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331B1 -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 Google Patents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331B1
KR101750331B1 KR1020150177900A KR20150177900A KR101750331B1 KR 101750331 B1 KR101750331 B1 KR 101750331B1 KR 1020150177900 A KR1020150177900 A KR 1020150177900A KR 20150177900 A KR20150177900 A KR 20150177900A KR 101750331 B1 KR101750331 B1 KR 101750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charcoal
inner cylinder
inlet
hea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0425A (ko
Inventor
조재신
강길상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77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331B1/ko
Publication of KR20170070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26Closed stoves with several combustion z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6Stov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화덕의 연소 구조 및 축열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연소효율을 개선한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가 개시된다.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목재가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내통; 및
상기 내통을 수용하며 내부에 공기 순환 통로가 형성된 외통;
을 포함하며,
상기 내통은 착화 재료가 투입되는 숯난로 투입구가 하부에 형성되고 목재가 공급되는 목재 투입구가 중간에 형성되며,
상기 외통은 상기 내통을 수용하며 내부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공기 순환 통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통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는 연기 배출을 위한 연기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Contra-F type brazier using firewood}
본 발명은 화목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화덕의 연소 구조 및 축열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연소효율을 개선한 화목 난로에 관한 것이다.
화목 난로란 화목의 소요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완전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화목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는 실외로부터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산소부족으로 인한 두통이나 메스꺼움을 유발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고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폐열을 사용하여 고구마나 밤 등을 굽거나 기타 음식을 데워서 먹을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목재의 효율은 목재 사이의 밀집성의 정도로 결정되므로, 목재를 얼마나 잘 모이게 하는 것이 열효율의 과제라고 할 수 있으며, 목재의 연소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축열을 높이는 것이기 때문에 연소과정에서 생긴 빈 공간을 목재로 계속 채우는 것은 중요한 부분이다.
종래의 화목 난로의 경우, 목재와 목탄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목탄이 지속적으로 쌓이면 이를 긁어내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즉, 불이 꺼지고 다 타고난 후에야 남은 재를 걷어내는 방식을 사용했기 때문에 연속적인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많은 양의 목재를 사용했을 경우 연소된 목탄이 산소의 유입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서 연속적으로 고온상태를 유지할 수 없었다. 이뿐만 아니라 숯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목재의 화력을 숯을 만드는 축열의 방법으로만 사용하여 효율성이 떨어졌다.
이와 같이 종래의 화목 난로는 목재를 적절하게 사용했다고 할 수 없었다. 난로 역시 목재를 이용한 난방이었기 때문에 단기간 화력이 좋은 난방으로 사용했고 장시간의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만약, 화목 난로를 장기간 사용했을 경우에 연료소비가 많아 경제적이지 못하였다.
[선행기술문헌]
등록특허공보 10-1381913(2014.03.31. 등록)
등록특허공보 10-1080198(2011.10.31. 등록)
등록특허공보 10-1380464(2014.03.26. 등록)
본 발명은 난방과 취사를 위한 연료 에너지 분야에 있어서 목재 펠릿, 폐목재, 장작 등의 화목을 사용하는 화목 난로 구조의 효율성과 편리성 증대에 관한 것으로 투입된 목재가 연소하는 연소실과 착화 재료가 연소하는 연소실을 별개로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연소 효율을 개선한 화목 난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의 축열 구조를 개선한 화목 난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의 공기 순환 구조를 개선한 화목 난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난로는
화목 난로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목재가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내통; 및
상기 내통을 수용하며 내부에 공기 순환 통로가 형성된 외통;
을 포함하며,
상기 내통은 착화 재료가 투입되는 숯난로 투입구가 하부에 형성되고 목재가 공급되는 목재 투입구가 중간에 형성되며,
상기 외통은 상기 내통을 수용하며 내부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공기 순환 통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통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는 연기 배출을 위한 연기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숯난로 투입구는
상기 내통에 대하여 90의 각도를 두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목재 투입구는 연료가 되는 목재가 투입되는 곳으로서 하방으로 경사진 직사각형의 각기둥으로서 상기 내통의 중간에서 상기 내통에 대하여 30°내지 45°각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여기서, 상기 숯난로 투입구에 투입되는 휴대용 숯난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숯 난로는
정면에 여닫이식 뚜껑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미닫이식 뚜껑이 형성된 서랍형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통의 하부에는 외부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통에서 상기 목재투입구의 상부에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통에는 상기 목재투입구와 상기 숯난로 투입구 사이에 숯 걸러내는 기구를 투입하는 숯거름 기구 투입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목재가 연소되는 연소실과 착화 재료가 연소하는 연소실을 목재가 착화점에 이르는 과정을 단축시킬 수 있어서, 목재의 발화가 쉬워진다.
본 발명은 콘트라 F(Contra-F) 형식의 화목 난로 구조로 기존의 L자 형식이나 J자 형식과는 다르게 목재와 숯을 분리할 수 있으며, 숯을 제작하는 기구로 사용이 가능하다. 휴대용 숯난로(200)는 숯 보관함으로서의 기능을 함과 더불어 분리 가능한 연료통 기능을 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목재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흑탄과 백탄의 생산이 가능하며, 목재의 사용량에 따라 백탄의 생산량 조절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의 내통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의 외통을 도시한다.
도 7은 숯난로 투입구에 결합되는 휴대용 숯난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의 목재투입구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에 있어서 연소 작용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에 있어서 내통과 외통에서의 공기 순환 작용을 도시한다.
도 11은 숯거름 기구 투입구 및 숯 걸러내는 기구의 작용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1000)는 내통(100)과 외통(102)으로 구성된 이중 구조를 갖는다. 내통(10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목재가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외통(200)은 내통(100)을 수용하는 것으로서 그것의 내부에는 공기 순환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내통(100)의 일측으로 숯난로 투입구(104)와 목재투입구(106)가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그리고 내통(100)과 외통(102)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공(108)과 목재투입구(106)의 위쪽에 설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통(102)에서 연통공(108)에 인접하는 부분에도 내통(100)과의 연통을 위한 연통공이 설치된다.
또한, 숯난로 투입구(104)와 목재투입구(106)의 사이에는 숯거름 기구 투입구(110)가 설치된다.
숯난로 투입구(104)는 발화를 위한 목탄, 종이 등이 투입되거나 하기에서 설명되는 숯 난로 장치(30)가 투입되는 사각기둥 형식의 것으로서 내통(100a)의 하부에서 90의 각도로 설치된다.
목재 투입구(106)는 연료가 되는 목재가 투입되는 곳으로서 대체로 하방으로 경사진 직사각형의 각기둥으로서 내통(100a)의 중간에서 30°내지 45°각도로 설치된다.
외통(102)은 내통(100)을 수용하는 몸체(102a)와 내통(100a)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102b)와 연기배출구(102c)가 형성되어 있고, 덮개부(102b)의 상면에는 내통(100)과 연통되는 화구(102d)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화구(102d)를 통하여 배출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조리를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1000)는 내통(100) 및 외통(102)으로 구성된다. 숯난로 투입구(104)는 내통(100)의 하부에 90의 각도를 가지고 설치된다. 목재투입구(106)는 내통(100)의 중간 부분에 내통(100)에 대하여 30°내지 45°각도를 가지고 설치된다.
연통공(108)는 목재투입구(106)의 상측에 설치된다.
숯난로 투입구(104)의 바로 위에는 숯 거름장치 투입구(110)가 설치된다.
외통(102)의 본체(102a)는 내부에 내통(100)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는 뚜껑(102b), 연기 배출구(102c) 그리고 화구(102d)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의 내통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내통(100)은 숯난로 투입구(104) 및 목재투입구(106)와 일체로 결합되며 목재 투입구(106)의 상부에 연통공(10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의 외통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외통(102)은 내통(100)을 수용하는 본체(102a), 본체(102a)의 상부에 형성된 덮개부(102b), 연기배출구(102c) 그리고 화구(102d)를 가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외통(102)의 본체(102a)는 소정의 두께를 가져서 그것의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한다.
외통(102)의 하부에는 외부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개구부(102e)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숯난로 투입구에 결합되는 휴대용 숯난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후대형 숯난로(200)는 도 1에 도시된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숯난로 투입구(104)에 삽입되는 것이다.
휴대형 숯난로(200)는 함체형의 숯 난로 본체(210), 숯 난로 본체(210)를 여닫는 숯난로 뚜껑(220), 숯 난로 본체(210)의 상면에 형성된 숯 투입구 뚜껑(230), 숯난로 본체(210)와 숯 난로 뚜껑(220)을 결합시키는 힌지(240)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휴대형 숯난로(200)가 분리한 뒤 사용되는 것을 고려하여 숯난로 뚜껑(220)에는 휴대형 숯난로(200)의 무게 이상을 견딜 수 있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며, 휴대가 가능한 손잡이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숯 투입구 뚜껑(230)은 미닫이식으로 하며 숯 난로 장치(200)가 사용될 경우, 산소 공급량을 조절하는 장치가 되며, 본체(100)의 제1공기주입구(104)와 조립될 때 미세기식 손잡이가 방해되지 않도록 손잡이의 높이를 제1공기주입구(104)의 높이를 고려하여 제작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의 목재투입구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목재 투입구(106)는 연료용 목재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목재 투입구(106)는 경사진 직사각형 각기둥 형식의 목재 투입구 본체(310) 및 상기 목재 투입구 본체(310)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받침부(320) 그리고 목재 투입구 본체(310)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목재 투입구 뚜껑(330)을 갖는다. 받침부(320)에는 공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구멍(320a)이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에 있어서 연소 작용을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내통(100) 내부의 하측에는 착화 연소가 이루어지는 착화연소실이 형성되고 내통(100)의 중간에는 목재가 연소되는 고온연소실이 형성된다.
착화연소실은 착화를 위해 투입된 숯, 종이 등이 연소하는 공간으로서 이 착화연소실의 온도는 약 400℃이다. 한편, 고온연소실은 연료가 되는 목재가 연소하는 공간으로서 이 고온연소실의 온도는 약 1500℃이다.
숯난로 투입구(104)를 통하여 종이 등을 투입하여 연소시키면 이에 의해 발생되는 약 400의 온도에 의해 목재투입구(106)를 통하여 투입된 목재에 불이 붙어 타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에 있어서 내통과 외통에서의 공기 순환 작용을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숯난로 투입구(104)가 1차 공기 주입구를 이루게 되고, 목재 투입구(106)가 2차 공기 주입구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숯난로 투입구(104) 및 목재투입구(106)를 통하여 주입된 외부 공기는 착화연소실 및 고온연소실에서 달구어지고 고온이 되어 내통(100)의 상부로 상승한다.
한편, 외통(102)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102e)는 3차 공기 주입구를 이루게 된다.
내통(100)의 상부로 상승된 공기는 외통(102)의 덮개부(102b)를 통하여 외통(102)의 본체(102a) 하부로 하강하고, 개구부(102e)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와 혼합된 후 내통(100)의 상부에 형성된 연통공(108)를 통하여 다시 내통(100)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외통(102)에 의한 공기 순환 구조에 의해 내통(100)에 투입된 목재가 효과적으로 연소되게 된다.
즉, 숯난로 투입구(104)에 이루어지는 1차 공기 투입구는 목재와 종이의 연소 과정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게 되고, 목재 투입구(106)에 의해 이루어지는 2차 공기 투입구는 목재의 연소과정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게 되며, 개구부(102e)에 이루어지는 3차 공기 투입구는 연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더불어 불완전 연소된 가스의 완전연소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1000)에서는 내통(100)과 외통(102) 사이의 공간이 데워지면서 축열 작용이 발생한다. 즉, 내통(100)과 외통(200)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구조가 보온병과 같은 작용을 함으로써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1000)의 내부에 열이 축적된다.
연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통(100)과 외통(200)이 달구어짐에 따라 더 높은 온도로 축열이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내통(100)과 외통(200) 사이의 공기 순환 작용에 의해 목재가 효과적으로 연소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축열 작용 및 공기 순환 작용이 연쇄적으로 또한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연소 및 축열이 이루어진다.
도 11은 숯거름 기구 투입구 및 숯 걸러내는 기구의 작용을 도시한다.
숯 걸러내는 기구(320)는 숯거름 기구 투입구(110)를 통하여 투입된다. 숯거름 기구 투입구(110)의 설치시 숯거름 기구 투입구(110)와 내통(100)의 뒤쪽 벽과의 사이에 약간의 공간이 생기는데 그 공간이 목탄이 부서지고 떨어지게 되는 공간이다. 숯 걸러내는 기구(320)에 있는 기다란 구멍이 의미하는 것은 재가 떨어지는 곳과 1차 투입 공기가 들어가는 공간이다.
숯거름 기구 투입구(110)는 목재에서 생성된 재가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방해하므로 밑으로 제거해서 원활한 연소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숯 난로(200)에 있어서, 휴대용 숯 난로(200)가 숯난로 투입구(104)로 조립되는 과정에서 숯을 걸러내는 기구(320)에 걸리지 않도록 숯거름 기구 투입구(110)의 높이를 숯난로 투입구(104) 윗부분에서 목재투입구(106)의 밑 부분까지 높이의 1.5~2배로 한다. 단, 숯이 떨어져 내려가는 공간의 여유를 고려하여, 숯난로 투입구(104) 뒷면과 숯 걸러내는 기구(320) 사이의 간격에 충분한 여유를 가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목재의 연소를 통한 난방보다 숯의 연소를 통한 난방으로, 열지속성을 향상시키고 난로가 배치되는 공간에 연소에 의한 연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기관지 및 천식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서 숯과 목재는 각각 가지고 있는 가장 효율적인 화력 높이를 기준으로 사용 목적을 나눠서 연료를 사용하며, 목재의 경우 연소되는 불의 끝 부분 온도가 가장 발화점이 높고 숯의 경우 내부 축열의 발화점이 높으므로 이 두 가지 연료를 높이에 맞는 기관에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콘트라F 형식 화목 난로의 구조는 목재투입구(106)로 투입되어 연소된 목재가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는 구조이다. 통상 연소 공간의 빈 공간은 불의 높이 및 효율에 악영향을 미치는데, 이 문제를 중력이 해결하도록 설계된 구조이다. 휴대용 숯난로(200)는 숯난로 투입구(104)에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고 남은 숯이 떨어지는 것을 수집하도록 구성하여, 연소된 목재에서 목탄(숯)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숯(백탄, 흑탄) 형성 과정에서 목재의 발화점을 기준으로 1차, 2차, 3차 공기 투입구를 개방한 상태로 5분이 경과했을 경우, 내부의 철의 온도는 176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었으며, 고온연소실의 온도는 192℃로 주변 철의 온도보다 좀 더 빠르게 상승했다. 화목 난로 주변 온도 역시 대기 온도 26℃를 기준으로 대략 상승한 46℃를 유지했으므로 난방의 기능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숯난로 투입구(104)는 목재의 착화점을 고려한, 착화 연소실 기능도 하는데, 일반적인 목재의 착화점은 270이므로 발화하는 과정까지 화력이 필요하다. 이때, 착화 연소실에서 빠른 연소를 갖는 고효율의 연료를 사용하여 목재의 착화과정까지 단시간에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외통(102)은 내통(100)에서 빠져나가는 열을 내부에서 한 번 더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숯과 목재를 분리하는 기능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강도와 중력이다. 일반적인 소나무를 기준으로, 숯(흑탄)의 강도는 손으로 부서지는 정도이고 목재의 강도는 747Kg/ 이다. 목재의 연소과정에서 숯이 형성되고 약간의 충격을 받으면 숯과 목재가 분리되어 부서지게 되고 중력에 의해 숯은 밑에 있는 휴대용 숯 난로에 보관되고 목재는 다시 중력에 의해 빈 공간을 채우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숯을 제작하기 위해서 화목 난로의 재질은 철로 한다. 철의 내열은 기본적으로 1560이므로 고온에서 버틸 수 있는 견고한 재질이며 열전도율은 40~50/mh으로 축열에 효과적이다.
지속적인 축열에 의해 상승된 내통(100) 내부의 온도와 목재의 연소열을 통해 목재의 내부는 1000℃ 이상으로 올라가서 백탄이 생성되고 목재의 외부는 400~700℃ 정도에서 흑탄을 형성한다. 화목 난로의 사용시간이 증가할수록 축열이 높아져 백탄의 생산 가능성은 높아지고 흑탄의 생산가능성은 낮아진다. 일반적인 목재의 자연 발화점은 400이므로 연소하는 과정에서 흑탄은 지속적으로 생산되므로, 화목 난로의 사용시간만을 고려하여 백탄의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차, 2차, 3차 공기주입구에 있어서, 연소된 불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데 모든 공기주입구를 모두 개방했을 때, 연소 높이는 화덕 요리 및 찜요리를 하는데 가장 이상적이고, 2차, 3차 공기주입구만을 개방하였을 경우 볶음 요리에 이상적인 상태가 된다. 목재의 발화점을 기준으로 5분이 경과했을 경우 1차, 2차, 3차 공기투입구를 개방상태를 비교해보면 모두 개방했을 경우 냄비 주변까지 오는 화력은 450까지 측정되었으며, 2차 공기투입구를 밀폐했을 경우에는 380까지 화력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요리와 난방을 분리함에 있어서 기존의 스토브(Stove) 형식과 다른 휴대성 난로(200) 형식를 가지게 된다. 기존의 스토브의 경우 화덕과 난로기 일체화된 형식이므로 이동에 불편함이 있었고 목재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로 인해 많은 기관지 문제를 발생하므로 장소의 제한이 높다. 반면, 휴대용 날로(200)의 경우, 숯을 난방의 연료로 사용하여 목재보다 열유지의 지속시간이 길고 연소과정에서 생기는 연기가 없어, 난로가 사용되는 장소의 제한을 줄인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투입구를 통해 열효율성 및 지속시간의 조절이 가능하다. 목재의 발화점을 기준으로 5분이 경과했을 때, 물의 온도는 92도를 유지했고 냄비 주변의 온도는 420℃를 넘었다. 하지만, 숯난로 투입구(104)를 차단했을 경우 냄비 주변의 온도는 340℃ 정도로 화력이 낮아지는 대신에 목재의 연소시간이 길어져 열의 지속시간이 길어졌으므로 공기투입구를 통한 공기량의 조절로 열효율 및 지속시간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농촌분야의 사업에도 발전 가능성이 있어서, 이동식 화덕과 함께 휴대용 숯 난로의 기능은 난방과 다양한 조리기구로 농촌에서 필요한 분야이고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에서 생산되는 생산물 역시 농촌생활에서 빠질 수 없는 부분이다.
l차 생산물인 숯은 난방이나 숯불 요리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적정기술을 목표로 제작되어, 고효율의 화목 난로이므로 동남아, 아프리카, 중동, 아시아와 같이 기존의 화덕으로 목재를 사용하는 개발도상국에 필요한 기술이며, 목재의 사용량의 감소로 개발도상국 사용자의 생활유지비에 대한 경제적인 절약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시간에 목재를 이용해 숯을 제작하는 기능도 있으며, 이동이 가능하고 화덕 사이즈의 축약이 가능하여 캠핑산업에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1000...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100...내통 102...외통
104...숯난로 투입구 106..목재투입구
108...연통공 110...숯거름 기구 투입구

Claims (7)

  1. 화목 난로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목재가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내통; 및
    상기 내통을 수용하며 내부에 공기 순환 통로가 형성된 외통;
    상기 내통에서 상기 목재 투입구의 상부에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공;
    상기 내통은 착화 재료가 투입되는 숯난로 투입구가 하부에 형성되고 목재가 공급되는 목재 투입구가 중간에 구성되며,
    상기 숯난로 투입구는 상기 내통에 대하여 90°의 각도를 두고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상기 목재 투입구는 연료가 되는 목재가 투입되는 곳으로서 하방으로 경사진 직사각형의 각기둥으로서 상기 내통의 중간에서 상기 내통에 대하여 30°내지 45°각도로 설치되며,
    상기 외통은 상기 내통을 수용하며 내부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공기 순환 통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통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는 연기 배출을 위한 연기배출구;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개구부는 상기 숯난로 투입구를 1차 공기주입구로 구성하고,
    상기 숯난로 투입구의 상부에 상기 목재투입구를 제2차 공기 주입구로 구성하며,
    상기 외통의 하부에는 외부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구성된 개구부를 제3차 공기 주입구로 구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숯난로 투입구에 투입되는 휴대용 숯난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숯 난로는 정면에 여닫이식 뚜껑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미세기식 뚜껑이 형성된 서랍 형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에는 상기 목재 투입구와 상기 숯난로 투입구 사이에 숯 걸러내는 기구를 투입하는 숯거름 기구 투입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KR1020150177900A 2015-12-14 2015-12-14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KR101750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900A KR101750331B1 (ko) 2015-12-14 2015-12-14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900A KR101750331B1 (ko) 2015-12-14 2015-12-14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425A KR20170070425A (ko) 2017-06-22
KR101750331B1 true KR101750331B1 (ko) 2017-07-03

Family

ID=5928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900A KR101750331B1 (ko) 2015-12-14 2015-12-14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3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993A (ko) 2017-08-22 2019-03-05 황석근 스마트 우드 스토브
KR20200102680A (ko) 2019-02-22 2020-09-01 정진후 휴대용 스토브
WO2020175716A1 (ko) 2019-02-25 2020-09-03 정진후 휴대용 스토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767Y1 (ko) * 2000-05-31 2000-11-15 이원림 나무난로
KR200439169Y1 (ko) 2007-01-31 2008-03-24 이정식 숯점화기본체 및 숯점와기본체를 이용한 숯점화장치
KR200470513Y1 (ko) * 2013-04-26 2013-12-23 최두일 난방 및 취사 모드로 전환 가능한 다목적 난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767Y1 (ko) * 2000-05-31 2000-11-15 이원림 나무난로
KR200439169Y1 (ko) 2007-01-31 2008-03-24 이정식 숯점화기본체 및 숯점와기본체를 이용한 숯점화장치
KR200470513Y1 (ko) * 2013-04-26 2013-12-23 최두일 난방 및 취사 모드로 전환 가능한 다목적 난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993A (ko) 2017-08-22 2019-03-05 황석근 스마트 우드 스토브
KR20200102680A (ko) 2019-02-22 2020-09-01 정진후 휴대용 스토브
WO2020175716A1 (ko) 2019-02-25 2020-09-03 정진후 휴대용 스토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425A (ko)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331B1 (ko)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US20150034064A1 (en) Firewood-, coal- or biomass-economizing stove with multiple combustion chamber, thermal insulation, cooking hob and chimney
KR101650239B1 (ko) 화목난로
KR101849395B1 (ko) 펠렛 난로
KR20180027775A (ko)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KR101134044B1 (ko)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KR20160005466A (ko) 캠핑난로
KR101579258B1 (ko) 난방 펠릿난로
KR101258023B1 (ko) 펠렛연료용 무동력 난로
KR101771983B1 (ko) 고기구이 불판을 갖는 화목 난로
KR101434902B1 (ko) 벽난로가 결합된 아궁이에 삽입되는 후면이 개방된 보일러
KR200404704Y1 (ko) 화목보일러
RU98880U1 (ru) Гриль-коптильня
KR100766469B1 (ko) 보일러 겸용 벽난로
KR20150002292U (ko) 펠렛 및 화목 겸용 난로
CN204757030U (zh) 便携式多功能气化炉
KR20130015543A (ko) 온돌아궁이형 벽난로가 구비된 온돌시스템
KR20140050977A (ko) 다목적 화목난로
CN105823076A (zh) 便携式自主增压引风户外炉
CN202546831U (zh) 一种户用生物质半气化炉
KR101380464B1 (ko) 오븐실을 겸비한 하향연소식 난로
KR20160083836A (ko) 다목적 화목난로
KR20150140881A (ko) 실내에 설치하는 화목보일러
KR20160001617U (ko)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KR20190043287A (ko) 난방 겸용 화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