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321B1 -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321B1
KR101745321B1 KR1020160141797A KR20160141797A KR101745321B1 KR 101745321 B1 KR101745321 B1 KR 101745321B1 KR 1020160141797 A KR1020160141797 A KR 1020160141797A KR 20160141797 A KR20160141797 A KR 20160141797A KR 101745321 B1 KR101745321 B1 KR 101745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information
analysis
development
inter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최현철
Original Assignee
(주)이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스 filed Critical (주)이지스
Priority to KR1020160141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2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 G08G1/1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the indicator being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개발사업에 대한 교통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3차원 공간상에 시계열적으로 모델링하여 제공함으로써, 교통영향평가 심의위원들이 개발사업에 대해 보다 정확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은 사용자단말에서 서비스장치에 통신 접속된 웹서비스 상태에서 개발 사업지를 포함하는 교통영향평가 서비스 대상 개발사업정보를 제공하는 제1 단계와,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개발 사업지에 대응되는 3차원 공간정보를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3차원 공간정보의 개발 사업지 영역에 해당 개발 사업에 대응되는 시설물을 생성하여 매핑시키는 제2 단계, 사용자단말에서 대상 개발 사업지 주변에 위치하는 분석 대상 교차로와 분석 결과 항목을 포함하는 분석 조건정보를 서비스장치로 제공하는 제3 단계, 서비스장치에서 선택된 분석 대상 교차로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분석처리를 수행하여 도로면/교차로 교통량과, 도로면/교차로 교통량 예측 및, 지체상태에 따른 서비스 수준을 포함하는 해당 분석 결과 수치값을 생성하는 제4 단계, 서비스장치에서 3차원 공간의 분석 대상 교차로상에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수치값에 대응되는 교통량 지체 상태를 색상 또는 그래프를 포함하는 시계열적 형태로 표현되도록 모델링하는 제5 단계 및, 사용자단말에서 서비스장치로부터 제공되는 3차원 모델링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를 표시출력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analysis information of traffic impact assessment based on 3D spacial data}
본 발명은 새로운 개발사업에 대한 교통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3차원 공간상에 시계열적으로 모델링하여 제공함으로써, 교통영향평가 심의위원들이 개발사업에 대해 보다 정확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가 성장하는 시기에는 교통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으로 정부 주도의 대규모 건설사업이 주를 이루었다. 급격한 인구 유입이 멈춘 최근에는 외형적인 성장보다 기존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도시의 질을 높이기 위한 재개발과 재건축 사업들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교통문제 해결을 위한 민간의 역할과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현재, 수익자부담 원칙에 따라 개발사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문제를 민간사업자가 자발적으로 해결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교통영향평가 제도가 법제화되어 있다.
교통영향평가란 대량의 교통수요를 유발하거나 유발할 우려가 있는 사업을 시행하거나 시설을 설치할 경우 미리 사업지역 또는 주변지역의 교통체계에 미치는 제반 영향을 분석·평가하여 이에 따른 대책을 강구하는 평가이다.
교통영향평가를 하는 목적은 첫째 지역적 차원에서 주변의 토지이용과 교통체계의 현황에 비추어 사업의 규모, 성격 등이 적정한가를 사업시행 전에 살펴보기 위함이고, 둘째 주변지역 교통체계에 미치는 각종 영향을 검토하고 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아 이를 계획과정에서 고려하기 위함이며, 세째 사업시행이 주변지역의 교통체계에 파급효과를 가져오거나 또는 이로 인하여 공공투자의 필요성이 요청된다면 그 정도의 원인자 및 수혜자를 판별하고 비용부담의 원칙을 결정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현재는 교통영향평가 심의위원들이 정확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지원체계가 부족하기 때문에, 개발사업 시행전에 교통영향평가를 수행하더라도 준공 후 주변 도로에 심각한 교통문제를 유발하여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민들의 세금으로 추가 대책을 수립해야하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교통영향평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해당 개발사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문제를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과 심의위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방대한 분석결과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한편, 사업대상지에 대한 보다 신뢰도 있는 교통영향평가 분석을 위해서는 해당 사업대상지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는 여타 개발 계획에 의해 발생하는 교통량도 해당 개발 사업에 대한 교통영향평가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에는 교통영향평가가 개발사업자가 의뢰한 서로 다른 평가기관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개발사업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분석결과는 해당 개발사업자 또는 평가기관에서 각각 보관되고 있다.
따라서, 다수의 교통평가기업에서 분석한 교통영향평가 결과를 전산화하여 통합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타 평가기업에서 조사한 교통평가영향 관련 자료와 분석 결과를 공유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988709호 (명칭 : 교통흐름 시뮬레이션 시스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다수 교통영향평가 기업의 평가결과를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사업 대상지의 평가결과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예상되는 타 개발사업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분석결과를 고려하여 보다 신뢰도 있는 교통영향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주는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개발사업에 대한 교통평가분석결과를 제공하되,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교통 분석결과를 색상 및 그래프 등의 시계열적인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가독성을 제고할 수 있는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에 타 개발사업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개발사업정보가 저장되고, 사용자단말에서 서비스장치에 통신 접속된 웹서비스 상태에서 개발 사업지를 포함하는 교통영향평가 서비스 대상 개발사업정보를 제공하는 제1 단계와,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개발 사업지에 대응되는 3차원 공간정보를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3차원 공간정보의 개발 사업지 영역에 해당 개발 사업에 대응되는 시설물을 생성하여 매핑시키는 제2 단계, 사용자단말에서 대상 개발 사업지 주변에 위치하는 분석 대상 교차로와 분석 결과 항목을 포함하는 분석 조건정보를 서비스장치로 제공하는 제3 단계, 서비스장치에서 선택된 분석 대상 교차로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분석처리를 수행하여 도로면/교차로 교통량과, 도로면/교차로 교통량 예측 및, 지체상태에 따른 서비스 수준을 포함하는 해당 분석 결과 수치값을 생성하되,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현재 교통량 산출 반경 범위에 교통영향평가 분석이 완료된 타 개발사업이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타 개발 사업에 대응되는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정보를 교통영향평가 분석처리에 적용하여 분석 결과 수치값을 생성하는 제4 단계, 서비스장치에서 3차원 공간의 분석 대상 교차로상에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수치값에 대응되는 교통량 지체 상태를 색상 또는 그래프를 포함하는 시계열적 형태로 표현되도록 모델링하는 제5 단계 및, 사용자단말에서 서비스장치로부터 제공되는 3차원 모델링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를 표시출력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삭제
또한, 상기 제5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는 분석 교차로의 각 도로에 대응하여 지체 상태에 따른 색상이 해당 도로상에 표시되도록 모델링하되, 교차로를 향해 진행하는 방향의 각 도로에 대한 지체 거리를 산출하고, 각 도로는 해당 지체 거리만큼 지체 상태에 따른 색상으로 표시출력되도록 모델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5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는 교차로의 종류와 도로 차선 수 및, 교차로 주변의 신호 체계를 포함하는 교통 환경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통 대안을 설정하고, 상기 제6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는 3차원 모델링 정보와 그래프 형태의 현재 교통 환경 조건 및 교통 대안에 대응되는 교통평가 분석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는 제2 단계에서 매칭된 시설물 규모에 대응하여 발생 교통량을 산출하되, 대상 사업지 주변의 시설물 중 대상 사업지 시설물과 유사도가 가장 높은 규모의 시설물 주변 교통량을 근거로 해당 시설물에 대한 발생 교통량을 산출하거나, 또는 해당 대상 사업지 주변 일정 반경의 기준 시설물 단위당 평균 교통량을 근거로 해당 시설물에 대한 발생 교통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분석 요청된 교차로 주변의 현재 교통량을 산출하되, 현재 교통량 산출 반경 범위에 교통영향평가 분석이 완료된 타 개발사업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타 개발사업에 의해 발생되는 교통량을 현재 교통량에 추가하는 단계 및, 대상 사업지 시설물에 대한 발생 교통량과 현재 주변 교통량을 근거로 분석 교차로에 대한 교통량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시설물 규모에 대응되는 발생 교통량은 시설물 크기와, 예상 유동인구, 예상 차량 수, 주변 시설물 용도를 고려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5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는 해당 개발 사업에 대응되는 시설물이 가장 잘 표시되는 뷰(View)형태로 3차원 모델링정보를 생성하되, 시설물에 의해 도로가 가려지는 경우에는 지체 상태가 표현되는 도로 상태가 전체적으로 표시되도록 3차원 모델링정보를 자동 뷰 변환하여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발 사업 관련 교통영향평가 심의위원들이 정확한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방대한 교통량 분석결과를 시계열적으로 제공하여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를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개발 사업으로 인해 발생되는 교통문제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해당 사업 대상지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는 주변 타 개발 사업에 대한 교통량을 고려한 교통영향평가 분석결과를 3차원 공간상에 모델링하여 제공함으로써, 보다 신뢰도 있는 교통영향평가 분석결과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비전문가라도 쉽고 간단하게 다중 공간 분석 수행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의사 결정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 제공, 추출 및 적용이 용이하고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교통영향평가 분석을 위한 각종 조건들을 용이하게 변경하여, 원하는 조건들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분석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서비스 장치(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모듈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3에 도시된 교통영향평가 분석 단계(ST5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 내지 도10은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제공되는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출력 화면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시스템은 서비스 장치(100)와, 제휴기관 서버(200), 사용자단말(300) 및,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휴기관 서버(200)는 교통영향평가 분석결과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의 서버 또는 단말로서, 제휴기관은 예컨대 교통영향평가를 수행하는 각 기업, 또는 교통영향평가 협회 또는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정보를 보유하는 관공서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300)은 교통영향평가 분석이 필요한 기업이나 개인이 될 수 있으며,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각종 형태, 예컨대 PC 또는 스마트 폰 등과 같이 상기 서비스장치(100)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300)을 통해 서비스장치(100)에 접속하여 교통영향평가 분석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정보, 예컨대 개발사업정보와, 분석 조건정보를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400)는 교통영향분석 관련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400)는 상기 제휴기관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타 개발사업에 대한 제휴기관의 교통영향평가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타 개발사업정보가 저장되는 개발정보 데이터저장블럭과,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서비스 요청된 개발사업에 대한 사업정보 및 이에 대한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분석정보가 저장되는 분석정보 데이터저장블럭, 지형 및 도로와 시설물을 포함하는 전자지도에 대한 3차원 공간정보와 도로 및 시설물 관련 템플릿정보, 분석 수치값에 대응되는 색상 및 그래프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모델링정보 데이터저장블럭 및, 회원들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저장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3차원 공간정보는 브이월드 기반의 오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는 상기 제휴기관 서버(200)와 직접 통신하여 타 개발사업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분석결과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장치(100)는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요구되는 교통영향평가 대상 개발사업에 대하여 교통영향평가 분석처리를 수행함과 더불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조건정보에 대응되는 교통영향평가 분석결과값을 3차원 공간에 시계열적으로 표현하여 사용자단말(300)로 제공한다.
도2는 상기한 서비스 장치(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장치(100)는 교통영향평가 분석모듈(110)과, 모델링 모듈(120) 및, 웹서비스 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교통영향평가 분석모듈(110)은 별도의 서버로 구성되어 통신 모듈(미도시)을 통해 상호간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교통영향평가 분석모듈(110)은 KHCM(Korea Highway Capacity Manual) 프로그램에 따라 교통영향평가를 분석한다. 교통영향평가 분석모듈(110)은 도로면/교차로 교통량 조사, 도로면/교차로 교통량 예측, 지체 정도에 대응되는 서비스 수준을 포함하는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값을 생성한다. 이때, 교통영향평가 분석결과 정보는 시설물 ID 및, 도로 ID에 대응하는 지체 시간등의 수치 결과값이 TEXT 형태로 생성된다.
상기 모델링 모듈(120)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의 서비스 요구에 대응하여 3차원 공간상에 사업대상지를 설정하고, 시설물 및 도로를 생성함과 더불어, 이에 대해 상기 교통영향평가 분석모듈(110)로부터 제공되는 TEXT 형태의 분석 결과값을 색상과 그래프를 포함하는 시계열적인 형태로 3차원 공간에 표현되도록 모델링한다.
상기 웹서비스 모듈(130)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되는 로그인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에 대한 기본적인 인증처리를 수행함과 더불어, 개발사업 등록 및 편집이 가능한 전문사용자와,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에 대한 열람만이 가능한 일반 사용자로 구분하여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전문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영향평가 대상 사업정보 및 교통영향평가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3차원 공간상에 모델링된 분석결과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웹서비스 모듈(130)은 일반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되는 관심 개발사업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를 3차원 공간상에 시계열적으로 표현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웹서비스 모듈(130)은 상기 제휴기관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타 개발사업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결과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 저장한다. 이때, 제휴기관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영향평가 결과정보에 대해서는 KHCM(Korea Highway Capacity Manual)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되는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와 동일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하거나 또는 3차원 공간 데이터와 매칭되는 형태로 ID가 링크되도록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분석 결과 변환처리는 타 기관의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값에 대응되는 KHCM 분석 결과값으로 이루어지는 룩업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이어,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4는 도3에 도시된 교통영향평가 분석 단계(ST5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제휴기관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타 개발사업에 대한 교통영향분석 결과정보는 포맷 변환되어 TEXT 형태로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400)에는 사용자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권한 정보(전문 사용자 또는 일반 사용자)가 저장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서비스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되는 로그인 정보를 근거로 전문 사용자에 대해서는 사업 등록 및 편집에 따른 교통영향분석 결과정보가 3차원 공간에 표현되도록 모델링하여 제공하고, 일반 사용자에 대해서는 요구에 대해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된 교통영향 분석 결과정보가 3차원 공간상에 표현되도록 모델링하여 제공한다.
이하에는 전문 사용자에 의해 로그 인 된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전문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300)와 서비스 장치(100)가 통신 접속된 웹서비스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서비스 장치(100)로 교통영향평가 대상 사업정보를 제공하고, 서비스 장치(100)는 해당 사업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한다(ST100). 상기 교통영향평가 대상 사업정보는 대상 사업지 범위(대상 사업지 전체 영역에 대한 주소 정보)와, 개발 일정(사업 기간), 시설물 용도 및, 시설물 규모(층수를 포함하는 크기 및 형태 포함)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시설물 규모는 시설물의 형상 및 배치 형태를 보다 정확히 제공하기 위해 이미지 형태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서비스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서비스 요청된 해당 사업지 범위를 포함하는 3차원 공간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에서 불러오기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300)은 해당 3차원 공간정보를 표시출력 한다(ST200). 이때 서비스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로 교통영향평가 분석 편집화면을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한다. 교통영향평가 분석 편집 프로그램은 사용자 로그 인시 또는 그 이전에 미리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되어 활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대상 사업에 대한 3차원 공간정보가 표시출력되는 상태에서 해당 대상 사업지 영역에 시설물을 생성 및 편집처리하여 매핑시킨다(ST300). 도5a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표시출력되는 대상 사업에 대한 시설물 생성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300)은 화면의 일측에 시설물 편집 화면(10)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3차원 공간상에 시설물(S)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시설물 편집 화면(10)은 데이터 베이스(400)에 기 등록된 각종 형태의 시설물 모델 라이브러리 선택 항목과, 모델 라이브러리를 통해 선택된 시설물 템플릿에 대응되는 미리보기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도5a에서 상기 시설물(S)은 상기 ST200 단계에서 대상 사업에 대한 3차원 공간정보 제공시 임의의 형태로 미리 표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전문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되는 시설물 편집 화면(10)을 통해 도5b와 같이 시설물(S)의 위치 및 높이를 편집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100)는 도5a 또는 도5b와 같이 대상 사업에 대한 3차원 공간정보 제공시, 기본적으로 시설물(S)이 가장 잘 표시되는 뷰(View)형태로 제공하되, 시설물(S)에 의해 도로가 가려지는 경우에는 해당 도로가 전체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형태로 뷰 변환을 수행하여 3차원 공간정보를 제공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뷰 변환처리는 이후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에 따라 지체 상태가 표현되는 도로에 한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상 사업에 대응되는 3차원 공간상에 시설물을 매핑한 상태에서, 전문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분석 대상 교차로 및 분석 일자와 분석 결과항목을 포함하는 분석 조건 정보를 설정한다(ST400).
상기 분석 대상 교차로는 사용자 단말(300)의 입력수단(미도시)을 통해 설정된 시설물 주변 반경 예컨대 500m, 1km, 1.5km, 2km 를 근거로 해당 반경내 존재하는 교차로를 목록화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여 표시출력하고, 이에 대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의 입력수단, 예컨대 마우스 등을 통해 분석 대상 교차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일자는 현재를 포함하여 해당 대상 사업 완공시 또는 대상 사업 완공 이후의 임의 시점으로, 예컨대 "현재 또는 사업 완공일로부터 100일 이후"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분석 결과항목은 사용자가 원하는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 출력 형태로서, "서비스 수준 및 지체 상태"와, "대안별 교통량 및 지체 상태", "타 교차로와의 비교", "시계열 교통량 비교"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분석 결과항목은 분석 알고리즘에 의해 기 등록된 종류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분석 결과항목을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 서비스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설정된 대상 사업 정보 및 분석 조건 정보를 근거로 대상 사업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분석처리를 수행한다(ST500). 서비스 장치(100)는 KHCM 프로그램에 의한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한다. 이때, 서비스 장치(100)는 데이터 베이스(400)에 등록된 3차원 공간정보의 도로 및 교차로 ID와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로 제공되는 도로 및 교차로에 대한 표준 노드 ID를 매칭하여 링크시킨다.
상기한 교통영향평가 분석 단계(ST 5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300)로부터 대상 사업정보 등록과 시설물 매핑 및, 분석 조건정보의 등록이 완료된 상태에서, 서비스 장치(100)는 ST300 단계에서 설정된 시설물 규모에 대응하여 발생 교통량을 산출한다(ST510). 예컨대, 서비스 장치(100)는 대상 사업지 주변에서 대상 사업지 시설물과 유사도가 가장 높은 규모의 시설물을 탐색하고, 유사 규모 시설물 주변의 교통량을 근거로 해당 시설물에 대한 발생 교통량을 예측하거나, 또는 해당 대상 사업지 주변 일정 반경에서의 기준 시설물 단위(예컨대, 1가구당)에 대한 평균 교통량을 산출하고, 이를 근거로 해당 시설물 완공시 발생될 교통량을 예측할 수 있다. 이때, 시설물 규모에 대응되는 발생 교통량은 시설물의 층과 호수를 포함하는 시설물 크기와, 예상 유동인구, 예상 차량 수, 업무 시설이나 판매시설, 의료 시설 등과 같은 주변 시설물 용도를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상 유동인구 및 예상 차량 수는 시설물 크기 및 시설물 용도를 고려하여 예측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100)는 분석 요청된 교차로 주변의 현재 교통량을 산출한다(ST520). 이때, 상기 서비스 장치(100)는 분석 교차로를 중심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반경 이내의 현재 교통량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장치(100)는 현재 교통량 산출 반경 범위에 교통영향평가 분석이 완료된 타 개발 사업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400)에서 해당 타 개발 사업에 대응되는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정보를 불러오기하여 현재 교통량 산출에 적용한다. 즉, 타 개발 사업에 대한 교통량 예측정보를 현재 주변 교통량에 추가한다.
또한, 서비스 장치(100)는 시설물에 대한 발생 교통량과 상기 현재 주변 교통량을 근거로 분석 교차로에 대한 교통량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ST530). 이때, KHCM 프로그램에 따라 교통량 분석 시뮬레이션이 수행되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 서비스 장치(100)는 교통량 시뮬레이션에 따른 분석 조건에 대응되는 결과값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한다. 즉, 상기 서비스 장치(100)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 교차로 주변의 교통량과, 교통량에 대응되는 지체 정도에 따른 서비스 수준 및, 교차로의 각 도로 방향별 지체 값을 포함하는 분석 결과값을 생성한다.
한편, 도3에서 서비스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400)에서 해당 분석 조건정보에 대응되는 대상 사업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값을 불러오기함과 더불어, 그 분석 결과값을 시각적인 정보, 즉 색상 또는 그래프 등의 형태로 변환하여 3차원 공간에 표현되도록 모델링한다(ST600). 이때, 색상 또는 그래프 형태의 분석 결과정보는 분석 결과에 대한 수치값을 기반으로 설정되며, 특히 지체 상태 분석값은 교통량에 대응되는 소요 시간으로, 이에 대응되는 색상정보는 5 단계 이상, 예컨대 8단계로 세분화화여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색상정보를 통해 보다 정확한 지체 정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서비스 장치(100)는 대상 사업에 대한 시계열적인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가 표현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사용자단말(300)로 제공하고, 사용자단말(300)은 이를 표시출력한다(ST700).
도7 내지 도10은 사용자단말(300)을 통해 표시출력되는 교통영향평가 분석 출력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7은 개발사업지 주변 다수의 교차로들에 대한 서비스 수준 및 지체정보를 제공하는 출력화면으로, 각 교차로에 대한 서비스 수준(A,B,C,D,…)에 대응되는 지체정보가 서로 다른 색상(빨강, 주황, 노랑, 연두, …)으로 표시된다. 이때, 교차로의 각 도로에 대응하여 해당 지체 정보 즉, 지체 상태에 따른 색상이 도로상에 표시된다. 또한, 서비스장치(100)는 교차로를 향해 진행하는 방향의 각 도로에 대한 지체 거리를 산출하고, 각 도로는 해당 지체 거리만큼 지체 상태에 따른 색상으로 표시출력되도록 모델링한다.
도8은 분석 교차로에 대한 대안별 교통량 및 지체값 비교 출력화면으로, 해당 분석 교차로의 지체정보에 따른 색상이 도로상에 표시출력되면서, 일측에는 분석 교차로 및 기 설정된 교통 대안 적용시 교통량 정보가 그래프 형태로 표시출력된다. 이때, 상기 교통 대안은 교차로의 종류(예: 일반 교차로, 비 교차로, 회전 교차로), 도로 차선 종류(예 : 2차선, 4차선, 6차선), 해당 교차로 또는 주변 교차로의 신호 체계(예 : 직진 시간, 좌회전 시간, 정지 시간)등의 교차로 교통 환경 조건에 대응하여 설정되며, 하나의 교통 대안은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건을 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 대안은 분석 교차로 주변에 도로를 추가로 생성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9는 분석 교차로와 타 교차로간의 데이터 비교 출력화면으로, 분석 대상 교차로와 대안 교차로의 교통량 분석 결과(교통량 평균지체)가 동시에 표시출력된다. 이때, 비교 대상 교차로(대안 교차로)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변경 설정이 가능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교 대상 교차로에 대한 교통량 분석 결과가 동시에 표시출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10은 분석 교차로에 대한 시계열 교통량 비교 출력화면으로, 분석 교차로에 대하여 기설정된 과거 시점부터 미래시점까지의 연도별 교통량 변화 추이가 그래프 형태로 표시출력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서비스 장치(100)는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해당 개발 사업에 대응되는 시설물(S)이 가장 잘 표시되는 뷰(View)형태로 3차원 모델링정보를 생성하되, 시설물(S)에 의해 도로가 가려지는 경우에는 지체 상태가 표현되는 도로 상태가 표시되도록 3차원 모델링정보를 자동 뷰 변환하여 사용자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문 사용자는 상기 해당 대상 사업정보에 대해 상술한 ST300 및 ST400에서의 시설물 편집 또는 분석 조건을 재설정하여 이에 따른 교통영향평가 분석처리를 수행하고, 그 모델링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장치(100)는 시설물 생성 및 편집 단계(ST300)에서 신설 도로의 생성 및 편집처리를 통해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서비스 장치(100)는 대상 사업지에 대해 일반 도로 또는 교차로 신설에 따른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를 3차원 공간상에 모델링하여 제공할 수 있다.
100 : 서비스 장치, 200 : 제휴기관 서버,
300 : 사용자 단말, 400 : 데이터 베이스.
110 : 교통영향평가 분석 모듈,
120 : 모델링 모듈,
130 : 웹서비스 모듈.

Claims (7)

  1. 데이터베이스에 타 개발사업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개발사업정보가 저장되고, 사용자단말에서 서비스장치에 통신 접속된 웹서비스 상태에서 개발 사업지를 포함하는 교통영향평가 서비스 대상 개발사업정보를 제공하는 제1 단계와,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개발 사업지에 대응되는 3차원 공간정보를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3차원 공간정보의 개발 사업지 영역에 해당 개발 사업에 대응되는 시설물을 생성하여 매핑시키는 제2 단계,
    사용자단말에서 대상 개발 사업지 주변에 위치하는 분석 대상 교차로와 분석 결과 항목을 포함하는 분석 조건정보를 서비스장치로 제공하는 제3 단계,
    서비스장치에서 선택된 분석 대상 교차로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분석처리를 수행하여 도로면/교차로 교통량과, 도로면/교차로 교통량 예측 및, 지체상태에 따른 서비스 수준을 포함하는 해당 분석 결과 수치값을 생성하되,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현재 교통량 산출 반경 범위에 교통영향평가 분석이 완료된 타 개발사업이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타 개발 사업에 대응되는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정보를 교통영향평가 분석처리에 적용하여 분석 결과 수치값을 생성하는 제4 단계,
    서비스장치에서 3차원 공간의 분석 대상 교차로상에 교통영향평가 분석 결과수치값에 대응되는 교통량 지체 상태를 색상 또는 그래프를 포함하는 시계열적 형태로 표현되도록 모델링하는 제5 단계 및,
    사용자단말에서 서비스장치로부터 제공되는 3차원 모델링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를 표시출력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는 분석 교차로의 각 도로에 대응하여 지체 상태에 따른 색상이 해당 도로상에 표시되도록 모델링하되, 교차로를 향해 진행하는 방향의 각 도로에 대한 지체 거리를 산출하고, 각 도로는 해당 지체 거리만큼 지체 상태에 따른 색상으로 표시출력되도록 모델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는 교차로의 종류와 도로 차선 수 및, 교차로 주변의 신호 체계를 포함하는 교통 환경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통 대안을 설정하고,
    상기 제6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는 3차원 모델링 정보와 그래프 형태의 현재 교통 환경 조건 및 교통 대안에 대응되는 교통평가 분석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표시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제2 단계에서 매칭된 시설물 규모에 대응하여 발생 교통량을 산출하되, 대상 사업지 주변의 시설물 중 대상 사업지 시설물과 유사도가 가장 높은 규모의 시설물 주변 교통량을 근거로 해당 시설물에 대한 발생 교통량을 산출하거나, 또는 해당 대상 사업지 주변 일정 반경의 기준 시설물 단위당 평균 교통량을 근거로 해당 시설물에 대한 발생 교통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분석 요청된 교차로 주변의 현재 교통량을 산출하되, 현재 교통량 산출 반경 범위에 교통영향평가 분석이 완료된 타 개발사업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타 개발사업에 의해 발생되는 교통량을 현재 교통량에 추가하는 단계 및,
    대상 사업지 시설물에 대한 발생 교통량과 현재 주변 교통량을 근거로 분석 교차로에 대한 교통량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규모에 대응되는 발생 교통량은 시설물 크기와, 예상 유동인구, 예상 차량 수, 주변 시설물 용도를 고려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는 해당 개발 사업에 대응되는 시설물이 가장 잘 표시되는 뷰(View)형태로 3차원 모델링정보를 생성하되, 시설물에 의해 도로가 가려지는 경우에는 지체 상태가 표현되는 도로 상태가 전체적으로 표시되도록 3차원 모델링정보를 자동 뷰 변환하여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

KR1020160141797A 2016-10-28 2016-10-28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 KR101745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797A KR101745321B1 (ko) 2016-10-28 2016-10-28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797A KR101745321B1 (ko) 2016-10-28 2016-10-28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321B1 true KR101745321B1 (ko) 2017-06-09

Family

ID=59219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797A KR101745321B1 (ko) 2016-10-28 2016-10-28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3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547A (ko) * 2016-10-28 2018-05-09 (주)네오티시스 도로용량분석의 서비스수준 표현 방법
CN113222407A (zh) * 2021-05-11 2021-08-06 山西省交通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公路项目安全性评估***
KR102328592B1 (ko) 2021-07-29 2021-11-17 유문삼 교통영향평가 분석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7833A (ja) * 2001-03-30 2002-10-11 Daiwa House Ind Co Ltd 交通検証システム,交通検証装置,交通検証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データ記録媒体
JP2011048797A (ja) * 2009-08-28 2011-03-10 Fujitsu Ltd 画像表示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7833A (ja) * 2001-03-30 2002-10-11 Daiwa House Ind Co Ltd 交通検証システム,交通検証装置,交通検証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データ記録媒体
JP2011048797A (ja) * 2009-08-28 2011-03-10 Fujitsu Ltd 画像表示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547A (ko) * 2016-10-28 2018-05-09 (주)네오티시스 도로용량분석의 서비스수준 표현 방법
KR101895815B1 (ko) 2016-10-28 2018-09-07 (주)네오티시스 도로용량분석의 서비스수준 표현 방법
CN113222407A (zh) * 2021-05-11 2021-08-06 山西省交通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公路项目安全性评估***
KR102328592B1 (ko) 2021-07-29 2021-11-17 유문삼 교통영향평가 분석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nteiro et al. An urban building database (UBD) supporting a smart city information system
US117981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land use development potential
Madurika et al. GIS based analysis for suitability location finding in the residential development areas of greater matara region
Liu et al. VAIT: A visual analytics system for metropolitan transportation
KR101167653B1 (ko) 웹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부동산 개발사업의 사업대상지 선정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836535B1 (ko) Gis 기반 3차원 공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umar et al. 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 approaches for land use planning that limit urban sprawl
KR101745321B1 (ko)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
AlSaggaf et al. ArcSPAT: an integrate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model for site layout planning
CN115293570A (zh) 一种基于gis国土空间规划***及方法
Cui et al. GIS-based method of delimitating trade area for retail chains
Bhatta et al.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as a Planning Support System (PSS) in Urban Planning: Theoretical Review and its Practice in Urban Renewal Process in Hong Kong
Bansal Application areas of GIS in construction projec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Ramlakhan et al. Modelling 3D underground legal spaces in 3D Land Administration Systems
KR20110109710A (ko)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lattas The Integration of LADM and IndoorGML to Support the Indoor Navigation Based on the User Access Rights
Ase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ased integration and visualization for facilities management
Ajvazi et al. From Surveying to Geomatics
Stonor Space Syntax: a SMART approach to urban planning, design and governance
Moghadam et al. Multi-criteria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Urban Energy Planning: An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Methodological Approach
Chen et al. Fro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o digital twin: the core for sustainable smart campus at HKUST
Sobieraj et al. GIS Data Extraction and Visualization to Support Urban Building Energy Modelling
Nichersu Scale aware modeling and monitoring of the urban energy chain
Badri Gari Urban growth modeling and assesment using agent-based model
Congiu et al. BIM-GIS Integrated Framework in Support of Facility Management (F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