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631B1 -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방법 - Google Patents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631B1
KR101736631B1 KR1020150184516A KR20150184516A KR101736631B1 KR 101736631 B1 KR101736631 B1 KR 101736631B1 KR 1020150184516 A KR1020150184516 A KR 1020150184516A KR 20150184516 A KR20150184516 A KR 20150184516A KR 101736631 B1 KR101736631 B1 KR 101736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iron
reducing agent
heating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선형
장한수
김형석
김현
정용수
박헌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4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C21B3/06Treatment of liquid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01D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05Separation by a physical processing technique only, e.g. by mechanical brea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4Working-up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200/00Recycling of non-gaseous wast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제철 부산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철 부산물에 환원제와 FeOX 및 MnOX 중 1종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공기 또는 산소 분위기 하 가열하여 고상 탈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방법{METHOD FOR RECYCLING BYPRODUCT OF IRON AND STEEL INDUSTRY}
본 발명은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제철 부산물로는 크게 슬래그, 슬러지, 더스트 등으로 구분되며, 부가가치 증대 및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다양하게 재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제철 부산물 중 일부는 황(S) 등 유해성분의 함량이 높아 제강 원료로는 이용되지 못하고, 제선 원료로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여러 목적 중 하나는, 황(S) 등 유해성분의 함량이 높은 제철 부산물을 제강 원료로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철 부산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철 부산물에 환원제와 FeOX 및 MnOX 중 1종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공기 또는 산소 분위기 하 가열하여 고상 탈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여러 효과 중 하나로서, 황(S) 등 유해성분의 함량이 높은 제철 부산물을 제강 원료로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여러 효과 중 하나로서, 고상 탈황이 가능하여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철 부산물을 준비한다.
제철 부산물은 철강 제조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철 성분을 함유한 슬래그, 슬러지, 더스트 등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면, 제강 더스트, 고로 더스트, 소결 더스트 및 선분정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제철 부산물 중 일부는 황(S) 등 유해성분의 함량이 높아 직접환원철(DRI)로 가공시 제강 원료로는 이용되지 못하고, 제선 원료로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제한되지 않는 일 예에 따르면, 제철 부산물은 20중량% 이상의 철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철 부산물이 20중량% 미만의 철을 포함할 경우 금속 성분이 다량 함유된 제강 부산물을 추가적으로 혼합하여 제강 부산물의 총 금속 함량이 20 중량% 이상 되도록함이 바람직하다.
제한되지 않는 일 예에 따르면, 제철 부산물은 중량%로, 제강 더스트: 10~30%, 소결 더스트: 10~30%, 선분정광: 40~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제철 부산물에 함유된 철의 함량을 20중량% 이상으로 조절하기 위함으로써, 상기의 목적만 달성할 수 있다면 이들의 함량 범위는 필요에 따라 일부 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철 부산물에 환원제와 FeOX 및 MnOX 중 1종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다.
제한되지 않는 일 예에 따르면, 100g의 제철 부산물에 대하여, 환원제: 20g 이하(0g 제외) 및 FeOX 및 MnOX 중 1종 이상: 합계 10g 이하(0g 제외)를 포함할 수 있다.
환원제
환원제는 후속 공정인 고상 탈황 공정에서 Fe2O3 혹은 Fe3O4를 Fe로 환원시키면서 S를 SO2로 전환시켜 탈황시키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환원제는 탄소계 환원제, 예컨대, 코크스, 석탄 및 그라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일 수 있다.
만약, 환원제의 함량이 과다할 경우 일부 환원제가 반응되지 않고 잔존하여 불순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측면에서 환원제의 함량은 100g의 제철 부산물에 대하여 20g 이하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환원제의 함량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충분한 탈황 효과를 얻기 위한 측면에서 100g의 제철 부산물에 대하여 1g 이상으로 할 수는 있다.
FeO X MnO X 중 1종 이상
제철 부산물 내 황은 일반적으로 S, CaS, FeS 등의 형태로 존재하는데, 이 중 CaS는 산화 분위기 하 CaSO4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탈황 후 제철 부산물 내 불순물의 함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탈황 온도를 충분히 높여 용융 탈황을 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잇다. 혼합물 내 FeOX 및 MnOX 중 1종 이상을 첨가할 경우, 예컨대, 하기 식 1 또는 식 2와 같은 반응을 통해 CaS의 상변화를 가져와 효과적인 탈황의 유도가 가능하다.
[식 1] CaS + FeO → FeS + CaO, 2FeS + 3O2 → 2FeO + 2SO2
[식 2] CaS + 2MnOX + xO2 → Ca(MnO4)2 + SO2
다만, FeOX 및 MnOX 중 1종 이상의 함량의 합이 과다할 경우 일부가 반응되지 않고 잔존하여 불순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들의 함량의 합은 100g의 제철 부산물에 대하여 10g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들 함량의 합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충분한 탈황 효과를 얻기 위한 측면에서 100g의 제철 부산물에 대하여 1g 이상으로 할 수는 있다.
다음으로, 혼합물을 공기 또는 산소 분위기 하 가열하여 고상 탈황한다. 이 경우, 제철 부산물에 함유된 황은 아래 식 3 내지 5과 같은 반응에 의해 탈황될 수 있다.
[식 3] 2CaS + 3O2 → 2CaO + 2SO2(g)
[식 4] 2FeS + 3O2 → 2FeO + 2SO2(g)
[식 5] S + O2 → SO2(g)
제한되지 않는 일 예에 따르면, 고상 탈황은 유동로, 로터리 킬른, 회전상식환원로(RHF, Rtary Hearth Furnace), 가스로, 관상로 등에서 이뤄질 수 있다.
제한되지 않는 일 예에 따르면, 가열 온도는 800~1550℃일 수 있다. 만약, 가열 온도가 800℃ 미만일 경우 탈황이 충분히 일어나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반면, 1550℃를 초과할 경우 탈황에는 유리하나,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제한되지 않는 일 예에 따르면, 가열 시간은 30분 내지 2시간일 수 있다. 만약, 가열 시간이 30분 미만일 경우 탈황이 충분히 일어나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반면, 2시간을 초과할 경우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제한되지 않는 일 예에 따르면, 탈황된 혼합물이 50중량% 이상의 철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탈황된 혼합물을 제강 공정 원료로 활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되지 않는 일 예에 따르면, 탈황된 혼합물이 50중량% 미만의 철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탈황된 혼합물을 직접환원철(DRI, Direct Reduced Iron) 제조 원료로 활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실시예 )
제강 더스트 6.5g, 선분정광 38.5g, 소결 더스트 5g 혼합된 원료 50 g 에 환원제(미분탄) 1g 및 Fe2O3 1g을 배합한 후, 900℃에서 100vol%O2 분위기 하 30분간 고상 탈황을 실시하였다. 이들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에 의해 탈황을 실시할 경우, 제강 부산물 중 황(S) 등 유해성분의 함량을 크게 저감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 (중량%)
T.Fe CaO SiO2 Al2O3 MgO S C
탈황 전 48.8 16.8 6.6 5.2 1.9 0.41 5.01
탈황 후 57.7 15.9 5.2 5.6 1.8 0.06 0.73

Claims (8)

  1. 제철 부산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철 부산물에 환원제와 FeOX 및 MnOX 중 1종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공기 또는 산소 분위기 하 가열하여 고상 탈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철 부산물은 제강 더스트, 고로 더스트, 소결 더스트 및 선분정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철 부산물은 20중량% 이상의 철을 포함하는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철 부산물은 중량%로, 제강 더스트: 10~30%, 소결 더스트: 10~30%, 선분정광: 40~80%를 포함하는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100g의 제철 부산물에 대하여, 환원제: 20g 이하(0g 제외) 및 FeOX 및 MnOX 중 1종 이상: 합계 10g 이하(0g 제외)를 포함하는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탄소계 환원제인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시, 가열 온도는 800~1550℃인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시, 가열 시간은 30분 내지 2시간인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방법.
KR1020150184516A 2015-12-23 2015-12-23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방법 KR101736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516A KR101736631B1 (ko) 2015-12-23 2015-12-23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516A KR101736631B1 (ko) 2015-12-23 2015-12-23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631B1 true KR101736631B1 (ko) 2017-05-17

Family

ID=5904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516A KR101736631B1 (ko) 2015-12-23 2015-12-23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63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6896A (ko)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클링커 조성물,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5071B1 (ko) 브리켓 및 그 제조 방법
KR102073832B1 (ko) 커피박을 활용한 직접환원철 제조용 펠렛 및 이를 이용한 직접환원철 제조방법
KR20140079224A (ko) 환원철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05755195B (zh) 一种从高硅铁矿直接制备钢水的方法
KR101736631B1 (ko) 제철 부산물의 재활용방법
WO2014027480A1 (ja) 高炉吹込み炭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88338A (ko) 밀스케일을 이용한 스크랩 대용재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브리켓 및 브리켓을 이용한 철환원방법
KR101777208B1 (ko) 유가 금속 회수방법
KR101366835B1 (ko) 탈황더스트를 이용한 시멘트 조성물
KR101858841B1 (ko) 케이알 파우더를 활용한 sng 가스화기 운전온도 저감 방법
KR101267642B1 (ko) 내열 시멘트의 제조방법
KR20190081980A (ko) 폐기물을 이용한 직접환원철의 제조방법
KR101123494B1 (ko) 실리콘-카본-철계 용탕 발열제의 조성물
KR102122009B1 (ko) 제강용 가탄제 및 제강방법
KR101320083B1 (ko) 전기로 환원 슬래그를 이용한 함철 브리켓 제조용 바인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3514B1 (ko) 소다회 단광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로 정련방법
KR100668158B1 (ko) 오일함유 열연슬러지를 이용한 직접환원철 제조방법
KR101552142B1 (ko) 탈린재 및 이를 이용한 용철 처리 방법
KR102306415B1 (ko) 고함철 단광, 이에 포함되는 유기 바인더 및 고함철 단광의 제조 방법
KR100399234B1 (ko) 고로슬래그 첨가에 의한 열연오일슬러지의 환원철 제조방법
KR102179976B1 (ko) 용철 제조 방법
KR100415649B1 (ko) 열연오일슬러지를 이용한 제강용 스크랩대용제 제조방법
KR920010529B1 (ko) 예비환원 크롬광석펠릿제조용 배합원료
KR20220149648A (ko) 철강 부산물을 이용한 칼슘-페라이트계 플럭스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