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049B1 - 자급식 산소호흡기 - Google Patents

자급식 산소호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049B1
KR101741049B1 KR1020160163645A KR20160163645A KR101741049B1 KR 101741049 B1 KR101741049 B1 KR 101741049B1 KR 1020160163645 A KR1020160163645 A KR 1020160163645A KR 20160163645 A KR20160163645 A KR 20160163645A KR 101741049 B1 KR101741049 B1 KR 101741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space
opening
pressur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160163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62B9/022Breathing demand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구강에 착용되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착용자의 호기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이산화탄소 제거부;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에서 발생된 호기를 전달받아 기밀 상태로 저장하는 산소주머니; 상기 산소주머니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통; 및 상기 산소통에서 상기 산소주머니로 공급되는 산소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부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급식 산소호흡기{SELF-CONTAINED OXYGENATOR}
본 발명은 자급식 산소호흡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화재 등에 의한 비상사태 발생시에 유독가스로부터 질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산소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소호흡기는 유해가스 및 분진이 발생하는 산업현장이나 광산 갱내와 같은 산소결핍현장, 그리고 화재현장 등에서 사용되어 착용자에게 유독성 가스의 흡입을 방지하고 산소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산소호흡기는 통상적으로 압축산소가 충전된 산소탱크와, 산소탱크와 연결되어 착용자의 호흡기에 착용되는 마스크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기존의 산소호흡기는 착용자가 인명구조를 기다리는 동안 산소탱크의 저장된 압축산소가 소진될 우려가 있고, 산소탱크의 부피가 커 이동성 및 휴대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착용자의 호기를 재활용할 수 있는 자급식 산소호흡기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자급식 산소호흡기는 착용자의 호흡만을 통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착용자의 활동량, 예컨대 착용자가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기 위한 이동에 따라 호흡이 가빠지게 되어 산소발생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산소가 저장되는 산소주머니가 외부 충격에 의해 압축될 시에 착용자에게 공급되는 산소량이 급격히 줄어들어 착용자가 안정적으로 그리고 장시간 동안 호흡유지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기존의 자급식 산소호흡기는 착용자의 호흡에만 의존하여 산소를 발생시키고 그 산소를 착용자에게 공급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인명구조를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착용자가 안정적으로 호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8310호의 '자급식 산소호흡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호흡에 따른 산소 발생량이 외부 환경, 예컨대 착용자의 활동량이나 외부 충격에 따른 산소주머니의 수축에 의해 줄어들더라도 줄어든 산소를 대체할 수 있는 산소를 공급하여 화재현장 등에서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거나 구조대를 기다릴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착용자에게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구강에 착용되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착용자의 호기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이산화탄소 제거부;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에서 발생된 호기를 전달받아 기밀 상태로 저장하는 산소주머니; 상기 산소주머니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통; 및 상기 산소통에서 상기 산소주머니로 공급되는 산소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는, 상기 산소통에 마련되어 상기 산소통에서 공급되는 산소의 유량을 제어하는 개폐유닛; 상기 개폐유닛에 의해 상기 산소통에서 공급되는 산소의 압력을 감압하는 감압유닛; 상기 감압유닛에 의해 감압된 산소를 전달받아 이산화탄소 제거부에 감압된 산소를 전달하는 전달관; 상기 전달관과 상기 감압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달관으로 전달되는 산소의 유량을 제어하는 공급유닛; 및 상기 전달관에 마련되되 사용자의 호흡 정도에 따라 상기 전달관에 형성된 산소충진구를 차단 또는 개방시키는 디맨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는, 상기 마우스피스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는 이산화탄소 제거제가 마련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되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착용자의 호기 또는 상기 산소통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상기 산소주머니에 전달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산소통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산소를 상기 감압유닛으로 안내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개폐하우징; 상기 개폐하우징에 형성된 시트홈에 삽입되며, 상기 유입구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공이 형성된 개폐시트; 및 상기 개폐하우징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시트의 중공과 상기 배출구를 차단 또는 개방시키는 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유닛은, 상기 개폐유닛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감압몸체; 및 상기 감압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감압몸체로 유입된 산소를 감압하는 한 쌍의 감압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몸체는, 상기 개폐유닛에 의해 상기 산소통에서 공급되는 산소가 유입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감압밸브 중 어느 하나의 감압밸브가 수용되는 제1감압공간; 상기 제1감압공간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감압공간에 수용된 감압밸브에 의해 1차 감압된 산소가 유입되는 제2유로; 상기 제2유로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감압밸브 중 나머지 하나의 감압밸브가 수용되는 제2감압공간; 및 상기 제2감압공간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감압공간에 수용된 감압밸브에 의해 2차 감압된 산소를 상기 공급유닛으로 안내하는 제3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밸브는, 상기 제1감압공간 또는 상기 제2감압공간에 삽입되는 감압피스톤; 상기 감압피스톤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감압공간 또는 상기 제2감압공간으로 유입된 산소를 상기 제2유로 또는 상기 제3유로로 안내하는 감압유로; 및 상기 감압피스톤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제1감압공간 또는 상기 제2감압공간을 구획하는 내벽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감압피스톤을 탄성 가압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감압유닛과 상기 전달관 사이에 배치되는 공급몸체; 상기 공급몸체에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감압유닛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달관의 내부공간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급유로; 상기 공급유로와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공급몸체에 형성되며, 공급밸브가 수용되는 공급공간; 상기 공급공간의 상부와 일단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달관을 경유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분기유로; 및 상기 분기유로의 일단과 연결된 상기 공급공간의 상부를 상기 공급밸브가 차단하도록 상기 공급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공급유로와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공급몸체에 형성되는 제어공간; 상기 제어공간의 상부에 수용되어 상기 공급유로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상기 제어공간의 하부로 안내하는 제어밸브; 및 상기 제어밸브에 의해 상기 제어공간의 하부로 안내된 산소를 상기 공급공간으로 안내하여 상기 공급밸브에 제공하는 제어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맨드유닛은, 상기 전달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산소충진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 연장된 틸팅바; 상기 틸팅바의 타단에서 상기 틸팅바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타격대; 및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에 마련되며, 착용자의 호흡이 곤란할 경우 착용자의 들숨에 의해 유동되어 상기 타격대를 타격하는 다이어프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개폐하우징의 중공에 삽입되는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시트의 중공을 차단 또는 개방시키는 돌출부재; 및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몸체의 외면과 상기 중공의 내면에는 나사가공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개폐하우징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개폐하우징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시트의 중공을 차단하는 돌출부재; 상기 돌출부재의 상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누름부재; 상기 누름부재를 수용한 채로 상기 개폐하우징의 중공에 고정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부재의 상부를 가압하는 안전핀; 및 상기 돌출부재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누름부재에 형성된 플랜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누름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식 산소호흡기는, 산소주머니가 외부 충격이나 사용자의 가빠진 호흡에 의해 수축될 시에 산소주머니에 보조적으로 산소가 자동으로 신속하게 공급되게 하여 착용자가 안정적인 호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식 산소호흡기는, 착용자가 화재현장에서 산소호흡기를 착용한 최초 시점부터 초기호흡을 할 수 있도록 산소주머니에 착용자의 초기호흡을 용이하게 하는 산소를 일정량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식 산소호흡기는, 착용자가 산소통에 저장된 산소에만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호흡에 의해 발생되는 산소로 호흡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산소호흡기의 전체적인 중량이나 부피를 줄일 수 있어서 착용자가 화재현장에서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식 산소호흡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급식 산소호흡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유닛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시트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유닛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감압유닛의 감압밸브가 작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감압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식 산소호흡기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식 산소호흡기(100)는, 착용자의 구강에 착용되는 마우스피스(200)와, 상기 마우스피스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착용자의 호흡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는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와,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에서 발생된 산소를 전달받아 기밀 상태로 저장하는 산소주머니(400)와,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산소주머니(400)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통(5) 및 상기 산소통(5)에서 상기 산소주머니(400)로 공급되는 산소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200)는 착용자의 입(치아) 둘레를 덮을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를 가지며, 착용자의 이빨에 물리는 이탈방지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상기 이탈방지돌기를 이빨로 물은 상태에서 마우스피스(200)를 입 둘레, 즉, 치아 둘레를 덮고 입술이 밀봉되도록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우스피스(2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코에 착용되어 유해가스가 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마개(6)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코마개(6)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착용자의 코 양측 부위를 탄성가압하여 콧구멍을 차단시키는 집게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착용자의 콧구멍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유해가스의 유입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식 산소호흡기(100)는 두건(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건(1)은 착용자의 얼굴 전체를 감싸는 주머니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두건(1)은 상기 마우스피스(200)를 수용한 채 상기 마우스피스(200)와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의 접합부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얼굴로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조임끈과 같은 조임수단(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두건(1)은 내열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합성섬유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또한, 착용자가 외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300)는, 상기 마우스피스(200)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는 이산화탄소 제거제(미도시)가 마련되는 제1하우징(310) 및 상기 제1하우징(310)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산소발생제에 의해 발생되는 산소 또는 상기 산소통(5)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상기 산소주머니(400)에 전달하는 제2하우징(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3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마우스피스(200)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착용자가 내뱉는 날숨(호기) 또는 들숨(흡기)과 소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제는 착용자의 날숨(호기)과 반응하여 상기 제1하우징(310)의 내부에서 산소를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세하게는, 상기 마우스피스(200)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310)을 통하여 공급되는 착용자의 날숨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제는 날숨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는바, 예컨대, 과산화칼륨, 수산화리튬 등의 물질로 구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310)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330)은 착용자의 호기가 머무를 수 있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며, 그 공간은 상기 산소주머니(400)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제2하우징(330)에는 상기 산소주머니(400)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개구부(331, 도1참조)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331)를 통해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호기 또는 상기 산소통(5)에서 공급되는 산소가 상기 산소주머니(4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산소주머니(400)는 상기 산소발생제에 의해 발생된 산소 또는 상기 산소통(5)에서 공급된 산소를 기밀상태로 포집하는 부재로서, 고무재나 비닐재 트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주머니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산소주머니(400)에 저장된 산소는 착용자의 들숨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330)의 개구부(331)와 상기 제1하우징(310) 및 상기 마우스피스(200)를 순차 경유하여 착용자의 구강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밸브부(500)는, 착용자가 산소호흡기의 초기 사용시 또는 상기 산소주머니(400)가 수축되어 착용자의 호흡이 곤란할 경우, 상기 산소주머니(400)가 팽창되도록 상기 산소주머니(400)에 공급되는 산소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부(500)는, 화재에 의해 착용자가 산소호흡기(100)를 최초 착용할 시에 착용자가 초기호흡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상기 산소주머니(400)에 산소통(5)에 저장된 산소를 공급하여 상기 산소주머니(400)를 미리 팽창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화재현장에서 안정한 장소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착용자의 이동량에 의해 호흡이 가빠지게 되어 상기 산소주머니(400)가 급격히 수축되거나 또는 상기 산소주머니(400)가 외부충격을 받아 수축될 수 있는바,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기 밸브부(500)는 상기 산소주머니(400)가 팽창 가능하도록 상기 산소통(5)에 저장된 산소를 공급하여 착용자에게 안정적인 호흡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밸브부(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통(5)에 마련되어 상기 산소통(5)에서 공급되는 산소의 유량을 제어하는 개폐유닛(510)과, 상기 개폐유닛(510)에 의해 상기 산소통(5)에서 공급되는 산소의 압력을 감압하는 감압유닛(530)과, 상기 감압유닛(530)에 의해 감압된 산소를 전달받아 상기 제2하우징(330)에 감압된 산소를 전달하는 전달관(550)과, 상기 전달관(550)과 상기 감압유닛(5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달관(550)으로 전달되는 산소의 유량을 제어하는 공급유닛(570) 및 상기 전달관(550)에 마련되되 사용자의 호흡 정도에 따라 상기 전달관(550)에 형성된 산소충진구(551)를 차단 또는 개방시키는 디맨드유닛(5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부(500)의 개폐유닛(5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통(5)의 배출구에 마련되어 상기 산소통(5)에 저장된 산소를 단속하는 구성요소로서, 개폐하우징(511)과 개폐시트(512) 및 개폐밸브(513)를 크게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하우징(511)은 상기 산소통(5)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구(511a)와 상기 유입구(511a)로 유입된 산소를 상기 감압유닛(530)으로 안내하는 배출구(51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하우징(511)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511a) 및 상기 배출구(511b)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후술할 상기 개폐밸브(513)가 삽입되는 중공(S1)과 상기 중공(S1)과 연통 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개폐시트(512)가 삽입되는 시트홈(S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개폐하우징(511)은 내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시트(512)는, 전체적으로 밑면이 평평한 원뿔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하우징(511)의 유입구(511a)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시트홈(S2)에 인서트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시트(512)의 외면에는 나사산 형태의 톱니홈(512a)이 다수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시트(512)가 상기 시트홈(S2)에 인서트 삽입되면, 상기 톱니홈(512a)과 상기 시트홈(S2)을 구획하는 개폐하우징(511)의 내면이 맞물려 상기 시트홈(S2)에 개폐시트(512)가 쐐기식으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시트(512)는 상기 시트홈(S2)의 부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알루미늄 재질의 개폐하우징 내면에 톱니홈이 견고하게 삽입되어 박히도록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개폐시트(512)에는 상기 개폐하우징(511)의 유입구(511a)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공(512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511a)를 통해 배출되는 산소통(5)의 산소는 상기 개폐시트(512)의 중공(512b)을 경유하여 상기 배출구(511b)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513)는, 상기 개폐하우징(511)의 중공(S1)에 삽입되는 밸브몸체(513a)와 상기 밸브몸체(513a)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시트(512)의 중공(512b)을 차단 또는 개방시키는 돌출부재(513b) 및 상기 밸브몸체(513)의 상부에 마련되는 노브(51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몸체(513a)는 상기 개폐하우징(511)의 중공(S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바, 상기 밸브몸체(513a)의 외면과 상기 중공(S1)의 내면에는 나사가공부(미도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몸체(513a)가 상기 개폐하우징(511)의 중공(S1)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부재(513b)가 상기 개폐시트(512)의 중공(512b)을 차단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상기 노브(513c)를 회전시키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몸체(513a)가 회전되어 상승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재(513b) 또한 상승되어 상기 개폐시트(512)의 중공(512b)을 개방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산소통(5)에 저장된 산소가 상기 개폐하우징(511)의 유입구(511a)와 상기 개폐시트(512)의 중공(512b) 및 상기 개폐하우징(511)의 배출구(511b)를 순차 경유하여 상기 감압유닛(53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밸브(513)가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되어 상기 개폐시트(512)의 중공(512b)을 차단 또는 개방시키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않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개폐시트(512)의 중공(512b)을 차단 또는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520)는, 도 6 및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하우징(511)의 중공(S1)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시트(512)의 중공(512b)을 차단하는 돌출부재(521)와, 상기 돌출부재(521)의 상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누름부재(522)와, 상기 누름부재(522)를 수용한 채로 상기 개폐하우징(511)의 중공(S1)에 고정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부재(523)와, 상기 고정부재(523)에 형성된 핀홀(523a)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부재(522)의 상부를 가압하는 안전핀(524) 및 상기 돌출부재(521)에 형성된 플랜지(521a)와 상기 누름부재(522)에 형성된 플랜지(522a)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누름부재(522)를 탄성 가압하는 압축스프링(5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52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상기 안전핀(524)을 상기 고정부재(523)의 핀홀(523a)에서 이탈시키면, 상기 누름부재(522)의 플랜지(521a)에 가압을 받아 압축되었던 압축스프링(525)이 인장되면서 상기 누름부재(522)의 플랜지(521a)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누름부재(522)와 고정적으로 연결된 돌출부재(521)가 상기 개폐하우징(511)의 중공(S1) 내에서 상승되면서 상기 개폐시트(512)의 중공(512b)을 개방시키게 되고, 상기 산소통(5)에 저장된 산소가 상기 개폐하우징(511)의 유입구(511a)와 상기 개폐시트(512)의 중공(512b) 및 상기 개폐하우징(511)의 배출구(511b)를 순차 경유하여 상기 감압유닛(53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감압유닛(53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유닛(510)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감압몸체(531) 및 상기 감압몸체(531)에 마련되어 상기 감압몸체(531)로 유입된 산소를 감압하는 한 쌍의 감압밸브(533, 5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압몸체(531)는, 상기 개폐유닛(510)에 의해 상기 산소통(5)에서 공급되는 산소가 유입되는 제1유로(531a)와, 상기 제1유로(531a)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감압밸브(533, 533') 중 어느 하나의 감압밸브(533)가 수용되는 제1감압공간(531b)과, 상기 제1감압공간(531b)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감압공간(531b)에 수용된 감압밸브(533)에 의해 1차 감압된 산소가 유입되는 제2유로(531c)와, 상기 제2유로(531c)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감압밸브(533, 533') 중 나머지 하나의 감압밸브(533')가 수용되는 제2감압공간(531d) 및 상기 제2감압공간(531d)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감압공간(531d)에 수용된 감압밸브(533)에 의해 2차 감압된 산소를 상기 공급유닛(570)으로 안내하는 제3유로(531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압밸브(533, 53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감압공간(531b) 또는 상기 제2감압공간(531d)에 삽입되는 감압피스톤(533a)과, 상기 감압피스톤(533a)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감압공간(531b) 또는 상기 제2감압공간(531d)으로 유입된 산소를 상기 제2유로(531c) 또는 상기 제3유로(531e)로 안내하는 감압유로(533b) 및 상기 감압피스톤(533a)에 형성된 플랜지(5331a)와 상기 제1감압공간(531b) 또는 상기 제2감압공간(531d)을 구획하는 내벽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감압피스톤(533a)을 탄성 가압하는 압축스프링(53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531a)는 상기 개폐하우징(511)에 형성된 배출구(511b)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511b)를 통해 유입되는 산소를 상기 제1감압공간(531b)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1감압공간(531b)으로 유입된 산소는 상기 제1감압공간(531b)에 수용된 감압밸브(533)에 의해 1차 감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감압공간(531b)으로 유입된 산소는 상기 감압피스톤(533a)에 형성되되 상기 감압유로(533b)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산소유입공(5332a)으로 유입되어 상기 감압유로(533b)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감압공간(531b)에서 1차 감압된 산소는 상기 제2유로(531c)를 경유하여 상기 제2감압공간(531d)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감압공간(531d)으로 유입된 산소는 상기 제2감압공간(531d)에 수용된 감압밸브(533')에 의하여 2차 감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감압공간(531d)으로 유입된 산소는 상기 감압밸브(533')의 산소유입공(5332a)으로 유입되어 상기 감압유로(533b)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압밸브(533')의 감압유로(533b)로 유입되어 2차 감압된 산소는 상기 제3유로(531e)를 경유하여 상기 공급유닛(57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감압유닛(530)은 상기 산소통(5)에서 공급되는 산소의 압력을 낮춘 상태에서 상기 산소주머니(400)에 산소가 일정량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산소통(5)에서 공급되는 산소의 압력이 300kg/㎠ 일때 상기 제1감압공간(531b)에 수용된 감압밸브(533)에 의해 1차 감압된 산소는 약30kg/㎠로 감압될 수 있고, 상기 제1감압공간(531b)에서 1차감압된 산소는 상기 제2감압공간(531d)에 수용된 감압밸브(533')에 의해 약4kg/㎠으로 감압되어 상기 공급유닛(570)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산소주머니(400)로 유입되는 산소는 착용자의 폐에 무리가 가지 않는 압력을 가지기 때문에, 착용자가 화재 등과 같은 사고 발생시에 안정적으로 산소를 흡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감압공간(531b)과 상기 제2감압공간(531d)은 상기 감압몸체(531) 상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감압공간(531b)에 수용되는 감압밸브(533)와 상기 제2감압공간(531d)에 수용되는 감압밸브(533')는 서로 뒤집힌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감압밸브(533, 533')의 감압피스톤(533a)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감압공간(531b) 및 상기 제2감압공간(531d) 또한 상기 감압밸브(533, 533')의 감압피스톤(533a)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감압공간(531b)으로 유입된 산소는 상기 감압밸브(533)의 감압유로(533b)를 경유하여 상기 제2유로(531c)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감압피스톤(533b)의 하부를 가압하여 압축스프링(533c)을 압축시킬 수 있다. 그러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압피스톤(533a)의 상부가 상기 제1감압공간(531b) 내에서 상승되면서 상기 제1유로(531a)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차단하여 상기 제1감압공간(531b)으로 유입된 산소를 1차 감압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감압공간(531d)으로 유입된 산소는 상기 감압밸브(533')의 감압유로(533b)를 경유하여 상기 제3유로(531e)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1감압공간(531b)에 수용된 감압피스톤(533)의 배치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감압피스톤(533a)의 하부를 가압하여 압축스프링(533c)을 압축시킬 수 있다. 그러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압밸브(533')의 감압피스톤(533a)의 상부가 제2감압공간(531d) 내에서 하강되면서 상기 제2유로(531c)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차단하여 상기 제2감압공간(531d)으로 유입된 산소를 2차 감압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의 반복으로 산소통(5)에서 감압유닛(530) 측으로 공급되는 산소가 감압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감압밸브(533, 533')를 이용하여 산소통(5)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두 번에 걸쳐 감압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감압밸브(533, 533')를 두 개 이상 마련하여 다수번 감압시킬 수도 있다.
상기 공급유닛(57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압유닛(530)의 감압몸체(531)와 상기 전달관(550) 사이에 배치되는 공급몸체(571)와, 상기 공급몸체(571)에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감압유닛(571)의 제3유로(531e)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달관(550)의 내부공간(550a)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급유로(573)와, 상기 공급유로(573)와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공급몸체(571)에 형성되며, 공급밸브(572)가 수용되는 공급공간(575)과, 상기 공급공간(575)의 상부와 일단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달관(550)을 경유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의 제2하우징(330)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분기유로(577) 및 상기 분기유로(577)의 일단과 연결된 상기 공급공간(575)의 상부를 상기 공급밸브(572)가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5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압유닛(530)의 제3유로(531e)를 통하여 상기 공급유로(573)로 유입된 산소는 상기 공급공간(575)과 상기 공급유로(573)를 경유하여 상기 전달관(550)의 내부공간(550a)에 포집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급공간(575)을 매개로 상기 공급유로(573)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분기유로(577)는 상기 공급유로(573)를 통해 상기 공급공간(575)의 상부로 유입된 산소를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의 제2하우징(330)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기유로(577)을 통하여 상기 제2하우징(330)으로 유입된 산소는 산소주머니(400)로 유입되어 산소주머니(400)를 일정 부피로 팽창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분기유로(577)와 상기 제2하우징(330)을 순차 경유하여 공급된 산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가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에 대응하여 산소호흡기(100)를 최초 착용할 시에 착용자가 자신의 호흡이 아닌 산소통(5)에서 공급된 산소를 이용하여 초기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착용자가, 화재현장의 유해가스에 의해 호흡이 곤란한 상태에서 산소호흡기(100)를 착용할 경우, 상기 분기유로(577)에 의해 상기 산소주머니(400)에 초기 충전된 산소를 흡입하여 안정적인 호흡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580)은 상기 공급유로(573)와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공급몸체(571)에 형성되는 제어공간(581)과, 상기 제어공간(581)의 상부에 수용되어 상기 공급유로(573)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상기 제어공간(581)의 하부로 안내하는 제어밸브(582) 및 상기 제어밸브(582)에 의해 상기 제어공간(581)의 하부로 안내된 산소를 상기 공급공간(575)으로 안내하는 제어유로(5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어수단(580)은,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유로(577)에 의해 상기 산소주머니(400)에 산소가 채워지는 동안, 상기 공급공간(575)에 수용된 공급밸브(572)의 저부를 가압하는 공기를 안내하여 상기 공급밸브(572)의 공급피스톤(572a)을 상승시키는바, 상기 산소주머니(400)에 미리 설정된 부피만큼 산소가 채워지면 상기 공급피스톤(572a)의 상부는 상기 분기유로(577)의 일단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분기유로(577)와 상기 공급공간(575)의 연결부위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수단(580)은 제1니들(58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니들(584)은, 상기 산소주머니(400)에 미리 설정된 부피만큼 산소가 채워지는 시간과 상기 공급피스톤(572a)의 상부가 상기 분기유로(577)와 상기 공급공간(575)의 연결부위를 완전히 차단 시키는 시간이 일치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밸브(582)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니들(584)은, 상기 공급유로(573)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제어밸브(582)의 제1삽입공(582a)에 삽입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공급유로(573)를 통하여 상기 제어밸브(582)로 유동되는 산소를 상기 제어공간(581)의 하부로 안내하는 니들공(584a)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유로(573)를 통하여 공급되는 산소는 상기 제1니들(584)의 니들공(584a)과 상기 제1삽입공(582a)과 상기 제어공간(581)의 하부 및 상기 제어유로(583)를 순차 경우하여 상기 공급공간(575)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피스톤(572a)이 상승되어 상기 공급피스톤(572a)의 상단이 상기 분기유로(577)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공급공간(575)의 상부를 차단하여도 상기 공급유로(573)에서 공급되는 산소는 상기 전달관(550)의 내부공간(550a)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급유로(573)에서 공급되는 산소는 지속적으로 상기 공급피스톤(572a)의 상부를 경유하여 상기 전달관(5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전달관(550)은 상기 공급유닛(570)의 공급몸체(571)에 일단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의 제2하우징(330)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달관(550)에는 상기 내부공간(550a)에 포집된 공기를 일정 유량으로 상기 산소주머니(400)에 공급되게 하는 제2니들(55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니들(552)은 상기 전달관(550)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전달관(550)의 내부공간(550a)과 상기 제2하우징(330)을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로(55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전달관(550)의 유로(553)를 통하여 상기 제2하우징(330)으로 안내되는 산소는 상기 제2니들(552)에 의해 일정 유량으로 상기 산소주머니(4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산소주머니(400)에 일정 유량의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이유는,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착용자의 호기에 적정량의 산소를 혼합하기 위함이다.
상기 디맨드 유닛(590)은 상기 전달관(550)의 내부공간(550a)에 배치되어 상기 산소충진구(551)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591)와, 상기 개폐부재(591)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의 제2하우징(330)으로 돌출되어 수평 연장된 틸팅바(592)와, 상기 틸팅바(592)의 타단에서 상기 틸팅바(592)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타격대(593) 및 상기 제2하우징(330)의 하부에 마련되며, 착용자의 호흡이 곤란할 경우 착용자의 들숨에 의해 유동되어 상기 타격대(593)를 타격하는 다이어프렘(59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맨드 유닛(59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가 화재현장에서 안정한 장소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착용자의 이동량에 의해 호흡이 가빠지게 되어 상기 산소주머니(400)가 급격히 수축되거나 또는 상기 산소주머니(400)가 외부충격을 받아 수축된 상황에서 상기 산소주머니(400)가 팽창 가능하도록 상기 전달관(550)의 내부공간(550a)에 저장된 산소를 상기 제2하우징(330)에 신속히 공급시킬 수 있다.
즉, 산소주머니의 수축상태에서 착용자의 들숨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330)에 음압이 형성되면 상기 제2하우징(330)의 하부에 마련된 상기 다이어프렘(594)가 상승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격대(593)를 타격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타격대(593)와 연결된 틸팅바(592)가 선회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내부공간(550a)에 배치된 개폐부재(591)가 유동되면서 상기 전달관(550)의 산소충진구(55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달관(550)의 내부공간(550a)에 저장된 산소는 상기 산소충진구(551)와 상기 제2하우징(330)의 개구부(331)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산소주머니(400)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산소주머니(400)가 부풀려지게 되어 착용자가 안정적인 호흡을 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틸팅바(59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안정적인 호흡을 유지하고 있을 경우, 즉, 상기 산소주머니(400)가 급격히 외부충격에 의해 급격히 수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다이어프렘(594)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591)가 상기 산소충진구(551)를 차단할 수 있도록 수평 상태로 배치되며, 아울러, 상기 타격대(593)는 상기 틸팅바(592)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중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산소호흡기 200 : 마우스피스
300 : 이산화탄소 제거부 310 : 제1하우징
330 : 제2하우징 331 : 개구부
400 : 산소주머니 500 : 밸브부
510 : 개폐유닛 511 : 개폐하우징
512 : 개폐시트 513 : 개폐밸브
530 : 감압유닛 531 : 감압몸체
533, 533' : 감압밸브 550 : 전달관
570 : 공급유닛 571 : 공급몸체
573 : 공급유로 575 : 공급공간
577 : 분기유로 580 : 제어수단
590 : 디맨드유닛 591 : 개폐부재
592 : 틸팅바 593 : 타격대
594 : 다이어프렘

Claims (11)

  1. 착용자의 구강에 착용되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착용자의 호기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이산화탄소 제거부;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에서 발생된 호기를 전달받아 기밀 상태로 저장하는 산소주머니;
    상기 산소주머니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통; 및
    상기 산소통에서 상기 산소주머니로 공급되는 산소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산소통에 마련되어 상기 산소통에서 공급되는 산소의 유량을 제어하는 개폐유닛; 상기 개폐유닛에 의해 상기 산소통에서 공급되는 산소의 압력을 감압하는 감압유닛; 상기 감압유닛에 의해 감압된 산소를 전달받아 이산화탄소 제거부에 감압된 산소를 전달하는 전달관; 상기 전달관과 상기 감압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달관으로 전달되는 산소의 유량을 제어하는 공급유닛; 및 상기 전달관에 마련되되 사용자의 호흡 정도에 따라 상기 전달관에 형성된 산소충진구를 차단 또는 개방시키는 디맨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식 산소호흡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는,
    상기 마우스피스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는 이산화탄소 제거제가 마련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되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착용자의 호기 또는 상기 산소통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상기 산소주머니에 전달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식 산소호흡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산소통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산소를 상기 감압유닛으로 안내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개폐하우징;
    상기 개폐하우징에 형성된 시트홈에 삽입되며, 상기 유입구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공이 형성된 개폐시트; 및
    상기 개폐하우징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시트의 중공과 상기 배출구를 차단 또는 개방시키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식 산소호흡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유닛은,
    상기 개폐유닛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감압몸체; 및
    상기 감압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감압몸체로 유입된 산소를 감압하는 한 쌍의 감압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식 산소호흡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몸체는,
    상기 개폐유닛에 의해 상기 산소통에서 공급되는 산소가 유입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감압밸브 중 어느 하나의 감압밸브가 수용되는 제1감압공간;
    상기 제1감압공간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감압공간에 수용된 감압밸브에 의해 1차 감압된 산소가 유입되는 제2유로;
    상기 제2유로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감압밸브 중 나머지 하나의 감압밸브가 수용되는 제2감압공간; 및
    상기 제2감압공간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감압공간에 수용된 감압밸브에 의해 2차 감압된 산소를 상기 공급유닛으로 안내하는 제3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식 산소호흡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밸브는,
    상기 제1감압공간 또는 상기 제2감압공간에 삽입되는 감압피스톤;
    상기 감압피스톤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감압공간 또는 상기 제2감압공간으로 유입된 산소를 상기 제2유로 또는 상기 제3유로로 안내하는 감압유로; 및
    상기 감압피스톤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제1감압공간 또는 상기 제2감압공간을 구획하는 내벽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감압피스톤을 탄성 가압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식 산소호흡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감압유닛과 상기 전달관 사이에 배치되는 공급몸체;
    상기 공급몸체에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감압유닛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달관의 내부공간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급유로;
    상기 공급유로와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공급몸체에 형성되며, 공급밸브가 수용되는 공급공간;
    상기 공급공간의 상부와 일단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달관을 경유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분기유로; 및
    상기 분기유로의 일단과 연결된 상기 공급공간의 상부를 상기 공급밸브가 차단하도록 상기 공급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식 산소호흡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공급유로와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공급몸체에 형성되는 제어공간;
    상기 제어공간의 상부에 수용되어 상기 공급유로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상기 제어공간의 하부로 안내하는 제어밸브; 및
    상기 제어밸브에 의해 상기 제어공간의 하부로 안내된 산소를 상기 공급공간으로 안내하여 상기 공급밸브에 제공하는 제어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식 산소호흡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맨드유닛은,
    상기 전달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산소충진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 연장된 틸팅바;
    상기 틸팅바의 타단에서 상기 틸팅바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타격대; 및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에 마련되며, 착용자의 호흡이 곤란할 경우 착용자의 들숨에 의해 유동되어 상기 타격대를 타격하는 다이어프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식 산소호흡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개폐하우징의 중공에 삽입되는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시트의 중공을 차단 또는 개방시키는 돌출부재; 및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몸체의 외면과 상기 중공의 내면에는 나사가공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밸브몸체가 상기 개폐하우징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식 산소호흡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개폐하우징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시트의 중공을 차단하는 돌출부재;
    상기 돌출부재의 상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누름부재;
    상기 누름부재를 수용한 채로 상기 개폐하우징의 중공에 고정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부재의 상부를 가압하는 안전핀; 및
    상기 돌출부재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누름부재에 형성된 플랜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누름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식 산소호흡기.
KR1020160163645A 2016-12-02 2016-12-02 자급식 산소호흡기 KR101741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645A KR101741049B1 (ko) 2016-12-02 2016-12-02 자급식 산소호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645A KR101741049B1 (ko) 2016-12-02 2016-12-02 자급식 산소호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049B1 true KR101741049B1 (ko) 2017-05-29

Family

ID=5905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645A KR101741049B1 (ko) 2016-12-02 2016-12-02 자급식 산소호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0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490A (ko) * 2018-03-13 2019-10-14 주식회사 파로시스템 자급식 호흡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자급식 호흡장치 상태 판단 방법
CN114538383A (zh) * 2022-01-24 2022-05-27 深圳市湾区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分子筛制氧机及高原呼吸生态改善***
KR102553933B1 (ko) 2022-07-21 2023-07-12 이성우 산소호흡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8745A1 (en) 2000-10-31 2003-10-09 Deas Alexander Roger Self-contained underwater re-breathing apparatus
KR101138310B1 (ko) 2011-12-30 2012-04-25 주식회사 산청 자급식 산소호흡기
JP2015536859A (ja) 2012-10-09 2015-12-24 グラディスチャー、アンドレアス 自給式圧縮空気呼吸装置の使用の持続時間を延長するための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8745A1 (en) 2000-10-31 2003-10-09 Deas Alexander Roger Self-contained underwater re-breathing apparatus
KR101138310B1 (ko) 2011-12-30 2012-04-25 주식회사 산청 자급식 산소호흡기
JP2015536859A (ja) 2012-10-09 2015-12-24 グラディスチャー、アンドレアス 自給式圧縮空気呼吸装置の使用の持続時間を延長するための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490A (ko) * 2018-03-13 2019-10-14 주식회사 파로시스템 자급식 호흡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자급식 호흡장치 상태 판단 방법
KR102125879B1 (ko) 2018-03-13 2020-06-23 주식회사 파로시스템 자급식 호흡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자급식 호흡장치 상태 판단 방법
CN114538383A (zh) * 2022-01-24 2022-05-27 深圳市湾区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分子筛制氧机及高原呼吸生态改善***
CN114538383B (zh) * 2022-01-24 2023-08-22 深圳市湾区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分子筛制氧机及高原呼吸生态改善***
KR102553933B1 (ko) 2022-07-21 2023-07-12 이성우 산소호흡기
KR20240014028A (ko) 2022-07-21 2024-01-31 이성우 냉각구조를 구비하는 산소호흡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1018Y1 (ko) 긴급대피용 산소발생장치
KR102014513B1 (ko) 산소순환호흡장치
JP5095634B2 (ja) 呼吸装置
US5628305A (en) Universal ventilation device
KR101741049B1 (ko) 자급식 산소호흡기
KR970010827B1 (ko) 호흡기
US4821712A (en) Breathing apparatus
KR101549684B1 (ko) 다인용 휴대 호흡기
KR101743271B1 (ko) 비상탈출용 호흡기
WO2004110857A3 (en) Underwater breathing devices and methods
US20180169369A1 (en) Oxygen rebreat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1340583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KR20160143421A (ko) 산소 마스크
US5619987A (en) Semi-closed rebreathing apparatus with water removing pump
RU64076U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изолирующий дых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на сжатом кислороде
KR101338497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WO1997024259A1 (fr) Embout destine a un dispositif respiratoire pour la plongee
KR20130064974A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KR20130000488A (ko) 산소 공급식 마스크
KR101351834B1 (ko) 간이호흡장치
KR20050092997A (ko) 비상용 산소공급장치
JPH0620537Y2 (ja) 呼吸装置
EP1871657A1 (en) Sub-tidal volume rebreather and second stage regulator
JPH0734794Y2 (ja) 呼吸器
RU2555608C1 (ru) Дых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