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741B1 -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uccessively back-washing - Google Patents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uccessively back-was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741B1
KR101748741B1 KR1020130019918A KR20130019918A KR101748741B1 KR 101748741 B1 KR101748741 B1 KR 101748741B1 KR 1020130019918 A KR1020130019918 A KR 1020130019918A KR 20130019918 A KR20130019918 A KR 20130019918A KR 101748741 B1 KR101748741 B1 KR 101748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water
filter
filtration
unit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9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40972A (en
Inventor
이수태
표태성
이수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나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to KR1020130019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741B1/en
Publication of KR20130040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9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7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를 여과방식에 의해 처리하는 여과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어하에 여과장치에서의 다수의 여과유닛들 중 바디 내부의 압력과 일정 범위 이상의 차압이 발생하는 여과유닛별로 순차적으로 자동세척부를 구동시켜, 이물질 역세척과정에서의 배압증가를 방지하여 역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각 여과유닛의 필터 내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를 바디 상부의 필터인입공을 덮는 상부덮개판을 관통하는 압력측정공을 통해 설치함으로써,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ration apparatus for treating ballast water by a filtration metho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which, under control of a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smoothly perform backwashing by preventing the increase of the back pressure in the backwashing process of the foreign substance by driving the automatic washing unit sequentially by the filtration unit in which the differential pressure over a certain range is generated,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tank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backwashing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maintenance by installing a second pressure sensor through the pressure measuring hole passing through the upper cover plate covering the entrance which is the filter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Description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uccessively back-washing}[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equential backwashing,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를 여과방식에 의해 처리하는 여과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어하에 여과장치에서의 다수의 여과유닛들 중 바디 내부의 압력과 일정 범위 이상의 차압이 발생하는 여과유닛별로 순차적으로 자동세척부를 구동시켜, 이물질 역세척과정에서의 배압증가를 방지하여 역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각 여과유닛의 필터 내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를 바디 상부의 필터인입공을 덮는 상부덮개판을 관통하는 압력측정공을 통해 설치함으로써,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ration apparatus for treating ballast water by a filtration metho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which, under control of a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smoothly perform backwashing by preventing the increase of the back pressure in the backwashing process of the foreign substance by driving the automatic washing unit sequentially by the filtration unit in which the differential pressure over a certain range is generated,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tank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backwashing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maintenance by installing a second pressure sensor through the pressure measuring hole passing through the upper cover plate covering the entrance which is the filter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밸러스트수(ballast water)란 선박이 짐을 싣지 않고 운항하는 경우에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선박 내의 밸러스트 탱크에 채우는 해수를 의미한다.Ballast water means seawater filled in the ballast tanks in order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ship when the ship is operated without luggage.

국제교역량의 증가와 함께 해상운송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선박 수의 증가 및 대형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어 선박에서 사용하는 밸러스트수의 양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선박에서 사용하는 밸러스트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외래 해양생물종들로 인한 토착 해양생태계의 피해 발생 사례 역시 증가하고 있는 바, 이러한 국제적인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4년도에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선박의 밸러스트수와 침전물의 통제와 관리에 대한 국제협약'이 완성되어 2009년부터 신규 건조되는 선박에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With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trade volume, the marine transportation ratio is increasing, and as the number of vessels increases and the size of vessels increases rapidly, the volume of ballast water used by vessels is greatly increasing. As the amount of ballast water used in vessels increases, the number of cases of harms caused by marine ecosystems due to foreign marine species is also increasing. In order to solve thes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problems,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Ballast Water and Sediments of Ships has been completed, and a new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has been installed on ships newly constructed from 2009.

종래 밸러스트수를 처리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밸러스트수를 해상에서 교환하거나 육상에서 처리하는 방식이 있었으나,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어 선박 내에 밸러스트수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시설을 설치하는 방식이 많이 활용되고 있고, 특히 밸러스트수 처리시설에 사용되는 처리방식으로 필터를 사용한 여과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는데, 선박이 대형화됨에 따라 큰 선박에서는 많은 양의 밸러스트수를 처리하여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므로, 그에 따라 대용량의 밸러스트수를 처리할 수 있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Conventionally, as a method for treating ballast water, there has been a method in which ballast water is exchanged at sea or treated on the land,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has a disadvantage of inefficiency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treatment facility for treating ballast water in a ship is widely used, In particular, a filtration method using a filter as a treatment method used in a ballast water treatment facility is mainly used. As a ship becomes larger, the need to treat a large amount of ballast water in a large ship is increased. Therefore,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device is used.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란, 여과장치 내에 필터와 이를 자동으로 세착하는 장치가 하나의 세트를 형성하는 여과유닛 다수 개가 집적되어 있는 것으로, 여과유닛이 다수 포함됨에 따라 그만큼 밸러스트수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용량도 많아지게 되므로 대용량의 밸러스트수를 처리하여야 하는 큰 선박 등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system is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each of which forms a single set of a filter and a device for automatically cleaning the same, are integrated in the filtration apparatus. And thus it is mainly utilized in large vessels where large volume of ballast water must be treated.

도 1은 종래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평면도이다. FIG. 1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nd FIG. 2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그러나, 종래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서는, 바디 내부에 유입되는 부분에서의 압력 대비 바디에서 유출되는 부분에서의 압력 간의 차압이 일정 범위 이상이 되는 경우에 일괄적으로 모든 여과유닛의 필터에 대해 역세척작업을 진행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모든 여과유닛에서 흡입된 이물질과 역세척수 등이 한꺼번에 역세척라인으로 집중되게 되어 배압이 증가함으로써, 역세척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pressure at the portion flowing into the body and the pressure at the portion flowing out from the body becomes equal to or more than a certain range, Since the backwashing operation is carried out, the backwashing efficiency is lowered because the backwashing pressure is increased because the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from all the filtration units and the backwash water are collectively concentrated in the backwashing line at the same time.

또한, 종래의 여과장치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장치에 포함된 각 여과유닛을 역세척하기 위한 역세척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부(a)는 물론 역세척 후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b) 및 그 배관라인(c)이 모두 여과장치의 상부에 집중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위 구성들이 혼재됨에 따른 설치, 교체 및 해체시에 작업이 번거롭게 되며, 특히 선박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는 이러한 여과장치가 설치되는 공간 역시 매우 협소(선박 고유의 목적을 위한 공간을 넓게 확보하기 위해 기계실과 같은 공간은 상대적으로 협소하게 설계됨)하기 때문에 여과장치 상측공간이 매우 협소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종래와 같이 여과장치의 상부에 구성들이 집중되는 구조에서는 더욱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증대될 수밖에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1 and 2, the conventional filtration apparatus includes a drive unit (a) for driving a backwashing apparatus for backwashing each filtration unit included in the filtration apparatus, as well as a drive unit Since the discharge portion b and the piping line c are all concentr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the operation is troublesome when installing, replacing and disassembling due to the mixing of the above configurations. In particular, The space in which the filtration device is installed is also very narrow (the spaces such as the machine room are designed to be relatively narrow to secure a space for the purpose of the ship itself), so that the space above the filtration device is very narrow,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s are concentr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ltration device as in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difficulty of maintenance is inevitably increased.

또한, 위와 같이 여과장치의 각 구성들이 여과장치의 상부에 집중되면 집중될수록 이를 설치 및 해체하기 위해 필요한 상부공간 역시 커져야 하기 때문에, 선박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여과장치를 위해 별도의 상부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공간구조를 야기하는 문제 또한 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upper space required for installing and dismantling the upper part of the filtration device becomes larger as the components of the filtration device are concentr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ltra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eparate upper space for the filtration device in a special environment of the ship There is also a problem of causing an inefficient spatial structure.

또한, 종래의 여과장치에서는 단순히 바디 내부로 밸러스트수가 유입되는 측 즉, 유입부에서의 압력(도 1,2에서 유입부압력센서(d) 참조)과 바디에서 외부로 밸러스트수가 배출되는 측 즉, 유출부에서의 압력(도 1,2에서 유출부압력센서(e) 참조)을 측정하여, 양자 간의 차압이 커지게 되면(즉, 유출부에서의 압력에 비해 유입부에서의 압력이 커지게 되면) 필터 내에 이물질을 역세척하는 자동세척부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자동세척부를 운용하여 왔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을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서도 그대로 적용할 경우 자동세척부에 의한 역세척작업이 항상 다수의 여과유닛에서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므로, 동시에 역세척작업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여과유닛에서 한꺼번에 흡입된 역세척수나 이물질 등이 배출관을 통해 한꺼번에 배출되어 배출관 관로에 역세척수의 유량 및 이물질 등이 급격히 증가하여 유량이 증가하거나 이물질 등이 배출관의 관로를 막아 형성하는 배압이 증대되고 그에 따라 역세척효율 및 여과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filtration device, the side where the ballast water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body, that is, the pressure at the inlet (refer to the inlet pressure sensor (d) If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two is greater (i.e., the pressure at the inlet is greater than the pressure at the outlet), the pressure at the outlet (see outlet pressure sensor (e) ) Since the automatic washing unit has been oper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automatic washing unit for backwashing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filter has been operated, if such a system is applied to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s it is, So that the backwash water or the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at one time from the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backwashing operation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at on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ckwashing efficiency and the filtration efficiency are deteriorated due to an increase in the flow rate of the backwash water and the backwash water formed in the outlet pipe by blocking the channel of the outlet pipe .

또한, 종래의 여과장치에서는 각 여과유닛을 역세척하는 과정에 있어 역세척장치에 사용되는 구성들이 서로 부딪혀 파손되거나 또는 쌓인 이물질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단들이 부족하고, 사용 정지 중에 여과장치 내부에 방치되는 밸러스트수로 인한 문제나, 여과되지 않은 밸러스트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의 기밀에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구성 역시 갖추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filtration device, there is a lack of means for fundamentally preventing the case that the components used in the backwashing device are damaged by collision with each other or damaged by the accumulated foreign substances in the process of backwashing each filtration unit, There is also no technical arrangement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the airtightness of the filter that can prevent the problem caused by the ballast water left in the filtration device during stoppage and the leakage of unfiltered ballast wa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부의 제어하에 여과장치에서의 다수의 여과유닛들 중 바디 내부의 압력과 일정 범위 이상의 차압이 발생하는 여과유닛별로 순차적으로 자동세척부를 구동시켜, 이물질 역세척과정에서의 배압증가를 방지하여 역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riving an automatic washing unit sequentially in accordance with a filtering unit in which a pressure difference within a body and a pressure difference within a certain range are generated among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in a filtration apparatus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that can automatically perform backwashing which can prevent backwashing by preventing backwash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여과유닛의 필터 내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를 바디 상부의 필터인입공을 덮는 상부덮개판을 관통하는 압력측정공을 통해 설치함으로써,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maintenance by providing a second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 the filter of each filtration unit through a pressure measuring hole passing through an upper cover plate covering a hol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박에 장착되는 여과장치의 특수한 설치환경을 고려하여 여과장치 상부에 집중되던 구성들 중 필터 역세척 후 이물질의 배출을 위한 배출부와 그 역세척라인을 여과장치의 하부로 분산시킴은 물론, 각 여과유닛의 배출관을 하나의 라인으로 연통함으로써, 구조의 간단화와 여과장치 상부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줄일 수 있게 함은 물론, 각 여과유닛의 이물질 배출 및 배압관리를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haust unit for discharging foreign matter after backwashing of a filter among components that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upper portion of a filtration apparatus in consideration of a special installation environment of a filtration apparatus mounted on a ship,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and to reduce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upper part of the filtration device, as well as to control the discharge and back pressure management of each filtration uni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that automatically controls sequential backwashing that can be integrated and efficiently manag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여과유닛 내 필터의 역세척을 위해 상하이동하는 자동세척부 구성들이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중 삼중의 관련 구성들을 포함하여,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device by including double-triple related arrangements which can prevent the up-and-down moving au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which can automatically control sequential backwashing to ensure durabi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여과유닛 내 필터를 역세척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가 이동경로 상의 필터에 미흡입되는 이물질을 남기지 않도록 하며, 배출관 및 역세척라인 내에 배압이 형성되는 것을 막고, 미작동시에는 여과장치 내 모든 밸러스트수를 배출시킬 수 있고, 필터의 기밀 유지 및 교체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suction portion for sucking foreign matter in a process of backwashing a filter in each filtration unit is prevented from leaving foreign matter not sucked into a filter on a moving path,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which can automatically discharge back all the ballast water in the filtration apparatus at the same time and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backwashing in order to improve the hermeticity and replacement convenience of the filter.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equential backwashing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following arrang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는 밸러스트수가 유출입되는 유입부와 유출부를 갖는 바디 내에 다수의 여과유닛이 패키지화되어 연결되며,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바디 내부를 흐르는 밸러스트수를 여과시키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역세척하는 자동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와, 각 여과유닛마다 설치되어 각 여과유닛의 필터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를 포함하여, 제어부의 제어하에 바디 내부의 압력과 일정 범위 이상의 차압이 발생하는 여과유닛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자동세척부를 구동시켜, 이물질 역세척과정에서의 배압증가를 방지하여 역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backwas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packaged and connected in a body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ballast water flows in and out, A first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inside the body, a filter for filtering the ballast water flowing in the inside of the body, and an automatic washing unit for backwashing th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filter, And a second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inside the filter of the unit. The automatic washing unit is sequentially driven for each filtration unit under pressure of the inside of the body under a control of the control unit, So that backwashing can be smoothly perform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압력센서는 상기 바디 상부의 필터인입공을 차단하는 상부덮개판을 관통하는 압력측정공을 통해 필터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ressure sensor includes a pressure measuring hole passing through the upper cover plate blocking the entrance of the filter, And the internal pressure is measur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세척부는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자동세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움직이면서 상기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배출관이 상기 바디의 하부에 위치하며, 다수의 여과유닛의 배출관이 하나의 배출라인으로 연통 형성됨으로써, 선박 내 공간효율성을 높이고 간단한 구조를 이룰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washing unit includes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automatic washing unit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foreign substances sucked by the suction unit, wherein the discharge unit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the discharge pipe serving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are discharged,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ne discharge line, thereby enhancing the space efficiency in the ship and achieving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세척부는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자동세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움직이면서 상기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봉이 연결되어 흡입봉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으로 작용하는 코어의 일측에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스토퍼가 바디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코어의 상하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흡입봉이 바디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washing unit includes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automatic washing unit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foreign substance sucked by the suction unit, wherein the suction unit is connected to a suction rod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filter, A stopper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topper so as to restrict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core when the stopper comes in contact with the body, thereby preventing the suction bar from being damaged by bumping against the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게 되는 바디에는 부싱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는 금속재질로, 상기 부싱은 비금속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스토퍼와 바디의 접촉에 따른 스토퍼나 바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is provided with a bushing, the stopper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ereby preventing the stopper and the body from being damag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stopper and the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세척부는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자동세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움직이면서 상기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및 상하이동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측의 일측에 부착된 접촉수단과, 상기 흡입부의 상하이동간격만큼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접촉수단과 접촉하게 되는 한 쌍의 제1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보다 각각 상하로 더 이격되어 흡입부의 상하이동제한구간을 설정하는 한 쌍의 제2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여, 접촉수단이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의 이격간격을 넘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에 의해 이중으로 흡입부의 이동을 제한시켜 흡입부가 바디와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washing unit includes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automatic washing unit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shaft which is rotated and moved up and down by a driving motor, contact mean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riving side, A pair of first limit switch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n up-and-down movement interval of the suction uni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means, and a pair of second limit switch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bove and below the first limit switch, A pair of second limit switches, wherein the contact means moves beyond the spacing of the first limit switch Wu said first characterized in that to limit the intake by the mobile unit to the double by the second limit switch prevents the suction unit is damaged collide with the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는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와 대향되도록 위치하여, 제1리미트스위치와 제2리미트스위치의 이격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제2리미트스위치가 상기 접촉수단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imit switch is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limit switch, and the first limit switch and the second limit switch And the second limit switch can accurately sense the contact means even when the separation interval is narrow.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세척부는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자동세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움직이면서 상기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봉과, 상기 흡입봉이 연결되며 구동부에 연동하여 흡입봉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으로 작용하는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봉은 흡입구의 직경이 흡입봉이 1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는 리드 길이보다 대략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흡입봉이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역세척하지 않은 부분을 남기지 않으면서 중첩되어 이물질을 역세척하여 필터 역세척효율을 높이고 흡입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washing unit includes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automatic washing unit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a discharging portion for discharging the foreign substance sucked by the suction portion, wherein the suction portion includes a suction rod for sucking the foreign substance adhered to the filter, and a suction rod connected to the suction rod, Wherein the diameter of the suction port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or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lead that moves up and down with one rotation of the suction rod so that the portion of the suction rod that has not been backwashed The filter backwash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backwashing the foreign matter It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the suction rod breakag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하부에는 드레인라인이 형성되어, 여과장치의 동작이 정지된 경우 바디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상기 드레인라인으로 배수시켜 고여 있는 밸러스트수로 인한 바디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바디의 상부에는 바디 내부에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에어주입부을 포함하여, 바디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상기 드레인라인을 통해 배수시 에어를 주입하여 바디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rain line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when the operation of the filtration apparatus is stopped, And an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ir into the body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to prevent ballast water in the body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line, And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body can be remov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이 형성하는 역세척라인의 하부에는 제2드레인라인이 형성되어, 여과장치의 동작이 정지된 경우 역세척라인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상기 제2드레인라인으로 배수시켜 고여 있는 밸러스트수로 인한 역세척라인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배출관 상에는 배출관 내부에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제2에어주입부가 배치되어, 역세척라인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상기 제2드레인라인을 통해 배수시 에어를 주입하여 배출관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rain line is formed below the backwash line formed by the discharge pipe, and when the operation of the filtration apparatus is stopped The ballast water in the backwashing line is drained to the second drain line to prevent corrosion inside the backwash line due to the ballast water being accumulated and a second air injection portion capable of injecting air into the discharge pipe Thereby discharging the ballast water in the backwashing line through the second drain lin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측이 상기 바디의 상부면에 결합하고, 하측이 상기 바디의 격벽에 결합하며, 필터의 상측과 하측 말단에는 바디와 직접 접촉하여 안착되는 시트가 부착되고, 상기 시트과 바디의 접촉면에는 오링이 위치하여, 여과압력에 의해 필터 내부의 여과 전 밸러스트수가 필터와 바디의 접촉면 틈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e lower side is coupled to the partition of the body, And an O-ring is disposed at a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eat and the body, so that the pre-filtering ballast water inside the fil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into the gap between the filter and the body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 상측의 시트는 상기 바디 상부면에 형성된 필터인입공을 차단하는 상부덮개판의 하향돌출편과 접촉하며, 상기 오링은 상기 상부덮개판의 하향돌출편에 함입형성된 오링홈 내에 삽입되므로, 상기 상부덮개판만을 분리하면 오링을 교체할 수 있어 용이하게 오링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et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is in contact with the downward projecting piece of the upper cover plate, And the O-ring is inserted into the O-ring groove formed in the downward protruding piece of the upper cover plate, so that the O-ring can be replaced by removing only the upper cover plate, thereby easily performing the O-ring replacement ope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측의 시트는 상기 바디 격벽에 형성된 밸러스트수유입공을 둘러싸는 돌출편과 접촉하며, 상기 오링은 상기 필터 하측의 시트에 함입형성된 제2오링홈 내에 삽입되므로, 상기 필터만을 분리하면 오링을 교체할 수 있어 용이하게 오링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et below the filter contacts a protruding piece surrounding the ballast water feeding hole formed in the body partition wall, Since the O-ring is inserted into the second O-ring groove formed in the lower sheet, the O-ring can be replaced by separating only the filter. Thus, the O-ring replacement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각 여과유닛의 배출관이 연통하여 형성한 하나의 배출라인 상에 배압방지탱크를 포함하여, 배출라인의 역세척수 및 이물질이 일차로 상기 배압방지탱크에 저장되어 배출라인 상에 배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section includes a back pressure preventing tank on one discharge line formed by a discharge pipe of each filtration unit, The backwash water and foreign matter in the line are stored in the back pressure preventing tank in a primary way to prevent the back pressure on the discharge line from increas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압방지탱크는 역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보다 배출되는 배출구가 낮게 위치하여 배압방지탱크 내 수위가 상기 유입구보다 낮게 유지되도록 하며, 탱크 내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와, 상기 수위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위가 일정 높이 이상인 경우 탱크 내 저장된 역세척수를 배출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탱크 내 수위를 일정 높이 이하로 유지하여 역세척라인 상에 배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pressure preventing tank is disposed such that the discharge port discharged from the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backwash water flows is low and the water level in the back pressure- And a pump for discharging the backwash water stored in the tank when the water level measured by the water level sensor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height, the water level in the tank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prevent the back pressure on the backwash line from increas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서의 순차적 역세척 자동제어방법은 바디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여과처리된 밸러스트수가 저장된 바디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측정단계; 각 여과유닛마다 설치되는 제2압력센서를 이용하여 각 여과유닛의 필터 내부의 압력을 개별적으로 측정하는 제2압력측정단계;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제2압력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각 여과유닛의 필터 내부의 압력들 중 상기 제1압력측정단계에서 측정된 바디 내부의 압력과 일정 범위 이상의 차압이 발생하는 여과유닛별로 순차적으로 자동세척부를 구동시키는 순차적 역세척단계;를 포함하여, 이물질 역세척과정에서의 배압증가를 방지하여 역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backwashing i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easuring a pressure inside a body of a stored ballast water by using a first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inside the body A first pressure measuring step A second pressure measuring step of separately measuring a pressure inside the filter of each filtration unit using a second pressure sensor provided for each filtration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measuring units to sequentially measure the pressure inside the filter of each filtration unit measured in the second pressure measuring step, And a backward washing step of driving the automatic washing unit to prevent the back pressure increase in the foreign substance back washing process to smooth backwash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서의 순차적 역세척 자동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압력측정단계는 상기 바디 상부의 필터인입공을 차단하는 상부덮개판을 관통하는 압력측정공을 통해 상기 제2압력센서가 각 여과유닛의 필터 내부 압력을 측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quential backwashing automatic control method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ressure measurement step may include an upper cover plate So that the second pressure sensor measur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lter of each filtration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서의 순차적 역세척 자동제어방법은 제어부의 제어하에, 바디의 유입부측에서 측정된 여과처리 이전의 밸러스트수가 저장된 여과전실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1압력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여과처리된 밸러스트수가 저장된 바디 내부의 압력과 일정 범위 이상의 차압이 발생하는 경우 모든 여과유닛 전체에 대해 자동세척부를 구동시키는 전체적 역세척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quential backwash automatic control method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ballast water stored before the filtration processing, And an overall backwashing step of driving the automatic washing unit to all the filtering units when a pressure inside the front chamber is equal to or more than a pressure within a body of the stored body of the filtered ballast water measured in the first pressure measuring step Further comprising: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titution described below, the combination, and the use relationship.

본 발명은 제어부의 제어하에 여과장치에서의 다수의 여과유닛들 중 바디 내부의 압력과 일정 범위 이상의 차압이 발생하는 여과유닛별로 순차적으로 자동세척부를 구동시켜, 이물질 역세척과정에서의 배압증가를 방지하여 역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washing unit is sequentially driven for each of the filtration units in which the pressure inside the body and the pressure difference over a certain range are generated among the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in the filtration apparatu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So that backwashing can be smoothly performed.

본 발명은 각 여과유닛의 필터 내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를 바디 상부의 필터인입공을 덮는 상부덮개판을 관통하는 압력측정공을 통해 설치함으로써,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 the filter of each filtration unit is installed through a pressure measuring hole passing through the upper cover plate covering the entrance, which is a filter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

본 발명은 선박에 장착되는 여과장치의 특수한 설치환경을 고려하여 여과장치 상부에 집중되던 구성들 중 필터 역세척 후 이물질의 배출을 위한 배출부와 그 역세척라인을 여과장치의 하부로 분산시킴은 물론, 각 여과유닛의 배출관을 하나의 라인으로 연통함으로써, 구조의 간단화와 여과장치 상부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줄일 수 있게 함은 물론, 각 여과유닛의 이물질 배출 및 배압관리를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foreign matters and a backwash line thereof are dispers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ltration apparatus after the filter backwashing among the components concentrated on the filtration apparatus in consideration of a special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filtration apparatus mounted on the vessel. Of course, by connecting the discharge pipes of the respective filtration units to one line,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and reduce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upper part of the filtration device, as well as to efficiently integrate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and back pressure management of each filtration unit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managed.

본 발명은 각 여과유닛 내 필터의 역세척을 위해 상하이동하는 자동세척부 구성들이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중 삼중의 관련 구성들을 포함하여,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ual triple related arrangements that can prevent bottlenecks of the self-cleaning parts moving up and down for backwashing the filters in each filtration unit to prevent them from being damaged to prevent damage to the device and ensure durability .

본 발명은 각 여과유닛 내 필터를 역세척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가 이동경로 상의 필터에 미흡입되는 이물질을 남기지 않도록 하며, 배출관 및 역세척라인 내에 배압이 형성되는 것을 막고, 미작동시에는 여과장치 내 모든 밸러스트수를 배출시킬 수 있고, 필터의 기밀 유지 및 교체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the process of backwashing a filter in each filtration unit, a suction unit that sucks foreign matter does not leave a foreign matter that is not sucked into a filter on a moving path, prevents a back pressure from being formed in a discharge pipe and a backwash line, All the ballast water in the filtration device can be discharged, and the convenience of hermetic sealing and replacement of the filter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측면도
도 2는 종래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여과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여과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여과장치의 저면도
도 7은 역세척라인과 배압방지탱크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스토퍼와 부싱의 관계를 도시한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
도 9는 구동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 4의 'B'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흡입봉이 1회전하면서 이동하는 리드간격과 흡입구의 직경 관계를 도시한 참고도
도 11은 흡입봉의 상하이동간격과 흡입봉 간의 이격간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2는 제1,2압력센서가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드레인라인과 에어주입부이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제2드레인라인과 제2에어주입부이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필터 상측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 4의 'C'부분의 확대도
도 16은 종래의 필터 상측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필터 하측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 4의 'D'부분의 확대도
1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2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ltration apparatus of Fig. 3
Figure 5 is a top view of the filtration apparatus of Figure 3;
Fig. 6 is a bottom view of the filtration apparatus of Fig. 3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wash line and the back pressure preventing tank
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4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opper and the bushing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B' in Fig. 4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driving por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 between the lead interval and the diameter of the suction port,
11 is a reference view sho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suction rod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uction rods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ors are positioned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ain line and the air injection portion are located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drain line and the second air injection portion are located
Fig. 15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C' in Fig. 4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n the upper side of the conventional filter
17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D' in FIG. 4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at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backwa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여과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여과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여과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7은 역세척라인과 배압방지탱크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스토퍼와 부싱의 관계를 도시한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9는 구동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 4의 'B'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흡입봉이 1회전하면서 이동하는 리드간격과 흡입구의 직경 관계를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11은 흡입봉의 상하이동간격과 흡입봉 간의 이격간격을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12는 제1,2압력센서가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드레인라인과 에어주입부이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제2드레인라인과 제2에어주입부이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필터 상측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 4의 'C'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6은 종래의 필터 상측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필터 하측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 4의 'D'부분의 확대도이다.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filtration apparatus of FIG. 3, FIG. 5 is a plan view of the filtration apparatus of FI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wash line and the back pressure preventing tank,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A' in Fig. 4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opper and the bushing ,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4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driving portion, FIG. 10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lead gap moving with one rotation of the suction rod and a diameter of the suction port, FIG.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ors are positioned, and FIG.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drain line and the air injection unit are located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drain line, FIG. 15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C' in FIG. 4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FIG. 1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n the upper side of the conventional filter,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D' in FIG. 4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at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해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는 밸러스트수가 유출입되는 유입부(110)와 유출부(120)를 갖는 바디(10) 내에 다수의 여과유닛이 패키지화되어 연결되는 구조로, 각 여과유닛은 상기 바디(10) 내부를 흐르는 밸러스트수를 여과시키는 필터(20)와, 상기 필터(20)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역세척하는 자동세척부(30)를 포함하게 된다(즉, 여과유닛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부호를 표기하지는 않았으나, 이는 필터(20) 및 자동세척부(30)로 이루어진 유닛을 의미한다). 3 to 6,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are packaged and connected in a body 10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110 and an outlet 120. Each of the filtration units includes a filter 10 for filtering the ballast water flowing in the body 10, The filter unit 20 includes a filter 20 and an automatic washing unit 30 for backwashing the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filter 20. That is, Means an automatic cleaning unit 30).

상기 바디(10)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외부 골격을 이루는 부분으로, 상기 바디(10)의 유입부(11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밸러스트수는 바디(10) 내에 위치하는 여과유닛을 거치면서 이물질 등이 여과되어 처리된 후 상기 바디(10)의 유출부(120)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상기 바디(10)의 유출부(120)는 유입부(110) 보다는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바디(10) 내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110)를 사이에 두고 바디(10)의 최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면(150)과 중간면을 형성하는 격벽(140)에 의해 형성되어 유입부(110)로 유입된 처리 전 밸러스트수가 일시 저장되는 여과전실(161)과, 상기 유출부(1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격벽(140)과 바디(10)의 최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면(130)에 의해 형성되어 필터(20) 및 필터(20)를 통과하여 여과처리된 밸러스트수가 저장되는 여과후실(1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면(130)에는 바디(10) 내부에 필터(20)가 진입될 수 있도록 필터인입공(131)이 관통형성되고, 필터(20)가 설치된 이후에는 상기 필터인입공(131)에 결합하여 이를 폐쇄하는 상부덮개판(170)이 결합하게 된다. 상기 격벽(140)에는 상기 여과전실(161)에 일시 저장된 밸러스트수가 필터(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된 밸러스트수유입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밸러스트수유입공(141)을 둘러싸며 필터(20)의 하측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필터(20) 하측의 내면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편(14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10 is an outer skeleton of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ast water introduced into the body 10 through the inlet 110 of the body 10 is discharged into the body 10 A foreign matter or the like is filtered and processed through the filtration unit position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flow portion 120 of the body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let portion 120 of the body 10 is positioned above the inlet portion 110 and the inside of the body 10 is located between the inlet portion 110 and the inlet portion 110, A pre-filtration chamber 161 formed by a lower surface 150 forming the lowermost surface of the body 10 and a partition wall 140 forming an intermediate surface and storing the pre-treatment ballast water before the introduction into the inlet 110, And a top surface 130 forming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body 10 with the partition 14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passing through the filter 20 and the filter 20, A post-filtration chamber 162 in which the treated ballast water is stored can be formed. The upper surface 130 is provided with a hole 131 through which the filter 20 can enter so that the filter 20 can be introduced into the body 10. After the filter 20 is installed, And the upper cover plate 170 closing the upper cover plate 170 is engaged. The ballast water inflow hole 141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140 so that the ballast water temporarily stored in the pre-filtration chamber 161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lter 20. The ballast water inflow hole 141 surrounds the ballast water inflow hole 141, A protruding piece 142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20 can be formed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20 can be stably fixed.

상기 필터(20)는 상기 바디(10) 내부에 유입된 밸러스트수를 여과처리하여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구성으로, 상기 필터인입공(131)을 통해 바디(10) 내에 삽입되어 상기 여과후실(162)에 설치되는데, 필터(20)의 하측은 상기 격벽(140)에, 상측의 상기 상부면(130)에 각각 고정되게 된다. 상기 필터(20)가 설치되게 되면, 상기 유입부(110)를 통해 여과전실(161)에 일시 저장된 밸러스트수는 상기 밸러스트수유입공(141)을 통해 필터(20) 내부로 유입되어 필터(20)를 거쳐 여과후실(162)로 이동하면서 이물질 등이 필터(20) 내주면에 걸러지면서 여과처리되게 된다. 상기 필터(20)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터(20)에 밸러스트수가 여과되는 과정에서 생물 및 입자 등의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이러한 여과가 계속 진행되는 경우 상기 필터(20) 내주면에 이물질 등이 쌓여 여과기능이 저하되므로 후술하는 자동세척부(30)에 의해 필터(20) 내주면의 이물질 제거작업이 진행되게 된다. The filter 20 is configured to filter the ballast water introduced into the body 1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the like. The filter 20 is inserted into the body 10 through the inlet hole 131,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2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130 of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140. When the filter 20 is installed, the ballast water temporarily stored in the pre-filtration chamber 161 through the inlet 110 flows into the filter 20 through the ballast water feeding hole 141,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20 and filtered. The filter 2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organisms and particles may be filtered when the ballast water i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20. When the filtration continues, foreign substances or the like accumulat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20, and the filtering function is lowered. Therefore, 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rogresses the foreign matter removing opera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20.

상기 자동세척부(30)는 상기 필터(20)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역세척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자동세척부(30)는 제어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자동세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310)와, 상기 구동부(310)에 연결되어 움직이면서 상기 필터(20)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320)와, 상기 흡입부(320)에서 흡입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is configured to backwash the foreign substance adhered to the filter 20. To this end, 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includes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automatic washing unit by a signal from a control unit A suction unit 320 for sucking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ilter 2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310 and a discharge unit 330 for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sucked from the suction unit 320, . ≪ / RTI >

상기 구동부(310)는 상기 자동세척부(30)가 작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고, 이러한 동력을 이용하여 후술할 흡입부(320)를 회전 및/또는 상하이동시키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11)와,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311)에 연결되어 구동모터(311)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 및/또는 상하이동하면서 그 타단에 연결되는 후술할 흡입부(320)의 코어(322)를 연동하여 회전 및/또는 상하이동시키는 구동축(3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축(312)의 상하이동간격을 특정하기 위해서, 상기 구동축(312)에는 별도의 접촉수단(313, 이는 후술할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와 접촉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디스크 등이 일 예가 된다)이 부착되고, 상기 접촉수단(313)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일정간격(이는 구동축(312)의 상하이동간격에 대응됨) 이격되는 한 쌍의 제1리미트스위치(314)가 배치되어, 상기 구동축(312)이 상하이동하면서 상기 접촉수단(313)이 하측의 제1리미트스위치(314)에 접촉하게 되면 상향이동하도록 하고, 반대로 접촉수단(313)이 상측의 제1리미트스위치(314)에 접촉하게 되면 하향이동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The driving unit 310 is a part that provides power for operating 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and uses the power to rotate and / or move the suction unit 3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311 and is rotated and / or vertically moved by being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311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unit 320. [ And a driving shaft 312 that rotates and / or moves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driving shaft 322. At this time, in order to specify the up-and-down movement interval of the drive shaft 312, the drive shaft 312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ntact means 313, which is a disk or the like formed in a plate shap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pair of limit switches A pair of first limit switches 314 which are spaced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ich corresponds to the up-and-down movement interval of the drive shaft 312) are disposed with the contact means 313 interposed therebetween The contact means 313 moves upward when the drive shaft 312 moves up and down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lower limit switch 314 when the contact means 313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limit switch 314, 314), the movable member 311 is moved downward.

상기 흡입부(320)는 상기 구동부(310)에 연결되어 움직이면서 상기 필터(20)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부분으로, 상기 필터(20)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흡입하는 흡입봉(321)과, 상기 흡입봉(321)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결되며 그 일단은 상기 구동부(310)의 구동축(312)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312)의 회전 및/또는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회전 및/또는 상하이동하면서 상기 흡입봉(321)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으로 작용하는 코어(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봉(321)은 그 일단이 상기 필터(20)의 내주면에 접촉 또는 아주 근접하게 되면서 그 중앙에 관통형성된 흡입구(3211)를 통해 필터(20) 내주면에 부착된 이물질과 역세척수(즉, 흡입구(3211)에서의 흡입압력에 의해 필터(20) 외부의 여과된 밸러스트수가 다시 필터(20)의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하면서 필터(20)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과 함께 흡입되는데 이를 '역세척수'라 한다) 등을 흡입하여 상기 코어(322)로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코어(322)에서는 각 흡입봉(321)에서 흡입된 이물질과 역세척수 등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로를 통해 후술할 배출부(330)로 이동시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The suction unit 32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310 and suck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filter 20 while moving. The suction unit 320 includes a suction rod 321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filter 20, The suction rod 321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310 of the driving unit 3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312 of the driving unit 310 to rotate And a core 322 acting as a rotation axis for rotating the suction rod 321 while moving up and down. One end of the suction rod 321 is in contact with or very clos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20, and th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20 through the suction port 321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ction rod 321, The filtered ballast water outside the filter 20 is sucked together with th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inside of the filter 20 through the inside of the filter 20 from the outside of the filter 20 due to the suction pressure at the suction port 3211, And the core 322 is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 (not shown) through a channel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foreign object sucked from each suction rod 321 and backwash water, 330 to be discharged.

상기 배출부(330)는 상기 흡입부(320)에서 흡입된 이물질 등을 배출시키는 부분으로, 이물질의 배출통로가 되는 배출관(331)의 일단이 상기 코어(322)와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와 연통되어 코어(322)로부터 이물질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배출관(331)의 일측에는 이그조스트밸브(3311)가 연결되는데, 상기 이그조스트밸브(3311)는 상기 배출관(331)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20) 내에 부착된 이물질의 흡입/배출을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즉, 상기 이그조스트밸브(3311)가 열리는 경우에는 상기 배출관(331), 코어(322) 및 흡입봉(321) 내부는 대기압 즉, 상기 여과후실(162) 내부 또는 필터(20) 내부의 높은 기압에 비해 낮은 기압이 형성되므로 상기 여과후실(162) 내부의 밸러스트수가 기압이 낮은 상기 흡입봉(321) 내부로 흡입되면서 이때 필터(20) 내주면에 부착된 이물질 등도 함께 흡입되게 되며(이때, 흡입되는 여과후실(162)의 밸러스트수가 역세척수로서 기능하게 됨), 상기 이그조스트밸브(3311)가 닫히는 경우에는 역세척수 및 이물질 등의 흡입이 중단되게 된다.
The discharge portion 330 is a portion for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from the suction portion 320. One end of a discharge pipe 331 which is a discharging passage for foreign matter is communicated with the core 322 and the other end is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So that foreign matter or the like is discharged from the core 322 to the outside. A suction valve 331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ischarge pipe 331. The suction valve 331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ischarge pipe 331 so that the suction / (Not shown) as a part for providing a suction force for discharge. That is, when the suction valve 3311 is opened,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331, the core 322, and the suction bar 321 is atmospheric pressure, that is, inside the filter chamber 162 or high The ballast water inside the filtration chamber 162 is sucked into the suction rod 321 having a low air pressure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20 are also sucked together The ballast water in the post-filtration chamber 162 functions as backwash water. When the suction valve 3311 is closed, the suction of the backwash water and the foreign matter is stopp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서는 특히, 도 4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40)와, 각 여과유닛마다 설치되어 각 여과유닛의 필터(2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50)를 포함하여, 제어부(미도시)의 제어하에 바디(10) 내부의 압력과 일정 범위 이상의 차압이 발생하는 여과유닛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자동세척부(30)를 구동시켜, 이물질 역세척과정에서의 배압증가를 방지하여 역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and 12,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or 40 for measuring a pressure inside the body 10, And a second pressure sensor 50 provided for each unit and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filter 20 of each filtration unit so that the pressure inside the body 10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over a certain range are controll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is sequentially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ted filtration unit to prevent the back pressure increase in the backwashing process of the foreign substance to smooth backwashing.

즉, 종래에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바디(10) 내부로 밸러스트수가 유입되는 측 즉, 유입부에서의 압력(도 1,2에서 유입부압력센서(d) 참조)과 바디(10)에서 외부로 밸러스트수가 배출되는 측 즉, 유출부에서의 압력(도 1,2에서 유출부압력센서(e) 참조)을 측정하여, 양자 간의 차압이 커지게 되면(즉, 유출부에서의 압력에 비해 유입부에서의 압력이 커지게 되면) 필터(20) 내에 이물질을 역세척하는 자동세척부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자동세척부를 운용하여 왔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을 바디(10) 내에 다수의 여과유닛이 존재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서도 그대로 적용하게 되면, 자동세척부(30)에 의한 역세척작업이 항상 다수의 여과유닛에서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므로, 동시에 역세척작업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여과유닛에서 한꺼번에 흡입된 역세척수나 이물질 등이 배출관을 통해 한꺼번에 배출되게 되면, 배출관의 관로 내를 이동하게 되는 역세척수의 유량 및 이물질 등이 급격히 증가하여 유량이 증가하거나 이물질 등이 배출관의 관로를 막아 형성하는 배압이 증대되어 그에 따라 자동세척부(30)에서의 이물질 역세척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1 and 2, the pressure of the ballast water flowing into the body 10, that is, the pressure at the inlet (see the inlet pressure sensor d in FIGS. 1 and 2) 10), that is, the pressure at the outlet (refer to the outlet pressure sensor (e) in FIGS. 1 and 2) is measured so that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two is increased Since the automatic washing unit has been oper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automatic washing unit for backwashing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filter 20 is operated when the pressure at the inlet portion becomes larger than the pressure of the filtering unit 20, The backwashing operation by 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is always performed by a plurality of the filtering units at the same time. Therefore, in a number of the filtration units which perform the backwashing operation at the same timeWhen the backwash water or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at the outlet are discharged all at once through the discharge pipe, the flow rate and the foreign matter of the backwash water which moves in the discharge pipe are rapidly increased to increase the flow rate or prevent the foreign substances from forming the discharge pipe So that the backwashing operation of the foreign matter in 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can not proceed smoothly.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장치의 바디(10) 내에 배치된 다수의 여과유닛 각각 마다 설치되어 각 여과유닛의 필터(2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50)를 포함함으로써, 여과처리가 완료된 후 배출되기 직전의 여과후실(162)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40, 도면에는 바디(10)의 상부면(130)에서 여과후실(162)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바디(10)의 유출부(120) 측에서 측정할 수도 있다)에 의해 측정된 압력과, 상기 제2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각 여과유닛의 필터(20) 내부의 압력을 개별적으로 대비하여, 그 차압이 일정 범위를 넘어선 여과유닛에 대해서만 순차적으로 자동세척부(30)에 의한 이물질 역세척작업이 이루어지게 하므로, 배출관(331)의 관로에 한꺼번에 흡입된 역세척수나 이물질 등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배출관(331)의 관로에서 한꺼번에 유량이 증가하거나 막혀 배압이 증대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하나의 바디(10) 내에 4개의 여과유닛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면, 종래와 같이 일괄적으로 4개의 여과유닛에서 동시에 자동세척부(30)에 의한 역세척작업이 진행되게 되면, 배출관(331)의 관로에 일거에 역세척수 및 이물질 등의 배출,이동이 집중되어 배출관(331)의 관로가 막히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즉, 배압이 과도하게 증대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개별적으로 차압이 일정 범위를 넘어선 여과유닛에 대해 순차적으로 자동세척부(30)에 의한 역세척작업이 진행되게 되면, 배출관(331)의 관로에는 한꺼번에 역세척수 및 이물질 등이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각 여과유닛에서 이동해 오는 역세척수 및 이물질 등이 분산되어 배출관(331)의 관로에 유입되기 때문에, 배출관(331)의 관로가 일거에 막히게 된다거나 배압이 순간적으로 증대되어 역세척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a second pressure sensor (not shown)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disposed in the body 10 of the filtration apparatus and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filter 20 of each filtration unit The first pressure sensor 40 measures the pressure inside the filtration chamber 162 just before the filtration process is completed after the filtration process is completed so that the filtration chamber 162 ) Of the filtration unit measur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or and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or (which may be measured on the outlet 120 side of the body 10) 20), the foreign substance backwashing operation by 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is sequentially performed only on the filtration unit whose differential pressure exceeds a certain range,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 can be sucked into the channel of the discharge pipe 331 Backwash water or foreign matter It can be prevented, and accordingly the flow rate is increased at once in the channel of the discharge pipe 331, or clos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back pressure increase. In other words, assuming that four filtration units are disposed in one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washing operation by 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is simultaneously performed by the four filtration units collectively The back-washing water and foreign matter are concentrated on the pipeline of the discharge pipe 331 and the pipe of the discharge pipe 331 is frequently blocked (that is, the back pressure is excessively increased) 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ckwashing operation by 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progresses sequentially to the filtration unit in which the differential pressure exceeds a certain range individually, the backwash water and the backwash water The backwash water and the foreign substances moving from each filtration unit are dispersed and flow into the channel of the discharge pipe 331 so that the channel of the discharge pipe 331 is completely blocked And the back pressure is instantly increased to thereby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back washing operation can smoothly be mad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상기 제2압력센서(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 상부 즉, 상부면(130)의 필터인입공(131)을 차단하는 상부덮개판(170)을 관통하는 압력측정공(173)을 통해 필터(2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덮개판(170)만을 해체하는 과정으로도 상기 제2압력센서(50)에 대한 수리 및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제2압력센서(50)는 상기 바디(10)의 상부면(130)을 직접 관통하여 여과후실(162)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거나 또는 바디(10)의 유출부(120)에서의 압력을 측정하는 상기 제1압력센서(40)에서의 측정압력과 그 차압을 대비하게 된다. 상기 제1압력센서(40)와 제2압력센서(50)로는 압력을 측정하는 트랜스미터나 압력센서, 차압스위치 등이 활용될 수 있다. 12, the second pressure sensor 5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that is, on the upper surface 130, The pressure inside the filter 20 can be measured through the measuring hole 173 so that the repair and replacement operation of the second pressure sensor 50 can be performed even in the process of disassembling only the upper cover plate 170 . The second pressure sensor 50 installed in this way directly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130 of the body 10 to measure the pressure inside the filtration chamber 162 or to measure the pressure in the outlet port 120 of the body 10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pressure of the first pressure sensor 40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first pressure sensor 40 is measured. As the first pressure sensor 40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50, a transmitter for measuring the pressure, a pressure sensor, a differential pressure switch, and the like may be utilized.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바디(10)의 유입부(110) 측에서 별도의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여과전실(161)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유입부(110)측에 별도로 설치된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여과전실(161) 내부의 압력은 각 여과유닛 내부 압력의 전체 평균이라 할 수 있는 것(또는, 각 여과유닛 내부 압력을 측정한 제2압력센서(50)에 의해 측정된 값에 대한 평균을 산출하는 방식도 가능함)으로, 만약 측정된 여과전실(161)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1압력센서(40)에 의해 측정된 여과후실(162) 내부의 압력과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차압을 나타내게 되면 이때에는 바디(10) 내의 압력차가 위험수준에 도달한 것이므로, 이때에는 모든 여과유닛에서 동시에 역세척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바디(10) 내부의 압력차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pressure sensor may be provided on the inlet 110 side of the body 10 to measure the pressure inside the filtration chamber 161. In this way, The pressure in the pre-filtration chamber 161 measur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is the total average of the pressures in the respective filtration units (or, as measur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or 50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each filtration unit The pressure inside the pre-filtration chamber 161 is outside a certain range from the pressure inside the post-filtration chamber 162 measured by the first pressure sensor 40 The pressure difference in the body 10 has reached a dangerous level. At this time, the backwashing process is simultaneously performed by all the filtration units, so that the pressure difference inside the body 10 can be maintained at a stable level It is.

이하에서는 위와 같이 제1,2압력센서(40,50)가 설치된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서의 순차적 역세척 자동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밸러스트수가 유출입되는 유입부와 유출부를 갖는 바디(10) 내에 다수의 여과유닛이 패키지화되어 연결된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서의 여과과정 중에, 바디(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40)를 이용하여 여과처리된 밸러스트수가 저장된 바디(10)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과후실(162)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측정단계(S1); 각 여과유닛마다 설치되는 제2압력센서(50)를 이용하여 각 여과유닛의 필터(20) 내부의 압력을 개별적으로 측정하는 제2압력측정단계(S2); 제어부(미도시)의 제어하에, 상기 제2압력측정단계(S2)에서 측정된 각 여과유닛의 필터(20) 내부의 압력들 중 상기 제1압력측정단계(S1)에서 측정된 바디(10) 내부의 압력과 일정 범위 이상의 차압이 발생하는 여과유닛별로 순차적으로 자동세척부(30)를 구동시키는 순차적 역세척단계(S3); 순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Hereinafter, a sequential backwash automatic control method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system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ors 40 and 50 are installed will be described. A body 10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ballast water flows in and out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are packaged and connected to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the first pressure sensor 40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body 10 is used to filter the filtered ballast water (S1)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filtration chamber (10), more specifically, inside the filtration chamber (162); A second pressure measuring step (S2) for individually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filter (20) of each filtration unit by using a second pressure sensor (50) installed for each filtration unit; The body 10 measured in the first pressure measuring step S1 among the pressures in the filter 20 of each filtration unit measured in the second pressure measuring step S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not shown) A sequential backwashing step (S3) of sequentially driving 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for each of the filtration units in which the pressure inside and a pressure difference over a certain range are generated; .

즉, 상기 제1압력측정단계(S1)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의 상측에 설치된 제1압력센서(40)(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1압력센서(40)가 바디(10)의 유출부(120) 입구에 설치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를 이용하여 여과처리된 밸러스트수가 저장된 바디(10)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과후실(162)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함으로써, 제어부(미도시)에서 항상 바디(10) 내부의 압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상기 제2압력측정단계(S2)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 내에 포함되는 여과유닛의 개수에 맞게 형성되는 필터인입공(131)을 덮는 상부덮개판(170)마다 관통 형성된 압력측정공(173)을 통해 필터(2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배치된 다수 개(여과유닛의 개수에 일치함)의 제2압력센서(50)를 이용하여 각 여과유닛별로 그 필터(2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함으로써, 제어부(미도시)에서 각 여과유닛별 그 필터(20) 내부의 압력을 수시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바, 따라서, 상기 순차적 역세척단계(S3)에서는 위 제1압력측정단계(S1)에서 전송된 바디(10) 내부의 압력값과, 제2압력측정단계(S2)에서 전송된 각 여과유닛별 필터(20) 내부의 압력값을 대비하여, 그 차압이 일정범위를 넘어서는 여과유닛에 대해서만 먼저 순차적으로 자동세척부(30)를 구동시켜 필터(20)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역세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배출관(331) 및/또는 역세척라인(332)의 관로에 한꺼번에 흡입된 역세척수나 이물질 등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배출관(331) 및/또는 역세척라인(332)의 관로 에 역세척수 유량이 급증하거나 이물질 등에 의해 대부분이 막혀 배압이 증대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12, the first pressure sensor 4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0 (if necessary, the first pressure sensor 40 is connected to the body 10, (Not provided at the inlet of the outlet 120 of the filtration unit 10), the pressure of the filtered ballast water inside the body 10, more specifically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chamber 162, is measured And the measurement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so that the pressure inside the body 10 can be always managed by the control unit (not shown). In the second pressure measurement step S2, The pressure inside the filter 20 through the pressure measuring holes 173 formed through the upper cover plate 170 covering the holes 131 as the filter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he filtration units included in the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filtration units) disposed so as to be able to measure the first pressure sensor 5 0), the pressure inside the filter 20 is measured for each filtration unit, and the measured value is transmit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So that in the sequential backwashing step S3 the pressure value inside the body 10 transferred in the first pressure measuring step S1 and the pressure value in the second pressure measuring step S2 of the filter unit 20 is compared with the pressure value of the filter 20 for each filtration unit so that 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is first driven sequentially to the filter unit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backwash water or foreign substances sucked at once in the ducts of the discharge pipe 331 and / or the backwash line 332 from being concentrated, (331) and / or the backwash line (332) Most by backwash water flow rate is increasing or debris blockages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back pressure is increased to a.

참고로, 본 발명에서의 역세척 자동제어방법에서는 바디(10)의 유입부(110) 측에 별도로 설치되는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여과전실(161)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유입부(110)측에 별도로 설치된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여과전실(161) 내부의 압력은 각 여과유닛 내부 압력의 전체 평균이라 할 수 있는 것(또는, 각 여과유닛 내부 압력을 측정한 제2압력센서(50)에 의해 측정된 값에 대한 평균을 산출하는 방식도 가능함)으로, 만약 측정된 여과전실(161)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1압력센서(40)에 의해 측정된 여과후실(162) 내부의 압력과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차압을 나타내게 되면 이때에는 바디(10) 내의 압력차가 위험수준에 도달한 것이므로, 이때에는 모든 여과유닛에서 동시에 역세척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바디(10) 내부의 압력차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전체적 역세척단계(S4)가 추가로 수행되게 된다.
In the backwashing automatic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inside the filtration chamber 161 may be measured using a pressure sensor separately installed on the inlet 110 side of the body 10, The pressure inside the filtration chamber 161 measur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provided separately on the side of the filtration unit 110 may be the total average of the pressures in the filtration units (or the second pressure A method of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e values measured by the sensor 50 is also possible) and if the measured pressure inside the pre-filtration chamber 161 is higher than the pressure in the post-filtration chamber 162 measured by the first pressure sensor 40, The pressure difference inside the body 10 reaches a dangerous level. At this time, the backwashing process is simultaneously performed by all the filtration units, so that the pressure difference inside the body 10 stable It is to be added to perform as a whole a back washing step (S4) for adjusting to maintain the leve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부(330)에서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상기 배출관(331)이 상기 바디(10)의 하부로 위치하며, 바디(10) 하부에서 다수의 여과유닛의 배출관(331)이 하나의 역세척라인(332)으로 연통 형성됨으로써, 선박 내 공간효율성을 높이고 간단한 구조를 이룰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ipe 331,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330, is positioned below the body 10, and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And the discharge pipe 331 is communicated with one backwash line 332, thereby improving space efficiency in the ship and achieving a simple structure.

즉,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지적한 바와 같이, 종래의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서는 여과장치에 포함된 각 여과유닛을 역세척하기 위한 역세척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부(a)는 물론, 역세척 후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b) 및 그 배관라인(c)이 모두 여과장치의 상부에 집중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도 1 및 2 참조), 위 구성들이 혼재된 여과장치 상부에서의 설치작업은 물론 교체 및 향후 해체시에도 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선박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는 본 발명과 같은 여과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이 매우 협소(선박 고유의 목적을 위한 공간을 넓게 확보하기 위해 기계실과 같은 공간은 상대적으로 협소하게 설계됨)하여 그에 따라 여과장치 상측 공간 역시 매우 협소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종래와 같이 여과장치의 상부에 각종 구성들이 집중되는 구조에서는 더욱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증대될 수밖에 없고, 나아가 위와 같이 여과장치의 각 구성들이 여과장치의 상부에 집중되면 집중될수록 이를 설치 및 해체하기 위해 필요한 상부공간 역시 커져야 하기 때문에, 선박이라는 특수한 설치환경에서 여과장치를 위해 별도의 상부공간을 확보해야 함은 물론 여과장치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대에 의해 여과장치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공간은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비효율적인 공간구조를 야기하는 문제 또한 안게 된다. That is, in the conventional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in the conventional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not only the drive unit a for driving the backwashing apparatus for backwashing each filtration unit included in the filtration apparatus, (See FIG. 1 and FIG. 2), the discharge part b for discharging the foreign substances and the piping line c thereof are all concentr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ltration device. In particular, in a special environment such as a ship, space for install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such as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narrow (in order to secure a space for a purpose specific to a ship) The space such as the machine room is designed to be relatively narrow), and accordingly, the space above the filtering apparatus is also very narrow. Further, in the structure in which various components are concentr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ltration device, the difficulty of maintenance is inevitably increased. Further, when the components of the filtration device are concentr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ltration device, Since the space must also be large, a separate upper space must be secured for the filtration apparatus in the special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vessel, and the lower space formed between the filtration apparatus and the bottom surface by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filtration apparatus from below is not utilized The problem of causing an inefficient spatial structure that can not be achieved is also encounter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330)에서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상기 배출관(331)을 상기 바디(10)의 상부가 아닌 하부에 위치시켜, 상기 바디(10)의 하부면(15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후, 상기 바디(10)의 하부에서 각 여과유닛 마다 돌출된 다수의 배출관(331) 모두를 연통시켜 하나의 역세척라인(332)을 형성하도록 하여, 위 하나의 역세척라인(332)을 통해 각 여과유닛에서 역세척과정에 의해 배출되는 이물질 등을 한 번에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과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구동부(310)는 상기 바디(10)의 상부에, 상기 배출부(330)는 상기 바디(10)의 하부에 각각 분리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모든 구성이 바디(10)의 상측에 집중되는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선박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여과장치 상부공간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확보하지 않아도 되고, 여과장치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대(151)에 의해 여과장치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공간을 활용하여 하부공간에 배출부(330)를 위치시키기 때문에 공간의 활용성을 높임은 물론 종래와 같이 상부에 위치하는 배출부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배관라인을 별도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어 장치를 컴팩트화할 수 있고, 특히 배출부(330)의 설치, 교체 및 해체 작업시에 작업자가 여과장치 상부로 올라가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하지 않고도 여과장치 하부에 위치한 배출부(330)를 설치, 교체 및 해체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 및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아울러, 바디(10) 상부에서의 구동부(310)와 여과장치의 각 부품의 설치,교체 및 해체 작업 역시 여과장치 상부의 배출부(330)가 하부로 분리되었기 때문에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331)이 종래와 같이 상향이 아닌 하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배출관(331)을 통해 역세척과정에서 흡입된 이물질 등을 배출시 이물질이 배출관(331)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어(이동방향이 중력방향과 일치하게 되기 때문) 배출관(331) 내에 배압(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배압'이란, 배출관(331)을 통해 필터(20) 내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해서는 배출관(331) 내에 형성되는 압력이 필터(20) 외부(즉, 여과후실(162) 내부) 또는 필터(20) 내부의 압력보다 작아야 하는데, 배출관(331)에 이물질 또는 역세척수가 많이 이동하여 배출관(331) 내를 가득 채우면 채울수록 그에 따라 배출관(331) 내의 압력이 저압에서 고압으로 올라가 필터(20) 내주면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흡입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압력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배압'이라 한다. 즉, 배압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배출관(331)을 통한 이물질 배출이 용이하지 않게 되므로, 배출관(331) 내 배압이 증가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이 증가하는 경우도 보다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여과유닛의 배출관(331)들이 상기 바디(10) 하부에서 곧바로 하나의 역세척라인(332)으로 연통(수렴)하여 하나의 역세척라인(332)을 통해 이물질이나 역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다수의 여과유닛이 존재함에도 배출부(330)가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Therefore,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 to 6, the discharge pipe 331,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ar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rt 330, A plurality of discharge pipes (not shown) protru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 at the bottom of the body 10 after being protruded through the lower surface 150 of the body 10, 331 are connected to form one backwashing line 332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by the backwashing process in each filtration unit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ne backwashing line 332 And the like. 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unit 31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and the discharging unit 330 is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10, it is not necessary to secure the upper space of the filtration apparatus more than necessary in a specific environment of the vessel, and the filtration apparatus and the floor Since the discharging unit 330 is positioned in the lower space by utilizing the lower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and to separately construct the piping lin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discharging unit located at the upper position It is possible to make the apparatus compact, and in particular, in the installation, replacement and disassembly of the discharge part 330, the worker moves up to the upper part of the filtration apparatus and does not work in a narrow space The user can easily operate and install the discharge unit 330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ration apparatus 310. In addition, And the installation, replacement and disassembly of the components of the filtration apparatus can be easily performed because the discharge unit 33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ration apparatus is separated downward. 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pipe 331 extends downward rather than upward as in the prior art, when the foreign substance sucked in the backwashing process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331, the foreign substance can be moved more easily along the discharge pipe 331 (The "back pressur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a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20 through the discharge pipe 331 is sucked in an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ipe 331) The pressure formed in the discharge pipe 331 must be smaller than the pressure outside the filter 20 (i.e., inside the post-filtering chamber 162) or the inside of the filter 20. In this case, The pressure in the discharge pipe 331 rises from a low pressure to a high pressure to form a pressure that makes it difficult to suck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20 (That is, it is important to adjust the back pressure in the discharge pipe 331 so as not to increase as the back pressure increases, the discharge of foreign matter through the discharge pipe 331 is not easy) . Further, the discharge pipes 331 of the respective filtration units are communicated (converg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 directly to the single backwashing line 332 so that foreign substances or backwash water are discharged through the single backwashing line 332 It is advantageous that the discharge portion 330 is formed in a simple structure even though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exist.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출관(331) 및/또는 역세척라인(332)에 배압이 형성되는 것을 보다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역세척라인(332) 상에 배압방지탱크(333)를 포함하여, 역세척라인(332)의 역세척수 및 이물질이 일차로 상기 배압방지탱크(333)에 저장되도록 하여 역세척라인(332) 상에 배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7, in order to more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of forming a back pressure in the discharge pipe 331 and / or the backwash line 332, It is possible to prevent backwash water on the backwashing line 332 from increasing due to the fact that backwash water and foreign matter in the backwashing line 332 including the tank 333 are stored in the backwash prevention tank 333 in a primary way can do.

상기 배압방지탱크(333)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탱크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역세척라인(332) 중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역세척라인(332)을 따라 이동하던 역세척수 및 이물질 등은 중간에 상기 배압방지탱크(333) 내부로 유입되어 일시 저장되게 된다. 즉, 상기 역세척라인(332) 만이 길게 형성되어 있는 종래와 같은 경우라면, 역세척라인(332)을 따라 이동하던 역세척수 및 이물질 등은 역세척라인(332)을 따라 이동하는 흐름이 약해지는 순간 역세척라인(332)의 관로에 쌓이게 되어 역세척라인(332)의 관로를 막는 비율이 증대되고 그에 따라 역세척라인(332) 내 압력 즉, 배압이 증대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역세척라인(332) 중간에 별도의 배압방지탱크(333)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역세척라인(332)을 흐르는 역세척수 및 이물질 등은 중간에 상기 배압방지탱크(333)에 일시에 저장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긴 역세척라인(332) 중간에서 적체되는 경우 없이 역세척라인(332)에서 배압방지탱크(333)까지 신속하게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역세척라인(332) 관로는 막히는 경우가 예방되어 배압이 증가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back pressure preventing tank 333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backwash line 332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storage tank for forming an internal space for storing water. Accordingly, the backwash water and the foreign substances which have been moved along the backwash line 332 are temporarily stored in the backwash prevention tank 333 and temporarily stored. That is, in the conventional case where only the backwashing line 332 is formed, the backwash water and the foreign substances moving along the backwashing line 332 are weakened in flow along the backwashing line 332 The rate of closing the channel of the backwashing line 332 is increased and the pressure in the backwashing line 332, that is, the back pressure, is increased. 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backwashing line 332 and foreign matter are temporarily stored in the backwash prevention tank 333 in the middle by forming a separate backwash prevention tank 333 in the middle of the cleaning line 332, The backwash line 332 is quickly moved from the backwash line 332 to the backwash prevention tank 333 without being clogged in the middle of the long backwash line 332 as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back pressure does not increase It can be prevented.

상기 배압방지탱크(3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세척수 등이 탱크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3331)보다 배출시키는 배출구(3332)가 낮게 위치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배압방지탱크(333) 내 수위는 상기 유입구(3331)보다 낮게 유지될 수 있어, 상기 유입구(3331)를 통해 역세척라인(332)에서 배압방지탱크(333) 내로 유입되는 역세척수 등은 막힘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그만큼 배압이 증가하지 않도록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back pressure preventing tank 333 is formed such that the discharge port 3332 for discharging the backwash water or the like from the inlet 3331 for allowing the backwash water or the like to flow into the tank is positioned low, So that the backwash water flowing into the backwash tank 333 through the backwashing line 332 through the inlet 3331 can be smoothly moved without clogg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ck pressure from increasing so much in advance.

또한, 상기 배압방지탱크(333)에는 탱크 내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3333)와, 상기 수위측정센서(3333)에 의해 측정된 수위가 일정 높이 이상인 경우 탱크 내 저장된 역세척수 등을 인위적으로 보다 빠르게 배출될 수 있게 작동하는 펌프(3334)를 포함하여, 탱크 내 수위를 항상 일정 높이 이하로 유지하여 역세척라인(332) 상에 배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압방지탱크(333) 내에서 별도로 탱크 내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3333)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탱크 내 수위가 일정 높이(통상 상기 유입구(3331)의 높이와 같은 높이 정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배출구(3332) 라인에 설치된 펌프(3334)를 작동시켜 탱크 내 저장된 역세척수 등을 인위적으로 배출구(3332)를 통해 보다 빠르게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탱크 내 수위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도록 유지하여 그만큼 배압이 증가하지 않도록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back pressure preventing tank 333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measuring sensor 3333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in the tank and a water level measuring sensor 3333 for artificially controlling the backwash water stored in the tank when the water level measured by the water level measuring sensor 3333 is not less than a predetermined heigh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ck pressure on the backwash line 332 from increasing by keeping the level of the water in the tank below the constant height at all times, including the pump 3334 which operates to discharge more quickly.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level measuring sensor 3333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in the tank is separately provided in the back pressure preventing tank 333, and the water level in the tank is measured at a predetermined height (usually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inlet 3331) The user can operate the pump 3334 installed in the discharge port 3332 to discharge the backwash water stored in the tank through the discharge port 3332 more quick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ckwater pressure from being increased as much as possible by keeping the inside water level not rising above the predetermined height.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자동세척부(30)가 필터(20) 내 부착된 이물질을 역세척하기 위해 작동하는 과정에서 자동세척부(30)의 구성들이 바디(10)나 필터(20)와의 잦은 부딪힘 등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보다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 4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부(320)의 코어(322)의 일측 즉, 코어(322)에 부착된 가장 아래쪽의 흡입봉(321)보다 낮은 위치 및/또는 코어(322)에 부착된 가장 위쪽의 흡입봉(321) 보다 높은 위치에 별도의 스토퍼(3221)를 구비하여, 상기 스토퍼(3221)가 바디(10)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어(322)의 상하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흡입봉(321)이 바디(10)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is operated to backwash foreign materials adhered to the filter 20, the configurations of 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may be changed frequently with respect to the body 10 or the filter 20 And may be more technically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due to collision or the lik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 and 8, a position lower than the lowermost suction rod 321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ore 322 of the suction unit 320, that is, the core 322, and / A separate stopper 3221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most suction rod 321 attached to the core 322 so that when the stopper 3221 contacts the body 10, So that the suction rod 32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hitting against the body 10 and being damag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부(320)는 필터(20) 내주면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역세척하도록, 상기 코어(322)가 상기 구동축(312)의 회전 및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코어(322)에 부착된 상기 흡입봉(321)이 필터(20) 내주면을 회전 및 상하이동하면서 내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게 하는데, 이때 상기 코어(322)가 과도하게 상하로 이동하게 되면 코어(322)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흡입봉(321)이 바디(10) 즉, 여과후실(162)의 격벽(140)에 부딪히게 되거나, 또는 코어(322)의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흡입봉(321)이 바디(10) 즉, 여과후실(162)의 상부면(130)에 부딪히게 되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바, 이를 보다 근원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흡입부(320)의 코어(322)의 일측 즉, 코어(322)에 부착된 가장 아래쪽의 흡입봉(321) 보다 낮은 위치(도 8 참조)에 별도의 스토퍼(3221)를 구비하여, 상기 코어(322)가 하향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퍼(3221)가 바디(10) 즉, 격벽(140)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어(322)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도록 하여 상기 흡입봉(321)이 바디(10)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도 4에는 상기 스토퍼(3221)가 코어(322)에 부착된 가장 위쪽의 흡입봉(321)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 예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스토퍼(3221)는 필요에 따라 코어(322)에 부착된 가장 위쪽의 흡입봉(321) 보다 높은 위치에도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3221)는 상기 격벽(140) 및/또는 상부면(130)과 접촉하게 되므로 그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단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3221)가 접촉하게 되는 격벽(140)에 별도의 부싱(143)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스토퍼(3221)는 금속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부싱(143)은 비금속재질 특히, 자기윤활성 플라스틱, 폴리프로필렌(PP), 나일론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잦은 접촉과 부딪힘에도 상기 스토퍼(3221)나 격벽(140)(또는 부싱(14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unit 320 moves the core 322 in synchronism with the rotation and upward / downward movement of the driving shaft 312 to reverse the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20, The suction rod 321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20 rotates and moves up and dow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20 so as to suck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is time, if the core 322 moves excessively up and down, The suction bar 321 located at the lowest position of the core 322 may hit the partition wall 140 of the body 10 or the filtration chamber 162 or may be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of the suction bar 321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of collision with the upper surface 130 of the body 10 or the upper surface 130 of the filtration chamber 162, (321)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ore (322), that is, the core (322) When the stopper 3221 is in contact with the body 10, that is, the partition wall 140 in the process of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core 322, a separate stopper 3221 is provided at a low positio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re 322 is restricted so that the suction rod 321 is prevented from being hit against the body 10 to be damaged. 4, the stopper 3221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uppermost suction rod 321 attached to the core 322. However, the stopper 3221 may be formed of a metal, May be additionally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most suction rod 321 attached to the uppermost suction port 322. In this case, since the stopper 3221 comes in contact with the partition wall 140 and / or the upper surface 130, a means for preventing damage due to the contact is required. 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bushing 143 is installed in the partition wall 140 where the stopper 32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3221. The stopper 3221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the bushing 143 is made of a n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opper 3221 and the partition wall 140 (or the bushing 143) from being damaged even by frequent contact and collision, by using a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PP), nylon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4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상기 구동부(310)의 접촉수단(313)과 한 쌍의 제1리미트스위치(314) 이외에, 추가로 한 쌍의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314)보다 각각 상하로 더 이격되어 상기 흡입부(320)의 코어(322)의 상하이동제한구간을 설정하는 한 쌍의 제2리미트스위치(315)를 포함하여, 상기 접촉수단(313)이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314)의 이격간격을 넘어 이동하는 경우에 있어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315)에 의해 이를 감지하여 이중으로 상기 흡입부(320)의 코어(322)의 이동을 제한시켜 흡입부(32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흡입봉(321)이 바디(10)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4 and 9, in addition to the contact means 313 of the driving unit 310 and the pair of first limit switches 314, as shown in FIGS. 4 and 9, a pair of the first limit And a pair of second limit switches 315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bove the switch 314 to set a vertical movement restriction period of the core 322 of the suction unit 320, The movement of the core 322 of the suction unit 320 is limited by sensing the second limit switch 315 by the second limit switch 315 when the first limit switch 314 moves beyond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first limit switch 31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ction portion 320, more specifically, the suction rod 321 from being hitting against the body 10 to be damaged.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310)에서는 상기 구동축(312)의 상하이동간격을 특정하기 위해서, 상기 구동축(312)에 별도의 접촉수단(313)이 부착하고, 상기 접촉수단(313)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일정간격(W1, 이는 구동축(312)의 상하이동간격에 대응됨) 이격되는 한 쌍의 제1리미트스위치(314)가 배치하여, 상기 구동축(312)이 상하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촉수단(313)이 하측의 제1리미트스위치(314)에 접촉하게 되면 상향이동으로 이동방향을 전환하도록 하고, 반대로 접촉수단(313)이 상측의 제1리미트스위치(314)에 접촉하게 되면 하향이동으로 이동방향을 전환하도록 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접촉수단(313)과 제1리미트스위치(314) 간의 빈번한 접촉에 의한 이상이나 또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 이상 등의 이유로 상기 접촉수단(313)이 제1리미트스위치(314)를 넘어 계속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흡입부(320)의 흡입봉(321)이 바디(10)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되는바, 이러한 경우까지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리미트스위치(314) 이외에 추가로 한 쌍의 제1리미트스위치(314)보다 각각 상하로 더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제2리미트스위치(315)를 배치(이때,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315) 사이의 간격(W2)은 코어(322)의 흡입봉(321)이 바디(10)에 맞닿지 않도록 하는 범위 이내여야 한다)시키게 된다. 위와 같이, 한 쌍의 제2리미트스위치(315)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2리미트스위치(315)는 한 쌍의 제1리미트스위치(314)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1리미트스위치(314) 보다 상향으로 더 이격시켜 배치하고, 한 쌍의 제2리미트스위치(315) 중 하측에 위치하는 제2리미트스위치(315)는 한 쌍의 제1리미트스위치(314) 중 하측에 위치하는 제1리미트스위치(314) 보다 하향으로 더 이격시켜 배치시킴으로써,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수단(313)이 하측의 제1리미트스위치(314)를 넘어 계속 하향이동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상기 접촉수단(313)이 하측의 제2리미트스위치(315)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315)가 그 접촉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여 접촉수단(313)이 부착된 상기 구동축(312)이 더 이상 하향이동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315)가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는 회로는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314)가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는 회로와는 별도의 독립된 회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314)와 제어부(미도시) 간의 회로 이상 등에 의해 상기 접촉수단(313)이 제1리미트스위치(314)를 넘어 계속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315)와 제어부(미도시) 간의 회로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제2리미트스위치(315)에 접촉수단(313)이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315)가 그 접촉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여 접촉수단(313)이 부착된 상기 구동축(312)이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riving unit 310, a separate contact unit 313 is attached to the driving shaft 312 to specify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driving shaft 312, A pair of first limit switches 314 spaced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1 (corresponding to a vertical movement interval of the drive shaft 312) are disposed between the drive shaft 312 and the drive shaft 312, When the contact means 313 contacts the first limit switch 314 on the lower side, the moving direction is switched to the upward movement and conversely the contact means 313 contacts the first limit switch 314 on the upper side The first limiting switch 314 and the first limiting switch 314 are switched to the downward movement.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abnormality due to the frequent contact between the contact means 313 and the first limit switch 314 or the control signal abnormality The contact means 31 3) may continue to move beyond the first limit switch 314, and if such a case occurs, the suction rod 321 of the suction portion 320 may be damaged by being hit by the body 10 9, in addition to the first limit switch 314, in addition to the first limit switch 314, a plurality of first limit switches 314 are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The interval W2 between the second limit switches 315 is set such that the suction rods 321 of the core 322 are spaced apart from the body 10 )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limit switch 315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ir of second limit switches 315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limit switch 314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ir of first limit switches 314 And the second limit switch 315 located below the pair of second limit switches 315 is disposed further apart from the pair of first limit switches 314 by a first limit switch Even if the contact means 313 moves downward beyond the first limit switch 314 downward as illustrated in FIG. 9, the contact means 314 The second limit switch 315 transmits the contact signal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drive shaft 312 to which the contact means 313 is attached, So that it can no longer be moved downward. At this time, the circuit in which the second limit switch 315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forms an independent circuit separate from the circuit in which the first limit switch 314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Even if the contact means 313 continues to move beyond the first limit switch 314 due to a circuit abnormality between the first limit switch 314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the second limit switch 315, The second limit switch 315 transmits a contact signal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when the contact unit 313 contacts the second limit switch 315 So that the drive shaft 312 to which the contact means 313 is attached can be controlled so as not to move any further.

또한,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315)는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314)와 대향되도록 위치하여, 제1리미트스위치(314)와 제2리미트스위치(315)의 이격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제2리미트스위치(315)가 상기 접촉수단(313)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즉, 만약 제2리미트스위치(315)가 제1리미트스위치(314)와 동일한 위치에서 상하로 이격되는 경우에는 제2리미트스위치(315)가 제1리미트스위치(314)와 충분하게 이격되지 않는다면, 상기 접촉수단(313)이 제1리미트스위치(314)를 지나친 이후에 제2리미트스위치(315)에 접촉하기 전에 이미 제1리미트스위치(314)와 제2리미트스위치(315) 간에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2리미트스위치(315)가 접촉수단(313)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315)를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314)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315)와 제1리미트스위치(314) 간의 이격간격이 좁은 경우(즉, 흡입봉(321)이 필터(20) 역세척을 위해 가장 낮은 위치 또는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의 바디(10)와의 이격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제2리미트스위치(315)가 제1리미트스위치(314)와의 간섭 없이 상기 접촉수단(313)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어, 흡입봉(321)이 바디(10)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이중으로 정확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second limit switch 315 is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limit switch 314 so that even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limit switch 314 and the second limit switch 315 is narrow, So that the switch 315 can accurately detect the contact means 313. That is, if the second limit switch 315 is not sufficiently separated from the first limit switch 314 when the second limit switch 315 is vertically spaced from the first limit switch 314,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limit switch 314 and the second limit switch 315 occurs before the contact means 313 passes the first limit switch 314 and before the contact means 313 contacts the second limit switch 315 9, since the second limit switch 315 can not correctly sense the contact means 313, the second limit switch 315 is connected to the first limit switch 314 of the filter 20 are arrang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the gap between the second limit switch 315 and the first limit switch 314 is narrow When the body is positioned at a lower position or the highest position ( The second limit switch 315 can accurately detect the contact means 313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irst limit switch 314 so that the suction rod 321 can be accurately detected by the body 10 to prevent double damages.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4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봉(321)에서의 흡입구(3211)의 직경(L1)이 흡입봉(321)이 1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는 리드 길이(L2)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흡입봉(321)이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역세척하지 않은 부분을 남기지 않도록 하여 필터 역세척효율을 높이고 흡입봉(32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4 and 10, the diameter L1 of the suction port 3211 in the suction rod 321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ction rod 321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backwashing efficiency of the filter can be improved and the suction bar 32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즉, 상기 코어(322)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방사형태로 부착되어 있는 상기 흡입봉(321)들이 상기 코어(322)의 회전 및 상하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필터(20) 내주면에 부착된 이물질들을 흡입하는 역세척 과정에 있어서, 도 10의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봉(321)이 1회전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리드 길이(L2)가 흡입봉(321)에서 이물질이 흡입되는 입구인 흡입구(3211)의 직경(L1)보다 크게 되면, 흡입봉(321)이 1회전하면서 흡입하는 동안 상측으로 이동한 리드 길이(L2)에서 흡입구 직경(L1)의 길이를 뺀 길이만큼의 간격(L3)에서는 필터 내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흡입되지 않고 여전히 남아있게 됨은 물론, 흡입봉(321)이 1리드를 이동하는 동안 흡입봉(321)이 흡입하는 필터(20)의 흡입면이 중첩되지 아니하므로 흡입봉(321)이 지나간 필터(20)의 흡입면에도 지속적인 여과과정으로 인해(역세척과정 중에도 여과과정은 중단되지 않고 계속되기 때문) 이물질이 또 다시 부착되기 때문에, 향후 흡입봉(321)이 하측으로 회전이동하면서 내려올 때 남아있던 이물질(이 이물질들은 흡입봉(321)에 의한 흡입과정 중에도 지속적으로 더 부착하게 되므로 이를 방치하면 이물질의 부착두께가 커지게 된다) 및 새로이 부착된 이물질이 흡입봉(321)에 부딪히게 되므로, 이러한 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흡입봉(321)의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보다 커지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고, 필터에 부착되는 이물질로 인해 여과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That is, the suction rods 321 radially attached to the core 32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terlock with the rotation of the core 322 an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re 322, In the backwashing process as shown in FIG. 10 (1), the lead length L2, which is moved upward by one rotation of the suction rod 321, is the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foreign object is sucked in the suction rod 321 The distance L3 from the lead length L2 moved to the upper side while the suction rod 321 is being sucked in one rotation minus the length of the inlet port diameter L1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L1 of the suction port 3211, The suction surface of the filter 20 to which the suction rods 321 are suck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suction rods 321 is not overlapped with the suction rods 321, The suction surface of the filter 20 passing through the suction rods 321 is continuous Since the foreign matter is adhered again due to the filtration process (the filtration process is continued without interruption even during the backwashing process), the foreign substance remaining when the suction rod 321 rotates downward in the future Since the foreign matter adheres to the suction bar 321 continuously, the foreign substance adheres to the suction bar 321 continuously. Therefore, if the process is continuously repeated, The possibility that breakage or damage of the rod 321 is caused becomes greater, and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th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filter.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10의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봉(321)에서의 흡입구(3211)의 직경(L1)을 흡입봉(321)이 1회전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리드 길이(L2)보다 대략 같거나 크게 형성함으로써, 필터(20) 내 이물질 제거를 위해 자동세척부(30)가 동작하는 과정에 있어 상기 흡입봉(321)이 1회전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리드 길이(L2)가 흡입봉(321)에서 이물질이 흡입되는 입구인 흡입구(3211)의 직경(L1)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간격을 이루게 되므로, 흡입봉(321)이 상측으로 1회전하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필터(20) 내주면에는 상기 흡입봉(321)에 의해 흡입되지 않고 남아있는 부분이 없게 됨은 물론 흡입구(3211)의 직경(L1)이 리드 길이(L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흡입봉(321)이 흡입하는 필터(20)의 흡입면이 중첩되어, 필터(20) 내주면에 역세척되지 않고 이물질이 부착된 상태로 존재하는 부분이 없게 되거나 중첩적으로 흡입되고, 따라서 향후 흡입봉(321)이 하측으로 회전이동하면서 내려올 때에도 종래와 같이 흡입봉(321)이 남아있던 이물질과 부딪히게 되는 경우 역시 사전에 방지되므로, 각 여과유닛 내 필터(20)를 역세척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봉(321)이 남아있던 이물질과의 잦은 충돌에 의해 파손 또는 손상되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고, 필터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여과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10 (2), the diameter L1 of the suction port 3211 in the suction rod 321 is set to be equal to the length L1 of the suction rod 321 which moves upward while the suction rod 321 rotates once L2), the lead length (L2) of the suction rods (321) which moves upward while rotating the automatic rods (30) in the course of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cleaning part (30) The suction pipe 321 is spaced from the inlet 321 of the suction pipe 321 by a distanc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L1 of the suction pipe 321. Therefore, The suction rod 321 is not sucked by the suction rod 321 and the suction port 321 is sucked in when the diameter L1 of the suction port 3211 is larger than the lead length L2 The suction surface of the filter 20 is superimposed and not backwash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20, Even when the suction rods 321 are rotated downward and then moved downward, the suction rods 321 are struck with the remaining foreign substances as in the conventional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ction rods 321 for sucking the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damaged or damaged by the frequent collision with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ilter in the process of backwashing the filter 20 in each filtration unit, So that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322)에 연결되는 다수의 흡입봉(321) 사이의 간격(L4)이 상기 코어(322)의 상하이동간격(L5)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코어(322)가 상하이동하는 동안 흡입봉(321)과 흡입봉(321) 사이에 이물질을 역세척하지 않은 부분을 남기지 않도록 하여 필터 역세척효율과 여과효율을 높이고 흡입봉(321)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11, the gap L4 between the plurality of suction rods 321 connected to the core 322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vertical moving distance L5 of the core 322, So that the backwashing efficiency and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can be improved while preventing the foreign matter not backwashed between the suction rods 321 and the suction rods 321 while the core 322 moves up and down, 32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즉, 코어(322)에 연결되는 다수의 흡입봉(321) 사이의 간격(L4)이 상기 코어(322)의 상하이동간격(L5)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필터(20) 내 이물질 역세척을 위해 코어(322)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흡입봉(321)과 흡입봉(321) 사이 필터(20)의 일정 영역에서는 흡입되지 않고 여전히 잔존하는 이물질이 존재하게 되고, 이는 향후 코어(322)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흡입봉(321)이 잔존하는 이물질에 부딪히게 되므로 이러한 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흡입봉(321)의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보다 커지게 되는 문제와 여과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바,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코어(322)에 연결되는 다수의 흡입봉(321) 사이의 간격(L4)을 상기 코어(322)의 상하이동간격(L5)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함으로써, 코어(322)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흡입봉(321)과 흡입봉(321) 사이에 역세척되는 필터(20)의 일정 영역을 중첩되게 하여 이물질이 역세척되지 않은 필터(20) 부분을 남기지 않게 되므로, 향후 코어(322)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종래와 같이 흡입봉(321)이 남아있던 이물질과 부딪히게 되는 경우 역시 사전에 방지되어 각 여과유닛 내 필터(20)를 역세척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봉(321)이 남아있던 이물질과의 잦은 충돌에 의해 파손 또는 손상되는 경우와 여과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gap L4 between the plurality of suction rods 321 connected to the core 32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vertical moving distance L5 of the core 322, The foreign matter still remains in the certain region of the filter 20 between the suction rods 321 and the suction rods 321 while the core 322 is moving upward, The suction rod 321 strikes the remaining foreign matter. Therefore, if the above procedure is continuously repeated, the possibility of damage or damage of the suction rod 321 is increased, The distance L4 between the plurality of suction rods 321 connected to the core 322 may be smaller than the vertical moving distance L5 of the core 322 a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core 322 to be the same or smaller, A predetermined area of the filter 20 to be backwashed is superimposed between the suction rods 321 and the suction rods 321 during movement so that the foreign matter does not leave the portion of the filter 20 that has not been backwashed, When the suction rod 321 is moved downward, the suction rod 321 is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remaining foreign matter, so that the suction rod 321 is prevented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se where the filter 321 is broken or damaged by frequent collision with the foreign matter and the problem that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low.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4, 6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의 하부에 별도의 컨트롤밸브(181)가 부착된 드레인라인(180)이 형성되어, 여과장치의 동작이 정지된 경우 바디(10)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상기 드레인라인(180)으로 배수시켜 고여 있는 밸러스트수로 인한 바디(10) 내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4, 6 and 13, a drain line 180 having a separate control valve 181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and the operation of the filtration apparatus is stopped The ballast water in the body 10 can be drained to the drain line 180 to prevent corrosion of the inside of the body 10 due to the ballast water.

즉,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는 선박에 장착되어 운용되는 특성상 선박이 장기간 정박하는 경우 등과 같이 밸러스트수 여과장치가 작동을 중단하는 경우 등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여과장치가 장기간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여과장치의 바디(10) 내에 밸러스트수가 고여있는 채로 방치되게 되면, 염분을 함유하고 있는 밸러스트수의 특성상 그로 인해 바디(10) 내부에 부식이 진행되는 등 바디(10)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That is, th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requently occurs when th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is stopped, for example, when the vessel is docked for a long period of tim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mounted on the vessel. If the ballast water is left in the body 10 of the filtration apparatus while the ballast water is left floating, due to the nature of the ballast water containing the salt, the durability of the body 10, There arises a problem that adverse effects are exert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 6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디(10) 최하부인 하부면(150)의 하부에 별도의 컨트롤밸브(181)가 부착된 드레인라인(180)(참고로, 상기 컨트롤밸브(181)가 생략되는 경우도 가능할 것이다)을 추가로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바디(10) 즉, 여과전실(161) 하부의 가장 낮은 위치인 하부면(150)에 형성된 드레인라인(180)을 통해, 여과장치가 장기간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드레인라인(180)의 컨트롤밸브(181)를 개방하여 여과전실(161) 및 여과후실(162)에 고여 있는 밸러스트수를 드레인라인(18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바디(10)의 여과전실(161)과 여과후실(162) 내부에는 밸러스트수가 완전히 배출되어 남아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배출되지 않고 바디(10) 내부에 고여 있는 밸러스트수의 염분 등으로 인한 바디(10) 내부의 부식발생 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레인라인(180)이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하부면(150)에서도 가장 낮은 부위에 연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6, and 13, a separate control valve 181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more specifically, the lower surface 150, which is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body 10, The drain line 180 (which may be omitted if the control valve 181 is omitted) is additionally formed. If the filtration device does not operate for a long period of time through the drain line 18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50 of the body 10, that is, the lowest position under the pre-filtration chamber 161, the control of the drain line 180 The valve 181 can be opened to discharge the ballast water accumulated in the pre-filtration chamber 161 and the post-filtration chamber 162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line 180. Thus, And the ballast water is completely discharged into the post-filtration chamber (162).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corrosion of the inside of the body 10 due to the salinity of the ballast water, which is not discharged as in the conventional art and accumulated in the body 10, and the like. The drain line 180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150.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디(10)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드레인라인(180) 이외에, 추가로 상기 바디(10)의 상부에 바디(10) 내부에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에어주입부(190)를 포함시켜, 바디(10)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상기 드레인라인(180)을 통해 배수시에 에어를 주입하여 바디(10)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drain line 180 formed under the body 10, an air injection unit 190 for injecting air into the body 10 is furth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So that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inside of the body 10 can be removed by injecting air when discharging the ballast water in the body 10 through the drain line 180.

즉, 도 4, 5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의 최상부 즉, 바디(10)의 상부면(130)에서 바디(10) 내부를 향해 에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주입부(190)(이는 에어 또는 압축공기를 바디(10) 내부에 주입할 수 있도록 에어 또는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컴프레샤 등과 연결되며, 주입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 개폐밸브가 포함될 수 있다)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드레인라인(180)을 통한 바디(10) 내 밸러스트수의 드레인(배출)시에 상기 에어주입부(190)를 통해 에어(또는 압축공기)를 바디(10) 내에 주입하여 바디(10) 내의 밸러스트수가 신속하게 드레인라인(180)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에어주입부(190)를 통한 에어주입으로 인해 상기 여과후실(162) 내에 고여 있던 밸러스트수는 필터(20)를 통과하여 필터(20) 하부의 밸러스트수유입공(141)을 통해 여과전실(161)로 이동하여 드레인라인(180)을 통해 최종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주입부(190)에 의한 에어주입에 따른 압력으로 상기 바디(10) 내부면에 부착되어 있던 이물질 등이 내부면에서 떨어져 함께 배출될 수 있게 되는 효과 역시 기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주입부(190)로는 별도의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 사용되나, 필요에 따라서는 바디(10) 내에 있던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드레인라인(180)을 통한 밸러스트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밴트(vent)와 같은 구성도 활용될 수도 있다.
4, 5 and 13, an air injection is made to inject air at the top of the body 10, that is, from the upper surface 130 of the body 10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10, (Which may be connected to a compressor or the like that provides air or compressed air to inject air or compressed air into the body 10 and may include a control opening / closing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whether the air or compressed air is injected) Air (or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body 10 through the air injection unit 190 when the ballast water in the body 10 is discharged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line 180, 10 can be quickly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line 180. [0035] The ballast water accumulated in the filtration chamber 162 due to the air injection through the air injection unit 190 passes through the filter 20 and flows through the ballast water inflow hole 141 under the filter 20 to the pre- And is finally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line 180. [ At this time, th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due to the air injection by the air injecting unit 190 can be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and be discharged together. In addition, the air injection unit 190 may be configured to inject compressed air separately. However, if necessary, air discharged from the body 10 may be discharged to discharge the ballast water through the drain line 180 A configuration such as a vent may also be utilized to ensure smooth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4, 6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역세척라인(332)의 하부에는 제2컨트롤밸브(33211)가 부착된 제2드레인라인(3321)이 형성되어, 여과장치의 동작이 정지된 경우 역세척라인(332)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상기 제2드레인라인(3321)을 통해 완전히 외부로 배수시켜, 고여 있는 밸러스트수로 인한 역세척라인(332) 내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6, and 14, a second drain line 3321 with a second control valve 33211 is formed under the backwash line 332, The ballast water in the backwash line 332 is completely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drain line 3321 to prevent corrosion in the backwash line 332 due to the accumulated ballast water And the like.

즉,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박에 장착되어 운용되는 특성상 선박이 장기간 정박하는 경우 등과 같이 밸러스트수 여과장치가 작동을 중단하는 경우 등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여과장치가 장기간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여과장치 필터(20)의 이물질 등을 역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자동세척부(30)의 배출관(331)이나 역세척라인(332) 내에 밸러스트수가 고여있는 채로 방치되게 되면, 염분을 함유하고 있는 밸러스트수의 특성상 그로 인해 배출관(331)이나 역세척라인(332) 내부에 부식이 진행되는 등 배출관(331)이나 역세척라인(332)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requently occurs when the operation of th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is stopped, for example, when the vessel is docked for a long period of time due to its characteristics mounted on the ship. The ballast water is allowed to remain in the discharge pipe 331 or the backwashing line 332 of 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used for backwashing the foreign substances or the like of the filtration apparatus filter 20 when the apparatus is not opera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ballast water containing salt may adversely affect the durability of the discharge pipe 331 or the backwashing line 332 due to corrosion in the discharge pipe 331 or the backwashing line 332 .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 6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여과유닛의 배출관(331)들이 연통되어 하나로 모이게 되는 역세척라인(332)의 하부에 별도의 제2컨트롤밸브(33211)가 부착된 제2드레인라인(3321)을 추가로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여과유닛의 배출관(331)들이 연통되어 하나로 모이게 되는 역세척라인(332)의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제2드레인라인(3321)을 통해, 여과장치가 장기간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드레인라인(3321)의 제2컨트롤밸브(33211)를 개방하여 각 여과유닛의 배출관(331) 및 역세척라인(332) 내에 고여 있게 되는 역세척수 및 이물질 등을 상기 제2드레인라인(3321)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므로, 각 여과유닛의 배출관(331)들이 연통되어 하나로 모이게 되는 역세척라인(332) 내부에는 밸러스트수 즉, 역세척수 및 이물질 등이 완전히 배출되어 남아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배출되지 않고 각 여과유닛의 배출관(331)이나 역세척라인(332) 내부에 고여 있는 밸러스트수의 염분 등으로 인한 배출관(331)이나 역세척라인(332) 내부의 부식발생 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드레인라인(3321)이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역세척라인(332)에서도 가장 낮은 부위에 연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6 and 14, a separate second control valve 33211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backwashing line 332, which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s 331 of the respective filtration units, Thereby further forming an attached second drain line 3321. When the filtration device is not opera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rough the second drain line 3321 formed at the lowest position of the backwashing line 332 which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s 331 of the respective filtration units, The second control valve 33211 of the second drain line 3321 is opened so that the backwash water and th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discharge pipe 331 and the backwashing line 332 of each filtration unit are discharged to the second drain line 3321, So that the ballast water, that is, the backwash water and the foreign matter, are not completely discharged from the backwash line 332, which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s 331 of the respective filtration units and collected together. Therefore, corrosion in the discharge pipe 331 or the backwashing line 332 due to the salinity of the ballast water accumulated in the discharge pipe 331 of each filtration unit or the backwashing line 332, Can be fundamentally prevented. The position of the second drain line 3321 may be connected to the lowest part of the backwashing line 332.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역세척라인(332)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드레인라인(3321) 이외에, 추가로 각 여과유닛의 배출관(331) 상에서 배출관(331) 내부에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제2에어주입부(3322)를 추가로 배치시켜, 역세척라인(332)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상기 제2드레인라인(3321)을 통해 배수시 에어를 주입하여 배출관(331)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second drain line 3321 formed under the backwash line 332, the second drain line 3321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drain line 3321 for injecting air into the drain pipe 331 on the drain pipe 331 of each filtration unit. An air injection unit 3322 is additionally disposed so that the ballast water in the backwashing line 332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rain line 3321 and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discharge pipe 331, It can be removed.

즉, 도 4, 5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여과유닛의 배출관(331) 상에서 배출관(331) 내부를 향해 에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에어주입부(3322)(이는 에어 또는 압축공기를 배출관(331) 내부에 주입할 수 있도록 에어 또는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컴프레샤 등과 연결되며, 주입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 개폐밸브가 포함될 수 있다)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드레인라인(3321)을 통한 배출관(331) 및 역세척라인(332) 내 역세척수 및 이물질 등의 드레인(배출)시에 상기 제2에어주입부(3322)를 통해 에어(또는 압축공기)를 각 여과유닛의 배출관(331) 내에 주입하여 각 배출관(331) 및 역세척라인(332) 내의 역세척수 및 이물질 등이 신속하게 상기 제2드레인라인(3321)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2에어주입부(3322)를 통한 에어주입에 따른 압력으로 인해 각 여과유닛의 배출관(331) 내부면에 부착되어 있던 이물질 등도 배출관(331) 내부면에서 떨어져 함께 배출될 수 있게 되는 효과 역시 기대될 수 있다. 상기 제2드레인라인(3321)의 제2컨트롤밸브(33211)의 개폐 및/또는 상기 제2에어주입부(3322)를 통한 에어주입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S. 4, 5 and 14, a second air injection unit 3322 (which can be an air or compression unit) for injecting air into the discharge pipe 331 on the discharge pipe 331 of each filtration unit, (Which may be connected to a compressor or the like that supplies air or compressed air to inject air into the discharge pipe 331 and may include a control opening / closing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the injection of the air), the second drain line (Or compressed air) through the second air injecting portion 3322 at the time of drainage (discharge) of backwash water and foreign matters in the discharge pipe 331 through the discharge port 3321 and the backwashing line 332 through the second air injection port 3321, So that backwash water and foreign matter in each of the discharge pipe 331 and the backwashing line 332 can be quickly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rain line 3321 by injecting it into the discharge pipe 331. [ In addition,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331 of each filtration unit can be discharg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331 together with the pressure due to air injection through the second air injection unit 3322 The effect can also be expecte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control valve 33211 of the second drain line 3321 and / or the air injection through the second air injection unit 3322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4, 15 및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20)가 상측은 상기 바디(10)의 상부면(130)에 결합하고, 하측은 상기 바디(10)의 격벽(140)에 결합하며, 필터(20)의 상측과 하측 말단에는 바디(10)와 직접 접촉하여 안착되는 시트(210)가 부착되어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4, 15 and 17,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2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130 of the body 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20 is coupled to the partition wall of the body 10 And the seat 210 i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lter 20 in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10.

다만, 도 16을 참조하면, 종래의 경우에는 위와 같은 필터(20)의 상측과 바디(10) 간의 결합부분에 대한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해(필터(20)의 하측과 바디(10) 간의 결합부분에 대한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필터(20) 상측의 시트(210)가 직접 바디(10) 상부면(130)에 형성된 필터인입공(131)을 덮는 상부덮개판(170)의 하향돌출편(171)과 직접 접촉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필터(20) 상측 시트(210)와 상기 하향돌출편(171) 사이에 별도의 고무패킹(f,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의 단면을 형성함)을 씌워,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시트(210)에 별도의 고무패킹(f)을 씌워놓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필터(20) 내주면에 이물질 등의 부착이 진행됨에 따라 필터(20) 내부의 압력은 높아지고 상대적으로 필터(20) 외부의 압력은 낮아지게 되는 상태에 있게 되면, 필터(20)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가려고 하는 밸러스트수의 압력이 커지게 되어 필터(20)의 상측과 바디(10) 간의 결합부분을 통해 밸러스트수가 빠져 나가려고 하는 압력 역시 증대됨에 따라, 상기 필터(20) 상측의 시트(210)를 덮어씌우고 있던 고무패킹(f)이 그 압력에 의해 필터(20)의 외측으로 벗겨지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어, 고무패킹(f)이 탈락된 필터(20) 상측의 틈을 통해 필터(20) 내부의 미여과된 밸러스트수가 그대로 필터(20) 외부로 누수가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물론, 필터(20) 하측에서도 동일한 문제점이 발행하게 된다). 16, in order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20 and the body 10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20 and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body 10) The seat 210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2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upper cover plate 170 covering the hole 131 which is a filt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30 of the body 10 A separate rubber packing f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heet 210 of the filter 20 and the downward projecting piece 171 so as not to directly contact the downward projecting piece 171 of the filter 20, And a separate rubber packing (f) is put on the sheet (210).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structure,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filter 20 becomes higher and the pressure outside the filter 20 becomes lower as the adhesion of foreign matter or the like progresse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20, The pressure of the ballast water that is going to escape to the outside from the inside of the filter 20 is increased and the pressure to be discharged from the ballast water through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20 and the body 10 also increases, The rubber packing f covering the sheet 210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20 is frequently peeled off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20 due to the pressure, (The same problem occurs on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20 as well) through the gap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20 through the gap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20.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종래의 필터(20)와 바디(10) 간의 결합구조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 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20) 상측의 시트(210)와 바디(10) 상부덮개판(170)의 하향돌출편(171) 간의 접촉면에 별도의 오링(60)을 위치시켜, 여과압력(즉, 필터(20) 내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필터(20) 내부의 여과 전 밸러스트수가 필터(20)와 바디(10) 즉, 상부덮개판(170)의 하향돌출편(171) 과의 접촉면 틈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4 and 15,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onventional filter 20 and the body 10, the sheet 210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20, A separate O-ring 60 is placed o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downward protruding pieces 171 of the upper cover plate 170 of the body 10 and the filter 20 is removed by filtration pressure (that is,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ilter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llast water before filtration from flowing out into the gap between the filter 20 and the body 10, that is,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downward protruding piece 171 of the upper cover plate 170.

즉,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상기 필터(20)의 시트(210)를 덮어씌우는 고무패킹(f) 대신에, 상기 필터(20)에 고정된 시트(210)가 직접 바디(10) 즉, 상부덮개판(170)의 하향돌출편(171)에 접촉하도록 하고, 다만 상기 시트(210)와 상부덮개판(170)의 하향돌출편(171) 간의 접촉면에 별도의 오링(60)을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오링(60)에 의해 필터(20) 내부의 여과 전 밸러스트수가 시트(210)와 상부덮개판(170)의 하향돌출편(171) 사이의 접촉면 틈을 통해 필터(2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오링(60)은 상기 시트(210) 또는 상부덮개판(170) 하향돌출편(171)에 형성되는 함입된 홈 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필터(20) 내부의 여과압력에도 종래의 고무패킹()과 같이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는 특징을 갖는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rubber packing f covering the seat 210 of the filter 20, the seat 210 fixed to the filter 20 is directly attached to the body 10, By placing a separate O-ring 60 o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heet 210 and the downward protruding piece 171 of the upper cover plate 170, by contacting the downward protruding piece 171 of the cover plate 170, The ballast water before filtration in the filter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20 through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eat 210 and the downward projecting piece 171 of the upper cover plate 170 by the O- . The O-ring 60 is located in the recess formed in the seat 210 or the downward protruding piece 171 of the upper cover plate 170. Therefore, even when the conventional rubber packing is applied to the filtration pressure inside the filter 20, As shown in FIG.

이때, 특히 상기 필터(20)의 상측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링(60)이 상기 상부덮개판(170)의 하향돌출편(171)에 함입형성된 오링홈(172) 내에 삽입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상기 상부덮개판(170)만을 분리하면 상기 오링(60)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오링(60)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5, the O-ring 60 is inserted into the O-ring groove 172 formed in the downward protruding piece 171 of the upper cover plate 170, So that the O-ring 60 can be easily replaced by removing only the upper cover plate 170, thereby facilitating the O-ring 60 replacement operation.

즉, 위와 같이 상기 필터(20)의 상측 부분의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해 포함되는 상기 오링(60)을 상기 상부덮개판(170)의 하향돌출편(171)에 함입형성된 오링홈(172) 내에 삽입되도록 하게 되면, 상기 오링(60)에 대한 교체나 보수 작업을 요할 시에 상기 상부덮개판(170)을 상기 바디(10) 본체로부터 분리만 하게 되면 상부덮개판(170)의 하향돌출편(171)에 함입형성된 오링홈(172) 내에 위치한 상기 오링(60)을 쉽게 분리 및 교체할 수 있게 되므로 단시간에 오링(60)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편리하게 해당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오링홈(172)이 도 15에서와 달리 상기 필터(20) 상측의 시트(210)면에 형성되는 경우를 상정하게 되면, 오링(60)의 교체를 위해서는 상기 상부덮개판(170)의 분리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상기 필터(20)를 바디(10) 내에서 빼내야 하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므로(설사, 필터(20)를 빼내지 않은 상태에서 오링(60)의 교체작업이 불가능하지 않다 하더라도, 이는 작업자가 바디(10) 상측에 올라가서 필터인입공(131) 내부를 통해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박이라는 특수성상 여과장치 상부의 공간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역시 작업이 용이하지 않음은 분명하다), 오링(60)의 교체나 보수작업이 훨씬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를 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상기 오링(60)이 위치고정될 상기 오링홈(172)을 상기 상부덮개판(170)의 하향돌출편(171)에 함입형성시킴으로써, 그 교체작업의 편리성과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있다. That is, the O-ring 60 inclu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20 is inserted into the O-ring groove 172 formed in the downward projecting portion 171 of the upper cover plate 170, When the upper cover plate 170 is separated from the body of the body 10 when the o-ring 60 needs to be replaced or repaired, the downward protruding pieces 171 of the upper cover plate 170 The O-ring 60 located in the O-ring groove 172 formed in the O-ring groove 172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placed, so that the O-ring 60 can be replaced in a short time and the corresponding operation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15, it is assumed that the O-ring groove 172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at 210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20. In order to replace the O-ring 60, the upper cover plate 170,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take out the filter 20 from the body 10 in addition to the separation of the filter 20. Even if the replacement operation of the o-ring 60 is not possible without removing the filter 20,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t enough space above the special structure filter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worker has to work on the inside of the entrance hole 131 which is the filter by climbing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0, It is obviously not easy), the replacement or maintenance work of the O-ring 60 is much more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O-ring groove 172 to be fixed in the O-ring 60 in the downward protruding piece 171 of the upper cover plate 170 as described above, .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터(20)의 상측과 달리, 필터(20)의 하측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20) 하측의 시트(210)는 상기 바디(10)의 격벽(140)에 형성된 밸러스트수유입공(141)을 둘러싸는 돌출편(142)과 접촉하게 되며, 이때 상기 오링(60)이 상기 필터(20) 하측의 시트(210)에 함입형성된 제2오링홈(211) 내에 삽입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상기 필터(20)만을 분리하면 오링(60)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용이하게 필터(20) 하측의 오링(60)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7, under the filter 20, the sheet 210 on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20 is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wall 140 of the body 10, unlike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20, The O-ring 6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iece 142 surrounding the ballasted water feeding hole 141 formed in the second O-ring groove 211 formed in the seat 210 below the filter 20 The O-ring 60 can be easily replaced by separating only the filter 20, thereby facilitating the replacement operation of the O-ring 60 on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20.

즉, 필터(20) 상측과 달리, 필터(20) 하측에서는 상기 필터(20) 하측에 부착된 시트(210)가 상기 바디(10) 격벽(140)에서 밸러스트수유입공(141)을 둘러싸며 돌출형성되는 돌출편(142)과 접촉되어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필터(20) 하측의 시트(210)와 상기 돌출편(142) 간의 접촉면에서의 기밀을 위해 포함되는 상기 오링(60)이 견고하게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함입형성되는 제2오링홈(211)이 상기 필터(20) 하측의 시트(210) 면에 함입형성되도록 하게 되면, 상기 필터(20) 하측의 오링(60)에 대한 교체나 보수 작업을 요할 시에 상기 필터(20)만을 상기 바디(10) 내에서 분리만 하게 되면 필터(20) 하측의 시트(210) 면에 함입형성된 제2오링홈(211) 내에 위치한 상기 오링(60)을 쉽게 분리 및 교체할 수 있게 되므로 단시간에 오링(60)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편리하게 해당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제2오링홈(211)이 도 17에서와 달리 상기 바디(10) 격벽(140)에서 밸러스트수유입공(141)을 둘러싸며 돌출형성된 상기 돌출편(142) 면에 형성되는 경우를 상정하게 되면, 필터(20) 하측에 위치하는 오링(60)의 교체를 위해서는 상기 상부덮개판(170) 및 필터(20)의 분리만으로는 부족하고, 추가로 바디(10) 내 흡입부(320)를 분리시켜야 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협소한 바디(10) 내로 들어와서 바디(10) 내에서 교체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필터(20) 하측에 위치하는 오링(60)의 교체나 보수작업이 훨씬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를 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필터(20) 하측에서의 상기 오링(60)이 위치고정될 상기 제2오링홈(211)을 필터(20) 하측의 시트(210) 면에 함입형성시킴으로써, 그 교체작업을 위해서는 상기 필터(20)만을 바디(10) 내에서 외부로 빼내면 그에 부착된 오링(60)까지 외부에서 쉽게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편리성과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unlike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20, the seat 210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20 surrounds the ballast water feeding hole 141 at the partition wall 140 of the body 10, The O-ring 60 included for sealing at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eat 210 and the protruding piece 142 under the filter 20 is firmly fixed to the protruding piece 142, The second O-ring groove 211 formed to be inserted and fixed can be embedded in the surface of the seat 210 below the filter 20 so that the O-ring 60 can be replaced The second O-ring groove 211 formed in the second O-ring groove 21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20 when the filter 20 is only separated from the body 10 when the O- 60)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placed, so that the O-ring 60 can be replaced in a short period of time. You will be able to proceed with this work. 17,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O-ring groove 211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ojecting piece 142 protruding from the partition wall 140 of the body 10 to surround the ballast water feeding hole 141 The separation of the upper cover plate 170 and the filter 20 is insufficient for the replacement of the O-ring 60 positioned below the filter 20 and further the suction of the suction unit 320 in the body 10 The replacement or repair work of the O-ring 60 located under the filter 20 is much more complicated because the operator has to separate the O-ring 60 and the O-ring 60 and the operator must enter the narrow body 10 and perform the replacement operation in the body 10. [ It will take a lot of time and trouble.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O-ring groove 211 to be fixed to the O-ring 60 below the filter 20 is embedded in the surface of the sheet 210 below the filter 20, If only the filter 20 is taken out of the body 10, the replacement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from the outside to the O-ring 60 attached to the filter 20, so that convenience and promptness can be ensured.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scope.

10: 바디
110: 유입부 120: 유출부 130: 상부면 131: 필터인입공
140: 격벽 141: 밸러스트수유입공 142: 돌출편 143: 부싱
150: 하부면 151: 받침대 161: 여과전실 162: 여과후실
170: 상부덮개판 171: 하향돌출편 172: 오링홈 173: 압력측정공
180: 드레인라인 181: 컨트롤밸브 190: 에어주입부
20: 필터
210: 시트 211: 제2오링홈
30: 자동세척부
310: 구동부 311: 구동모터 312: 구동축
313: 접촉수단 314: 제1리미트스위치 315: 제2리미트스위치
320: 흡입부 321: 흡입봉 3211: 흡입구 322: 코어 3221: 스토퍼
330: 배출부 331: 배출관 3311: 이그조스트밸브
332: 역세척라인 3321: 제2드레인라인 33211: 제2컨트롤밸브
3322: 제2에어주입부
333: 배압방지탱크 3331: 유입구 3332: 배출구
3333: 수위측정센서 3334: 펌프
40: 제1압력센서 50: 제2압력센서
60: 오링
*종래기술에 관련된 부호
a: 구동부 b: 배출부 c: 배관라인
d: 유입부압력센서 e: 유출부압력센서 f: 고무패킹
10: Body
110: inlet portion 120: outlet portion 130: upper surface 131: filter inlet
140: bulkhead 141: ballast feeding inlet 142: projection 143: bushing
150: lower surface 151: pedestal 161: pre-filtration chamber 162: post filtration chamber
170: upper cover plate 171: downward projecting piece 172: O-ring groove 173: pressure measuring hole
180: drain line 181: control valve 190: air injection unit
20: Filter
210: sheet 211: second O-ring groove
30: Automatic cleaning unit
310: driving part 311: driving motor 312:
313: contact means 314: first limit switch 315: second limit switch
320: suction portion 321: suction rod 3211: suction port 322: core 3221: stopper
330: discharge part 331: discharge pipe 3311:
332: backwash line 3321: second drain line 33211: second control valve
3322: second air injection unit
333: Back pressure preventing tank 3331: Inlet port 3332: Outlet port
3333: Level sensor 3334: Pump
40: first pressure sensor 50: second pressure sensor
60: O ring
* Prior art related codes
a: drive part b: discharge part c: piping line
d: inlet pressure sensor e: outlet pressure sensor f: rubber packing

Claims (16)

밸러스트수가 유출입되는 유입부와 유출부를 갖는 바디 내에 다수의 여과유닛이 패키지화되어 연결된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바디 내부를 흐르는 밸러스트수를 여과시키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역세척하는 자동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와, 각 여과유닛마다 설치되어 각 여과유닛의 필터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를 포함하여 제어부의 제어하에 바디 내부의 압력과 일정 범위 이상의 차압이 발생하는 여과유닛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자동세척부를 구동시켜, 이물질 역세척과정에서의 배압증가를 방지하여 역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상기 자동세척부는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자동세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움직이면서 상기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봉과, 상기 흡입봉이 연결되며 구동부에 연동하는 흡입봉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으로 작용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 부착된 가장 아래쪽의 흡입봉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 및 상하이동하면서 그 타단에 연결되는 흡입부의 코어를 연동하여 회전 및 상하이동시키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부착되는 접촉수단과, 상기 접촉수단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제1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스토퍼가 접촉하게 되는 격벽에 스토퍼와의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는 설치되는 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are packaged and connected in a body having an inlet portion and an outlet portion through which ballast water flows in and out,
Wherein the filtration unit includes a filter for filtering the ballast water flowing in the body and an automatic cleaner for backwashing th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filter,
A first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inside the body; and a second pressure sensor provided for each filtration unit and measuring a pressure inside the filter of each filtration unit, The automatic washing unit is sequentially driven for each filtration unit in which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generated so as to prevent back pressure increase in the backwashing process of the foreign substance,
The automatic cleaning unit includes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automatic cleaning unit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 suction unit for suction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filter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foreign substances sucked by the suction unit ,
The suction unit is provided with a suction bar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filter, a core connected to the suction bar and serving as a rotation axis for rotating the suction bar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unit, And a stopper provided,
A drive shaft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and having one end rotatably and vertically mov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e motor and rotating and vertically moving the core of the suction unit connected to the other end, Contact means attached to the drive shaft and a pair of first limit switche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contact means,
Wherein the body includes a bushing installed to prevent damage due to contact with the stopper on a partition wall where the stopp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력센서는 상기 바디 상부의 필터인입공을 차단하는 상부덮개판을 관통하는 압력측정공을 통해 필터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pressure sensor measures a pressure inside the filter through a pressure measuring hole passing through an upper cover plate that blocks a hole, which is a filter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Filtr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배출관이 상기 바디의 하부에 위치하며, 다수의 여과유닛의 배출관이 하나의 배출라인으로 연통 형성됨으로써, 선박 내 공간효율성을 높이고 간단한 구조를 이룰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unit has a discharge pipe serving as a passage through which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a discharge pipe of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is formed as one discharge line so that space efficiency in the ship can be improved and a simple structure can be achieved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equential backwash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봉이 연결되어 흡입봉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으로 작용하는 코어의 일측에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스토퍼가 바디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코어의 상하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흡입봉이 바디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unit is provided with a stopper at one side of the core, which is connected to a suction rod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filter and serves as a rotation axis for rotating the suction rod. When the stopper contacts the body, Wherein the suction rod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collision with the body, there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backwashing sequentiall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게 되는 바디에는 부싱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는 금속재질로, 상기 부싱은 비금속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스토퍼와 바디의 접촉에 따른 스토퍼나 바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opper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bushing is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so that the stopper and the bod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stopper and the body,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system that automatically controls sequential backwas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봉은 흡입구의 직경이 흡입봉이 1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는 리드 길이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흡입봉이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역세척하지 않은 부분을 남기지 않으면서 중첩되어 이물질을 역세척하여 필터 역세척효율을 높이고 흡입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rods are form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suction rods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lead length that moves up and down with one rotation of the suction rods, and when the suction rods rotate, the foreign substances are backwashed by overlapping without leaving the non- Where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device automatically controls sequential backwashing, which is capable of increasing efficiency and preventing breakage of the suction ro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하부에는 드레인라인이 형성되어, 여과장치의 동작이 정지된 경우 바디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상기 드레인라인으로 배수시켜 고여 있는 밸러스트수로 인한 바디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바디의 상부에는 바디 내부에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에어주입부를 포함하여, 바디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상기 드레인라인을 통해 배수시 에어를 주입하여 바디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rain lin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to drain the ballast water inside the body into the drain line when the operation of the filtration apparatus is stopped to prevent corrosion of the inside of the body due to accumulated ballast water,
And an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ir into the body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so that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inside of the body can be removed by injecting air when the ballast water in the body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line.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equential backwash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이 형성하는 역세척라인의 하부에는 제2드레인라인이 형성되어, 여과장치의 동작이 정지된 경우 역세척라인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상기 제2드레인라인으로 배수시켜 고여 있는 밸러스트수로 인한 역세척라인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배출관 상에는 배출관 내부에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제2에어주입부가 배치되어, 역세척라인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상기 제2드레인라인을 통해 배수시 에어를 주입하여 배출관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second drain line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ackwash line formed by the discharge pipe and the ballast water in the backwash line is drained to the second drain line when the operation of the filtration apparatus is stopped, To prevent corrosion inside the cleaning line,
A second air injection unit capable of injecting air into the discharge pipe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pipe. When the ballast water in the backwash line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rain line, air is injected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discharge pipe Wherein the ballast water filtration system is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system that automatically controls sequential backwash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측이 상기 바디의 상부면에 결합하고, 하측이 상기 바디의 격벽에 결합하며, 필터의 상측과 하측 말단에는 바디와 직접 접촉하여 안착되는 시트가 부착되고, 상기 시트과 바디의 접촉면에는 오링이 위치하여, 여과압력에 의해 필터 내부의 여과 전 밸러스트수가 필터와 바디의 접촉면 틈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e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partition of the body,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lter are attached to the body in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Wherein the pre-filtering ballast water inside the filt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into the gap between the filter and the body by the filtration pressure, and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backwashing sequentiall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상측의 시트는 상기 바디 상부면에 형성된 필터인입공을 차단하는 상부덮개판의 하향돌출편과 접촉하며, 상기 오링은 상기 상부덮개판의 하향돌출편에 함입형성된 오링홈 내에 삽입되므로, 상기 상부덮개판만을 분리하면 오링을 교체할 수 있어 용이하게 오링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O-ring is inserted into the O-ring groove formed in the downward protruding piece of the upper cover plate, so that the O- And the o-ring can be replaced by removing only the upper cover plate, so that the o-ring replacement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측의 시트는 상기 바디 격벽에 형성된 밸러스트수유입공을 둘러싸는 돌출편과 접촉하며, 상기 오링은 상기 필터 하측의 시트에 함입형성된 제2오링홈 내에 삽입되므로, 상기 필터만을 분리하면 오링을 교체할 수 있어 용이하게 오링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ower sheet contacts the protruding piece surrounding the ballast water feeding hole formed in the body partition wall and the O-ring is inserted into the second O-ring groove formed in the lower sheet. Therefore, Th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asily performing an O-ring replacement opera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각 여과유닛의 배출관이 연통하여 형성한 하나의 배출라인 상에 배압방지탱크를 포함하여, 배출라인의 역세척수 및 이물질이 일차로 상기 배압방지탱크에 저장되어 배출라인 상에 배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charge unit includes a back pressure preventing tank on one discharge line formed by a discharge pipe of each filtration unit so that backwash water and foreign matter of the discharge line are stored in the back pressure preventing tank in primary and back pressure is increased on the discharge line Where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device automatically controls sequential backwashing.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압방지탱크는 역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보다 배출되는 배출구가 낮게 위치하여 배압방지탱크 내 수위가 상기 유입구보다 낮게 유지되도록 하며,
탱크 내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와, 상기 수위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위가 일정 높이 이상인 경우 탱크 내 저장된 역세척수를 배출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탱크 내 수위를 일정 높이 이하로 유지하여 역세척라인 상에 배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back pressure preventing tank is disposed such that the discharge port discharged from the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backwash water flows is low, so that the water level in the back pressure preventing tank is kept lower than the inlet port,
And a pump for discharging the backwash water stored in the tank when the water level measured by the water level sensor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height, wherein the water level in the tank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r less, And the back pressure is prevented from increasing on the line.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backwashing sequential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19918A 2013-02-25 2013-02-25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uccessively back-washing KR1017487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918A KR101748741B1 (en) 2013-02-25 2013-02-25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uccessively back-was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918A KR101748741B1 (en) 2013-02-25 2013-02-25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uccessively back-wash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425A Division KR101287122B1 (en) 2011-10-14 2011-10-14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uccessively back-washing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972A KR20130040972A (en) 2013-04-24
KR101748741B1 true KR101748741B1 (en) 2017-06-20

Family

ID=4844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918A KR101748741B1 (en) 2013-02-25 2013-02-25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uccessively back-was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74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6305B (en) * 2018-04-16 2023-09-26 浙江绿宇环保有限公司 Filtering system
CN108854214A (en) * 2018-07-17 2018-11-23 林经师 A kind of backwash micro filter water process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4778A1 (en) * 1989-10-04 1991-04-18 Kent Strid Method and device for filtering of suspens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4778A1 (en) * 1989-10-04 1991-04-18 Kent Strid Method and device for filtering of suspen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972A (en)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122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uccessively back-washing and Method thereof
KR101287144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preventing a formation of back-pressure
KR101287139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compacted and superior in operating efficiency
KR101335309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improving durability of back-washing line
KR101741153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compacted and superior in operating efficiency
KR101303654B1 (en) A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preventing a formation of back-pressure
KR101748741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uccessively back-washing
KR101741156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preventing a formation of back-pressure
KR101287116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improving back washing efficiency of filter
KR101748744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improving durability of back-washing line
KR101748736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improving back washing efficiency of filter
KR101748751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having a filter airtight-improvement structure
KR101748742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preventing a corrosion in body
KR101238774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having dual safety structure
KR101838593B1 (en)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imultaneously back―washing and method thereof
KR101287080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preventing a corrosion in body
KR101287132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having a filter airtight-improvement structure
KR101303655B1 (en) A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having compact and enhanced operating efficiency
KR20140053062A (en)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having discharge pipe which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