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960B1 -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960B1
KR101747960B1 KR1020170019749A KR20170019749A KR101747960B1 KR 101747960 B1 KR101747960 B1 KR 101747960B1 KR 1020170019749 A KR1020170019749 A KR 1020170019749A KR 20170019749 A KR20170019749 A KR 20170019749A KR 101747960 B1 KR101747960 B1 KR 101747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acility
irradiation
scan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량
이병도
Original Assignee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filed Critical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Priority to KR102017001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빔(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과 쓰리디 스캐닝 기술을 활용하여 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를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은, 시설물의 2차원 도면을 기초로 하여 만들어진 무결점 3차원의 설계 빔 데이터와 시설물을 3차원적으로 스캔하여 만들어진 스캐닝 데이터가 저장된 기초 데이터부; 상기 기초 데이터부의 상기 설계 빔 데이터와 상기 스캐닝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접촉 조사 데이터를 추출하는 비접촉 조사부; 시설물을 직접 현장에서 조사한 접촉 조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접촉 조사부; 상기 기초 데이터부의 상기 설계 빔 데이터에 상기 스캐닝 데이터를 반영한 시설물의 실제 빔 데이터가 저장된 실제 빔 데이터부; 및 상기 비접촉 조사 데이터, 상기 접촉 조사 데이터 및 상기 실제 빔 데이터의 사본이 저장된 메인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Facilities safe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빔(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과 쓰리디 스캐닝 기술을 활용하여 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를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설물의 안전은 시설물의 효용을 증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안전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실제로 3차원적으로 이루어진 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를 2차원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하였으므로, 관리작업이 원활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그리고 안전관리의 결과 또한 2차원 도면과 글자로 정리되었으므로 결과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고, 이에 따라 동일한 시설물에 대한 차후 안전관리의 진행시 기존의 안전관리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쉽지 않아 매번 거의 새로이 관리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빔(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활용이 시도되고 있다. 빔이란 3차원 도면에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통합시킨 것으로, 이에 의해 제작된 3차원 도면은 단순한 도형들의 집합을 표현한 것이 아니라 시설물에 대한 실제적인 정보들의 집합체이므로, 시설물의 기획,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등록특허 제10-1607516호의 'BIM 기반 외부 시설물 관리 데이터를 연계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빔을 시설물 관리에 활용한 종래기술 중의 하나로서, 빔 객체 데이터에 시설물 관리 데이터를 맵핑함으로써 시설물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빔 객체 데이터에 시설물 관리 데이터를 맵핑한 자료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은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빔 객체 데이터를 그대로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있어 이를 토대로 한 관리의 신뢰성에 대해서도 의문이 있다.
KR 10-1607516 B1
본 발명은 상기한 것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빔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여 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를 보다 정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것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시설물의 2차원 도면을 기초로 하여 만들어진 무결점 3차원의 설계 빔 데이터와 시설물을 3차원적으로 스캔하여 만들어진 스캐닝 데이터가 저장된 기초 데이터부; 상기 기초 데이터부의 상기 설계 빔 데이터와 상기 스캐닝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접촉 조사 데이터를 추출하는 비접촉 조사부; 시설물을 직접 현장에서 조사한 접촉 조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접촉 조사부; 상기 기초 데이터부의 상기 설계 빔 데이터에 상기 스캐닝 데이터를 반영한 시설물의 실제 빔 데이터가 저장된 실제 빔 데이터부; 및 상기 비접촉 조사 데이터, 상기 접촉 조사 데이터 및 상기 실제 빔 데이터의 사본이 저장된 메인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비접촉 조사 데이터는 구성 부재의 표면적 손상상태와 변형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접촉 조사 데이터는 구성 부재의 단면상태와 성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접촉 조사부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메인 서버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 서버에는 실제 빔 데이터의 사본에 접촉 조사 데이터가 반영된 정밀 실제 빔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정밀 실제 빔 데이터를 토대로 구조해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조해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에는 구조해석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안전성 평가 기준에 관한 평가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평가 기준 데이터와 정밀 실제 빔 데이터를 비교하여 시설물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안전성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초 데이터부에는 시간차를 두고 시설물을 3차원적으로 스캔하여 만들어진 다수 차수의 스캐닝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접촉 조사부에서는 시간차를 두고 시설물을 직접 현장에서 조사한 다수 차수의 접촉 조사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 서버에는 다수 차수의 정밀 실제 빔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수의 정밀 실제 빔 데이터를 비교하여 경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 서버에 저장된 실제 빔 데이터의 사본을 3차원적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은 시설물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활용하여 빔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임으로써 안전관리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시설물을 현장에서 직접 조사한 결과를 빔 데이터에 적용하여 빔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빔 데이터는 안전관리를 하는 데 활용되어 결과적으로 안전관리의 정확성을 높이고 안전관리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는 상기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의 비접촉 조사부에서 행해지는 비접촉 조사의 종류에 관한 표이다.
도 3은 상기 비접촉 조사부에서 만들어지는 비접촉 조사 데이터의 예시에 관한 표이다.
도 4는 상기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의 접촉 조사부에서 행해지는 접촉 조사의 종류에 관한 표이다.
도 5는 상기 접촉 조사부에서 만들어지는 접촉 조사 데이터의 예시에 관한 표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크게, 기초 데이터부(1), 비접촉 조사부(2), 접촉 조사부(3), 실제 빔 데이터부(4) 및 메인 서버(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초 데이터부(1)에는 설계 빔 데이터(D1)와 스캐닝 데이터(D2)가 저장된다.
상기 설계 빔 데이터(D1)는 시설물의 2차원 도면을 기초로 하여 만들어진 무결점 3차원의 모델링 도면으로서 일반적인 빔(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모델과 마찬가지로 시설물의 형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통합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설계 빔 데이터(D1)의 기초가 되는 2차원 도면으로는 시설물을 실제 시공할 때 사용한 실시 설계 도면을 사용한다.
스캐닝 데이터(D2)는 시공이 완료되어 있는 시설물을 실제로 3차원적으로 스캔하여 만들어진다. 스캐닝 데이터(D2)를 얻는 데에는 레이저 스캐너와 같은 일반적인 쓰리디 스캐너를 사용하며, 시설물의 구조가 복잡한 경우 시설물을 다수 개소에서 스캔하여 각 스캔 과정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병합함으로써 스캐닝 데이터(D2)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스캐닝 데이터(D2)는 시설물의 표면에 대한 정보만을 담고 있지만 시설물을 실제로 스캔하여 만들어진 것이므로 시설물의 실제 형상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설계 도면을 토대로 만들어진 설계 빔 데이터(D1)에서는 알 수 없는 시공 오차, 변위 등이 반영된 상태의 정보를 담고 있다.
상기 비접촉 조사부(2)에서는 설계 빔 데이터(D1)와 스캐닝 데이터(D2)를 비교하여 비접촉 조사 데이터(D3)를 추출할 수 있다. 스캐닝 데이터(D2)는 시설물의 실제 형상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설계 빔 데이터(D1)가 가지는 정보 중에서도 시설물의 형상에 관한 정보를 스캐닝 데이터(D2)와 비교한다. 즉 비접촉 조사 데이터(D3)를 통해서는 시설물의 설계 형상과 실제 형상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비접촉 데이터(D3)는 보다 구체적으로 시설물의 설계 형상과 실제 형상의 차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시설물을 구성하는 부재의 기울기, 변위, 균열 및 표면 손상 등과 같은 구성 부재의 표면적 손상상태와 변형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2에는 상기 비접촉 조사부(2)에서 행해지는 조사의 종류에 관한 표 1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표 1에 의하면 비접촉 조사부(2)에 행해지는 조사에는 설계도서 및 관련자료 검토 조사, 구성 부재의 손상상태 조사, 구성 부재의 변형상태 조사 및 하중의 작용상태 조사가 있다. 기존에는 이러한 비접촉 조사가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진행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설계 빔 데이터(D1)와 스캐닝 데이터(D2)를 비교함으로써 진행되므로 조사가 용이하고 결과가 정확하다.
도 3에는 비접촉 조사부(2)에서 행해진 조사의 결과인 비접촉 조사 데이터(D3)의 예시로 기둥의 변위에 관한 표 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표 2에는 3개의 기둥의 높이, 방향별 변위와 기울기, 그리고 그에 따른 평가등급이 나타나 있다.
상기 접촉 조사부(3)는 시설물을 현장에서 직접 조사한 접촉 조사 데이터(D4)를 생성한다. 상기 접촉 조사 데이터(D4)는 비접촉 조사 데이터(D3)에는 포함되지 않은 시설물 구성 부재의 단면 내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 조사 데이터(D4)는 보다 구체적으로, 철골 부재의 내화피복, 도막 두께 및 볼트조임력 등, 그리고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중성화 정도, 철근부식 정도, 철근 배근 상태 및 압축 강도 등과 같은 시설물 구성 부재의 단면상태와 성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4에는 상기 접촉 조사부(3)에서 행해지는 접촉 조사의 종류에 관한 표 3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표 3에 의하면 접촉 조사에는 손상상태 조사, 구성 부재의 치수 조사, 콘크리트 및 강재 현장 품질 조사, 그리고 콘크리트 및 강재 실내 품질 조사가 있다.
도 5에는 접촉 조사 데이터(D4)의 예시로 강재 보의 내화피복 및 도막 두께를 조사한 결과에 관한 표 4가 도시되어 있다. 이 표 4에는 강재 보의 위치별 적용공법, 실측두께 및 평가등급 등이 표시되어 있다.
실제 빔 데이터부(4)에는 설계 빔 데이터(D1)에 스캐닝 데이터(D2)를 반영하여 만들어진 시설물의 실제 빔 데이터(D5)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설계 빔 데이터(D1)는 시설물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를 담고 있고 스캐닝 데이터(D2)는 실제 시설물의 정확한 형상을 담고 있으므로, 실제 빔 데이터(D5)는 모든 측면에서 실제 시설물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메인 서버(5)에는 비접촉 조사 데이터(D3), 접촉 조사 데이터(D4) 및 실제 빔 데이터의 사본(cD5)이 저장된다.
이러한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실제 빔 데이터(D5)를 통해 실제와 거의 동일한 형상의 시설물 통합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이를 기초로 하여 안전관리를 실시하는 경우 관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시설물의 설계 형상과 실제 형상의 차이점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비접촉 조사 데이터(D3)와 시설물을 직접 현장에서 조사한 접촉 조사 데이터(D4)를 활용하여 안전관리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제 빔 데이터(D5) 등은 전자화된 정보이므로 메인 서버(5)에서 관리 및 필요한 정보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5)에는 실제 빔 데이터의 사본(cD5)에 접촉 조사 데이터(D4)가 반영된 정밀 실제 빔 데이터(D6)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정밀 실제 빔 데이터(D6)는 실제 시설물의 형상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구성 부재들의 단면 내부에 관한 정보까지 담고 있어 실제 시설물에 관한 통합적인 정보를 거의 완벽하게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시설물 안전관리의 정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은 구조해석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해석부(6)는 메인 서버(5)에 저장된 정밀 실제 빔 데이터(D6)를 토대로 구조해석 데이터(D7)를 생성한다.
정밀 실제 빔 데이터(D6)는 형상, 구성 부재들의 성능 등의 측면에서 시설물의 실제 상황과 거의 동일한 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정확한 구조 해석 모델을 용이하게 추출해낼 수 있고, 이에 따라 구조해석부(6)에서 매우 정확한 구조해석 데이터(D7)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해석 데이터(D7)는 시설물을 보수, 보강하는데 활용하여 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를 보다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구조해석 데이터(D7)는 메인 서버(5)에 저장된다.
상기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은 안전성 평가부(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성 평가부(7)에는 안전성 평가 기준에 관한 평가 기준 데이터(D8)가 저장되어 있어, 상기 평가 기준 데이터(D8)와 메인 서버(5)의 정밀 실제 빔 데이터(D6)를 비교함으로써 시설물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다. 즉 평가 기준 데이터(D8)를 정밀 실제 빔 데이터(D6)와 비교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시설물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안전성 평가 기준은 법률이나 규칙 등을 기준으로 하여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시설물이 특별히 내진성이나 내풍성 등을 갖추어야 하는 경우에는 안전성 평가부(7)에 이에 관한 평가 기준 데이터(D8)를 저장하고 이를 정밀 실제 빔 데이터(D6)와 비교하여 시설물이 지진이나 태풍 등에 대해서 안전한지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초 데이터부(1)에는 시간차를 두고 시설물을 3차원적으로 스캔하여 만들어진 다수 차수의 스캐닝 데이터(D2)가 저장될 수 있다.
시설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를 구성하는 재료들이 노후화되거나 외력의 영향에 의하여 변형된다. 그러므로 정기적으로 시설물을 3차원적으로 스캔하여 스캐닝 데이터(D2)를 업데이트 한다.
스캐닝 데이터(D2)가 업데이트 됨에 따라 비접촉 조사부(2)의 비접촉 조사 데이터(D3) 및 실제 빔 데이터부(4)의 실제 빔 데이터(D5) 또한 업데이트 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에 맞추어 접촉 조사부(3)에서는 시간차를 두고 시설물을 직접 현장에서 조사한 다수 차수의 접촉 조사 데이터(D4)를 생성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각 차수의 실제 빔 데이터(D5)에는 동일 차수의 접촉 조사 데이터(D4)를 적용하여 다수 차수의 정밀 실제 빔 데이터(D6)가 만들어지고, 다수 차수의 정밀 실제 빔 데이터(D6)는 모두 메인 서버(5)에 저장된다.
다수 차수의 정밀 실제 빔 데이터(D6) 중 최후 차수의 정밀 실제 빔 데이터(D6)는 시설물의 현재 상황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안전관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메인 서버(5)에 다수 차수의 정밀 실제 빔 데이터(D6)가 저장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은 다수 차수의 정밀 실제 빔 데이터(D6)를 비교하여 경과 데이터(D9)를 추출하는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부(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과 데이터(D9)를 통해서는 시설물을 구성하는 부재들의 변형 정도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 부재의 변형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경과 데이터(D9) 상에서 어떠한 부재의 변형 정도가 큰 것은 그 부재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하므로 변형 정도가 큰 부재를 위주로 하여 안전관리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접촉 조사부(3)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메인 서버(5)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로는 예시적으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기기는 실시간으로 손쉽게 접촉 조사 데이터(D4)를 메인 서버(5)로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9)는 메인 서버(5)에 저장된 실제 빔 데이터의 사본(cD5)을 3차원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9)를 통해서는 시설물의 상황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전관리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9)로는 메인 서버(5)와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 등의 모바일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현장에서 모바일 기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안전관리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용이성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9)는 실제 빔 데이터(D5) 뿐만 아니라 정밀 실제 빔 데이터(D6) 또한 3차원적으로 보여줄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9)에서는 접촉 조사 데이터(D4)를 생성하기 위한 현장 조사나 안전관리의 진행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비접촉 조사 데이터(D3) 등을 시설물의 3차원적 영상에 표현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접촉 조사 데이터(D3) 등에서 변위나 기울기 등이 큰 부재를 다른 부재와 색상 등을 달리하여 표현해줌으로써 문제가 되는 부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접촉 조사 데이터(D4)를 메인 서버(5)로 보내기 위한 모바일 기기는 상기 디스프레이부(9)를 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기초 데이터부 2 : 비접촉 조사부
3 : 접촉 조사부 4 : 실제 빔 데이터부
5 : 메인 서버 6 : 구조해석부
7 : 안전성 평가부 8 :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부
9 : 디스플레이부
D1 : 설계 빔 데이터 D2 : 스캐닝 데이터
D3 : 비접촉 조사 데이터 D4 : 접촉 조사 데이터
D5 : 실제 빔 데이터 D6 : 정밀 실제 빔 데이터
D7 : 구조해석 데이터 D8 : 평가 기준 데이터
D9 : 경과 데이터

Claims (10)

  1. 시설물의 2차원 도면을 기초로 하여 만들어진 무결점 3차원의 설계 빔 데이터(D1)와 시설물을 3차원적으로 스캔하여 만들어진 스캐닝 데이터(D2)가 저장된 기초 데이터부(1);
    상기 기초 데이터부(1)의 상기 설계 빔 데이터(D1)와 상기 스캐닝 데이터(D2)를 비교하여 비접촉 조사 데이터(D3)를 추출하는 비접촉 조사부(2);
    상기 기초 데이터부(1)의 상기 설계 빔 데이터(D1)에 상기 스캐닝 데이터(D2)를 반영한 시설물의 실제 빔 데이터(D5)가 저장된 실제 빔 데이터부(4);
    시설물을 직접 현장에서 조사한 접촉 조사 데이터(D4)를 생성하는 접촉 조사부(3);
    비접촉 조사 데이터(D3)와 접촉 조사 데이터(D4)와 상기 실제 빔 데이터의 사본(cD5) 및, 상기 실제 빔 데이터(D5)의 사본(cD5)에 접촉 조사 데이터(D4)를 반영된 정밀 실제 빔 데이터(D)가 저장되는 메인 서버(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비접촉 조사 데이터(D3)는 구성 부재의 표면적 손상상태와 변형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조사 데이터(D4)는 구성 부재의 단면상태와 성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조사부(3)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메인 서버(5)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밀 실제 빔 데이터(D6)를 토대로 구조해석 데이터(D7)를 생성하는 구조해석부(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5)에는 구조해석 데이터(D7)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안전성 평가 기준에 관한 평가 기준 데이터(D8)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평가 기준 데이터(D8)와 정밀 실제 빔 데이터(D6)를 비교하여 시설물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안전성 평가부(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데이터부(1)에는 시간차를 두고 시설물을 3차원적으로 스캔하여 만들어진 다수 차수의 스캐닝 데이터(D2)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접촉 조사부(3)에서는 시간차를 두고 시설물을 직접 현장에서 조사한 다수 차수의 접촉 조사 데이터(D4)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 서버(5)에는 다수 차수의 정밀 실제 빔 데이터(D6)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밀 실제 빔 데이터(D6)를 비교하여 경과 데이터(D9)를 추출하는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부(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5)에 저장된 실제 빔 데이터의 사본(cD5)을 3차원적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170019749A 2017-02-14 2017-02-14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KR101747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749A KR101747960B1 (ko) 2017-02-14 2017-02-14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749A KR101747960B1 (ko) 2017-02-14 2017-02-14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960B1 true KR101747960B1 (ko) 2017-06-15

Family

ID=5921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749A KR101747960B1 (ko) 2017-02-14 2017-02-14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9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598B1 (ko) * 2019-04-10 2019-09-18 (주)더원이앤씨 건물 취약부의 내진 보강방법
KR102067542B1 (ko) * 2019-04-25 2020-01-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9674A (ko)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그렉터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 문서 발급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002B1 (ko) * 2015-06-22 2016-03-25 (주)다음기술단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시설물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002B1 (ko) * 2015-06-22 2016-03-25 (주)다음기술단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시설물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598B1 (ko) * 2019-04-10 2019-09-18 (주)더원이앤씨 건물 취약부의 내진 보강방법
KR102067542B1 (ko) * 2019-04-25 2020-01-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9674A (ko)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그렉터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 문서 발급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137281A (ko) 2020-11-20 2023-10-04 주식회사 그렉터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 문서 발급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11782899B2 (en) 2020-11-20 2023-10-10 Grac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document issuing using blockchain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umana et al. Generative HBIM modelling to embody complexity (LOD, LOG, LOA, LOI): Surveying, preservation, site intervention—The Basilica di Collemaggio (L’Aquila)
Huber et al. Using laser scanners for modeling and analysis in architecture,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Zhang et al. Automated progress control using laser scanning technology
Olsen et al. Terrestrial laser scanning-based structural damage assessment
Cha et al. A terrestrial LiDAR-based detection of shape deformation for maintenance of bridge structures
Pesci et al. A laser scanning-based method for fast estimation of seismic-induced building deformations
Mosalam et al. Applications of laser scanning to structures in laboratory tests and field surveys
Zhu et al. Comparison of optical sensor-based spatial data collection techniques for civil infrastructure modeling
KR101747960B1 (ko)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JP2010261772A (ja) 鉄筋のかぶり厚さ検査装置および鉄筋のかぶり厚さ検査方法
Anil et al. Building-information-modeling–based earthquake damage assessment for reinforced concrete walls
Dellenbaugh et al. Development of a distortion-induced fatigue crack characterization methodology using digital image correlation
Hess et al. Terrestrial laser scanning for the comprehensive structural health assessment of the Baptistery di San Giovanni in Florence, Italy: An integrative methodology for repeatable data acquisition, visualization and analysis
Chacón et al. TLS measurements of initial imperfections of steel frames for structural analysis within BIM-enabled platforms
Charlton et al. The complexities of managing historic buildings with BIM
Woods et al. Automated crack detection and damage index calculation for RC structures using image analysis and fractal dimension
Hain et al. Applicability of 3-D scanning technology for section loss assessment in corroded steel beams
Puri et al. Toward automated dimensional quality control of precast concrete elements using design BIM
Sing et al. Scan-to-BIM technique in building maintenance projects: Practicing quantity take-off
Chen et al. Automatic detection system with 3D scanning and robot technology for detecting surface dimension of the track slabs
Heesom et al. Implementing a HBIM approach to manage the translocation of heritage buildings
Tallon Divining proportions in the information age
Tang et al. Laser scanning for bridge inspection and management
Guldur Erkal et al. Using extracted member properties for laser‐based surface damag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KR102229423B1 (ko) 3차원 bim 모델과 접목된 외관망도의 손상 특징, 3차원 위치와 크기 정보를 파라미터로 가지는 외관 조사망도 구축 시스템 및 코드화 표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