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837B1 -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837B1
KR101734837B1 KR1020160051324A KR20160051324A KR101734837B1 KR 101734837 B1 KR101734837 B1 KR 101734837B1 KR 1020160051324 A KR1020160051324 A KR 1020160051324A KR 20160051324 A KR20160051324 A KR 20160051324A KR 101734837 B1 KR101734837 B1 KR 101734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foreign substance
sensor
vibration wave
metallic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토
한순우
박진호
윤두병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51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2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coolant or moderator
    • G21C17/04Detecting burst slugs
    • G21C17/044Detectors and metering devices for the detection of fission products
    • G21C17/047Detection and metering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2Analysing fluids
    • G01N29/022Fluid sensors based on microsensors, e.g. quartz crystal-microbalance [QCM], surface acoustic wave [SAW] devices, tuning forks, cantilevers, flexural plate wave [FPW]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6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e.g. acoustic microscopy
    • G01N29/0654Imag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16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for photographing the track of moving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9/00High-speed photograph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증기발생기의 입구 측 핫 레그(hot leg)에서 유입된 금속 이물질이 압력용기 내에서 어떠한 궤적으로 움직이는지 파악하기 위해, 촬영 영상 및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비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및 그 방법{Visible device for tracking loose part in a nuclear power plant and method there of}
본 발명은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증기발생기의 입구 측 핫 레그(hot leg)에서 유입된 금속 이물질이 압력용기 내에서 어떠한 궤적으로 움직이는지 파악하기 위해, 촬영 영상 및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비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는 보통 100개 이상의 개별적 기능을 가진 계통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크게 원자로를 중심으로 한 핵 증기 공급계(NSSS:Nuclear Steam Supply System)와 증기를 공급 받아 발전기를 돌리는 터빈ㅇ발전기계통 그리고 기타 부수설비로 구분된다. 현재 한국 원자력발전소의 주종을 이루고 있는 가압 경수로형 발전소를 살펴보면 원자로를 중심으로 한 1차 계통, 증기발생기, 터빈, 발전기 및 복수기를 포함한 2차 계통, 사고에 대비한 공학적 안전설비계통, 송배전계통, 계측제어계통, 기타 보조계통들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원자력 발전소의 1차 계통 및 2차 계통의 주요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원자력 발전소의 1차 계통은 크게 원자로(13), 가압기(14), 냉각재 펌프(150), 증기 발생기(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 동작을 간단히 살펴보면, 원자로(13)는 핵연료(12)가 핵 분열함으로써 약 섭씨 1000도의 열을 발생하며 냉각재의 온도를 약 300℃로 높여 주는 역할을 하고, 가압기(14)에서는 냉각재인 물이 100℃ 이상에서도 끓지 않도록 냉각재를 160kg/cm2(경수로) 또는 110kg/cm2(중수로)로 압력을 가해 준다.
증기 발생기(160)는 화력 발전소의 보일러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뜨거워진 1차 계통의 냉각재로부터 2차 계통의 급수에 열을 전달시켜 급수를 증기로 변환시켜 준다.
냉각재 펌프(15)는 원자로(13)로부터 증기 발생기(16)를 거쳐 나온 1차 계통의 냉각재를 원자로(13)속으로 다시 순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원자력 발전소의 2차 계통은 크게 터빈(17), 발전기(18), 복수기(19), 급수 펌프(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원자력발전소 1차 계통(원자로 냉각 계통)은 고압 구조물의 폐회로 형식으로 되어 있다. 고압 구조물 내에서 금속성 이물질인 금속파편이 존재하는 경우 구조물과 충돌하여 심한 손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에 금속파편의 충격신호를 고압 구조물 외부에 부착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취득하여 금속파편의 존재 유무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원자력발전소에는 금속 파편 감시 장치인 LPMS(Loose Part Monitoring System)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금속이물질 발생위치 추청 기술은 LPMS (Loose Part Monitoring System)에서 핵심적인 기술로 정확한 금속이물질 발생위치와 질량 추정은 원자력발전소 건전성 진단에 매우 중요한 화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원교차법, 삼각법, 상호-상관함수법, 시간-주파수 분석 기법 (STFT, CWT, WVD),을 이용하여 금속이물질의 위치를 추정하였다. 또한, Hertz 접촉이론을 이용하여 해석적으로 질량을 추정하는 방법과 충격가속도 신호의 저주파수 대역과 고주파수 대역의 파워 스펙트라 비를 계산하여 질량을 추정하는 FR 기법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증기발생기는 튜브시트, 증기발생기 튜브, 분리판 (Divide plate) 등 복잡한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금속파편에 의한 충격신호는 증기발생기 외부에 부착된 가속도 센서로 검출이 되지만, 타격 후 금속이물질의 궤적을 파악하기는 매우 어렵다.
금속이물질의 충격 후, 금속이물질 궤적 파악은 실제 발전소 현장에서 경보신호가 발생했을 때, 금속이물질의 추정경로를 파악함으로써 추가적 위험요소가 발생이 가능한지 판단하는데 근거가 된다.
이에 따라, 압력용기 내부 유동속도에 따른 금속이물질 이동 궤적 파악 기술이 필요하다.
국내공개특허 제2000-0030148호(공개일 2000.06.05, 명칭: 공정설비 내 이물질의 충격위치 탐지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기발생기의 입구 측 핫 레그(hot leg)에서 유입된 금속 이물질이 압력용기 내에서 어떠한 궤적으로 움직이는지 파악하기 위해, 촬영 영상 및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비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이물질에 의한 첫 번째 충격 위치를 파악하는 것 뿐만 아니라, 충격이 발생한 후, 2차, 3차 충격에 의한 경로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고, 표면이 아닌 내부 구조물에 가해지는 충격 위치를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압력용기의 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에서 압력용기에 유입된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을 가시화 하는 장치로서, 상기 증기발생기의 압력용기로 1차 계통의 냉각재가 유입되는 측의 핫 레그 외측에 장착되는 촬영수단; 상기 핫 레그 내측 또는 외측에 장착되어, 설치된 지점에서의 진동파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수단; 및 상기 센서수단에서 감지된 금속 이물질의 진동파를 분석하여 금속 이물질의 질량 및 충격위치를 상기 촬영수단에서 촬영된 영상과 비교하고, 금속 이물질의 궤적을 추정하는 분석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를 이용한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방법으로서, 상기 분석수단이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의 촬영 영상과, 상기 센서수단으로부터 진동파 신호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단계; 상기 분석수단이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촬영된 촬영 영상을 통해 금속 이물질의 형태와 충격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센서수단으로부터 수집된 진동파 신호를 통해 금속 이물질의 질량과 충격위치를 추정하는 데이터 분석 단계; 및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와, 상기 센서수단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금속 이물질의 충격위치 및 궤적을 추정하는 추정 단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및 그 방법은 증기발생기의 입구 측 핫 레그(hot leg)에서 유입된 금속 이물질이 압력용기 내에서 어떠한 궤적으로 움직이는지 파악함으로써, 압력용기의 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시 설명하면,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 현장에서 발생하는 금속 이물질 충격 현상을 육안으로 관찰함과 동시에,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하기 때문에, 육안에 의해 발생한 충격 위치와 충격에 의한 가속도 신호를 이용한 충격 위치 비교가 가능하여, 충격 위치 추정 정확도가 높아져 원전기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핫 레그(hot leg)에서 입구 유동 형성이 어떻게 되는지 파악할 수 있어, 유속에 따른 입구 유동장 파악이 가능하며, 금속 이물질 충격 현상을 실제로 모사 가능하기 때문에 경보신호에 의한 금속 이물질의 궤적 추정이 가능하여, 현재 상태에서 금속 이물질의 궤도 추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원자력 발전소의 1차 계통 및 2차 계통의 주요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가 설치된 증기발생기의 외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가 설치된 증기발생기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에서 조명수단의 측단면도 및 정면도.
도 7은 질량은 동일하되, 형상이 서로 다른 금속 이물질의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1)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100)에서 압력용기에 유입된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을 가시화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촬영수단(200), 센서수단(300) 및 분석수단(40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먼저, 상기 증기발생기(100)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증기발생기(100)의 내부에는 전열관(미도시)이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열관의 내부에는 원자로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전달받은 1차 냉각재가 흐르고, 전열관의 외부에는 2차 순환수가 흐른다.
상기 1차 냉각재 및 상기 2차 순환수는 증기발생기(100)에서 열교환하여 상기 2차 순환수가 고온 고압의 증기로 변환되고, 이와 같은 증기에 의하여 터빈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증기발생기(100)는 유입구(111)를 통해 고온, 고압의 물이 들어와 전열관을 통해 유출구(112)로 나가며, 상기 증기발생기(100)의 내부에는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분리판(130), 고정원통(140) 등이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촬영수단(200)은 상기 증기발생기(100)의 압력용기로 1차 계통의 냉각재가 유입되는 측의 핫 레그(hot leg) 외측에 장착된다.
상기 촬영수단(200)은 상기 핫 레그에서 1차 계통의 냉각재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111)의 주변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 장착되는데, 도 2와 같이 상기 유입구(111)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에 4개 장착될 수도 있으며,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개수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촬영수단(200)은 초당 300~500 프레임 촬영이 가능한 고속 카메라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여러 종류의 촬영 수단으로 얼마든지 변경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촬영수단(200)은 상기 핫 레그의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금속이물질의 충격 위치를 촬영할 수도 있고, 금속 이물질의 형상을 육안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1)는 상기 촬영수단(200)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500)이 장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조명수단(500)은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510)와, 상기 발광부(510)를 보호하도록 상기 발광부(510) 주변을 감싸며 형성되는 내압강화부(5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유체압력 5~15bar을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수단(500)은 내부 촬영이 가능하도록 최소 조도 0.002 LUX 이상인 조명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1)에서는 상기 촬영수단(200)의 양 옆에 상기 조명수단(500)이 각각 배치되도록 형성되었으며, 필요에 따라 그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실시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센서수단(300)은 설치된 지점에서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수단(300)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에서 얻어진 진동파 신호 중 신호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가 높은 진동파 신호에 기초하여 이물질 질량을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수단(300)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튜브시트(120)에 다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장착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분리판(130)에 다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장착될 수도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고정원통(140)에 다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석수단(400)은 상기 센서수단(300)에서 감지된 금속 이물질의 진동파를 분석하여 금속 이물질의 질량 및 충격위치를 상기 촬영수단(200)에서 촬영된 영상과 비교하고, 금속 이물질의 궤적을 추정하게 된다.
상기 분석수단(400)은 센서와 연결되어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금속 파편 충격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파편 충격 신호를 생성하며, 특정 대역의 신호로 이를 필터링하거나, 이를 연산하여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1)는 증기 발생기 내부에 다수개의 센서수단(300)을 설치하여, 금속 이물질이 내부 어느 위치에 충격을 가하더라도 위치 추정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설치된 상기 센서수단(300)은 상기 유입구(111)에서 유입된 금속 이물질의 충격을 상기 촬영수단(200)을 통해 육안으로 관찰하는 동시에, 가속도 센서의 응답신호를 측정하여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1)는 육안 관찰과 가속도 센서를 통한 질량 추정의 비교를 가장 큰 특징으로 하는데, 이의 중요성은 아래와 같은 예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일례로, 도 7(a) 도시된 이론적 금속 이물질과, 도 7(b)에 도시된 이론적 금속 이물질의 형상이 다른 경우, 두 물체가 같은 질량임에도 불구하고, 후술되는 센서수단(300)인 가속도 센서의 측정신호에서 실제 금속 이물질의 중심주파수가, 이론적 금속 이물질의 중심주파수보다 낮게 측정됨에 따라, 실제 금속 이물질의 질량이 더 큰 것으로 오인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육안관찰을 제외하고,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결과만으로 실제 질량을 판단하는 것이 어렵고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기존의 가속도 센서만을 이용한 질량추정 판단법보다는 육안관찰을 병행하는 것이 정확한 질량 추정에 유리하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1)를 이용한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방법은 크게, 데이터 수집 단계, 데이터 분석 단계 및 금속 이물질의 충격위치 및 궤적을 추정하는 추정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데이터 수집 단계는 상기 분석수단(400)이 상기 촬영수단(200)으로부터의 촬영 영상과, 상기 센서수단(300)으로부터 진동파 신호를 수집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 분석 단계에서는 상기 분석수단(400)이 상기 촬영수단(200)으로부터 촬영된 촬영 영상을 통해 금속 이물질의 형태와 충격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센서수단(300)으로부터 수집된 진동파 신호를 통해 금속 이물질의 질량과 1차 충격위치를 추정하게 된다.
특히, 상기 데이터 분석 단계에서는 상기 분석수단(400)이 상기 센서수단(300)으로부터 상기 진동파 신호를 인가 받아 위그너-빌(Wigner-Ville) 분포가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해석 기법에 의해 상기 진동파 신호 중 금속 이물질에 의해 발생한 충격 진동파의 주파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격 진동파의 주파수 데이터를 추출하는 하는 것은, 상기 시간-주파수 해석 기법에 의해 얻어진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진동파 신호에서 측정 유닛의 설치로 인한 공진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주파수 해석 기법에 의해 얻어진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진동파 신호에 대한 앰비규어티(ambiguity) 영역에서의 스므딩(smoothing)을 통하여 배경잡음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의 질량을 추정하는 것은, 충격 진동파의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특정 두 구간에서의 적분 값의 비로 표현되는 주파수비(FR)와 이물질 질량과의 상관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충격 진동파의 중심주파수에 기초한 충격시간을 구하여, 헤르츠 충격이론을 사용하여 이물질 질량을 추정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속도계 센서를 통해 이물질의 질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본 발명과 동일 출원인에 의해 국내등록특허 제0798007호(등록일 2008.01.18, 명칭: 원전기기의 이물질 질량 추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정장치)를 통해 이미 공개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추정 단계에서는 상기 촬영수단(200)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와, 상기 센서수단(300)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금속 이물질의 충격위치 및 궤적을 추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추정 단계에서는 상기 촬영수단(200)으로부터 촬영된 촬영 영상을 통해 파악된 유입구(111)에서의 금속 이물질 유속과, 상기 센서수단(300)으로부터 수집된 진동파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핫 레그 내측에서 금속 이물질의 충격위치 및 궤적을 추정하여, 2차, 3차 충격에 의한 위험을 예상 및 방지함으로써 원전기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간략히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1) 및 그 방법은 촬영 영상 및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비교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증기발생기(100)의 입구 측 핫 레그(hot leg)에서 유입된 금속 이물질이 압력용기 내에서 어떠한 궤적으로 움직이는지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100: 증기발생기
111: 유입구 112: 유출구
120: 튜브시트
130: 분리판
140: 고정원통
200: 촬영수단
300: 센서수단
400: 분석수단
500: 조명수단
510: 발광부 520: 내압강화부

Claims (10)

  1.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100)에서 압력용기에 유입된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을 가시화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기(100)의 압력용기로 1차 계통의 냉각재가 유입되는 측의 핫 레그 외측에 장착되는 촬영수단(200);
    상기 핫 레그 내측 또는 외측에 장착되어, 설치된 지점에서의 진동파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수단(300); 및
    상기 센서수단(300)에서 감지된 금속 이물질의 진동파를 분석하여 금속 이물질의 질량 및 충격위치를 상기 촬영수단(200)에서 촬영된 영상과 비교하고, 상기 촬영수단(200)을 통해 유속에 따른 핫 레그 입구의 유동장 파악과, 핫 레그 내측에 장착된 센서수단(300)의 경보 신호를 통해 압력용기 내부에서 금속 이물질의 궤적을 추정하는 분석수단(4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200)은
    상기 핫 레그에서 1차 계통의 냉각재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111)의 주변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200)은
    초당 300~500 프레임 촬영이 가능한 고속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1)는
    상기 촬영수단(200)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50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500)은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510)와, 상기 발광부(510)를 보호하도록 상기 발광부(510) 주변을 감싸며 형성되는 내압강화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수단(300)은
    설치된 지점에서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수단(300)은
    상기 증기발생기(100) 내 튜브시트(120), 분리판(130) 및 고정원통(140)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다수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8. 제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1)를 이용한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방법은
    상기 분석수단(400)이 상기 촬영수단(200)으로부터의 촬영 영상과, 상기 센서수단(300)으로부터 진동파 신호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단계;
    상기 분석수단(400)이 상기 촬영수단(200)으로부터 촬영된 촬영 영상을 통해 금속 이물질의 형태와 충격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센서수단(300)으로부터 수집된 진동파 신호를 통해 금속 이물질의 질량과 충격위치를 추정하는 데이터 분석 단계; 및
    상기 촬영수단(200)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와, 상기 센서수단(300)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고, 상기 촬영수단(200)을 통해 유속에 따른 핫 레그 입구의 유동장 파악과, 핫 레그 내측에 장착된 센서수단(300)의 경보 신호를 통해 압력용기 내부에서 금속 이물질의 충격위치 및 궤적을 추정하는 추정 단계; 을 포함하는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 단계에서는
    상기 분석수단(400)이 상기 센서수단(300)으로부터 상기 진동파 신호를 인가 받아 위그너-빌(Wigner-Ville) 분포가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해석 기법에 의해 상기 진동파 신호 중 금속 이물질에 의해 발생한 충격 진동파의 주파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방법.
  10. 삭제
KR1020160051324A 2016-04-27 2016-04-27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734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324A KR101734837B1 (ko) 2016-04-27 2016-04-27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324A KR101734837B1 (ko) 2016-04-27 2016-04-27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837B1 true KR101734837B1 (ko) 2017-05-15

Family

ID=5873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324A KR101734837B1 (ko) 2016-04-27 2016-04-27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8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262A (ko) * 2019-04-03 2020-10-14 한국원자력연구원 충격 신호 분석 방법 및 장치
KR20210076672A (ko) * 2019-12-16 2021-06-24 한국원자력연구원 금속 이물질 충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006B1 (ko) 2006-08-17 2008-01-24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전 기기의 통합 감시 및 진단 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0798007B1 (ko) * 2006-08-21 2008-01-24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전기기의 이물질 질량 추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006B1 (ko) 2006-08-17 2008-01-24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전 기기의 통합 감시 및 진단 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0798007B1 (ko) * 2006-08-21 2008-01-24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전기기의 이물질 질량 추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정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손기성 외 3인,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진동변위 측정",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제 23 권 제9 호, pp. 789~796 (2013.09.30.)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262A (ko) * 2019-04-03 2020-10-14 한국원자력연구원 충격 신호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2205961B1 (ko) 2019-04-03 2021-01-21 한국원자력연구원 충격 신호 분석 방법 및 장치
KR20210076672A (ko) * 2019-12-16 2021-06-24 한국원자력연구원 금속 이물질 충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2293450B1 (ko) * 2019-12-16 2021-08-25 한국원자력연구원 금속 이물질 충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3888C (en) Kernel-based method for detecting boiler tube leaks
KR101734837B1 (ko) 금속 이물질에 의한 충격현상 가시화 장치 및 그 방법
CN107767975A (zh) 一种核动力装置关重部件质量性能的监测与故障诊断方法
KR102577568B1 (ko) 열상감시장비 고장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KR20110090000A (ko) 카메라 영상신호를 이용한 누설판별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55020A (ko) 데이터 정형화 처리기 및 실시간 제어 분석기를 이용한 사고 회복 방법 및 사고 회복 장치
CN111896112A (zh) 一种锅炉水冷壁壁温分布快速检测分析评估***
JP2016057206A (ja) ルースパーツモニタ装置
CN104240778A (zh) 核电站用冷凝器特性试验***、方法及装置
CN111727352B (zh) 评估热交换器结垢的方法
CN107527665B (zh) 核电站蒸汽发生器支撑板状态监测方法
JP6418640B2 (ja) 制御棒監視システム、および制御棒監視方法
US20150027663A1 (en) Instrumented Steam Generator Anti-Vibration Bar
JP2021011992A5 (ko)
EP2444977B1 (en) Device for measuring temperature coefficient of moderator and method for measuring temperature coefficient of moderator
KR100942206B1 (ko) 증기발생기의 슬러지 시각화 방법 및 그 시각화 프로그램을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CN111895384A (zh) 火力发电厂锅炉水冷壁超温及隐性超温筛查评估方法
CN110401578A (zh) 一种用于检测网络设备网速的检测设备
Kalyanasundaram et al. Detection of simulated steam leak into sodium in steam generator of PFBR by argon injection using signal analysis techniques
EP4372676A1 (en) Method for determining heat and reflected heat in thermal image
CN103854713B (zh) 一种确定汽水分界面的方法
RU2813960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мониторинг потока расплава, выходящего из котла-утилизатора
KR20100036665A (ko) 증기 발생기 열수력적 불안정성 분석 및 광역수위 계측치를이용한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량의 정량적 진단방법
Rep et al. Sludge Deposit Mapping for Steam Generators
Lessard Measurements in horizontal air-water pipe flows using wire-mesh sen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