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206B1 - 연결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연결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206B1
KR101753206B1 KR1020150097354A KR20150097354A KR101753206B1 KR 101753206 B1 KR101753206 B1 KR 101753206B1 KR 1020150097354 A KR1020150097354 A KR 1020150097354A KR 20150097354 A KR20150097354 A KR 20150097354A KR 101753206 B1 KR101753206 B1 KR 101753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body portion
extending
organs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554A (ko
Inventor
한종현
박헌국
정민영
문종필
장봉석
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150097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206B1/ko
Priority to PCT/KR2015/007564 priority patent/WO2017007058A1/ko
Publication of KR20170006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64Blood vessels with special features to facilitate anastomotic 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금속와이어를 통한 교차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형성하며,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몸체부 일부분에 이르는 금속와이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감싸는 피막;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타단 및 상기 헤드부는 각각 이종(異種)의 신체기관 내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종의 신체기관 간을 연결하여 우회경로를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우회경로의 유지를 위한 충분한 팽창력 및 최소의 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스텐트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용 스텐트 {STENT FOR CONNECTING ADJACENT TISSUES}
본 발명은 이종의 신체기관 간을 연결하여 체액 배출에 관련된 우회 경로를 형성하는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트는 협착 부위의 확장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설치되는 각종 기관 및 내강의 크기 및 성질, 환경에 따라 그 용도에 맞게 형성됨으로써, 내강의 협착에 의한 물질의 흐름의 차단 혹은 저해를 해결하고, 내강의 충분한 직경 확보를 오랜 기간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하지만 협착 부위의 확장을 위한 용도 외에도 최근에는 스텐트를 이용한 다양한 용도의 사용 형태가 제시되고 있는데, 확장을 통한 물질 이동 통로의 직경 회복 외에도 다양한 외과용 기기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거나, 외과용 기기의 추가적인 이동경로 생성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텐트를 협착 부위 확장 외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0413호의 "문합술용 스텐트"(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이종의 신체기관을 연결하는 별도의 우회통로를 형성하여 이종의 신체기관을 접합시키고, 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이종의 신체기관을 연결하는 스텐트의 경우, 두 기관의 연결을 위해 스텐트가 설치되어진 뒤 신체 기관의 움직임에 따라 스텐트가 설치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몸체의 양 단부를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확관시켜 마련함에 따라, 연결되어진 이종의 신체기관이 스텐트의 몸체 규격에 맞추어 강제적으로 가깝게 접합되도록 위치하게 되어 스텐트와 연결되어진 신체기관의 내벽간에는 상호 지속적인 외력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들은 스텐트를 이루는 와이어 전체 구조에 걸쳐서 와이어를 커버하는 피막을 설치함에 따라 이종의 신체기관을 연결하는 우회통로 내부로 체액이 유입되어질 수 있는 공간 상에 제한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의 신체기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스텐트가 자신의 몸체 길이 규격에 맞추어 강제적으로 이종의 신체기관 내벽을 당겨 상호 발생되는 외력에 의한 스텐트와 내벽간의 접촉을 없애고, 이종의 신체기관을 연결함에 따라 마련되어지는 별도의 우회경로로 유입되어질 수 있는 체액의 양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결용 스텐트는, 금속와이어를 통한 교차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형성하며,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타단 및 상기 헤드부는 각각 이종(異種)의 신체기관 내측에 위치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용 스텐트는,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몸체부 일부분에 이르는 금속와이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감싸는 피막;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피막의 상기 몸체부 측 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기준의 중심과 상기 몸체부의 타단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구부러져 상기 몸체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일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확장되며 만곡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2부분; 및 상기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일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감소되며 만곡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3부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외측 방향을 향해 60° 내지 90°의 각도를 가지고 구부러진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 다른 실시예로써의 본 발명의 연결용 스텐트는, 이종(異種)의 제1기관과 제2기관을 연결하는 연결용 스텐트에 있어서, 금속와이어를 통한 교차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형성하며,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몸체부 일부분에 이르는 금속와이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감싸는 피막;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용 스텐트는 상기 몸체부의 타단은 상기 제1기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2기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피막의 상기 몸체부 측 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기준의 중심과 상기 몸체부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부를 감싸는 피막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기관으로부터 생성되는 체액이 상기 제2기관으로 이동되기 위한 체액 배출경로로 기능한다.
또한, 상기 피막의 상기 몸체부 측 단부는 상기 제1기관의 내측에 위치한다.
아울러, 상기 헤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구부러져 상기 몸체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일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확장되며 만곡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2부분; 및 상기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일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감소되며 만곡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3부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외측 방향을 향해 60° 내지 90°의 각도를 가지고 구부러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특정 신체기관으로부터 생성된 체액이 기존의 체액 배출을 수행하던 내강의 폐색에 의해 원활히 배출되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별도의 체액 배출을 위한 우회 경로를 확보하여 생성된 체액이 용이하게 원하는 장소로 배출되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몸체부의 일단에만 직경이 확관되어진 헤드부가 형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이종의 신체기관이 이루고 있는 체내 위치를 강제적으로 외력을 가해 큰 폭으로 변화시키지 않고도 이종의 신체기관은 연결하고 둘 사이에 체액 배출을 위한 우회 경로를 확보하여 줄 수 있다.
셋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텐트와 신체기관 내벽 간에 강제적인 외력의 가해짐 정도가 상당부분 줄어들어 스텐트에 의한 신체기관의 내벽 손상 및 신체기관의 움직임에 따른 스텐트의 손상의 정도가 줄어든다.
넷째, 헤드부의 제1부분이 몸체부로부터 직교에 가까운 형태로 구부러져 연장 형성됨으로써, 이종의 신체기관 중 체액이 배출되어지는 신체기관 내측에 접하도록 설치되진 헤드부는 연결용 스텐트 전체의 이탈방지성을 높일 수 있다.
다섯째, 헤드부의 단부로 갈수록 와이어의 교차 형태가 만곡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설치된 신체기관의 내벽 상의 접촉면적을 줄임으로써, 헤드부를 이루는 와이어에 의한 신체기관의 내벽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스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스텐트의 몸체부 및 헤드부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스텐트의 설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연결용 스텐트의 구성요소 및 작용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연결용 스텐트(100)은 몸체부(110); 헤드부(120); 및 피막(13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마련된 금속와이어간의 교차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이 형성되어지며, 전체적인 형상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몸체부(110)의 형태 및 이와 같은 몸체부(110)를 구성하는 금속와이어 간의 교차에 의해 개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셀 구조는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전체 길이는 아래 설명되어질 헤드부(120)에 비해 매우 길게 형성되어지며,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몸체부(110)는 본 발명의 연결용 스텐트(100)를 설치하고자하는 이종(異種)의 신체기관이 체내에서 위치하고 있는 상호 간의 거리를 인위적으로 줄일 필요 없이 연결용 스텐트(100)가 설치되어 둘을 연결지어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120)는 몸체부(110)의 일단으로부터 몸체부(110)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결용 스텐트(100)의 이탈방지성을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걸림 턱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헤드부(120)의 형상은 도1 내지 도2의 확대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일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구부러져 벌려짐으로써 환형의 단턱을 형성한 뒤, 그 부분으로부터 일단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만곡되게 연장 형성되다가 다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만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전체적인 형상을 이룬다.
다시 말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2의 확대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20)는 몸체부(110)의 일단으로부터 구부러져 몸체부(11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부분(121), 이와 같은 제1부분(121)으로부터 몸체부(110)의 일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확장되며 만곡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2부분(122) 및 제2부분(122)으로부터 몸체부(110)의 일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감소되며 만곡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3부분(12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부분(121)은 몸체부(110)의 일단으로부터 구부러져 몸체부(110)의 외주면과 소정의 각도(α)를 이루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져 연장 형성됨으로써, 걸림턱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환형(環形)의 일면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제1부분(121)은 몸체부(110)의 일단으로부터 몸체부(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몸체부(110)의 외측 방향을 향해 60° 내지 90°의 각도를 가지고 구부러지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직교하는 형태로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헤드부(120)의 제1부분(121)이 몸체부(110)의 외측 방향을 향해 구부러진 정도가 60° 미만일 경우 이종(異種)의 신체기관에 설치되어진 연결용 스텐트(100)의 이탈방지성이 저해되고 헤드부(120)와 헤드부(120)가 위치한 신체기관의 내벽 간의 마찰 및 부딪침의 정도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90°를 초과할 경우 헤드부(120)의 제2부분(122) 및 제3부분(123)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만곡된 돌출부분이 헤드부(120)가 위치한 신체기관의 내벽측을 향하게 설계되어 지속적인 내벽과 스텐트 간의 마찰 및 부딪침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내벽 손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3부분(123)의 제2부분(122)의 단부로부터 감소된 직경은 결과적으로 몸체(110)에 비해서는 확장된 직경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부분(121)으로부터 제3부분(123)에 이르는 헤드부(120)의 직경은 어떠한 스텐트의 길이분할선을 기준으로한 단면에서도 몸체부(110)가 가지는 직경보다는 확장된 직경의 크기를 가지게 되고, 이는 아래 설명되어질 헤드부(120)를 통한 체액의 배출에 있어서, 배출 공간의 제약을 줄이고 체액의 배출에 대한 용이성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본 발명의 연결용 스텐트(100)는 헤드부(120)로부터 몸체부(110)의 일부 지점에 해당하는 부분까지를 이루는 금속와이어의 내측면 혹은 외측면을 감싸는 피막(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피막(130)의 양 단부 중 일단부는 헤드부(120) 측에 위치하고, 피막(130)의 양 단부 중 타단부(131)는 몸체부(110)측에 위치하는데, 다만 본 발명의 연결용 스텐트(100)의 금속와이어 구조를 감싸는 피막(130)은 피막(130)의 타단부(131)가 몸체부(110)의 타단에 위치하여 전체 금속와이어 구조를 감싸지는 않도록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피막(130)의 형성위치를 설명하면, 피막(130)의 헤드부(120) 측 단부는 헤드부(120)의 단부(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헤드부(120)가 위치하는 스텐트의 끝부분)와 같고, 피막(130)의 몸체부(110) 측 단부(13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기준의 중심(C) 위치와 몸체부(110)의 타단(몸체부(110)의 일단은 헤드부(120)가 연결되어지는 단부) 사이의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피막(130)은 연결용 스텐트(100)의 헤드부(120)로부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기준 절반 이상을 덮고 있으며, 다만 몸체부(110)의 전체를 감싸고 있지는 아니하다.
이러한 피막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실리콘,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올레핀,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및 ePTFE(expanded-Polytetrafluoroethylene) 중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특별한 제한 없이 피막에 사용되는 공지된 재료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연결용 스텐트(100)를 이루는 몸체부(110) 및 헤드부(120) 중 적어도 하나를 이루는 금속와이어에는 체내 설치된 연결용 스텐트(100)의 가시성 확보를 위해 하나 이상의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연결용 스텐트(100)는 이종(異種)의 제1기관(T1)과 제2기관(T2)을 연결하여 두 신체기관간의 체액 이동을 위한 별도의 우회경로(BP)를 제공하는 스텐트로써, 설치 형태에 대해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몸체부(110)의 타단(전체 스텐트 형상 중 헤드부(120)가 형성되지 않은 쪽의 단부)은 제1기관(T1)의 내측에 위치하고, 헤드부(120, 전체 스텐트 형상 중 헤드부(120)가 형성되어진 쪽의 단부)는 제2기관(T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연결용 스텐트(100)는 설치되어 진다.
즉, 본 발명의 연결용 스텐트(100)는 이종(異種)의 신체기관 사이에 설치되는데, 그 설치 형태는 스텐트의 양측 단부가 결과적으로 각각 이종의 신체기관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진다.
여기서, 연결용 스텐트(100)의 피막(130)은 헤드부(120)로부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기준의 중심(C)과 몸체부(110)의 타단 사이에 위치한 일정 부분까지의 금속와이어를 감싸고 있어, 몸체부(110)를 감싸고 있는 피막(130)의 내부 공간은 제1기관(T1)으로부터 생성되는 체액이 제2기관(T2)으로 이동되어 배출되기 위한 별도의 체액 배출경로(BP)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앞 서 설명한 몸체부(110)를 감싸고 있는 피막(130)의 내부 공간이 체액 배출경로(BP)로써 문제없이 기능하기 위해서 피막(130)의 몸체부(110) 측 단부(131)는 제1기관(T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피막(130)의 몸체부(110) 측 단부(131)는 제1기관(T1)의 내측에 위치하되,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기준의 전체길이 중심(C)과 몸체부(110)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제1기관(T1)으로부터 생성된 체액이 체액 배출 경로(BP)로 유입되어짐에 있어서 공간전 제약을 최소화하여 몸체부(110) 중 피막(130)이 감싸지지 않아 개방되어진 부분의 셀을 통해 체액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유입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몸체(110)를 감싸는 피막(130)은 중공의 원통으로 마련되어 설치된 이종의 신체기관(T1, T2) 간을 연결하는 우회(Bypass) 경로(BP)로서 역할하게 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체액의 배출경로 확보, 체액의 우회가 요구되어지는 원인의 치료를 위한 의료기기의 삽입우회 경로 확보 및 내시경 등의 내부 관찰을 위한 위로기기기의 삽입우회 경로 확보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연결용 스텐트(100)의 몸체부(110)는 일단부측에만 직경이 확장되어 마련되는 헤드부(120)가 연장 형성되어지고, 헤드부(120)가 위치하는 제2기관(T2)로부터 제1기관(T1)의 내측에 이르기까지를 모두 연결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짐으로써, 몸체부(110)의 타단부측이 제1기관(T1)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종래의 연결용 스텐트들은 몸체의 양단부에 직경이 확관되어 형성되는 상부헤드와 하부헤드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각각 제1기관과 제2기관의 내측에 걸리도록 위치하는 상부헤드와 하부헤드가 몸체의 길이에 맞추어 두 신체기관을 인위적으로 상호 가까이 접합되어지도록 외력을 가함으로써, 스텐트의 설치 및 설치 후에 설치된 스텐트 뿐만 아니라 신체 기관의 내벽에도 지속적이 손상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긴 원통형상의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의 일단에만 형성되어지는 헤드부(120)를 통해 마련되어지는 본 발명의 연결용 스텐트(100)는 인위적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신체기관의 위치를 변형시키지 않고도 우회 경로(BP)를 형성함으로써, 연결용 스텐트(100)의 설치 및 설치 후 신체기관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스텐트에 의한 신체기관의 내벽 손상 및 신체기관의 움직임에 따른 스텐트의 손상의 정도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헤드부(120)의 제1부분(121)으로부터 일단부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부분(122) 내지 제3부분(123)의 측단면 기준으로 만곡되게 테이퍼진 형태의 구조는 제2기관(T2)의 내벽과의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써, 연결용 스텐트(100)의 설치 또는 설치 후 움직임에 의한 신체기관의 내벽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연결용 스텐트(100)은 위(Stomach)와 담관 또는 쓸개를 연결하여 담즙의 배출을 위한 우회 경로(BP)를 마련하도록 사용되어질 수 있다. 쓸개로부터 생성되어진 담즙은 담낭관(Cystic duct)을 통해 총담관(Choledochal duct)으로 이동된 뒤 십이지장으로 공급되어 소화액으로 사용되어지는데. 이러한 담즙의 이동 경로 상에 담석 또는 종양에 의해 내강의 폐색이 발생한 경우, 생성된 담즙은 배출되어지지 못하고 이로 인한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시술자는 본 발명의 연결용 스텐트(100)를 헤드부(120)가 위(Stomach) 측에 위치하고, 헤드부(120)가 형성되지 않은 몸체부(110)의 타단은 쓸개 또는 담관 등의 신체기관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몸체부(110)를 감싸고 있는 피막(130)의 내부 공간이 담즙 배출경로(BP)로써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연결용 스텐트
110 : 몸체부
120 : 헤드부
121 : 제1부분
122 : 제2부분
123 : 제3부분
130 : 피막
T1 : 제1기관 T2 : 제2기관
BP : 체액 배출경로

Claims (10)

  1. 금속와이어를 통한 교차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형성하며,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몸체부 일부분에 이르는 금속와이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감싸는 피막;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타단 및 상기 헤드부는 각각 이종(異種)의 신체기관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피막의 상기 몸체부 측 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기준의 중심과 상기 몸체부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구부러져 상기 몸체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일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확장되며 만곡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2부분; 및
    상기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일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감소되며 만곡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3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외측 방향을 향해 60° 내지 90°의 각도를 가지고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6. 이종(異種)의 제1기관과 제2기관을 연결하는 연결용 스텐트에 있어서,
    금속와이어를 통한 교차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형성하며,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몸체부 일부분에 이르는 금속와이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감싸는 피막;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용 스텐트는 상기 몸체부의 타단은 상기 제1기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2기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피막의 상기 몸체부 측 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기준의 중심과 상기 몸체부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부를 감싸는 피막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기관으로부터 생성되는 체액이 상기 제2기관으로 이동되기 위한 체액 배출경로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의 상기 몸체부 측 단부는 상기 제1기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구부러져 상기 몸체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일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확장되며 만곡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2부분; 및
    상기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일단측 방향을 향해 직경이 감소되며 만곡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3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외측 방향을 향해 60° 내지 90°의 각도를 가지고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스텐트.
KR1020150097354A 2015-07-08 2015-07-08 연결용 스텐트 KR101753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354A KR101753206B1 (ko) 2015-07-08 2015-07-08 연결용 스텐트
PCT/KR2015/007564 WO2017007058A1 (ko) 2015-07-08 2015-07-21 연결용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354A KR101753206B1 (ko) 2015-07-08 2015-07-08 연결용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554A KR20170006554A (ko) 2017-01-18
KR101753206B1 true KR101753206B1 (ko) 2017-07-03

Family

ID=5768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354A KR101753206B1 (ko) 2015-07-08 2015-07-08 연결용 스텐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53206B1 (ko)
WO (1) WO20170070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763B1 (ko) * 2017-04-28 2019-02-28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7603A (ja) 2004-01-09 2007-07-05 メドトロニック ヴァスキュ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口用ステントシステム
US20100036479A1 (en) * 2008-04-23 2010-02-11 Medtronic, Inc. Stented Heart Valv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0122B2 (en) * 2001-04-26 2003-09-16 Scimed Life Systems, Inc. Gastric pseudocyst drainage and stent delivery system for use therein
FR2902642B1 (fr) * 2006-06-21 2009-02-27 D Arleux Eric Morel Endoprothese du type "st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7603A (ja) 2004-01-09 2007-07-05 メドトロニック ヴァスキュ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口用ステントシステム
US20100036479A1 (en) * 2008-04-23 2010-02-11 Medtronic, Inc. Stented Heart Valv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554A (ko) 2017-01-18
WO2017007058A1 (ko)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8463B2 (en) Endoluminal device
US9320508B2 (en) Expandable medical access sheath
ES2800160T3 (es) Stent biliar
US10363040B2 (en) Anastomosis devices
US9668853B2 (en) Stent for connecting adjacent tissues of organs
KR102211989B1 (ko) 스텐트 및 카테터 스텐트 시스템
JP7130712B2 (ja) 尿管ステント
CN109069186A (zh) 具有可展开能力的导引器
US11020253B2 (en) Multi-hole stent for digestive organs
KR20170046058A (ko) 카테터
EP3106135B1 (en) Stent for preventing reverse flow
JP6376535B2 (ja) ステントシステム、配置装置及び二股に分かれた病変のための方法
EP1898836A2 (en) Implant device particularly useful for implantation in the intravascular system for diverting emboli
CN108882976A (zh) 用于血管流动转向的薄壁配置
JP7242782B2 (ja) 吻合部を持つ漏斗形胃壁裏張り
JP5885882B2 (ja) ステント
CN106923931B (zh) 覆膜支架
KR101753206B1 (ko) 연결용 스텐트
WO2017086239A1 (ja) ステント
KR101604990B1 (ko) 스텐트
KR101810056B1 (ko) 비대칭형 식도용 스텐트
US20220304797A1 (en) Covered Stent
KR102332559B1 (ko) 스텐트 삽입장치
JP2018198643A (ja) ステント
JP7076044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