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470B1 -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 시연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 시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470B1
KR101735470B1 KR1020160156786A KR20160156786A KR101735470B1 KR 101735470 B1 KR101735470 B1 KR 101735470B1 KR 1020160156786 A KR1020160156786 A KR 1020160156786A KR 20160156786 A KR20160156786 A KR 20160156786A KR 101735470 B1 KR101735470 B1 KR 101735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ost
movement
fix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60156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 시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설치되고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디스플레이(P)의 적어도 어느 한쪽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포스트(13,13')와, 상기 한 쌍의 고정포스트(13,13')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포스트(13,13')를 따라 직선이동가능한 한 쌍의 이동포스트(20)와, 상기 이동포스트(20)에 상기 이동포스트(20)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디스플레이(P)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한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P)를 감거나 펼치는 롤링어셈블리(30)와,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포스트(13,13'), 이동포스트(20) 및 디스플레이(P)를 감싸는 투명케이스(1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 시연장치{Bending and rolling demonstration device for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시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말아 감거나, 접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의 작동여부를 시연하기 위한 시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시디(LCD :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및 EL(electroluminescence) 등은 FPD(평판 디스플레이)의 한 종류로 저소비 전력, 경량화 및 평면화 특성을 가지므로 텔레비전, 컴퓨터 및 휴대전화기 등의 모니터뿐만 아니라 자동차 및 항공기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 업계에서는 유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단순히 휘어질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일정 정도 이상의 휘어짐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 및 구동안정성을 가져야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휘어진 상태 또는 감긴 상태와, 반대로 다시 펼쳐진 상태에서도 정상적인 영상을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정상적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휘어짐이 가능한 정도, 즉 휨특성(Flexibility)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갖는 중요한 성능 중 하나이다.
특히, 최근에는 디스플레이를 완전히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foldable display) 및 종이처럼 말아서 사용할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erble display)를 기술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폴더블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시연에 있어, 이러한 접힘특성 및 휨특성을 시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디스플레이에는 디스플레이의 구동을 위한 부품, 예를 들어 외부와의 접속을 위한 기판이나 커넥터 등의 부품도 설치되는데, 이러한 부품들은 디스플레이와 달리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지 못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접힘특성 및 휨특성을 강조하면서 이를 시연하고자 할 때, 이들 부품에는 과도한 굽힘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기존의 검사장치나 시연장치는 티비화면과 같이 좌우로 긴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를 검사하거나 시연하는 장치가 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긴 대형 화면이 널리 사용되고 있어 이러한 장치를 검사하고 시연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KR 10-2014-013982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접거나 감으면서 디스플레이의 휨특성을 시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감거나 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에 구비된 기판 등 부품에는 휨모멘트가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고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어느 한쪽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포스트와, 상기 한 쌍의 고정포스트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포스트를 따라 직선이동가능한 한 쌍의 이동포스트와, 상기 이동포스트에 상기 이동포스트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한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감거나 펼치는 롤링어셈블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포스트, 이동포스트 및 디스플레이를 감싸는 투명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포스트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구비된 접속수단과 결합하여 이를 고정하는 커넥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롤링어셈블리는 상기 커넥터수단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의 일단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한다.
상기 롤링어셈블리는 상기 이동포스트의 가이드슬롯을 따라 직선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구동원과, 상기 회전구동원와 함께 가이드슬롯을 따라 직선이동되고 회전구동원에 의해 회전가능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단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서로 상대이동되어 간격을 달리하면서 그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선택적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를 상대이동시키는 고정구동원을 포함한다.
상기 롤링어셈블리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감거나 펼칠 때 상기 이동포스트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접속수단에 가해지는 휨모멘트를 감소시킨다.
상기 롤링어셈블리는 상기 이동포스트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포스트의 가이드슬롯을 따라 직선이동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포스트에는 상기 이동포스트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포스트의 직선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이동구동원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이동구동원은 동기화되어 상기 이동포스트를 일정한 속도 및 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킨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 시연장치 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시연장치는 세로 방향으로 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감거나 다시 펼치면서 디스플레이를 시연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이러한 시연은 디스플레이에 구동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디스플레이의 홍보 및 광고효과가 보다 즉각적이고 크게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감거나 펼칠 때 이동포스트가 직선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의 접속수단 주변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준다. 따라서, 접속수단에 과도한 휨모멘트가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고, 시연과정에서 디스플레이 본체를 제외한 주변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시연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실시례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시연장치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실시례에서 케이스와 한쪽의 고정포스트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2의 실시례를 이용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롤링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롤링하는 동작과정에서 롤링어셈블리의 이동궤적을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참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이하'디스플레이(P)'라 함)의 구조 및 접힘조건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디스플레이(P)가 완전히 펼쳐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데, 디스플레이(P)는 평판으로 구성되되, 플렉서블한 재질로 만들어져 접힐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디스플레이(P)의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접속수단(P1,P2)이 구비되는데, 이는 디스플레이(P)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다른 부품, 예를 들어 커넥터나 전원부품 등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참고로, 접속수단(P1,P2)은 디스플레이(P)의 측면에 설치된 측면접속부(P1)와 하부 또는 상부에 설치된 하부접속부(P2)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례를 설명하면, 디스플레이(P)의 벤딩 및 롤링시연장치(이하 '시연장치'라 함)는 피시연물인 디스플레이(P)를 감거나 휘고, 반대로 작동하여 원형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시연장치는 디스플레이(P)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디스플레이(P)를 시연하여 광고 및 홍보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시연장치의 외관 및 골격은 메인프레임(10)이 형성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도 2에서 보듯이 하부의 하부몸체(도면부호 미부여)와, 하부몸체의 상부로 연장되는 투명케이스(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투명케이스(100)는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져 외부에서도 내부의 디스플레이(P) 상태를 육안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P)를 시연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디스플레이(P)가 투명디스플레이라면, 시연자는 시험장치의 전면뿐 아니라 후면에서도 디스플레이(P)를 관찰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P)가 두 겹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시험장치의 전면뿐 아니라 후면에 위치한 시연자는 서로 다른 화면을 볼 수도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P)의 설치나, 시연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투명케이스(100)를 하부몸체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에는 고정포스트(13,13')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포스트(13,13')는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직교한 방향으로 세워진다. 상기 고정포스트(13,13')는 상기 메인프레임(10)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데,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고정포스트(13,13')는 서로 이격되고 그 사이에 디스플레이(P)가 위치한다. 상기 고정포스트(13,13')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포스트(20)가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포스트(13,13')는 상기 메인프레임(10)에 한 쌍으로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시연장치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대형 디스플레이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고정포스트(13,13') 중에서 어느 한 쪽(13)에는 커넥터수단(15)이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수단(15)은 상기 디스플레이(P)의 접속수단(P1,P2), 보다 정확하게는 하부접속부(P2)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P)에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넥터수단(15)에는 결합홈(16)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6)에 디스플레이(P)의 하부접속부(P2)가 삽입된다. 상기 커넥터수단(15)은 도 2에서 보듯이 고정포스트(13)에서 돌출되게 구비될 수도 있지만, 내부로 요입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수단(15)은 다수개의 전기커넥터가 결합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상기 고정포스트(13,13')에는 이동수단(18)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수단(18)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포스트(2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포스트(13,13')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이동수단(18)은 이동포스트(20)를 직선왕복운동시키는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기모터 등 이동구동원을 이용하여 이동포스트(20)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18)의 이동슬롯(19)은 이동포스트(20)가 이동되는 경로에 해당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동수단(18)은 한 쌍의 고정포스트(13,13')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포스트(13,13')에는 상기 이동포스트(2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포스트(20)의 직선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이동구동원이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이동구동원은 동기화되어 상기 이동포스트(20)를 일정한 속도 및 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포스트(13,13')에는 이동포스트(20)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포스트(20)는 상기 한 쌍의 고정포스트(13,13') 사이에 설치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이동수단(18)에 설치되어서 이동수단(18)을 따라 직선이동된다. 상기 이동포스트(20)는 아래에서 설명될 롤링어셈블리(30)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롤링어셈블리(30)는 이동포스트(20)의 길이방향, 즉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동포스트(20)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포스트(20)는 상기 이동수단(18)을 따라 직선이동된다. 상기 이동포스트(20)가 이동수단(18)을 따라 직선이동되면(도 3의 화살표 참조), 디스플레이(P)의 하부접속부(P2) 주변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도 5 참조) 만약 이동포스트(20)가 이동되지 않고 한 위치에 고정된다면 디스플레이(P)가 감기는 과정에서 하부접속부(P2) 주변이 휘어지면서 하부접속부(P2)에 강한 휨모멘트가 가해지고, 결과적으로 하부접속부(P2)가 파손될 수 있다. 상기 하부접속부(P2)는 디스플레이(P)와 달리 플렉서블한 재질이 아니거나, 일부만 플렉서블한 재질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이동수단(18)은 이동을 통해 하부접속부(P2)에 과도한 휨모멘트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디스플레이(P)는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커넥터수단(15)에 결합된 하단의 하부접속부(P2) 주변 역시 평평하게 펴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롤링어셈블리(30)에 의해 디스플레이(P)가 완전히 감긴 상태에서도 하부접속부(P2) 주변은 펴진 상태로 유지되는데, 이는 이동포스트(20)가 커넥터수단(15)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즉, 도 3과 달리 도 5에서는 이동포스트(20)가 커넥터수단(15)의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동포스트(20)의 이동은 이동수단(18)에 형성된 이동경로를 따라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서는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보이기 위해서 한 쌍의 고정포스트(13,13') 중에서 한 쪽 고정포스트(13')를 생략한 상태로 도시하였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이동포스트(20)에는 이동포스트(20)의 길이방향인 상하방향으로 가이드슬롯(2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22)은 아래에서 설명될 롤링어셈블리(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롤링어셈블리(30)가 회전하여 디스플레이(P)를 감거나 펴는 과정에서 이동포스트(20)의 가이드슬롯(2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슬롯(22)의 내부에는 상기 롤링어셈블리(30)를 직선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 구동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포스트(20)에는 롤링어셈블리(30)가 설치된다. 상기 롤링어셈블리(30)는 디스플레이(P)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한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P)를 감거나 펼치는 것이다. 상기 롤링어셈블리(30)는 회전하면서 디스플레이(P)를 감거나 펼치면서 디스플레이(P)를 시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롤링어셈블리(30)는 상기 커넥터수단(15)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P)의 일단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한다. 즉, 커넥터수단(15)과 롤링어셈블리(30)는 각각 디스플레이(P)의 좌우양단을 고정하되, 이중에서 롤링어셈블리(30)는 회전하여 디스플레이(P)를 감거나 펼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롤링어셈블리(30)는 회전될 뿐 아니라, 그 자체는 이동포스트(20)를 따라 직선이동된다. 상기 롤링어셈블리(30)는 상기 이동포스트(20)에 상기 이동포스트(20)의 이동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롤링어셈블리(30)는 이동포스트(20)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는 상기 이동포스트(20)의 이동방향과 직교이다. 물론,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상기 롤링어셈블리(30)는 이동포스트(20)의 이동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진 방향이나, 일정한 곡선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도 있다.
상기 롤링어셈블리(30)에는 상기 이동포스트(20)의 가이드슬롯(22)을 따라 직선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구동원(32)이 포함된다. 상기 회전구동원(32)은 상기 이동포스트(20)의 가이드슬롯(22) 내부에 설치되는데, 모터와 같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동원으로 구성되어 상기 롤링어셈블리(30)의 회전부(31)를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롤링어셈블리(30)가 가이드슬롯(22)을 따라 직선이동하도록 하는 것은 별도의 구동원을 통해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롤링어셈블리(3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원(32)의 동력을 일부 나누어 롤링어셈블리(30)가 직선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롤링어셈블리(30)에는 회전부(31)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31)는 상기 회전구동원(32)과 함께 가이드슬롯(22)을 따라 직선이동되고 회전구동원(32)에 의해 회전된다. 즉, 상기 회전부(31)가 실질적으로 회전하는 부분이다. 상기 회전부(31)는 가이드슬롯(22)의 외부로 적어도 그 일부가 노출되거나 돌출된 상태이다.
상기 회전부(31)에는 고정수단(4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회전부(31)에 결합브라켓(35)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P)의 일단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한다. 즉, 상기 고정수단(40)은 디스플레이(P)를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고정수단(40)이 디스플레이(P)를 고정한 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으므로, 시연을 마친 디스플레이(P)를 분리하거나, 다른 디스플레이(P)로 교체하는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수단(40)은 서로 상대이동되어 간격을 달리하면서 그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P)가 선택적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바(41,43)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고정바(41,43)는 그 사이 간격이 좁아지면서 디스플레이(P)의 외면을 눌러 고정한다. 도 4의 화살표는 디스플레이(P)를 고정할 때 고정바(41,43)의 이동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한 쌍의 고정바(41,43)는 고정구동원(미도시)에 의해 상대이동된다. 상기 고정구동원은 전자석, 모터,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전자석을 이용한 고정구동원이 고정바(41,43)를 작동시킨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한 쌍의 고정바(41,43)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실리콘이 부착되어 디스플레이(P)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P)의 외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어느 정도의 탄성을 이용해서 디스플레이(P)가 보다 잘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를 감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P)의 일단이 커넥터수단(15)에 고정되고 타단은 롤링어셈블리(30)에 고정된다. 상기 롤링어셈블리(30)에 구비된 고정수단(40) 중 한 쌍의 고정바(41,43)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사이에 위치된 디스플레이(P)를 가압하여 고정한다. 커넥터수단(15)에는 상기 디스플레이(P)의 하부접속부(P2)가 끼워져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수단(15)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P)에 구동신호를 인가시키는 신호인가단계가 이어진다.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P)가 작동하여 패턴이 표시될 수 있다. 시연자 및 관객은 패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디스플레이(P)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인가되는 패턴은 별도의 패턴제너레이터(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패턴제너레이터는 디스플레이(P)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외부에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패턴제너레이터는 4K 또는 8K 이상의 초고해상도(UHD:Ultra High Definition)를 갖는 디스플레이(P)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롤링어셈블리(30)가 작동하여 디스플레이(P)를 감는 롤링단계가 이어진다. 상기 롤링어셈블리(30)가 상기 디스플레이(P)를 고정한 상태로 회전(도 4의 화살표② 방향)하면 디스플레이(P)는 감기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롤링어셈블리(30)는 상기 커넥터수단(15) 방향으로 직선이동된다. 디스플레이(P)가 감기면서 짧아지는 길이를 보상하기 위해 롤링어셈블리(30)가 반대편인 커넥터수단(15)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롤링어셈블리(30)가 설치된 이동포스트(20)가 직선이동된다. 이동포스트(20)는 이동수단(18)에 의해 상기 커넥터수단(15)으로부터 멀어지는 후방(도 4의 화살표 ③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포스트(20)의 이동은 롤링어셈블리(30)의 회전 및 직선이동 동작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포스트(20)가 이동수단(18)을 따라 커넥터수단(15) 후방으로 직선이동되면, 디스플레이(P)의 하부접속부(P2) 주변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P)가 감기는 과정에서 하부접속부(P2) 주변이 휘어지면서 하부접속부(P2)에 강한 휨모멘트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P)가 완전히 감긴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보듯이, 상기 디스플레이(P)가 완전히 감기더라도 디스플레이(P)의 하부접속부(P2) 주변, 즉 커넥터수단(15) 주변의 디스플레이(P)는 평평하게 펴진 상태를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감기거나 펼쳐진 상기 디스플레이(P)의 패턴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검증단계가 실시될 수도 있다. 검증단계는 별도의 테스트 장치에 의하거나 작업자가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롤링어셈블리(30)의 이동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6은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롤링어셈블리(30)의 회전 및 직선운동을 보인 것이다. 이를 보면, 롤링어셈블리(30)는 화살표①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이동포스트(20)의 가이드슬롯(22)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동포스트(20) 자체도 이동수단(18)에 의해 직선이동하므로, 결과적으로 롤링어셈블리(30)의 이동경로는 화살표②와 같이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참고로 30A~30C는 각각 도 3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롤링어셈블리(30)의 위치를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을 이용하면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P)를 완전히 감는 롤링시연도 가능하지만, 롤링어셈블리(30)를 일정 횟수만 회전시켜서 디스플레이(P)를 휘는 벤딩시연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메인프레임 13: 고정포스트
15: 커넥터수단 16: 결합홈
18: 이동수단 20: 이동포스트
22: 가이드슬롯 30: 롤링어셈블리
31: 회전부 40: 고정수단
P: 디스플레이

Claims (7)

  1. 골격을 형성하는 하부몸체를 포함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고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어느 한쪽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포스트와,
    상기 한 쌍의 고정포스트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포스트를 따라 직선이동가능한 한 쌍의 이동포스트와,
    상기 이동포스트에 상기 이동포스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한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감거나 펼치는 롤링어셈블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포스트, 이동포스트 및 디스플레이를 감싸는 투명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 시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포스트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구비된 접속수단과 결합하여 이를 고정하는 커넥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롤링어셈블리는 상기 커넥터수단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의 일단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 시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어셈블리는
    상기 이동포스트에 이동포스트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슬롯을 따라 직선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구동원과,
    상기 회전구동원와 함께 가이드슬롯을 따라 직선이동되고 회전구동원에 의해 회전가능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단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 시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서로 상대이동되어 간격을 달리하면서 그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선택적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를 상대이동시키는 고정구동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 시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어셈블리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감거나 펼칠 때 상기 이동포스트는 상기 고정포스트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접속수단에 가해지는 휨모멘트를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 시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어셈블리는 상기 이동포스트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포스트의 가이드슬롯을 따라 직선이동되는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 시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포스트에는 상기 이동포스트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포스트의 직선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이동구동원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이동구동원은 동기화되어 상기 이동포스트를 일정한 속도 및 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 시연장치.




KR1020160156786A 2016-11-23 2016-11-23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 시연장치 KR101735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786A KR101735470B1 (ko) 2016-11-23 2016-11-23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 시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786A KR101735470B1 (ko) 2016-11-23 2016-11-23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 시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5470B1 true KR101735470B1 (ko) 2017-05-15

Family

ID=5873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786A KR101735470B1 (ko) 2016-11-23 2016-11-23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 시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4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3868A (zh) * 2020-01-10 2021-07-13 Lg电子株式会社 车载显示装置
EP3712875A4 (en) * 2019-01-11 2021-08-25 Jiangyin Kangrui Molding Technology Co., Ltd. STRUCTURE OF AN EXTENDING DISPLAY SCREEN
KR20210112047A (ko) 2020-03-04 2021-09-14 (주)플렉시고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롤링장치 및 평가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077B1 (ko) 2013-10-30 2014-03-17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벤딩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검사방법
KR101527815B1 (ko) 2015-01-15 2015-06-10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폴더블 디스플레이 접힘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힘검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077B1 (ko) 2013-10-30 2014-03-17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벤딩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검사방법
KR101527815B1 (ko) 2015-01-15 2015-06-10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폴더블 디스플레이 접힘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힘검사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12875A4 (en) * 2019-01-11 2021-08-25 Jiangyin Kangrui Molding Technology Co., Ltd. STRUCTURE OF AN EXTENDING DISPLAY SCREEN
US11212927B2 (en) 2019-01-11 2021-12-28 Jiangsu Kangrui New Material Technology Co., Ltd. Extendable display screen structure
CN113103868A (zh) * 2020-01-10 2021-07-13 Lg电子株式会社 车载显示装置
CN113103868B (zh) * 2020-01-10 2023-11-14 Lg电子株式会社 车载显示装置
KR20210112047A (ko) 2020-03-04 2021-09-14 (주)플렉시고 플렉시블 소재의 내구성 평가용 롤링장치 및 평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815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접힘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힘검사방법
US20210056874A1 (en) Retractable display device
CN106257569B (zh) 柔性显示设备
US11099691B2 (en) Display device
KR101735470B1 (ko)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 시연장치
KR101753615B1 (ko) 양방향 접이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장치
US20200068728A1 (en) Display device
KR10168087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검사장치와 이를 이용한 벤딩 및 롤링검사방법
KR20170126061A (ko) 롤러블 표시 장치
US20210392765A1 (en) Display device
TW201604850A (zh) 捲軸式顯示裝置
KR20160090976A (ko) 표시 장치
CN104344996A (zh) 用于柔性装置的测试设备
WO2019075809A1 (zh) 柔性显示面板背板及柔性显示器
KR102628935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28014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밴딩 시험장치
CN109326214A (zh) 具有可卷绕显示面板的显示装置
CN102654960B (zh) 图片可换立体展示装置
US10310554B2 (en) Folding display panels for large-format displays
EP4006883A1 (en) Rollable display device
US11805604B2 (en) Display device
US8881598B2 (en) Pressure point inspection device
KR100929960B1 (ko) 영상 구현 장치 및 이에 있어서 스크린 구조물
CN108327231B (zh) 弯折装置
US20220238626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