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899B1 -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899B1
KR101738899B1 KR1020150166639A KR20150166639A KR101738899B1 KR 101738899 B1 KR101738899 B1 KR 101738899B1 KR 1020150166639 A KR1020150166639 A KR 1020150166639A KR 20150166639 A KR20150166639 A KR 20150166639A KR 101738899 B1 KR101738899 B1 KR 101738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information
container
data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경식
김현정
김승민
최성욱
백승엽
오태영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66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고, 고유식별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및 상기 식품용기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식품용기로부터 상기 식품에 관한 보관시간, 보관온도, 및 보관습도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상기 식품에 관한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식품용기의 센서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식품의 안전을 관리할 수 있게 해 준다.

Description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 및 시스템{Food Risk Assessment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품용기의 센서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식중독 발생 등 식품안전과 관련된 사건사고는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식품안전 사고는 원료생산단계와 제조공정에서 주로 발생하지만 물류유통과정에서도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날씨가 점차 열대성 기후로 변하기 시작하면서 보관, 수송과정에서의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최근 물류센터 온도관리 실태를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냉장냉동물류센터 모두 출입구 상단부가 온도 취약구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냉장냉동차량 온도관리 실태를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상품의 적재될 때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 상품의 변질이 생기는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고, 냉동차량의 경우 냉각기 주변을 제외하고 -18℃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며, 제품이 얼마 남지 않을 경우 냉각장치의 전원을 내리는 이들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한다. 또한 2차 선적을 위해 물류센터에서 대기할 때 온도의 이탈이 급격하게 발생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상품을 차량에 적재하기 전 식품의 온도에 맞춰 차량의 온도를 맞춰놓는 게 중요한데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식품의 보관, 수송과정에서 식품의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상황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온, 습도센서를 구비한 식품용기로부터 센서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식품의 안전을 관리할 수 있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와 연동하는 소비자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소비자에게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와 연동하는 제조생산자/유통자/판매자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식품의 제조/유통/판매자에게 자신의 제품의 전 유통과정의 온습도데이터나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고, 고유식별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및 상기 식품용기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식품용기로부터 상기 식품에 관한 보관시간, 보관온도, 및 보관습도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상기 식품에 관한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다수의 식품용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수집부,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 및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 및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식품의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는 위해성평가부, 및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고객의 사용자단말기에 설치 및 실행되어,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고객의 사용자단말기에 설치 및 실행되어, 상기 식품용기 또는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식품용기에 수납되는 식품에 관한 정보나 상기 식품이 수납되는 식품용기에 관한 정보를 입력 또는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식품의 식별정보, 상기 식품의 종류, 상기 식품의 생산, 제조 또는 유통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식품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제2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품용기는 상기 식품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서버는 상기 식품의 종류와 보관시간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식품의 유통기한 또는 섭취기한을 설정하는 기한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제공부는 상기 식품의 유통기한 또는 섭취기한에 관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품의 제조생산자용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조생산자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품용기에 수납되는 식품의 식별정보, 원산지, 생산, 재료 또는 가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식품용기에 입력하거나 상기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메뉴항목, 상기 식품용기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식품용기에 수납된 식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항목,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식품용기별 식품의 정보나 상기 식품별 생산, 가공 및 식품용기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메뉴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품의 유통자용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유통자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품용기에 수납되는 식품의 유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식품용기에 입력하거나 상기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메뉴항목, 상기 식품용기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식품용기에 수납된 식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항목,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식품용기별 식품의 정보나 상기 식품별 유통 및 식품용기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메뉴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품의 판매자용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유통자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품용기에 수납되는 식품의 판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식품용기에 입력하거나 상기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메뉴항목, 상기 식품용기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식품용기에 수납된 식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항목,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식품용기별 식품의 정보나 상기 식품별 판매 및 식품용기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메뉴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용기는 GPS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식품용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상기 식품에 관한 유통경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유통경로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통경로생성부는 식품의 생산처, 가공처, 유통처 또는 판매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지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식품용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지도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식품용기 또는 상기 식품별 유통경로를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제공부는 상기 식품에 관한 유통경로를 고객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다수의 식품용기로부터 온도 및 습도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수집부;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 및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식품의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는 위해성평가부로서, 상기 식품용기에 보관된 식품의 종류, 보관시간, 보관온도, 보관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식품의 위해성 여부를 분석하는 상기 위해성평가부; 및 상기 위해성평가부에서 분석한 상기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를 포함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다수의 식품용기로부터 온도 및 습도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 및 관리하는 단계;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식품용기에 보관된 식품의 종류, 보관시간, 보관온도, 보관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식품의 위해성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제공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품의 식별정보, 종류, 생산, 가공, 또는 유통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식품의 종류와 보관시간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식품의 유통기한 또는 섭취기한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식품의 유통기한 또는 섭취기한에 관한 정보를 고객에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 및 시스템은 온, 습도센서를 구비한 식품용기로부터 센서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식품의 안전을 관리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와 연동하는 소비자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소비자에게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여 대국민 식품 안전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와 연동하는 제조생산자/유통자/판매자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식품의 제조/유통/판매자에게 자신의 제품의 전 유통과정의 온습도데이터나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여 식품의 안전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위해성 평가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제조/생산자용 어플리케이션, 유통자용 어플리케이션, 판매자용 어플리케이션의 메인메뉴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의 웹페이지 구현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위해성 평가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위해성 평가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위해성 평가 시스템은 식품용기(10) 및 서버(20)를 포함한다. 식품용기(10)와 서버(20)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을 구성하며, 식품용기(10)는 내부의 온습도, 중량, 위치 정보 등 각종 센서데이터를 서버(20)로 전송하고, 서버(20)는 식품용기(10)로부터 센서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본 발명은 식품의 생산/제조/가공/유통/판매자가 취급하는 식품을 각종센서가 부착된 식품용기(10)에 수납함으로써, 식품의 생산부터 가공, 유통 및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전 유통과정에서 식품의 온습도 데이터를 수집, 관리, 및 분석하여 정부, 기업, 및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식품의 위험성을 관리 및 확인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10)는 내부에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식품의 보관이나 운송 시에 사용되는 보관용기 또는 이송용기로서, 메모리부(11), 온도센서(12), 습도센서(13) 및 무선통신부(15)를 포함한다.
메모리부(11)는 식품용기(10)의 고유식별정보를 저장하고, EPROM, EEPROM 등 다양한 형태의 메모리로 구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1개의 메모리가 아닌 복수 개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부(11)는 고유식별정보 이외에,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센서 데이터, 내부에 수납하는 식품에 관한 정보, 식품용기(10)의 동작에 필요한 펌웨어, 소프트웨어 등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온도센서(12)와 습도센서(13)는 각각 식품용기(1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방식의 감지소자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온도센서(12)와 습도센서(13)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메모리부(11)에 저장되는 한편, 후술하는 무선통신부(15)에 의해 외부로 전송된다.
무선통신부(15)는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것으로서 통신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무선 통신 방식, 근거리 통신 방식, 원거리 통신 방식, 각종 프로토콜 등 어느 통신 방법이든 무방하다.
무선통신부(15)는 원격에 있는 서버(20)와의 통신을 위한 제1통신모듈(15a),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제2통신모듈(15b), 및/또는 식품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모듈(15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모듈(15a)은 원격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WIFI, 3G, LTE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 및 인터넷과 같은 유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통신모듈(15b)은 WiFi, NFC, Bluetooth, 적외선 등의 통신 모듈로 구성 가능하다. 인식모듈(15c)은 바코드인식모듈, RFID 리더, NFC 모듈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무선통신부(15)는 제1통신모듈(15a), 제2통신모듈(15b), 및 인식모듈(15c)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으나, 구현 형태에 따라서 일부만 포함할 수도 있으며, 각각은 하드웨어적으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으나, 구현 형태에 따라 통합 모듈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메모리부(11)와 무선통신부(15)가 NFC 태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NFC 태그는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 데이터 저장을 위한 EEPROM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사용자단말기(30)와의 통신이나 식품의 식별정보 인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1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중량센서(14), GPS 모듈(16), 및/또는 사용자입력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량센서(14)는 식품용기(10)에 수납된 식품들의 중량을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중량데이터를 통해서 식품용기(10)에 식품이 수납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일부 식품을 용기에서 꺼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중량센서(14)는 식품용기(10)의 바닥면에 압력센서나 로드셀, 및/또는 스트레인게이지 등 다양한 중량감지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GPS 모듈(16)은 식품용기(1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식품용기(10)는 주기적으로 온습도데이터, 중량데이터, 위치데이터를 후술할 서버(20)로 전송한다.
사용자입력부(17)는 직접 식품용기(10)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버튼, 키보드,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서버(20)는 식품용기(10)의 온습도 등에 관한 센서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버(20)로서, 데이터수집부(21), 데이터관리부(23), 데이터분석부(25), 및 데이터제공부(27)를 포함한다. 서버(20)는 외부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하며, 통신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외부와의 원격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WIFI, 3G, LTE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 및 인터넷과 같은 유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수집부(21)는 식품용기(10)의 센서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식품용기(10)로부터 고유식별정보, 보관시간, 보관온도, 보관습도, 중량, 및/또는 위치정보 등을 수집한다.
데이터관리부(23)는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 및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식품용기별, 식품별, 회사별 DB, 유통경로별로 가공 및 관리하여 DB로 구축한다.
서버(20)는 식품용기(10)나 사용자단말기(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식품과 식품용기(10)를 매칭할 수 있는 정보(즉, 해당 식품이 어떤 식품용기(10)에 보관중인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를 처리한다.
여기서, 식품에 관한 정보는 식품의 식별정보, 식품의 종류, 식품의 생산, 제조 또는 유통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식품이 원산지에서 식품용기(10)에 담겨서 판매처까지 한번에 운송되는 경우에는 해당 식품용기(10)의 온습도데이터만 가지고도 위해성 분석이 가능하지만, 식품이 원산지에서 제1식품용기에 담겨서 가공처까지 운송된 후에, 가공처에서 가공 처리 후에 제2식품용기에 담겨져서 판매처까지 운송되는 경우와 같이, 여러 개의 식품용기(10)를 거쳐서 판매처까지 오게 되는 경우에는 해당 식품인 담겨졌던 모든 식품용기(10)의 온습도데이터를 확인해야 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관리부(23)는 식품별 식품용기(10)의 센서데이터를 검색, 가공하거나 식품용기별 식품정보를 검색, 가공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데이터분석부(25)는 수집한 데이터의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수집한 온습도데이터 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식품의 온습도 데이터, 식품용기(10)의 온습도 데이터, 식품의 위해성 여부, 식품의 유통기한, 섭취기한 등의 설정, 유통경로 등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분석부(25)는 위해성평가부(25a), 기한설정부(25b), 및/또는 유통경로생성부(25c)를 포함한다.
위해성평가부(25a)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 과정의 온습도데이터에 기초하여 식품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식품의 종류와 보관시간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따라 위해성을 분석할 수 있는 함수식이 포함된 다양한 위해성평가모델을 구축해 놓고 있다. 위해성평가부(25a)는 식품의 종류, 가공형태 등에 따라 평가모델을 선택한 후, 식품의 온습도 데이터 등 변수를 평가모델에 입력하여 위해성 평가 데이터를 산출한다. 식품의 위해성 평가는 식품의 부패 등으로 섭취 시 문제가 발생할 확률을 복수의 레벨로 도출할 수 있다.
기한설정부(25b)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판매 과정의 온습도데이터에 기초하여 식품의 유통기한이나 섭취기한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식품의 종류와 보관시간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따라 기한을 산출한다. 기한설정부(25b)는 식품의 종류와 보관시간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따라 유통기한이나 섭취기한을 설정할 수 있는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식품의 종류나 온습도 데이터를 입력하여 기한을 산출한다.
식품은 유통기한이 포장에 표시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개별 식품의 보관 온습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다 개별적이고 정확한 유통기한 또는 섭취기한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유통업자, 판매업자, 소비자에게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식품의 식중독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유통경로제공부는 식품용기(1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식품에 관한 유통경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식품의 생산처, 가공처, 유통처 또는 판매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지도정보를 미리 구축하고 있으며, 수집한 식품용기(10)의 위치정보를 지도정보와 매칭하여 식품용기(10) 또는 식품별 유통경로를 생성한다.
데이터제공부(27)는 분석한 데이터를 고객 즉, 정부, 기업, 및/또는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고객이 요청하는 식품에 관한 생산/가공/유통/판매 정보, 식품의 전 유통과정 중의 온습도데이터, 식품 위해성 정보, 식품의 유통기한, 섭취기한, 유통경로에 관한 정보 등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위해성 평가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30)는 고객 단말기로서, 식품의 온습도데이터, 위해성 평가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30)에 설치 및 실행되는 것으로, 예컨대 PDA, 스마트폰과 같은 보편적인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기(30)는 식품용기(10) 및/또는 서버(2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31), 어플리케이션(33)이 저장되는 메모리(미도시), 어플리케이션(33)이 실행되는 프로세서(미도시) 및/또는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GPS부(35)를 포함한다. 사용자단말기(30)는 식품용기(10)와 NFC 통신 또는 WIPI, 블루투스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서버(20)와는 WIFI, 3G, LTE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어플리케이션(33)은 기능에 따라, 소비자용 어플리케이션, 제조/생산자용 어플리케이션, 유통자용 어플리케이션, 판매자용 어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어플리케이션(30)의 기능은 필요에 따라 일부 공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33)의 기능 및 메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소비자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소비자용 어플리케이션은 서버(20)와의 연동을 통해 식품의 위해성 여부나 유통 과정에서의 온습도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으며, 도 3의 (a)와 같이 식품확인메뉴, 위해성확인메뉴, 온습도정보확인메뉴, 유통경로확인메뉴, 및/또는 신고메뉴를 포함한다.
식품확인메뉴는 식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로서, 소비자는 확인하고자 하는 식품의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식품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식품의 식별정보 입력은 식품의 포장지 등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나 QR코드 등을 카메라로 인식하거나 제품번호 등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도 3의 (b)는 식품확인메뉴 선택 후의 실행화면의 일 예로서, 어플리케이션(33)은 서버(20)와의 통신을 통해 식품의 식별정보와 함께 식품확인요청을 서버(20)로 전송하고, 서버(20)가 해당 식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단말기(30)로 전송하면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해당 정보를 표시해준다. 여기서, 표시되는 식품의 정보는 식품명, 생산, 재료, 가공, 조리법 등의 정보가 될 수 있다.
도 3의 (c)는 위해성확인메뉴 선택 후의 실행화면의 일 예로서, 어플리케이션(33)은 서버(20)와의 통신을 통해 식품의 식별정보와 함께 위해성 확인요청을 서버(20)로 전송하고, 서버(20)가 해당 식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 분석하여 위해성 평가정보를 사용자단말기(30)로 전송하면 어플리케이션(33) 화면에 위해성 평가정보를 표시해준다. 화면에 표시되는 위해성 평가정보는 식품의 안전 여부에 대한 정보 이외에 섭취기한 정보나 유통기한 정보, 보관방법 정보가 함께 또는 별도로 안내될 수 있다.
도 3의 (d)는 온습도정보확인메뉴 선택 후의 실행화면의 일 예로서, 어플리케이션(33)은 서버(20)와의 통신을 통해 식품의 식별정보와 함께 온습도정보확인요청을 서버(20)로 전송하고, 서버(20)가 해당 식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 분석하여 온습도정보를 사용자단말기(30)로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온습도정보를 표시해준다. 온습도정보는 도 3의 (d)와 같이 날짜에 따른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하여 표시해줄 수 있다.
도 3의 (e)는 유통경로확인메뉴 선택 후의 실행화면의 일 예로서, 어플리케이션(33)은 서버(20)와의 통신을 통해 식품의 식별정보와 유통경로확인요청을 서버(20)로 전송하고, 서버(20)가 해당 식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 분석하여 유통경로를 분석하여 사용자단말기(30)로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유통경로를 표시해준다. 식품의 유통경로는 지도에 매핑되어 표시되어 사용자가 쉽게 지도상에서 유통날짜나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래에는 식품용기(10)에서 식품이 담겨지거나 옮겨진 위치에 대한 업체 정보, 날짜 정보, 식품이 담겨졌던 식품용기정보 등이 리스트로 표시되어 소비자가 해당 식품의 유통전과정에 대한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한편, 도 3의 (a)에는 신고메뉴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식품의 위해성 확인 결과 안전하지 않다는 분석결과를 받은 경우, 해당 식품의 위험성을 신고하는 메뉴로서, 매장에서 구매하기 전이라면 해당 신고 내역이 서버(20)로 전송되고 서버(20)에서는 해당 매장(판매처)로 신고내역을 전송함으로써, 판매매장에서 해당 식품을 판매하지 않도록 바로 처리할 수 있다. 만약, 소비자가 매장에서 구매한 후에 해당 식품이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한 경우라면, 해당 식품을 신고하여 서버(20)로 전송하면 서버(20)에서 해당 매장에 관련 신고사항을 매장으로 전송하여 반품 등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동일 식품용기(10)에 담겨왔던 식품 등에 대해서도 매장에서 조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식품의 제조/생산자용 어플리케이션, 유통자용 어플리케이션, 판매자용 어플리케이션의 메인메뉴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조/생산자용 어플리케이션은 식품용기(10)에 수납되는 식품의 식별정보, 원산지, 생산, 재료 또는 가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식품용기(10)에 입력하기 위한 메뉴항목, 서버(20)에 등록하기 위한 메뉴항목, 상기 식품용기(10)와의 통신을 통해 식품용기(10)에 수납된 식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항목, 서버(20)와의 통신을 통해 식품용기별 식품의 정보나 식품별 생산, 가공 및 식품용기(10)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메뉴항목을 포함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식품용기입력' 메뉴는 제조/생산자가 식품용기(10)에 식품을 담기 전 또는 담은 후에 식품용기(10)에 해당 식품에 관한 식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20)에서 식품에 관한 온습도정보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식품이 담긴 식품용기(10)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취해질 수 있는데, '식품용기입력' 메뉴는 식품용기(10)에 식품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식품용기(10)가 센서데이터와 함께 식품식별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하는 방법을 구현할 때 활용할 수 있다. '식품용기입력' 메뉴 이외에 식품용기(10)에 담긴 식품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메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조/생산자용 어플리케이션은 제조/생산자의 기업에서 사용하는 식품관리프로그램과 연동하도록 구현하여, 식품용기(10)에 담고자 하는 식품정보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 기업에서 사용하는 관리프로그램에서 출고하는 식품 정보를 불러와서 이를 간단히 체크함으로써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서버에 생산정보등록' 메뉴는 식품의 생산정보나 식별정보, 식품용기(10)의 식별정보 등을 서버(20)에 등록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생산자의 기업에서 사용하는 식품관리프로그램과 연동하도록 구현한다면 출고하는 식품에 관한 정보를 간단히 등록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제품명에 식품정보가 공통되므로, 서버(20)에서 제품명에 따른 식품정보를 DB로 구축하고, 제조/생산자의 기업에서 제품명만 등록하도록 한다. '서버에 생산정보등록' 메뉴는 서버(20)에 식품식별정보 이외에 해당 식품이 담긴 식품용기(10) 식별정보도 등록할 수 있도록 하여, 서버(20)에서 식품에 관한 온습도정보를 추적할 수 있게 해 준다. 서버(20)에 식품용기(10) 식별정보를 등록하게 하는 경우에는, 식품용기(10)에 식품식별정보를 입력할 필요는 없으므로 메뉴 구성은 필요에 따라 달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서버(20)에 식품용기(10)에 관한 정보를 등록할 때, 사용자단말기(30)의 GPS부(35)의 위치정보도 자동으로 함께 등록하도록 하여 식품용기(10)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등록할 수도 있다.
'식품정보확인' 메뉴는 제조/생산자가 본인이 제조/생산하여 서버(20)에 등록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하기 위한 메뉴로서, 식품리스트에서 원하는 식품을 클릭하면 해당 식품에 대한 온습도, 유통경로, 판매 등 상세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식품정보확인' 메뉴의 서브메뉴는 전술한 소비자용 어플리케이션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더 나아가, 제조/생산자자 제조/생산한 식품의 유통 과정에서 문제는 없었는지 안전한지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서버(20)는 식품의 제품명별로 온습도데이터의 통계데이터를 분석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식품의 유통자용 어플리케이션은 식품용기(10)에 수납되는 식품의 유통에 관한 정보를 식품용기(10)에 입력하거나 서버(20)에 등록하기 위한 메뉴항목, 식품용기(10)와의 통신을 통해 식품용기(10)에 수납된 식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항목, 서버(20)와의 통신을 통해 식품용기별 식품의 정보나 식품별 유통 및 식품용기(10)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메뉴항목을 포함한다. 이러한 메뉴구성과 기능은 전술한 제조/생산자용 어플리케이션의 메뉴와 유사하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식품의 판매자용 어플리케이션은 식품용기(10)에 수납되는 식품의 판매에 관한 정보를 식품용기(10)에 입력하거나 서버(20)에 등록하기 위한 메뉴항목, 식품용기(1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식품용기(10)에 수납된 식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항목, 서버(2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식품용기별 식품의 정보나 식품별 판매 및 식품용기(10)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메뉴항목을 포함한다. 이러한 메뉴구성과 기능은 전술한 제조/생산자용 어플리케이션의 메뉴와 유사하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다시 참조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는 도 2의 서버(20)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는 식품용기(10)의 온습도 등에 관한 센서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웹서버로서 고객이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식품에 관한 정보나 통계 데이터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고객의 어플리케이션(30)에 설치된 전용 사용자단말기(30)과 연동하여 식품의 위해성 정보나 식품의 유통정보, 온습도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는 데이터수집부(21), 데이터관리부(23), 데이터분석부(25), 및 데이터제공부(27)를 포함하고, 데이터분석부(25)는 위해성평가부(25a), 기한설정부(25b), 및/또는 유통경로생성부(25c)를 포함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도 2의 서버(2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의 웹페이지 구현 예를 도시한 것으로, 메인메뉴는 식품과 식품용기(10)로 나뉘고, 식품메뉴는 서브메뉴로서 식품정보, 온습도정보, 유통경로, 위해성정보 등의 서브메뉴항목을 포함하고, 식품용기메뉴는 식품용기정보, 위치정보, 사용회사정보 등의 서브메뉴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의 웹페이지는 식품의 제조/생산자/유통/판매자 등 고객의 유형에 따라 메뉴를 달리해서 제공할 수도 있다. 식품의 제조/생산자/유통/판매자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에서 제공하는 식품별 온습도 데이터나 생산, 유통 데이터, 식품용기별 데이터나 통계 데이터를 확인하여 자신의 식품들이 안전하게 유통되는지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위해성 평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는 다수의 식품용기(10)로부터 온습도 데이터를 수집한다(S10). 여기서,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는 식품용기(10)로부터 담긴 식품의 식별정보를 함께 수집할 수도 있고, 식품의 제조, 생산, 유통, 판매자용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식품의 식별정보, 종류, 생산, 가공, 또는 유통에 관한 정보, 식품용기(10)의 식별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는 수집한 데이터를 식품별, 식품용기별 가공 및 관리한다(S11). 이를 통해 식품의 전 유통과정에 관한 온습도데이터를 추적할 수 있다.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는 고객의 사용자단말기(30)로부터 특정 식품에 관한 정보 확인요청이 수신되면(S13), 해당 식품에 관한 데이터를 검색, 분석한다(S15).
사용자단말기(30)로부터 요청되는 정보가 위해성 평가 정보, 유통경로정보, 온습도데이터, 식품정보, 식품용기정보 등이 될 수 있으며,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는 요청한 정보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에게 분석한 정보를 제공한다(S17).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정보가 요청된 경우, 식품용기(10)에 보관된 식품의 종류, 보관시간, 보관온도, 보관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식품의 위해성 여부를 분석하여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한다.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는 식품의 유통기한이나 섭취기한에 관한 정보가 요청된 경우, 식품의 종류와 보관시간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식품의 유통기한 또는 섭취기한을 분석하여 고객에게 제공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식품이나 구매한 식품이 섭취해도 안전한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식품의 제조/생산/유통/판매업자들은 식품의 전 유통과정의 온습도데이터를 모니터링, 추적하여 식품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에서 수집한 데이터나 분석한 데이터를 정부에 제공하는 경우, 정부는 유통되는 식품에 관한 온습도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활용하여 식중독의 사전 예방 등 국민의 건강관리증진에 더욱 힘쓸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식품 용기 15: 무선통신부
20: 서버 25: 데이터분석부
30: 사용자단말기

Claims (19)

  1.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고, 고유식별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온도센서, 습도센서, 중량센서, GPS 모듈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식품용기; 및
    상기 다수의 식품용기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다수의 식품용기로부터 수납된 식품의 식별정보, 보관시간, 보관온도, 중량, 및 보관습도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식품별 보관시간, 보관온도, 및 보관습도를 검색 및 분석하여 상기 식품에 관한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식품용기는 상기 식품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다수의 식품용기의 GPS 모듈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상기 식품의 유통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다수의 식품용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수집부,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 및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식품의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는 위해성평가부, 상기 다수의 식품용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상기 식품에 관한 유통경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유통경로생성부; 및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 및 유통경로에 관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고객의 사용자단말기에 설치 및 실행되어,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고객의 사용자단말기에 설치 및 실행되어, 상기 식품용기 또는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식품용기에 수납되는 식품에 관한 정보나 상기 식품이 수납되는 식품용기에 관한 정보를 입력 또는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식품의 식별정보, 상기 식품의 종류, 상기 식품의 생산, 제조 또는 유통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식품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시스템.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제2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용기는 상기 식품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식품의 종류와 보관시간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식품의 유통기한 또는 섭취기한을 설정하는 기한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제공부는 상기 식품의 유통기한 또는 섭취기한에 관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품의 제조생산자용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조생산자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품용기에 수납되는 식품의 식별정보, 원산지, 생산, 재료 또는 가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식품용기에 입력하거나 상기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메뉴항목, 상기 식품용기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식품용기에 수납된 식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항목,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식품용기별 식품의 정보나 식품별 생산, 가공 및 식품용기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시스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품의 유통자용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유통자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품용기에 수납되는 식품의 유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식품용기에 입력하거나 상기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메뉴항목, 상기 식품용기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식품용기에 수납된 식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항목,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식품용기별 식품의 정보나 식품별 유통 및 식품용기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시스템.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품의 판매자용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판매자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식품용기에 수납되는 식품의 판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식품용기에 입력하거나 상기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메뉴항목, 상기 식품용기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식품용기에 수납된 식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항목,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식품용기별 식품의 정보나 식품별 판매 및 식품용기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시스템.
  13. 삭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경로생성부는 식품의 생산처, 가공처, 유통처 또는 판매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지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식품용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지도정보와 매칭하여 식품용기별 또는 식품별 유통경로를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제공부는 상기 식품에 관한 유통경로를 고객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시스템.
  15. 다수의 식품용기로부터 수납된 식품의 식별정보, 온도, 습도, 중량, 및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수집부;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 및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
    상기 다수의 식품용기의 GPS 모듈로부터 수집한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식품의 유통경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유통경로생성부;
    수집 및 가공된 데이터에서 식품별 보관시간, 보관온도, 및 보관습도를 검색 및 분석하여 식품의 위해성 여부를 분석하는 위해성평가부; 및
    상기 위해성평가부에서 분석한 상기 식품의 위해성 평가 정보 및 유통경로에 관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를 포함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의 종류와 보관시간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식품의 유통기한 또는 섭취기한을 설정하는 기한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제공부는 상기 식품의 유통기한 또는 섭취기한에 관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경로생성부는 식품의 생산처, 가공처, 유통처 또는 판매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지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식품용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지도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식품에 관한 유통경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제공부는 상기 식품에 관한 유통경로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고객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
  18. 삭제
  19. 삭제
KR1020150166639A 2015-11-26 2015-11-26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 및 시스템 KR101738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639A KR101738899B1 (ko) 2015-11-26 2015-11-26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639A KR101738899B1 (ko) 2015-11-26 2015-11-26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899B1 true KR101738899B1 (ko) 2017-06-09

Family

ID=59220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639A KR101738899B1 (ko) 2015-11-26 2015-11-26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8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43236A (zh) * 2023-09-01 2023-10-03 山东每日好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食品存储监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43236A (zh) * 2023-09-01 2023-10-03 山东每日好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食品存储监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052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reshness information
US201803740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products transported in shipping containers
US201803420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Quality Monitoring of Assets
JP6707470B2 (ja) 製品流通を改善するためのインテリジェント経路指定コード
US103396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supply chain information to a consumer
US102423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 inventory of products purchased by customers from a retailer
KR101876721B1 (ko) 온도관리물류(콜드체인) 솔루션을 추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70372260A1 (en) Environmental parameter monitor with machine readable display
CN104709717A (zh) 一种食品包装***
WO2017026142A1 (ja) 配送管理システム及び配送管理方法
KR20120113202A (ko) Rfid 및 센싱 기술을 활용한 온습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2516A (ko) 생산물 통합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01889A (ko) 빅데이터를 통한 배송제품 온도조건 고려 최적 서비스 방법 및 패키징 장치
JP2006290617A (ja) 物品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物品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093990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esenting information about products based on movement of the products
JP2017057043A (ja) 物品管理システム、物品管理装置、物品管理方法および物品管理プログラム
WO2011092727A1 (en) Traceability system for buffalo mozzarella, from source to consumption
US20150170111A1 (en) Management of environmentally sensitive item disposition
KR101738899B1 (ko) 식품의 위해성 평가 장치 및 시스템
US20180285913A1 (en) Promotion based on item interaction
US20140136430A1 (en) Product integrity monitor
JP2004246887A (ja) 商品識別システム
US202401851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ventory management
KR101378834B1 (ko) 물류운영시스템의 배송이력정보 관리장치
US202303857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circulation process of heat insulation unit, method and apparatus for weighing and scanning, and original ware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