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868B1 -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 및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보관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 및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보관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868B1
KR101741868B1 KR1020130066769A KR20130066769A KR101741868B1 KR 101741868 B1 KR101741868 B1 KR 101741868B1 KR 1020130066769 A KR1020130066769 A KR 1020130066769A KR 20130066769 A KR20130066769 A KR 20130066769A KR 101741868 B1 KR101741868 B1 KR 101741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lactic acid
film
resin composition
acid res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816A (ko
Inventor
전주완
성재완
박성하
임정섭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30066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868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8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폴리락트산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포화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 및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보관하는 방법{POLYLACTIC RESIN COMPOSITION, FILM INCLUDING POLYLACTIC RESIN AND METHOD FOR STORING POLYLACTIC RESIN}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 및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보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세계적으로 폴리락트산 수지를 비롯한 바이오 플라스틱을 이용한 필름 및 시트에 대한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범용 플리스틱에 비하여 바이오 플라스틱 전용 기능성 첨가제에 대하여는 연구가 미비한 실정으로 기존 범용 플라스틱에 사용되는 첨가제들이 도입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블로킹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을 보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폴리락트산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포화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는 CnH2n +1CONH2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고, 상기 n은 10 내지 25의 정수이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약 3 내지 약 6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약 2,000 내지 약 6,0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약 250,000 내지 약 400,000 일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 약 1 내지 약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불포화지방산 아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 및 상기 불포화지방산 아마이드의 총합 약 1 내지 약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가 도코산아마이드(docosanamide)일 수 있다.
상기 불포화지방산 아마이드가 13-시스-도코센아마이드(13-cis-docosenamide)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은 40℃에서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의 표면으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의 블리딩(bleeding) 현상에 의한 윤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이 불포화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윤활층은 블리딩에 의한 상기 불포화지방산 아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은 필름 성형 직후 마찰계수가 약 0.3 내지 약 0.8 일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은 필름 성형 후 24 시간 후, 마찰계수가 약 0.1 내지 약 0.2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롤 형태로 감아서 권취하여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보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보관하는 방법은 약 20 내지 약 50℃에서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잘 보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은 블로킹 현상이 억제되어, 가공성이 향상되며 친환경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폴리락트산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포화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폴리락트산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된 필름은 가공 후 권취시 필름간 접하는 표면이 서로 달라붙는 필름의 블로킹(blocking) 현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이러한 필름의 블로킹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신규하게 배합된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되어 제조된 필름은 여러 장의 필름을 적층하여도 필름의 블로킹 현상을 억제될 수 있다. 필름의 블로킹 현상은 필름간 미끌어지는 성질(slipping)의 반대 성질로서, 일반적으로 필름을 권취하여 보관시 필름의 표면상태를 불량하게 만들고, 나아가 후가공 자체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필름 가공시 필름의 보관성 및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필름의 우수한 표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폴리락트산 수지에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포화지방산 아마이드를 혼합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는 락타이드 또는 락트산을 중합하여 얻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서, 옥수수, 감자 등에서 추출한 전분을 발효시켜 제조되는 락트산 또는 락타이드를 중합시켜 100% 재생가능한 바이오 플라스틱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옥수수, 감자 등은 얼마든지 재생 가능한 식물 자원이므로, 이들로부터 확보할 수 있는 폴리락트산 수지는 석유 자원 고갈에 의한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폴리락트산 수지는 사용 또는 폐기 과정에서 CO2 등의 환경 유해 물질의 배출량이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석유기반 소재에 비해 월등히 적고, 폐기 시에도 자연 환경 하에서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특성을 가진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제품 요구 물성에 부합하기 위해서 적절히 공지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는 광학이성질체로서 L-폴리락트산, D-폴리락트산, L,D-폴리락트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L-폴리락트산, D-폴리락트산 및 L,D-폴리락트산의 함량에 따라서 결정질 또는 비정질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는 결정질 폴리락트산 (c-폴리락트산) 수지와 비정질 폴리락트산 (a-폴리락트산) 수지로 구분될 수 있고, 용도에 따라서, 결정질 폴리락트산 수지와 비정질 폴리락트산 수지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질 수지를 주로 사용하는 주택용 바닥재의 경우, 비결정질 폴리락트산의 함량을 높게 하고, 비결정성 폴리락트산의 약한 내열성, 가공성, 기계적 물성 등을 보완하기 위해서 결정성 폴리락트산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면, 주택용 보다는 경질 수지를 사용하는 상업용 바닥재의 경우라면 결정질 폴리락트산의 사용량이 주택용 바닥재에 비해 증가할 것 입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약 250,000 내지 약 400,000일 수 있다. 상기 범위내의 분자량을 같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압출 공정에 적용하기에 적합하고, 적절한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약 3 내지 약 6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여 블로킹 현상을 억제하면서도 과량 포함시 문제될 수 있는 공정 중 금속 롤(roll) 표면에 액상, 고상 물질이 새어나오는 석출(Plate-Out)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석출이 발생하게 되면, 가공 후 필름 제품에 얼룩이 생길 수도 있다. 또한, 그에 따라 심한 이행(migration)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완제품 제조를 위한 합판시 합판력이 떨어지거나 표면처리 (UV도료 코팅 등)시 처리제의 박리 같은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약 2,000 내지 약 6,0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상기 범위 미만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게 되면, 이행(migration)이 발생하여 성형품 표면의 얼룩이 생길 수 있으며, 또한 성형품 표면이 지나치게 끈적이게(tacky) 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게 되면, 블로킹 개선 효과를 저감하면서 취성(brittleness)이 나빠질 수 있고, 폴리락트산과 상용성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이 폴리락트산과 상용성이 좋지 않으면 필름과 같은 성형품이 불투명해지고, 구부리거나 연신할 때 백화(백탁)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 약 1 내지 약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이 상기 범위 미만의 함량의 포화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면 블로킹 방지 효과를 떨어뜨리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과량으로 첨가하여도 추가적으로 블로킹 방지 효과가 더욱 개선되지는 않았다.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는 CnH2n +1CONH2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고, 상기 n은 10 내지 25의 정수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는 CnH2n +1CONH2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고, 상기 n은 15, 17, 또는 21이다.
예를 들어,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는 도코산아마이드(docosanamide, behenamide라고도 함)일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불포화지방산 아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이 불포화지방산 아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 대비 포화지방산 아마이드와 불포화지방산 아마이드의 총합이 약 1 내지 약 3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이 상기 범위 미만의 함량의 포화지방산 아마이드 및 불포화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면 블로킹 방지 효과를 떨어뜨리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과량으로 첨가하여도 추가적으로 블로킹 방지 효과가 더욱 개선되지는 않았다.
예를 들어, 상기 불포화지방산 아마이드가 13-시스-도코센아마이드(13-cis-docosenamide, erucamide라고도 함)일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공지된 첨가제를 포함하여 물성을 조절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가교제, 무기충전제, 산화방지제, 내가수분해제, 활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첨가제는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약 3 내지 약 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기충전제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에 의해 제조되는 성형품의 기계적 특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고, 탄산칼슘, 산화칼슘, 마이카, 탈크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압출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공지된 방법에 따른 압출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은 폴리락트산 매트릭스에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과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가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은 일정 온도 이상의 고온에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과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가 필름의 표면으로 스며나오는 블리딩(bleed out)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고온에서 블리딩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과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는 액상으로 블리딩되어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의 표면에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층은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과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여 형성된 층으로서 전술한 폴리락트산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된 필름간 블로킹 현상을 억제하는 윤활층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은 약 40℃에서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의 표면으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의 블리딩(bleeding) 현상에 의한 윤활층을 형성할 수 있다. 폴리락트산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된 필름간 블로킹 현상은 특히 고온에서 더욱 문제가 되기 때문에,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은 고온에서 상기 윤활층이 형성됨으로써 블로킹 현상을 억제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이 상기 불포화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불포화지방산 아마이드 역시 일정 온도 이상의 고온에서 블리딩 현상에 의해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의 표면으로 스며나올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윤활층은 블리딩에 의한 상기 불포화지방산 아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이 필름으로 성형 직후에도 통상적인 폴리락트산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된 필름보다 블로킹 현상을 억제하여 개선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이러한 블로킹 현상의 억제 효과가 더욱 현저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은 필름 성형 직후 마찰계수가 약 0.3 내지 약 0.8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은 필름 성형 후 24 시간 후, 마찰계수가 약 0.1 내지 약 0.2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롤 형태로 감아서 권취하여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보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블로킹 억제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보관하는 방법에 의해 필름의 표면을 우수하게 유지하면서 후가공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바닥재와 같이 건축용 내장재로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1차 캘린더링 공정 후 권취한 다음 2차 합판 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때 블로킹 현상이 개선됨에 따라 권취된 필름을 풀 때 블로킹으로 인한 필름 폭의 수축 현상이나 터짐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은 일정 온도 이상의 고온에서 상기 윤활층을 형성하여 블로킹 억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약 20 내지 약 50℃에서 효과적으로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보관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한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 (KONION PEG-4000F, KPX 그린케미칼 제조, 중량평균 분자량 약 3180~3520) 5 중량부를 혼합한 수지 블렌드를 준비하고, 상기 수지 블렌드에 베헨아미드 (Crodamide BR, Croda社 제조) 3 phr의 농도로 혼합하고, 가교제, 무기충전제, 산화방지제, 내가수분해제 및 활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추가하여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가공하여 펠렛 형태로 제작한 후 캘린더링 공정 (반바리->믹싱->스트레나->워밍->카렌더->쿨링->권취)를 통해 두께 0.15mm, 폭 200cm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 (KONION PEG-4000F, KPX 그린케미칼 제조, 중량평균 분자량 약 3180~3520) 5 중량부를 혼합한 수지 블렌드를 준비하고, 상기 수지 블렌드에 도코산아마이드 (Crodamide BR, Croda社 제조) 1.5 phr 및 13-시스-도코센아마이드 (Finawax-E, Fine Organics社 제조) 1.5phr의 농도로 혼합하고, 가교제, 무기충전제, 산화방지제, 내가수분해제 및 활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추가하여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베헨아미드 포함하지 않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 (KONION PEG-4000F, KPX 그린케미칼 제조, 중량평균 분자량 약 3180~3520) 5 중량부를 혼합한 수지 블렌드를 준비하고, 여기에 가교제, 무기충전제, 산화방지제, 내가수분해제 및 활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추가하여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3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 및 베헨아미드 (Crodamide BR, Croda社 제조) 3 중량부의 농도로 혼합하여 준비하고, 여기에 가교제, 무기충전제, 산화방지제, 내가수분해제 및 활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추가하여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4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 (KONION PEG-4000F, KPX 그린케미칼 제조, 중량평균 분자량 약 3180~3520) 5 중량부를 혼합한 수지 블렌드를 준비하고, 상기 수지 블렌드에 13-시스-도코센아마이드 (Finawax E, Fine Organics 제조) 3 phr로 혼합하여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에서 제작된 각 필름 시편에 대하여 유리 막대에 롤 형태로 필름을 권취해서 60℃ 및 80℃ 오븐에서 1일간 30 Kg 하중을 가한 채로 방치한 후 필름을 풀어보아 블로킹 현상이 발생하는지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한 후 표 1에 기재하였다.
<평가 기준>
○ : 필름이 잘 풀림 (블로킹 현상이 억제 효과 우수)
△ : 필름이 힘들게 풀림 (블로킹 현상이 억제 효과 보통)
× : 필름간 박리 불가 (블로킹 현상이 억제 효과 낮음)
실험예 2
층간 박리강도 규격인 KS M 3802 내에 7.17번 박리 강도 시험에 의거하여 200mm/min 속도로 박리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블로킹테스트
60℃, 24시간
×
블로킹테스트
80℃, 24시간
×
60℃, 24시간 후
박리강도(kgf/5cm)
0.5이하 0.5이하 5 이상
(박리 불가)
1.2 0.5 이하 0.5 이하
80℃, 24시간 후
박리강도(kgf/5cm)
0.5이하 0.5이하 5 이상
(박리 불가)
1.8 1.1 0.8

Claims (17)

  1. 폴리락트산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포화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3 내지 6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는 CnH2n +1CONH2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상기 n은 10 내지 25의 정수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2,000 내지 6,000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250,000 내지 400,000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불포화지방산 아마이드를 더 포함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 및 상기 불포화지방산 아마이드의 총합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가 도코산아마이드(docosanamide)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지방산 아마이드가 13-시스-도코센아마이드(13-cis-docosenamide)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1.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40℃에서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의 표면으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상기 포화지방산 아마이드의 블리딩(bleeding) 현상에 의한 윤활층을 형성한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이 불포화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윤활층은 블리딩에 의한 상기 불포화지방산 아마이드를 더 포함하는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
  14. 제11항에 있어서,
    필름 성형 직후 마찰계수가 0.3 내지 0.8 인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
  15. 제14항에 있어서,
    필름 성형 후 24 시간 후, 마찰계수가 0.1 내지 0.2 인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
  16. 제11항에 따른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롤 형태로 감아서 권취하여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보관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20 내지 50℃에서 상기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보관하는 방법.
KR1020130066769A 2013-06-11 2013-06-11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 및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보관하는 방법 KR101741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769A KR101741868B1 (ko) 2013-06-11 2013-06-11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 및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보관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769A KR101741868B1 (ko) 2013-06-11 2013-06-11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 및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보관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816A KR20140144816A (ko) 2014-12-22
KR101741868B1 true KR101741868B1 (ko) 2017-05-31

Family

ID=5267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769A KR101741868B1 (ko) 2013-06-11 2013-06-11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 및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보관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8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194A (ja) * 1999-02-22 2000-09-05 Daicel Chem Ind Ltd 生分解性積層フィルム及び農業用生分解性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194A (ja) * 1999-02-22 2000-09-05 Daicel Chem Ind Ltd 生分解性積層フィルム及び農業用生分解性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816A (ko) 201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163B1 (ko) 캘린더링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WO2009064052A1 (en) The composition for laminate coating of paper, and the food packaging paper using it
KR101438899B1 (ko)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 조성물
KR101976473B1 (ko) 항균 코팅 조성물
KR100957694B1 (ko)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대전방지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4311064A (ja) 直流電力ケーブル
JP5379704B2 (ja) 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ラップフィルム
KR101741868B1 (ko)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 및 폴리락트산 함유 필름을 보관하는 방법
KR20170068102A (ko) 코로게이트 튜브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성형품
KR20170051586A (ko) 내스크래치 특성이 우수한 데코 시트
KR101320435B1 (ko) 생분해성 필름 조성물
US20120005991A1 (en) Lubricant for thermoplastic polymers
KR101460399B1 (ko) 친환경 가소제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수지 제품
JP2008274224A (ja) 樹脂組成物および射出成形体
JP5208821B2 (ja) ポリ乳酸系二軸延伸フィルム
KR101951009B1 (ko) 식물성 지방산을 함유하는 플라스틱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4818A (ko) 데코타일 표면층 제조용 조성물
TW202116979A (zh) 耐熱安定助劑及耐熱安定劑組成物
KR20190041429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성형품
JP5433197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射出成形体
KR20190125016A (ko) 복합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JPS62169641A (ja) 塩化ビニル系樹脂成形品
JP2003025427A (ja) ポリ乳酸系二軸延伸フィルム
JP4140001B2 (ja) ニ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フイルム
TW201704311A (zh) 塑化劑組成物、樹脂組成物及其製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