정설치시킨 다음 상기 길이조절판(310)의 타단에 돌출 형성된 제1수직돌기(313)와 제1수평돌기(314)에 화스너(320)의 타단에 형성된 제2수직돌기(323)와 제2수평돌기(324)가 서로 맞물리도록 밀착시킨 후 길이조절판(310)의 장구멍(312)과 화스너(320)에 형성된 제2구멍(321)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 체결시킨 후 화스너(320)의 타단에 형성된 제3구멍(322)을 통해 외벽에 볼트로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수단(300)의 길이조절판(310)과 화스너(320)를 이용하여 외벽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작용효과는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거나 비닐하우스의 골조 구조물 또는 가구의 침대, 책장, 진열대 등 다양한 구조물에 사용되는 수직 구조물인 수직프레임과 수평 구조물인 수평프레임을 용접시공 및 볼트시공 과정이 없이 끼움 조립시킴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것이다.
또한, 용접시공시 화재 발생이나 부식 발생 요인을 제거함과 아울러 따로 볼트시공이 필요 없어 공사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인건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수직프레임(400)과 수평프레임(500)은 용접시공 없이 조립설치된 것으로 사용이 완료되면 해체시켜 재사용이 가능하여 재료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수직프레임(400)의 체결홈(410)에 수평프레임(500)의 걸고리편(510)이 삽입되어 끼움 조립시키면 체결홈(4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깔끔함은 물론 체결홈(410)으로 먼지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제3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좌/우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홈(1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체결홈(110)과 체결홈(110)의 각 사이에는 볼트공(120)이 형성된 수직프레임(1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측에는 하기에 설명될 수평프레임(600)에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610)과 고정돌기(612)가 각각 삽입되도록 한 쌍의 걸고리편 삽입부(111)와 고정돌기 삽입부(112)가 각각 구비되고, 하측에는 상기 걸고리편(610)에 형성된 걸이홈(611)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걸이홈 끼움부(113)가 구비되며, 상기 걸고리편 삽입부(111)와 걸림홈 끼움부(113)의 사이에는 고정돌기(612)가 끼워져 걸리도록 고정돌기 걸림부(114)가 구비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양끝단에는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형성된 체결홈(110)에 삽입되어 끼움 고정되도록 걸이홈(611)이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610)이 돌출 형성된 수평프레임(60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고리편(61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ㄲ”와 같은 형상과 모양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600)의 양끝단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610)의 상부 내측에는 한 쌍의 고정돌기(620)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고정돌기(620)의 사이에는 요홈(630)이 더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이홈 끼움부(113)에 상기 걸고리편(610)에 형성된 걸이홈(611)이 강한 눌림에 의해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걸이홈 끼움부(113)의 폭이 걸이홈(611)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120)에 각각 볼트 체결되어 외벽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300)이 구비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300)은 앞서 제1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3실시예의 조립방법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볼트공(120)에 간격조절수단(300)을 설치시킨 후 이 간격조절수단(300)을 이용하여 수직프레임(100)을 외벽에 다수개 설치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다수개 설치된 수직프레임(10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직프레임(100)의 체결홈(110)에 수평프레임(600)의 일단에 형성된 걸고리편(610)과 고정돌기(620)를 삽입시킨 후 수평프레임(600)의 타단에 형성된 걸고리편(610)과 고정돌기(620)를 또 다른 수직프레임(100)에 형성된 체결홈(110)에 삽입시킨다.
이때,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600)의 일단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돌기(620)의 사이에는 요홈(630)이 형성되어있어 수평프레임(600)의 일단에 형성된 걸고리편(610)과 고정돌기(620)를 요홈(630)의 길이만큼 수직프레임(100)의 체결홈(110)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타단에 형성된 걸고리편(610)과 고정돌기(620)를 또 다른 수직프레임(100)의 체결홈(110)에 위치시킨 후 수평프레임(600)의 일단에 형성된 요홈(630)의 길이만큼 다시 당겨주어 타측에 형성된 걸고리편(610)과 고정돌기(620)를 또 다른 수직프레임(100)의 체결홈(110)에 삽입시키는 것이다.
그런 다음, 상기 수평프레임(600)을 망치와 같은 충격을 가할 수 있는 도구를 이용하여 아래로 힘을 가하여 밀어주어 상기 체결홈(110)에 구비된 걸이홈 끼움부(113)에 상기 한 쌍의 걸고리편(610)에 각각 형성된 걸이홈(611)을 끼워서 조립시키는데, 이때, 상기 걸고리편(61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돌기(620)는 체결홈(110)에 구비된 고정돌기 걸림부(114)에 끼워져 걸리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수직프레임(100)에 다수개 형성된 체결홈(110)에 각각 수평프레임(600)에 형성된 걸고리편(610)을 끼워서 조립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형성된 볼트공(120)에 길이조절판(310)의 일단에 형성된 제1구멍(311)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 고정설치시킨 다음 상기 길이조절판(310)의 타단에 돌출 형성된 제1수직돌기(313)와 제1수평돌기(314)에 화스너(320)의 타단에 형성된 제2수직돌기(323)와 제2수평돌기(324)가 서로 맞물리도록 밀착시킨 후 길이조절판(310)의 장구멍(312)과 화스너(320)에 형성된 제2구멍(321)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 체결시킨 후 화스너(320)의 타단에 형성된 제3구멍(322)을 통해 외벽에 볼트로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간격조절수단(300)의 길이조절판(310)과 화스너(320)를 이용하여 외벽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작용효과는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거나 비닐하우스의 골조 구조물 또는 가구의 침대, 책장, 진열대 등 다양한 구조물에 사용되는 수직 구조물인 수직프레임과 수평 구조물인 수평프레임을 용접시공 및 볼트시공 과정이 없이 끼움 조립시킴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것이다.
또한, 용접시공시 화재 발생이나 부식 발생 요인을 제거함과 아울러 따로 볼트시공이 필요 없어 공사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인건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조립설치된 것으로 사용이 완료되면 해체시켜 재사용이 가능하여 재료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4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좌/우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홈(7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체결홈(710)과 체결홈(710)의 각 사이에는 볼트공(720)이 형성된 수직프레임(7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710)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6080835049-pat00002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측에는 하기에 설명될 수평프레임(200)에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210)이 삽입되도록 한 쌍의 걸고리편 삽입부(711)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상기 걸고리편(210)에 형성된 걸이홈(211)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걸이홈 끼움부(713)가 형성되며, 상기 걸고리편 삽입부(711)와 걸림홈 끼움부(713)의 사이에는 고정돌기(212)가 끼워져 걸리도록 고정돌기 걸림부(712)가 구비된다.
또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양끝단에는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700)에 형성된 체결홈(710)에 삽입되어 끼움 고정되도록 걸이홈(211)이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210)이 돌출 형성된 수평프레임(2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고리편(210)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ㄲ”와 같은 형상과 모양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양끝단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210)의 상부 내측에는 한 쌍의 고정돌기(220)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이홈 끼움부(713)에 상기 걸고리편(210)에 형성된 걸이홈(211)이 강한 눌림에 의해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걸이홈 끼움부(713)의 폭이 걸이홈(211)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700)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720)에 각각 볼트 체결되어 외벽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300)이 구비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300)은 앞서 제1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4실시예의 조립방법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700)에 형성된 체결홈(710)에 수평프레임(200)에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210)을 삽입시킨 다음 상기 수평프레임(200)을 망치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아래로 힘을 가하여 밀어주어 상기 체결홈(710)에 구비된 걸이홈 끼움부(713)에 상기 한 쌍의 걸고리편(210)에 각각 형성된 걸이홈(211)을 끼워서 조립시키는데, 이때, 상기 걸고리편(21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돌기(220)는 체결홈(710)에 구비된 고정돌기 걸림부(712)에 끼워져 걸리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수직프레임(700)에 다수개 형성된 체결홈(710)에 각각 수평프레임(200)에 형성된 걸고리편(210)을 끼워서 조립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700)에 형성된 볼트공(720)에 길이조절판(310)의 일단에 형성된 제1구멍(311)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 고정설치시킨 다음 상기 길이조절판(310)의 타단에 돌출 형성된 제1수직돌기(313)와 제1수평돌기(314)에 화스너(320)의 타단에 형성된 제2수직돌기(323)와 제2수평돌기(324)가 서로 맞물리도록 밀착시킨 후 길이조절판(310)의 장구멍(312)과 화스너(320)에 형성된 제2구멍(321)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 체결시킨 후 화스너(320)의 타단에 형성된 제3구멍(322)을 통해 외벽에 볼트로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간격조절수단(300)의 길이조절판(310)과 화스너(320)를 이용하여 외벽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작용효과는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거나 비닐하우스의 골조 구조물 또는 가구의 침대, 책장, 진열대 등 다양한 구조물에 사용되는 수직 구조물인 수직프레임과 수평 구조물인 수평프레임을 용접시공 및 볼트시공 과정이 없이 끼움 조립시킴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것이다.
또한, 용접시공시 화재 발생이나 부식 발생 요인을 제거함과 아울러 따로 볼트시공이 필요 없어 공사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인건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조립설치된 것으로 사용이 완료되면 해체시켜 재사용이 가능하여 재료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5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좌/우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홈(8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체결홈(810)과 체결홈(810)의 각 사이에는 볼트공(820)이 형성된 수직프레임(8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810)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6080835049-pat00003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에는 하기에 설명될 수평프레임(900)에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910)이 삽입되도록 걸고리편 삽입부(811)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상기 걸고리편(910)에 형성된 걸이홈(911)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걸이홈 끼움부(812)가 구비된다.
또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양끝단에는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800)에 형성된 체결홈(810)에 삽입되어 끼움 고정되도록 걸이홈(911)이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910)이 돌출 형성된 수평프레임(9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고리편(910)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ㄲ”와 같은 형상과 모양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걸이홈 끼움부(812)에 상기 걸고리편(910)에 형성된 걸이홈(911)이 강한 눌림에 의해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걸이홈 끼움부(812)의 폭이 걸이홈(911)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800)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820)에 각각 볼트 체결되어 외벽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300)이 구비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300)은 앞서 제1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5실시예의 조립방법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800)에 형성된 체결홈(810)에 수평프레임(900)에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910)을 삽입시킨 다음 상기 수평프레임(900)을 망치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아래로 힘을 가하여 밀어주어 상기 체결홈(810)에 구비된 걸이홈 끼움부(812)에 상기 한 쌍의 걸고리편(910)에 각각 형성된 걸이홈(911)을 끼워서 조립시키는데, 이때, 상기 걸이홈 끼움부(812)의 폭이 상기 걸고리편(910)에 형성된 걸이홈(911)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되어있어 강한 눌림에 의해 억지 끼움되어 견고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수직프레임(800)에 다수개 형성된 체결홈(810)에 각각 수평프레임(900)에 형성된 걸고리편(910)을 끼워서 조립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800)에 형성된 볼트공(820)에 길이조절판(310)의 일단에 형서된 제1구멍(311)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 고정설치시킨 다음 상기 길이조절판(310)의 타단에 돌출 형성된 제1수직돌기(313)와 제1수평돌기(314)에 화스너(320)의 타단에 형성된 제2수직돌기(323)와 제2수평돌기(324)가 서로 맞물리도록 밀착시킨 후 길이조절판(310)의 장구멍(312)과 화스너(320)에 형성된 제2구멍(321)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 체결시킨 후 화스너(320)의 타단에 형성된 제3구멍(322)을 통해 외벽에 볼트로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간격조절수단(300)의 길이조절판(310)과 화스너(320)를 이용하여 외벽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작용효과는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내/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거나 비닐하우스의 골조 구조물 또는 가구의 침대, 책장, 진열대 등 다양한 구조물에 사용되는 수직 구조물인 수직프레임과 수평 구조물인 수평프레임을 용접시공 및 볼트시공 과정이 없이 끼움 조립시킴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것이다.
또한, 용접시공시 화재 발생이나 부식 발생 요인을 제거함과 아울러 따로 볼트시공이 필요 없어 공사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인건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조립설치된 것으로 사용이 완료되면 해체시켜 재사용이 가능하여 재료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6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도 27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좌/우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홈(11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체결홈(1110)과 체결홈(1110)의 각 사이에는 각각 다수개의 볼트공(1130)이 형성된 수직프레임(11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1110)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6080835049-pat00004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한 쌍의 걸고리편 삽입부(1111)(1120)가 두 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측에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 삽입부(1111)에는 상기 수평프레임(1200)에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1210)과 고정돌기(1230)가 각각 삽입되도록 걸고리편 삽입부(1111)와 고정돌기 걸림부(1112)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걸고리편 삽입부(1111)의 하부에는 상기 걸고리편(1210)에 형성된 걸이홈(1211)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걸이홈 끼움부(1113)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하측에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 삽입부(1120)에는 상기 수평프레임(1200)에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1220)이 각각 삽입되도록 걸고리편 삽입부(1120)가 구비되고, 상기 걸고리편 삽입부(1120)의 하부에는 상기 걸고리편(1220)에 형성된 걸이홈(1221)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걸이홈 끼움부(1121)가 구비된다.
또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양끝단에는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800)에 형성된 체결홈(1110)에 삽입되어 끼움 고정되도록 걸이홈(1211)(1221)이 형성된 두 쌍의 걸고리편(1210)(1220)이 상/하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수평프레임(12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고리편(1210)(1220)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ㄲ”와 같은 형상과 모양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200)의 양끝단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1210)의 각 상부 내측에는 한 쌍의 고정돌기(1230)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이홈 끼움부(1113)(1121)에 상기 걸고리편(1210)(1220)에 형성된 걸이홈(1211)(1221)이 강한 눌림에 의해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걸이홈 끼움부(1113)(1121)의 폭이 걸이홈(1211)(1221)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100)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1130)에 각각 볼트 체결되어 외벽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300)이 구비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300)은 앞서 제1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6실시예의 조립방법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7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100)에 형성된 체결홈(1110)에 수평프레임(1200)에 형성된 두 쌍의 걸고리편(1210)(1220)을 삽입시킨 다음 상기 수평프레임(1200)을 망치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아래로 힘을 가하여 밀어주어 상기 체결홈(1110)에 구비된 걸이홈 끼움부(1113)(1121)에 상기 두 쌍의 걸고리편(1210)(1220)에 각각 형성된 걸이홈(1211)(1221)을 끼워서 조립시키는데, 이때, 상기 걸고리편(121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돌기(1230)는 체결홈(1110)에 구비된 고정돌기 걸림부(1112)에 끼워져 걸리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수직프레임(1100)에 다수개 형성된 체결홈(1110)에 각각 수평프레임(1200)에 형성된 걸고리편(1210)(1220)을 끼워서 조립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100)에 형성된 볼트공(1130)에 길이조절판(310)의 일단에 형성된 제1구멍(311)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 고정설치시킨 다음 상기 길이조절판(310)의 타단에 돌출 형성된 제1수직돌기(313)와 제1수평돌기(314)에 화스너(320)의 타단에 형성된 제2수직돌기(323)와 제2수평돌기(324)가 서로 맞물리도록 밀착시킨 후 길이조절판(310)의 장구멍(312)과 화스너(320)에 형성된 제2구멍(321)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 체결시킨 후 화스너(320)의 타단에 형성된 제3구멍(322)을 통해 외벽에 볼트로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간격조절수단(300)의 길이조절판(310)과 화스너(320)를 이용하여 외벽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작용효과는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거나 비닐하우스의 골조 구조물 또는 가구의 침대, 책장, 진열대 등 다양한 구조물에 사용되는 수직 구조물인 수직프레임과 수평 구조물인 수평프레임을 용접시공 및 볼트시공 과정이 없이 끼움 조립시킴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것이다.
또한, 용접시공시 화재 발생이나 부식 발생 요인을 제거함과 아울러 따로 볼트시공이 필요 없어 공사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인건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조립설치된 것으로 사용이 완료되면 해체시켜 재사용이 가능하여 재료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 -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100,400,700,800,1100 - 수직프레임
200,500,600,900,1200 - 수평프레임
300 - 간격조절수단

Claims (5)

  1.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구조로서 수직프레임(1100)과 수직프레임(1100)사이에 수평프레임(1200)을 체결함에 있어서,
    수직프레임(1100)은 일정한 간격으로 좌우 대칭되는 체결홈(1110)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00)에 형성된 체결홈(1110)에 삽입되어 끼움 고정되도록 걸이홈(1211)(1221)이 형성된 두 쌍의 걸고리편(1210)(1220)이 상/하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고리편(1210)(1220)은 상하측으로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측에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 삽입부(1111)에는 상기 수평프레임(1200)에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1210)과 고정돌기(1230)가 각각 삽입되도록 걸고리편 삽입부(1111)와 고정돌기 걸림부(1112)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걸고리편 삽입부(1111)의 하부에는 상기 걸고리편(1210)에 형성된 걸이홈(1211)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걸이홈 끼움부(1113)가 구비되며,
    상기 하측에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 삽입부(1120)에는 상기 수평프레임(1200)에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1220)이 각각 삽입되도록 걸고리편 삽입부(1120)가 구비되고, 상기 걸고리편 삽입부(1120)의 하부에는 상기 걸고리편(1220)에 형성된 걸이홈(1221)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걸이홈 끼움부(1121)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수직프레임(100)(1100)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120)(720)에 각각 볼트 체결되어 외벽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300)이 더 설치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300)은 직사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에는 상기 수직 프레임(100)의 볼트공(120)에 볼트 고정되도록 제1구멍(31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볼트가 삽입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장구멍(312)이 형성되되, 상기 장구멍(312)의 상/하부에는 제1수직돌기(313)가 돌출 형성되며, 좌/우측에는 제1수평돌기(314)가 돌출 형성된 길이조절판(310) 및
    L자형을 갖으며, 일단에는 상기 길이조절판(310)의 타단에 밀착되어 장구멍(312)에 삽입되는 볼트가 관통되도록 제2구멍(32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외벽에 볼트 고정되도록 제3구멍(322)이 형성되되, 상기 제2구멍(321)의 상/하부에는 상기 제1수직돌기(313)와 맞물리는 제2수직돌기(323)가 돌출 형성되며, 좌/우측에는 상기 제1수평돌기(314)와 맞물리는 제2수평돌기(324)가 돌출 형성된 화스너(32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5. 삭제
KR1020160105632A 2016-08-19 2016-08-19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101753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632A KR101753700B1 (ko) 2016-08-19 2016-08-19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632A KR101753700B1 (ko) 2016-08-19 2016-08-19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312A Division KR101656498B1 (ko) 2014-10-07 2015-06-23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819A KR20170000819A (ko) 2017-01-03
KR101753700B1 true KR101753700B1 (ko) 2017-07-05

Family

ID=57797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632A KR101753700B1 (ko) 2016-08-19 2016-08-19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7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879B1 (ko) 2018-07-19 2019-02-25 천종우 자동 레이저 가공 접합 구조물에 탄소섬유강화 복합재 화스너를 이용한 내진프레임 시공방법
KR20190114459A (ko) * 2018-03-30 2019-10-10 권구중 캐노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339B1 (ko) * 2021-08-18 2022-12-21 김한주 방음 단열 칸막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244Y1 (ko) * 2003-04-14 2003-07-16 최천순 조립식 선반틀
JP2006239159A (ja) * 2005-03-03 2006-09-14 Itoki Corp 支柱とブラケットの連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8310B2 (ja) 1992-09-28 2002-11-20 ソニー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動画像符号化装置
KR100189761B1 (ko) 1996-09-19 1999-06-01 윤종용 스텝 모터를 사용한 인쇄 시스템의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216920B1 (ko) 1997-08-30 1999-09-01 양재신 자동차 프론트 도어 프레임의 미러 패치 보강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244Y1 (ko) * 2003-04-14 2003-07-16 최천순 조립식 선반틀
JP2006239159A (ja) * 2005-03-03 2006-09-14 Itoki Corp 支柱とブラケットの連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459A (ko) * 2018-03-30 2019-10-10 권구중 캐노피 장치
KR102053653B1 (ko) * 2018-03-30 2019-12-09 권구중 캐노피 장치
KR101951879B1 (ko) 2018-07-19 2019-02-25 천종우 자동 레이저 가공 접합 구조물에 탄소섬유강화 복합재 화스너를 이용한 내진프레임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819A (ko)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481B1 (ko) 내진설계용 석재패널 고정장치
KR100916568B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벽체 패널 설치 방법
US9850656B2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0850862B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를 사용한 벽체 패널 설치 장치
KR101750037B1 (ko) 원터치 탈착 방식의 커튼 월 마감커버
KR101753700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101445639B1 (ko) 건축물용 알루미늄 단열 하지틀 및 설치방법
KR100949707B1 (ko)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102107971B1 (ko) 무용접 외장 패널 트러스
KR101369468B1 (ko)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 트러스의 유니트브라켓과 코너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패널 시공방법
KR20170000820A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101500313B1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42374A (ko) 외장패널 고정용 조립식 프레임
KR101574533B1 (ko) 스틸 그레이팅 고정장치
KR101712848B1 (ko) 건축물의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656498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JP7156885B2 (ja) 腰壁パネルの固定構造
KR20170007669A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20210006264A (ko) 조립식 구조의 프레임
JP2006152705A (ja) ベランダ手摺
JP6401751B2 (ja) 仮設壁
KR102339689B1 (ko) 창호 시공용 안전보호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시공방법
KR101832389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102515172B1 (ko) 논피스 방식 내진 보강 연결브라켓
KR20150083010A (ko) 벽면 마감패널 무용접 시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