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094B1 -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 - Google Patents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094B1
KR101753094B1 KR1020160077961A KR20160077961A KR101753094B1 KR 101753094 B1 KR101753094 B1 KR 101753094B1 KR 1020160077961 A KR1020160077961 A KR 1020160077961A KR 20160077961 A KR20160077961 A KR 20160077961A KR 101753094 B1 KR101753094 B1 KR 101753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ation resistance
aesthetics
alloy
weight
dental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6103A (ko
Inventor
나영상
서성문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PCT/KR2016/00934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34306A1/ko
Publication of KR20170026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7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cobal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2Making non-ferrous alloys by mel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고강도를 가지면서도 적정 연신율을 가짐과 더불어, 우수한 내산화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은 Cr : 22 ~ 29 중량%, Al : 2 ~ 6.5 중량%, Y : 0.05 ~ 1.5 중량%, Si : 1 ~ 3 중량% 및 나머지 Co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Co-Cr BASED DENTAL ALLOY WITH EXCELLENT MACHINABILITY, OXIDATION RESISTANCE AND AESTHETICS}
본 발명은 Co-Cr계 치과용 합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강도를 가지면서도 적정 연신율을 가짐과 더불어, 우수한 내산화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은 인장강도나 압축강도 같은 기계적 성질은 우수하나, 금속 특유의 색상 때문에 자연 치아의 색상을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부식이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심미성이 우수한 도재와 금속의 뛰어난 기계적 성질 및 정밀성을 결합한 치과 보철용 합금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합금을 도재소부용 합금이라 한다.
치과용 합금은 온도, 산도, 압력변화 등의 다양한 환경변화가 일어나는 구강 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마모 및 변형 등이 없어야 하며, 치아의 경도 및 강도와 비슷해야 하고, 치아 색과 유사해야 한다. 또한, 구강 내에서 부식이나 변색 등이 없어야 하며 인체 유해성이 없어야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치과 도재소부용 비귀금속 보철합금에는 도재소부용 니켈(Ni)-크롬(Cr)계 합금이 있다.
그러나, 현재 세계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거의 대부분의 니켈(Ni)-크롬(Cr)계 합금은 독성으로 인해 각종 질병 발생 가능성이 있는 베릴륨(Be)을 함유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베릴륨(Be)이 인체에 유해함에도 불구하고 니켈(Ni)-크롬(Cr)계 합금에 첨가하는 이유는 베릴륨(Be)이 합금의 융점을 낮추고 주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도재 소결온도에서 생성되는 산화층의 두께가 얇아 우수한 심미성과 아울러 도재와의 접합강도를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베릴륨(Be)의 독성이 알려지면서 그 사용이 제한되었고 베릴륨(Be)을 함유하지 않은 상용합금이 개발되었지만, 도재와의 접합강도가 베릴륨(Be)을 함유하는 합금에 비해 낮은 실정이다.
한편, 합금과 도재와의 접합강도는 금속의 열팽창계수와 금속의 표면에 형성되는 산화층의 두께, 조성, 조도 등에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베릴륨(Be)을 함유하지 않은 합금에서 도재와의 접합강도 향상을 위해서는 합금의 조성을 적절하게 설계하여 산화층의 특성을 제어하는 것이 핵심기술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베릴륨(Be)은 주기율표 제2족에 속하는 알칼리토금속으로 원자로의 감속재, 반사재로 쓰이며, 유해물질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고농도의 분진에 단기간 혹은 저농도의 먼지에 장시간 노출시에는 급성으로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하고, 1년 이상 지속적으로 노출된 경우 수년 후에는 만성폐질환, 급성 간질성 폐렴, 만성 베릴륨 중독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재소부용 니켈(Ni)-크롬(Cr)계 합금의 경우에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합금과 달리 인간의 치아를 대신하는 것으로, 의치 시술 후 착용감이라든지 사람마다 상이한 치아의 구조로 주조되기 위해 항복강도 혹은 연신율 등이 적정 기준치에 부합되어야 한다. 도재소부용 합금은 저작운동으로 인한 피로하중에 노출되고 그 수명은 항복강도와 연신율과 같은 기계적 특성에 크게 의존하므로 기계적 특성이 우수할수록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규정하고 있는 니켈계 치과 주조용 비귀금속합금의 기계적 특성에 관한 요건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16060349171-pat00001
그러나, 종래의 니켈(Ni)-크롬(Cr)계 합금의 경우 표 1에 도시된 항복강도 및 연신율이 적정 기준치 이상에 부합되지만, 이러한 기준치 이상에 부합되기 위해 소량이지만 베릴륨(Be)이 함유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인체에 해로움을 끼치고 있다. 그래서, 근래에는 유해한 베릴륨(Be)이 함유된 니켈(Ni)계 합금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코발트(Co)가 주성분인 코발트(Co)계 합금이 일부 생산되고 있으나, 이는 녹는점이 높아 용해 등의 주조에 상당한 애로점이 발생되며, 녹는점이 낮은 일부 코발트(Co)계를 사용하여도 제품은 용해가 되나 코발트(Co)의 특성상 용해시 두터운 산화막이 형성되므로 수차례의 연마 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잘못된 연마작업으로 인해 산화층이 잔류함으로써 도재와의 결합력이 약해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도재소부용 코발트(Co)-크롬(Cr)계 합금의 경우 대략 900℃의 온도에서 10분 내외로 실시되는 다단계의 고온 소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화로 인해 금속 표면의 심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다시 말해, 종래에 따른 Co-Cr계 치과용 합금은 도재 소부용 보철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도부 소재용 보철물은 주조(casting) 또는 CAD/CAM 가공을 통해 만들어진 치아 형상의 금속재 베이스먼트(basement)에 세라믹을 도포한 후 고온에서 소결하여 세라믹 입자들의 결합과 금속-세라믹 사이의 결합력을 높게 하여 최종적으로 치과를 찾는 환자의 구강 내에 세팅하게 된다.
이때, 각 환자마다 치아 색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의 세라믹이 치아 색상 구현을 위해 사용된다. 하지만, 세라믹 도포를 위한 베이스먼트(basement)인 도재소부용 합금이 고온에서 소성 과정을 거치면서 산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산화물의 색상이 너무 어두운 색으로 변하게 되면 인공치아의 색상이 영향을 받아 최종 인공치아의 색이 상대적으로 검게 나와 구강 내에서 심미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한다. 이 뿐만 아니라, 고온 소성 중 금속의 과도한 산화는 금속과 세라믹 사이의 결합력을 약화시켜 인공치아의 내구성 감소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도재소부용 금속의 경우 고온 산화 저항성이 우수하고, 밝은 산화물 색상을 갖는 것이 구강내에서의 심미성과 인공치아의 내구성을 위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8031호(2011.10.05.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치과 금 합금 대체용 티탄크롬니켈합금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강도를 가지면서도 적정 연신율을 가짐과 더불어, 우수한 내산화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은 Cr : 22 ~ 29 중량%, Al : 2 ~ 6.5 중량%, Y : 0.05 ~ 1.5 중량%, Si : 1 ~ 3 중량% 및 나머지 Co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은 코발트(Co) 및 크롬(Cr)이 주 성분으로 첨가되며, 절삭 가공성 및 내산화성을 확보하기 위해 알루미늄(Al), 이트륨(Y) 및 실리콘(Si)을 적정 함량비로 첨가함으로써, 생체 친화적이면서 강도 및 연신율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하여 기공소에서의 기공이나 성형 공정에서의 주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시편에 대한 스트레인-스트레스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비교예 1에 따른 시편에 대한 스트레인-스트레스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비교예 2에 따른 시편에 대한 스트레인-스트레스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시편들에 대한 내산화성 및 심미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Co-Cr계 치과용 합금 조성에서 Al의 영향에 따른 경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Co-Cr계 치과용 합금 조성에서 Si의 영향에 따른 경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Co-Cr계 치과용 합금 조성에서 Y의 영향에 따른 경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8 및 도 9는 Co-Cr계 치과용 합금 조성에서 Al 및 Y의 영향에 따른 내산화성 및 심미성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10 및 도 11은 Co-Cr계 치과용 합금 조성에서 Si 및 Y의 영향에 따른 내산화성 및 심미성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12는 RGB 지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Co-Cr계 치과용 합금 조성에서 Y의 영향에 따른 RGB 지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5는 Co-Cr계 치과용 합금 조성에서 Si의 영향에 따른 RGB 지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6은 Co-Cr계 치과용 합금 조성에서 Al의 영향에 따른 RGB 지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o-Cr계 치과용 합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은 Cr : 22 ~ 29 중량%, Al : 2 ~ 6.5 중량%, Y : 0.05 ~ 1.5 중량%, Si : 1 ~ 3 중량% 및 나머지 Co로 조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은 인장강도(TS) : 600 ~ 700MPa, 항복강도(YS) : 400 ~ 550MPa 및 연신율(EL) : 2 ~ 10%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은 적정한 강도 및 연신율을 가지며, 니켈(Ni)이 첨가되지 않으므로 생체 친화적이고, 실리콘(Si)의 첨가를 통해 융점을 낮춤으로써 합금의 제조 용이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코발트(Co)는 비철합금으로서 고온에서 내산화성, 내식성, 내마모성 및 기계적 성질 등의 뛰어난 특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된다. 이를 위해, 코발트(Co)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o-Cr계 치과용 합금 전체 중량의 50 ~ 75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 72 중량%를 제시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 70 중량%를 제시할 수 있다.
크롬(Cr)은 내식성이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치밀한 산화피막의 형성에 의한 부동태화 기구로써 구강내 환경하에서 안정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된다. 내식성 향상을 위해, 크롬(Cr)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 전체 중량의 22 ~ 29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 27 중량%를 제시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4 ~ 26 중량%를 제시할 수 있다.
알루미늄(Al)은 합금을 만듦으로써 강도가 약한 단점을 보완하여 가벼우면서도 강도를 증가시키며, 내산화성 및 심미성을 좋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특성을 얻기 위해 알루미늄(Al)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 전체 중량의 2 ~ 6.5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6.0 중량%를 제시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 5.5 중량%를 제시할 수 있다.
이트륨(Y)은 강도 향상과 더불어 연성을 증가시키고, 특히 합금의 내산화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심미성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트륨(Y)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 전체 중량의 0.05 ~ 1.5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1.4 중량%를 제시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 1.2 중량%를 제시할 수 있다.
실리콘(Si)은 강도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융점을 낮춰주어 합금 제조의 용이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실리콘(Si)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 전체 중량의 1 ~ 3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 2.7 중량%를 제시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 2.5 중량%를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은 코발트(Co) 및 크롬(Cr)이 주 성분으로 첨가되며, 절삭 가공성 및 내산화성을 확보하기 위해 알루미늄(Al), 이트륨(Y) 및 실리콘(Si)을 적정 함량비로 첨가함으로써, 생체 친화적이면서 강도 및 연신율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하여 기공소에서의 기공이나 성형 공정에서의 주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시편 제조
표 2의 조성을 갖는 원료를 진공 분위기의 도가니에 장입한 후, 1500℃, 1550℃, 1600℃ 및 1650℃의 고온으로 각각 용해하고 나서 주형에 주입하여 1시간 동안 자연 냉각시켜 실시예 1 ~ 4에 따른 벌크 상태의 디스크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때, 벌크 상태의 디스크 시편은 직경 100mm 및 두께 10mm로 제작하였으며, 실시예 1 ~ 4에 따른 디스크 시편에 대하여 3 부분에 대한 샘플(a, b, c)을 채취하여 기계적 강도 및 내산화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비교예 1 ~ 2에 따른 벌크 상태의 디스크 시편은 직경 100mm 및 두께 10mm를 갖는 상용화된 합금 제품인 ZeroCopy 및 MESA Lucens를 입수하여 3 부분에 대한 샘플(a, b, c)을 채취하여 기계적 강도 및 내산화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ZeroCopy는 Co-21Cr-4.7Mo-7W-1.5Si로 조성된 것을 이용하였고, MESA Lucens는 Co-28Cr-4Nb-3W-1Si로 조성된 것을 이용하였다.
[표 2] (단위 : 중량%)
Figure 112016060349171-pat00002

2. 기계적 물성 평가
표 3은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2에 따른 시편들에 대한 기계적 물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시편들에 대한 스트레인-스트레스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 및 도 3은 비교예 1 ~ 2에 따른 시편들에 대한 스트레인-스트레스 측정 결과를 나타낸 각각의 그래프이다.
[표 3]
Figure 112016060349171-pat00003
표 2 ~ 표 3과 도 1 ~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 4에 따른 시편의 경우, 비교예 1 ~ 2에 따른 시편들에 비하여 강도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 3 ~ 4에 따른 시편의 경우, 인장강도(TS)의 평균 값이 665.6MPa 및 666.6MPa로 각각 측정되어 강도 특성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 ~ 4에 따른 시편들의 경우, 생체 재료로 적합하지 않은 니켈(Ni)이 첨가되지 않으므로 생체 친화적이고, 실리콘(Si)의 첨가를 통해 융점을 낮출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시편들에 대한 내산화성 및 심미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내산화성 및 심미성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시편들에 대하여 927℃ 온도의 대기 분위기에서 5, 15, 30, 40 및 60분 동안 각각 노출시킨 상태에서 각 시편들에 대한 내산화성 및 심미성을 육안으로 판별하였다. 이때, RGB 지수 값에 따라 색상이 구분되며, RGB 지수 값이 높을수록 밝은 색상을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2에 따른 시편의 경우에는 15분까지는 산화가 더디게 진행되다가 30분이 경과한 후부터 빠르게 산화가 진행하여 심미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 1에 따른 시편의 경우에는 60분이 경과한 후에도 표면 상태에 변화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결과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에 따른 시편의 경우에는 40분이 경과한 후에도 RGB 지수 값이 100 이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반해, 비교예 2에 따른 시편의 경우에는 5분이 경과한 후부터 RGB 지수 값이 100 이하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 실시예 1에 따른 시편이 비교예 2에 따른 시편에 비하여 더 밝은 산화물 색상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3. 경도 측정
도 5는 Co-Cr계 치과용 합금 조성에서 Al의 영향에 따른 경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Co-Cr계 치과용 합금 조성에서 Si의 영향에 따른 경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은 Co-Cr계 치과용 합금 조성에서 Y의 영향에 따른 경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5는 Co-25Cr-xAl-aSi-bY(여기서, x는 1, 2, 5, 7이고, a는 1.5이며, b는 0.2임.) 조성을 갖는 치과용 합금을 이용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Co-25Cr-aAl-xSi-bY(여기서, a는 5이고, x는 0, 0.7, 1.5, 2.5이며, b는 0.2임.) 조성을 갖는 치과용 합금을 이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은 Co-25Cr-aAl-bSi-xY(여기서, a는 5이고, b는 1.5이며, x는 0.05, 0.2, 0.6, 1.2임.) 조성과 Co-25Cr-cAl-dSi-xY(여기서, c는 1이고, d는 2.5이며, x는 0.05, 0.15, 0.6, 1.2임.) 조성을 갖는 치과용 합금을 이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l, Y, Si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l의 경우 2wt% 이상 첨가될 경우 경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7wt%의 함량비로 과도하게 첨가될 경우에는 대략 550Hv의 경도 값을 나타내어 가공성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의 첨가량을 1wt%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너무 낮은 경도, 즉 강도를 보여 도재소부용 합금으로 적절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Si는 1wt% 이상은 첨가되어야 충분한 경도 값을 나타낼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의 첨가량을 변화시킬 시 Al 및 Si의 첨가량에 따라 비커스 경도가 다소 다르게 나타났으나, Y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비커스 경도가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적절한 비커스 경도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1wt%의 Al과 0.05wt%의 Y이 첨가된 경우에는 경도, 즉 합금의 강도가 다소 낮게 측정되었다.
4. 심미성 관찰
도 8 및 도 9는 Co-Cr계 치과용 합금 조성에서 Al 및 Y의 영향에 따른 내산화성 및 심미성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0 및 도 11은 Co-Cr계 치과용 합금 조성에서 Si 및 Y의 영향에 따른 내산화성 및 심미성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10은 950℃에서 15분 동안 노출시킨 후 촬영한 사진이고, 도 9 및 도 11은 950℃에서 60분 동안 노출시킨 후 촬영한 사진이다.
이때, 도 8 및 도 9의 (a) ~ (l)의 구체적인 합금 조성은,
(a) Co-25Cr-1Al-2.5Si-0.05Y, (b) Co-25Cr-1Al-2.5Si-0.15Y,
(c) Co-25Cr-1Al-1.5Si-0.2Y, (d) Co-25Cr-1Al-2.5Si-0.6Y,
(e) Co-25Cr-1Al-2.5Si-1.2Y, (f) Co-25Cr-2Al-1.5Si-0.2Y,
(g) Co-25Cr-5Al-1.5Si-0.05Y, (h) Co-25Cr-5Al-1.5Si-0.15Y,
(i) Co-25Cr-5Al-1.5Si-0.2Y, (j) Co-25Cr-5Al-1.5Si-0.6Y,
(k) Co-25Cr-5Al-1.5Si-1.2Y, (l) Co-25Cr-7Al-1.5Si-0.2Y 인 것을 이용하였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의 (a) ~ (h)의 구체적인 합금 조성은,
(a) Co-25Cr-5Al-0Si-0.2Y, (b) Co-25Cr-5Al-0.7Si-0.2Y,
(c) Co-25Cr-5Al-1.5Si-0.05Y, (d) Co-25Cr-5Al-1.5Si-0.15Y,
(e) Co-25Cr-5Al-1.5Si-0.2Y, (f) Co-25Cr-5Al-1.5Si-0.6Y,
(g) Co-25Cr-5Al-1.5Si-1.2Y, (h) Co-25Cr-5Al-2.5Si-0.2Y 인 것을 이용하였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o-Cr계 치과용 합금 조성에서 내산화성 및 심미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소를 관찰한 결과, 내산화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원소는 Al이고 Si는 약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때, Al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내산화성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Al의 첨가량이 2 wt% 이상 첨가되었을 때 우수한 내산화성 및 심미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Y의 경우에는 0.05wt% 이상에서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5. 산화물 색상 관찰
도 12는 RGB 지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물은 RGB 지수 값에 따라 색상이 구분되며, RGB 지수 값이 높을수록 밝은 색상을 갖는다. 이때, 산화물 색상의 RGB 지수(RGB index) 값을 기준으로 100 이상의 산화물 색상을 갖는 합금 조성을 산화물 색상 관련 목표로 하였다.
도 13 및 도 14는 Co-Cr계 치과용 합금 조성에서 Y의 영향에 따른 RGB 지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5는 Co-Cr계 치과용 합금 조성에서 Si의 영향에 따른 RGB 지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6은 Co-Cr계 치과용 합금 조성에서 Al의 영향에 따른 RGB 지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13은 Co-25Cr-aAl-bSi-xY(여기서, a는 1이고, b는 2.5이며, x는 0.05, 0.15, 0.6, 1.2임.) 조성을 갖는 치과용 합금을 이용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14는 Co-25Cr-cAl-dSi-xY(여기서, a는 5이고, b는 1.5이며, x는 0.05, 0.15, 0.2, 0.6, 1.2임.) 조성을 갖는 치과용 합금을 이용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15는 Co-25Cr-aAl-xSi-bY(여기서, a는 5이고, x는 0, 1.0, 1.5, 2.5이며, b는 0.2임.) 조성을 갖는 치과용 합금을 이용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16은 Co-25Cr-xAl-aSi-bY(여기서, x는 1.0, 2.0, 5.0, 7.0이고, a는 1.5이며, b는 0.2임.) 조성을 갖는 치과용 합금을 이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950℃에서 5분 노출한 결과를 보면 Y의 첨가량이 0.05wt%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RGB 지수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산화물 색상이 밝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Y는 1.2wt%까지 첨가하였을 때, 대략 40분의 고온 노출에서도 산화물 색상이 RGB 지수 100 이상의 값을 가져 바람직한 것으로 나왔으나, Y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산화물 색상의 밝기가 감소하는 경향이 커지고, 주조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1.2wt% 이하의 함량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는 고온 노출 초기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밝은 산화물 색상을 유지하는데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950℃의 고온에서 5분으로부터 15분으로 노출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오히려 산화물 색상을 더욱 밝아지게 만들기 때문에 Si 첨가는 도움을 주지만, 3wt%를 초과하는 함량비로 과도하게 첨가될 시에는 합금의 경도를 과도하게 증가시켜 가공성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3wt% 이하의 함량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l의 첨가량이 1wt% 이하에서는 전체적으로 RGB 지수 값이 100 이하의 어두운 산화물 색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Al의 첨가량이 2wt% 이상인 경우 30분의 고온 노출시간에도 RGB 지수가 100 이상의 값으로 측정되었으며, 이 결과 Al은 1wt%를 초과하는 함량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wt% 이상 첨가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Cr : 22 ~ 29 중량%,
    Al : 2 ~ 6.5 중량%,
    Y : 0.05 ~ 1.5 중량%,
    Si : 1 ~ 3 중량% 및
    나머지 Co로 조성되며,
    연신율(EL) : 2 ~ 1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o는
    60 ~ 7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r은
    24 ~ 26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l은
    3.5 ~ 5.5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는
    0.05 ~ 1.2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i는
    1.5 ~ 2.5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
KR1020160077961A 2015-08-25 2016-06-22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 KR101753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9346 WO2017034306A1 (ko) 2015-08-25 2016-08-23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내식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398 2015-08-25
KR20150119398 2015-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103A KR20170026103A (ko) 2017-03-08
KR101753094B1 true KR101753094B1 (ko) 2017-07-04

Family

ID=584041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961A KR101753094B1 (ko) 2015-08-25 2016-06-22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
KR1020177018375A KR101900735B1 (ko) 2015-08-25 2016-08-23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375A KR101900735B1 (ko) 2015-08-25 2016-08-23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753094B1 (ko)
CN (1) CN1074069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732A (ko) 2018-02-23 2019-09-0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코넬 625 스크랩을 이용한 도재소부용 니켈-크롬 합금
CN115161516B (zh) * 2022-07-18 2023-03-21 嘉兴数字三维智能制造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齿科专用钴铬合金粉末材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2998A1 (en) 2007-03-21 2008-09-25 Arun Prasad Non-magnetic cobalt-palladium dental alloy
US20080241788A1 (en) 2007-03-19 2008-10-02 Degudent Gmbh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dental prosthes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9343A (en) * 1979-11-13 1981-06-10 Jieneritsuku Ind Inc Cobalttchromium alloy
US4530664A (en) * 1980-09-29 1985-07-23 Jeneric Industries, Inc. Cobalt-chromium alloys
RU2051196C1 (ru) * 1993-11-26 1995-12-27 Совместное Российско-Итальянское предприятие "Интеркоут Турбинсервис" Сплав на основе кобальта
IT1294098B1 (it) * 1997-07-10 1999-03-22 Flametal S P A Lega per rivestimenti o riporti resistenti alla corrosione.
EP1295969A1 (en) * 2001-09-22 2003-03-26 ALSTOM (Switzerland) Ltd Method of growing a MCrAIY-coating and an article coated with the MCrAIY-coating
CN101210499A (zh) * 2006-12-28 2008-07-02 沈阳黎明航空发动机(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燃气轮机导向叶片的氧化锆热障涂层及喷涂工艺
EP2584068A1 (en) * 2011-10-20 2013-04-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ating, coating layer system, coated superalloy component
CN102560197A (zh) * 2011-12-15 2012-07-11 北京矿冶研究总院 一种耐高温海洋腐蚀热喷涂用合金粉末及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41788A1 (en) 2007-03-19 2008-10-02 Degudent Gmbh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dental prostheses
US20080232998A1 (en) 2007-03-21 2008-09-25 Arun Prasad Non-magnetic cobalt-palladium dental allo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6919A (zh) 2017-11-28
KR20170087515A (ko) 2017-07-28
CN107406919B (zh) 2020-05-08
KR20170026103A (ko) 2017-03-08
KR101900735B1 (ko)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094B1 (ko)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
EP2578202A2 (en) Metal alloy for fusion of dental ceramics, and dental prosthesis
EP2312002A2 (en) Palladium-cobalt based alloys and dental articles including the same
CN103169624B (zh) 口腔修复瓷材料及其应用
KR101911280B1 (ko) Co-Cr-Nb계 치과용 주조 합금
KR101345332B1 (ko) 도재와의 접합강도가 우수한 니켈-크롬-코발트계 치과용 합금
KR102292582B1 (ko) 도재 결합력이 우수한 Co/Cr계 포세린용 치과합금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치과 보철물
KR101814631B1 (ko) 접합 특성이 우수한 니켈-크롬-코발트계 치과주조용 합금
US6613275B1 (en) Non-precious dental alloy
KR101651397B1 (ko) 치과용 세라믹과의 접합강도가 우수한 코발트계 합금
KR101476145B1 (ko) 도재 금속간 접합 특성과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니켈-크롬-코발트계 도재소부용 합금
KR101345339B1 (ko) 강도와 연성이 우수한 저융점 Ni-Cr계 치과용 합금
JP3983659B2 (ja) 歯科陶材焼付用金合金
JP6524500B2 (ja) 耐酸化性に優れた歯科陶材焼付用合金および歯科補綴物
US4249943A (en) Non-precious ceramic alloy
US20120207645A1 (en) Dental alloy for machining by cad/cam system
KR101703255B1 (ko) 치과 cad/cam용 코발트크롬계합금 금속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S58107436A (ja) 歯科陶材焼付用合金
KR100630505B1 (ko) 도재소부용 치과 주조용 합금
KR20130107966A (ko) 치과 도재소부용 니켈-크롬계 합금
WO2017034306A1 (ko) 절삭 가공성, 내산화성, 내식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co-cr계 치과용 합금
KR100592523B1 (ko) 치과보철용 합금조성물
JP4470658B2 (ja) 超低溶融性及び超低収縮性の特に歯科用に適する金合金
KR100598819B1 (ko) 도재소부용 치과 비귀금속 합금
KR20200068910A (ko) 치과도재소부용 비귀금속 합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