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850B1 - X선 촬영기 및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X선 촬영기 및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850B1
KR101740850B1 KR1020160014502A KR20160014502A KR101740850B1 KR 101740850 B1 KR101740850 B1 KR 101740850B1 KR 1020160014502 A KR1020160014502 A KR 1020160014502A KR 20160014502 A KR20160014502 A KR 20160014502A KR 101740850 B1 KR101740850 B1 KR 101740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ray
time
interf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욱
전진환
황찬우
이창윤
조규정
Original Assignee
(주)제노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노레이 filed Critical (주)제노레이
Priority to KR1020160014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850B1/ko
Priority to PCT/KR2016/008602 priority patent/WO2017135532A1/ko
Priority to US15/228,441 priority patent/US1040581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7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2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control of expo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7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tracking of position of the device or parts of the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는, 노광 기간 동안 대상체로 X선을 조사하는 X선 발생부;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 및 상기 X선 발생부와 상기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X선 발생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하고- 이때 상기 호를 그리는 운동은 제1 시점에 시작하고 제2 시점에 종료됨 -, 상기 X선 검출부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기간의 적어도 일부 기간 동안 상기 곡률반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원이 위치하는 평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가지는 직선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며, 상기 직선운동은 상기 제1 시점과 동일하거나 더 늦은 시점인 제3 시점에 시작하고, 상기 직선운동은 상기 제2 시점보다 동일하거나 더 빠른 시점인 제4 시점에 종료하며,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제1 차이는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4 시점 사이의 제2 차이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X선 촬영기 및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X-RAY IMAGING MACHINE, METHOD FOR GENERATING PANORAMA IMAGE USING THE SAME}
실시 예는 X선 촬영기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는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는 종래부터 치료나 치열 교정시에 치과용 엑스레이 영상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치아 및 치조골의 전체적 구조를 촬영하는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환자의 두부 및 악골 부위의 전방에서 후방, 후방에서 전방, 좌측 및 우측에서 촬영하는 세팔로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및 환자의 구강 내에 엑스레이 빔을 수광하는 작은 센서를 삽입하고, 폭이 좁은 엑스레이 빔을 구강 밖에서 조사하여 촬영하는 방법 등을 활용하였다.
그 중 파노라마 영상 촬영방법은 치아 및 치조골의 전역을 평면적으로 관찰할 수 있고, 환자의 피폭량을 줄일 수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파노라마 영상 촬영장치는 X선 발생기와 X선 검출부를 마주보도록 구성하고 회전시켜, X선 발생기가 환자의 두부를 향해 X선을 조사하고, X선 검출부가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였다.
종래의 파노라마 영상 촬영장치는 곡선형태의 환자의 악궁을 모두 촬영하기위해 환자의 악궁보다 큰 X선 검출부를 이용하여 X선 촬영을 수행하여, X선 촬영시 불필요한 X선 피폭이 발생하고, 크기가 큰 X선 검출부를 이용함으로써 제조 단가가 비싼 문제점이 있다.
실시 예는 X선 피폭량을 줄일 수 있는 X선 촬영기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는, 노광 기간 동안 대상체로 X선을 조사하는 X선 발생부;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 및 상기 X선 발생부와 상기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X선 발생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하고- 이때 상기 호를 그리는 운동은 제1 시점에 시작하고 제2 시점에 종료됨 -, 상기 X선 검출부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기간의 적어도 일부 기간 동안 상기 곡률반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원이 위치하는 평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가지는 직선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며, 상기 직선운동은 상기 제1 시점과 동일하거나 더 늦은 시점인 제3 시점에 시작하고, 상기 직선운동은 상기 제2 시점보다 동일하거나 더 빠른 시점인 제4 시점에 종료하며,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제1 차이는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4 시점 사이의 제2 차이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는, 노광 기간동안 X선을 발생시키는 X선 발생부; 상기 X선을 대상체로 조사하기 위해 상기 X선의 조사범위를 제한하는 광경로 제한부;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이 조사되는 수광영역을 포함하는 X선 검출부; 및 상기 X선 발생부와 상기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X선 발생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하고- 이때 상기 호를 그리는 운동은 제1 시점에 시작하고 제2 시점에 종료됨 -, 상기 수광영역은 상기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간의 적어도 일부 기간 동안 상기 곡률반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원이 위치하는 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직선방향으로 직선이동되며, 상기 직선이동은 상기 제1 시점과 동일하거나 더 늦은 시점인 제3 시점에 시작하고, 상기 직선이동은 상기 제2 시점보다 동일하거나 더 빠른 시점인 제4 시점에 종료하며,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제1 차이는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4 시점 사이의 제2 차이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는, 노광 기간 동안 대상체로 X선을 조사하는 X선 발생부;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 및 상기 X선 발생부와 상기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X선 발생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하고- 이때 상기 호를 그리는 운동은 제1 시점에 시작하고 제2 시점에 종료됨 -, 제1 모드와 제2 모드 중 제1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X선 검출부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기간의 적어도 일부 기간 동안 상기 곡률반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원이 위치하는 평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가지는 직선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며, 상기 제1 모드와 제2 모드 중 제2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X선 발생부와 X선 검출부는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는 운동만 수행하며, 상기 직선운동은 상기 제1 시점과 동일하거나 더 늦은 시점인 제3 시점에 시작하고, 상기 직선운동은 상기 제2 시점보다 동일하거나 더 빠른 시점인 제4 시점에 종료하며,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제1 차이는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4 시점 사이의 제2 차이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은, X선 발생부가 노광기간동안 X선을 발생시키는 단계; 광경로 제한부가 상기 X선을 대상체로 조사하기 위해 상기 X선의 조사범위를 제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이 조사되는 수광영역을 포함하는 X선 검출부가 다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X선 발생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하고- 이때 상기 호를 그리는 운동은 제1 시점에 시작하고 제2 시점에 종료됨 -, 상기 수광영역은 상기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간의 적어도 일부 기간 동안 상기 곡률반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원이 위치하는 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직선방향으로 직선이동되며, 상기 직선이동은 상기 제1 시점과 동일하거나 더 늦은 시점인 제3 시점에 시작하고, 상기 직선이동은 상기 제2 시점보다 동일하거나 더 빠른 시점인 제4 시점에 종료하며,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제1 차이는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4 시점 사이의 제2 차이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는 대상체로 노출되는 X선의 조사범위를 줄여 X선 피폭량을 줄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은 상대적으로 작은 X선 검출기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X선 촬영기 및 상기 X선 촬영기와 연동되는 전자기기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X선 발생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X선발생부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검출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발생부와 X선 검출부의 회전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검출부의 직선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검출부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다수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에 의해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B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를 이용하여 생성된 실제 파노라마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X선 검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광영역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는, 노광 기간 동안 대상체로 X선을 조사하는 X선 발생부;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 및 상기 X선 발생부와 상기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X선 발생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하고- 이때 상기 호를 그리는 운동은 제1 시점에 시작하고 제2 시점에 종료됨 -, 상기 X선 검출부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기간의 적어도 일부 기간 동안 상기 곡률반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원이 위치하는 평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가지는 직선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며, 상기 직선운동은 상기 제1 시점과 동일하거나 더 늦은 시점인 제3 시점에 시작하고, 상기 직선운동은 상기 제2 시점보다 동일하거나 더 빠른 시점인 제4 시점에 종료하며,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제1 차이는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4 시점 사이의 제2 차이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광 기간은 상기 제1 시점 보다 먼저 시작하고, 상기 제2 시점보다 나중에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노광 기간은 상기 제1 시점보다 나중에 시작하고, 상기 제2 시점보다 먼저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노광 기간은 상기 제1 시점보다 먼저 시작하고, 상기 제2 시점보다 먼저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노광 기간은 상기 제1 시점보다 나중에 시작하고, 상기 제2 시점보다 나중에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노광기간은 상기 제1 차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가 그리는 호는 미리 정의되는 경로일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는 컴퓨터 단층 촬영(CT, computed tomography)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의 직선운동은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의 왕복운동일 수 있다.
상기 제1 지점에 위치하는 X선 검출부는 상기 제3 시점에서 제1 직선운동을 시작하여, 제5 시점에 상기 제2 지점에 도달하고, 상기 제2 지점에 위치하는 X선 검출부는 제6 시점에서 제2 직선운동을 시작하여, 상기 제4 시점에 상기 제1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제5시점과 상기 제6 시점은 동일한 시점일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는 상기 제5 시점과 상기 제6 시점 사이에서 제2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5 시점과 상기 제6 시점 사이에서 상기 X선 검출부는 상기 대상체의 최하단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는 상기 X선 검출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X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는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4 시점 사이에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와 상기 대상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X선 발생부로부터의 X선의 조사범위를 제한하여 상기 대상체의 특정영역으로 X선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광경로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로 제한부는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4 시점 사이에서 직선방향으로 수광영역이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가 위치하는 검출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 하우징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X선 검출부가 직선운동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 하우징을 직선운동시키는 직선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와 상기 X선 검출부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는 상기 X선 발생부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의 이동에 대응되도록 X선의 방사영역을 제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는, 노광 기간동안 X선을 발생시키는 X선 발생부; 상기 X선을 대상체로 조사하기 위해 상기 X선의 조사범위를 제한하는 광경로 제한부;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이 조사되는 수광영역을 포함하는 X선 검출부; 및 상기 X선 발생부와 상기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X선 발생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하고- 이때 상기 호를 그리는 운동은 제1 시점에 시작하고 제2 시점에 종료됨 -, 상기 수광영역은 상기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간의 적어도 일부 기간 동안 상기 곡률반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원이 위치하는 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직선방향으로 직선이동되며, 상기 직선이동은 상기 제1 시점과 동일하거나 더 늦은 시점인 제3 시점에 시작하고, 상기 직선이동은 상기 제2 시점보다 동일하거나 더 빠른 시점인 제4 시점에 종료하며,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제1 차이는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4 시점 사이의 제2 차이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광영역의 면적은 상기 X선 검출부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는 서로 마주보는 제1 경계면과 제2 경계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시점과 제3 시점 사이에서 상기 제1 경계면과 인접하는 수광영역의 제1 측과 상기 제1 경계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경계면과 인접하는 수광영역의 제2 측과 상기 제2 경계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는 서로 마주보는 제1 경계면과 제2 경계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시점과 제4 시점 사이의 일부 기간 동안 상기 제1 경계면과 인접하는 수광영역의 제1 측과 상기 제1 경계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경계면과 인접하는 수광영역의 제2 측과 상기 제2 경계면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의 직선운동은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의 왕복운동일 수 있다.
상기 제1 지점에 위치하는 수광영역은 상기 제3 시점에서 제1 직선운동을 시작하여, 제5 시점에 상기 제2 지점에 도달하고, 상기 제2 지점에 위치하는 수광영역은 제6 시점에서 제2 직선운동을 시작하여, 상기 제4 시점에 상기 제1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는 서로 마주보는 제1 경계면과 제2 경계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5 시점 사이에서 상기 제1 경계면과 인접하는 수광영역의 제1 측과 상기 제1 경계면 사이의 거리는 증가하고, 상기 제2 경계면과 인접하는 수광영역의 제2 측과 상기 제2 경계면 사이의 거리는 감소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는 서로 마주보는 제1 경계면과 제2 경계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6 시점과 상기 제4 시점 사이에서 상기 제1 경계면과 인접하는 수광영역의 제1 측과 상기 제1 경계면 사이의 거리는 감소하고, 상기 제2 경계면과 인접하는 수광영역의 제2 측과 상기 제2 경계면 사이의 거리는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노광기간 중 특정 시점에서의 수광영역은 이전 노광기간에서의 상기 특정 시점에서의 수광영역과 상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는, 노광 기간 동안 대상체로 X선을 조사하는 X선 발생부;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 및 상기 X선 발생부와 상기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X선 발생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하고- 이때 상기 호를 그리는 운동은 제1 시점에 시작하고 제2 시점에 종료됨 -, 제1 모드와 제2 모드 중 제1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X선 검출부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기간의 적어도 일부 기간 동안 상기 곡률반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원이 위치하는 평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가지는 직선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며, 상기 제1 모드와 제2 모드 중 제2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X선 발생부와 X선 검출부는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는 운동만 수행하며, 상기 직선운동은 상기 제1 시점과 동일하거나 더 늦은 시점인 제3 시점에 시작하고, 상기 직선운동은 상기 제2 시점보다 동일하거나 더 빠른 시점인 제4 시점에 종료하며,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제1 차이는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4 시점 사이의 제2 차이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은, X선 발생부가 노광기간동안 X선을 발생시키는 단계; 광경로 제한부가 상기 X선을 대상체로 조사하기 위해 상기 X선의 조사범위를 제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이 조사되는 수광영역을 포함하는 X선 검출부가 다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X선 발생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하고- 이때 상기 호를 그리는 운동은 제1 시점에 시작하고 제2 시점에 종료됨 -, 상기 수광영역은 상기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간의 적어도 일부 기간 동안 상기 곡률반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원이 위치하는 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직선방향으로 직선이동되며, 상기 직선이동은 상기 제1 시점과 동일하거나 더 늦은 시점인 제3 시점에 시작하고, 상기 직선이동은 상기 제2 시점보다 동일하거나 더 빠른 시점인 제4 시점에 종료하며,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제1 차이는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4 시점 사이의 제2 차이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이 저장된 저장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는, 노광 기간 동안 대상체로 X선을 조사하는 X선 발생부; 및 상기 노광 기간 중의 제1 시점에서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제1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노광 기간 중의 제2 시점에서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제2 프레임을 생성하는 X선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레임과 인접하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적어도 최외곽 화소열은 제1 화소 그룹과 상기 제1 화소 그룹과 인접하는 제2 화소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화소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화소와 대응되는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화소 그룹과 대응되는 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제2 화소 그룹은 상기 제1 화소 그룹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화소 그룹은 상기 제1 화소 그룹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제2 화소 그룹의 화소와 대응되는 제2 프레임의 화소는 동일한 화소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의 제2 화소 그룹과 상기 제2 화소 그룹과 대응되는 상기 제2 프레임의 다수의 화소로 정의되는 중첩영역은 상기 대상체의 동일한 영역을 투과한 X선이 검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와 상기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중첩영역을 가지도록 상기 X선 발생부와 상기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는 컴퓨터 단층 촬영(CT, computed tomography)에 이용될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하고, 상기 X선 검출부는 상기 X선 발생부가 호를 그리는 운동을 하는 기간 중 적어도 일부 기간 동안 상기 곡률반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원이 위치하는 평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가지는 직선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가 위치하는 검출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X선 발생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하고, 상기 검출부 하우징은 상기 X선 발생부가 호를 그리는 운동을 하는 기간 중 적어도 일부 기간 동안 상기 곡률반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원이 위치하는 평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가지는 직선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는 상기 X선 검출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X선을 조사할 수있다.
상기 X선 발생부와 상기 대상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X선 발생부로부터의 조사범위를 제한하여 상기 대상체의 특정영역으로 X선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광경로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하고, 상기 광경로 제한부는 상기 X선 발생부가 호를 그리는 운동을 하는 기간 중적어도 일부기간 동안 상기 곡률반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원이 위치하는 평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가지는 직선방향으로 수광영역이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는, 노광 기간 동안 대상체로 X선을 조사하는 X선 발생부; 및 상기 노광 기간 중의 제1 시점에서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제1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노광 기간 중의 제2 시점에서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제2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노광 기간 중의 제3 시점에서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제3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노광 기간 중의 제4 시점에서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제4 프레임을 생성하는 X선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제3 프레임 및 제4 프레임은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레임과 인접하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적어도 최외곽 화소열은 제1 화소 그룹과 상기 제1 화소 그룹과 인접하는 제2 화소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화소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화소와 대응되는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화소 그룹과 대응되는 화소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4 프레임과 인접하는 상기 제3 프레임의 적어도 최외곽 화소열은 상기 제4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화소열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는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점에 위치하는 X선 검출부는 제5 시점에서 제1 직선운동을 시작하여, 제6 시점에 상기 제2 지점에 도달하고, 상기 제2 지점에 위치하는 X선 검출부는 제7 시점에 직선운동을 시작하여 제8 시점에 상기 제1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4 시점은 상기 제5 시점 이전의 시점 또는 상기 제8 시점 이후의 시점일 수 있다.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4 시점은 상기 제6 시점과 제7 시점 사이의 시점일 수 있다.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제5 시점과 제6 시점 사이의 시점 또는 상기 제7 시점과 제8 시점 사이의 시점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의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은, 노광 기간 동안 대상체로 X선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노광 기간 중의 제1 시점에서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제1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노광 기간 중의 제2 시점에서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제2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수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레임과 인접하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적어도 최외곽 화소열은 제1 화소 그룹과 상기 제1 화소 그룹과 인접하는 제2 화소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화소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화소와 대응되는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화소 그룹과 대응되는 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이 저장된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는, 노광 기간동안 대상체로 X선을 조사하는 X선 발생부;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상기 노광 기간의 적어도 일부 기간동안 다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X선 검출부; 및 파노라마 영상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X선 검출부로부터 전달받은 다수의 프레임을 중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노라마 영상은 기준선을 따라 다수의 프레임이 중첩되어 배치됨으로써 구성되며, 상기 기준선은 제1 기준선 영역과 제2 기준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선 영역은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에서 생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프레임을 중첩시키기 위한 기준이 되고, 상기 제2 기준선 영역은 제3 시점과 제4 시점 사이에서 생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프레임을 중첩시키기 위한 기준이 되며, 상기 제1 기준선 영역과 제2 기준선 영역은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하단 경계선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진다.
상기 제1 기준선 영역과 상기 제2 기준선 영역은 연속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선 영역과 상기 제2 기준선 영역은 공간적으로 이격된 영역일수 있다.
상기 기준선은 가상의 기준선일 수 있다.
각각의 프레임의 중심점이 상기 기준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파노라마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중심점은 상기 프레임의 무게중심일 수 있다.
상기 기준선은 미리 정의된 선일 수 있다.
상기 기준선은 상기 대상체의 관심영역을 지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시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1 기준선 영역과 제2 기준선 영역 사이의 일부 영역의 기준선이 상기 하단 경계선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시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하단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기준선 영역과 제2 기준선 영역의 각도의 절대 값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기준선은 상기 파노라마 영상의 중앙영역을 기준으로 하는 좌측 기준선 영역과 우측 기준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영역은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하단 경계선과 평행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좌측 기준선 영역은, 상기 중앙영역과 인접하는 제1 영역, 상기 중앙영역과 이격된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중앙영역과 가까워질수록 기준선의 각도의 절대값이 작아지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중앙영역과 가까워질수록 기준선의 각도의 절대값이 커질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중앙영역과 동일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좌측 기준선 영역과 상기 우측 기준선 영역은 상기 중앙영역을 기준으로 대칭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는 노광 기간동안 대상체로 X선을 조사하는 X선 발생부;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상기 노광 기간의 적어도 일부 기간동안 다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X선 검출부; 및 상기 X선 검출부로부터 전달받은 다수의 프레임을 중첩시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노라마 영상은 기준선을 따라 다수의 프레임이 중첩되어 배치됨으로써 구성되며, 상기 기준선은 제1 기준선과 제2 기준선을 포함하는 다수의 기준선을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기준선은 제1 시점의 제1 프레임과 제2 시점의 제2 프레임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이며, 상기 제2 기준선은 제3 시점의 제3 프레임과 제4 시점의 제4 프레임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이며, 상기 제1 기준선과 제2 기준선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인접하는 프레임이고, 상기 제3 프레임과 제4 프레임은 인접하는 프레임이다.
상기 기준선은 상기 대상체의 형태에 따라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기준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 경계선을 기준으로 수직할수 있다.
상기 파노라마 영상을 포함하는 출력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영상의 폭은 상기 프레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출력영상은 프레임이 배치되지 않는 더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 영역에는 동일한 계조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출력영상은 제1 경계선 및 제1 경계선과 마주보는 제2 경계선을 포함하고, 제5 시점의 제5 프레임은 제1 경계선과 만나고, 제2 경계선과 만나지 않을 수 있다.
제6 시점의 제6 프레임은 상기 제2 경계선과 만나고, 상기 제1 경계선과 만나지 않을 수 있다.
제5 시점과 제6 시점 사이의 제7 시점의 제7 프레임은 상기 제1 경계선 및 제2 경계선과 만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은, 노광 기간 동안 대상체로 X선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상기 노광 기간의 적어도 일부기간 동안 다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프레임을 중첩시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노라마 영상은 기준선을 따라 다수의 프레임이 중첩되어 배치됨으로써 구성되며, 상기 기준선은 제1 기준선과 제2 기준선을 포함하는 다수의 기준선을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기준선은 제1 시점의 제1 프레임과 제2 시점의 제2 프레임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이며, 상기 제2 기준선은 제3 시점의 제3 프레임과 제4 시점의 제4 프레임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이며, 상기 제1 기준선과 제2 기준선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진다.
상기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이 저장된 저장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은,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생성된 다수의 프레임을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프레임을 중첩시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노라마 영상은 기준선을 따라 다수의 프레임이 중첩되어 배치됨으로써 구성되며, 상기 기준선은 제1 기준선과 제2 기준선을 포함하는 다수의 기준선을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기준선은 제1 시점의 제1 프레임과 제2 시점의 제2 프레임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이며, 상기 제2 기준선은 제3 시점의 제3 프레임과 제4 시점의 제4 프레임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이며, 상기 제1 기준선과 제2 기준선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진다.
상기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이 저장된 저장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X선 촬영기 및 상기 X선 촬영기와 연동되는 전자기기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X선 촬영기(1000) 및 전자기기(2000)를 포함한다.
상기 X선 촬영기(1000)는 대상체를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전자기기(2000)로 전송한다. 상기 전자기기(2000)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다수의 프레임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는 다수의 프레임이 중첩되어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일 수도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가 다수의 프레임인 경우 상기 전자기기(2000)는 전달받은 다수의 프레임을 중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가 파노라마 영상인 경우 상기 전자기기(2000)는 전달받은 파노라마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X선 촬영기(1000)는 컨트롤러(1100), 이동부(1200), X선 발생부(1300) 및 X선 검출부(1400)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1100)는 상기 이동부(1200), X선 발생부(1300) 및 X선 검출부(1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이동부(1200)는 상기 X선 발생부(1300)와 X선 검출부(14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는 대상체로 X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다수의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100)는 상기 X선 검출부(1400)로부터 전달받은 다수의 프레임을 상기 전자기기(2000)로 전달할 수도 있고, 상기 다수의 프레임을 중첩시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전자기기(20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기기(2000)는 프로세서(2100), 입력부(2200) 및 표시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00)는 입력부(2200) 및 표시부(23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00)는 상기 X선 촬영기(10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2100)는 상기 X선 촬영기(1000)의 컨트롤러(1100)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X선 촬영기(10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20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부(2200)는 터치스크린, 키보드 등 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230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파노라마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200)가 터치스크린인 경우 상기 표시부(2300)와 입력부(2200)는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2200)는 상기 표시부(23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X선 촬영기>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련된 X선 촬영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1000)는 컨트롤러(1100), 이동부(1200), X선 발생부(1300), X선 검출부(1400) 및 바디부(10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10)는 상기 X선 촬영기(1000)의 틀을 제공하고, 대상체인 환자의 치아 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환자의 평균 신장보다 큰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100)는 상기 바디부(10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트롤러(1100)는 상기 바디부(1010)의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바디부(1010)는 하부바디(1020) 및 상부바디(10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바디(1020)는 상기 상부바디(103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바디(1020)와 상부바디(10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1030)는 상기 하부바디(1020)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1030)는 절곡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1030)는 수직부(1031)와 수평부(10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1031)는 상기 하부바디(10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평부(1033)는 상기 수직부(1031)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직부(1031)와 수평부(103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200)는 상기 수평부(103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200)는 상기 수평부(1033)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200)는 상기 수평부(1033)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200)는 상기 컨트롤러(1100)의 제어에 의해 회전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200)에 의해 상기 X선 발생부(1300) 및 상기 X선 검출부(1400)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X선 발생부(1300) 및 상기 X선 검출부(1400)가 축(120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축(1201)은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의 직선일 수 있다. 상기 축(1201)은 z방향의 직선일 수 있다. 상기 축(1201)에 대상체의 중심점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축(1201)은 환자의 두부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201)는 제1 암(1210) 및 제2 암(1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암(1210) 및 제2 암(1220)은 상기 수평부(1033)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암(1210) 및 제2 암(1220)은 일정한 사이각(included angle)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암(1210) 및 제2 암(1220) 사이의 사이각은 180도 일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기(1300)와 상기 X선 검출기(1400)를 촬영에 필요한 공간적 관계를 가지도록 위치시킬 수 있으면, 상기 제1 암(1210) 및 제2 암(1220)의 사이각은 180도를 이루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제1 암(1210) 및 제2 암(1220)은 서로 결합되어 회전할 수도 있고,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암(1210)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 암(1220)이 동시에 회전할 수 있으며, 동일한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제1 암(1210)이 회전한 각도가 상기 제2 암(1220)이 회전한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암(1210)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 암(1220)은 회전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반대로 상기 제1 암(1210)이 회전하지 않는 동안 상기 제2 암(1220)만 회전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암(1210) 및 제2 암(1220)은 상기 축(120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암(1210) 및 제2 암(1220)의 회전축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동일한 회전축은 상기 축(1201)일 수 있다.
상기 제1 암(1210)은 상기 X선 발생부(13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암(1210)의 이동에 의해 상기 X선 발생부(1300)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암(1210)이 상기 축(1201)을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X선 발생부(1300) 또한 상기 축(1201)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2 암(1220)은 상기 X선 검출부(14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암(12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X선 검출부(1400)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암(1220)이 상기 축(1201)을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X선 검출부(1400) 또한 상기 축(1201)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1 암(1210) 및 제2 암(1220)이 180도의 사이각을 가짐으로써 상기 X선 발생부(1300)와 상기 X선 검출부(1400) 또한 상기 축(1201)을 기준으로 180도의 사이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와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180도의 사이각을 가진채로 상기 축(120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와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서로 마주보며 회전할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는 호를 그리며 회전할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의 호를 그리는 이동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X선 발생부 >
이어서, X선 발생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X선 발생부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X선발생부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발생부(1300)는 발생부 하우징(1310) 및 X선 방출부(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X선 방출부(1320)는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은 내부가 빈 사각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형상은 사각 박스 형상으로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X선 방출부(1320)는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내부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X선 방출부(1320)는 X선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X선 방출부(1320)는 일방향으로 X선을 방출할 수도 있고, 전방향으로 X선을 방출할 수도 있다. 상기 X선 방출부(1320)는 X선 방출부(1320)의 전면을 통해 X선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X선 방출부(1320)가 육면체 형상인 경우 상기 X선 방출부(1320)는 상기 육면체의 법선방향으로 X선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X선 방출부(1320)는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일면을 향해 상기 X선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일면에는 광경로 제한부(133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일면은 상기 X선 방출부(1320)와 상기 X선 검출부(1400)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는 일면일 수 있다.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는 상기 X선 방출부(1320)로부터 방출된 X선의 경로를 제한하여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는 특정영역으로만 X선이 출력되도록 상기 X선의 방출경로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는 상기 X선 방출부(1320)로부터 방출되는 넓은 면적의 X선을 좁은 면적의 X선으로 제한하여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X선 방출부(1320)는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가 위치하는 발생부 하우징(1310)의 일면을 향해 X선을 방출할 수 있고,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는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일면을 향해 조사되는 X선의 경로를 제한하여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X선 방출부(1320)는 전방향으로 X선을 방출할 수 있고,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는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내부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로 도달한 X선을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는 X선 방출구(13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X선 방출구(1331)는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상기 X선 방출구(1331) 이외의 영역은 상기 X선을 상기 X선 발생부(1300)외부로 투과시키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X선 방출구(1331)는 상기 X선 방출부(1320)로부터 방출되는 X선이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외부로 전달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X선 방출구(1331)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X선 방출구(1331)의 형상은 도면에서 사각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는 상기 X선 방출구(1331)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는 상기 X선 방출구(1331)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외부로 전달되는 X선의 방출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는 상기 X선 방출구(1331)의 위치를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는 상기 X선 방출구(1331)를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일면 상에서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가 상기 X선 방출구(1331)의 위치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X선 발생부(1300)에서 출력되는 X선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가 상기 X선 방출구(1331)의 위치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X선 발생부(1300)에서 출력되는 X선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는 상기 X선 방출구(1331)의 각도를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X선 방출구(1331)에서 상기 X선 방출부(1320)과 인접하는 영역은 고정시킨 채로, 상기 X선 검출부(1400)와 인접하는 영역을 이동시켜, 상기 X선 방출구(133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X선 방출구(1331)가 XY평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틸트되는 경우 상기 X선 발생부(1300)는 비교적 상측으로 X선을 출력하고, 상기 X선 방출구(1331)가 XY 평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틸트되는 경우 상기 X선 발생부(1300)는 비교적 하측으로 X선을 출력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가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일면을 구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는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일면에 설치되는 형태로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가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일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위치하는 경우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가 위치하는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의 일면에는 상기 X선 방출구(1331) 보다 큰 크기의 방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X선 방출구(1331)는 상기 방출구의 영역 내에서 이동되어 X선의 출력경로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는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를 통해 Z축방향으로 X선의 출력경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는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X선의 출력경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는 일정한 경로로 X선을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X선 발생부(1300)의 전체가 이동하여 X선의 출력경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 만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방식 대신 상기 X선 발생부(1300)의 전체가 이동하여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X선의 출력경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이 이동하며 상기 X선의 출력경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별도로 상기 발생부 하우징(1310)을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X선 검출부 >
이어서, X선 검출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검출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검출부(1400)는 검출부 하우징(1410)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상기 검출부 하우징(14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상기 검출부 하우징(1410)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 하우징(1410)은 센서 이동영역(1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이동영역(1420)은 상기 검출부 하우징(141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이동영역(1420)은 상기 검출부 하우징(1410)의 일면의 일부영역을 개구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센서 이동영역(1420)은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이동영역(1420)은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이동영역(1420)은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1 경계면(1401)과 제2 경계면(1402)이 마주보고, 제3 경계면(1403)과 제4 경계면(1404)이 마주보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계면(1401)은 제2 경계면(1402)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3 경계면(1403)은 상기 제4 경계면(1404)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경계면(1401)은 상기 제3 경계면(1403)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정사각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컴퓨터 단층 촬영(CT, computed tomography)에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 이동영역(1420)은 상기 제3 경계면(1403)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이동영역(1420)은 상기 제3 경계면(1403)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상기 X선 검출부(140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상기 센서 이동영역(1420) 내에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X선 검출부는(1400)는 상기 센서 이동영역(1420)의 개구 영역 내에서 상기 제3 경계면(1403)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상기 제2 경계면(1402)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1 직선운동이라 정의할 수 있고,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제1 경계면(1401)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2 직선운동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상기 컨트롤러(1100)의 제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1 직선운동과 제2 직선운동을 포함하는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최초 제1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직선운동을 통해 제2 지점에 도달한 후, 상기 제2 직선운동을 통해 상기 제1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제1 경계면(1401)과 인접하는 상기 센서 이동영역(1420)의 경계부와 가까운 지점일 수 있고,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2 경계면(1402)과 인접하는 상기 센서 이동영역(1420)의 경계부와 가까운 지점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제1 경계면(1401)을 한 변으로 하는 센서 이동영역(1420)의 개구영역이 커지고, 동시에 상기 제2 경계면(1402)을 한 변으로 하는 센서 이동영역(1420)의 개구영역이 작아진다. 또한, 상기 제2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제1 경계면(1401)을 한 변으로 하는 센서 이동영역(1420)의 개구영역이 작아지고, 동시에 상기 제2 경계면(1402)을 한 변으로 하는 센서 이동영역(1420)의 개구영역이 커진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상기 센서 이동영역(1420) 내에서 레일 등의 구조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이동구조는 레일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검출부 바디(1405) 및 상기 검출부 바디(1405)에 형성되는 다수의 이미지 센서 타일(14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이미지 센서 타일(1406)은 상기 검출부 바디(140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이미지 센서 타일(1406)은 일정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또는 각각의 이미지 센서 타일(1406)은 서로 접촉하며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이미지 센서 타일(1406)은 다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화소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 상에는 수광영역(RA)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은 상기 X선 발생부(1300)로부터의 X선이 조사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은 상기 이미지 센서 타일(1406)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은 모든 이미지 센서 타일(1406)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이 상기 이미지 센서 타일(1406)과 상기 제1 내지 제4 경계면(1401 내지 1404) 사이에 경계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X선 발생부(1300)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의 경계부가 상기 이미지 센서 타일(1406)과 상기 제1 내지 제4 경계면(1401 내지 1404)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X선 발생부(1300)의 광경로 제한부(1330)를 제어함으로써 X선이 검출부 바디(1405)의 외부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X선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광영역(RA)이 모든 이미지 센서 타일(1406)을 포함하도록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를 제어함으로써 모든 이미지 센서 타일(1406)을 X선 검출에 사용할 수 있다.
<X선 발생부와 X선 검출부의 회전>
이어서, X선 발생부와 X선 검출부의 회전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발생부와 X선 검출부의 회전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X선 촬영기를 Z축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축(1201)에 대상체(1)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상기 대상체(1)를 배치한다. 즉, 환자의 두부 중앙에 축(1201)이 위치하도록 환자를 위치시킨다.
상기 X선 발생부(1300)와 X선 검출부(1400)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와 X선 검출부(1400)는 상기 축(1201)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X선 발생부(1300)와 X선 검출부(1400)가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X선 발생부(1300)와 X선 검출부(1400)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와 X선 검출부(1400)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경로는 미리 정해진 경로일 수 있다. 상기 이동경로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경로는 대상체의 특성을 검출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는 곡선형상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는 타원형상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는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X선 발생부(1300)의 이동경로는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일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의 이동경로는 제1 반경(R1) 내지 제2 반경(R2) 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일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는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X선 발생부(1300)의 이동경로는 원일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의 이동경로가 원인 경우 상기 축(1201)과 X선 발생부(1300) 사이의 거리가 곡률반경과 동일하다.
또는, 상기 X선 발생부(1300)는 변화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할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의 곡률반경은 제1 반경(R1) 내지 제2 반경(R2)의 범위 내에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경(R1)과 제2 반경(R2)의 비는 1:1.01 내지 1:100일 수 있다.
상기 변화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원을 그리는 경우 다수의 원은 모두 동일평면(CP)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X선 발생부(1300)는 타원을 그리는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가 타원을 그리는 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축(1201)은 상기 타원의 장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X선 발생부(1300)는 일부 구간에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또는 직선에 수렴하는 운동을 할 수 있다.
<X선 검출부의 직선운동 >
이어서, X선 검출부의 직선운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검출부의 직선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검출부(1400)는 검출부 하우징(1410)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직선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X선 발생부(1300)는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한다. 상기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다수의 원은 각각 2차원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다수의 원은 모두 동일한 2차원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원이 XY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수의 원은 XY평면이 아닌 다른 평면 상에도 위치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상기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다수의 원 중 적어도 하나의 원이 위치하는 평면(CP)에 대하여 일정각도(a)를 가지는 직선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직선이동축(1409)을 따라 직선운동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직선이동축(1409)과 상기 원이 위치하는 평면(CP)은 일정각도(a)의 사이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원은 모두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상기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다수의 원이 위치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일정각도(a)를 가지는 직선방향으로 직선운동 할 수 있다.
상기 원이 위치하는 평면(CP)과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직선이동 축(1409)이 이루는 각도(a)는 60도 내지 120도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 (a)는 80도 내지 100도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a)는 90도일 수 있다.
상기 각도(a)는 상기 원이 위치하는 평면(CP)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각도(a)는 상기 원이 위치하는 평면(CP)의 Z축상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원이 위치하는 평면(CP)이 직선운동 전의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Z방향 중심점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 상기 각도(a)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원이 위치하는 평면(CP)과 직선운동전의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Z방향 중심점간의 거리가 크면 상기 각도(a)는 90도에서 멀어질 수 있다. 즉, 이 경우 상기 각도(a)는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원이 위치하는 평면(CP)과 직선운동전의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Z방향 중심점간의 거리가 작으면 상기 각도(a)는 90도와 가까워질 수 있다. 즉, 이 경우 상기 각도(a)는 커질 수 있다.
상기 직선이동축(1409)은 상기 축(1201)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직선이동축(1409)은 상기 X선 발생부(1300)로부터 X선이 조사되는 각도와 수직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직선이동축(1409)은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X선 수광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X선 수광면은 X선 발생부(1300)로부터 X선을 조사받는 면일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가 상기 X선 수광면과 평행하는 직선이동축(1409)을 따라 직선운동함으로써 상기 X선 발생부(1300)로부터 조사되는 X선과 수직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적어도 일부영역이 X선 발생부(1300)로부터 조사되는 X선과 수직방향을 유지한 상태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상기 직선이동축(1409)을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X선 수광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평행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적어도 일부영역이 X선을 수직방향으로 조사받을 수 있어, X선을 조사받는 과정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X선 검출부(1400)에서 생성되는 프레임의 화질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의 X선 촬영기의 동작>
- X선 촬영기의 동작 방법-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1000)는 대상체를 촬영하는 단계(S110),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S120) 및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각 단계의 상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대상체의 촬영 -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검출부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검출부(1400)는 검출부 하우징(141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검출부 하우징(1410)을 일체로 표시하였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검출부 하우징(1410)이 이동하는 것을 연속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6개의 X선 검출부(1400)를 도시하였으나,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특정시점에서의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1 시점(t1)에서 이동을 시작하여 제8 시점(t8)에서 이동이 종료된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상기 제1 시점(t1) 내지 제8 시점(t8) 동안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상기 컨트롤러(1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는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이동시간 동안 X선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가 X선을 방출하는 노광기간동안 상기 X선 발생부(1300)는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노광기간은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이동시간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노광기간은 제1 시점(t1)에서 시작하여 제8 시점(t8)에 종료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X선 발생부(1300)가 광을 방출하는 동시에 상기 X선 검출부(1400)가 이동을 시작하고, 상기 X선 발생부(1300)가 광 방출을 종료함과 동시에 상기 X선 검출부(1400)가 이동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노광기간은 X선 검출부(1400)의 이동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노광기간은 제1 시점(t1) 전에 시작하여 제8 시점(t8) 후에 종료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X선 발생부(1300)가 광을 방출한 이후에 상기 X선 검출부(1400)가 이동을 시작하여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이동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X선 발생부(1300)가 광 방출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노광기간은 X선 검출부(1400)의 이동시간에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노광기간은 제1 시점(t1)보다 늦은 시간에 시작하여 제8 시점(t8) 전에 종료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X선 검출부(1400)가 이동을 시작한 후에 상기 X선 발생부(1300)가 광을 방출하고, 상기 X선 발생부(1300)가 광 방출을 종료한 이후에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이동이 종료될 수 있다.
상기 노광기간은 제1 시점(t1)보다 먼저 시작하고, 제8 시점(t8)보다 먼저 종료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노광기간은 제1 시점(t1)보다 나중에 시작하고, 제8 시점(t8)보다 먼저 종료될 수도 있다.
다시 X선 검출부(1400)의 이동을 설명한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호를 그리는 운동을 유지한채로, 제2 시점(t2) 내지 제7 시점(t7)의 기간 동안 직선운동을 한다. 상기 X선 검출부(1400)가 호를 그리는 운동을 하는 제1 시점(t1)과 제8 시점(t8) 사이의 제1 차이는 상기 X선 검출부(1400)가 직선운동을 하는 제2 시점(t2)과 제7 시점(t7)의 제2 차이보다 클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차이는 제2 차이와 동일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차이와 제2 차이가 동일한 경우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호를 그리는 운동을 시작함과 동시에 직선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호를 그리는 운동이 종료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직선운동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호를 그리는 운동은 일정한 속도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호를 그리는 운동은 구간별로 다른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1 시점(t1)에 이동을 시작한다. 상기 제1 시점(t1) 내지 제2 시점(t2) 동안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도 3의 축(1201)을 기준으로 호를 그리는 운동을 한다. 즉,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Z축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XY평면상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에서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에서 상기 검출부 하우징(1410) 내에서 제1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2 시점(t2)에서 호를 그리는 운동을 유지한 채로 제1 직선운동을 시작한다. 상기 제1 직선운동은 Z축방향의 이동일 수 있다. 상기 제1 직선운동은 지면을 향하는 Z축방향의 이동일 수 있다. 상기 제1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X선 검출부(1400)가 지면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직선운동은 제2 시점(t2)에 시작하여 제4 시점(t4)에 종료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호를 그리는 운동과 제1 직선운동이 결합하여 곡선의 이동경로를 그리며 이동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상기 이동부(1200)에 의해 야기된 호를 그리는 운동과 상기 검출부 하우징(1410) 내의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직선운동에 의해 외부에서 보았을 때 곡선의 이동경로를 그리며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점(t2)에서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검출부 하우징(1410) 내의 제1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제4 시점(t4)에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검출부 하우징(1410) 내의 제2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점(t2) 내지 제4 시점(t4) 동안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동일한 속도로 제1 직선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가 제2 시점(t2) 내지 제4 시점(t4) 동안 동일한 속도로 제1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외부에서 관찰하였을 때, 대각선 방향의 직선의 이동경로를 그리며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2 시점(t2)과 제4 시점(t4) 동안 제1 직선운동의 속도가 변화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시점(t2)과 제4 시점(t4) 사이의 제3 시점(t3)에서 상기 제1 직선운동의 속도의 변화량이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점(t2)과 상기 제3 시점(t3) 사이에서 상기 제1 직선운동의 속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점(t2)과 제3 시점(t3) 사이에서 상기 제1 직선운동의 속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2 시점(t2)에서 제3 시점(t3)으로 갈수록 기울기의 절대값이 커지는 곡선을 그리는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3 시점(t3)과 제4 시점(t4) 사이에서 상기 제1 직선운동의 속도는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3 시점(t3)과 제4 시점(t4) 사이에서 상기 제1 직선운동의 속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3 시점(t3)에서 제4 시점(t4)으로 갈수록 기울기의 절대값이 작아지는 곡선을 그리는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4 시점(t4)에서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1 직선운동을 종료하고, 상기 제4 시점(t4)과 제5 시점(t5) 사이에서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축(1201)을 기준으로 호를 그리는 운동만 수행한다. 즉,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XY 평면상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4 시점(t4)과 제5 시점(t5) 사이에서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4 시점(t4)과 제5 시점(t5) 사이에서 상기 검출부 하우징(1410) 내에서 제2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5 시점(t5)에서 호를 그리는 운동을 유지한 채로 제2 직선운동을 시작한다. 상기 제2 직선운동은 Z축방향의 이동일 수 있다. 상기 제2 직선운동은 지면과 반대방향이 Z축방향의 이동일 수 있다. 상기 제2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X선 검출부(1400)가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직선운동은 제5 시점(t5)에 시작하여 제7 시점(t7)에 종료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호를 그리는 운동과 제2 직선운동이 결합하여 곡선의 이동경로를 그리며 이동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상기 이동부(1200)에 의해 야기된 호를 그리는 운동과 상기 검출부 하우징(1410)내의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직선운동에 의해 외부에서 보았을 때 곡선의 이동경로를 그리며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5 시점(t5)에서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검출부 하우징(1410) 내의 제2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제7 시점(t7)에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검출부 하우징(1410) 내의 제1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직선운동과 제2 직선운동은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직선운동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직선운동은 직선왕복운동일 수 있다.
상기 제5 시점(t5) 내지 제7 시점(t7) 동안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동일한 속도로 제2 직선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가 제5 시점(t5) 내지 제7 시점(t7) 동안 동일한 속도로 제2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외부에서 관찰하였을 때, 대각선 방향의 직선의 이동경로를 그리며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5 시점(t5)과 제7 시점(t7) 동안 제2 직선운동의 속도가 변화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시점(t5)과 제7 시점(t7) 사이의 제6 시점(t6)에서 상기 제2 직선운동의 속도의 변화량이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5 시점(t5)과 상기 제6 시점(t6) 사이에서 상기 제2 직선운동의 속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5 시점(t5)과 상기 제6 시점 사이에서 상기 제1 직선운동의 속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5 시점(t5) 에서 지6 시점(t6)으로 갈수록 기울기의 절대값이 커지는 곡선을 그리는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6 시점(t6)과 제7 시점(t7) 사이에서 상기 제2 직선운동의 속도는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6 시점(t6)과 제7 시점(t7) 사이에서 상기 제2 직선운동의 속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6 시점(t6)에서 제7 시점(t7)으로 갈수록 기울기의 절대값이 작아지는 곡선을 그리는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7 시점(t7)에서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2 직선운동을 종료하고, 상기 제7 시점(t7)과 제8 시점(t8) 사이에서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축(1201)을 기준으로 호를 그리는 운동만 수행한다. 즉,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XY평면상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7 시점(t7)과 제8 시점(t8) 사이에서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7 시점(t7)과 제8 시점(t8) 사이에서 상기 검출부 하우징(1410) 내에서 제1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8 시점(t8)이 되면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이동을 종료한다.
상기 X선 검출기(1400)의 이동경로는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X선 검출기(1400)의 이동경로는 대상체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검출기(1400)의 이동경로는 대상체의 형상을 센싱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는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이동에 대응되도록 X선 출력경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광경로 제한부(1330)를 제어함으로써 X선의 출력경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는 일정한 경로로 X선을 출력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X선 발생부(1300)의 전체가 이동하여 X선의 출력경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X선 발생부(1300)와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상기 이동부(1200)에 의해 마주보는 상태를 유지한 채로 호를 그리는 운동을 수행하고,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호를 그리는 운동과정에서 직선운동을 수행하므로, 상기 X선 발생부(1300)의 관점에서 상기 X선 검출부(1400)를 바라보면, 직선운동만 감지될 수 있다. 즉, 상기 X선 발생부(1300)를 기준으로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직선운동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X선 발생부(1300)를 기준으로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2 시점(t2)과 제4 시점(t4) 사이의 제1 직선운동과 제5 시점(t5) 시점과 제7 시점(t7) 사이의 제2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상기 X선 발생부(1300)를 기준으로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Z축방향으로 상대적인 위치이동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X선 발생부(1300) 또한 Z축방향으로 X선의 출력경로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X선 발생부(1300)는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이동에 대응되도록 X선의 출력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 프레임 생성-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다수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검출부(1400)는 노광기간 동안 다수의 프레임을 생성한다. 도면에서는 X선 검출부(1400)의 이동경로와 대응되는 대상체를 촬영하였을 때 생성되는 다수의 프레임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15fps 내지 500fps의 속도로 프레임(1500)을 생성한다.
각각의 프레임(1500)은 각각의 시점에서의 상기 X선 검출부(1400)에 조사되는 X선을 검출하여 생성될 수 있다. 각각의 프레임은 인접하는 프레임과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도록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500)의 속도는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속도와 비례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속도가 빠른 경우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프레임(1500)을 생성하고,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속도가 느린 경우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프레임(1500)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500)의 속도가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속도와 비례함으로써 노광기간 동안 생성되는 프레임(1500)의 숫자는 X선 검출부(1400)의 이동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할 수 있다. 인접하는 프레임(1500)의 중첩영역 또한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이동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500)의 속도는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속도에 종속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프레임(1500)의 속도는 상기 프레임(1500)이 중첩영역을 가질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인접하는 프레임(1500)의 중첩영역의 면적은 상이할 수도 있다. 즉, 인접하는 프레임(1500)의 중첩영역이 일정하지 않도록 상기 X선 검출부(140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체의 중앙영역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X선 검출부(1400)에서 생성된 다수의 프레임(1500)은 비교적 면적이 넓은 중첩영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의 중앙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X선 검출부(1400)에서 생성된 다수의 프레임(1500)의 중첩영역의 면적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프레임(1500)의 해상도는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해상도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500)의 해상도는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해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500)은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가 사각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프레임(1500) 또한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 대상체가 X선 검출부(1400)의 이동경로와 동일하므로 각각의 프레임(1500)은 중앙영역에 직선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관점에서는 동일한 높이의 띠 형상을 검출하는 것이므로, 중앙영역에 직선 띠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프레임(1500)이 생성된다.
- 파노라마 영상의 생성 -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에 의해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1000)는 상기 X선 검출부(1400)에서 생성된 다수의 프레임(1500)을 이용하여 파노라마 영상(1600)을 생성한다.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은 상기 X선 촬영기(1000)의 컨트롤러(1100)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기기(2000)는 상기 X선 검출부(1400)에서 생성된 다수의 프레임(1500)을 전달받아 상기 전자기기(2000)의 프로세서(2100)에서 파노라마 영상(1600)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X선 촬영기(1000)의 컨트롤러(1100)에서 파노라마 영상(1600)을 생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컨트롤러(1100)는 상기 다수의 프레임(1500)을 중첩시켜 파노라마 영상(1600)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은 제1 경계선(1610), 제2 경계선(1620), 제3 경계선(1630) 및 제4 경계선(1640)으로 정의되는 사각형상의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경계선(1610)과 제2 경계선(1620)은 서로 마주보는 직선일 수 있고, 상기 제3 경계선(1630)과 제4 경계선(1640)은 서로 마주보는 직선일 수 있다.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은 제1 폭(d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폭(d1)은 상기 제3 경계선(163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일 수 있다. 상기 제1 폭(d1)은 상기 제4 경계선(164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1500)은 제2 폭(d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폭(d2)은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의 제3 경계선(1630)과 평행하는 상기 프레임(1500)의 폭일 수 있다. 상기 제2 폭(d2)은 상기 제1 폭(d1)에 비해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의 폭은 상기 프레임(150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은 더미영역(16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영역(1650)은 상기 다수의 프레임(150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1500)의 제2 폭(d2)이 파노라마 영상(1600)의 제1 폭(d1)보다 작으므로,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의 일부영역에는 프레임(1500)이 배치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더미영역(1650)에는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더미영역(1650)에는 동일한 계조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더미영역(1650)에는 흑색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더미영역(1650)에는 백색의 영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1100)는 상기 다수의 프레임(1500)을 기준선(l)을 따라 중첩시킬 수 있다. 상기 기준선(l)은 전술한 도 11의 상기 제1 시점(t1) 내지 제8 시점(t8) 사이에 생성된 다수의 프레임(1500)을 중첩시키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상기 기준선은 특정 시점 사이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중첩시키기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상기 기준선(l)은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이동경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이동경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기준선(l)을 기준으로 다수의 프레임(1500)을 중첩시킴으로써 상기 X선 검출부(1400)가 이동하며 촬영한 대상체의 복원된 형상으로 파노라마 영상(1600)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준선(l)은 가상의 선일 수 있다. 상기 기준선(l)은 미리 정의된 선일 수 있다. 상기 기준선(l)은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이동경로에 따라 미리 정의된 선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준선(l)은 대상체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선일 수 있다. 즉, 상기 기준선(l)은 대상체의 형상을 센싱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상기 기준선(l)은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의 중앙영역(PM)을 기준으로 하는 좌측 기준선 영역(PL)과 우측 기준선 영역(P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기준선 영역(PL)은 상기 우측 기준선 영역(PR)과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준선(l)은 다수의 기준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선 영역은 구간에 따라 기준선을 분할한 영역일 수 있다.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직선일 수 있다. 상기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상기 프레임(1500)의 최하단 경계선(r)과 평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상기 프레임(1500)의 최하단 경계선(r)을 기준으로 0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상기 프레임(1500)의 측면 경계선을 기준으로 수직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에 생성되는 다수의 프레임(1500)은 제1 경계선(1610)과 만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에 생성되는 다수의 프레임(1500)의 최상단 경계선은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의 제1 경계선(1610)과 만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프레임(1500)의 최상단 경계선이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의 제1 경계선(1610)과 만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에 비해 작은폭을 가지는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의 하부에는 더미영역(1650)이 생성된다. 상기 더미영역(1650)은 상기 프레임(1500)의 하부와 상기 제2 경계선(16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시점(t2)과 제4 시점(t4)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곡선일 수 있다. 상기 제2 시점(t2)과 제4 시점(t4)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상기 프레임(1500)의 최하단 경계선(r)을 기준으로 다수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시점(t2)과 제4 시점(t4)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시점에 따라 변화하는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2 시점(t2)과 제4 시점(t4) 사이의 제3 시점(t3)에서 상기 기준선 영역은 상기 최하단 경계선(r)을 기준으로 각도의 절대값의 변화량이 변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시점(t2)에서 제3 시점(t3)으로 갈수록 각도의 절대값의 변화량은 양의 값을 가지고, 상기 제3 시점(t3)에서 제4 시점(t4)으로 갈수록 각도의 절대값의 변화량은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시점(t2)에서 제3 시점(t3)으로 갈수록 상기 기준선 영역의 각도의 절대값이 커지고, 상기 제3 시점(t3)에서 제4 시점(t4)으로 갈수록 상기 기준선 영역의 각도의 절대값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2 시점(t2)과 제4 시점(t4) 사이에 생성되는 다수의 프레임(1500)은 제1 경계선(1610) 및 제2 경계선(1620)과 만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시점(t2)과 제4 시점(t4)사이에는 상기 제1 경계선(1610)과 상기 프레임(1500)의 상부 사이에 더미영역(1650)이 생성되고, 상기 제2 경계선(1620)과 상기 프레임(1500)의 하부 사이에 더미영역(1650)이 생성될 수 있다.
제4 시점(t4)과 제5 시점(t5)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직선일 수 있다. 상기 제4 시점(t4)과 제5 시점(t5)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상기 프레임(1500)의 최하단 경계선(r)과 평행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4 시점(t4)과 제5 시점(t5)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상기 프레임(1500)의 최하단 경계선(r)을 기준으로 0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시점(t4)과 제5 시점(t5)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상기 프레임(1500)의 측면 경계선을 기준으로 수직할 수 있다. 상기 제4 시점(t4)과 제5 시점(t5)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상기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준선 영역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4 시점(t4)과 제5 시점(t5) 사이에 생성되는 다수의 프레임(1500)은 제2 경계선(1620)과 만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 시점(t4)과 제5 시점(t5) 사이에 생성되는 다수의 프레임(1500)의 최하단 경계선은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의 제2 경계선(1620)과 만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프레임(1500)의 최하단 경계선이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의 제2 경계선(1620)과 만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에 비해 작은폭을 가지는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의 상부에는 더미영역(1650)이 생성된다. 상기 더미영역(1650)은 상기 프레임(1500)의 상부와 상기 제1 경계선(16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 시점(t4)과 제5 시점(t5) 사이에 생성되는 다수의 프레임(1500)은 상기 대상체의 최하단을 촬상하여 생성된 프레임들일 수 있다.
제5 시점(t5)과 제7 시점(t7)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곡선일 수 있다. 상기 제5 시점(t5)과 제7 시점(t7)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상기 프레임(1500)의 최하단 경계선(r)을 기준으로 다수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5 시점(t5)과 제7 시점(t7)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시점에 따라 변화하는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5 시점(t5)과 제7 시점(t7) 사이의 제6 시점(t6)에서 상기 기준선 영역은 상기 최하단 경계선(r)을 기준으로 각도의 절대값의 변화량이 변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5 시점(t5)에서 제6 시점(t6)으로 갈수록 각도의 절대값의 변화량은 양의 값을 가지고, 상기 제6 시점(t6)에서 제7 시점(t7)으로 갈수록 각도의 절대값의 변화량은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시점(t5)에서 제6 시점(t6)으로 갈수록 상기 기준선 영역의 각도의 절대값이 커지고, 상기 제6 시점(t6)에서 제7 시점(t7)으로 갈수록 상기 기준선 영역의 각도의 절대값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5 시점(t5)과 제7 시점(t7) 사이에 생성되는 다수의 프레임(1500)은 제1 경계선(1610) 및 제2 경계선(1620)과 만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5 시점(t5)과 제7 시점(t7)사이에는 상기 제1 경계선(1610)과 상기 프레임(1500)의 상부 사이에 더미영역(1650)이 생성되고, 상기 제2 경계선(1620)과 상기 프레임(1500)의 하부 사이에 더미영역(1650)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5 시점(t5)과 제7 시점(t7) 사이의 기준선 영역 및 더미영역(1650)은 상기 제2 시점(t2)과 제4 시점(t4) 사이의 기준선 영역 및 더미영역(1650)과 대칭될 수 있다. 상기 제5 시점(t5)과 제7 시점(t7) 사이의 기준선 영역 및 더미영역(1650)은 상기 제2 시점(t2)과 제4 시점(t4) 사이의 기준선 영역 및 더미영역(1650)과 중앙영역(PM)을 기준으로 좌우대칭 될 수 있다. 상기 제5 시점(t5)과 제7 시점(7) 사이의 기준선 영역의 각도의 절대 값은 상기 제2 시점(t2)과 제4 시점(t4) 사이의 기준선 영역의 각도의 절대 값과 동일할 수 있다.
제7 시점(t7)과 제8 시점(t8)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직선일 수 있다. 상기 제7시점(t7)과 제8 시점(t8)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상기 프레임(1500)의 최하단 경계선(r)과 평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7 시점(t7)과 제8 시점(t8)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상기 프레임(1500)의 최하단 경계선(r)을 기준으로 0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7 시점(t7)과 제8 시점(t8)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상기 프레임(1500)의 측면 경계선을 기준으로 수직할 수 있다. 상기 제7 시점(t7)과 제8 시점(t8)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상기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준선 영역과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7 시점(t7)과 제8 시점(t8) 사이의 기준선 영역은 상기 제4 시점(t4)과 제5 시점(t5) 사이의 기준선 영역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7 시점(t7)과 제8 시점(t8) 사이에 생성되는 다수의 프레임(1500)은 제1 경계선(1610)과 만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7 시점(t7)과 제8 시점(t8) 사이에 생성되는 다수의 프레임(1500)의 최상단 경계선은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의 제1 경계선(1610)과 만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프레임(1500)의 최상단 경계선이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의 제1 경계선(1610)과 만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에 비해 작은폭을 가지는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의 하부에는 더미영역(1650)이 생성된다. 상기 더미영역(1650)은 상기 프레임(1500)의 하부와 상기 제2 경계선(16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7 시점(t7)과 제8 시점(t8) 사이의 기준선 영역 및 더미영역(1650)은 상기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준선 영역 및 더미영역(1650)과 대칭될 수 있다. 상기 제7 시점(t7)과 제8 시점(t8) 사이의 기준선 영역 및 더미영역(1650)은 상기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준선 영역 및 더미영역(1650)과 중앙영역(PM)을 기준으로 좌우대칭 될 수 있다.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은 중앙영역(PM)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기준선 영역 및 더미영역(1650)을 가질 수 있다.
- 중첩되는 프레임-
도 14는 도 13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3의 B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과 함께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9 시점(t9)에서 제1 프레임(1510)을 생성하고, 제10 시점(t10)에서 제2 프레임(1520)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9 시점(t9)과 제 10 시점(t10)은 상기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임의의 시점일 수 있다. 상기 제9 시점(t9)과 제10 시점(t10)은 인접하는 시점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프레임(1510)과 제2 프레임(1520)은 인접하는 프레임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프레임(1510)과 제2 프레임(1520)이 중첩되기만 한다면, 상기 제9 시점(t9)과 제10 시점(t10)은 인접하는 시점이 아닌 이격된 시점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510) 및 제2 프레임(1520)은 다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510)과 제2 프레임(1520)은 서로 중첩되어 제1 중첩영역(153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중첩영역(1530)은 다수의 화소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510)과 제2 프레임(1520)은 제1 기준선(l1)을 기준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선(l1)은 상기 제1 프레임(1510)의 최하단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첩영역(1530)의 제1 프레임(1510)과 제2 프레임(1520)은 대상체의 동일한 영역을 투과한 X선이 검출되어 생성된 영역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중첩영역(1530)은 대상체의 동일한 영역을 촬상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중첩영역(1530)의 화소들은 대응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프레임(1510)을 생성할 때의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상태와 제2 프레임(1520)을 생성할 때의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상태가 동일하다면, 상기 제1 프레임(1510)과 제2 프레임(1520)의 제1 중첩영역(1530)은 동일한 화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510)은 제1 중심점(P1)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프레임(1520)은 제2 중심점(P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중심점(P1)은 상기 제1 프레임(1510)의 무게중심일 수 있다. 상기 제2 중심점(P2)은 상기 제2 프레임(1520)의 무게중심일 수 있다. 상기 제1 중심점(P1)과 제2 중심점(P2)은 가상의 점일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510)과 제2 프레임(1520)은 제1 기준선(l1) 상에 제1 중심점(P1)과 제2 중심점(P2)이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준선(l1)은 상기 제1 중심점(P1)과 제2 중심점(P2)을 연결한 선일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510)은 다수의 화소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510)은 최외곽 화소열(15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외곽 화소열(1511)은 상기 제2 프레임(1520)과 인접하는 제1 프레임(1510)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화소열일 수 있다. 상기 최외곽 화소열(1511)은 상기 제1 중첩영역(1530)에 포함되는 화소열 일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1520)은 상기 제1 프레임(1510)의 최외곽 화소열(1511)과 대응되는 대응 화소열(15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510)의 최외곽 화소열(1511)과 상기 제2 프레임(1520)의 대응 화소열(1521)은 상기 제1 중첩영역(153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최외곽 화소열(1511)과 대응 화소열(1521)은 상기 제1 프레임(1510)과 제2 프레임(1520)이 중첩되는 경우 겹쳐질 수 있다.
상기 최외곽 화소열(1511)과 대응 화소열(1521)은 대상체의 동일한 영역을 투과한 X선이 검출되어 생성된 영역일 수 있다. 즉, 상기 최외곽 화소열(1511)과 대응 화소열(1521)은 대상체의 동일한 영역을 촬상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최외곽 화소열(1511)의 화소들과 대응 화소열(1521)의 화소들은 대응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510)을 생성할 때의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상태와 제2 프레임(1520)을 생성할 때의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상태가 동일하다면, 상기 최외곽 화소열(1511)과 대응 화소열(1521)은 동일한 화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9 시점(t9)과 제 10 시점(t10)이 상기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시점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9 시점(t9) 및 제10 시점(t10)은 제4 시점(t4)과 제5 시점(t5) 사이의 시점일 수도 있고, 제7 시점(t7) 및 제8 시점(t8) 사이의 시점일 수도 있다.
도 13과 함께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11 시점(t11)에서 제3 프레임(1540)을 생성하고, 제12 시점(t12)에서 제4 프레임(1550)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1 시점(t11)과 제 12 시점(t12)은 상기 제2 시점(t2)과 제4 시점(t4) 사이의 임의의 시점일 수 있다. 상기 제11 시점(t11)과 제12 시점(t12)은 인접하는 시점일 수 있다. 즉, 상기 제3 프레임(1540)과 제4 프레임(1550)은 인접하는 프레임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 프레임(1540)과 제4 프레임(1550)이 중첩되기만 한다면, 상기 제11 시점(t11)과 제12 시점(t12)은 인접하는 시점이 아닌 이격된 시점일 수도 있다.
상기 제3 프레임(1540) 및 제4 프레임(1550)은 다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1540)과 제4 프레임(1550)은 서로 중첩되어 제2 중첩영역(156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중첩영역(1560)은 다수의 화소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1540)과 제4 프레임(1550)은 제2 기준선(l2)을 기준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선(l2)은 상기 제3 프레임(1540)의 최하단을 기준으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선(l2)은 상기 제3 프레임(1540)의 최하단을 기준으로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중첩영역(1560)의 제3 프레임(1540)과 제4 프레임(1550)은 대상체의 동일한 영역을 투과한 X선이 검출되어 생성된 영역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 중첩영역(1560)은 대상체의 동일한 영역을 촬상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2 중첩영역(1560)의 화소들은 대응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제3 프레임(1540)을 생성할 때의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상태와 제4 프레임(1550)을 생성할 때의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상태가 동일하다면, 상기 제3 프레임(1540)과 제4 프레임(1550)의 제2 중첩영역(1560)은 동일한 화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중첩영역(1560)은 상기 제3 프레임(1540)보다 작은 너비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중첩영역(1560)은 상기 제4 프레임(1550)보다 작은 너비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1540)은 제3 중심점(P3)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4 프레임(1550)은 제4 중심점(P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중심점(P3)은 상기 제3 프레임(1540)의 무게중심일 수 있다. 상기 제4 중심점(P4)은 상기 제4 프레임(1550)의 무게중심일 수 있다. 상기 제3 중심점(P3)과 제4 중심점(P4)은 가상의 점일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1540)과 제4 프레임(1550)은 제2 기준선(l2) 상에 제3 중심점(P3)과 제4 중심점(P4)이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기준선(l2)은 상기 제3 중심점(P3)과 제4 중심점(P4)을 연결한 선일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1540)은 다수의 화소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1540)은 최외곽 화소열(15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외곽 화소열(1541)은 상기 제4 프레임(1550)과 인접하는 제3 프레임(1540)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화소열일 수 있다.
상기 최외곽 화소열(1541)은 제1 화소 그룹(1543) 및 제2 화소 그룹(15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그룹(1543)은 상기 최외곽 화소열(1541)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화소 그룹(1545)은 상기 최외곽 화소열(1541)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제1 화소 그룹(154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화소 그룹(154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그룹(1543)은 상기 제2 중첩영역(1560)에 포함되지 않는 화소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 화소 그룹(1545)은 상기 제2 중첩영역(1560)에 포함되는 화소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 화소 그룹(1545)은 상기 제1 화소 그룹(154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 프레임(1550)은 상기 제3 프레임(1540)의 제2 화소 그룹(1545)의 적어도 하나의 화소와 대응되는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프레임(1550)은 상기 제3 프레임(1540)의 제2 화소 그룹(1545)의 다수의 화소와 각각 대응되는 대응화소그룹(15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응화소그룹(1553)은 대응 화소 열(1551)에 포함되고, 상기 대응 화소 열(1551)은 상기 대응화소그룹(1553) 및 비대응화소그룹(1555)을 포함한다. 상기 비대응화소그룹(1555)은 상기 제3 프레임(1540)의 화소열과 대응되지 않는다. 상기 비대응화소그룹(1555)은 상기 대응화소그룹(155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1540)의 제2 화소 그룹(1545)과 대응화소그룹(1553)은 상기 제2 중첩영역(156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화소 그룹(1545)과 대응화소그룹(1553)은 상기 제3 프레임(1540)과 제4 프레임(1550)이 중첩되는 경우 겹쳐질 수 있다.
상기 제2 화소 그룹(1545)과 대응화소그룹(1553)은 대상체의 동일한 영역을 투과한 X선이 검출되어 생성된 영역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 화소 그룹(1545)과 대응화소그룹(1553)은 대상체의 동일한 영역을 촬상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2 화소 그룹(1545)의 화소들과 대응화소그룹(1553)의 화소들은 대응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1540)을 생성할 때의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상태와 제4 프레임(1550)을 생성할 때의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상태가 동일하다면, 상기 제2 화소 그룹(1545)과 대응화소그룹(1553)은 동일한 화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선(l2)이 상기 제3 프레임(1540)의 최하단 경계선과 평행하지 않고 일정 각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3 프레임(1540)은 Z축방향으로 정합되지 않은 상태로 중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프레임(1540)의 최상단 경계선과 상기 제4 프레임(1550)의 최상단 경계선이 동일한 선으로 형성되지 않고, Z축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중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프레임(1550)은 상기 제2 화소 그룹(1545)의 적어도 하나의 화소와 대응되는 화소를 포함하고, 제1 화소 그룹(1543)과 대응되는 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제11 시점(t11)과 제 12 시점(t12)이 상기 제2 시점(t2)과 제4 시점(t4) 사이의 시점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1 시점(t11) 및 제12 시점(t12)은 제5 시점(t5)과 제7 시점(t7) 사이의 시점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화소 그룹의 제1 화소 그룹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3 프레임(1540)은 상기 제4 프레임(1550)의 Z축방향으로 하측으로 시프팅되어 중첩될 수 있다.
- 생성된 실제 파노라마 영상-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를 이용하여 생성된 실제 파노라마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와 함께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선 촬영기(1000)는 파노라마 영상(1600)을 생성한다.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은 다수의 프레임(1500)을 중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은 제1 시점(t1)부터 제8 시점(t8)까지 다수의 프레임(1500)이 중첩되어 배치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노라마 영상은 기준선(l)을 따라 다수의 프레임(1500)이 중첩되어 배치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선(l)은 다수의 기준선을 연결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선(l)은 제1 기준선(l1)과 제2 기준선(l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선(l)은 다수의 프레임(1500)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일 수 있다. 상기 기준선(l)은 다수의 프레임(1500)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일 수 있다. 상기 중심점은 상기 프레임(1500)의 무게중심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선(l1)은 상기 제9 시점(t9)의 제1 프레임(1510)과 제10 시점의 제2 프레임(1520)을 연결하는 선일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510)은 제1 중심점(P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프레임(1520)은 제2 중심점(P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선(l1)은 상기 제1 중심점(P1)과 제2 중심점(P2)을 연결하는 선일 수 있다. 제1 프레임(1510)과 제2 프레임(1520)은 인접하는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선(l2)은 상기 제11 시점(t11)의 제3 프레임(1540)과 제12 시점의 제4 프레임(1550)을 연결하는 선일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1540)은 제3 중심점(P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4 프레임(1550)은 제4 중심점(P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선(l2)은 상기 제3 중심점(P3)과 제4 중심점(P4)을 연결하는 선일 수 있다. 제3 프레임(1540)과 제4 프레임(1550)은 인접하는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선(l1)과 상기 제2 기준선(l2)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선(l1)과 상기 제2 기준선(l2)을 연장하면 한 점에서 만나고, 상기 한 점에서 만난 상기 제1 기준선(l1)과 상기 제2 기준선(l2)은 예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준선(l)은 대상체의 형태에 따라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X선 촬영기(1000)는 치과의 치아 및 치조골의 전체구조를 촬영하는데 이용되므로, 대상체인 환자의 턱을 포함하는 치조골의 형태에 따라 기준선(l)이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기준선(l)은 촬영하고자 하는 환자의 턱과 치조골의 관심영역을 지날 수 있다. 즉, 치과에서는 치아 및 치조골이 주요 관심영역이므로, 상기 기준선(l)은 치아 및 치조골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가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선(l)은 일반적인 턱의 구조에 의해 경사를 가지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턱이 시작되는 부분에서 턱의 앞부분 까지는 경사를 가지므로, 상기 기준선(l)은 경사를 가지는 영역으로 형성되고, 턱의 앞부분은 큰 경사를 가지지 않으므로, 기준선(l) 또한 파노라마 영상(1600)의 하면과 평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선(l)은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이동경로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X선 발생부(1300)의 X선 조사범위와도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관심영역을 지나도록 기준선(l)을 설정하고, X선 검출부(1400)와 X선 조사범위를 이동시켜 촬영함으로써 X선에 의한 피폭량을 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파노라마 영상(1600)에서 더미영역(1650)만큼 X선을 조사하지 않아 상기 더미영역(1650)에 대응되는 X선의 피폭량을 줄이면서 동일한 치아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치아 및 치조골의 촬영과정에서 불필요한 영역이 촬영되는 것을 줄일 수 있어 X선 피폭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아 및 치조골의 일반적 형태에 대응되도록 X선 검출부(1400)를 직선방향으로 직선운동시켜 치아 및 치조골을 투과하는 X선을 검출할 수 있어 종래보다 작은 크기의 X선 검출부(1400)를 이용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의 X선 촬영기>
다른 실시 예에서의 X선 촬영기는 도 1 내지 도 16의 실시 예와 비교하여 X선 검출부는 호를 그리는 운동만 수행하고, X선 발생부가 직선방향으로 X선을 조사한다. 따라서, 다른 실시 예의 X선 촬영기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6의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 X선 검출부와 수광영역의 이동-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도 6 및 도 7과 다른 구조인 X선 검출부의 구조와 X선 발생부에 의한 수광영역의 이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X선 검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X선 검출부(1400)는 검출부 하우징(14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상기 검출부 하우징(141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제1 경계면(1401)과 제2 경계면(1402)이 마주보고, 제3 경계면(1403)과 제4 경계면(1404)이 마주보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계면(1401)은 제2 경계면(1402)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3 경계면(1403)은 상기 제4 경계면(1404)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경계면(1401)은 상기 제3 경계면(1403)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정사각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컴퓨터 단층 촬영(CT, computed tomography)에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는 검출부 바디(1405)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화소(14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X선 검출부(1400) 상에는 수광영역(RA)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은 X선이 조사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은 상기 다수의 화소(1407)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은 상기 X선 발생부(130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은 상기 X선 발생부(1300)의 광경로 제한부(1330)에 의해 X선의 경로가 제한됨으로써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에 대해서는 전술한 X선 발생부(1300)의 구조를 참조한다.
상기 수광영역(RA)은 상기 제1 경계면(1401)과 인접하는 제1 측(1351), 상기 제1 측(1351)과 마주보는 제2측(1352), 상기 제1 측(1351)과 제2 측(1352)을 연결하는 제3 측(1353) 및 제4 측(13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1352)은 상기 제2 경계면(1402)과 인접하는 상기 수광영역(RA)의 끝단이고, 상기 제3 측(1353)은 상기 제3 경계면(1403)과 인접하는 상기 수광영역(RA)의 끝단이며, 상기 제4 측(1354)은 상기 제4 경계면(1404)과 인접하는 상기 수광영역(RA)의 끝단일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은 상기 X선 검출부(1400)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은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화소(1407)가 위치하는 유효영역(AA)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수광영역(RA)은 상기 유효영역(AA)보다 폭은 좁으나 넓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의 너비는 상기 제1 측(1351)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수광영역(RA)의 폭은 상기 제3 측(1353)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은 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은 상기 제3측(1353)과 평행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은 상기 Z축 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상기 직선운동은 제1 직선운동과 제2 직선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의 제2 측(1352)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1 직선운동이라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1 측(1351)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2 직선운동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은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에 의해 제1 직선운동과 제2 직선운동을 포함하는 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수광영역(RA)의 제1 측(1351)과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제1 경계면(1401)은 멀어지고, 상기 수광영역(RA)의 제2 측(1352)과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제2 경계면(1402)은 가까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수광영역(RA)의 제1 측(1351)과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제1 경계면(1401)은 가까워지고, 상기 수광영역(RA)의 제2 측(1352)과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제2 경계면(1402)은 멀어질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의 제1 직선운동의 한계면은 제2 경계면(140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광영역(RA)의 제2 직선운동의 한계면은 제1 경계면(1401)일 수 있다. 즉, 상기 수광영역(RA)은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외부로 이동될 수 없다. 상기 수광영역(RA)이 상기 X선 검출부(1400)의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광경로 제한부(1330)를 제어하여 X선에 의한 외부의 피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전 노광기간의 상기 수광영역(RA)은 현재 노광기간의 상기 수광영역(RA)과 상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노광기간 중 특정시점에서의 수광영역은 이전 노광기간에서의 상기 특정 시점에서의 수광영역과 상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노광기간에서 수광영역(RA)을 다르게 설정하여 X선 발생기의 열화를 방지하고, 파노라마 영상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은 도 9의 X선 검출부와 같이 상기 X선 발생부(1300)가 그리는 호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직선방향으로 직선이동될 수 있다.
- 대상체의 촬영-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광영역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광영역의 이동경로는 도 11의 X선 검출기의 이동경로와 유사하므로, 도 11과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광영역(RA)은 X선 검출부(140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X선 검출부(1400)와 검출부 하우징(1410)을 일체로 표시하였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X선 검출부(1400) 및 검출부 하우징(1410)이 이동하는 것을 연속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6개의 수광영역(RA)을 도시하였으나,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수광영역(RA)의 특정시점에서의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수광영역(RA)은 제1 시점(t1)에서 이동을 시작하여 제8 시점(t8)에서 종료될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은 상기 제1 시점(t1) 내지 제8 시점(t8) 동안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100)는 상기 X선 발생부(1300)의 광경로 제한부(1330)를 제어하여 상기 수광영역(RA)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은 상기 X선 검출부(1400) 상에서 호를 그리는 운동을 유지한 채로 상기 제2 시점(t2) 내지 제7 시점(t7)의 기간 동안 직선운동할 수 있다.
상기 수광영역(RA)은 제2 시점(t2) 내지 제4 시점(t4)에서 제1 직선운동하며, 상기 제5 시점(t5) 내지 제7 시점(t7)에서 제2 직선운동한다.
상기 제2 시점(t2)에서 상기 수광영역(RA)은 제1 지점에 위치한다. 제1 지점은 상기 수광영역(RA)의 제1 측(1351)과 X선 검출부(1400)의 제1 경계면(1401)이 인접하는 지점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측(1351)과 제1 경계면(1401)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측(1352)과 상기 제2 경계면(1402)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시점(t2) 내지 제4 시점(t4)에서 상기 수광영역(RA)이 직선운동을 하면, 상기 수광영역(RA)이 상기 제2 경계면(1402)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 시점(t2) 내지 제4 시점(t4)동안 상기 제1 측(1351)과 제1 경계면(1401) 사이의 거리는 증가하고, 상기 제2 측(1352)과 상기 제2 경계면(1402) 사이의 거리는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1351)과 상기 제1 경계면(1401)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2 측(1352)과 제2 경계면(1402) 사이의 거리가 동일해지는 시점이 제3 시점(t3)일 수 있다.
상기 제1 직선운동에 의해 제4 시점(t4)에 상기 수광영역(RA)이 상기 제2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 제2 지점은 상기 수광영역(RA)의 제2 측(1352)과 X선 검출부(1400)의 제2 경계면(1402)이 인접하는 지점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측(1351)과 제1 경계면(1401)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측(1352)과 상기 제2 경계면(1402)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5 시점(t5) 내지 제7 시점(t7)에서 상기 수광영역(RA)이 직선운동을 하면, 상기 수광영역(RA)이 상기 제1 경계면(1401)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5 시점(t5) 내지 제7 시점(t7)동안 상기 제1 측(1351)과 제1 경계면(1401) 사이의 거리는 감소하고, 상기 제2 측(1352)과 상기 제2 경계면(1402) 사이의 거리는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1351)과 상기 제1 경계면(1401)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2 측(1352)과 제2 경계면(1402) 사이의 거리가 동일해지는 시점이 제3 시점(t3)일 수 있다.
상기 제2 직선운동에 의해 제7 시점(t7)에 상기 수광영역(RA)이 상기 제1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의 프레임 생성과 파노라마 영상 생성과정은 도 12 내지 16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X선 촬영장치는 X선이 조사되는 수광영역(RA)을 이동시키며,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어, X선에 의한 피폭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X선 검출기를 이동시키는 별도의 구조 대신 수광영역을 이동시켜 피폭량을 줄임으로써, X선 검출기의 이동에 이용되는 별도의 구조를 장착하는데 발생될 수 있는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모드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X선 검출부(1400)은 일부기간동안 직선운동을 하고, 제2 모드가 설정되면, 직선운동 없이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는 운동만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0: X선 촬영기
1100: 컨트롤러
1200: 이동부
1300: X선 발생부
1400: X선 검출부
2000: 디바이스
2100: 프로세서
2200: 입력부
2300: 표시부

Claims (33)

  1. 노광 기간 동안 대상체로 X선을 조사하는 X선 발생부;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 및
    상기 X선 발생부와 상기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X선 발생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하고- 이때 상기 호를 그리는 운동은 제1 시점에 시작하고 제2 시점에 종료됨 -,
    상기 X선 검출부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기간의 적어도 일부 기간 동안 상기 곡률반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원이 위치하는 평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가지는 직선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며,
    상기 직선운동은 상기 제1 시점과 동일하거나 더 늦은 시점인 제3 시점에 시작하고,
    상기 직선운동은 상기 제2 시점보다 동일하거나 더 빠른 시점인 제4 시점에 종료하며,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제1 차이는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4 시점 사이의 제2 차이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기간은 상기 제1 시점 보다 먼저 시작하고, 상기 제2 시점보다 나중에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기간은 상기 제1 시점보다 나중에 시작하고, 상기 제2 시점보다 먼저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기간은 상기 제1 시점보다 먼저 시작하고, 상기 제2 시점보다 먼저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기간은 상기 제1 시점보다 나중에 시작하고, 상기 제2 시점보다 나중에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기간은 상기 제1 차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발생부가 그리는 호는 미리 정의되는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검출부는 컴퓨터 단층 촬영(CT, computed tomography)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검출부의 직선운동은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의 왕복운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에 위치하는 X선 검출부는 상기 제3 시점에서 제1 직선운동을 시작하여, 제5 시점에 상기 제2 지점에 도달하고,
    상기 제2 지점에 위치하는 X선 검출부는 제6 시점에서 제2 직선운동을 시작하여, 상기 제4 시점에 상기 제1 지점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5시점과 상기 제6 시점은 동일한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X선 검출부는 상기 제5 시점과 상기 제6 시점 사이에서 제2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5 시점과 상기 제6 시점 사이에서 상기 X선 검출부는 상기 대상체의 최하단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발생부는 상기 X선 검출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X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발생부는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4 시점 사이에서 직선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발생부와 상기 대상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X선 발생부로부터의 X선의 조사범위를 제한하여 상기 대상체의 특정영역으로 X선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광경로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 제한부는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4 시점 사이에서 직선방향으로 수광영역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검출부가 위치하는 검출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 하우징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X선 검출부가 직선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 하우징을 직선운동시키는 직선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발생부와 상기 X선 검출부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검출부는 상기 X선 발생부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X선 검출부의 이동에 대응되도록 X선의 방사영역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22. 노광 기간동안 X선을 발생시키는 X선 발생부;
    상기 X선을 대상체로 조사하기 위해 상기 X선의 조사범위를 제한하는 광경로 제한부;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이 조사되는 수광영역을 포함하는 X선 검출부; 및
    상기 X선 발생부와 상기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X선 발생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하고- 이때 상기 호를 그리는 운동은 제1 시점에 시작하고 제2 시점에 종료됨 -,
    상기 수광영역은 상기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간의 적어도 일부 기간 동안 상기 곡률반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원이 위치하는 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직선방향으로 직선이동되며,
    상기 직선이동은 상기 제1 시점과 동일하거나 더 늦은 시점인 제3 시점에 시작하고,
    상기 직선이동은 상기 제2 시점보다 동일하거나 더 빠른 시점인 제4 시점에 종료하며,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제1 차이는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4 시점 사이의 제2 차이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영역의 면적은 상기 X선 검출부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X선 검출부는 서로 마주보는 제1 경계면과 제2 경계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시점과 제3 시점 사이에서 상기 제1 경계면과 인접하는 수광영역의 제1 측과 상기 제1 경계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경계면과 인접하는 수광영역의 제2 측과 상기 제2 경계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X선 검출부는 서로 마주보는 제1 경계면과 제2 경계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시점과 제4 시점 사이의 일부 기간 동안 상기 제1 경계면과 인접하는 수광영역의 제1 측과 상기 제1 경계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경계면과 인접하는 수광영역의 제2 측과 상기 제2 경계면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영역의 직선운동은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의 왕복운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에 위치하는 수광영역은 상기 제3 시점에서 제1 직선운동을 시작하여, 제5 시점에 상기 제2 지점에 도달하고,
    상기 제2 지점에 위치하는 수광영역은 제6 시점에서 제2 직선운동을 시작하여, 상기 제4 시점에 상기 제1 지점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X선 검출부는 서로 마주보는 제1 경계면과 제2 경계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5 시점 사이에서 상기 제1 경계면과 인접하는 수광영역의 제1 측과 상기 제1 경계면 사이의 거리는 증가하고, 상기 제2 경계면과 인접하는 수광영역의 제2 측과 상기 제2 경계면 사이의 거리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X선 검출부는 서로 마주보는 제1 경계면과 제2 경계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6 시점과 상기 제4 시점 사이에서 상기 제1 경계면과 인접하는 수광영역의 제1 측과 상기 제1 경계면 사이의 거리는 감소하고, 상기 제2 경계면과 인접하는 수광영역의 제2 측과 상기 제2 경계면 사이의 거리는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기간 중 특정 시점에서의 수광영역은 이전 노광기간에서의 상기 특정 시점에서의 수광영역과 상이하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31. 노광 기간 동안 대상체로 X선을 조사하는 X선 발생부;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 및
    상기 X선 발생부와 상기 X선 검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X선 발생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하고- 이때 상기 호를 그리는 운동은 제1 시점에 시작하고 제2 시점에 종료됨 -,
    제1 모드와 제2 모드 중 제1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X선 검출부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기간의 적어도 일부 기간 동안 상기 곡률반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원이 위치하는 평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가지는 직선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며,
    상기 제1 모드와 제2 모드 중 제2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X선 발생부와 X선 검출부는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는 운동만 수행하며,
    상기 직선운동은 상기 제1 시점과 동일하거나 더 늦은 시점인 제3 시점에 시작하고,
    상기 직선운동은 상기 제2 시점보다 동일하거나 더 빠른 시점인 제4 시점에 종료하며,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제1 차이는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4 시점 사이의 제2 차이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
  32. X선 발생부가 노광기간동안 X선을 발생시키는 단계;
    광경로 제한부가 상기 X선을 대상체로 조사하기 위해 상기 X선의 조사범위를 제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X선이 조사되는 수광영역을 포함하는 X선 검출부가 다수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X선 발생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범위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를 그리며 이동하고- 이때 상기 호를 그리는 운동은 제1 시점에 시작하고 제2 시점에 종료됨-
    상기 수광영역은 상기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간의 적어도 일부 기간 동안 상기 곡률반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원이 위치하는 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직선방향으로 직선이동되며,
    상기 직선이동은 상기 제1 시점과 동일하거나 더 늦은 시점인 제3 시점에 시작하고,
    상기 직선이동은 상기 제2 시점보다 동일하거나 더 빠른 시점인 제4 시점에 종료하며,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제1 차이는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4 시점 사이의 제2 차이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33. 제32항의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60014502A 2016-02-04 2016-02-04 X선 촬영기 및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KR101740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502A KR101740850B1 (ko) 2016-02-04 2016-02-04 X선 촬영기 및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PCT/KR2016/008602 WO2017135532A1 (ko) 2016-02-04 2016-08-04 X선 촬영기 및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US15/228,441 US10405814B2 (en) 2016-02-04 2016-08-04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anoramic imag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502A KR101740850B1 (ko) 2016-02-04 2016-02-04 X선 촬영기 및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523A Division KR20170093758A (ko) 2017-05-08 2017-05-08 X선 촬영기 및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850B1 true KR101740850B1 (ko) 2017-06-09

Family

ID=59220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502A KR101740850B1 (ko) 2016-02-04 2016-02-04 X선 촬영기 및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775A1 (ko) *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바텍 엑스선 파노라마 영상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1104A (ja) 2006-03-27 2009-09-03 オーワイ アジャット リミテッド 歯科顎外x線撮像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000315B1 (ko) * 2008-07-24 2010-12-13 (주)바텍이우홀딩스 Rpr구동방식의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
KR101032963B1 (ko) 2009-02-06 2011-05-09 주식회사바텍 파노라마 영상획득 방법 및 장치
WO2015092119A1 (en) 2013-12-18 2015-06-25 Planmeca Oy Generating dental panoramic imag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1104A (ja) 2006-03-27 2009-09-03 オーワイ アジャット リミテッド 歯科顎外x線撮像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929357B1 (ko) * 2006-03-27 2009-12-03 요 아야트 리미티드 치과용 구강외 엑스레이 영상 시스템 및 방법
KR101000315B1 (ko) * 2008-07-24 2010-12-13 (주)바텍이우홀딩스 Rpr구동방식의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
KR101032963B1 (ko) 2009-02-06 2011-05-09 주식회사바텍 파노라마 영상획득 방법 및 장치
WO2015092119A1 (en) 2013-12-18 2015-06-25 Planmeca Oy Generating dental panoramic imag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775A1 (ko) *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바텍 엑스선 파노라마 영상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7971B2 (en) X-ray CT photographic apparatus
JP7331008B2 (ja) フランクフルト平面を用いたx線医療用撮影装置のアラインメント
KR102124669B1 (ko) 부분적인 ct 이미징을 위한 장치
JP6636923B2 (ja) X線画像装置
KR20110060899A (ko) 컴퓨터 단층 x-선 촬영 수행 방법 및 장치
US20080181359A1 (en) Ct scanner including device to visually indicate area of ct scan
EP2727535A1 (e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000220A (ja) X線診断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24051B2 (en) Medical X-ray CT photography apparatus using positional shift based on rotation angle
JP6322164B2 (ja) 医療用x線撮影装置
US9044176B2 (en) Dental x-ray unit providing a cephalometric image and associated method
KR20220035717A (ko) 엑스선 촬영 장치
JP2009131656A (ja) X線撮影装置
KR101740850B1 (ko) X선 촬영기 및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KR20180072357A (ko)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및 제어방법
CN114041815A (zh) 具有可变成像视野的x射线成像***
JP2015188611A (ja) デジタルパノラマx線撮影装置及び歯科用ct装置
KR101740852B1 (ko) X선 촬영기,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및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KR101740851B1 (ko) X선 촬영기 및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KR20140044174A (ko) 엑스선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KR20170093758A (ko) X선 촬영기 및 x선 촬영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방법
KR20190090351A (ko) X-선 이미징용 x-선 이미징 유닛
US10405814B2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anoramic image using the same
RU2771467C2 (ru) Компьютерная томография и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е отображаемой области
KR101310255B1 (ko) 센서 및 직선 이송 기구를 공통 이용하는 파노라마 및 두부 계측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