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129B1 - 비계기둥 받침구조 - Google Patents

비계기둥 받침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129B1
KR101748129B1 KR1020170013683A KR20170013683A KR101748129B1 KR 101748129 B1 KR101748129 B1 KR 101748129B1 KR 1020170013683 A KR1020170013683 A KR 1020170013683A KR 20170013683 A KR20170013683 A KR 20170013683A KR 101748129 B1 KR101748129 B1 KR 101748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support
hole
bol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170013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2Scaffold feet, e.g. with arrangements for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0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비계기둥의 하부를 지지하는 비계기둥 받침구조로서, 상기 비계기둥 받침구조는, 상기 복수개의 비계기둥 각각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받침구; 및 상기 복수개의 받침구 상호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구는, 상기 받침구의 중앙에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비계기둥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연결바의 단부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받침구에 파이프가 매설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기둥 받침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복수개의 받침구, 복수개의 연결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이 단순하여 현장에서 설치가 간단하고, 받침구 간의 하중분산이 잘 이루어져 연약지반에서도 집중하중을 잘 견뎌낼 수 있는 안정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계기둥 받침구조{Support structure of Scaffolding pillar}
본 발명은 비계기둥 받침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서는 높은 곳에서 재료를 운반하거나, 작업자의 통로로 사용하거나, 또는 위험물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가설 지지대로서 비계가 사용되고 있다. 이 비계의 재질은 주로 시공여건이나, 안전성, 또는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나, 일반적으로 형태가 정확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운반과 보관이 편리하고, 조립과 해체가 용이한 강관비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관비계는 강재 소재의 비계기둥, 띠장, 장선, 밑받침철물, 가새, 밑둥잡이 강관, 클램프, 연결핀 등을 조립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이들 중 비계기둥의 하단에 설치되어 비계기둥을 고정하고 지지하는 밑받침철물은 강관비계의 전 하중이 전달되는 부분으로서, 강관비계로 작용하는 하중이 밑받침철물로 균일하게 분산되고, 밑받침철물이 견고히 지지할 수 있어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강관비계의 경우 지반이 연약하거나 지지력이 불균일한 경우 밑받침철물에 작용하는 하중이 특정한 한 곳으로 집중하게 되고, 하중이 집중된 곳의 밑받침철물은 집중된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침하가 발생하고, 결국 강관비계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불균형이 일어나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6013호 "강관비계용 시스템 받침구"가 개시되어 있다.(도 5a 내지 도 5c 참조) 이 종래기술은 강관비계에서 하단에 결속홀이 형성된 비계기둥(2)과 결합하여 상기 비계기둥(2)을 지지하는 받침구로서, 비계기둥(2)과 결합하는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상하로 긴 슬로트홀(11a)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지지핀(11)과 상기 지지핀(11)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받침판(15)으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지지판(10); 및, 상기 다수개의 지지판(10)을 일정간격으로 연속하여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다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비계용 시스템 받침구(청구항 1 참조)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깔판 없이 지반과의 접지면적을 적당히 확보할 수 있게 하여 연약지반에서도 안정적으로 강관비계를 지지하고, 강관비계용 시스템 받침구를 강관비계에 적용시키면 비계기둥을 일정간격으로 일괄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이는 곧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비계기둥(2)에 결합된 볼트·너트(30)가 지지핀(11)의 슬로트홀(11a)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구조로서, 큰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충분하지 아니하고, 비계기둥(2)으로부터 큰 하중이 작용하여 비계기둥(2)이 휘거나 지반이 불균일하게 침하하여 받침판(15)이 기울어질 때, 지지핀(11)과 받침판(15)의 결합 부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핀(11)과 받침판(15)이 모두 고가의 강재로 구성되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핀(11)의 슬로트홀(11a)과 비계기둥(2)의 볼트·너트(30)의 설치방향이 일치하여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비능률적이고, 받침판(15)와 연결다리(20)의 결합구조로 인하여 체결과 분리가 용이하지 아니하여 강관비계의 설치작업과 변경작업이 용이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6013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삽입홈과 연결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받침구와, 복수개의 받침구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바 등을 포함함으로써, 비계기둥에 대한 지지능력이 우수하고, 큰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충분히 견고하며, 제작비용이 적게 들고, 비계의 설치작업과 변경작업이 신속, 편리한 비계기둥 받침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비계기둥 받침구조는, 복수개의 비계기둥의 하부를 지지하는 비계기둥 받침구조로서, 상기 비계기둥 받침구조는, 상기 복수개의 비계기둥 각각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받침구; 및 상기 복수개의 받침구 상호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구는, 상기 받침구의 중앙에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비계기둥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연결바의 단부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받침구에 파이프가 매설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받침구의 상부 모서리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연결홈과, 상기 연결홈의 하부에 매설되고 상측으로 노출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상측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는 단부에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 상기 볼트가 삽입된 후 상기 너트를 체결됨으로써, 상기 연결바와 상기 받침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일측은 상기 받침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의 구멍에 상기 볼트가 삽입된 후 상기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연결바와 상기 받침구가 더 견고히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연결바와 동일축상에 위치하는 제1연결구와, 상기 연결바와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3연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받침구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의 구멍은 일측으로 개방된 절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구는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볼트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은 상부의 직경을 하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받침구가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비계기둥에 휨하중이 작용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과 상기 비계기둥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재질의 패킹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킹은 머리 잘린 추 형상으로서, 상기 삽입홈과 상기 비계기둥 사이에 긴밀히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홈의 내측면을 덮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파이프는 앵커에 의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상기 프레임과 상기 파이프가 상기 받침구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삽입홈과 연결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받침구와, 복수개의 받침구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바 등을 포함함으로써, 비계기둥에 대한 지지능력이 우수하고, 큰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충분히 견고하며, 제작비용이 적게 들고, 비계의 설치작업과 변경작업이 신속, 편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비계기둥 받침구조를 설치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비계기둥 받침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연결구의 다양한 실시 예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받침구에 형성되는 삽입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는 종래기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비계기둥 받침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비계기둥 받침구조는, 복수개의 비계기둥(1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건설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강관비계 또는 그와 유사한 비계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비계기둥(10)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개의 받침구(20)와, 복수개의 받침구(20) 상호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바(4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구(20)는 각 비계기둥(10)의 하단에 배치되어 비계기둥(10)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넓은 면적으로 분산시켜 지반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받침구(20)는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나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함으로써,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된 받침구(20)는 넓은 면적에 의해 강관비계가 지반속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받침구(20)의 하측에 버림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지 않더라도 비계기둥(10)을 잘 지지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경우 강관비계를 설치할 때 강관비계의 하단에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밑받침철물, 깔판 및 깔목 등을 사용하고, 밑둥잡이 강관을 연결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의 받침구(20)는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된 받침구(20)를 사용함으로써, 버림 콘크리트, 깔판이나 깔목, 밑받침철물 등에 비해 파손이나 훼손의 염려가 없어 안정성이 우수하고, 현장에서 바로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이 신속하며, 반영구적으로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받침구(20) 상호간을 연결하는 연결바(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연결바(40)는 받침구(20) 상호간을 연결하여 받침구(20) 상호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호 결합하여, 특정의 받침구(20)가 과다하게 침하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강관비계의 전체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받침구(20)에는 비계기둥(1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삽입홈(22)은 상기 받침구(20)의 중앙부에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2)은 원기둥 형상의 파이프(23)를 매설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매우 쉽고도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다. 비계기둥(10)은 파이프(23)의 의해 형성된 삽입홈(22)에 삽입됨으로써, 비계기둥(10)의 설치가 매우 신속하고, 또한 콘크리트에 매설된 파이프(23)에 비계기둥(10)이 삽입됨으로써 비계기둥(10)이 견고하고도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받침구(20)에는 연결바(40)가 결합되는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연결부는 받침구(20) 상부 모서리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연결홈(26)과, 상기 연결홈(26)의 하부에 매설되고 상측으로 돌출되는 볼트(27)와, 상기 볼트(27)의 상측에 결합되는 너트(29)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홈(26)은 받침구(20)의 상측 모서리에 사각형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연결바(40)의 단부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연결바(40)와 받침구(20)를 쉽고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볼트(27)는 연결홈(26)의 하측에 머리가 매설되어 연결홈(26)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볼트(27)는 머리에 의해 받침구(20)에 견고히 고정되고, 돌출된 상측에 후술하는 연결바(40)가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 이 볼트(27)에 연결바(40)를 결합함으로써, 받침구(20)와 연결바(40)를 신속하고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받침구(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40)의 양 단부에는 상기 볼트(27)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40)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볼트(27)가 삽입되고, 너트(29)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연결바(40)와 상기 받침구(2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연결바(40)가 받침구(20) 상호간을 연결함으로써, 안정적인 비계기둥 받침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내지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비계기둥 받침구조의 연결부는 연결구(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연결구(50)는 일측은 상기 받침구(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볼트(27)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트(27)에 연결바(40)를 삽입 설치하고, 이후 연결구(50)를 상기 볼트(27)에 설치한 후 너트(29)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연결바(40)가 상기 받침구(2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즉, 볼트(27)의 하측은 상기 받침구(20)에 매설되어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연결구(50)와 결합됨으로써, 연결바(40)가 볼트(27)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50)는 상기 받침구(20)에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U자 형상의 고리를 받침구(20)에 설치하고 이 고리에 연결구(50)를 설치함으로써, 연결구(50)가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못 형상의 고리를 받침구(20)에 설치하고 이 고리에 연결구(50)를 설치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할 수 있다.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연결구(50)의 경우, 연결구(50)의 구멍이 일측으로 개방되는 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구(5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볼트(27)에 결합한 후 너트(29)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50)는 상기 연결바(40)와 동일축상에 위치하는 하나의 제1연결구(51)로만 구비되거나, 또는 제1연결구(51)에 더하여 그와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3연결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볼트(27)가 삽입된 연결바(40)의 상측에 제1연결구(51), 제2연결구(미도시), 제3연결구(미도시)를 차례로 포개어 설치한 후 너트(29)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2, 3연결구가 연결바(40)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받침구(20)에 형성되는 삽입홈(22)은 상부의 직경을 하부의 직경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지반이 불균일하거나, 연약하거나 하는 등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비계기둥(10)의 하부에 휨하중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따라서 비계기둥(10)이 꺾이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22)과 상기 비계기둥(10)의 사이에는 탄성재질의 패킹(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24)는 고무 등으로 속이 비고 머리가 잘린 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24)를 상부의 직경이 더 큰 삽입홈(22)에 설치함으로써, 비계기둥(10)의 하단부가 삽입홈(22)에 긴밀히 삽입됨과 동시에 휨하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홈(26)에는 내측면을 덮는 프레임(2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8)이 상기 연결홈(26)에 구비됨으로써, 연결바(40)의 회전 등에 의한 연결홈(26)의 파손이 방지되고 연결바(40)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구(20)의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28)과 상기 파이프(23)를 연결할 수 있는 앵커(3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받침구(20) 제작을 위한 거푸집에 상기 프레임(28) 및 파이프(23)와 함께 이들을 연결하는 앵커(30)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받침구(20)의 내부에 매설되게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앵커(30)을 통해 상기 프레임(28)과 파이프(23)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프레임(28)과 상기 파이프(23)가 상기 받침구(20)에 더욱 견고히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비계기둥
20: 받침구
22: 삽입홈
23: 파이프
24: 패킹
26: 연결홈
27: 볼트
28: 프레임
29: 너트
30: 앵커
40: 연결바
50: 연결구
51: 제1연결구

Claims (8)

  1. 복수개의 비계기둥의 하부를 지지하는 비계기둥 받침구조로서,
    상기 비계기둥 받침구조는,
    상기 복수개의 비계기둥 각각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받침구; 및
    상기 복수개의 받침구 상호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구는,
    상기 받침구의 중앙에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비계기둥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연결바의 단부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받침구에 파이프가 매설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받침구의 상부 모서리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연결홈과, 상기 연결홈의 하부에 매설되고 상측으로 노출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상측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는 단부에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 상기 볼트가 삽입된 후 상기 너트를 체결됨으로써, 상기 연결바와 상기 받침구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는,
    일측은 상기 받침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의 구멍에 상기 볼트가 삽입된 후 상기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연결바와 상기 받침구가 더 견고히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기둥 받침구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연결바와 동일축상에 위치하는 제1연결구와, 상기 연결바와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3연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기둥 받침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받침구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의 구멍은 일측으로 개방된 절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구는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볼트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기둥 받침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부의 직경을 하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받침구가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비계기둥에 휨하중이 작용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기둥 받침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과 상기 비계기둥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재질의 패킹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킹은 머리 잘린 추 형상으로서, 상기 삽입홈과 상기 비계기둥 사이에 긴밀히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기둥 받침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홈의 내측면을 덮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파이프는 앵커에 의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상기 프레임과 상기 파이프가 상기 받침구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기둥 받침구조.
KR1020170013683A 2017-01-31 2017-01-31 비계기둥 받침구조 KR101748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683A KR101748129B1 (ko) 2017-01-31 2017-01-31 비계기둥 받침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683A KR101748129B1 (ko) 2017-01-31 2017-01-31 비계기둥 받침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129B1 true KR101748129B1 (ko) 2017-06-16

Family

ID=5927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683A KR101748129B1 (ko) 2017-01-31 2017-01-31 비계기둥 받침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1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3991A (zh) * 2021-01-18 2021-05-28 李慧杰 一种桥梁道路和建筑施工用防倾倒脚手架及施工方法
CN114575583A (zh) * 2022-03-18 2022-06-03 安徽省申栈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搭建脚手架钢管的固定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013Y1 (ko) * 2001-06-05 2001-10-29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강관비계용 시스템 받침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013Y1 (ko) * 2001-06-05 2001-10-29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강관비계용 시스템 받침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3991A (zh) * 2021-01-18 2021-05-28 李慧杰 一种桥梁道路和建筑施工用防倾倒脚手架及施工方法
CN114575583A (zh) * 2022-03-18 2022-06-03 安徽省申栈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搭建脚手架钢管的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0638B2 (en) Footing plates
US8898999B1 (en) Restraint system for elevated surface tiles
US10145129B2 (en) Modular platform
US10704276B2 (en) Access structure integration assembly and integrated acces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1208815B2 (en) Scaffold ledger
US20020078638A1 (en) Base of a steel unit
US7544010B2 (en) Portable porous pavement system and methods
US10280623B1 (en) Multifunctional rebar support system for reinforcement of concrete structures
GB2437285A (en) Temporary fencing with stabilising struts
KR20170089357A (ko) 태양전지모듈용 지지구조물
KR20100003750U (ko) 강관비계용 연결체
KR101748129B1 (ko) 비계기둥 받침구조
KR20110009644U (ko) 흙막이 벽체 시공용 버팀보 연결장치
US20030188495A1 (en) Suspended jig for roof construction
KR101793842B1 (ko) 무용접 각형 프레임 연결장치
KR20190010947A (ko)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매립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EP3176349B1 (en) Anti-lifting coupling system
KR200404527Y1 (ko)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
KR102308089B1 (ko)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
KR100594744B1 (ko) 상수도용 관 연결 고정구조
AU2020102139A4 (en) Wall panel stabilis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756680B1 (ko) 정자의 금속연결구체
JP6714638B2 (ja) 外設材の支持部材及び支持構造
JP4097532B2 (ja) 親綱用支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