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701B1 -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701B1
KR101733701B1 KR1020150183272A KR20150183272A KR101733701B1 KR 101733701 B1 KR101733701 B1 KR 101733701B1 KR 1020150183272 A KR1020150183272 A KR 1020150183272A KR 20150183272 A KR20150183272 A KR 20150183272A KR 101733701 B1 KR101733701 B1 KR 101733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water
container
circumferential surface
fragrance container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
최민재
Original Assignee
(주)디자인엑스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자인엑스투 filed Critical (주)디자인엑스투
Priority to KR1020150183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4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with filters placed in or behind pouring spo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는, 통상의 음료제조장치에 있어서, 내주면으로 결합부가 형성된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로 형성되는 내부에 압축공간이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압축수단과; 외주면으로 걸림턱이 형성된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면으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통체의 내부에 소망하는 식음료의 원재료로 되는 건조식물의 단위 추출물이나 그 추출분말 등이 수용되는 향료용기와; 상기 향료용기를 내부로 수용하는 관체로 형성하되, 상기 관체의 상부 외주면과 내주면에는 상기 압축수단의 결합부에 대응되는 체결부와, 상기 향료용기의 걸림턱을 지지하는 단턱이 각각 형성된 체결수단과; 외표면에 복수의 유체이탈 방지턱이 형성된 상단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향료용기를 직립으로 내장하는 향료용기수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향료용기 수용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대기 형상으로 하되, 깔대기 형상의 하부는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식용수의 이송통로가 되는 식용수 이송부가 형성되는 무독성 실리콘 재질로 된 스포이드 수단과; 음료컵 형상의 내부에 식용수와 상기 스포이드 수단을 수용하되, 상기 식용수는 상기 식용수 이송부의 상면보다 낮은 수위로 수용되는 음수 용기;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PORTABLE DRINK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PIPPETTE}
본 발명은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기호취향에 맞게 음료의 향미농도를 즉석에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려내서 마실 수 있는 각종 차(예를 들어 홍차, 녹차, 커피 등의 원료나 추출물, 주스류)음료는 자연 상태의 각종 천연 재배식물들을 건조한 후, 이에 함유되어 있는 고유한 향미를 음료형태로 추출되어 현대인들의 기호음료로 널리 섭취되고 있다. 특히 인체에 유익한 각종 효능이 주는 것으로 알려진 녹차음료나 홍차음료는 현대인들의 필수 건강음료로서도 널리 애음되고 있다.
따라서 폭발적인 수요증가에 따른 위와 같은 차(茶)음료의 제조장치도 역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4915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을 통해 간편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茶)음료의 제조장치는 차음료에 대한 향미농도(맛과 향의 세기)의 조절이 전혀 불가능하여, 다양한 기호 취향의 가진 사용자의 입맛에 맞는 차음료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조립구조가 복잡하여 사용상의 불편함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상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4915호(2011년 7월 4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건조식물의 단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분말과 같은 식음료의 원재료와 식용수의 혼합 체류시간에 따른 혼합농도를 진공의 힘으로 흡입하여 원하는 부위에 토출하기 위한 스포이드 수단을 통해 조절하여, 사용자의 기호 취향에 맞는 향미감을 최적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는,
내주면으로 결합부가 형성된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로 형성되는 내부에 압축공간이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압축수단과;
외주면으로 걸림턱이 형성된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면으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통체의 내부에 소망하는 식음료의 원재료로 되는 건조식물의 단위 추출물이나 그 추출분말 등이 수용되는 향료용기와;
상기 향료용기를 내부로 수용하는 관체로 형성하되, 상기 관체의 상부 외주면과 내주면에는 상기 압축수단의 결합부에 대응되는 체결부와, 상기 향료용기의 걸림턱을 지지하는 단턱이 각각 형성된 체결수단과;
외표면에 복수의 유체이탈 방지턱이 형성된 상단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향료용기를 직립으로 내장하는 향료용기수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향료용기 수용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대기 형상으로 하되, 깔대기 형상의 하부는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식용수의 이송통로가 되는 식용수 이송부가 형성되는 무독성 실리콘 재질로 된 스포이드 수단과;
음료컵 형상의 내부에 식용수와 상기 스포이드 수단을 수용하되, 상기 식용수는 상기 식용수 이송부의 상면보다 낮은 수위로 수용되는 식용수 용기;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축수단의 내표면과 향료용기의 내표면에는 무독성 실리콘 패드가 더 마련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 압축수단의 손잡이는 원형, 타원형, 장원형, 하트모양, 다각형,동식물모양 또는 캐릭터모양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식용수 용기는 투명재질로 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건조식물의 단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분말과 같은 식음료의 원재료와 식용수의 혼합 체류시간에 따른 혼합농도를 진공의 힘으로 흡입하여 원하는 부위에 토출하기 위한 스포이드 수단을 통해 조절하여, 사용자의 기호 취향에 맞는 향미감을 최적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기호취향에 맞게 차음료의 향미농도를 즉석에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다른 도구의 사용 없이 손쉽게 분해조립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분해 결합상태를 나타낸 전개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료용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개천골요법을 이용한 기능성 동력베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결합상태를 나타낸 전개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료용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는 압축수단(100), 향료용기(200), 체결수단(300), 스포이드 수단(400), 식용수 용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는 상기 압축수단(100), 향료용기(200), 체결수단(300), 스포이드 수단(400), 식용수 용기(500)의 결합에 의하여, 내부가 밀폐된 구조로 제공된다.
먼저, 본 발명의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압축수단(100)은, 내부에 압축공간이 형성되는 중공부(111)를 가진 손잡이(110)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이 개방된 하부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체결수단(300)의 체결부(311)에 고정되는 결합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수축 가능한 탄성재질로 된 상기 손잡이(110)의 누르는 힘의 세기와 누르는 횟수에 의해, 상기 중공부(111)에 충진된 공기압의 변화를 유도시켜 상기 중공부(111)의 내부로 식용수(A)의 유입과 유출을 제어할 수 있는 완성된 음료차(B)의 저장공간(130)을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10)의 내주벽에는 인체에 무해한 무독성 실리콘 패드(140)를 더 마련하여, 상기 중공부(111)를 왕래하는 식용수(A) 내지 음료차(B)의 위생상태를 더욱 더 증대시켜 음료차(B)를 섭취하는 인체건강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110)의 형상은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얼마든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른 형태, 즉 원형, 타원형, 장원형, 하트모양, 다각형, 동식물모양 또는 캐릭터모양 중에서 선택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는 곧 사용자의 성별이나 연령 및 취향에 따라 여러 형태의 디자인의 제공이 가능하여 보다 폭 넓은 적용범위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향료용기(200)는 상면이 개방된 통체(210)의 하부 바닥면에는 복수의 구멍(230)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체결수단(300)에 지지되어 안치되는 걸림턱(220)이 마련되어 있으며, 내부 공간부(211)에는 소망하는 식음료의 원재료로 되는 건조식물의 단위 추출물(C)이나 그 추출분말 등이 수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상기 압축수단(100)의 중공부(111)에 형성된 완성 음료차의 저장공간(130)와 더불어 추출물(C) 등이 수용된 상기 통체(210)의 내부 공간부(211)는 완성된 차음료(B)의 또 다른 저장공간(240)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수단(100)의 손잡이(110)에 외부에서 누르는 힘이 작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손잡이(110)의 내부 중공부(111)에 아무런 공기압의 변화가 없는 통체(21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식용수 용기(500)에 수용된 식용수(A)가 유입되지 않게 되어, 식용수(A)와 분리되어 있는 건조된 식물추출물(C)은 건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110)에 외부에서 누르는 힘이 작용될 경우, 상기 손잡이(110)의 내부 중공부(111)가 수축되는 공기압의 변화에 의해 통체(21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스포이드 수단(400)의 흡입작용으로 식용수(A)가 상기 향료용기(200)의 바닥면으로 형성된 구멍((230)을 통해 유입되어, 통체(210)의 내부에서 건조된 식물추출물(C)을 용해하여 건조식물의 향료가 첨가된 완성된 차음료(B)로 제조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통체(210)의 내부공간은 전술한 손잡이(110)의 중공부(111)에 형성된 완성 차음료(B)의 저장공간(130)과 더불어 보다 확장된 저장공간(240)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체결수단(30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압축수단(100)과 향료용기(200) 및 후술하는 스포이드 수단(400)을 견고하게 밀착시키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관체(310)로 형성된 내부에는 전술한 향료용기(200)를 수용하되, 상부 내주면에는 향료용기(200)의 걸림턱(220)이 지지되고 안착되는 단턱(3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체(310)의 상부 외주면에는 전술한 압축수단(100)의 결합부(120)에 대응되는 체결부(311)가 형성되어 상기 압축수단(100)과 긴밀하게 결합된 구조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체결수단(300)은 상기 압축수단(100)과 긴밀하게 결합된 체결부(311)가 제외된 관체(310)가 후술하는 스포이드 수단(400)의 상면 내부에서 직립형상으로 된 향료용기수용부(420)로 수용되면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대기 형상으로 된 식용수 이송부(430)의 상단부에 적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스포이드 수단(400)은 상단 외표면으로 형성시킨 복수의 유체이탈 방지턱(410)과, 상면 내부에서 전술한 체결수단(300)을 통해 향료용기(200)를 수용하는 직립형상으로 된 향료용기수용부(420)와, 상기 향료용기 수용부(420)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대기 형상의 하부가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식용수의 이송통로가 되는 식용수 이송부(43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직립형상으로 된 상기 향료용기수용부(420)에는 향료용기(200)가 직립으로 내장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식용수 이송부(430)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대기 형상의 하부가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식용수의 이송통로의 구조로 되어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유체이탈 방지턱(410)은 스포이드 수단(400)의 상부 외표면으로 복수개가 형성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유체이탈 방지턱(410)은 공기압의 변화에 의해 후술하는 식용수 용기(500)의 내부의 식용수(A)가 식용수 용기(500)의 외부로 분출되어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식용수 용기(500)는 음료컵 형상으로 마련되면서, 내부에 식용수(A)와 상기 스포이드 수단(400)을 내부로 수용하되, 상기 식용수(A)는 스포이드 수단(400)의 식용수 이송부(430)의 상면보다 낮은 수위로 수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상기 압축수단(100)의 손잡이(110)에 수축력이 작용되지 않은 상태, 즉 아무런 공기압의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향료용기 수용부(420)에 수용되어 있는 향료용기(200)의 구멍(230)을 통해 식용수의 자연유입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압축수단(100)의 손잡이(110)에 수축력이 작용할 경우에는, 스포이드 원리에 의해 식용수 용기(500)에 수용된 식용수(A)는 식용수 이송부(430) 및 향료용기(200)의 구멍(230)을 통해 향료용기(200)의 내부공간(211)과 손잡이(110)의 중공부(111)로 유입되어 체류하면서 건조상태의 식물 추출물(C)과 혼합되어 용해되면서 상기 건조상태의 식물 추출물(C)에 함유되어 있는 맛과 향을 포함한 완성된 차음료(B)가 제조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완성된 차음료(B)는 상기 향료용기(200)의 내부공간(211)과, 손잡이(110)의 중공부(111)에 체류하게 되는 데, 이는 곧 상기 향료용기(200)의 내부공간(211)과, 손잡이(110)의 중공부(111)가 완성된 차음료(B)의 저장공간(130, 240)으로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식용수 용기(500)는 아무런 도구 없이 손으로 상기 스포이드 수단(400)과 간편하게 분리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컵 형상으로 분리되는 식용수 용기(500)에 상기 저장공간(130, 240)에 수용되어 있는 완성된 차음료(B)의 사용 컵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완성된 차음료(B)의 향미농도(맛과 향의 세기 등)는 손잡이(110)의 누름 횟수에 의해 식용수의 유입과 유출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바, 이는 곧 식용수(A)가 상기 건조상태의 식물 추출물(C)과 혼합되는 체류시간이 조절되어 완성된 차음료(B)의 향미농도를 사용자의 기호 취향에 맞는 최적상태로 조절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식용수 용기(500)는 식용수(A)가 상기 스포이드 수단(400)을 통해 상하로 왕래하면서 체류시간 및 누름횟수에 따라 완성된 차음료(B)의 색상변화를 통해 차음료(B)의 향미 농도를 식별할 수 있는 투명재질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압축수단
110 : 손잡이 111: 중공부
120 : 결합부 130, 240 : 저장공간
140 : 무독성 실리콘 패드
200 : 향료용기
210 : 통체 211 : 내부공간
220 : 걸림턱 230 : 구멍
300 : 체결수단 310 : 관체
311 : 체결부 312 : 단턱
400 : 스포이드 수단 410 : 유체이탈 방지턱
420 : 향료용기 수용부 430 : 식용수 이송부
500 : 식용수 용기

Claims (4)

  1. 내주면으로 결합부가 형성된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로 형성되는 내부에 압축공간이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압축수단과;
    외주면으로 걸림턱이 형성된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면으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통체의 내부에 소망하는 식음료의 원재료로 되는 건조식물의 단위 추출물이나 그 추출분말이 수용되는 향료용기와;
    상기 향료용기를 내부로 수용하는 관체로 형성하되, 상기 관체의 상부 외주면과 내주면에는 상기 압축수단의 결합부에 대응되는 체결부와, 상기 향료용기의 걸림턱을 지지하는 단턱이 각각 형성된 체결수단과;
    외표면에 복수의 유체이탈 방지턱이 형성된 상단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향료용기를 직립으로 내장하는 향료용기수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향료용기 수용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대기 형상으로 하되, 깔대기 형상의 하부는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식용수의 이송통로가 되는 식용수 이송부가 형성되는 무독성 실리콘 재질로 된 스포이드 수단과;
    음료컵 형상의 내부에 식용수와 상기 스포이드 수단을 수용하되, 상기 식용수는 상기 식용수 이송부의 상면보다 낮은 수위로 수용되는 식용수 용기;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수단의 내표면과 향료용기의 내표면에는 무독성 실리콘 패드가 더 마련됨을 특징으로 한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수단의 손잡이는 원형, 타원형, 장원형, 하트모양, 다각형,동식물모양 또는 캐릭터모양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수 용기는 투명재질로 됨을 특징으로 한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









KR1020150183272A 2015-12-21 2015-12-21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 KR101733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272A KR101733701B1 (ko) 2015-12-21 2015-12-21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272A KR101733701B1 (ko) 2015-12-21 2015-12-21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701B1 true KR101733701B1 (ko) 2017-05-08

Family

ID=60164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272A KR101733701B1 (ko) 2015-12-21 2015-12-21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7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639A (ko) 2018-02-14 2019-08-22 김영재 침출 음료수 제조방법
KR20220013718A (ko) 2020-07-27 2022-02-04 김영재 필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530B1 (ko) 2013-04-05 2014-06-19 고현규 유아용 과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530B1 (ko) 2013-04-05 2014-06-19 고현규 유아용 과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639A (ko) 2018-02-14 2019-08-22 김영재 침출 음료수 제조방법
KR20220013718A (ko) 2020-07-27 2022-02-04 김영재 필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음료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2673B2 (en) Portable beverage preparation device and system
EP2129269B1 (en) A brewing element with a central inlet
US8096230B2 (en) Brewing element with a central inlet
AU2006226048B2 (en) Beverage cartridge and system
US8424448B2 (en) Beverage dispenser
US5996473A (en) Beverage infusion device
US9974408B2 (en) Portable hot beverage maker or tumbler with passive cooling system
US7437990B2 (en) All-in-one disposable container for making coffee, tea and other mixed beverages
US6471390B1 (en) Apparatus for pneumatically stirring a beverage
US20150173557A1 (en) Tea bag storage case for mineral water bottle having integrated cap
US20150282664A1 (en) Beverage pod press
JP2004505707A (ja) 食品パッケージおよび該食品パッケージを利用した調製システム
US20130163370A1 (en) Mixing Device
KR20160015172A (ko) 내포된 휴대용 쿡-세트
US10000319B2 (en) Sealable drinking container with air-extracting mechanism for oxygenation suppression
WO2010071246A1 (en) Sliding straw with solid food
KR101733701B1 (ko) 스포이드를 이용한 휴대용 음료제조장치
US9186007B2 (en) Multi-person straw for sharing/tasting beverages
CN205994196U (zh) 组合杯结构
EP0829218A2 (en) Beverage making pencil
KR200251605Y1 (ko) 필터를 구비한 보온용기
US20170303725A1 (en) Apparatus, system and related method for infusion of material in a liquid
ES2732183T3 (es) Dispositivo para diluir productos sólidos en un medio líquido
KR20080112588A (ko) 고형식품이 내장된 슬라이딩 스트로
WO2007142420A1 (en) Straw with reservo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