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785B1 - 방현 하드코트 필름 - Google Patents

방현 하드코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785B1
KR101743785B1 KR1020117022751A KR20117022751A KR101743785B1 KR 101743785 B1 KR101743785 B1 KR 101743785B1 KR 1020117022751 A KR1020117022751 A KR 1020117022751A KR 20117022751 A KR20117022751 A KR 20117022751A KR 101743785 B1 KR101743785 B1 KR 101743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ard coat
fine particles
resin
organic f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2460A (ko
Inventor
다케시 홋타
다케오 스즈키
도시히데 후쿠야마
유스케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닛뽄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2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종래의 방현 필름에 비해 필요 이상의 방현성을 부여하지 않고, 투과율이 높고, 헤이즈값이 낮아 투명성이 우수하고, 이미지 선영성이 높고, 화상의 반짝임을 억제하고, 도포막의 희읍스름함 (뿌예짐) 을 저감시켜 콘트라스트 저하를 억제하여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향상시킨 방현 하드코트 필름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방현 하드코트 필름은, 투명 필름 상에, 유기 미립자 및 수지를 함유하는 방현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 방현 하드코트 필름 표면의 평가 영역 내의 높이의 평균값을 제로 (0) 로 했을 때의, 평가 영역 내의 높이 최대값과 평가 영역 내의 높이 최소값의 차로 나타내는 최대 단면 높이가 0.6 ㎛ 이하이다.

Description

방현 하드코트 필름{ANTIGLARE HARDCOAT FILM}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로 대표되는 각종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사용되는 시인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한 방현 하드코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 액정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는, 표시면에서 외경(外景)이 비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와 바인더 수지 또는 경화성 수지의 혼합물을 기재에 도포하여 표면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방현성을 발현시키고 있다. 방현성을 높이려면 상기 요철 형상을 크게 하거나 혹은 요철의 빈도를 늘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요철이 크거나 혹은 빈도가 늘면, 방현층의 헤이즈값 (흐림도) 이 상승하여 방현성이 얻어지지만, 외광이 비쳐 화면이 뿌옇게 되거나, 헤이즈값의 상승에 수반하여 이미지 선명도가 저하되어, 표시 화상의 시인성을 악화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현 하드코트 필름의 일반적인 평가인 표면의 헤이즈값을 낮게 하면, 외광이 비쳐 화면이 뿌옇게 되는 정도는 억제할 수 있지만, 필름 표면에 이른바 신틸레이션 (반짝임, 면 반짝임) 이라고 하는 반짝반짝 빛나는 반짝임이 강해지고, 이것을 해소하는 수법으로는 방현층 내부의 헤이즈값을 높게 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지만, 미립자와 수지의 굴절률차에서 기인한 내부 헤이즈에 의해 투과율의 저하가 발생하여, 표시 장치의 표시 휘도를 저하시키고, 동시에 내부 헤이즈에 의해 도포막이 희읍스름해지기 되기 때문에,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현저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26608호 (특허문헌 1) 에는, 평균 입자 직경이 0.5 ∼ 5 ㎛ 이고, 투과성 수지와의 굴절률차가 0.02 ∼ 0.2 인 투광성 미립자를 배합한 방현성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방현층을 구성하는 투광성 수지와, 이것에 함유되는 투광성 미립자의 굴절률차를 0.02 ∼ 0.2 로 함으로써, 확산ㆍ방현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이미지 선명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이 경우에 헤이즈값을 높여 반짝임을 저감시켜도, 이미지 선명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얻어지는 필름의 헤이즈는 10 % 이상으로 높아 방현성을 갖는 한편, 도포막이 희읍스름해져 투과율과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현저하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286878호 (특허문헌 2) 에는, 방현성 필름에 있어서는, 바인더의 경화물과 투광성 미립자의 굴절률차가 0 ∼ 0.05 라는 작은 범위로 억제되기 때문에, 방현성 하드코트층 내부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방현성 하드코트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JIS B 0601-1994 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산술 평균 조도 (Ra) 가 0.01 ∼ 0.30 ㎛ 및 요철의 평균 간격 (Sm) 이 10 ∼ 300 ㎛ 라는 작은 범위로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방현성 하드코트층의 표면 (외면) 에 있어서의 광의 확산을 발휘하면서, 광의 투과성을 유지할 수 있어, 그 방현성 필름은, 반짝임의 억제와 투과 선명성의 향상을 균형있게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산술 평균 조도 (Ra) 가 0.01 ∼ 0.30 ㎛ 및 요철의 평균 간격 (Sm) 이 10 ∼ 300 ㎛ 라는 범위는 작지 않아, 현재 시장에서 제품화되어 있는 방현 필름 대부분이 이 범위에 해당한다. 또, 구체적으로 얻어지는 필름은 산술 평균 조도 (Ra) 가 0.1 ㎛ 이상이고, 2 ㎜ 의 폭을 갖는 광학 빗을 통하여 측정되는 이미지 선명도의 값이 70 % 미만이고, 또한 60°반사에 의해 측정되는 이미지 선명도의 값이 60 % 이하에서는 방현성을 갖는 한편, 고정세 패널에서의 반짝임 방지는 불충분하고, 도포막의 희읍스름함은 고려되어 있지 않아, 투과율과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현저하다는 문제가 남는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2660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286878호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방현성을 고려한 나머지, 반짝임 방지의 관점에서 헤이즈값을 높게 하고, 또한 이미지 선명도를 충분히 높게 할 수 없기 때문에, 투과율이 낮은 것과 도포막의 희읍스름함을 해소할 수 없어, 화상을 표시하면 화면이 희읍스름해져, 특히 흑색 표시에서 화상 품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방현 필름에 비해 필요 이상의 방현성을 부여하지 않고, 투과율이 높고, 헤이즈값이 낮아 투명성이 우수하고, 이미지 선영성(鮮映性)이 높고, 화상의 반짝임을 억제하고, 도포막의 희읍스름함 (뿌예짐) 을 저감시켜 콘트라스트 저하를 억제하여,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향상시킨 표면 보호용의 방현 하드코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투명 필름 상에, 유기 미립자 및 수지를 함유하는 방현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방현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그 방현 하드코트 필름 표면의 평가 영역 내의 높이의 평균값을 제로 (0) 로 했을 때의, 평가 영역 내의 높이 최대값과 평가 영역 내의 높이 최소값의 차로 나타내는 최대 단면 높이가 0.6 ㎛ 이하임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이즈값이 낮고, 투과율이 높은, 투명성이 우수한 방현 하드코트 필름이 얻어지기 때문에, 화상의 반짝임을 억제하여,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현 하드코트 필름에 있어서는, 상기 유기 미립자는 평균 입자직경 2 ∼ 6 ㎛ 이고, 또한 상기 방현 하드코트층의 도포막 두께가 상기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의 1 ∼ 2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 미립자와 상기 수지의 굴절률차가 0.001 ∼ 0.02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이 상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3 ∼ 3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현 하드코트 필름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유기 미립자수가 100 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방현 하드코트 필름의 헤이즈값이 0.1 ∼ 5.0 % 이고, 60 도 경면 광택도가 60 % 이상 90 % 이하이고, 또한 20 도 경면 광택도가 15 % 이상 50 % 이하이며, 또한 시감 투과율 (투과 Y 값) 을 92.00 이상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한층 더 발현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현 하드코트 필름에 있어서, JIS K 7105-1981 에 기초하는 투과 선명도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4 개의 광학 빗 (폭 2 ㎜, 1 ㎜, 0.5 ㎜, 0.125 ㎜) 을 통하여 측정되는 투과 선명도의 합계값이 280 % 이상이고, 각 광학 빗을 통하여 측정되는 투과 선명도의 값을 각각 70 % 이상으로 함으로써, 이미지 선명도가 높고, 도포막의 희읍스름함 (뿌예짐) 을 저감시켜 콘트라스트 저하를 억제하여,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방현 하드코트층에 함유되는 상기 수지로는 범용성이 높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대량으로 저렴하게 제조하기에는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투명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시인성이 높은 점이나 가격적인 관점에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노르보르넨 필름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현 하드코트 필름에 의하면, 도포막의 희읍스름함을 저감시켜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지 않고, 실용상 문제없는 레벨의 방현성과 높은 투과율, 높은 이미지 선명도, 화상의 반짝임을 억제하여,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현 하드코트 필름은, 투명 필름 상에, 유기 미립자 및 수지를 함유하는 방현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방현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그 방현 하드코트 필름 표면의 평가 영역 내의 높이의 평균값을 제로 (0) 로 했을 때의, 평가 영역 내의 높이 최대값과 평가 영역 내의 높이 최소값의 차로 나타내는 최대 단면 높이가 0.6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현 하드코트 필름에 의하면, 헤이즈값이 낮고, 투과율이 높은, 투명성이 우수한 이유는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추측된다.
방현 하드코트 필름의 헤이즈값은, 방현 하드코트층 표면의 요철에서 기인하여 광이 굴절, 산란됨으로써 발생하는 표면 헤이즈와, 방현 하드코트층 중에 유기 미립자가 존재하는 것에서 기인하여 광이 굴절, 산란됨으로써 발생하는 내부 헤이즈가 있으며, 방현 하드코트 필름 표면의 평가 영역 내의 높이의 평균값을 제로 (0) 로 했을 때의, 평가 영역 내의 높이 최대값과 평가 영역 내의 높이 최소값의 차로 나타내는 최대 단면 높이가 0.6 ㎛ 이하인 경우, 표면의 요철에서 기인하는 광의 굴절, 산란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 헤이즈가 발현되기 어려워져, 광의 굴절, 산란에 의한 광의 로스가 억제되기 때문에 투과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방현 하드코트층 표면에서의 산란광에 의해 방현 하드코트 필름이 희읍스릅하게 탁해지는 현상이 억제되는 점에서 투명성이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방현 하드코트 필름 표면의 상기 최대 단면 높이가 0.6 ㎛ 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의 요철에서 기인하는 광의 굴절, 산란이 강해지기 때문에 표면 헤이즈가 발현되기 쉬워져, 광의 굴절, 산란에 의한 광의 로스에 의해 투과율의 저하가 염려됨과 함께, 방현 하드코트층 표면에서의 산란광에 의한 방현성은 얻어지기 쉬워지지만, 방현 하드코트 필름이 희읍스름하게 탁해지는 현상은 억제하기 어려워진다는 점에서 투명성이나 투과 선명도가 저하되기 쉽다.
또, 상기 최대 단면 높이의 하한값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약은 없지만, 최대 단면 높이가 0.2 ㎛ 미만인 경우, 필름 표면의 요철이 지나치게 작아지기 때문에, 방현 하드코트층 표면에서의 산란광에 의한 방현성이 잘 얻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방현 하드코트 필름 표면의 상기 최대 단면 높이는 0.2 ㎛ 이상 0.6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대 단면 높이가 0.25 ㎛ 이상 0.55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대 단면 높이가 0.3 ㎛ 이상 0.5 ㎛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평가 영역」이란 측정 영역을 말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방현 하드코트 필름은, 그 방현 하드코트 필름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유기 미립자수가 100 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방현 하드코트 필름에 의하면, 헤이즈값이 낮고, 투과율이 높은, 투명성이 우수한 이유는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추측된다.
방현 하드코트 필름의 헤이즈값은, 방현 하드코트층 표면의 요철에서 기인하여 광이 굴절, 산란됨으로써 발생하는 표면 헤이즈와, 방현 하드코트층 중에 유기 미립자가 존재하는 것에서 기인하여 광이 굴절, 산란됨으로써 발생하는 내부 헤이즈가 있으며, 방현 하드코트 필름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유기 미립자수가 100 개/㎟ 이하인 경우, 표면의 요철에서 기인하는 광의 굴절, 산란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 헤이즈가 잘 발현되지 않게 되어, 광의 굴절, 산란에 의한 광의 로스가 억제되기 때문에 투과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방현 하드코트층 표면에서의 산란광에 의해 방현 하드코트 필름이 희읍스름하게 탁해지는 현상이 억제된다는 점에서 투명성이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방현 하드코트 필름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유기 미립자수란, 주사형 전자 현미경 (배율 2000 배) 에 의한 방현 하드코트 필름의 표면 사진 (화상) 으로부터, 방현 하드코트 필름 1 ㎜ × 1 ㎜ 의 범위에서 표면의 수지층으로부터 돌출된 유기 미립자의 면적이 0.75 ㎛2 이상인 개수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투명 필름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PET ; 굴절률 1.665),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PC ; 굴절률 1.582),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TAC ; 굴절률 1.485), 노르보르넨 필름 (NB ; 굴절률 1.525)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름 두께도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25 ㎛ ∼ 250 ㎛ 정도가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전리 방사선 경화 수지의 굴절률은 1.52 정도이기 때문에,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수지의 굴절률에 가까운 TAC 필름, NB 필름이 바람직하고, 또 가격적으로는 PET 필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수지는 피막을 형성하는 수지라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방현 하드코트층 표면에 하드성 (연필 경도, 내찰상성) 을 부여하고, 또한 방현 하드코트층 형성시에 다량의 열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방현 하드코트층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바꾸지 않는 범위에서, 레벨링제, 소포제, 활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중합 금지제, 습윤 분산제, 리올로지 컨트롤제, 산화 방지제, 방오제, 대전 방지제, 도전제 등을 필요에 따라 함유해도 된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전자선 또는 자외선 등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되는 투명한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등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 바람직한 것은 분자 내에 2 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자외선 경화 가능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분자 내에 2 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자외선 경화 가능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는,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올폴리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의 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의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다가 알코올과 다가 카르복실산 및/또는 그 무수물과 아크릴산을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다가 알코올,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및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실록산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 가능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는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고, 그 함유량은 방현 하드코트층용 도료의 수지 고형분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0 ∼ 95 중량% 이다. 또한,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외에, 방현 하드코트층용 도료의 수지 고형분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2-하이드록시(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단관능 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할 수도 있다.
또, 방현 하드코트층에는 경도를 조정할 목적에서 사용되는 중합성 올리고머를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올리고머로는, 말단 (메트)아크릴레이트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말단 스티릴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말단 (메트)아크릴레이트폴리스티렌, 말단 (메트)아크릴레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 말단 (메트)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말단 (메트)아크릴레이트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매크로 모노머를 들 수 있으며, 그 함유량은 방현 하드코트용 도료 중의 수지 고형분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 ∼ 50 중량% 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기 미립자를 형성하는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어 염화비닐 수지 (굴절률 1.53), 아크릴 수지 (굴절률 1.49), (메트)아크릴 수지 (굴절률 1.52 ∼ 1.53), 폴리스티렌 수지 (굴절률 1.59), 멜라민 수지 (굴절률 1.57),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스티렌 공중합 수지 (굴절률 1.49 ∼ 1.59)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방현 하드코트층의 도포막 두께는 방현 하드코트층을 구성하는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의 1 ∼ 2 배일 필요가 있고, 바람직한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2 ∼ 6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5.5 ㎛ 이다.
도포막 두께가 방현 하드코트층을 구성하는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의 1 배 미만이면, 미립자가 도포막 표면으로 돌출되어, 필요 이상의 방현성이 부여되어 도포막 표면에서의 외광의 산란이 커지고, 광의 산란에 의해 표면이 희읍스름해져,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현저히 저하시킨다. 한편, 도포막 두께가 방현 하드코트층을 구성하는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의 2 배를 초과하면 방현성이 전혀 얻어지지 않고, 또한 투과율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이 2 ㎛ 미만인 경우에는, 방현 하드코트층의 도포막 두께를 상기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의 1 ∼ 2 배로 설정한 경우에 방현성이 전혀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이 6 ㎛ 보다 큰 경우에는, 도포막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하기 때문에 투과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상기 유기 미립자는, 방현 하드코트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굴절률 (경화 후의 굴절률) 에 대해, 굴절률차가 0.001 ∼ 0.020 인 유기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굴절률차가 0.001 ∼ 0.010 인 유기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요컨대, 일반적인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굴절률은 1.52 정도이기 때문에, 굴절률이 1.50 ∼ 1.54 인 유기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방현 하드코트층을 구성하는 수지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인 (메트)아크릴 수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굴절률 = 1.52) 인 경우, 상기 방현 하드코트층에 사용하는 유기 미립자는 (메트)아크릴 수지 (굴절률 1.52 ∼ 1.53), 혹은 아크릴-스티렌 공중합 수지로 굴절률을 1.51 ∼ 1.53 으로 조정한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현 하드코트층을 구성하는 유기 미립자와 수지의 굴절률차가 0.001 미만인 경우에는, 방현 하드코트층의 도포막 두께를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의 1 ∼ 2 배로 설정한 경우에 방현성이 전혀 얻어지지 않는다. 또, 방현 하드코트층을 구성하는 유기 미립자와 수지의 굴절률차가 0.020 을 초과하면,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기 때문에 헤이즈값을 0.1 ∼ 5.0 % 가 되도록 조정한 경우, 상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첨가 부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충분한 방현성이 얻어지지 않고, 또 방현성이 얻어지는 첨가 부수에서는 헤이즈값이 5.0 % 를 초과하여 투과율, 콘트라스트가 저하된다.
또, 상기 유기 미립자는 방현 하드코트층에 사용되는 수지의 굴절률보다 0.001 ∼ 0.020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와의 굴절률차가 0.001 ∼ 0.020 낮은 미립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얻어지는 효과에 큰 차는 없지만, 방현 하드코트층을 구성하는 수지에는 범용성이 높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인 (메트)아크릴 수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굴절률 = 1.52) 를 사용하는 것이 대량으로 저렴하게 제조하기에는 바람직하고, 미립자의 입수성을 고려하면 상기 수지의 굴절률보다 0.001 ∼ 0.020 높은 미립자인 편이 바람직하다. 또, 유기 미립자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혹은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유기 미립자를 병용하는 경우에도, 병용하는 유기 미립자는 평균 입자직경이 2 ∼ 6 ㎛ 이고, 방현 하드코트층을 구성하는 수지와의 굴절률차가 0.001 ∼ 0.020 범위에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무기 미립자, 또는 수지와의 굴절률차가 0.001 미만, 혹은 0.020 을 초과하는 무기 미립자 혹은 유기 미립자를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 미립자는 방현 하드코트층 중에 상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3 ∼ 35 중량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25 중량부 배합한다.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이 상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3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방현 하드코트층의 도포막 두께를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의 1 ∼ 2 배로 설정한 경우에 방현성이 전혀 얻어지지 않는다. 또,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이 상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35 중량부를 초과하면, 헤이즈값이 높아져, 투과율, 콘트라스트가 저하된다.
방현 하드코트층은 상기 수지와 미립자 등을 용제에 용해, 분산시킨 도료를 투명 필름 상에 도포 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용매로는 상기 수지의 용해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적어도 고형분 (수지, 미립자, 촉매, 경화제, 기타 첨가제) 을 균일하게 용해 혹은 분산시킬 수 있는 용매이면 된다. 그러한 용매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에테르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 지방족 탄화수소류 (헥산 등), 지환식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산 등), 방향족 탄화수소류 (톨루엔, 자일렌 등), 할로겐화탄소류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등), 에스테르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 알코올류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시클로헥산올 등), 셀로솔브류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 셀로솔브아세테이트류, 술폭사이드류, 아미드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도포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그라비아 도포, 마이크로 그라비아 도포, 바 도포, 슬라이드 다이 도포, 슬롯 다이 도포, 딥 코트 등, 도포막 두께의 조정이 용이한 방식으로 도포이 가능하다. 또한, 방현 하드코트층의 막두께는, 방현 필름 단면 사진을 현미경 등으로 관찰하여, 도포막 계면에서부터 표면까지를 실측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현 필름에 있어서는, 60 도 경면 광택도가 60 % 이상 90 % 이하이고, 또한 20 도 경면 광택도가 15 % 이상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시감 투과율 (투과 Y 값) 이 92.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 필름에 있어서는, JIS K 7105-1981 에 기초하는 투과 선명도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4 개의 광학 빗 (폭 2 ㎜, 1 ㎜, 0.5 ㎜, 0.125 ㎜) 을 통하여 측정되는 투과 선명도의 합계값이 280 % 이상이고, 각 광학 빗을 통하여 측정되는 투과 선명도의 값이 각각 7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 필름에 있어서는, 투명 필름 상에, 유기 미립자 및 수지를 함유하는 방현 하드코트층 이외에, 반사 방지층이나 대전 방지층과 같은 기능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단, 이와 같은 기능층을 형성함으로써, 표면의 기복이 캔슬되어 원하는 방현성이 얻어지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유기 미립자를 함유한 방현 하드코트층 상에 기능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기능층의 막두께는 0.5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방현 하드코트층 아래에 기능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기능층으로는, 예를 들어 반사 방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굴절률 제어층, 기재와 방현 하드코트층의 밀착성을 얻기 위한 접착 용이층, 대전 방지층 등이다.
또, 본 발명의 방현 필름에 있어서는, 투명 필름 상에, 유기 미립자 및 수지를 함유하는 방현 하드코트층 이외에, 반사 방지층이나 대전 방지층과 같은 기능층을 유기 미립자를 함유한 방현 하드코트층 상에 형성하는 경우, 방현 하드코트층의 도포막 두께를, 방현 하드코트층을 구성하는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 이하로 설정한 경우에는, 방현 하드코트층과 기능층을 합계한 도포막 두께가, 방현 하드코트층을 구성하는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의 1 ∼ 2 배일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투명 필름 상의 유기 미립자 및 수지를 함유하는 방현 하드코트층 상에 반사 방지층이나 대전 방지층과 같은 기능층을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는, 방현 필름의 표면, 요컨대 기능층 표면의 평가 영역 내의 높이의 평균값을 제로 (0) 로 했을 때의, 평가 영역 내의 높이 최대값과 평가 영역 내의 높이 최소값의 차로 나타내는 최대 단면 높이가 0.6 ㎛ 이하일 필요가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예증하지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레이저 회절 입도 측정기 SALD2200 (시마즈 제작소 제조) 으로 측정하였다. 도포막 두께는 키엔스 (주) 제조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단면을 관찰하여 계측하였다. 또,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이하에 기재하는「부」및「%」는 각각 「중량부」및「중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
<도료 조제>
톨루엔 55.0 g 에 아크릴 입자 (소켄 화학 (주) 사 제조, 평균 입자직경 5.0 ㎛, 굴절률 : 1.525) 1.2 g 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였다. 이 액에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 수지 (닛폰 합성 화학 공업 (주) 사 제조, 굴절률 : 1.52) 30.0 g 과 이르가큐어 184 (광중합 개시제, (주) 치바 스페셜리티 케미컬사 제조) 1.5 g, BYK325 (레벨링제, 빅케미 (주) 사 제조) 0.5 g 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도료를 조제하였다.
<방현 필름 제작>
Fuji TAC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후지 필름 (주) 사 제조) 에 상기 도료를 메이어 바 #14 (RDS 사 제조) 로 도포하고, 80 ℃ 에서 1 분간 건조 후, 350 mJ/㎠ 의 자외선 (광원 : Fusion Japan 사 제조, UV 램프) 를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얻어진 도포막의 두께는 7 ㎛ 였다.
[실시예 2]
<도료 조제>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아크릴 입자를 굴절률 1.53 의 아크릴 입자 (소켄 화학 (주) 사 제조, 평균 입자직경 4.0 ㎛)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도료를 조제하였다.
<방현 필름 제작>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메이어 바를 #10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도포막의 두께는 5 ㎛ 였다.
[실시예 3]
<도료 조제>
톨루엔 38.5 g 에 아크릴-스티렌 공중합 입자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사 제조, 평균 입자직경 5.0 ㎛, 굴절률 : 1.525) 8.7 g 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였다. 이 액에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 수지 (닛폰 합성 화학 공업 (주) 사 제조, 굴절률 : 1.52) 25.5 g 과 이르가큐어 184 (광중합 개시제, (주) 치바 스페셜리티 케미컬사 제조) 1.5 g, BYK340 (레벨링제, 빅케미 (주) 사 제조) 0.5 g 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도료를 조제하였다.
<방현 필름 제작>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메이어 바를 #18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도포막의 두께는 9 ㎛ 였다.
[실시예 4]
<도료 조제>
실시예 2 에서 사용한 아크릴 입자를 평균 입자직경 2.5 ㎛ 의 아크릴 입자 (소켄 화학 (주) 사 제조, 굴절률 1.53)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도료를 조제하였다.
<방현 필름 제작>
실시예 2 에서 사용한 메이어 바를 #8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도포막의 두께는 3.5 ㎛ 였다.
[실시예 5]
<도료 조제>
실시예 2 에서 사용한 아크릴 입자를 평균 입자직경 5.0 ㎛ 의 아크릴-스티렌 공중합 입자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사 제조, 굴절률 1.535)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도료를 조제하였다.
<방현 필름 제작>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도포막의 두께는 7 ㎛ 였다.
[실시예 6]
<도료 조제>
실시예 2 에서 사용한 아크릴 입자를 평균 입자직경 5.0 ㎛ 의 아크릴-스티렌 공중합 입자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사 제조, 굴절률 1.505)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도료를 조제하였다.
<방현 필름 제작>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도포막의 두께는 7 ㎛ 였다.
[실시예 7]
<도료 조제>
톨루엔 50.0 g 에 아크릴-스티렌 공중합 입자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사 제조, 평균 입자직경 3.0 ㎛, 굴절률 : 1.525) 1.5 g 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였다. 이 액에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 수지 (닛폰 합성 화학 공업 (주) 사 제조, 굴절률 : 1.52) 45.5 g 과 이르가큐어 184 (광중합 개시제, (주) 치바 스페셜리티 케미컬사 제조) 3.0 g, BYK340 (레벨링제, 빅케미 (주) 사 제조) 1.0 g 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도료를 조제하였다.
<방현 필름 제작>
실시예 2 에서 사용한 메이어 바를 #8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도포막의 두께는 6 ㎛ 였다.
[비교예 1]
<도료 조제>
실시예 1 과 동일한 도료를 조제하였다.
<방현 필름 제작>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메이어 바를 #6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도포막의 두께는 4 ㎛ 였다.
[비교예 2]
<도료 조제>
실시예 5 와 동일한 도료를 조제하였다.
<방현 필름 제작>
실시예 5 에서 사용한 메이어 바를 #36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도포막의 두께는 20 ㎛ 였다.
[비교예 3]
<도료 조제>
톨루엔 28.0 g 에 아크릴 입자 (소켄 화학 (주) 사 제조, 평균 입자직경 5.0 ㎛, 굴절률 : 1.525) 12.5 g 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였다. 이 액에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 수지 (닛폰 합성 화학 공업 (주) 사 제조, 굴절률 : 1.52) 22.0 g 과 이르가큐어 184 (광중합 개시제, (주) 치바 스페셜리티 케미컬사 제조) 1.5 g, BYK375 (레벨링제, 빅케미 (주) 사 제조) 0.5 g 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도료를 조제하였다.
<방현 필름 제작>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메이어 바를 #18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도포막의 두께는 9 ㎛ 였다.
[비교예 4]
<도료 조제>
톨루엔 60.0 g 에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 수지 (닛폰 합성 화학 공업 (주) 사 제조, 굴절률 : 1.52) 33.0 g 과 이르가큐어 184 (광중합 개시제, (주) 치바 스페셜리티 케미컬사 제조) 1.5 g, BYK325 (레벨링제, 빅케미 (주) 사 제조) 0.5 g 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도료를 조제하였다.
<방현 필름 제작>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도포막의 두께는 7 ㎛ 였다.
[비교예 5]
<도료 조제>
톨루엔 38.5 g 에 아크릴-스티렌 공중합 입자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사 제조, 평균 입자직경 8.0 ㎛, 굴절률 : 1.525) 8.7 g 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였다. 이 액에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 수지 (닛폰 합성 화학 공업 (주) 사 제조, 굴절률 : 1.52) 25.5 g 과 이르가큐어 184 (광중합 개시제, (주) 치바 스페셜리티 케미컬사 제조) 1.5 g, BYK340 (레벨링제, 빅케미 (주) 사 제조) 0.5 g 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도료를 조제하였다.
<방현 필름 제작>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메이어 바를 #18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방현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도포막의 두께는 9 ㎛ 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작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방현 하드코트 필름을 다음의 항목에 대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정리하여 후기 표 1 에 나타냈다.
(1) 최대 단면 높이
(주) 료카 시스템 제조의 3 차원 표면 조도계 「Vert Scan 2.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에 의해 얻어진 영역 조도 파라미터의 평가 영역 내의 높이의 평균값 (Ave) 이 제로일 때의, 평가 영역 내의 높이 최대값 (P) 과 평가 영역 내의 높이 최소값 (V) 의 차로부터 최대 단면 높이 (St) 를 구하였다. 측정 조건의 설정은 이하와 같다.
<광학 조건>
Camera : SONY HR-50 1/3 형
Objective : 10 × (10 배)
Tube : 1 × body
Relay : No Relay
Filter : 530 white
※광량 조절 : Lamp 의 값이 50 ∼ 95 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자동으로 실시.
<측정 조건>
Mode : Wave
Size : 640 × 480
Range (㎛) : Start (5), Stop (-10)
(2) 돌출되는 입자 (유기 미립자) 수
키엔스 (주) 제조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배율 2000 배) 에 의한 방현 하드코트 필름의 표면 사진 (화상) 으로부터, 방현 하드코트 필름 1 ㎜ × 1 ㎜ 의 범위에서 표면의 수지층으로부터 돌출된 유기 미립자의 면적이 0.75 ㎛2 이상인 개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 (배율 2000 배) 에서는, 방현 하드코트 필름의 표면 사진 (화상) 으로부터, 면적이 0.03 ㎛2 정도 이상이면 돌출된 유기 미립자를 인식할 수 있다.
(3) 헤이즈값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의 헤이즈미터「HM15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 시감 투과율 (투과 Y 값)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의「적분구 고속 분광 투과 측정 시스템 DOT-3」을 사용하여, JIS Z 8722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을 실시하였다.
여기에서, 시감 투과율이란, Y = K
Figure 112011075673813-pct00001
S(λ)y(λ)T(λ)dλ 로부터 구해진다. 또한, S(λ) : 파장 400 ∼ 700 ㎚ 의 분광 분포, y(λ) : 등색 함수, T(λ) : 분광 입체각 투과율, Y : 시감 투과율이다.
(5) 투과 선명도
스가 시험기 (주) 제조의 사상성(寫像性) 측정기 「ICM-1DP」를 사용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은 2 ㎜, 1 ㎜, 0.5 ㎜, 0.125 ㎜ 의 폭을 갖는 광학 빗을 사용하여 실시하고, 각 폭에 있어서의 측정값과 그 총합을 산출하였다.
(6) 광택도 (20 도, 60 도)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의 글로스미터 (GM-3D) 를 사용하여, 도포 반대면에 흑색의 비닐테이프 (닛토 비닐테이프, PROSELF No.21 (광폭)) 를 붙여 20 도 또는 60 도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7) 반짝임
전체면을 녹색으로 표시하게 한 해상도 150 ppi 의 액정 표시체 (LCD) 상에 각 방현 필름을 중첩시키고, 화면의 반짝반짝 빛나는 반짝임의 발생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LCD 표면에는 미리 반짝임이 발생하지 않는 클리어 타입의 하드코트 필름을 설치하였다. 반짝임이 없는 것 및 반짝임이 약간인 것을「○」, 반짝임이 커서 시인성이 악화되는 것을「×」로 하였다. 또한,「○」와「×」중간의 반짝임인 것으로 평가한 것을「△」로 하였다.
(8) 뿌예짐, 희읍스름함
외광이 비쳐 뿌옇게 되는 것은, 도포 반대면에 흑색의 비닐테이프 (닛토 비닐테이프, PROSELF No.21 (광폭)) 을 붙이고, 맥베스 농도계로 흑색 농도로서 측정하였다. 2.15 이상을「○」, 2.10 이상 2.15 미만을「△」, 2.10 미만을「×」로 하였다. 또, 투과광에 의한 도포막의 희읍스름함은, 도포면을 관측자측으로 하여 방현 하드코트 필름을 개재하여 백색 형광등을 보았을 때의, 내부 헤이즈에 의해 필름 중에서 광이 확산되어 도포막이 희읍스름해지는 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희읍스름함이 없는 것 및 약간인 것을「○」, 희읍스름함이 약간 강한 것을「△」, 도포막이 희읍스름해지는 것을「×」로 하였다.
Figure 112011075673813-pct00002
이상의 표 1 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방현 하드코트 필름 표면의 평가 영역 내의 최대 단면 높이가 0.6 ㎛ 이하인 실시예 1 ∼ 7 에서는 모두 양호한 시감 투과율, 이미지 선명도, 광택도를 갖고, 또한 반짝임, 뿌예짐, 희읍스름함을 억제한 방현 하드코트 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또, 실시예 1 ∼ 7 은 모두 방현 하드코트 필름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유기 미립자수가 100 개/㎟ 이하이고, 또 방현 하드코트층에 사용하는 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 상기 수지와의 굴절률차, 그 배합량, 방현 하드코트층의 도포막 두께 및 방현 하드코트 필름의 헤이즈값이 각각 본 발명의 원하는 범위 내여서, 양호한 시감 투과율, 이미지 선명도, 광택도를 갖고, 또한 반짝임, 뿌예짐, 희읍스름함을 억제한 방현 하드코트 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유기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지만, 방현 하드코트 필름 표면의 평가 영역 내의 최대 단면 높이가 0.6 ㎛ 보다 크고, 게다가 방현 하드코트 필름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유기 미립자수가 100 개/㎟ 를 초과하는 비교예 1 ∼ 3 에서는 모두 양호한 시감 투과율, 이미지 선명도, 광택도를 가지며, 반짝임, 뿌예짐, 희읍스름함을 억제한 방현 하드코트 필름을 얻을 수 없었다. 도포막 두께가 얇은 비교예 1 에서는 헤이즈가 높아지고, 그것에 수반하여 이미지 선명도, 광택도의 저하, 반짝임, 뿌예짐, 희읍스름함이 현저히 악화되었다. 또, 도포막 두께가 두꺼운 비교예 2 는 대체로 양호한 결과이지만, 약간 희읍스름함이 강해지는 결과였다. 또, 미립자의 첨가 부수가 많은 비교예 3 에서는, 도포막으로부터 미립자가 돌출됨으로써 높은 방현성이 발현되어, 이미지 선명도의 저하와, 반짝임, 뿌예짐, 희읍스름함이 강해졌다. 또한, 미립자가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4 는 광택도가 높아, 방현성이 전혀 얻어지지 않았다. 또, 유기 미립자를 함유하고, 방현 하드코트 필름 표면의 평가 영역 내의 최대 단면 높이가 0.6 ㎛ 보다 크지만, 방현 하드코트 필름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유기 미립자수가 100 개/㎟ 이하인 비교예 5 에서는, 사용하는 미립자의 입자 직경이 크고, 도포막 두께가 미립자의 입자 직경과 거의 동일했기 때문인지, 표면으로 돌출되는 유기 미립자의 수는 100 개/㎟ 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도포막 표면이 거칠게 되었기 때문에, 반짝임, 뿌예짐, 희읍스름함이 모두 악화되었다.

Claims (9)

  1. 투명 필름 상에, 유기 미립자 및 수지를 함유하는 방현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방현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그 방현 하드코트 필름 표면의 평가 영역 내의 높이의 평균값을 제로 (0) 로 했을 때의, 평가 영역 내의 높이 최대값과 평가 영역 내의 높이 최소값의 차로 나타내는 최대 단면 높이가 0.6 ㎛ 이하이고,
    상기 방현 하드코트 필름의 헤이즈값이 0.1 ∼ 5.0 % 이고, 60 도 경면 광택도가 60 % 이상 90 % 이하이고, 또한 20 도 경면 광택도가 15 % 이상 50 % 이하이며, 또한 시감 투과율 (투과 Y 값) 이 92.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하드코트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미립자는 평균 입자직경 2 ∼ 6 ㎛ 이고, 또한 상기 방현 하드코트층의 도포막 두께가 상기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의 1 ∼ 2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하드코트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미립자와 상기 수지의 굴절률차가 0.001 ∼ 0.0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하드코트 필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이 상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3 ∼ 3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하드코트 필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현 하드코트 필름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유기 미립자수가 100 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하드코트 필름.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JIS K 7105-1981 에 기초하는 투과 선명도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4 개의 광학 빗 (폭 2 ㎜, 1 ㎜, 0.5 ㎜, 0.125 ㎜) 을 통하여 측정되는 투과 선명도의 합계값이 280 % 이상이고, 각 광학 빗을 통하여 측정되는 투과 선명도의 값이 각각 7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하드코트 필름.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현 하드코트층에 함유되는 상기 수지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하드코트 필름.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노르보르넨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하드코트 필름.
KR1020117022751A 2009-03-30 2010-03-28 방현 하드코트 필름 KR101743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81796 2009-03-30
JPJP-P-2009-081796 2009-03-30
JP2009270381 2009-11-27
JPJP-P-2009-270381 2009-11-27
PCT/JP2010/055475 WO2010113827A1 (ja) 2009-03-30 2010-03-28 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460A KR20120032460A (ko) 2012-04-05
KR101743785B1 true KR101743785B1 (ko) 2017-06-05

Family

ID=4282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751A KR101743785B1 (ko) 2009-03-30 2010-03-28 방현 하드코트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58877B2 (ko)
JP (1) JP4848072B2 (ko)
KR (1) KR101743785B1 (ko)
CN (1) CN102439490B (ko)
TW (1) TWI414810B (ko)
WO (1) WO20101138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3279B2 (ja) 2010-12-21 2014-04-09 チェ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防眩フィルム
JP5610373B2 (ja) * 2010-12-24 2014-10-22 凸版印刷株式会社 El素子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装置
CN102681042A (zh) * 2011-03-08 2012-09-19 东莞市纳利光学材料有限公司 一种防眩膜的制备方法
KR101771104B1 (ko) * 2011-05-27 2017-08-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5778997B2 (ja) * 2011-05-31 2015-09-16 株式会社ダイセル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525056A (ja) * 2011-07-18 2014-09-2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高明暗比を示す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53378B2 (ja) 2011-09-27 2015-01-14 日本製紙株式会社 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CN104246540B (zh) * 2012-05-09 2016-05-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膜、偏振片、液晶面板和图像显示装置
KR101751157B1 (ko) 2013-07-05 2017-06-26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 필름, 편광판, 액정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US9207824B2 (en) 2014-03-25 2015-12-08 Hailiang Wang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 sensors on polymer lenses
US10747372B2 (en) 2015-03-25 2020-08-18 Hailiang Wang Systems and high throughput methods for touch sensors
KR102320640B1 (ko) 2015-04-29 2021-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10372246B2 (en) 2015-07-16 2019-08-06 Hailiang Wang Transferable nanocomposites for touch sensors
US10294422B2 (en) 2015-07-16 2019-05-21 Hailiang Wang Etching compositions for transparent conductive layers comprising silver nanowires
JP2016118788A (ja) * 2015-12-25 2016-06-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7562251B (zh) * 2016-06-30 2020-09-15 宁波科廷光电科技有限公司 用于触摸传感器的可转移纳米复合材料
KR101988549B1 (ko) * 2016-12-12 2019-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8116998A1 (ja) * 2016-12-19 2018-06-28 日本製紙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6979994B2 (ja) * 2017-09-26 2021-12-15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光学体、及び窓材
JP2019061026A (ja) * 2017-09-26 2019-04-1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光学体、及び窓材
KR102593914B1 (ko) * 2017-09-29 2023-10-26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
KR20200070117A (ko) * 2018-12-07 2020-06-1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방현성 코팅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방현성 코팅 필름
US20220229208A1 (en) 2019-06-07 2022-07-21 Dai Nippon Printing Co., Ltd. Anti-glare film; anti-glare article, touchscreen,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and method for selecting anti-glare film
TW202204136A (zh) * 2020-05-15 2022-02-01 日商大日本印刷股份有限公司 防眩膜及影像顯示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8204A1 (ja) * 2005-02-21 2006-08-24 Dai Nippon Printing Co., Ltd. 防眩性光学積層体
JP2008216770A (ja) 2007-03-06 2008-09-18 Bridgestone Corp 光学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並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757A (ja) * 1992-09-30 1994-04-19 Tokyo Electric Co Ltd サーマルヘッド
JP3515426B2 (ja) * 1999-05-28 2004-04-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391758A3 (en) * 2002-08-09 2004-06-16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element containing nanocomposite particles
TW557363B (en) * 2002-10-15 2003-10-11 Optimax Tech Corp Anti-glare film
JP3998697B2 (ja) * 2004-01-29 2007-10-31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防眩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0606449A (en) * 2004-07-01 2006-02-16 Fuji Photo Film Co Ltd Optical cellulose acylat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4746863B2 (ja) * 2004-11-11 2011-08-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層形成用材料及び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TW200702179A (en) 2005-03-30 2007-01-16 Dainippon Printing Co Ltd Glare-proofing optical laminate
JP2007156132A (ja) * 2005-12-06 2007-06-21 Sumitomo Chemical Co Ltd 防眩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CN100523875C (zh) * 2006-03-28 2009-08-05 日东电工株式会社 防眩性硬涂薄膜、防眩性硬涂薄膜的制造方法、光学元件、偏振片及图像显示装置
JP5008059B2 (ja) * 2006-04-26 2012-08-22 日東電工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7322779A (ja) * 2006-06-01 2007-12-13 Nitto Denko Corp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CN101341427B (zh) * 2006-08-14 2012-08-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性光学叠层体
JP4155337B1 (ja) * 2007-02-21 2008-09-24 ソニー株式会社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JP5194486B2 (ja) * 2007-02-28 2013-05-08 住友化学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8216539A (ja) * 2007-03-02 2008-09-18 Toppan Printing Co Ltd 防眩フィルム
JP2008304638A (ja) 2007-06-06 2008-12-18 Sony Corp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子ならびに表示装置
TWI328690B (en) * 2007-06-08 2010-08-11 Eternal Chemical Co Ltd Optical film containing organic particles having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JP2009037046A (ja) * 2007-08-02 2009-02-19 Nof Corp 液晶ディスプレイ用防眩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備える液晶ディスプレイ
JP2010020267A (ja) * 2008-06-09 2010-01-28 Sony Corp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防眩性フィルム、光学層付偏光子、ならびに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8204A1 (ja) * 2005-02-21 2006-08-24 Dai Nippon Printing Co., Ltd. 防眩性光学積層体
JP2008216770A (ja) 2007-03-06 2008-09-18 Bridgestone Corp 光学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並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113827A1 (ja) 2012-10-11
KR20120032460A (ko) 2012-04-05
TWI414810B (zh) 2013-11-11
US20120141736A1 (en) 2012-06-07
JP4848072B2 (ja) 2011-12-28
CN102439490A (zh) 2012-05-02
WO2010113827A1 (ja) 2010-10-07
CN102439490B (zh) 2016-03-16
TW201040575A (en) 2010-11-16
US8758877B2 (en)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785B1 (ko) 방현 하드코트 필름
JP5653378B2 (ja) 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US8672492B2 (en) Optical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tiglare film, polarizer with optical layer, and display apparatus
JP2010256851A (ja) 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991322B2 (ja) 画像表示装置用防眩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動画像と静止画像との共用に適した画像表示装置の黒彩感及び画像の切れの改善方法
JP7113760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3257359A (ja) 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4115599A (ja) 塗料組成物及び防眩フィルム
JP2013238867A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防眩性フィルム、光学層付偏光子、ならびに表示装置
JP2013195606A (ja) 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3045031A (ja) 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1209717A (ja) 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515748B2 (ja) フィルムを評価する評価方法
JP2013257358A (ja) 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14071395A (ja) 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1059481A (ja) 防眩フィルム
EP3923039A1 (en)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JP2014071396A (ja) 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13195595A (ja) 反射防止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